KR20190033236A - Liquid fire extinguisher of rifle-type using discharge pressure - Google Patents

Liquid fire extinguisher of rifle-type using discharge pres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236A
KR20190033236A KR1020170121752A KR20170121752A KR20190033236A KR 20190033236 A KR20190033236 A KR 20190033236A KR 1020170121752 A KR1020170121752 A KR 1020170121752A KR 20170121752 A KR20170121752 A KR 20170121752A KR 20190033236 A KR20190033236 A KR 20190033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ressure
liquefied gas
fire extinguisher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형규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임형규
임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규, 임종태 filed Critical 임형규
Priority to KR102017012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3236A/en
Publication of KR2019003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2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7/00Hand fire-extinguishers essentially in the form of pistols or rif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for fire prevention, including a body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in a body portion and having a head part having an injection hole separably fastened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 accommodating pack accommodated on the body portion of the body, mounted adjacent to the injection hole, and accommodating a fire extinguishing chemical therein; a handle provided with a lever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in the rear of the body and provided with a penetration pin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operation of the lever; a liquefaction container communicating with the body and pressurizing the accommodating pack by means of the pressure generated from hitting of the penetration pin and provided with liquefied gas to push out the fire extinguishing chemical;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between the handle and the liquefaction container and provided such that the liquefied gas of the liquefaction container flows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body; and discharge means mounted on the injection hole of the head part and provided with a nozzle to inject the fire extinguishing chemical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pressure of the liquefied 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e suppression direction accuracy is improved and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gripped with ease. In addition, fire suppression can be performed with a fire starting point accurately aim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every season and in both polar regions and hot regions. The accommodating pack can be accommodated with ease, and thus production workability can be improved. The internal pressure can be adjusted, and thus the risk of explos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emergency escape is possible in the event of emergency.

Description

토출압력을 이용한 소총식 액체소화기{Liquid fire extinguisher of rifle-type using discharge press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fire extinguisher of a rifle-

본 발명은 토출압력을 이용한 소총식 액체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마치 작은 총을 들고 있는 듯한 형태와 자세로서 화재진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화재 진압방향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소화기의 파지가 간편해 짐과 동시에 화재의 발화점을 정 조준하여 진압할 수 있음은 물론, 원거리에서도 화재를 정확하게 진압 내지 제압할 수 있는 용이성과 함께 발화점과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화재 진압이 가능하며, 특히 영하의 날씨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극지방이나 더운 지방 가릴 것 없이 사계절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헤드부의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수용 팩의 수용이 원활하여 생산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며, 또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폭발 위험도 크게 줄이면서 위험상황 시 비상 탈출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된 토출압력을 이용한 소총식 액체소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fle-type liquid fire extinguisher using a discharge press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fire suppression in a form and posture in which a user is holding a small gu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re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ignition point of the fire as well as to facilitate suppression or suppression of the fire at a long distance and to suppress the fir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gnition point, It can be used in the weather, so it can be used in all seasons without being affected by poles or hot fats. With the possibility of separating the head part, it is possible to smoothly accommodate the receiving pack and improve the production workability. The risk of explosion is greatly reduced, and emergency escape is also possible in case of dang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fle-type liquid fire extinguisher using a lock-out discharge pressure.

