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942A - Method for controlling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942A
KR20190032942A KR1020170121410A KR20170121410A KR20190032942A KR 20190032942 A KR20190032942 A KR 20190032942A KR 1020170121410 A KR1020170121410 A KR 1020170121410A KR 20170121410 A KR20170121410 A KR 20170121410A KR 20190032942 A KR20190032942 A KR 20190032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height
link
van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4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8040B1 (en
Inventor
엄민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040B1/en
Publication of KR2019003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actuating a compressor (S10); a step of determining an operation time of the compressor (S20); a step of, when the step S20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level of condensate is a first height (H1) or more, through a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a condensate storage unit (S30); a step of, when the step S30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is a second height (H2), which is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or more,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S40); a step of, when the step S40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is a third height (H3), which is higher than the second height, or more,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S60); a step of, when the step S60 is satisfied, turning off the compressor (S70); and a step of, when the step S60 is satisfied, operating a drain pump to form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at less than the first height.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in multiple stages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and can determine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according to a detection time for which the condensate is raised from water level A to water level B.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type indoor unit installed in a ceiling of an indoor uni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d an inflator, and supplies air or warm air to a building or a room using an air conditioning cycle.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The air conditioner is structurally divided into a separable type in which the compressor is disposed outdoors and an integral type in which the compressor is integrally manufactured.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In the separate type, an indoor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an indoor unit,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re installed in an outdoor unit, and two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In the integrated type,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compressor are installed in one case. The integrated 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for directly mounting the apparatus on a window, and a duct type air conditioner for connecting the suction duct and the discharge duct to the outside of the room.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s gener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type of the indoor unit.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실내기라 한다. A stand-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door unit is vertically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is referred to a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door unit is installed on a wall of the room is called a ceiling-type indoor unit.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한 종류로서, 복수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어컨이 있다. There is also a system air conditioner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air-conditioned air in a plurality of spaces as one type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여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타입과, 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타입이 있다. In the case of a system air conditioner, there is a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provided to air-condition the room, and a type in which air-conditioned air is supplied to each space through the duct.

시스템에어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실내기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등 어느 것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A plurality of indoor units provided in the system air conditioner may be equipped with a stand type, a wall type or a ceiling type.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실내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케이스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ceiling-type indoor uni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can be stored inside the case.

종래의 천장형 실내기에 설치되는 드레인펌프는 플로트센서를 사용하고 응축수가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소음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drain pump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ceiling-type indoor unit uses a float sensor and operates the drain pump when the condensed water is at a certain water level or higher, so that noise is frequently generated.

특히, 종래 플로트센서를 사용하는 드레인펌프가 펌프의 끝단과 응축수 표면이 맞닿을 때 작동되는 경우, 최초 흡입소음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when the drain pump using the conventional float sensor is operated when the end of the pump and the surface of the condensed wat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suction noise is excessively generat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9838 B1Korea Patent No. 10-0679838 B1

본 발명은 드레인펌프의 작동 시 응축수 흡입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inimizing condensate suction noise during operation of a drain pump.

본 발명은 응축수의 생성속도에 따라 드레임펌프의 구동률을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that adjusts a driving rate of a drain pump according to the generation rate of condensed water.

본 발명은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압축기를 정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topping a compressor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densed wat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응축수가 제 1 높이에서 제 2 높이까지 상승되는 시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실내기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ime the condensed water rises from the first height to the second height, and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umidity of the space in which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본 발명은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H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상기 제 2 높이보다 큰 3 높이(H3)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오프하는 단계(S7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운전시켜 상기 제 1 높이 미만으로 형성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compressor, comprising: (S10) starting a compressor; Determining an operation time of the compressor (S20);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height H1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when the step S20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height (H2) larger than the first height (S40)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when the step S30 is satisfied; If the step S40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ird height H3 greater than the second height S60. Closing the compressor (S70) if the step S60 is satisfied; When the step S60 is satisfied, the drain pump is operated to form the drain pump below the first height (S80).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오프하거나 오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If the step S30 is satisfied, the drain pump can be turned off or kept off.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4 구동률로 운전시킬 수 있다. If the step S60 is not satisfied, the drain pump can be operated at the fourth drive ratio.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 1 높이에서 상기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 감지시간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할 수 있다. If the step S40 is unsatisfied,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nsing time at which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from the first height.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킬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first sensing time, if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first sensing time, Determines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a second height (H2) during a second sensing time longer than the first sensing time, drives the drain pump at a first driving rate, The drain pump can be driven at the second driving rate.

상기 제 1 구동률이 상기 제 2 구동률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The first drive ratio may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drive ratio.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2 감지시간보다 긴 제 3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3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3 구동률로 구동시킬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first sensing time, if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first sensing time, Determines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a second height (H2) during a second sensing time longer than the first sensing time, drives the drain pump at a first driving rate, The drain pump is driven at the second drive ratio o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third sensing time longer than the second sensing time 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third sensing time, the drain pump can be driven at the third driving rate.

상기 제 1 구동률이 상기 제 2 구동률보다 크고, 상기 제 2 구동률이 상기 제 3 구동률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The first drive ratio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drive ratio, and the second drive ratio may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third drive ratio.

본 발명은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H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 1 높이에서 상기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 감지시간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compressor, comprising: (S10) starting a compressor; Determining an operation time of the compressor (S20);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height H1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when the step S20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height (H2) larger than the first height (S40)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when the step S30 is satisfied; If the step S40 is unsatisfied,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nsing time at which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from the first height.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킬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first sensing time, if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first sensing time, Determines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a second height (H2) during a second sensing time longer than the first sensing time, drives the drain pump at a first driving rate, The drain pump can be driven at the second driving rat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indoor unit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를 다단 감지하고, 수위레벨 A에서 수위레벨 B까지 응축수가 상승되는 감지시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sensed at multiple stages through the level sensor, and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nsing time when the condensed water rises from the level A to the level B.

둘째, 본 발명은 응축수의 생성속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강, 중, 약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can be driven with high, medium, and low according to the generation rate of the condensed water.

셋째, 본 발명은 압축기의 초기기동 시, 수위레벨 A, 수위레벨 B, 수위레벨 C가 모두 감지되는 경우, 응축수의 수위넘침 위험구간으로 판단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when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A, the level B, and the level C of the water level are detect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compressor,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ensation water is overflowing dangerous period and the compressor is stopped.

넷째, 본 발명은 압축기의 초기 기동 시, 판단된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실내기의 운전이 정지될 때까지 계속 적용하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determin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compressor is continuously applied until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is stopp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레인패널의 저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응축수저장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외선살균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외선살균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윈도우커버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다른 각도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작동 예시도들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작동 예시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anel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ortion shown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ltraviolet sterilizing apparatus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ltraviolet sterilizing apparatus shown in Fig.
7 is an inner perspective view of the window cover shown in Fig.
FIG. 8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vane shown in FIG. 1; FIG.
FIG. 9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angle of the discharge vane shown in FIG. 1; FIG.
10 is a plan view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link shown in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13 is an operational example of the joint link shown in Fig. 11. Fig.
Fig. 1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discharge vane shown i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densed water dischar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condensed water dischar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Referring to FIG.

<실내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unit>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송풍팬(140)을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se 100 having a suction port 101 and a discharge port 102, an indoor heat exchanger 130 disposed inside the case 100, And an indoor air blowing fan 140 for flowing air to the air inlet 101 and the air outlet 102.

<케이스의 구성><Configuration of Cas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실내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케이스하우징(110)과,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개구된 면을 커버하고 실내에 노출되며,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커버패널(120)과, 상기 케이스하우징(110) 및 커버패널(120) 사이에 배치되고, 실내열교환기(130)가 거치되는 드레인패널(150)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e 100 includes a case housing 110 fixed to a ceiling of a room and open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a case cover 110 covering the opened face of the case housing 110, And a drain panel 150 disposed between the case housing 110 and the cover panel 120 and on which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mounted do.

상기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커버패널(120)은 케이스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작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The cover panel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housing 110 and may be formed with an open upper side. The case 100 may be variously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ion mod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100 does not limi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입구(101)가 커버패널(12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의 개수 또는 토출구(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1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The suction port 101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panel 120 and the discharge port 102 is disposed around the suction port 101. The number of the suction ports 101 or the number of the discharge ports 102 is irrelevant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one suction port 101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ports 102 are arrang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각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port 10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bottom, and the discharge port 102 is spaced apart from the edges of the suction port 10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커버패널(120)은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는 흡입그릴(1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그릴(122)은 상기 커버패널(12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cover panel 120 further includes a suction grill 122 covering the suction port 101. The suction grill 122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cover panel 120. [

상기 흡입그릴(122)의 상측에 프리필터(124)가 배치되고, 상기 프리필터(124)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A pre-filter 124 is disposed above the suction grill 122, and the pre-filter 124 filters air sucked into the case 100.

상기 토출구(102)는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개폐하는 토출베인(200)이 배치된다. The discharge port 102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slit, and a discharge vane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102 is disposed.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densed water dischar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드레인패널의 구성><Configuration of drain panel>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패널(150)은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패널(120)은 상기 드레인패널(150)에 고정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panel 150 is fixed to the case housing 110, and the cover panel 120 is fixed to the drain panel 150.

상기 드레인패널(150)의 상측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30) 및 실내송풍팬(140)이 배치된다. 특히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드레인패널(150)에 거치되어 지지된다.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indoor ventilation fan (140) are disposed above the drain panel (150). Particularly,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mounted on the drain panel 150 and supported.

상기 드레인패널(150)은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는 패널흡입구(151) 및 토출구(102)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52)가 형성된 패널바디(170)와, 상기 패널바디(170)에 형성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30)가 거치되는 거치부(154)와, 상기 거치부(154)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154)의 응축수를 모아 저장하는 응축수저장부(160)와,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에 배치되고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응축수배수장치(300)를 포함한다. The drain panel 150 includes a panel body 170 having a panel suction port 151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101 and a panel discharge port 152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102, A condenser 154 for condensing the condensed water in the condenser 154 and a condenser 154 for condensing the condensed water in the condenser 154, And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300 for pumping and discharging the stored condensate water.

