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941A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941A
KR20190032941A KR1020170121409A KR20170121409A KR20190032941A KR 20190032941 A KR20190032941 A KR 20190032941A KR 1020170121409 A KR1020170121409 A KR 1020170121409A KR 20170121409 A KR20170121409 A KR 20170121409A KR 20190032941 A KR20190032941 A KR 20190032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link
case
vein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2958B1 (en
Inventor
권보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958B1/en
Publication of KR2019003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9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ceiling, wherein the indoor unit comprises: a case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discharge vein disposed in the cas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direction of flow of air,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wherein the discharge vein includes: a vein configured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the air; a vein motor installed in the case and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adjust the angle of the vein; a driving link coupled to the case to be rotatable through a first driving link coupling part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vein motor to rotate; a vein link coupled to the case to relatively move and relatively rotate with respect to the case through a first vein link shaft, coupled to the driving link (310) to relatively rotat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link through the second vein link shaft, and fixed to the vein; and a vein link disposed in the case, coupled to the second vein link shaft to relative rotate and relatively move with respect to the second vein link shaft, and configured to guide relative movement or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vein link shaft when the driving link rot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in link fixed to the vein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link and moves along the vein link guide, vertical wind and horizontal wind can be realized.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type indoor unit installed in a ceiling of an indoor uni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d an inflator, and supplies air or warm air to a building or a room using an air conditioning cycle.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The air conditioner is structurally divided into a separable type in which the compressor is disposed outdoors and an integral type in which the compressor is integrally manufactured.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In the separate type, an indoor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an indoor unit,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re installed in an outdoor unit, and two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In the integrated type,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compressor are installed in one case. The integrated 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for directly mounting the apparatus on a window, and a duct type air conditioner for connecting the suction duct and the discharge duct to the outside of the room.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s gener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type of the indoor unit.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실내기라 한다. A stand-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door unit is vertically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is referred to a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door unit is installed on a wall of the room is called a ceiling-type indoor unit.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한 종류로서, 복수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어컨이 있다. There is also a system air conditioner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air-conditioned air in a plurality of spaces as one type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여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타입과, 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타입이 있다. In the case of a system air conditioner, there is a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provided to air-condition the room, and a type in which air-conditioned air is supplied to each space through the duct.

시스템에어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실내기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등 어느 것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A plurality of indoor units provided in the system air conditioner may be equipped with a stand type, a wall type or a ceiling type.

종래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토출구에 1개의 베인이 설치되고, 상기 베인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In the conventional ceiling-type indoor unit, one vane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vane.

그러나 종래 천장형 실내기는 1개의 베인만으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eiling-type indoor unit, sinc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is controlled by only one vane, there is a limitation in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9838 B1Korea Patent No. 10-0679838 B1

본 발명은 1개의 베인으로 수평풍 및 수직풍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oviding horizontal wind and vertical wind with one vane.

본 발명은 토출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수직풍 및 수평풍을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discharged air and realizing vertical wind and horizontal wind.

본 발명은 수평풍을 형성할 때, 베인이 토출구의 하측에 위치되게 하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vane is positioned below a discharge port and a larger amount of discharge air can be provided as a horizontal wind when a horizontal wind is formed.

본 발명은 수직풍을 형성할 때, 베인의 일부를 토출구 측에 밀착시키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토출공기를 수직풍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upplying a part of a vane to a discharge port side and forming a vertical wind by supplying a larger amount of discharge air through a vertical win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동링크 및 베인링크를 통해 토출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수직풍 및 수평풍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interference with the discharged air through the drive link and the vane link, and can realize the vertical wind and the horizontal wind.