통상적으로, 초기 인류의 불의 이용은 인간 문화 진화적인 면에서 전환점이 되었다. 이렇게 불을 처음 사용한 시기는 호모 에렉투스가 살았던 142만 년 전으로 알고 있으며 아프리카의 유적은 최소한 열세 군데가 있다. 그 가운데 시대가 가장 이른 케냐의 체소완자에서는 짐승의 뼈가 올도완 석기와 불에 탄 진흙과 함께 나왔다고 전해지는 만큼 인류가 살아가는데 불은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불은 중요한 만큼 위험요소도 아주 커 사용에 주의를 주어야 했고, 화재 시 화재 장비인 기본적인 소화기를 사용해왔다. 그런데 일반적인 소화기는 사용 시 한손은 발포호스를 잡고, 다른 한손은 누름손잡이를 파지하여야 했기 때문에 제법 무거운 소화기를 들고 파지하기가 힘들어서 잡는 자세가 불량해 질뿐 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정확한 발화점을 정 조준하기가 어려웠던 문제가 종종 발생하곤 했기에 이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Traditionally, the use of fire by early mankind has been a turning point in the evolution of human culture. This first use of fire was known to be about 1.42 million years ago when Homo erectus lived, and there are at least thirteen sites in Africa. It is said that the bone of the beast came out together with clay and fire clay in Kenya's oldest Choso-bun, which is the earliest among them. However, these fires are as dangerous as they are important, so they have to be used carefully and have used basic fire extinguishers which are fire equipment. However, in general fire extinguishers, one hand needs to hold the foam hose and the other hand to hold the push handle, so it is difficult to hold a heavy fire extinguisher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it. In addition to this, It is urgent to improve the problem because problems that often were difficult to occur often occur.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752166호에 따르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소화약재(11)를 수용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레버(21)를 구비하고, 레버(21)의 작동으로부터 전, 후 이동이 가능한 관통핀(22)을 구비하는 손잡이부(20); 상기 동체(10)와 연통되어 압력에 의해 소화약재(11)를 밀어내도록 액화가스(31)를 구비하는 액화통(30); 상기 손잡이부(20)와 액화통(30) 사이를 연통시키고, 액화통(30)의 액화가스(31)가 동체(10)의 내부로 유입되게 구비하는 연통수단(40); 및 상기 동체(10)의 끝단에 연통수단(40)을 통해 유입된 액화가스(31)의 압력으로부터 소화약재(11)를 외부로 분사되게 구비하는 배출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소화기.’를 제시한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752,166 discloses a fire extinguisher for suppressing a fire: a body 10 for accommodating an extinguishing medicament 11 therein; A grip portion 20 having a lever 21 capable of gripping a user at one side of the body 10 and having a through pin 22 capable of being moved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operation of the lever 21; A liquefying cylinder (30) communicating with the body (10) and having a liquefied gas (31) for pushing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11) by pressure; A communicating means 40 communicating between the handle 20 and the liquefier 30 so that the liquefied gas 31 of the liquefier 30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 And discharge means (50) for discharging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11) from the pressure of the liquefied gas (31) introduced through the communicating means (40) at the end of the body (10) A liquid fire extinguisher.

그런데 상기한 액체소화기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선 등록된 것으로서 좋은 기능을 유지하고 있지만 내부에 피스톤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영하의 날씨에는 다소 작동이 소홀해 지는 경향이 있다, 즉, 피스톤 구조가 아주 낮은 영하의 날씨에서는 가끔 얼어붙어 작동이 잘 안 되는 문제가 극히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However, although the above-described liquid fire extinguisher has already been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it maintains a good function, but since the piston structure is adopted therein, the operation tends to be somewhat negligible in the sub-zero weather, In sub-zero weather, there are very few problems that sometimes fail to work because of freezing.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0406700호에 따르면, ‘내부에 분말 소화약제가 소정압력으로 충진된 용기와, 이 용기의 상부의 일측면에 마련되며 내부 분말 소화약제의 압력을 체킹하는 압력 게이지와,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분사노즐이 마련된 캡과, 상기 캡과 용기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며 안전핀에 의해 단속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외측면을 향할수록 확대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분사구멍이 형성된 연질의 메인 노즐과; 상기 메인 노즐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내주면이 내측면을 향할수록 협소해지는 경사면을 이루며, 메인 노즐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분사구멍의 직경을 가변시키는 서브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를 제시한다.A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0406700,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for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filled with a powdered fire extinguishing agent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 pressure gaug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for checking the pressure of the powdered fire extinguishing agent, A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and having a spray nozzle disposed at one side thereof and a handle selectively interposed between the cap and the container and intercepted by a safety pin, wherein the spray nozzle has an inclined surface A soft main nozzle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n injection hole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sub nozzle which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nozzle and forms an inclined surface narrowing toward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nozzle and changes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hole while being slid along the main nozzle. present.

