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145A - System for healthy lifesty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healthy lifesty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145A
KR20190033145A KR1020170121568A KR20170121568A KR20190033145A KR 20190033145 A KR20190033145 A KR 20190033145A KR 1020170121568 A KR1020170121568 A KR 1020170121568A KR 20170121568 A KR20170121568 A KR 20170121568A KR 20190033145 A KR20190033145 A KR 20190033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ifestyle
central server
input window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9684B1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684B1/en
Priority to PCT/KR2018/007155 priority patent/WO2019059500A1/en
Publication of KR2019003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6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19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which uses a smartphone with a lifestyle improvement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to diagnose whether a user suffers from schizophrenia and treat metabolic disorders to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of a schizophrenic patient. The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to acquire current bioinformation of a user; a central server to receive the bio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to store the bioinformation; a life pattern analysis unit which is separately arranged in the central server, and has classification scores previously stored therein to analyze a life pattern of the user based on the bio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metabolic disorder symptom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 metabolic disorde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ores, and then transmit health information to the user. The bio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during a set period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Then if a metabolic disorder symptom risk level is determined to be high by the life pattern analysis unit of the central server and the metabolic disorder symptom determination unit, the metabolic disorder syndrome of the user is treated by the lifestyle improvemen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Description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SYSTEM FOR HEALTHY LIFESTY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SYSTEM FOR HEALTHY LIFESTY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상자의 일상생활을 추적하여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그 구현방법으로 다양한 센서가 설치된 스마트 폰으로 대상자의 생활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적극적으로 건강한 생활패턴으로 가이드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모델링 및 홍보할 수 있는 차세대 개인 건강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of a patient suffering from orphan disease in association with an app installed in a smart phone, and it is intended to help a person to keep a healthy lifestyle by tracking the daily life of a su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system in which a next-generation personal health application capable of monitoring lifestyle patterns of a subject with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sensor, guiding the lifestyle of a subject actively, and further modeling and promoting such a technical idea.

우리나라는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이다(보건복지부, 2011). 비만은 복부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Congenital Heart Disease;이하 CHD) 등과 같은 대사성 장애의 원인이 된다(Schizophrenia Research, 2009).In Korea, one in three adults is obes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Obesity is a cause of metabolic disorders such as abdominal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d congenital heart disease (CHD) (Schizophrenia Research, 2009).

조현병은 사고 체계와 감정 반응의 전반적인 장애로 인해 통합적인 정상 사고를 하지 못하는 일종의 만성 사고 장애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조현병 환자가 대략 15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1). It is estimated that about 150,000 patients are suffering from chronic illnesses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자발적인 신체활동의 동기가 결핍된 만성 조현병 환자의 경우, 비정형 항정신성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일반인구집단보다 비만도는 2배 이상, 심대사성증후군 유병률은 2~3배 높게 나타난다(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0; Schizophrenia Research, 2005; Annals of General Psychiatry, 2011).In patients with chronic idiopathic disease with a lack of motivation for voluntary physical activity, the adverse effects of atypical antipsychotic drugs lead to a 2-fold higher obesity and a 2 to 3-fold higher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syndrome tha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0; Schizophrenia Research, 2005; Annals of General Psychiatry, 2011).

조현병 환자의 조기사망률은 2~3 배 이상 높고(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98;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0), 평균 수명은 대략 20년 정도 짧다(Psychiatric Services, 2006). The early mortality rate of patients with asthma is two to three times higher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98;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0) and life expectancy is about 20 years shorter (Psychiatric Services, 2006).

이와 같이 조현병 환자는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신체질환으로 인해 조기사망률이 높다. 이는 그들이 사회적 편견으로 차별받는 현실 속에서 진정한 회복을 경험할 기회조차 박탈당한다는 것이다(Psychosomatics, 2010). In this way, patients with pre-eclampsia have a high mortality rate due to physical diseases that can be prevented and treated. This means that they are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genuine recovery in the face of social prejudice (Psychosomatics, 2010).

실제로 조현병 환자의 조기 사망 원인으로서 비만에 의한 CHD의 위험성이 자살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들의 비만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중재가 필요하다(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7). In fact, since the risk of CHD due to obesity is higher than that of suicide as the cause of premature death in patients with asthma, continuous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is needed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7).

또한, 종래에는 일상 생활에 지치고 바쁜 현대인에게 자기 관리를 지도하고 모니터링하며 건강한 웰빙 생활을 유도할 수 있는 수단이 미흡한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means for guiding and monitoring self-management to modern people who are tired and busy in everyday life and inducing healthy well-being.