상기 실내기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와 접하는 상기 패널바디(170)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에 저장된 응축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응축수를 살균하는 자외선발생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further includes an ultraviolet ray generator 180 disposed in the panel body 170 in contact with the condensate storage unit 160 and sterilizing the condensed water by irradiating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condensate storage unit 160 with ultraviolet rays can do.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상기 패널바디(170)와 일체로 제작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6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anel body 17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패널(15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드레인패널(150)의 평면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panel 15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a plan view.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ain panel 150 may have various planar shapes.

상기 패널흡입구(151)의 하측에 상기 흡입구(101)가 배치된다. 상기 패널토출구(152)의 하측에 상기 토출구(102)가 배치된다.The suction port 101 is disposed below the panel suction port 151. The discharge port (102) is disposed below the panel discharge port (152).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102) 및 패널토출구(152)는 각 측부에 배치되는 바 4개소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 (102) and the panel discharge port (152) are formed at four locations on each side.

상기 패널토출구(152)는 상기 패널흡입구(151)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흡입구(151)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The panel discharge port 152 is disposed at the edge of the panel suction port 151, and a plurality of the panel discharge port 152 are disposed along the panel suction port 151.

상기 패널바디(170)에 상기 패널흡입구(151) 및 패널토출구(152)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바디(170)는 상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The panel suction port 151 and the panel discharge port 152 are formed in the panel body 170. The panel body 170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thickness.

상기 거치부(154)는 패널바디(170)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154) 내측에는 상기 거치공간(155)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공간(155)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하단이 삽입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거치공간(155)에 삽입되고, 상기 거치부(154)에 거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거치부(154)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드레인패널(150)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154 is recessed downwardly of the panel body 170. The mounting space 155 is form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154 and the lower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155.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155 and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54 and supported.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may be fastened to the drain panel 150 while being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54.

상기 거치부(154)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패널흡입구(151)를 감싸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mounting portion 154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surrounds the panel suction port 151 when seen in plan view.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거치부(154)에 삽입되고, 수직하게 세워진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거치부(154)의 평면 형상을 따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54 and vertically installed.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a plane along the plane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154).

상기 거치부(154) 내부에는 응축수를 응축수저장부(160)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는 상기 거치부(154)로 흘려내린다. 상기 거치부(154)의 응축수는 상기 거치부(154)의 경사를 따라 상기 응축수저장부(160) 측으로 유동된다. A slope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is formed in the mounting part 154.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flows down to the mounting portion (154). The condensed water of the mounting portion 154 flows toward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ortion 160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54.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상기 패널바디(170)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상기 거치부(154)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54)의 응축수를 제공받는다.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body 170.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ounting part 154 and is provided with condensed water of the mounting part 154.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저면(161)은 상기 거치공간(155)의 저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54)의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로 유동된다. The bottom surface 161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is form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55 and the water of the mounting part 154 flows to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by its own weight.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상기 드레인패널(150)에 다수개소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1개소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2개의 패널토출구(152) 사이에 위치된다.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60 may be dispos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drain panel 150, but only one location i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panel discharge openings 152.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상면(164)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The upper surface 164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is opened.

상기 응축수배수장치(300)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 저면(161)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배수장치(300)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면(161)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응축수배수장치(300)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응축수를 흡입한 후,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 The condensed water drainage device 300 may be disposed above or below the bottom surface 161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ensate drain apparatus 300 is disposed inside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60 and positioned above the bottom surface 161. The condensed water drainage device 300 may drain the condensed water from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after sucking the condensed wate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면(161)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드레인펌프 설치부(163)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 drain pump mounting portion 163 formed to be downwardly concave from the bottom surface 161 is formed.

상기 드레인펌프 설치부(163)는 상기 저면(161) 보다 낮게 위치된다. The drain pump mounting portion 163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161.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내측면(165)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구된 내측면(165)을 통해 상기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다.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is formed by opening the inner side surface 165. The condensed water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opened inner side 165.

상기 내측면(165)의 전방 측에 다수개의 돌기(166)가 배치되고, 상기 돌기(166)는 패널바디(17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protrusions 166 ar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ner side surface 165 and the protrusions 166 protrude upward from the panel body 170.

상기 다수개의 돌기(166)들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내측면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6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ortion 160.

상기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돌기(166)들 사이에 걸리게 된다.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ndensed water are caught between the protrusions 166.

한편,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와 접하는 위치에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가 배치된다. The ultraviolet ray generator 180 is dispos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응축수배수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condensate drainage device>

상기 응축수배수장치(3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고, 응축수를 펌핑하는 드레인펌프(31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고, 응축수저장부(160)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320)를 포함한다.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300 includes a drain pump 310 installed in the case 100 for pumping condensate water and a drain pump 310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for condensing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condensate storage unit 160 And a water level sensor 320 for sensing the water level.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펌프(310) 및 수위센서(320)는 드레인패널(150)에 설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ain pump 310 and the water level sensor 320 are installed in the drain panel 150.

상기 드레인펌프(310)는 응축수가 흡입되는 펌프흡입구(311)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흡입구(311)는 응축수저장부(160) 내에 위치된다. 상기 펌프흡입구(311)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저면(161) 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drain pump 310 is provided with a pump suction port 311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is sucked. The pump inlet 311 is located in the condensate storage 160. The pump suction port 311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161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60.

상기 드레인펌프(310)는 DC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DC 모터는 운전률을 조절할 수 있다. The drain pump 310 uses a DC motor. The DC motor can control the operation rat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면(161) 및 펌프흡입구(311) 사이는 소정간격(S) 이격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161 and the pump suction port 3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센서(320)는 플로트센서가 아닌 디지털수위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디지털수위센서는 응축수의 수위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evel sensor 320 is a digital level sensor other than a float sensor. The digital water level sensor can sense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수위센서는 3단계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지털수위센서는 제 1 감지부(321), 제 2 감지부(322) 및 제 3 감지부(323)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gital level sensor senses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n three stages. To this end, the digital level sensor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321, a second sensing unit 322, and a third sensing unit 323.

상기 제 1 감지부(321), 제 2 감지부(322) 및 제 3 감지부(323)는 서로 다른 높이의 수위를 감지한다. The first sensing unit 321, the second sensing unit 322, and the third sensing unit 323 sense the level of water at different heights.

상기 제 1 감지부(321), 제 2 감지부(322) 및 제 3 감지부(323)는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비접촉 방식으로 수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와 직접 접촉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접촉 방식이 사용된다. The first sensing unit 321, the second sensing unit 322, and the third sensing unit 323 may sense the water level in a non-contact manner that senses the capacitance of the condensed water. In this embodiment, a contact method which directly contacts the condensed water to sense the water level is used.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감지부(321)에서 제 3 감지부(323)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되고, 제 1 감지부(321)가 저수위의 응축수를 감지하고, 제 2 감지부(322)가 중수위의 응축수를 감지하고, 제 3 감지부(323)이 고수위의 응축수를 감지한다. The first sensing unit 321 senses condensed water at a low level and the second sensing unit 322 senses condensed water at a low level. And the third sensing unit 323 senses the high-level condensed water.

상기 제 1 감지부(321), 제 2 감지부(322) 및 제 3 감지부(323)는 모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감지부(321)의 끝단이 가장 낮게 위치되고, 제 3 감지부(323)의 끝단이 가장 높게 위치된다. The first sensing unit 321, the second sensing unit 322 and the third sensing unit 323 are all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nd of the first sensing unit 321 is positioned at the lowest position. The end of the portion 323 is positioned at the highest position.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저면(161)부터 상기 제 1 감지부(321)의 하측단까지의 높이를 제 1 감지높이(H1)로 정의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저면(161)부터 상기 제 2 감지부(322)의 하측단까지의 높이를 제 2 감지높이(H2)로 정의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저면(161)부터 상기 제 3 감지부(323)의 하측단까지의 높이를 제 3 감지높이(H3)로 정의한다.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161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ensing part 321 is defined as the first sensing height H1 and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161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The height of the second sensing unit 322 from the bottom surface 161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60 to the second sensing height H2 of the third sensing unit 323, And the height to the lower end is defined as the third sensing height H3.

상기 제 1 감지높이(H1)는 상기 펌프흡입구(311)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펌프흡입구(311) 및 제 1 감지높이(H1)는 소정간격(G)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흡입구(311) 및 제 1 감지높이(H1)는 3mm 이격된다. The first sensing height H1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pump inlet 311. The pump inlet 311 and the first sensing height H1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gap G. [ In this embodiment, the pump inlet 311 and the first sensing height H1 are separated by 3 mm.

상기 소정간격(G)은 상기 펌프흡입구(311)의 흡입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설정된다. 상기 펌프흡입구(311)와 응축수의 표면이 맞닿는 경우, 응축수의 흡입과정에서 다량의 공기가 드레인펌프(3310)로 흡입되면서 흡입소음이 발생된다. The predetermined gap G is set in order to reduce suction noise of the pump suction port 311. When the pump suction port 311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ndensed water, a large amount of air is sucked into the drain pump 3310 during suction of the condensed water, thereby generating suction noise.

상기 펌프흡입구(311)가 응축수에 잠긴상태에서,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구동하여 공기가 상기 펌프흡입구(311)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흡입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e drain pump 310 is driven to block the suction of air into the pump suction port 311 in a state in which the pump suction port 311 is immersed in condensed water, thereby minimizing suction noise.

상기 소정간격(G)은 응축수의 표면장력을 고려한 높이다. The predetermined gap G is height considering the surface tension of the condensed water.

<자외선발생장치의 구성>&Lt; Configuration of ultraviolet ray generator >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는 패널바디(170)에 조립된다.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의 적어도 1면은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에 저장되는 응축수와 직접 접촉되게 배치된다. The ultraviolet ray generator 180 is assembled to the panel body 170. At least one surface of the ultraviolet ray generator 180 is disposed to face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The ultraviolet ray generator 180 is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condensate storage 160.