본 발명은 수직풍을 형성할 때, 베인이 토출구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토출공기가 흡입구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ing a vertical wind, a vane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discharge port to suppress discharge air from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저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베인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의 각도조절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 제 1 구동링크결합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링크; 제 1 베인링크축을 통해 상기 케이스와 상대이동 및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베인링크축을 통해 상기 구동링크(3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인에 고정되는 베인링크;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축이 상대회전 및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링크가 회전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축의 상대이동 또는 상대회전을 안내하는 베인링크가이드;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ceiling, the indoor unit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discharge vane disposed in the case and configured to guide a flow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discharge vane includes: a vane for guiding a flow direction of air; A vane motor installed in the cas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vane; A drive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through a first drive link engagement portion and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A vane link coupled to the case through a first vane link shaft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ase and to be relatively rotatable relative to the drive link (310) via a second vane link axis; A vane link guide disposed in the case and guiding a relative movement or a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vane link shaft when the second vane link shaft is relatively rotatably and relatively movably coupled and the drive link is rotated; .

상기 베인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vane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a horizontal wind, the vane may be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ort.

상기 베인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은 상기 케이스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보다 더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vane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a horizontal wind, the van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상기 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의 일부는 상기 토출구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vane is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vertical wind, a part of the vane may be located inside the discharge port.

상기 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 내에서 상기 흡입구 측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vane is vert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vertical wind, the vane may be positioned on the suction port side in the discharge port.

상기 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은 상기 케이스의 저면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vane is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vertical wind, the vane may be arrang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상기 베인링크는, 하측이 상기 베인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베인링크축에 의해 상측이 상기 베인링크가이드에 결합되는 제 1 베인링크; 하측이 상기 베인에 고정되고, 제 2 베인링크축에 의해 상측이 상기 구동링크와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ne link includes a first vane link having a lower side fixed to the vane and an upper side coupled to the vane link guide by the first vane link shaft; And a second vane link whose lower side is fixed to the vane and whose upper side is coupled by the second vane link shaft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drive link.

상기 제 1 베인링크 및 제 2 베인링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vane link and the second vane link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 1 베인링크 및 제 2 베인링크는 사이각(A)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vane link and the second vane link may form an angle (A).

상기 제 2 베인링크는 상기 제 1 베인링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vane link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vane link.

상기 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구동링크 및 베인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vane is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vertical wind, the driving link and the vane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베인링크는 상기 베인에 대하여 V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vane link may be formed in a V-shape with respect to the van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베인에 고정된 베인링크가 구동링크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베인링크가이드를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수직풍 및 수평풍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vane link fixed to the vane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link and moves along the vane link guid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vertical wind and horizontal wind can be realized.

둘째, 본 발명은 구동링크 및 베인링크를 통해 수평풍을 형성할 때, 베인이 토출구의 하측에 위치되게 하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the horizontal wind is formed through the drive link and the vane link, the vane is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ort, and a larger amount of discharge air can be provided through the horizontal wind.

셋째, 본 발명은 구동링크 및 베인링크를 통해 수직풍을 형성할 때, 베인의 일부가 토출유로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출공기가 수직풍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leakage of the discharged air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vertical wind because a part of the vane is located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when the vertical wind is formed through the drive link and the vane link .

넷째, 본 발명은 수직풍을 형성할 때, 베인의 내측단이 토출구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구에서 토출된 토출공기가 흡입구로 직접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since the inner end of the vane is disposed to protrude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when the vertical wind is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can be minimized from flowing directly to the suction port.

다섯째, 본 발명은 제 2 베인링크축이 베인링크가이드를 따라 이동 및 회전되기 때문에,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since the second vane link shaft is moved and rotated along the vane link guid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operational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케이스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의 작동 전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베인이 수평풍을 제공하는 상태가 도시된 예시1도이다.
도 6은 도 4의 베인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구동링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베인이 수평풍을 형성할 때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9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베인이 수직풍을 형성할 때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to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vane is op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ane of FIG. 4 provides a horizontal wind.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vane of Figure 4;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ing link of FIG.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vane forms a horizontal w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vane forms a vertical w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Referring to FIG.

<실내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unit>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송풍팬(140)을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se 100 having a suction port 101 and a discharge port 102, an indoor heat exchanger 130 disposed inside the case 100, And an indoor air blowing fan 140 for flowing air to the air inlet 101 and the air outlet 102.