이에 본 발명은 대상자의 일상생활을 추적하여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그 구현방법으로 다양한 센서가 설치된 스마트 폰으로 대상자의 생활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적극적으로 건강한 생활패턴으로 가이드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모델링 및 홍보할 수 있는 차세대 개인 건강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help a person to keep track of the daily life of a subject and help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and as an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a life pattern of a subject is monitored by a smart phon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And to provide a new system in which a next generation personal health application capable of modeling and promoting these technical ideas can be implemented.

또한, 부차적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조현병 증상을 가진 대상자의 대사장애 정도를 진단하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별도의 앱을 통해 원격으로 사용자의 조현병을 치료/관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diagnose the degree of metabolic disturbance of the subject who has symptomatic symptoms through a variety of sensor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nd to remedy / manage the user's symptom remotely remotely through a separate app installed on the smartphone have.

KR 10-2014-0018754(2014.02.13 공개)KR 10-2014-0018754 (published Feb. 13, 2014)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자기주도적 동기강화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조현병 환자의 일상생활을 올바르고 건강하게 가이드함은 물론이고, 주기적으로 생활패턴을 분석하고 모니터링 하며, 자기주도적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며, 조현병 환자가 일반적으로 앓고 있는 대사장애 증상을 치료/경감시켜 줄 수 있는 네트워크와 연동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desirable lifestyle through an app installed in a smart phone and provides a self-initiated motivation-enhancing health care service, thereby guiding the daily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rrectly and healthily, and periodically analyzes life patterns It is intended to intervene with a network that can treat and / or relieve symptoms of metabolic disorders commonly suffering from the disease.

사용자의 조현병 유무를 진단하고 조현병 치료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이 소개된다.A system that maintains a healthy lifestyle of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is introduced by using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lifestyle improvement app for diagno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s disease and treating the disease.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상자의 육체적, 사회적 및 정신적 웰빙 생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신체 활동 및 사회적 상호 작용 그리고 투약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부분의 생활 활동을 추적, 진단,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포괄적 개념의 스마트폰 기반의 시스템이 소개된다.More specifically,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can track, diagnose, and monitor most life activities that can affect physical activity, social interaction, and medication management so as to induce the physical, social and mental well-being of the subject Smartphone-based systems are introduced.

조현병을 앓고 있는 대상자의 경우 대부분 대사장애 증후군을 갖고 있는바, 이 대사장애 증후 정도를 진단한 뒤 치료/경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model that can diagnose the metabolic syndrome and treat / relieve the metabolic disorder syndrom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현병 유무를 진단하고 대사장애 치료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송신되어 저장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에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는 생활패턴분석부; 및 상기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대사장애 유무를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송신하는 대사장애 증상판정부; 를 포함하되,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와 상기 대사장애 증상판정부에 의해 대사장애 증상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대사장애 증후군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of a patient suffering from a chronic illness using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lifestyle improvement app for diagno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tient's epilepsy and treating a metabolic disorder,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to enable the smartphone to perform the functions; A central server in which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is transmitted and stored; A life pattern analyzing unit separately provided in the central server and storing classification scores so as to analyze a user's life patter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metabolic disorder symptom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metabolic disturbanc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ore and transmitting health information to the user. Wherein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n the life pattern analyzing unit of the central server and the metabolic disorder symptom determination unit determine that the metabolic disorder symptom danger level is high The user can manage the metabolic disorder syndrome through the lifestyle improvement app installed in the smartphon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의한다면, 사용자의 조현병 재발 유무를 신속히 진단하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개선시키고,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If a system that maintains a healthy lifestyle of patients with epidemic diseases in conjunction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phon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quickly diagnose whether or not the user's epidemic disease recurred, Various lifestyle habits and health care services can be provided.

또한,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다이어트할 수 있는 여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피드백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웰빙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여러 복합적인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고, 궁극적으로 스스로 생활 패턴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규칙적인 수면과 운동 및 건강한 사회성을 기르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In addition, there is a feedback effect that can provide users with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easily diets through a sensor installed in a smart phone in real time. Through this, a user is provided with various complex guide information for a well- Ultimately, it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life pattern by oneself, and various effects such as regular sleeping, exercise and healthy sociality can be raised.