상기 패널바디(170)에는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가 설치되는 설치홈(175)이 형성된다.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는 상기 설치홈(175)에 삽입되고, 상기 패널(170)와 결합된다. The panel body 170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groove 175 in which the ultraviolet ray generator 180 is installed. The ultraviolet ray generator 18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75 and is coupled to the panel 170.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는 상기 패널바디(170)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홈(175)을 차폐시키는 하우징(182)과, 상기 설치홈(175) 내부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램프(184)와, 상기 하우징(182)에 배치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자외선램프(184)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윈도우(186)를 포함한다. The ultraviolet ray generator 180 includes a housing 182 coupled to the panel body 170 to shield the installation groove 175 and an ultraviolet lamp 190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75 for generating ultraviolet rays And a window 186 disposed in the housing 182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ransmitting ultraviolet rays generated from the ultraviolet lamp 184. [

상기 하우징(182)은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하우징(182)은 전체면이 밀폐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홈(175)과 결합될 때, 상기 설치홈(175)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커버형태로 제작된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182 is exposed to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The housing 182 may be formed in a closed form in its entirety.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fitted to the mounting groove 175, the mounting groove 175 is formed in a cover shape so as to close the mounting groove 175.

상기 설치홈(175)은 상측면 및 응축수저장부(160)와 접하는 면(본 실시예에서는 설치홈의 정면이라 정의한다.)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The mounting groove 175 is formed by open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surface contacting with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ortion 160 (defined as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in this embodiment).

상기 하우징(182)은 상부커버(181) 및 정면커버(18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81)는 밀폐되게 형성된다. 상기 정면커버(183)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홀(185)이 형성된다. 상기 투과홀(185)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를 향하게 배치된다. The housing 182 is composed of an upper cover 181 and a front cover 183. The upper cover 181 is formed to be hermetically sealed.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cover 183 is formed with a transmission hole 185. The through hole 185 is disposed toward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상기 투과홀(185)을 통해 상기 설치홈(175) 내부로 응축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윈도우(186) 가장자리는 패킹 또는 실링될 수 있다. The edge of the window 186 may be packed or sealed to prevent condensate from penetrating into the mounting groove 175 through the through hole 185.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186)를 통해 상기 투과홀(185)이 밀폐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투과홀(185)은 개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ssion hole 185 is sealed through the window 186, bu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mission hole 185 can be opened.

상기 응축수가 하우징(182)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정도의 단을 형성할 경우, 상기 투과홀(185)에 윈도우(186)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186)를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182) 내부로 먼지, 응추수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When the condensed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housing 182,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window 186 in the through hole 185. In this embodiment, a window 186 is provided to block the entry of dust, condensate, and moisture into the housing 182.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구성은 윈도우(186)를 통해 상기 투과홀(185)을 차폐시키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하우징(182)이 자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투과홀(185) 및 윈도우(186)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structure shields the transmission hole 185 through the window 186. 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8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transmit ultraviolet rays.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e transmission hole 185 and window 186 can be omitted.

상기 정면커버(183)에 상기 윈도우(186)가 설치되고, 상기 윈도우(186)는 상기 투과홀(185)을 커버한다. The window 186 is provided on the front cover 183 and the window 186 covers the transmission hole 185.

상기 정면커버(183)의 하단은 상기 패널바디(170)에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면커버(183) 및 패널바디(170)는 요철형상을 통해 억지끼움된다. 상기 정면커버(183)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커버돌출부(189)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바디(170)에는 상기 커버돌출부(189)가 억지끼움되는 커버끼움부(179)가 형성된다.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183 is assembled to the panel body 17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cover 183 and the panel body 170 are constrained through the concavo-convex shape. A cover protrusion 189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183 is formed and a cover fitting portion 179 is formed in the panel body 170 so that the cover protrusion 189 can be interference.

상기 커버돌출부(189) 및 커버끼움부(179)는 상기 설치홈(175) 내부로 응축수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커버돌출부(189) 및 커버끼움부(179)는 억지끼움되어 응축수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The cover projection 189 and the cover fitting portion 179 block penetration of the condensed water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75. The cover projecting portion 189 and the cover fitting portion 179 can be inhibited to block penetration of the condensed water.

또한, 상기 상부커버(181) 역시 상기 패널바디(170)에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상부커버(181)의 단측에는 커버끼움홈(181a)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75)을 형성하는 모서리와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된다. Also, the upper cover 181 is also assembled to the panel body 17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 cover fitting groove 181a is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upper cover 181 and is assembled in the form of an interference fit with the corner forming the installation groove 175. [

상기 하우징(182)은 자외선이 투과될 수 없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82)은 자외선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자외선이 상기 윈도우(186)로만 투사되게 한다. The housing 182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not transmit ultraviolet rays. The housing 182 blocks ultraviolet radiation from being radiated to the outside, and allows ultraviolet rays to be projected only to the window 186.

자외선이 주변으로 투사되는 경우,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 When ultraviolet light is projected to the surroundings, it can be harmful to human body.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플레이트 형태이고, 면 발광을 통해 자외선을 생성한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인가된 전원을 통해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된 형태이고, 상기 자외선램프(184)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미도시된 전선이 배치된다. The ultraviolet lamp 184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generates ultraviolet rays through surface emission. The ultraviolet lamp 184 generates ultraviolet rays through an applied power source. The ultraviolet lamp 184 is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unillustrated wires are disposed to supply a power and a control signal to the ultraviolet lamp 184.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상기 하우징(182)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와 비접촉된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이를 통해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는 자외선램프(184)와 응축수의 접촉을 차단한 상태에서 자외선을 투사하여 살균을 실시한다. The ultraviolet lamp 184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82 and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densed water. The ultraviolet lamp 184 is in non-contact with the condensed water,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The ultraviolet ray generating device 180 is configured to project ultraviolet rays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between the ultraviolet ray lamp 184 and the condensed water is blocked, thereby performing sterilization.

상기 자외선램프(184)에 전선이 연결되기 위해 상기 설치홈(175)과 연통되는 전선홀(188)이 배치된다. And an electric wire hole 188 communicating with the installation groove 175 for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to the ultraviolet lamp 184 is dispos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홈(175)을 형성하는 패널바디(170)를 관통하여 상기 전선홀(188)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ic wire hole 188 is formed through the panel body 170 forming the installation groove 175.

그리고 상기 설치홈(175)에는 상기 자외선램프(184)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응축수가 고여있는 곳을 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수는 응축수저장부(160)의 하측에 고이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tructure for fixing the ultraviolet lamp 184 is disposed in the mounting groove 175. Preferably, the ultraviolet lamp 184 is disposed to face where the condensed water flows. Since the condensed water is high on the lower side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the ultraviolet lamp 184 is preferably inclined downward.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자외선램프(184)를 고정하기 위해 제 1 고정부(191) 및 제 2 고정부(192)가 배치된다. A first fixing part 191 and a second fixing part 192 are disposed to fix the ultraviolet lamp 184 arranged obliquely.

상기 제 1 고정부(191)는 상기 자외선램프(184)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고정부(192)는 상기 자외선램프(184)의 하단을 지지한다. The first fixing part 191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ultraviolet lamp 184 and the second fixing part 192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ultraviolet lamp 184.

상기 제 1 고정부(191)는 상기 패널바디(170)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정부(191)는 설치홈(175)을 형성하는 상기 패널바디(170)에서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fixing part 191 is formed on the panel body 170. The first fixing part 191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panel body 170 forming the installation groove 175.

상기 제 1 고정부(191)는 상기 자외선램프(184)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가리지 않도록 자외선램프(184)의 측부에 위치된다. The first fixing part 191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ultraviolet lamp 184 so as not to block ultraviolet rays generated from the ultraviolet lamp 184.

상기 제 1 고정부(191)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단이 자외선램프(184)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fixing part 191 is formed in a letter "A" shape and the upper end is bent toward the ultraviolet lamp 184.

상기 제 2 고정부(192)는 상기 자외선램프(184)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기 제 2 고정부(192)는 상기 삽입홈(175)을 형성하는 상기 패널바디(17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second fixing part 192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ultraviolet lamp 184. The second fixing part 192 protrudes upward from the panel body 170 forming the insertion groove 175.

상기 제 1 고정부(191) 및 상기 제 2 고정부(192) 사이에 상기 자외선램프(184)가 위치된다. The ultraviolet lamp 184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19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92.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하단이 상기 제 2 고정부(19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제 1 고정부(191)에 지지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The upper end of the ultraviolet lamp 184 is supported by the first fixing part 191 and is inclined toward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while the lower end of the ultraviolet lamp 184 is supported by the second fixing part 192.

상기 윈도우(186)를 통해 응축수저장부(160)로 투사되는 자외선은 응축수저장부(160)에 저장된 응축수를 살균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The ultraviolet rays projected to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through the window 186 not only sterilize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but also steriliz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art 160.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내측면(165)을 통해 유입되어 상면(164)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살균을 실시할 수 있다. The ultraviolet lamp 184 may be sterilized with respect to the air that flows through the inner surface 165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60 and flows through the upper surface 164.

이는 상기 윈도우(186)의 일부만이 상기 응축수에 잠기기 때문에 가능하다. This is possible because only a portion of the window 186 is immersed in the condensed water.

<실내열교환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101 and the discharge port 102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divides the interior of the case 100.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disposed vertically in this embodiment.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실내송풍팬(1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하게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arranged to vertically ent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air blowing fan 14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드레인팬(13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드레인팬(132)에 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132)으로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3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된다. A drain pan 132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mounted on the drain pan 132.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may flow into the drain pan 132 and then be stored. The drain pan 132 is provided with a drain pump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상기 드레인팬(132)은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rain pan 132 may be formed with a sloping surface having a directionality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to one side.

<실내송풍팬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Fan>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가 사용된다. The indoor ventilation fan 140 is located inside the case 100 and above the air inlet 101. The indoor air blowing fan 140 uses a centrifugal air blower that sucks air into the center and discharges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벨마우스(142), 팬(144) 및 팬모터(146)를 포함한다.The indoor ventilation fan 140 includes a bell mouth 142, a fan 144, and a fan motor 146.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그릴(122)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그릴(122)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팬(144)으로 안내한다. The bell mouth 142 is disposed above the suction grill 122 and guides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uction grill 122 to the fan 144.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을 회전시킨다. The fan motor 146 rotates the fan 144.

<유로의 구성><Structure of the Euro>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 대해 실내송풍팬(140) 측 공간을 흡입유로(103)로 정의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 대해 외측 공간(실내열교환기(130) 및 케이스하우징(110) 사이)를 토출유로(104)로 정의한다. A space on the side of the indoor ventilation fan 140 with respect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defined as a suction flow path 103 and a space defined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case housing 110 ) Is defined as the discharge flow path 104.