<케이스의 구성><Configuration of Cas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실내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케이스하우징(110)과,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개구된 면을 커버하고 실내에 노출되며,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커버패널(120)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e 100 includes a case housing 110 fixed to a ceiling of a room and open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a case cover 110 covering the opened face of the case housing 110, (101) and a discharge port (102).

상기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커버패널(120)이 케이스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작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The cover panel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housing 110 and the upper side may be opened. The case 100 may be variously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ion mod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100 does not limi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입구(101)가 커버패널(12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의 개수 또는 토출구(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1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The suction port 101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panel 120 and the discharge port 102 is disposed around the suction port 101. The number of the suction ports 101 or the number of the discharge ports 102 is irrelevant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one suction port 101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ports 102 are arrang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각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port 10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bottom, and the discharge port 102 is spaced apart from the edges of the suction port 10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커버패널(120)은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는 흡입그릴(1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그릴(122)은 상기 커버패널(12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cover panel 120 further includes a suction grill 122 covering the suction port 101. The suction grill 122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cover panel 120. [

상기 흡입그릴(122)의 상측에 프리필터(124)가 배치되고, 상기 프리필터(124)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A pre-filter 124 is disposed above the suction grill 122, and the pre-filter 124 filters air sucked into the case 100.

상기 토출구(102)는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개폐하는 토출베인(200)이 배치된다. The discharge port 102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slit, and a discharge vane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102 is disposed.

<실내열교환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101 and the discharge port 102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divides the interior of the case 100.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disposed vertically in this embodiment.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실내송풍팬(1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하게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arranged to vertically ent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air blowing fan 14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드레인팬(13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드레인팬(132)에 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132)으로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3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된다. A drain pan 132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mounted on the drain pan 132.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may flow into the drain pan 132 and then be stored. The drain pan 132 is provided with a drain pump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상기 드레인팬(132)은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rain pan 132 may be formed with a sloping surface having a directionality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to one side.

<실내송풍팬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Fan>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가 사용된다. The indoor ventilation fan 140 is located inside the case 100 and above the air inlet 101. The indoor air blowing fan 140 uses a centrifugal air blower that sucks air into the center and discharges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벨마우스(142), 팬(144) 및 팬모터(146)를 포함한다.The indoor ventilation fan 140 includes a bell mouth 142, a fan 144, and a fan motor 146.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그릴(122)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그릴(122)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팬(144)으로 안내한다. The bell mouth 142 is disposed above the suction grill 122 and guides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uction grill 122 to the fan 144.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을 회전시킨다. The fan motor 146 rotates the fan 144.

<유로의 구성><Structure of the Euro>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 대해 실내송풍팬(140) 측 공간을 흡입유로(103)로 정의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 대해 외측 공간(실내열교환기(130) 및 케이스하우징(110) 사이)를 토출유로(104)로 정의한다. A space on the side of the indoor ventilation fan 140 with respect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is defined as a suction flow path 103 and a space defined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130 and the case housing 110 ) Is defined as the discharge flow path 104.

상기 흡입유로(103)는 흡입구(101)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유로(104)는 토출구(103)와 연통된다.The suction passage 103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101 and the discharge passage 104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 103.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토출유로(10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The air flows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ction passage 103 to the upper side and fl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assage 104.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커버패널(120)의 같은 면에 형성된다.The suction port 101 and the discharge port 102 are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cover panel 120.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suction port (101) and the discharge port (102) are arranged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port 101 and the discharge port 102 are disposed to face the floor of the room.

상기 커버패널(120)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102)가 약간의 측면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토출유로(104)와 연결된 토출구(102)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When the cover panel 120 is curved, the discharge port 102 may be formed to have a slight side inclination. However, the discharge port 102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th 104 is formed to face downward.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토출베인(200)이 배치된다. A discharge vane 200 is dispose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케이스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의 작동 전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베인이 수평풍을 제공하는 상태가 도시된 예시1도이고, 도 6은 도 4의 베인이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구동링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to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a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FIG. 6 is a side view of the vane of FIG. 4,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link of FIG. 4.