결국, 조현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대사장애를 진단하고 이를 경감시키는 새로운 모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the e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model for diagnosing and alleviating metabolic disorders in patients suffering from pre-existing disease.

도 1은 본 발명인 조현병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앱의 실제 구동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혈당측정센서기의 일 실시예,
도 4는 사용자의 bpm에 따른 점수의 일 실시예,
도 5는 생활패턴분석부에 저장된 혈당에 관련된 분류점수의 일 실시예,
도 6은 생활패턴분석부에 저장된 혈압에 관련된 분류점수의 일 실시예,
도 7은 점수와 그 증상 정도는 일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이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나타나는 화면,
도 10 내지 도 6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of a patient suffering from an epidemic disease in cooperation with an app installed in a smart phon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that is actually driven by an app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blood glucose measurement sensor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one embodiment of a score according to the user ' s bpm,
FIG. 5 shows an example of classification scores related to blood glucose stored in the life pattern analysis unit,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lassification score related to the blood pressure stored in the life pattern analyzer,
7, the score and the degree of symptom thereof are shown in one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FIG. 9 shows a screen displayed when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 installed in the smartphone is executed,
FIGS. 10 to 64 are view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smartphone when executing a lifestyle habit improving app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ystem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of a patient suffering from an epidemic disease in connection with an app installed in a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앱의 실제 구동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of an epilepsy patient in conjunction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that is actually operated by a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현병을 진단하고 조현병 치료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중앙서버(100), 중앙서버(100)에 별도로 마련된 생활패턴분석부(200), 대사장애 증상판정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app for diagnosing a patient's epidemic disease and providing services for epidemic diseases,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smart phone, a central server 100, A life pattern analyzer 200, and a metabolic disorder symptom determination unit 300.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데스크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를 온라인상으로 수신받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수신기이면 가능하다.The smartpho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rtable terminal or a desktop, and may be any type of information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on-line.

스마트폰은 이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실행한 뒤 사용자가 로그인하고, 사용자가 입력된 정보가 중앙서버(100)로 송신되고, 중앙서버(100)에서 송신된 정보 역시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After the smartphone executes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the user logs in,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server 100 is also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한편, 스마트폰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센서가 설치된다. 이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중앙서버(100)에 전송된 뒤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ensors ar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smart phone so as to acquire the current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and then stored.

이 복수개의 센서는, 사용자의 심박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측정 센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측정 센서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 an electrocardiogram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user's heart rate variation, a blood glucose measuremen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blood sugar of a user, and a bloo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blood pressure of a user.

심전도 센서는 심장 박동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센서에 손을 소정 시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게 된다.The electrocardiogram sensor is used to measure the heartbeat. In some cases, the user touches the sensor installed on the smart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user.

혈당측정 센서는 스마트폰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도 3의 혈당측정센서기로 측정될 수 있다. 즉, 도 3의 혈당측정센서기는 스마트폰과 커넥터로 연결되어 있고, 이 혈당측정센서기에 의해 사용자의 혈당이 측정된 뒤 측정된 혈당은 스마트폰에 전송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sensor can be measured by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sensor of FIG. 3, which can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smartphone. That is,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sensor of FIG. 3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through a connector, and the blood glucose of the user is measured by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sensor, and the measured blood glucose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혈압측정센서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구현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차는 스마트밴드에 내장된 혈압측정센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전송되게 구현될 수 있다. 손목에 찬 스마트밴드가 사용자의 심박수를 기초로 혈압을 측정하고 블루투스 등의 통신매개를 통해 스마트폰에 전송되어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can be implemented to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built in the smart band, which is installed on the wrist of the user, which is implemented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 phone. A smart band on the wrist can measure the blood pressure based on the user's heart rate and transmit it to the smart phone through a communication medium such as Bluetooth to measure the blood pressure of the user.

이상 설명한, 심전도 센서, 혈당측정 센서, 혈압측정 센서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 여부에 불문하고 지속적으로 센싱되어 중앙서버(100)에 전송됨과 동시에 저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cardiogram sensor,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sensor, and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described above are continuously sens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app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is executed, and are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and stored at the same time.

한편, 중앙서버(10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현병 대상자의 대사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병원 내에 설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조현병을 치료하기 위한 전문기관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entral server 100 may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For example, it can be installed in a hospital to treat metabolic disorders of a person suffering from pre-existing disease, and in some cases, it can be installed in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treating pre-existing diseases.