하지만, 이러한 소화기 역시 한손에는 발포호스를 잡고 또 다른 한손은 손잡이를 파지하여야 하므로 무거운 소화기를 들고 있기가 힘들고, 그로 인해 정확한 발화점을 조준하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화재는 즉시 진압이 되어야 하고 다음 기회란 것은 없기 때문에 일반소화기와 같은 경우에는 한번 사용으로 화재를 진압을 할 수 있어야 하지만, 소화기용 손잡이를 강한 힘으로 계속 눌러야만 내부 소화액이 발사되기 때문에 분사가 용이치 않은 문제가 있다 할 것이다.However, these fire extinguishers are also difficult to hold a heavy fire extinguisher because it is necessary to hold a foam hose on one hand and to hold a handl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e must be suppressed immediately and there is no next opportunity, fire extinguishing should be possible by one use in the case of general fire extinguisher, but since internal fire extinguisher is fired if the fire extinguisher handle is kept pressed by strong force, There will be an unusual problem.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752166호 “액체소화기”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752166 " liquid fire extinguisher " 한국 등록특허 제0406700호 “소화기”Korean Patent No. 0406700 " Fire extinguisher "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마치 작은 총을 들고 있는 듯한 형태와 자세로서 화재진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화재 진압방향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소화기의 파지가 간편해 짐과 동시에 화재의 발화점을 정 조준하여 진압할 수 있음은 물론, 원거리에서도 화재를 정확하게 진압 내지 제압할 수 있는 용이성과 함께 발화점과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화재 진압이 가능하며, 특히 영하의 날씨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극지방이나 더운 지방 가릴 것 없이 사계절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헤드부의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수용 팩의 수용이 원활하여 생산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며, 또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폭발 위험도 크게 줄이면서 위험상황 시 비상 탈출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된 토출압력을 이용한 소총식 액체소화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uppressing the fire in the form and posture in which the user seems to be holding a small gun,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direction of fire extinguishing and simplifying the grip of the fire extinguish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e precisely or suppress the fire at a distance,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r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gnition point. Especially, it is possible to use in the sub-zero weather, It is possible to use all four seasons without separating the hea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accommodate the receiving pack and improve the production workability. Als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ner pressure and greatly reduce the explosion risk. To provide a rifle-type liquid fire extinguisher using the discharge pressure configured to It has its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몸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몸체부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끔 체결 고정되는 분사구멍을 지닌 헤드부로 이루어진 동체; 상기 동체의 몸체부 상에 수용되면서 분사구멍에 근접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소화약재를 수용하는 수용팩; 상기 동체의 후방에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레버를 구비하고, 레버의 작동으로부터 전· 후 이동이 가능한 관통핀을 구비하는 손잡이부; 상기 동체와 연통되면서 관통핀의 타격으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수용팩을 압박하여 소화약재를 외부로 밀어내도록 액화가스를 구비하는 액화통; 상기 손잡이부와 액화통 사이를 연통하고, 액화통의 액화가스가 동체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끔 구비하는 연통부; 및 상기 헤드부의 분사구멍에 장착되어 액화가스의 압력에 의해 소화약재를 일정각도로 분사하도록 노즐을 구비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 extinguisher for fire extinguishing a fire extinguisher, comprising: a body including a head portion having an injection hole formed in a body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detachably fastened to a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 accommodating pack which is accommodated on the body portion of the body and is mounted close to the injection hole and accommodates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therein; A handle provided with a lever capable of holding a user at the rear of the body and having a through pin capable of being moved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operation of the lever; A liquefying cylinder having a liquefied gas so as to press the receiving pack against the pressure generated from the blowing of the through-pi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body and pushing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outward; A communicating portion that communicates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liquefier and is provided to allow the liquefied gas in the liquefier to flow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body; And discharging means mounted to the jetting hole of the head portion and having nozzles for jetting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pressure of the liquefied gas.

이때, 상기 동체는 헤드부의 일측에 유리 및 벽체 등을 타격하여 깨진 유리 등으로부터 비상탈출이 가능하게끔 타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moving body further includes a striking part for striking the glass, the wall, or the like on one side of the head part so that the striking can be escaped from the broken glass or the like.