<토출베인의 구성><Configuration of Discharge Vane>

상기 토출베인(200)은 토출유로(104)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The discharge vane 200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104 and control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02.

상기 토출베인(200)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210)과,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210)의 각도조절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220)와, 상기 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2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링크(310)와, 상기 베인(210)에 고정되고, 제 1 베인링크축(321)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와 상대이동 또는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인(210)에 고정되고, 제 2 베인링크축(322)을 통해 상기 구동링크(3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인링크(320)와, 상기 케이스(1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축(322)이 상대회전 또는 상대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링크(310)가 회전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축(321)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인링크가이드(350)를 포함한다. The discharge vane 200 includes a vane 210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air flow, a vane motor 220 installed in the case 10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vane 210, A driving link 310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100 and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220 and a driving link 310 fixed to the vane 210 and having a first vane link shaft 321 A vane 210 fixed to the vane 210 and rela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link 310 via a second vane link shaft 322, And a second vane link shaft (322) disposed in the case (100), wherein the second vane link shaft (322) is relatively rotatable or relatively movable, and when the drive link (310) And a vane link guide 350 for guiding movement of the vane link 321.

상기 구동링크(310) 및 베인링크(320)는 케이스(100)에 설치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링크(310) 및 베인링크(320)는 모터케이스(15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 또한 상기 모터케이스(150)에 배치된다. The driving link 310 and the vane link 320 may be installed in the case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link 310 and the vane link 320 are installed in the motor case 15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ne link guide 350 is also disposed in the motor case 150.

상기 모터케이스(150)는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케이스(150)는 토출유로(104)를 형성하는 상기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하우징(11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터케이스(150)는 상기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하우징(110)의 토출유로(104)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motor case 150 is disposed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case 150 may be installed in the cover panel 120 or the case housing 110 forming the discharge flow path 104. The motor case 150 may be protruded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104 of the cover panel 120 or the case housing 110. [

상기 모터케이스(150)는 상기 베인(210)의 길이방향과 교차 또는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 모터케이스(150)는 상기 베인(210)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케이스(150) 내부에 상기 베인모터(220)를 설치할 수 있다. The motor case 150 is arranged to intersect or orthogonally intersect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10. The motor case 150 may be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10. The vane motor 2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otor case 150.

상기 모터케이스(150)는 전면부(151), 후면부(152), 측면부(153) 및 저면부(15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motor case 150 is formed to include a front portion 151, a rear portion 152, a side portion 153, and a bottom portion 154.

상기 전면부(151)는 토출공기의 진행방향에 위치된다. 상기 후면부(152)는 토출공기의 진행방향과 반대측에 위치된다. 상기 측면부(153)는 상기 토출유로(104)에 노출되고, 상기 베인(210)이 설치된 방향이다. 상기 저면부(154)는 바닥을 향해 위치된다. The front portion 151 is loc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rear portion 152 i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The side part 153 is exposed to the discharge flow path 104 and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ne 210 is installed. The bottom portion 154 is positioned toward the bottom.

상기 측면부(153)에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가 배치된다.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는 별도의 구성부품으로 제작된 후 상기 모터케이스(150)에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는 상기 제 1 베인링크축(321)의 이동 및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vane link guide 350 is disposed on the side portion 153. The vane link guide 350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and assembled to the motor case 150. In this case, the vane link guide 350 may be formed in a rail shape to guid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first vane link shaft 321.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는 상기 측면부(153)를 관통하는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ne link guide 35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portion 153. The vane link guide 350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베인링크축(321)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라운드로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vane link guide 350 may be rounde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first vane link shaft 321.

상기 베인(210)를 토출구(102) 하측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는 상기 측면부(153)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lower the vane 210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2, the vane link guide 350 is preferably positioned below the side portion 153.

상기 후면부(152)에는 베인모터(220)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는 설치홈(152a)이 형성될 수 있다. An installation groove 152a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vane motor 220 is passed may be formed on the rear portion 152.