상기 흡입유로(103)는 흡입구(101)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유로(104)는 토출구(103)와 연통된다.The suction passage 103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101 and the discharge passage 104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 103.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토출유로(10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The air flows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ction passage 103 to the upper side and fl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assage 104.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커버패널(120)의 같은 면에 형성된다.The suction port 101 and the discharge port 102 are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cover panel 120.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suction port (101) and the discharge port (102) are arranged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port 101 and the discharge port 102 are disposed to face the floor of the room.

상기 커버패널(120)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102)가 약간의 측면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토출유로(104)와 연결된 토출구(102)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When the cover panel 120 is curved, the discharge port 102 may be formed to have a slight side inclination. However, the discharge port 102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th 104 is formed to face downward.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토출베인(200)이 배치된다. A discharge vane 200 is dispose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2.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제 1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다른 각도의 제 2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8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vane shown in FIG. 1, FIG. 9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angle of the discharge vane shown in FIG. 1, FIG. 10 is a plan view of FIG. 9,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FIG.

<토출베인의 구성><Configuration of Discharge Vane>

상기 토출베인(200)은 토출유로(104)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The discharge vane 200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104 and control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02.

상기 토출베인(200)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210)과,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210)의 각도조절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220)와, 상기 베인(210) 및 케이스(100)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베인모터(220)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베인(210)을 회전시키는 리지드링크(310, rigid link) 및 관절링크(320)를 포함한다. The discharge vane 200 includes a vane 210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air flow, a vane motor 220 installed in the case 10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vane 210, A rigid link 310 and a joint link 310 that rotatably connect the vane 210 and the case 100 and are rotated according to a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220 to rotate the vane 210, 320).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유로(104) 상에 배치되는 모터케이스(105)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절링크(320)는 리지드링크(310)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may be installed in the case 100. In this embodiment,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are installed in the motor case 105 disposed on the discharge flow path 10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joint link 320 is formed longer than the rigid link 310.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토출유로(104)를 형성하는 상기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하우징(11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상기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하우징(110)의 토출유로(104)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motor case 105 is disposed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case 105 may be installed in the cover panel 120 or the case housing 110 forming the discharge passage 104. The motor case 105 may be protruded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104 of the cover panel 120 or the case housing 110. [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상기 베인(210)의 길이방향과 교차 또는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상기 베인(210)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motor case 105 is arranged to intersect or orthogonally intersect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10. The motor case 105 may be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10. The motor case 105 is formed in a plate shape.

상기 베인(210)은 상기 베인(2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모터케이스(105)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에 수납될 수 있다. The vane 210 may be separated from the motor case 10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10 and the vane 2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ort 102.

상기 모터케이스(105)의 외측(베인모터 측)에는 베인모터(220)가 조립되는 베인모터설치부(10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터설치부(106)에 상기 베인모터(220)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A vane motor mounting portion 106 for mounting the vane motor 22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motor case 105 (on the vane motor side). The vane motor 220 is fastened to the vane motor mounting portion 106 and fixed.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상기 베인(210)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are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vane 210, respectively.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베인(210)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베인(210)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된다. The vane motor 220 may be dispos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vane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ne motor 220 is installed only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vane 210.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모터케이스(105)를 기준으로 상기 베인(210)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베인모터(220)의 구동력은 상기 모터케이스(105)를 관통하여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다. The vane motor 22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ane 210 with respect to the motor case 105. Therefore, the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220 is provided to either the rigid link 310 or the joint link 320 through the motor case 105.

상기 모터케이스(105)의 내측(베인 측)에는 링크가 설치되기 위한 보스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230)는 내측(베인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On the inner side (vane side) of the motor case 105, a boss for providing a link is formed. The boss 230 protrudes inward (vane side).

상기 리지드링크(310) 또는 관절링크(3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보스(23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된 링크는 상기 보스(23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Either the rigid link 310 or the joint link 320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bosses 230. The installed link is rotated about the boss 230.

본 실시예에서는 리지드링크(310)가 상기 보스(230)와 결합되고, 상기 보스(2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igid link 310 is coupled to the boss 230 and can be rotated around the boss 230.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보스(230)에 결합된 링크에 구동력을 제공한다.The vane motor 220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link coupled to the boss 23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스(230)를 관통하여 설치된 리지드링크(310)에 베인모터(220)의 회전력이 제공되고, 상기 베인모터(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on of the vane motor 220 is provided to the rigid link 310 provided through the boss 230 and the rigid link 310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20)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vane motor 220 uses a stepping motor.

상기 보스(230)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결합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한다. The boss 230 not only provides the engagement structure of the rigid link 310 but also provides the function of a stopper that limits the turning radius of the rigid link 310.

상기 보스(230)는 내부가 빈 중공(236)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스(230)의 중공(236)을 관통하여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모터케이스(105)를 관통하게 배치된다.The boss 230 is formed with an empty hollow 236 therein. And the rigid link 310 penetrates the hollow case 236 of the boss 230 so as to penetrate the motor case 105.

상기 보스(23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인(210) 측으로 돌출된다.The boss 2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projects toward the vane 210 side.

상기 보스(230)는 상기 베인(210) 측으로 더 돌출된 보스스토퍼(232)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 시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을 제한한다.The boss 230 has a boss stopper 232 protruding further toward the vane 210. The boss stopper 232 forms an interlock when the rigid link 310 rotates, and restricts rotation of the rigid link 310.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시계방향 회전 및 반시계방향 회전에 대해 각각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The boss stopper 232 limits the rotation angle of the rigid link 310 with respect to the clockwise rota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rigid link 31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대략 270도 회전가능하게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ss stopper 232 restri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rigid link 310 so as to be rotatable by approximately 270 degrees.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보스(230)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일측단(233) 및 타측단(234)이 리지드링크(310)와 상호 간섭된다.The boss stopper 232 forms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boss 23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e end 233 and the other end 234 of the boss stopper 232 interfere with the rigid link 310.

상기 일측단(233)은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시계방향 회전 시 접촉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상기 타측단(23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반시계방향 회전 시 접촉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상기 일측단(233) 및 타측단(234)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반대로 위치될 수 있다. The one end 233 is a portion that contacts the rigid link 310 in the clockwise rotation and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rigid link 310. The other side end 234 is a portion which contacts the rigid link 310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and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rigid link 310. The positions of the one end 233 and the other end 234 may be reversed according to design.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회전될 때, 상기 일측단(233) 또는 타측단(234)과 접촉되어 회전이 정지된다. The boss stopper 232 is positioned on the rotation plane of the rigid link 310 and contacts the one side end 233 or the other side end 234 when the rigid link 310 is rotated, do.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을 회전평면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링크가 회전되는 바, 각 링크들은 각각의 고유한 회전평면을 형성한다. A virtual plane formed when the rigid link 310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s defined as a rotation plan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links are rotated such that each link forms a respective rotation plane.

<베인의 구성><Composition of Bain>

설명을 위해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천장 측을 상측으로 정의하고, 바닥을 하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토출베인에서 베인모터가 설치된 측을 일측(우측)으로 정의하고 반대쪽은 타측(좌측)으로 정의한다. 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defined as forward,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rearward. The ceiling side is defined as the upper side, and the floor is defined as the lower side. Also, the side where the vane motor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vane is defined as one side (right side) and the other side is defined as the other side (left side).

상기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베인바디(212)와, 상기 베인바디(21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가 결합되는 결합플랜지(214)를 포함한다. The vane 210 has a vane body 212 formed to exten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02 and a vane body 212 protruded upward from the vane body 212 and connected to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And a coupling flange 214 to which the coupling flange 214 is coupled.

상기 베인바디(212)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vane body 212 may have a gently curved surface.

상기 베인바디(212)는 상기 토출유로(104)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 부딪혀 유동방향이 안내된다.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은 직교 또는 교차된다. The vane body 212 controls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assage 104. The discharged air hits an upper surface of the vane body 212 to be guided in the flow direction.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body 212 are orthogonal or intersecting.

상기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는 다수개의 그루브(213)가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213)는 상기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213)는 복수개의 상기 결합플랜지(214) 사이에 위치된다. A plurality of grooves 21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ne body 212. The grooves 21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body 212. The groove 213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upling flanges 214.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의 결합을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토출베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The coupling flange 214 is a mounting structure for coupling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The coupling flange 214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vane, respectively.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The coupling flange 214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vane body 212. The coupling flange 214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So that the coupling flange 214 is disposed orthogonally or intersect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body 212.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 측(전방)이 낮고, 공기가 진입되는 방향 측(후방)이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결합되는 측이 높고 관절링크(320)이 결합되는 측이 낮게 형성된다. The coupling flange 214 is formed so that a direction side (front side) in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side (rear side) in which air enters are hig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flange 214 is formed at a side where the rigid link 310 is coupled with a high side and a side to which the joint link 320 is coupled.

상기 결합플랜지(214)의 후방 측 단(214a)은 베인바디(212)의 후방 측 단(212a)을 벗어나 더 후방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결합플랜지(214)의 후방 측 단(214a)은 베인바디(212)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rear side end 214a of the coupling flange 214 is located further rearward beyond the rear side end 212a of the vane body 212. [ That is, the rear side end 214a of the coupling flange 214 protrudes toward the rear side of the vane body 212. [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타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베인결합부(216)와, 상기 관절링크(320)의 타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결합부(217)가 형성된다. The coupling flange 214 includes a first vane coupling portion 216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rigid link 310 is rotatably coupled and a second vane coupling portion 216 to which the other side end of the joint link 320 is rotatably coupled. The engaging portion 217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상기 결합플랜지(214)를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ane coupling part 216 and the second vane coupling part 217 are formed in the form of holes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flange 214.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면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상기 보스(230)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The first vane coupling portion 216 and the second vane coupling portion 217 may be configured to be axially coupled or hinged. For example, the first vane coupling part 216 and the second vane coupling part 217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oss 230.

한편,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일측단은 상기 모터케이스(105)에 결합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스(230)에 결합된다. 상기 관절링크(320)의 일측단은 상기 모터케이스(105)에 결합된다. 즉, 상기 모터케이스(105)에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일측단 및 관절링크(320)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One end of the rigid link 310 is coupled to the motor case 105,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boss 230. One end of the joint link 320 is coupled to the motor case 105. That is, one end of the rigid link 310 and one end of the joint link 32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motor case 105.