또한, 상기 연통부는 동체의 수용공간에 과압(過壓)이 발생하면 압력에 의해 개방과 차단을 시행하게끔 스프링을 구비하는 이동체와, 이동체가 수용되면서 압력이 유동하도록 유동홈을 구비하는 고정체와, 이동체와 고정체 상에서 차단될 때 압력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패킹으로 이루어진 안전밸브와, 과압(過壓)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municating part may include a moving body having a spring for opening and blocking by pressure when an overpressure occurs in a receiving space of the moving body, a holding body having a flow groove for allowing pressure to flow while the moving body is accommodated, A safety valve composed of a packing provided to prevent leakage of pressure when the movable body and the fixed body are blocked, and a through hole for allowing an overpressur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in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s shall not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a term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치 작은 총을 들고 있는 듯한 형태와 자세로서 화재진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화재 진압방향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소화기의 파지가 간편해 짐과 동시에 화재의 발화점을 정 조준하여 진압할 수 있음은 물론, 원거리에서도 화재를 정확하게 진압 내지 제압할 수 있는 용이성과 함께 발화점과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화재 진압이 가능하며, 특히 영하의 날씨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극지방이나 더운 지방 가릴 것 없이 사계절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헤드부의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수용 팩의 수용이 원활하여 생산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며, 또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폭발 위험도 크게 줄이면서 위험상황 시 비상 탈출까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able to extinguish the fire in the form and posture as if holding a small gun, so that the accuracy of fire extinguishing direction is enhanced and the grip of the fire extinguisher is simplifi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e precisely or suppress the fire at a distance,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r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gnition point. Especially, it is possible to use in the sub-zero weather, It is possible to use all seasons without separating, and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head part, so that the receiving pack is smoothly received, which improves the production workability. Also, it can control the internal pressure and greatly reduce the explosion risk.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압력을 이용한 소총식 액체소화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총식 액체소화기의 주요 구성 중 하나를 확대한 단면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소총식 액체소화기의 사용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및4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총식 액체소화기의 분리 결합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ifle-type liquid fire extinguisher using a discharge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a rifle-type liquid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3c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use of the rifle-type liquid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state of separation and assembly of the rifle-type liquid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afety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압력을 이용한 소총식 액체소화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총식 액체소화기의 주요 구성 중 하나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소총식 액체소화기의 사용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a 및4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총식 액체소화기의 분리 결합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ifle-type liquid fire extinguisher using a discharge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a rifle-type liquid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separated and combined state of the rifle-type liquid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afety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기에 관련되며, 동체(10) 수용팩(20) 손잡이부(30) 액화통(40) 연통부(50) 배출수단(6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The main constitu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is a handle 30 of the body 10 accommodating pack 20, a discharging means 60 of the liquefying container 40, and a discharging means 60.

본 발명에 따른 동체(10)는 몸체부(11)에 수용공간(12)을 형성하고, 몸체부(11)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끔 체결 고정되는 분사구멍(14)을 지닌 헤드부(13)로 이루어진다. 동체(10)는 몸체부(11)와 헤드부(13)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몸체부(11)를 통해 수용공간(12)이 형성되고, 몸체부(11)의 전면에 헤드부(13)가 나사산(13b)을 통해 서로 체결되어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몸체부(11)의 수용공간(12)으로 후술하는 수용팩(20)의 수용이 용이해진다. 이를 통해서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하게 된다.The moving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13 having a receiving space 12 formed in a body portion 11 and having a spray hole 14 detachably faste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 The body 10 includes a body portion 11 and a head portion 13. The body portion 11 has a receiving space 12 formed therein and a head portion 13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Threaded portion 13b so as to be detachable, so that it becomes easy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pack 20 to be described later into the receiving space 12 of the body portion 11. [ As a result, workabil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상기 동체(10)는 헤드부(13)의 일 측에 유리 및 벽체 등을 타격하여 깨진 유리 등으로부터 비상탈출이 가능하게끔 타격부(13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체(10)의 헤드부(13)는 일 측에 체결 내지 별도의 부착물질을 통해 고정된 타격부(13a)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타격부(13a)는 돌출된 형태로 타격점을 한곳으로 몰아주어 유리 및 벽체 등의 파손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후술할 손잡이부(30)를 통해 파지가 용이함으로써 이를 통한 타격부(13a)의 사용도 함께 손쉬워진다.At this time, the moving body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riking portion 13a so that the glass can be escaped from the broken glass or the like by blowing glass, a wall, or the like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13. The head portion 13 of the moving body 10 is provided with a striking portion 13a fixed to one side by means of a fastening member or a separate attaching material. The striking portion 13a is formed by projecting the striking point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reak a given glass or a wall. Further, it is easy to grasp through the grip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use of the striking portion 13a is facilitated.