상기 베인(210), 구동링크(310), 베인링크(320)는 상기 모터케이스(150)를 기준으로 상기 베인모터(220) 반대편에 위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모터케이스(150) 내부에 숨겨진다. The vane 210, the drive link 310 and the vane link 320 are positioned opposite the vane motor 220 with respect to the motor case 150. The vane motor 220 is hidden inside the motor case 150.

상기 베인(210)은 상기 베인(2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모터케이스(150)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에 수납될 수 있다. The vane 210 may be separated from the motor case 1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10 and the vane 210 may be received in the discharge port 102.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베인(210)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베인(210)의 일측단에 설치된다. The vane motor 220 may be dispos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vane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ne motor 22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vane 210.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모터케이스(15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링크(310)가 상기 모터케이스(150)를 관통하여 상기 베인모터(220)와 결합된다. The vane motor 220 is located inside the motor case 150 and the driving link 310 is coupled to the vane motor 220 through the motor case 150.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구동링크(31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베인모터(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3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vane motor 220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link 310. The driving link 310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vane motor 2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20)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vane motor 220 uses a stepping motor.

<베인의 구성><Composition of Bain>

설명을 위해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천장 측을 상측으로 정의하고, 바닥을 하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토출베인에서 베인모터가 설치된 측을 일측(우측)으로 정의하고 반대쪽은 타측(좌측)으로 정의한다. 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defined as forward,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rearward. The ceiling side is defined as the upper side, and the floor is defined as the lower side. Also, the side where the vane motor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vane is defined as one side (right side) and the other side is defined as the other side (left side).

상기 베인(210)은 토출구(10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인(210)은 좌우 방향으로 길고, 전후 방향이 짧게 형성된다. 상기 베인(210)은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vane 2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02. The vane 210 is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sho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vane 210 may be formed in a gentle curve.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베인(210)의 상측면이 토출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When forming the horizontal wind, the upper surface of the vane 210 can guide the discharge air.

수직풍을 형성할 때, 상기 베인(21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토출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수직풍일 때는 상기 베인(210)의 설치위치에 따라 토출공기와 접촉되는 면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vane 210 may guide the discharged air when the vertical wind is formed. The surface contacting with the discharge air may be variously set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ane 210 when the vertical air is blown.

<링크의 구성><Configuration of link>

상기 구동링크(310)는 구동링크바디(315)와, 상기 구동링크바디(315)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인모터(220)와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와, 상기 구동링크바디(315)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인링크(32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구동링크결합부(312)를 포함한다. The drive link 310 includes a drive link body 315 and a first drive link coupling portion 311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rive link body 315 and coupled to the vane motor 220 to receive driving force, And a second drive link coupling portion 312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 link body 315 and coupled to the vane link 320 in a relatively rotatable manner.

상기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는 상기 베인모터(220)의 모터축(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220)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를 통해 구동링크(310)에 전달된다. The first drive link coupling portion 311 may be coupled to a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vane motor 220. The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220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link 310 through the first driving link coupling portion 311. [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구동링크(3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vane motor 220 may rotate the driving link 31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는 상기 모터케이스(15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는 돌출되지 않게 설계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rive link coupling portion 311 is protruded to be inserted into the motor case 15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rive link coupling portion 311 may be designed not to protrude.

상기 모터케이스(150)는 상기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가 삽입되는 구동링크결합홀(15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는 상기 구동링크결합홀(155)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는 상기 구동링크결합홀(155)을 관통하여 상기 베인모터(220)와 조립된다. The motor case 150 is formed with a drive linkage hole 155 into which the first drive linkage 311 is inserted. The first driving link engaging portion 311 may be inserted into the driving link engaging hole 155 and rotated. The first driving link coupling portion 311 passes through the driving link coupling hole 155 and is assembled with the vane motor 2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210)의 일측에는 구동링크(310), 베인링크(320) 및 베인모터(22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인(210)의 타측에는 구동링크(310) 및 베인링크(320)만 배치된다. A driving link 310 and a vane link 220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ane 210 and a driving link 310 and a vane link 220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ne 210. In this embodiment, 320 are disposed.