상기 모터케이스(105)에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와, 상기 관절링크(320)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링크결합부(237)가 형성된다.The motor case 105 is formed with a boss to which one end of the rigid link 310 is rotatably coupled and a joint link coupling part 237 to which one end of the joint link 320 is rotatably coupled .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The joint link coupling portion 237 is formed in a hole shape.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베인바디(212)의 후방 측 단(212a)을 벗어나 더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결합부(217)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베인바디(212) 상에 위치된다. The first vane coupling portion 216 is located further rearward beyond the rear side end 212a of the vane body 212 when viewed in plan view and the second vane coupling portion 217 is located on the rear side And is located on the vane body (212).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베인결합부(217) 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first vane coupling portion 216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vane coupling portion 217 when viewed from the front.

그래서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상기 베인바디(212)에 대해 소정의 링크결합부 사이각(A)을 형성한다. 상기 링크결합부 경사각(a)은 상기 베인(210)의 선회 운동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조이다. Thus, the first vane coupling portion 216 and the second vane coupling portion 217 form an angle (A) between the predetermined link coupling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vane body 212. The inclination angle (a) of the linkage portion is a structure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swing motion of the vane 210.

<링크의 구성><Configuration of link>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상기 관절링크(320)에 비해 후방 측에 배치된다. The rigid link 3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joint link 320.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상기 관절링크(320)에 비해 타측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서로 다른 회전평면 상에서 회전되고, 이를 통해 회전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igid link 31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joint link 320. Thus, the rigid link 310 and the articulated link 320 are rotated on different rotational planes,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during rotation.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리지드링크축(311)과,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스(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리지드링크축(312)과,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의 회전평면 상으로 돌출되고, 소정각도 회전 시 보스스토퍼(232)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링크스토퍼(314)를 포함한다. The rigid link body 310 includes a rigid link body 315 and a first rigid link shaft 311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from the rigid link body 315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first vane engaging portion 216. [ A second rigid link shaft 312 protru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rigid link body 315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oss 320 and a second rigid link shaft 312 protruding on the rotation plane of the rigid link body 315 And a link stopper 314 which forms an interlocking with the boss stopper 232 when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베인(210)이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상기 베인(210) 또는 결합플랜지(214)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rigid link body 315 and the vane 210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igid link body 315.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vane 210 or the coupling flange 214. In this case,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모터케이스(105)가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은 상기 모터케이스(105),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1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second rigid link shaft 312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rigid link body 315 and the motor case 105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rigid link shaft 31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igid link body 315. The second rigid link shaft 3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tor case 105, the cover panel 120, or the case 10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시계회전될 때,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보스스토퍼(232)의 일측단(233)에 접촉되고,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반시계방향 회전될 때, 상기 링크스토퍼(314) 또는 리지드링크바디(315)는 상기 보스스토퍼(232)의 타측단(234) 접촉되고, 회전이 정지된다. The link stopper 314 is disposed on the rotation plane of the rigid link 310. When the rigid link 310 is clockwise rotated, the link stopper 314 contacts the one end 233 of the boss stopper 232 and stops rotating. When the rigid link 3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link stopper 314 or the rigid link body 315 contacts the other end 234 of the boss stopper 232 and stops rotat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에 대하여 관절링크(320)의 반대편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link stopper 314 is protruded from the rigid link body 315 to the opposite side of the joint link 320.

상기 관절링크(320)는 특정 위치에서 관절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The joint link 320 may be bent in a joint form at a specific location.

상기 관절링크(320)는 상기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관절링크(330)와, 상기 베인(2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와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관절링크(340)와,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의 상대 회전 시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관절스토퍼(350)를 포함한다. The joint link 320 includes a first joint link 330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100 and a second joint link 330 rotatably coupled to the vane 210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joint link 330 A second articulated link 340 and a second articulated link 340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rticulated link 330 and the second articulated link 340, And a joint stopper 350 for restricting the angle of rotation during relative rotation.

상기 관절링크(320)의 회전평면은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과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관절링크(320) 및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작동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otation plane of the joint link 320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rotation plane of the rigid link 310. Since the rotation planes of the joint link 320 and the rigid link 3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terference dur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상기 제 1 관절링크(330)는 상기 케이스(100) 및 제 2 관절링크(340)와 각각 상대회전되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와,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관절링크축(331)과,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절링크(3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커넥트링크부(336)를 포함한다. The first joint link 330 includes a first joint link body 335 that is relatively rotated with the case 100 and the second joint link 340 and a second joint link body 335 that is protruded to one side from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A first joint link shaft 331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100 and a second joint link shaft 332 formed on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joint link 340. [ 1 connecting link portion 336, as shown in Fig.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는 상측이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제 2 관절링크(3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100 on the upper sid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joint link 340 on the lower side.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회전평면은 공기의 토출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회전평면은 베인(21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된다. The rotation plane of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is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That is, the rotational plane of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10.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서 일측으로 돌출된다.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protrudes from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to one side.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관절링크결합부(237)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가 회전될 수 있는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는 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홀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구조로 형성된다.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is coupled to the joint link joint 237 and forms a rotation center by which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can be rotated. Since the joint link coupling part 237 is formed in a hole shape,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에 삽입된 후, 분리가 차단되도록 후크구조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관절링크(331)는 복수개의 제 1 링크축바디(332)와 상기 제 1 링크축바디(332)의 단에 각각 배치된 제 1 링크후크(333)를 포함한다. After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is inserted into the joint link coupling part 237, a hook structure is disposed so that separation is blocked. The first joint link 331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nk shaft bodies 332 and a first link hook 333 disposed at the ends of the first link shaft body 332.

제 1 링크축바디(332)는 원통형상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링크후크(333)는 제 1 링크축바디(332)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 1 링크후크(333)를 형성한다. The first link shaft body 332 forms a part of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irst link hook 333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first link shaft body 332 to form a first link hook 333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링크축바디(332)는 4개가 배치되고, 이들이 모여 원통형상을 형성한다. 각 제 1 링크축바디(332)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를 통해 휨변형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first link shaft bodies 332 are arranged, and the first link shaft bodies 332 are gather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The first link shaft bodies 3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first link shaft bodies 332 can be bent.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재질에 의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is elastically deformable by a material.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를 관통하고, 상기 제 1 링크후크(333)는 모터케이스(105)와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passes through the joint link coupling part 237 and the first link hook 333 forms an interlock with the motor case 105.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제 1 링크축바디(33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축플랜지(338)가 형성된다. 상기 축플랜지(338)는 상기 모터케이스(105)의 타측면에 밀착된다.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is formed with a shaft flange 338 that limits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rst link shaft body 332. The shaft flange 33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otor case 105.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connect link 336 extends from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The first connecting link 336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와 후술하는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암수 형상으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암형상이고 상기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수형상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암수 형상은 반대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first connect link portion 336 and the second connect link portion 346 described later are assembled in male and female shap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link portion 336 is shaped like a female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k portion 346 is male lik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le and female shapes may be reversed.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 및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제 1 관절링크(330)의 회전평면 상에서 서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link portion 336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k portion 346 may b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on the rotation plane of the first joint link 330. [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제 1 커넥트바디(335)의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와,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에 각각 형성된 관절축홀(339)을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ng link 336 includes one side link body 337 and the other side link body 337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335, And a joint shaft hole 339 formed in the other link portion body 337 and the other link portion body 337, respectively.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 사이에는 링크삽입공간(334)이 형성된다. A link insertion space 334 is formed between the one-side link body 337 and the other-side link body 337.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각 관절축홀(339) 역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one-side link portion body 337 and the other-side link portion body 337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respective joint shaft holes 339 are also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 2 관절링크(340)는 상기 베인(210) 및 제 1 관절링크(330)와 각각 상대회전되는 제 2 관절링크바디(345)와,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인(2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관절링크축(341)과,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넥트링크부(346)를 포함한다. The second articulated link 340 includes a second articulated link body 345 that is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vane 210 and the first articulated link 330, A second joint link shaft 341 rotatably coupled to the vane 210 and a second joint link shaft 342 formed on the second joint link body 345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joint link 330. [ 2 connecting link portion 346. [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 2 관절링크바디(345)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second joint link body 345 is longer than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The second articulated link body 345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articulated link body 335.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와 함께 상기 관절링크의 회전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관절링크(320)가 형성하는 회전평면은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형성하는 회전평면과 평행하다. The second articulated link body 345 together with the first articulated link body 335 forms the rotational plane of the articulated link. The rotational plane formed by the articulated link 320 is parallel to the rotational plane formed by the rigid link 310.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과 동일한 구성이다. 다만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However,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is protru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제 2 링크축바디(342) 및 제 2 링크후크(34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상기 제 2 링크축바디(34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축플랜지(348)가 형성된다. 상기 축플랜지(348)는 상기 결합플랜지(214)의 일측면에 에 밀착된다.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includes a second link shaft body 342 and a second link hook 343.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is formed with a shaft flange 348 that limits the insertion depth of the second link shaft body 342. The shaft flange 348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engagement flange 214. [

상기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제 2 커넥트바디(345)의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와,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에 각각 형성된 관절축(349)과,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 사이에 형성된 사이공간(343)을 포함한다. The second connecting link portion 346 includes one side link body 347 and the other side link body 347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345, A joint shaft 349 formed on the other link body 347 and the other link body 347 and a space 343 formed between the link body 347 and the other link body 347.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에 형성된 관절축(349)은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 링크부바디(347)에 형성된 관절축(349)는 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joint shaft 349 formed on the one side link body 347 is protruded to one side and the joint shaft 349 formed on the other side link body 347 is protruded to the other side.

상기 관절축(349)은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The joint shaft 349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joint link 330 and the second joint link 340 and the first joint link 330 and the second joint link 340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는 재질의 탄성에 의해 휨변형이 가능하다. The one-side link body 347 and the other-side link body 347 can be flexibly deformed by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상기 제 2 커넥트링크부(346)가 상기 링크삽입공간(334)으로 삽입되어 제 커넥트링크부(336)과 결합될 때,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는 상기 사이공간(344)으로 휨변형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connecting link portion 346 is inserted into the link insertion space 334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link portion 336, the first link portion body 347 and the second link portion body 347 are inserted into the link insertion space 334, And can be flexibly deformed into the interspace 344.