본 발명에 따른 수용팩(20)은 상기 동체(10)의 몸체부(11)에 수용되면서 분사구멍(14)에 근접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소화약재(21)를 수용한다. 수용팩(20)은 내부에 소화약재(21)가 수용되게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분사구멍(14)에 근접하여 장착되는 삽설부(22)와, 삽설부(22)의 외주면에 체결부(23)를 형성하여 동체(10)의 몸체부(11)에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수용팩(20)의 삽설부(22)는 분사구멍(14)에 근접하면서 후술하는 배출수단(60)과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용팩(20)은 비닐재 또는 고무재 등을 이용해서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합성수지재나 질긴 재료 등을 주머니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로써 압력에 의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ceiving pack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11 of the body 10 and is mounted close to the injection hole 14 and accommodates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21 therein. The receiving pack 20 is formed in a bag shape so as to receive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21 therein and has an insertion portion 22 which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in the vicinity of the injection hole 14, The fastening portion 23 is formed and fixed to the body portion 11 of the moving body 10. [ The unloading portion 22 of the receiving pack 2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means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lose to the jetting hole 14 so a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so, the receiving pack 20 may be formed using a plastic material such as a vinyl material or a rubber material, but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tough material, or the like in the form of a bag.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30)는 상기 동체(10)의 후방에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레버(31)를 구비하고, 레버(31)의 작동으로부터 전· 후 이동이 가능한 관통핀(32)을 구비한다. 손잡이부(30)는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게끔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레버(31)가 형성된다. 이러한 레버(31)는 관통핀(32)이 함께 회전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전 후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다.The hand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31 capable of holding the user at the rear of the body 10 and has a through pin 32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operation of the lever 31 Respectively. The handle 30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handle 30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handle 30. The lever 3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andle 30 and is rotatable. Since the through-hole pin 32 rotates together with the lever 31, the lever 31 is formed in such a state that it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본 발명에 따른 액화통(40)은 상기 동체(10)와 연통되면서 관통핀(32)의 타격으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수용팩(20)을 압박하여 소화약재(21)를 외부로 밀어내도록 액화가스(41)를 구비한다. 액화통(40)은 내부에 소화약재(21)를 밀어낼 수 있게끔 액화가스(41)를 수용하는데, 이러한 액화통(40)은 동체(10)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즉, 사용 전의 액화통(40)은 막힌 상태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전술한 손잡이부(30)의 레버(31)를 잡아당기게 되면 함께 회전되어 전진하는 관통핀(22)이 액화통(40)을 부수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화가스(41)가 외부로 이탈하게 된다. 이후의 설명은 후술하는 연통부(50)와 함께 설명키로 한다. 그리고 액화통(40)의 경우에는 날카로운 관통핀(22)에 의해 파손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통부(50)는 전체 면이 막힌 상태로 형성해도 무방하지만 별도의 두껑(미 도시)를 형성하여 액화가스의 충진이 용이하도록 형성해도 무방하다.The liquefaction barrel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ody 10 to pressurize the receiving pack 20 by the pressure generated from the blow of the through-pin 32 and push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21 to the outside, Gas (41). The liquefaction bottle 40 accommodates the liquefied gas 41 so that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21 can be pushed inside the liquefaction bottle 40. The liquefaction bottle 40 is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dy 10. When the user pulls the lever 31 of the handle 30 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hole pin 22, which rotates together and advances together, And the liquefied gas 41 contained therein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communicating portion 5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the liquid container 4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material which can be easily broken by the sharp through-pin 22. [ In addition, the communicating portion 50 may be formed in a state that the entire surface is blocked, but it may be formed so as to facilitate filling of the liquefied gas by forming a separate lid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연통부(50)는 상기 손잡이부(30)와 액화통(40) 사이를 연통되도록 하고, 액화통(40)의 액화가스(41)가 동체(10)의 수용공간(12)으로 유입되게끔 구비한다. 연통부(50)는 액화통(40)에서부터 손잡이부(30)의 관통핀(32)이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연통되게끔 하고, 재차 수용공간(12)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손잡이부(30)의 레버(31)를 잡아당김에 따라 전진하는 관통핀(32)으로부터의 타격으로 파손되어 발생하는 액화가스(41)가 압력에 의해 유동하면서 액화통(40)에서 수용공간(12)으로 유입됨으로써 수용팩(2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압박받은 수용팩(20)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소화약재(21)가 후술하는 배출수단(6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The communicating portion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the lid 30 and the liquefier 40 and allows the liquefied gas 41 of the liquefier 40 to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12 of the body 10, . The communicating part 50 communicates with the lid 40 through the through hole 32 of the handle 30. The accommodating space 12 communicates with the lid 40, The liquefied gas 41 generated due to breakage due to the blow from the penetrating pin 32 advancing as the lever 31 of the lid 30 is pulled is moved by the pressure, So that pressure is applied to the receiving pack 20. The depressed receptacle pack 2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ing means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suppressed.