그래서 상기 베인(210)의 타측에 배치된 구동링크(310)는 베인모터(220)과 결합되지 않고, 상기 구동링크결합홀(155)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Therefore, the drive link 31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ne 210 can be rotated without being coupled with the vane motor 220, but assembled with the drive linkage hole 155.

상기 제 2 구동링크결합부(312)는 베인링크(320)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결합부(312)는 상기 베인링크(3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링크(320)와 상대회전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link coupling portion 312 is engaged with the vane link 320. The second driving link coupling portion 312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vane link 320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vane link 3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구동링크결합부(312)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인링크(320)의 제 2 베인링크축(322)이 상기 구동링크결합부(312)에 삽입된다. 상기 제 2 베인링크축(322)과 구동링크결합부(312)는 상대회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drive link coupling portion 312 is formed in a hole shape. The second vane link shaft 322 of the vane link 320 is inserted into the driving link coupling portion 312. The second vane link shaft 322 and the drive link coupling portion 312 may be relatively rotated.

상기 제 2 베인링크축(322) 및 제 2 구동링크결합부(312)는 상기 구동링크(310) 및 베인링크(320)의 상대회전을 위한 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베인링크축(322) 및 제 2 구동링크결합부(312)의 결합에 의한 상기 구동링크(310) 및 베인링크(320)의 회전중심을 상대회전축(325)으로 정의한다. The second vane link shaft 322 and the second drive link coupler 312 provide an axis for relative rotation of the drive link 310 and the vane link 320.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e link 310 and the vane link 320 by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vane link shaft 322 and the second drive link coupler 312 is defined as a relative rotation axis 325 do.

상기 베인링크(320)는 하측이 상기 베인(210)에 고정되고 상측이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에 결합되는 제 1 베인링크(330)와, 하측이 상기 베인(210)에 고정되고 상측이 상기 구동링크(31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링크(340)를 포함한다. The vane link 320 includes a first vane link 330 whose lower side is fixed to the vane 210 and whos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vane link guide 350 and a second vane link 330 whose lower side is fixed to the vane 210, And a second vane link 340 coupled to the driving link 310 in a relatively rotatable manner.

상기 제 1 베인링크(330) 및 제 2 베인링크(340)는 각각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330) 및 제 2 베인링크(340)는 일체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베인링크(320)는 상기 베인(21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인링크(320) 및 상기 베인(210)는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The first vane link 330 and the second vane link 34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ane link 330 and the second vane link 340 are integrally manufactured. The vane link 3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vane 210. The vane link 320 and the vane 210 may be fabricated and then assembl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330) 및 제 2 베인링크(340)는 일체로 제작되고, V자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링크(320)는 V 형태로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ane link 330 and the second vane link 340 are integrally formed and formed in a V-shape.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ne link 320 is formed in a V shape.

상기 제 2 베인링크(340)는 상기 제 1 베인링크(330)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second vane link 340 is longer than the first vane link 330.

상기 제 1 베인링크(330)의 상측에 제 1 베인링크축(32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베인링크(340)의 상측에 제 2 베인링크축(322)이 형성된다. A first vane link shaft 321 is formed on the first vane link 330. And a second vane link shaft 322 is formed on the second vane link 340.

상기 베인(210)의 정확한 회전량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 1 베인링크(330) 및, 2 베인링크(340) 및 베인(210)은 고정된다. The first vane link 330 and the second vane link 340 and the vane 210 are fixed in order to realize an accurate amount of rotation of the vane 210. [

상기 베인(210)의 정확한 회전량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 1 베인링크(330), 제 2 베인링크(340) 및 베인(210)은 소정의 사이각(A)(B)(C)을 형성한다. The first vane link 330, the second vane link 340 and the vane 210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predetermined angles A, B, and C to achieve an accurate amount of rotation of the vane 210 .

상기 제 1 베인링크(330)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 2 베인링크(3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이각(A)이 형성된다. 상기 사이각(A)은 예각으로 형성된다.An angle (A) is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vane link (33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vane link (340). The inter-angle (A) is formed at an acute angle.