상기 제 2 관절링크(340)의 관절축(349)은 제 1 관절링크(330)의 관절축홀(339)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는 서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joint shaft 349 of the second joint link 340 is inserted into the joint shaft hole 339 of the first joint link 330. In this structure, the first joint link 330 and the second joint link 340 can b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한편, 상기 관절스토퍼(350)는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의 상대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Meanwhile, the articulated stopper 350 restricts a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joint link 330 and the second joint link 340.

상기 관절스토퍼(350)를 통해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의 사이각을 제한하기 때문에, 상기 베인(210)을 보다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Sinc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joint link 330 and the second joint link 340 is limited through the joint stopper 350, the vane 210 can be positioned more accurate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절스토퍼(350)는 상기 관절링크(320)의 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 1 관절스토퍼(352)와, 상기 관절링크(32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 2 관절스토퍼(354)를 포함한다. The joint stopper 350 includes a first joint stopper 352 for limiting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joint link 320 and a second joint stopper 352 for limiting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joint link 320. [ Stopper 354.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The first joint stopper 352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joint link 330 or the second joint link 340. The second joint stopper 354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joint link 330 or the second joint link 34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joint stopper 352 protrudes forward from the second joint link body 345.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의 후방 측 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제작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도 돌출되게 제작할 수 있다. The second joint stopper 354 is formed by sloping the rear side surface of the second joint link body 345. The second joint stopper 354 may be formed to be protruded.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 및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제한하려는 상대회전각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joint stopper 352 and the second joint stopper 354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 relative rotation angle to be restric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전방 측 외측면(35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후방 측 외측면(353)에 지지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joint stopper 352 may be supported on the front side outer surface 351 of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The second joint stopper 354 may be supported on the rear side outer surface 353 of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작동 예시도들이고,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작동 예시도들이다. Fig. 13 i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joint link shown in Fig. 11, and Fig. 14 i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discharge vane shown in Fig.

<관절링크의 작동 설명> <Explanation of operation of joint link>

도 13을 참조하여 관절링크(320)의 작동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joint link 3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베인모터(220)가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켰을 때, 관절링크(320)는 도 13의 (a)와 같은 상태를 형성한다. When the vane motor 220 rotates the rigid link 310 to the maximum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joint link 320 forms a state as shown in FIG. 13 (a).

도 13의 (a) 상태에서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관절링크(320)는 도 13의 (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13 (a), when the rigid link 31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joint link 320 maintains a state as shown in FIG. 13 (b).

상기 베인모터(220)가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켰을 때, 관절링크(320)는 도 13의 (c)와 같은 상태를 형성한다. When the vane motor 220 rotates the rigid link 310 to the maximum counterclockwise, the joint link 320 forms a state as shown in FIG. 13 (c).

도 13의 (a) 상태일 때,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전방 측 외측면(351)에 지지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절링크(340)는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다. 13 (a), the first joint stopper 352 is supported on the front side outer surface 351 of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second joint link 340 can not be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도 13의 (c) 상태일 때,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후방 측 외측면(353)에 지지된 상태이다. 도 13의 (a)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절링크(340)가 관절축(34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에 의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할 때, 도 13의 (c)와 같은 상태를 형성한다. 13 (c), the second joint stopper 354 is supported on the outer side surface 353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As shown in FIG. 13 (a), when the second joint link 340 is rotated clockwise about the joint axis 349 and can not be further rotated by the second joint stopper 354, (C) of Fig.

<리지드링크 및 관절링크의 작동 설명><Explanation of Rigid Link and Joint Link Operation>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리지드링크 및 관절링크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rigid link and the joint lin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Fig.

도 13의 (a) 및 도 14의 (a) 상태일 때, 토출베인(200)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토출베인(200)은 도 13의 (a) 및 도 14의 (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베인모터(220)는 리지드링크(310)를 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킨다. 이때, 링크스토퍼(314)는 보스스토퍼(232)의 일측단(233)에 지지된 상태이다. 13 (a) and 14 (a), the discharge vane 200 is in a non-operating state.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the discharge vane 200 maintains the state shown in FIGS. 13A and 14A, and the vane motor 220 rotates the rigid link 310 clockwise . At this time, the link stopper 314 is supported on one end 233 of the boss stopper 232.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전방 측 외측면(351)에 지지된 상태이다. 상기 관절링크(320)는 사이각을 형성하지 않고, 직선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The first joint stopper 352 is supported on the front side outer surface 351 of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The joint link 320 does not form an angle of incidence but maintains a linearly expanded state.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제 2 리지드링크축(312)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관절링크(320)는 제 1 관절링크축(33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The rigid link 310 is rotated about the second rigid link shaft 312 and the joint link 320 is rotated about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상기 베인(210)은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토출구(102) 내에 위치된다. 상기 베인(210)의 하측면은 상기 커버패널(120)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vane 210 is rotated in a state constrained to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and is positioned in the discharge port 102. [ The lower surface of the vane 210 forms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cover panel 120.

도 14의 (b) 상태일 때, 상기 토출베인(200)은 수평풍을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14 (b), the discharge vane 200 may form a horizontal wind.

상기 수평풍은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베인(210)에 의해 안내되어 천장 또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상태로 정의한다.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공기의 유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wind is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02 is guided by the vane 210 and flows horizontally with the ceiling or the ground. When the discharged air flows in a horizontal wind, the flow distance of the air can be maximized.

도 14의 (a)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터(220)가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4의 (b)의 상태를 형성시킨다. 관절링크(320)는 제 1 관절링크축(33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14 (a), the vane motor 220 rotates the rigid link 310 counterclockwise to form the state shown in FIG. 14 (b). The joint link 320 is rotated around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

수평풍을 토출하도록 베인(210)이 배치될 때,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제 1 리지드링크축(311)보다 낮게 위치된다. When the vane 210 is disposed to discharge the horizontal wind,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상기 수평풍으로 공기가 토출될 때, 상기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It is advantageous that the vane 210 is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ort 102 when air is discharged in the horizontal wind.

상기 베인(210)이 도 14의 (a)와 같은 높이에서 회전되는 경우, 토출공기와의 간섭으로 인해 베인(210)에 안내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든다.When the vane 210 is rotated at a height as shown in FIG. 14A, the amount of air guided to the vane 210 is reduced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discharged air.

본 실시예의 도 14의 (b)와 같이, 베인(210)이 토출구(102) 하측으로 하강된 후, 수평방향으로 정렬되어야 토출공기의 대부분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vane 210 is lower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2 and then alig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4B of this embodiment, so that most of the discharged air can be gu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의 회동을 통해 베인(210)을 토출구(102)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베인(210)의 방향도 수평으로 형성킬 수 있다. 종래 실내기의 베인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없다. The vane 210 can be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2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and the direction of the vane 210 can be formed horizontally. Conventionally, since the vane of the indoor unit is rotated in place, the same effect as the present embodiment can not be realized.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를 통해 수평풍을 형성할 때, 베인(210)이 토출구(102)의 하측에 위치되게 하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horizontal wind is formed through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the vane 210 is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ort 102, and a larger amount of discharg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horizontal wind can do.

상기 베인(210)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When the vane 210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02 is formed as a horizontal wind, the vane 210 is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ort 102.

상기 베인(210)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210)은 상기 케이스(100)의 저면(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패널(12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커버패널(120)의 저면보다 더 하측에 위치된다. When the vane 210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02 is formed as a horizontal wind, the vane 210 is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0 (in this embodiment, An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anel 120. [0050]

수평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b)의 상태에서 베인(210)은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베인(210)에 부딪혀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The vane 210 is supported by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in the state of FIG. 14 (b) forming a horizontal wind,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02 is vane 210 can be suppressed.

도 14의 (b) 상태에서 베인모터(220)를 통해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4의 (c)와 같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rigid link 310 is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rough the vane motor 220 in the state of FIG. 14 (b), the state shown in FIG. 14 (c) can be formed.

도 14의 (c)의 토출베인(200)은 토출공기를 수직 및 수평 사이의 경사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경사풍으로 정의한다. The discharge vane 200 of Fig. 14 (c) can discharge the discharge air in the oblique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is is defined as an oblique wind.

도 14의 (c)의 상태에서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이 일렬로 배치될 때,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 관절축(349) 및 제 2 관절링크축(341)도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14 (c), the second rigid link shaft 312,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and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may be arranged in a line. When the second rigid link shaft 312,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and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are arranged in a row,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the joint shaft 349,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may also be arranged in a line.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이 일렬로 배치된 상태 이후로, 상기 베인모터(220)를 통해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관절링크축(341)을 통해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가 상대회전되기 시작한다. After the second rigid link shaft 312,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and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are arranged in a row, the rigid link 310 is rotated through the vane motor 220 The first joint link 330 and the second joint link 340 start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rough the joint link shaft 341. [

도 14의 (c)의 상태에서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소정이 사이각(B)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B)은 0도 초과 9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B)은 리지드링크 및 관절링크의 길이 또는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14C,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form a predetermined angle B between the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gle of incidence B may be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The inter-angle (B)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igid link and the joint link or the position of the rotary shaft.

도 14의 (c)의 상태에서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4의 (d)와 같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rigid link 310 is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14 (c), the state shown in FIG. 14 (d) can be formed.

도 14의 (c) 상태에서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좀 더 회전되는 경우, 상기 베인(2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14 (c), when the rigid link 310 is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vane 210 is rotated clockwise.

도 14의 (d)와 같은 상태일 때, 토출베인(200)은 수직풍을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베인(210)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방향 하측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수직풍으로 정의한다. In the state shown in FIG. 14 (d), the discharge vane 200 can form a vertical wind. A state in whic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2 is guided by the vane 210 and flow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as a vertical wind.

상기 베인(210)이 수직풍을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은 천장 또는 지면과 교차 또는 직교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When the vane 210 forms a vertical wind, the vane crosses or orthogonally intersects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풍은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회전되었을 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인(210)은 천장 또는 지면에 거의 수직하게 배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wind is formed when the rigid link 31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the maximum. In this state, the vane 210 is dispos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도 14의 (c) 상태에서 도 14의 (d)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베인(210)은 도 14의 (b), 도 14의 (c) 상태로 변경될 때와 달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14 (c) to 14 (d), the vane 21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unlike the case of changing to the state of FIG. 14 (b) do.