이 중앙서버(100)와 스마트폰은 지속적으로 연동되어 스마트폰과 각종 정보를 서로 공유하게 된다.The central server 100 and the smartphone are continuously interlocked to share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smartphone.

한편, 중앙서버(100)는 별도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는 생활패턴분석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이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 구체적으로는 조현병 대상자의 대사장애 증후군을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송신하는 대사장애 증상판정부(30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central server 100 includes a life pattern analyzer 200, which is provided separately and stores classification scores so that the user's life pattern can be analyzed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includes a metabolic disorder symptom determination unit 300 that determines the metabolic disorder syndrome of the subject, and transmits health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ore.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기간 동안 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하루 동안 또는 실시간으로 평균 bpm(심박수)에 따른 점수가 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score according to the average bpm (heart rate) may be selected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or in real time during a user's day or in real time.

예를 들면, 한 달 동안 사용자의 하루 평균 bpm이 60 이상 90 이하인 경우 10점으로 분류점수가 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user's average daily bpm is 60 or more and less than 90 per month for a month, the classification score can be calculated as 10 points.

물론, 이 분류점수 역시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Of course, this classification score can also be set variously according to the user.

한편, 이 심전도센서에 의한 센싱은 다양한 방법으로 중앙서버(100)에 수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by the electrocardiograph sensor can be collected in the central server 100 by various methods.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중앙서버(100)에서 사용자에게 하루 동안 일정한 시간에 송신하여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라는 메시지를 송신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센서에 손가락을 댄 뒤 그 심전도 결과를 중앙서버(100)에 송신하여 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central server 100 transmits a message to the user at a predetermined time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to send a message to the user to measure the electrocardiogram, finger the user to the sensor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0 to collect the information.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200)에는 혈당에 관련된 분류점수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life pattern analyzer 200 of the central server is provided with classification scores related to blood glucose.

즉,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사용자의 혈당 또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평균 사용자의 혈당 측정값이 70에서 110 사이인 경우, 5점으로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인 경우에는 30점 또는 50점으로 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blood glucose level of the user measured in real time or the average blood glucose level of the average user during the set period may be calculated as 5 points, or 30 points or 50 points when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value is between 70 and 110.

물론, 사용자의 공복과 식후 2시간 혈당수치에 따라 그 분류점수는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고, 이러한 분류점수에 따라 사용자의 대상장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 classification scor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fasting and 2-hour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ore, basic information for judging the degree of the user's disability is acquired.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200)에는 혈압에 관련된 분류점수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life pattern analyzing unit 200 of the central server is provided with classification scores related to blood pressure.

물론, 이 분류점수는 예시를 든 것이며, 사용자의 개인차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Of course, this classification score is an example, and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the user.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혈압 범위 내인 경우 5점으로 산정하였고, 고혈압으로 진행될 수록 그 점수는 상승하게 설정하였다.In general, it was calculated as 5 points within the range of normal blood pressure, and the score was set to increase as the hypertension progressed.

한편,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조현병 유무 또는 조현병 환자의 대사장애 정도를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송신하는 대사장애 증상판정부(30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abolic disorder symptom determination unit 300 includes a metabolic disorder symptom determination unit 300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regnancy disease or a degree of metabolic disturbance in a patient with asthma,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ore, and transmitting health information to the user.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압, 혈당, 심전도 값을 근거로 그 평균값이 도시된 점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정상, 저위험, 중위험, 고위험으로 나눈 뒤 그 결과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그 위험성을 알리고 이하 설명할 앱을 통해 조현병을 앓고 있는 대상자의 대사장애를 치료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when the average value is within the indicated range based on the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and electrocardiogram, the result is divided into normal, low risk, intermediate high risk and high risk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of the user To inform the risk and to induce the treatment of the metabolic disorder of the subject suffering from the disease through the app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물론, 도 7에 도시된 점수와 그 증상 정도는 일 예시를 둔 것이며, 점수 구간과 증상 판단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Of course, the score shown in FIG. 7 and the symptom severity are examples, and it is obvious that the score interval and the symptom judgment can be variously set.

또한,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중앙서버로 전송된 후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200)와 대사장애 증상판정부(300)에 의해 조현병 증상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대사장애를 치료하고 궁극적으로는 조현병을 치료함에 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during the set period, the life pattern analyzer 200 and the metabolic disorder symptom determination unit 300 of the central server determine that the symptom risk level is high , It is used to treat the metabolic disorder of the user through the lifestyle improvement app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nd ultimately to treat the disease.