상기 베인(210)에 의해 토출공기가 안내되는 방향은 안내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안내방향은 베인(210)의 길이방향과 교차 또는 직교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d air is guided by the vane 210 is defined as a guiding direction. The guiding direction may intersect or b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10.

상기 제 1 베인링크(330)의 길이방향과 상기 베인(210)에 의해 토출공기가 안내되는 안내방향은 사이각(C)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C)은 둔각으로 형성된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vane link 330 and the guiding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d air is guided by the vane 210 form an angle C between them. The inter-angle (C) is formed at an obtuse angle.

상기 제 2 베인링크(340)의 길이방향과 상기 베인(210)에 의해 토출공기가 안내되는 안내방향은 사이각(B)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B)은 직각 또는 45도 이상의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vane link 340 and the guiding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d air is guided by the vane 210 form an angle B therebetween. The angle (B) may be a right angle or an acute angle of 45 degrees or more.

<링크의 작동 설명> <Link operation description>

먼저, 실내기가 정지상태인 경우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case where the indoor unit is in a stopped st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는 도 4와 같은 상태로 토출베인(200)이 토출구(102)를 커버하고, 토출유로(104) 내에 수납된다.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the discharge vane 200 covers the discharge port 102 in the state shown in Fig. 4, and is housed in the discharge flow path 104.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구동링크(310)는 베인모터의 회전에 의해 수평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구동링크(310)의 하측에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가 위치되고, 상기 구동링크(310)의 길이방향과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의 길이방향이 직교 또는 교차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링크(310)의 하측에 상기 베인링크(320)가 위치되고, 상기 구동링크(310)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 2 베인링크(340)의 길이방향은 교차 또는 직교될 수 있다.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the driving link 310 is horizontally disposed by the rotation of the vane motor. The vane link guide 350 is positioned below the driving link 31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link 31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link guide 350 are orthogonal or intersecting. Likewise, the vane link 320 is positioned below the driving link 31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link 31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vane link 340 may be intersecting or orthogonal.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베인링크(340)의 길이방향과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의 길이방향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vane link 34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link guide 350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is embodiment.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구동링크결합부(312)는 베인링크가이드(350)를 기준으로 내측(흡입구(101) 측)에 위치되고,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는 외측(토출공기의 진행 방향 측)에 위치된다.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the second drive link engagement portion 312 is positioned inward (on the intake port 101 side) with respect to the vane link guide 350, and the first drive link engagement portion 311 is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n the side of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베인(210)의 외측단은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베인(210)의 외측단(211)은 내측단(212)보다 높게 위치된다.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the outer end of the vane 210 is positioned to face upward. The outer end 211 of the vane 21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inner end 212.

실내기가 작동되면 상기 베인(210)의 외측단(211)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When the indoor unit is operated, the outer end 211 of the vane 210 is moved downward.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베인(210)은 커버패널(120)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102)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When the indoor unit is not operated, the vane 210 forms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cover panel 120 and blocks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ort 102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다음으로 실내기가 정지상태에서 작동되는 경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case in which the indoor unit is operated in the stopped st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실내기가 작동되면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실내송풍기(140)가 작동되고,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공기가 토출된다. 이를 위해 베인모터(220)는 구동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링크(31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인(210)이 일정한 궤도를 따라 회동된다. When the indoor unit is operated, the indoor blower 140 is operated to circulate indoor air, and the discharg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2. [ To this end, the vane motor 220 rotates the driving link 31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vane 210 is rotated along a predetermined orbit by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driving link 310.

상기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회동된다.The vane 210 is rotated while being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2.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링크(31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구동링크결합부(312) 및 제 2 베인링크축(322)이 상대회전되고, 상기 제 1 베인링크축(321)은 베인링크가이드(35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rive link coupling portion 312 and the second vane link shaft 322 are relatively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drive link 310, and the first vane link shaft 321 are moved downward along the vane link guide 350.