도 14의 (c) 상태에서 상기 베인(210)이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베인(2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In the state of FIG. 14 (c), the vane 210 must b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ecause the vane 210 should be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도 14의 (d)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후방 측 외측면(353)에 지지되고,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다. 또한,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보스스토퍼(232)의 타측단(234)와 상호 간섭되어 지지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다. 14 (d), the second joint stopper 354 is supported on the rear side outer side surface 353 of the first joint link body 335, and can not be rotated any more. Further, the rigid link 310 is interfered with the other side end 234 of the boss stopper 232, and the rigid link 310 can no longer be rotated.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 관절축(349)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이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절축(349)이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는 도 14의 (d) 상태를 형성시킨다. In a state where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the joint shaft 349 and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are arranged in a row, the joint shaft 349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to form a vertical wind 14 (d).

상기 관절축(349)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베인(210)은 제 2 관절링크축(3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된다. As the joint shaft 349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vane 210 is rotated clockwise about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d)의 상태에서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는 소정의 사이각(C)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C)은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C)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rigid link shaft 312,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and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form a predetermined angle C in the state of FIG. 14 (d)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gle C may be 9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180 degrees. The inter-angle (C) can form an obtuse angle.

상기 사이각(D)은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또는 제 2 관절링크축(341)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ngle D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rigid link shaft 312,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or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d)의 상태에서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는 소정의 사이각(D)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D)은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D)은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14 (d) forming the vertical wind, the first joint link 330 and the second joint link 340 form a predetermined angle D between the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val D may be formed to be 9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180 degrees. The interval D may be formed at an obtuse angle.

상기 사이각(D)은 제 1 관절링크 및 제 2 관절링크의 길이 또는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terval D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lengths of the first joint link and the second joint link or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axis.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d)의 상태에서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and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can be arranged vertically in the state of FIG. 14 (d) forming vertical wind.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d)의 상태에서 제 1 리지드링크축(311), 제 2 관절링크축(341) 및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일렬 또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rigid link shaft 311, the second joint link shaft 341 and the first joint link shaft 331 may be arranged in a line or vertically in the state of FIG. 14 (d) forming a vertical wind.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d)의 상태에서 리지드링크(310)는 보스스토퍼(232)에 지지된 상태이고, 관절링크(320)는 관절스토퍼(350)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가 베인(210)에 부딪혀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The rigid link 310 is supported by the boss stopper 232 and the joint link 320 is supported by the joint stopper 350 in the state of FIG.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vibration caused by the air that hits the vane 210.

또한, 상기 토출베인(200)이 수직풍을 형성할 때, 리지드링크(310)는 보스스토퍼(232)에 지지된 상태이고, 관절링크(320)는 관절스토퍼(350)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베인(210)에 가해진 외력을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로 분산시킬 수 있다.Since the rigid link 310 is supported by the boss stopper 232 and the joint link 320 is supported by the joint stopper 350 when the discharge vane 200 forms a vertical air flow,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vane 210 can be dispersed to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

본 발명은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가 관절축(349)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180도 이하의 상기 사이각(D)을 형성하기 때문에, 베인바디(212)의 후방측 단(212a)을 보다 토출구 측으로 근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first joint link 330 and the second joint link 340 are rotated about the joint axis 349 to form the angle D of 180 degrees or l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ar side end 212a can be closer to the discharge port side.

상기 베인바디(212)의 후방측 단(212a)이 상승되어 모터케이스(105)가 있는 높이까지 상승되고, 이를 통해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직방향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rear side end 212a of the vane body 212 is lifted up to the height of the motor case 105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02 can be guided more effectively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를 통해 수직풍을 형성할 때, 베인(210)의 일부를 토출구(102) 측에 밀착 또는 삽입시키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토출공기를 수직풍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인(210)의 일부가 토출구(102)에 밀착 또는 삽입되지 않는 경우, 일부 공기가 수직풍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A part of the vane 2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r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2 when the vertical wind is formed through the rigid link 310 and the joint link 320, As shown in FIG. When a part of the vane 210 is not in contact with or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102, some air may be discharg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vertical air flow.

또한,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제 1 관절링크축(311)을 관절축(349)과 유사한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베인바디(212)의 후방측 단(212a)을 보다 토출구(102) 측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The first joint link shaft 311 of the rigid link 310 can be raised to a height similar to that of the joint shaft 349 so that the rear side end 212a of the vane body 212 can be moved upward 102) side.

또한,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는 관절축(349)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관절링크(320) 및 리지드링크(31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joint link 330 and the second joint link 340 are rotated about the joint axis 349, interference between the joint link 320 and the rigid link 310 can be prevented .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condensed water dischar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응축수배수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Condensate Drainage Device>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와,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수위센서(320)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320)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320)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3 높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와,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오프하는 단계(S70)와,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운전시켜 상기 제 1 높이 미만으로 형성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ep S10 of starting the compressor, a step S20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compressor, Determining whether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height through the level sensor 320 when the step S30 is satisfied; (S60) of determining whether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height through the level sensor 320 when the step S40 is satisfied; and if the step S60 is satisfied, And a step S80 of driving the drain pump 310 to be less than the first height after the step S70.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 이상인 경우를 수위레벨 A로 정의한다.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 이상인 경우를 수위레벨 B로 정의한다.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제 3 높이 이상인 경우를 수위레벨 C로 정의한다. And a level A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level. And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defined as a water level B when the water leve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height. And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defined as a water level C when the water leve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ird height.

상기 드레인펌프(310)는 수위레벨 A(응축수가 제 1 높이) 이상일 때 구동된다. 상기 수위레벨 A 미만일 경우, 펌프흡입구(31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기 때문에 흡입소음이 발생된다. The drain pump 310 is driven when the level A is higher than the first level. When the level is below the level A, suction noise is generated because air is sucked through the pump suction port 311.

상기 수위레벨 A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감지부(321)를 통해 응축수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 1 감지부(321)에서 응축수가 감지될 때가 드레인펌프(31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최소조건이다. When the level is below the level A, the condensed water is not detected through the first sensing unit 321. That is, it is a minimum condition that the drain pump 310 can be driven when the condensed water is sensed in the first sensing unit 321.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드레인펌프(31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는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If the step S30 is not satisfied, the drain pump 310 maintains the off state, and if the step S30 is satisfied, the drain pump 310 can be turned o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더라도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상기 수위레벨 A일 때 드레인펌프(310)를 가동시키면 잔류된 응축수를 즉시 배수시킬 수 있지만, 드레인펌프(310) 작동에 의한 작동소음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step S30 is satisfied, the drain pump 310 is not driven. When the drain pump 310 is operated at the level A, the remaining condensed water can be discharged immediately, but operational nois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310 can be frequently generated.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위레벨 A 또는 수위레벨 B이상일 때 드레인펌프(310)를 작동시킨다. 즉, 응축수가 제 1 높이(H1) 이상이거나 제 2 높이(H2) 이상일 때 드레인펌프(310)가 작동될 수 있다. Thus,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pump 310 is operated when the level A or the level B or higher. That is, the drain pump 310 can be operated when the condensed water is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H1 or higher than the second height H2.

상기 S30 단계 및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160)에 다량의 응축수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S60 단계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3 높이(H3)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If the steps S30 and S40 are satisfied, a large amount of condensed water is stor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60. In step S6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densed water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height H3.

상기 S60 단계는 만족하는 것은 압축기의 초기 기동임에도 불구하고, 응축수가 제 3 높이(H3) 이상으로 형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 압축기의 기동을 중지시키고 응축수의 생성을 차단해야 한다. The step S60 is satisfied when the condensed water is formed at the third height H3 or more, regardless of the initial start of the compresso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top the compressor and shut off the generation of condensed water.

상기 S60 단계는 응축수의 넘침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The step S60 is for preventing overflow of the condensed water.

직전 구동 시, 드레인펌프의 이상 또는 배수호스의 막힘 등으로 인해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았을 수 있다. 또는 비정상적인 실내기 정지로 인해 응축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 있다. During the last drive, condensate may not be discharged due to a drain pump failure or clogging of drain hose. Or the condensate may have not been drained due to abnormal indoor unit shutdown.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응축수저장부(160)의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았을 수 있고, 상기 S60 단계는 이를 판단한다. The condensed water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60 may not be discharged due to various reasons, and the step S60 may determine this.

그래서 제어부는 S60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S70 단계에서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S80 단계에서 드레인펌프(310)를 구동시킨다. If the control unit satisfies the step S60,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compressor in step S70 and drives the drain pump 310 in step S80.

상기 S80 단계는 응축수의 수위가 수위레벨 A 미만(제 1 높이(H1)) 미만이 될때까지 드레인펌프(310)를 계속 구동시킨다. 상기 S80 단계에서 제어부는 에러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In step S80, the drain pump 310 is continuously driven until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becomes less than the level A (first height H1). In step S80,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n error code.

상기 S80 단계에서 상기 드레인펌프(310)는 100%의 구동률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가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100% 미만의 구동률로 작동하여도 무방하고, 100% 미만인 경우 응축수를 배수하는 시간이 더 소요된다. In step S80, the drain pump 310 may be operated at a driving rate of 100%. Since the compressor is in a stopped state, it may be operated at a driving rate of less than 100%, and when it is less than 100%, it takes more time to drain the condensed water.

상기 S80 단계의 드레인펌프(310) 구동률을 제 4 구동률로 정의한다.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310 in the step S80 is defined as a fourth driving rate.

상기 S80 단계의 작동시간이 사용자의 수면시간인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낮게 형성하여 작동소음을 작게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면시간은 오후 10시부터 새벽 6시일 수 있다. If the operation time of step S80 is the sleeping time of the user,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310 may be made low to reduce the operating noise. For example, the sleeping time may be from 10 pm to 6 am.

한편, S4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응축수의 수위는 제 1 높이(H1) 이상 제 2 높이(H2) 미만으로 형성된 상태이다. 이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응축수의 생성속도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결정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p S40 is not satisfied,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formed to be less than the first height H1 and less than the second height H2. In this case, the generation rate of the condensed water over time is determined, and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310 is determined through the determination.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고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예를 들어 "0~5"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 If the step S30 is satisfied and the step S40 is unsatisfi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first sensing time (for example, "0 to 5").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1 구동률(예를 들어 70%)로 구동시킨다.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first sensing time, the drain pump 310 is driven at a first driving rate (for example, 70%).