이를 위해 중앙서버(100)는,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설정된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설정된 횟수만큼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central server 100 performs an alarm function for guiding the user to input the electrocardiogram, blood sugar,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of the current user through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periodically set by the smartphone to the user .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사용자의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하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이 입력창을 통한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user's electrocardiogram, blood sugar,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is displayed when the lifestyle improving app is executed, and the inputt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설정된 기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1개월, 6개월 또는 1년 단위로 상기 설명한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중앙서버(100)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The set period may be variously set,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described above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in units of one month, six months, or one yea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100)는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설정된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앱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생체정보 입력을 유도하는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8, the central server 100 performs an alarm function to induce the user to input biometrics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periodically set by the smart phone.

이러한 알람기능은 문자메세지, 알람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Such an alarm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text message and an alarm call.

이 알람 기능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지역 정신건강 서비스 안내와 함께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 정신건강전문가에게 알람이 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This alarm function can be sent to the user's smartphone, and can be set to alert the nearest family member, friend, or mental health professional with a guide to the local mental health service.

예를 들어 한달 기간 동안 사용자에게 하루에 한번씩 앱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중앙서버(100)에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생체정보입력창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의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되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또는 실제 사용자가 측정한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하게 되면, 그 정보가 중앙서버(100)에 전송된 뒤 저장된다.For example,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through the application once a day for a period of one month. If the biometric information input window shown in FIG. 8 is selected, A blood glucose level, a body weight, and a blood pressure are inputted. When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on a smart phone or an electrocardiogram, a blood sugar, a body weight, and a blood pressure measured by an actual user are input,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And stored.

한편, 상기와 같이 실시간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설정된 기간동안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중앙서버(100)에서 사용자가 현재 조현병이 의심 또는 대상장애 증후군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하 후술할 앱을 통해 대사장애 증후군을 치료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the central server 100 that the user currently has suspicious or target dysfunction syndrome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in real time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set period, It is characterized by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through an app to be described later.

도 9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사용자의 웰빙식을 유도하는 웰빙식 입력창과, 사용자의 금연을 유도하는 금연 입력창과, 사용자의 음주습관을 교정하는 음주교정 입력창과,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스트레스 조절 입력창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입력창이 도시되어 있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a well-being expression input window for inducing a user's well-being expression, a non-smoking input window for inducing smoking of the user, a drinking correction input window for correcting the drinking habits of the user, There is shown an input window for improving the lifestyle of a user including a stress control input window capable of reducing stress.

이때, 사용자가 도 9의 웰빙식 입력창의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입력창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well-being expression input window of FIG. 9, the following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장, 체중 및 사용자의 하루 식단,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현재 생활패턴과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0 to 12,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that can infer the present life pattern of the user including the user's height, weight and daily diet, the activity amount of the user, and the health state of the current user is displayed .

이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의 하루 식단, 활동량 등을 입력하게 되면 그 정보가 중앙서버에 전송되고 저장된다.When the user inputs the daily diet and activity amount through the input window,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and stored.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상적인 칼로리와 현재 사용자의 식단 칼로리를 비교하는 표가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3, a table for comparing the calorie of the user with the calorie of the present user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martphone's app.

이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뒤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운동량, 식사속도, 식습관, 혈압, 혈당 및 사용자의 하루 물 마시는 습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After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the central server transmits a medical questionnaire which can input the user's exercise amount, meal speed, eating habit, blood pressure,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

즉, 도 14에는 사용자의 운동량, 도 15에는 사용자의 식사속도, 도 16에는 사용자의 식습관, 도 17에는 사용자의 혈압,혈당을, 도 18에는 사용자의 하루 물 마시는 습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14 shows a user's exercise amount, FIG. 15 shows a user's meal speed, FIG. 16 shows a user's eating habits, FIG. 17 shows a user's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and FIG. 18 shows a questionnaire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

또한, 이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웰빙식 요리 정보와 목표 칼로리 정보 및 성별 추천 식단과 칼로리별 추천 식단 정보를 포함하는 웰빙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estyle modification improving app provides the user with well-being cooking information, target calorie information, and well-being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gender-recommended diet and calorie-recommended diet information.

즉 도 19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현병 대상자의 대사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9 to FIG. 25, a variety of information aiming at weight los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so as to overcome the metabolic disorder of the subject.

또한, 중앙서버는, 이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식단 칼로리별 대체할 수 있는 식품군과 식품군별 열량 및 식품별 교환 단위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is provided with a food group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 user's dietary calorie by this lifestyle improvement app, and a calorie quantity per food group and an exchange unit quantity per food.