이때, 상기 연통부(50)는 동체(10)의 수용공간(12)에 과압(過壓)이 발생하면 압력에 의해 개방과 차단을 시행하게끔 스프링(53)을 구비하는 이동체(52)와, 이동체(52)가 수용되면서 압력이 유동하도록 유동홈(55)을 구비하는 고정체(54)와, 이동체(52)와 고정체(54) 상에서 차단될 때 압력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패킹(56)으로 이루어진 안전밸브(51)와, 과압(過壓)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관통공(5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체(10)의 수용공간(12)은 막힌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에 과압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압(過壓)으로 인해 소화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밸브(51)를 구비하는데, 안전밸브(51)는 고정체(54)의 유동홈(55)에 삽설하여 이동 가능하게끔 형성되는 이동체(52)를 구비하고, 이동체(52)는 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수용공간(12)을 막고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수용공간(12)에 스프링(53)의 탄성력보다 큰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스프링(53)에 압력이 가해져 이동체(52)는 이송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된 틈으로 압력은 외부와 연통되는 관통공(57)으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체(54)와 이동체(52)가 맞물리는 부분에 별도의 패킹(56)을 삽설하여 미세한 내부 압력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한다.The communicating part 50 includes a moving body 52 having a spring 53 for opening and blocking by pressure when overpressure is generated in the receiving space 12 of the moving body 10, A fixed body 54 having a flow groove 55 to allow pressure to flow while the moving body 52 is accommodated and a packing 54 provided to prevent outflow of pressure when the moving body 52 and the fixed body 54 are blocked 56, and a through hole 57 through which an overpress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ince the receiving space 12 of the moving body 10 is formed in a clogged state, an overpressure may be generated inside. A safety valve 51 is provided to prevent the fire extinguisher from exploding due to the overpressure. The safety valve 51 is installed in the flow groove 55 of the fixture 54 so as to be movable And the moving body 52 is formed in a state of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1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3. [ At this time, when a pressure larg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3 is gener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pressure is applied to the spring 53 to move the movable body 52, Through the through hole (57). Further, a separate packing 56 is inserted in a portion where the fixed body 54 and the moving body 52 mesh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inute internal pressure does not escape.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단(60)은 상기 헤드부(13)의 분사구멍(14)에 장착되어 액화가스(41)의 압력에 의해 소화약재(21)를 일정각도로 분사하게끔 노즐(61)을 구비한다. 이러한 배출수단(60)은 동체(10)의 내부에 유동되는 액화가스(41)의 압력에 의해 소화약재(21)가 액화통(40)에 수용된 액화가스(41)로 하여금 수용팩(20)을 가압하여 수용팩(20) 내부에 수용된 소화약재(21)가 헤드부(13)의 분사구멍(14)에 장착된 노즐(61)을 통해 외부로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노즐(53)은 통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채 외부로 분사하게 됨으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The discharg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jetting hole 14 of the head portion 13 and is provided with a nozzle 61 for jetting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21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pressure of the liquefied gas 41 Respectively. The discharging means 60 allows the liquefied gas 41 stored in the liquefying container 40 to be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pack 20 by the pressure of the liquefied gas 41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moving body 10, So that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21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ck 20 is e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61 mounted on the injection hole 14 of the head portion 13. [ The nozzle 53 is sprayed to the outsid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angle, so that the fire can be suppresse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치 작은 총을 들고 있는 듯한 형태와 자세로서 화재진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화재 진압방향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소화기의 파지가 간편해 짐과 동시에 화재의 발화점을 정 조준하여 진압할 수 있음은 물론, 원거리에서도 화재를 정확하게 진압 내지 제압할 수 있는 용이성과 함께 발화점과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화재 진압이 가능하며, 특히 영하의 날씨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극지방이나 더운 지방 가릴 것 없이 사계절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헤드부의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수용 팩의 수용이 원활하여 생산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며, 또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폭발 위험도 크게 줄이면서 위험상황 시 비상 탈출까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able to extinguish the fire in the form and posture as if holding a small gun, so that the accuracy of fire extinguishing direction is enhanced and the grip of the fire extinguisher is simplifi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e precisely or suppress the fire at a distance,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r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gnition point. Especially, it is possible to use in the sub-zero weather, It is possible to use all seasons without separating, and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head part, so that the receiving pack is smoothly received, which improves the production workability. Also, it can control the internal pressure and greatly reduce the explosion risk. Effect.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동체 11: 몸체부
12: 수용공간 13: 헤드부
14: 분사구멍 20: 수용팩
21: 소화약재 22: 삽설부
23: 체결부 30: 손잡이부
31: 레버 32: 관통핀
40: 액화통 41: 액화가스
50: 연통부 51: 안전밸브
52: 이동체 53: 스프링
54: 고정체 55: 유동홈
56: 패킹 57: 관통공
10: body 11: body
12: accommodation space 13: head part
14: injection hole 20: receiving pack
21: digestive medicine 22: shovel
23: fastening part 30: handle part
31: lever 32: through pin
40: liquefier 41: liquefied gas
50: communicating part 51: safety valve
52: moving body 53: spring
54: Fixture 55: Flow groove
56: Packing 57: Through hole