그리고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고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2 감지시간(예를 들어 "5~10"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 If the step S30 is satisfied and the step S40 is unsatisfi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second sensing time (for example, 5 to 10 minutes).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2 구동률(예를 들어 50%)로 구동시킨다.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second sensing time, the drain pump 310 is driven at a second driving rate (for example, 50%).

그리고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고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3 감지시간(예를 들어 "10"분 초과)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 If the step S30 is satisfied and the step S40 is unsatisfi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third sensing time (for example, exceeding 10 minutes).

상기 제 3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3 구동률(예를 들어 30%)로 구동시킨다.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third sensing time, the drain pump 310 is driven at a third driving rate (for example, 30%).

상기 제 1 감지시간 중에 수위레벨 B까지 응축수가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응축수의 생성속도가 정상범위 초과이고, 수분의 응축량이 과다 발생되는 장소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1 구동률(예를 들어 70%)로 작동시킨다. (S51)When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water level B during the first sensing tim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generation rate of the condensed water is over the normal range and the condensation amount of the water is excessive. In this case, the drain pump 310 is operated at a first driving rate (for example, 70%). (S51)

그리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중에 수위레벨 B까지 응축수가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응축수의 생성속도가 정상범위이고, 수분의 응축량이 일반적인 장소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2 구동률(예를 들어 50%)로 작동시킨다. (S52)When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water level B during the second sensing tim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generation rate of the condensed water is in the normal range and the condensation amount of the water is the general location. In this case, the drain pump 310 is operated at a second driving rate (for example, 50%). (S52)

그리고 상기 제 3 감지시간 중에 수위레벨 B까지 응축수가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응축수의 생성속도가 정상범위 이하이고, 수분의 응축량이 적은 장소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3 구동률(예를 들어 30%)로 작동시킨다. (S53)When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water level B during the third sensing tim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generation speed of the condensed water is below the normal range and the condensation amount of water is small. In this case, the drain pump 310 is operated at a third driving rate (for example, 30%). (S53)

이와 같이 제어부는 감지시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판단하는 장점이 있다. Thus, the control unit has an advantage of determining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according to the sensing time.

공기 중의 습도가 과다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강"으로 설정하여 다소간의 소음이 발생되더라도 응축수의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humidity in the air is excessive,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310 is set to be "strong ", so that the condensation water can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even if a little noise is generated.

공기 중의 습도가 정상범위인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중"으로 설정하여 드레인펌프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When the humidity in the air is in the normal range, the drive ratio of the drain pump 310 is set to "medium", so that the nois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can be reduced.

또한 공기 중의 습도가 정상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약"으로 설정하여 드레인펌프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Further, when the humidity in the air is lower than the normal range,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310 is set to "weak ", so that the nois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can be minimized.

한편, 실내기의 운전 중에, 드레인펌프(310)의 작동에 의해 수위가 제 1 높이(H1) 미만으로 낮아지더라도 상기 S50 단계에서 판단된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은 계속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even if the water level drops below the first height H1 by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310,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310 determined in step S50 is maintained.

공기 중이 수분변화는 급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S50 단계의 구동률을 다시 판단할 필요는 없고, 상기 S50 단계에서 판단된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계속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not necessary to determine again the driving rate of step S50 and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310 determined in step S50.

실내기의 운전 중에 실내의 냉방부하를 만족시키는 경우, 압축기는 오프될 수 있다. 이후, 다시 냉방부하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가 다시 재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 중 압축기가 기동되는 경우에는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다시 판단할 필요가 없다. When the cooling load of the room is satisfi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the compressor can be turned off. Thereafter, when the cooling load is again required, the compressor can be restarted again. In this way, when the compressor is started during ope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again determine the drive rate of the drain pump 310. [

다만, 상기 실내기가 오프된 후, 다시 온되어 압축기가 기동되는 경우, 상술한 응축수배수장치의 제어방법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다시 판단해야 한다. However, if the compressor is turned on after the indoor unit is turned off, the control method of the condensed water drainage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gain, and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310 is determined agai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케이스 101 : 흡입구
102 : 토출구 103 : 흡입유로
104 : 토출유로 110 : 케이스하우징
120 : 커버패널 130 : 실내열교환기
140 : 실내송풍팬 150 : 드레인패널
160 : 응축수저장부 170 : 패널바디
180 : 자외선발생장치 200 : 토출베인
210 : 베인 220 : 베인모터
230 : 보스 232 : 보스스토퍼
310 : 리지드링크 311 : 제 1 리지드링크축
312 : 제 2 리지드링크축 314 : 링크스토퍼
315 : 리지드링크바디 320 : 관절링크
330 : 제 1 관절링크 331 : 제 1 관절링크축
340 : 제 2 관절링크 341 : 제 2 관절링크축
349 : 관절축 350 : 관절스토퍼
352 : 제 1 관절스토퍼 354 : 제 2 관절스토퍼
100: Case 101: Suction port
102: discharge port 103:
104: Discharge channel 110: Case housing
120: cover panel 130: indoor heat exchanger
140: Indoor ventilation fan 150: Drain panel
160: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170: panel body
180: ultraviolet ray generator 200: discharge vane
210: Vane 220: Vane motor
230: boss 232: boss stopper
310: Rigid link 311: First rigid link shaft
312: second rigid link shaft 314: link stopper
315: rigid link body 320: articulated link
330: first joint link 331: first joint link shaft
340: second joint link 341: second joint link shaft
349: Joint axis 350: Joint stopper
352: first joint stopper 354: second joint stopper

Claims (10)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H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상기 제 2 높이보다 큰 3 높이(H3)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오프하는 단계(S7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운전시켜 상기 제 1 높이 미만으로 형성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for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ceiling,
A step (S10) in which the compressor is started;
Determining an operation time of the compressor (S20);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height H1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when the step S20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height (H2) larger than the first height (S40)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when the step S30 is satisfied;
If the step S40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ird height H3 greater than the second height S60.
Closing the compressor (S70) if the step S60 is satisfied;
(S80) when the step S60 is satisfied and the drain pump is operated to be less than the first height (S8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오프하거나 오프상태로 유지시키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step S30 is satisfied, the drain pump is turned off or kept of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4 구동률로 운전시키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if the step S60 is not satisfied, the drain pump is operated at a fourth drive rati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 1 높이에서 상기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감지시간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step S40 is unsatisfactory,
Wherein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sensing time when the condensed water rises from the first height to the second height (H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step S40 is unsatisfactory,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raised to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first sensing time and if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ises to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first sensing time, , Or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ises to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second sensing time longer than the first sensing time and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ises to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second sensing time, And the drain pump is driven at a second drive ratio.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률이 상기 제 2 구동률보다 크게 설정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drive ratio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drive rati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2 감지시간보다 긴 제 3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3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3 구동률로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step S40 is unsatisfactory,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raised to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first sensing time and if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ises to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first sensing time, , Or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ises to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second sensing time longer than the first sensing time and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ises to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second sensing time, Drives the drain pump at a second drive ratio, o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raised to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third sensing time longer than the second sensing time and if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increased to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third sensing time, And the drain pump is driven at a third drive ratio.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률이 상기 제 2 구동률보다 크고, 상기 제 2 구동률이 상기 제 3 구동률보다 크게 설정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drive ratio is larger than the second drive ratio and the second drive ratio is set larger than the third drive ratio.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H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 1 높이에서 상기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 감지시간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for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ceiling,
A step (S10) in which the compressor is started;
Determining an operation time of the compressor (S20);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height H1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when the step S20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height (H2) larger than the first height (S40)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when the step S30 is satisfied;
If the step S40 is unsatisfactory,
Wherein the driving rate of the drain pump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sensing time when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at the first heigh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f the step S40 is unsatisfactory,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first sensing time 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within the first sensing time, , Or
Wherei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during the second sensing time longer than the first sensing time, and if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aches the second height (H2) And the drain pump is driven at a second drive ratio.
KR1020170121410A 2017-09-20 2017-09-20 Method for controlling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348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10A KR102348040B1 (en) 2017-09-20 2017-09-20 Method for controlling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10A KR102348040B1 (en) 2017-09-20 2017-09-20 Method for controlling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42A true KR20190032942A (en) 2019-03-28
KR102348040B1 KR102348040B1 (en) 2022-01-05

Family

ID=6590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410A KR102348040B1 (en) 2017-09-20 2017-09-20 Method for controlling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04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853A (en) * 2019-05-28 2019-08-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Water pump control method, water pump control circuit and air conditioner
CN114704927A (en) * 2021-12-31 2022-07-05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mp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5654666A (en) * 2022-09-30 2023-01-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water blowing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WO2024008175A1 (en) * 2022-07-07 2024-01-1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Dehumidifier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dehumidifi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635A (en) * 1994-10-05 1996-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JPH1047732A (en) * 1996-08-02 1998-02-20 Matsushita Refrig Co Ltd Drain pump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KR100679838B1 (en) 2005-10-05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635A (en) * 1994-10-05 1996-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JPH1047732A (en) * 1996-08-02 1998-02-20 Matsushita Refrig Co Ltd Drain pump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KR100679838B1 (en) 2005-10-05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853A (en) * 2019-05-28 2019-08-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Water pump control method, water pump control circuit and air conditioner
CN110173853B (en) * 2019-05-28 2021-09-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Water pump control method, water pump control circuit and air conditioner
CN114704927A (en) * 2021-12-31 2022-07-05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mp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4704927B (en) * 2021-12-31 2023-08-25 海信空调有限公司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mp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24008175A1 (en) * 2022-07-07 2024-01-1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Dehumidifier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dehumidifier
CN115654666A (en) * 2022-09-30 2023-01-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water blowing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040B1 (en)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04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168584B1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JP6519360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186677B1 (en)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densate dry function
US11971070B2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20100007259A (en) Air conditioner
JP2017020766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90053594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41705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42586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101555199B1 (en) air conditioner
KR102392959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598644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070107403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10242586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102451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92571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90022106A (en) Air conditioner
KR20150120218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30046365A (en) Safety operation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outdoor&#39;s unit
JP7066422B2 (en)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JP2005164213A (en)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KR10250690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3910121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0198166Y1 (en) A installing structure of box for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