즉,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식단 칼로리별 대체할 수 있는 식품군과 식품군별 열량 및 식품별 교환 단위량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칼로리는 유지하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식품군을 소개함에 그 특징이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6 to FIG. 27, a variety of food groups capable of maintaining calories while maintaining calories are provided by providing food groups, food groups, and exchange unit quantities that can be substituted by the user's calorie diets There is a feature in the box.

한편, 금연 입력창 선택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흡연기간, 하루에 피는 담배 갯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현재 생활패턴과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selecting the smoking-cessation input window,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that can infer the current life pattern of the user including the smoking period of the user and the number of cigarettes to be bloomed per day and the health state of the current user is displayed .

이때,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된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중앙서버(100)는,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금연시 금연 시작 일과 금연 시작 시간, 사용자의 흡연습관, 사용자의 건강상태만족도, 사용자의 니코틴의존도를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29 to 34, the central server 100 may include a questionnaire that can input a user's smoking cessation start date, a smoking cessation start time, a smoking habit of a user, a user's health condition satisfaction, and a user's nicotine dependency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

또한, 중앙서버(100)는 도 35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성공적인 금연을 위한 정보와 금연시 사용자에게 기대되는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금연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5 to 38,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for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and smoking cessation information including body information expected to the user in quitting smoking through the lifestyle improvement app. .

한편,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주습관을 교정하는 음주교정 입력창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성별, 직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9, when a drill correction input window for correcting a drinking habit of a user is selected,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ncluding a sex and a job of the user is displayed.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되는데 이 중앙서버(100)는 도 40 내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주 습관, 음주량, 음주 가치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As shown in FIG. 40 to FIG. 42, the central server 100 inputs the user's drinking habit, To the user through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

다시 중앙서버(100)는 상기 문진표의 결과를 전송받게 되고,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도 43 내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음주십계, 건전음주원, 술자리약속을 표시할 수 있는 달력창, 건강한 음주시 사용자에게 기대되는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server 100 receive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o the user through the lifestyle improvement app, as shown in FIG. 43 to FIG. 47, by using a calendar capable of displaying healthy drinking counseling, And provides physical information expected to the user in a window and healthy drinking.

한편,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스트레스 조절 입력창 선택시, 사용자의 성별, 직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8,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ncluding a sex and a job of the user is displayed when the stress control input window is selected to reduce the stress of the user.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된 뒤 상기 중앙서버(100)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설문지가 도 49 내지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고,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설문지의 입력창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측정결과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After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100, a plurality of questionnaires are displayed in FIGS. 49 to 58 so that the user can measure the degree of stress of the user. As shown in FIG. 59, a measurement result indicating the degree of stres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window of the plurality of questionnaires is provided to the user.

중앙서버(100)는 도 60 내지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치유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0 to 64, the central server 100 provides information for healing stress to the user through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

상기와 같은 앱 실행을 통해 사용자의 조현병 혹은 대사장애 증후군은 점차 치유될 수 있으며, 이 앱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 병원에 내방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조현병을 앓고 있는 대상자의 대사장애 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application execution, the user's epilepsy syndrome or metabolic syndrome can be gradually healed, and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metabolic syndrome of a person suffering from epilepsy even if the user does not visit the actual hospital And so on.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의한다면, 사용자의 조현병 재발 유무를 신속히 진단하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개선시키고,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In addition, if the system is configured to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of a patient with an epidemic disease in conjunction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quickly diagnose the epidemic of the epidemic, The user's lifestyle can be improved, and health care services can be provided.

그리고,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다이어트할 수 있는 여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피드백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웰빙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여러 복합적인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고, 궁극적으로 스스로 생활 패턴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규칙적인 수면과 운동 및 건강한 사회성을 기르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In addition, there is a feedback effect that enables users to easily provide diverse information through a sensor installed on a smart phone in real time. Through this, a user is provided with various complex guide information for a well- Ultimately, it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life pattern by oneself, and various effects such as regular sleeping, exercise and healthy sociality can be raised.