Claims (3)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몸체부(11)에 수용공간(12)을 형성하고, 몸체부(11)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끔 체결 고정되는 분사구멍(14)을 지닌 헤드부(13)로 이루어진 동체(10);
상기 동체(10)의 몸체부(11) 상에 수용되면서 분사구멍(14)에 근접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소화약재(21)를 수용하는 수용팩(20);
상기 동체(10)의 후방에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레버(31)를 구비하고, 레버(31)의 작동으로부터 전·후 이동이 가능한 관통핀(32)을 구비하는 손잡이부(30);
상기 동체(10)와 연통되면서 관통핀(32)의 타격으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수용팩(20)을 압박하여 소화약재(21)를 외부로 밀어내도록 액화가스(41)를 구비하는 액화통(40);
상기 손잡이부(30)와 액화통(40) 사이를 연통하고, 액화통(40)의 액화가스(41)가 동체(10)의 수용공간(12)으로 유입되게끔 구비하는 연통부(50); 및
상기 헤드부(13)의 분사구멍(14)에 장착되어 액화가스(41)의 압력에 의해 소화약재(21)를 일정각도로 분사하도록 노즐(61)을 구비하는 배출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압력을 이용한 소총식 액체소화기
In the construction of fire extinguishers for fire fighting:
A body 10 formed of a head part 13 having a receiving space 12 formed in a body part 11 and having an injection hole 14 detachably faste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11;
A receiving pack 20 which is accommodated on the body portion 11 of the body 10 and mounted close to the injection hole 14 and accommodates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21 therein;
A handle 30 having a lever 31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 user behind the body 10 and having a through-pin 32 that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operation of the lever 31;
And a liquefying cylinder 41 provided with a liquefied gas 41 for pushing the receiving pack 20 by the pressure generated from the blow of the through-pin 32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body 10, 40);
A communicating portion 50 communicating between the handle 30 and the liquefier 40 and provided to allow the liquefied gas 41 of the liquefier 40 to enter the housing space 12 of the body 10, ; And
And discharging means 60 mounted on the jetting hole 14 of the head portion 13 and having a nozzle 61 for jetting the extinguishing medicament 21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pressure of the liquefied gas 41 The liquid-type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claim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10)는 헤드부(13)의 일 측에 유리 및 벽체 등을 타격하여 깨진 유리 등으로부터 비상탈출이 가능하게끔 타격부(13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압력을 이용한 소총식 액체소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10 further comprises a striking portion 13a for allowing emergency escape from broken glass or the like by hitting a glass or a wall or the like on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13, Liquid fire extinguis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50)는 동체(10)의 수용공간(12)에 과압(過壓)이 발생하면 압력에 의해 개방과 차단을 시행하게끔 스프링(53)을 구비하는 이동체(52)와, 이동체(52)가 수용되면서 압력이 유동하도록 유동홈(55)을 구비하는 고정체(54)와, 이동체(52)와 고정체(54) 상에서 차단될 때 압력의 유출을 방지하게 구비하는 패킹(56)으로 이루어진 안전밸브(51)와, 과압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관통공(57)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압력을 이용한 소총식 액체소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ng part 50 includes a moving body 52 having a spring 53 for opening and blocking by pressure when an overpressure is generated in the receiving space 12 of the moving body 10, And a packing 56 for preventing the pressure from flowing out when the movable body 52 and the fixing body 54 are blocked on the fixed body 54. The fixed body 54 has a flow groove 55, And a through hole (57) for discharging the overpressure to the outside, wherein the safety valve (51)
KR1020170121752A 2017-09-21 2017-09-21 Liquid fire extinguisher of rifle-type using discharge pressure KR201900332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752A KR20190033236A (en) 2017-09-21 2017-09-21 Liquid fire extinguisher of rifle-type using discharge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752A KR20190033236A (en) 2017-09-21 2017-09-21 Liquid fire extinguisher of rifle-type using discharge pres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236A true KR20190033236A (en) 2019-03-29