결국, 조현병을 앓고 있는 대상자의 대사장애 정도를 감지하여 미리 예방하거나 이를 치료하여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model which can detect the degree of metabolic disturbance of a subject suffering from an epidemic disease and prevent or prevent the metabolic disorder, thereby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Claims (9)

사용자의 조현병 유무를 진단하고 대사장애 치료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송신되어 저장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에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점수가 기저장되어 있는 생활패턴분석부; 및
상기 분류점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대사장애 유무를 판단한 뒤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송신하는 대사장애 증상판정부; 를 포함하되,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중앙서버의 생활패턴분석부와 상기 대사장애 증상판정부에 의해 대사장애 증상 위험 수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대사장애 증후군을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A system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of a patient suffering from a chronic illness using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lifestyle improvement app for diagno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
A plurality of sensors provided on the smartphone so as to acquire current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 central server in which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is transmitted and stored;
A life pattern analyzing unit separately provided in the central server and storing classification scores so as to analyze a user's life patter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metabolic disorder symptom judgment unit for judg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tabolic disturbance of the use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ore and transmitting health information to the user; , ≪ / RTI &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metabolic distress symptom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metabolic disorder symptom risk level is high, A system that maintains a healthy lifestyle for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in conjunction with an app installed on a smart phone, characterized by treating the metabolic syndrome of the user through lifestyle improvement apps installed in the ph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사용자의 심박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측정 센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ensors comprises:
An electrocardiogram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user's heart rate variation,
A blood glucose measuring sensor capable of measuring blood glucose of a user,
And a blood pressure measuring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blood pressure of a user, and a system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of a patient suffering from an abnormal condition in connection with an app installed in a smart phon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설정된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사용자의 심전도, 혈당, 체중 및 혈압을 입력하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입력창을 통한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entral server comprises:
And an alarm function for guiding the user to input the electrocardiogram, blood sugar,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of the current user through the lifestyle habit improving app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periodically set by the smartphone to the user,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user's electrocardiogram, blood sugar,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is displayed when the lifestyle habit improving app is executed, and the inputt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A system that maintains a healthy lifestyle for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in conjunction with installed app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활습관 개선 앱 실행시,
사용자의 웰빙식을 유도하는 웰빙식 입력창과,
사용자의 금연을 유도하는 금연 입력창과,
사용자의 음주습관을 교정하는 음주교정 입력창과,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스트레스 조절 입력창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lifestyle improvement app installed in the smartphone is executed,
A well-being expression input window for guiding the user's well-being expression,
A non-smoking input window for inducing smoking of a user,
A drinking correction input window for correcting the user's drinking habits,
And an input window for improving a lifestyle of a user including a stress control input window for reducing a user's stres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웰빙식 입력창의 선택시,
사용자의 신장, 체중 및 사용자의 하루 식단, 사용자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현재 생활패턴과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뒤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운동량, 식사속도, 식습관, 혈압, 혈당 및 사용자의 하루 물 마시는 습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웰빙식 요리 정보와 목표 칼로리 정보 및 성별 추천 식단과 칼로리별 추천 식단 정보를 포함하는 웰빙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Upon selection of the well-being expression input window,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displaying a current life pattern of a user including a user's height, a weight, a daily diet of a user, and an activity amount of a user and a health state of a current user is displayed,
After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the central server displays a questionnaire table for inputting the user's exercise amount, meal speed, eating habit, blood pressure, blood sugar, To the user through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
And provides the well-being type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the well-being type cooking information, the target calorie information, the gender recommendation type diet, and the recommended calorie-based diet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lifestyle improving app. A system that maintains a healthy lifestyle for the sick patien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의 식단 칼로리별 대체할 수 있는 식품군과 식품군별 열량 및 식품별 교환 단위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central server comprises:
The above-mentioned lifestyle-improving app provides a food group that can be replaced by the user's calorie calorie, a calorie quantity per food group, and an exchange unit quantity per food, and a healthy lifestyle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금연 입력창 선택시,
사용자의 흡연기간, 하루에 피는 담배 갯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현재 생활패턴과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뒤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금연시 금연 시작 일과 금연 시작 시간, 사용자의 흡연습관, 사용자의 건강상태만족도, 사용자의 니코틴의존도를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성공적인 금연을 위한 정보와 금연시 사용자에게 기대되는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금연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Upon selection of the smoking cessation input window,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displaying the current life pattern of the user including the smoking period of the user and the number of cigarettes to be bloomed per day and the health state of the current user is displayed,
After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the central server transmits the user's smoking cessation start date and smoking cessation start time, the user's smoking habit, the user's health status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table for inputting the dependency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information for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and the smok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body information expected from the user in the smoking cessation through the lifestyle habit improving app. A system that maintains style.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주습관을 교정하는 음주교정 입력창 선택시,
사용자의 성별, 직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뒤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음주 습관, 음주량, 음주 가치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진표를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건전음주십계, 건전음주원, 술자리약속을 표시할 수 있는 달력창, 건강한 음주시 사용자에게 기대되는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n selecting the drinking correction input window for correcting the user's drinking habits,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ncluding a user's sex and occupation is displayed,
After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the central server transmits a questionnaire to the user through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lication, which can input the drinking habit,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Provide,
An app installed on a smartphone, which provides a user with a health calendar, a calendar window for displaying a healthy drinking session, a healthy drinking circle, A system that maintains a healthy lifestyle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스트레스 조절 입력창 선택시,
사용자의 성별, 직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개인정보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된 뒤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설문지, 상기 복수개의 설문지의 입력창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측정결과치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생활습관 개선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치유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조현병 환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n a stress control input window is selected to reduce stress of the user,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ncluding a user's sex and occupation is displayed,
After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the central server includes a plurality of questionnaires so that the user can measure the degree of stress of the user, A measurement result indicating a degree of stress is provided to a user,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healing stress to the user through the lifestyle habit improvement app. The system maintains a healthy lifestyle of a patient suffering from an epidemic disease in conjunction with an app installed in a smartphone.
KR1020170121568A 2017-09-21 2017-09-21 System for healthy lifesty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KR1019896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568A KR101989684B1 (en) 2017-09-21 2017-09-21 System for healthy lifesty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PCT/KR2018/007155 WO2019059500A1 (en) 2017-09-21 2018-06-25 System for maintaining healthy lifestyle for patient with schizophrenia in conjunction with app installed in smart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568A KR101989684B1 (en) 2017-09-21 2017-09-21 System for healthy lifesty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45A true KR20190033145A (en) 2019-03-29
KR101989684B1 KR101989684B1 (en) 2019-06-14

Family

ID=6581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568A KR101989684B1 (en) 2017-09-21 2017-09-21 System for healthy lifesty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9684B1 (en)
WO (1) WO2019059500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015A (en) * 2012-06-18 2013-12-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diabetes-related medical information
KR20140000389A (en) * 2012-06-22 2014-01-03 주식회사 케이티 Psychometric apparatus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ntal health included in management system for mental health
KR20140018754A (en) 2012-08-03 2014-02-13 (주)헬스웨이브 Patient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697A (en) * 2000-05-23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staying health and its program
KR101671778B1 (en) * 2014-08-06 2016-11-02 주식회사 브로멜리아드 A SYSTEM FOR HEALTH CARE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KR20160139802A (en) * 2015-05-28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015A (en) * 2012-06-18 2013-12-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diabetes-related medical information
KR20140000389A (en) * 2012-06-22 2014-01-03 주식회사 케이티 Psychometric apparatus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ntal health included in management system for mental health
KR20140018754A (en) 2012-08-03 2014-02-13 (주)헬스웨이브 Patient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684B1 (en) 2019-06-14
WO2019059500A1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10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quantifying and predicting smoking behavior
US89797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havioural therapy for insomnia
FI124367B (en) Procedures and systems for mapping a person's physiological state
WO2017040333A1 (en) Visualizing, scoring, recording, and analyzing sleep data and hypnograms
US201102019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Patient Health Problems and Providing Timely Intervention
Penders et al. Wearable sensors for healthier pregnancies
JP2023076739A (en) System and method for quantizing and predicting smoking action
US20090170056A1 (en) Method, mediu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 in remote monitoring system
US2018011046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llness- and/or therapy-related fatigue of a person
JP2016131604A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method
Juarascio et al. Momentary changes in heart rate variability can detect risk for emotional eating episodes
WO2019004833A1 (en) Prediction of mood and associated outcomes based on correlation of autonomous and endocrine parameters
CN111820879A (en) Health evaluation management method suitable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JP2014039586A (en) Sleep improvement support device
JP2018175488A (en) Health support device, health support system, health support method, and program of health support device
JP2017010478A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system of disease risk based on lifestyle habit
KR101989684B1 (en) System for healthy lifesty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using application on smart device
KR101252654B1 (en) Health care method for self-diagnosis
Fernandes et al. Home Noninvasive Ventilation: Lung Function Tests and Telemedicine
Marques et al. Respiratory management in daily life: needs and gaps
JP2023041879A (en) Intervention system for lifestyle impr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