Family

ID=6589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752A KR20190033236A (en) 2017-09-21 2017-09-21 Liquid fire extinguisher of rifle-type using discharge pres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323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00B1 (en) 2000-12-28 2003-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fire extinguisher
KR101752166B1 (en) 2015-07-13 2017-06-29 임종태 Liquid Fire Extinguish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00B1 (en) 2000-12-28 2003-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fire extinguisher
KR101752166B1 (en) 2015-07-13 2017-06-29 임종태 Liquid Fire Extingui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5336A (en) Fire extinguisher an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A2296925C (en) Method and system for administering a medication
JP2017529291A5 (en)
KR20180007793A (en) Liquid fire extinguisher using the discharge pressure
US2067829A (en) Fire extinguisher of the pressure-containing type
JPH03222969A (en) Obstacle break through device for use by fireman and action agent injector
KR101752166B1 (en) Liquid Fire Extinguisher
US3005495A (en) Hand fire extinguishers
KR20190033236A (en) Liquid fire extinguisher of rifle-type using discharge pressure
KR200432282Y1 (en) Tear gas sprayer for self-protection
KR200344303Y1 (en) A spray nozzle for a fire extinguisher
KR20040015847A (en) Digestion device for removable urgency fire suppression that bubble woe is emited by nitrogen gas
KR101909637B1 (en) A fire extinguisher with multiple fire extinguishing agents
KR100963121B1 (en) Operator for a pressurization type extinguisher
KR20190003146U (en) Fire extinguisher for fire extinguishing
CN203379538U (en)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bottle capable of throwing
KR200491282Y1 (en) water extinguisher for fire drill
KR101226447B1 (en) Fire-extinguisher for safety cap
KR100736121B1 (en) Bidirection tear gas ejecting club
US3039654A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KR101107572B1 (en) A portable liquefied injection for self-protection
KR100233296B1 (en) A portable fire extinguisher
KR20140000397U (en) Portable automatic and hand sprayer
JP4209969B2 (en) Portable fire gun
KR100485924B1 (en) Gas gun bullet of running f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