이와 같은 제 2 구동링크결합부(312), 제 2 베인링크축(322) 및 제 1 베인링크축(321)의 상대이동 및 상대회전에 의해 상기 베인(210)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The relative movement and relative rotation of the second drive link coupling portion 312, the second vane link shaft 322 and the first vane link shaft 321 cause the vane 210 to move downward, And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베인(210)의 회동 시, 상기 베인(210)의 외측단(211)이 하강되고, 토출구(102)를 개방시킨다. When the vane 210 rotates, the outer end 211 of the vane 210 is lowered to open the discharge port 102.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베인이 수평풍을 형성할 때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9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베인이 수직풍을 형성할 때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vane forms a horizontal w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vane forms a vertical w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인(210)이 수평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베인(210)의 외측단(211)은 지면 또는 천장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210)이 수평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베인(210)의 외측단(211)은 지면 또는 천장에 대해 수평방향 보다 약간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vane 210 forms a horizontal wind, the outer end 211 of the vane 210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or the ceiling. When the vane 210 forms a horizontal wind, the outer end 211 of the vane 210 may be arranged to be slightly low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or the ceiling.

상기 베인(210)이 수평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베인(210)의 내측단(212) 및 외측단(211)은 모두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The inner end 212 and the outer end 211 of the vane 210 are both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ort 102 when the vane 210 forms a horizontal wind.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수평풍을 형성시킨다. 5, the driving link 310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to form a horizontal wind.

상기 구동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는 경우, 상기 상대회전축(325)는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베인링크축(321)이 베인링크가이드(350)를 따라 하측으로 더 이동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베인(21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When the driving link 310 is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relative rotation shaft 325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first driving link coupling portion 311, and the first vane link shaft 321 Is further moved downward along the vane link guide 350, and the vane 21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상기 구동링크(310)이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베인(2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베인(210)의 기울기에 따라 수평풍을 형성시킬 수 있다. The inclination of the vane 21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link 310 and the horizontal wind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vane 210.

상기 베인(210)이 수평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상대회전축(325)은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를 기준으로 내측(토출공기 진행방향 반대편 또는 흡입구 측)에 위치된다. When the vane 210 forms a horizontal wind, the relative rotation shaft 325 is positioned inwar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or on the suction port side) with respect to the vane link guide 350.

반대로 상기 베인(210)이 수직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상대회전축(325)은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를 기준으로 외측(토출공기 진행방향)에 위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ne 210 forms a vertical air flow, the relative rotation shaft 325 is located outside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with respect to the vane link guide 350.

상기 베인(210)이 수직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베인(210)의 외측단(211)은 지면 또는 천장과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210)이 수직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베인(210)의 외측단(211)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vane 210 forms a vertical wind, the outer end 211 of the vane 210 may be vertically arranged vertically with the ground or the ceiling. When the vane 210 forms a vertical wind, the outer end 211 of the vane 21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ground.

상기 베인(210)이 수직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베인(210)의 내측단(212)은 토출유로(104) 내측에 위치되고, 외측단(211)은 토출유로(104) 하측에 위치된다. The inner end 212 of the vane 210 is located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104 and the outer end 211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passage 104 when the vane 210 forms a vertical wind .

상기 베인(210)이 수직풍을 형성시킬 때, 베인링크가이드(350)를 기준으로 흡입구(101) 측에 위치된다. When the vane 210 forms a vertical wind, it is positioned on the suction port 101 side with respect to the vane link guide 350.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모두 한면에 배치되는데, 상기 수직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베인(210)은 상기 커버패널(120)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직풍을 형성시키더라도 상기 토출공기가 상기 흡입구(101)로 바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vane 210 is arrang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cover panel 120 when the vertical airflow is formed and the inlet port 101 and the outlet port 102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discharge port 102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air from being sucked directly into the suction port 101 even if vertical wind is formed.

도 8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수평풍을 형성시킨다. 8, the driving link 310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to form a horizontal wind.

상기 구동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는 경우, 상기 상대회전축(325)는 제 1 구동링크결합부(31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베인링크가이드(350)를 통과하여 외측에 위치된다. When the driving link 310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relative rotation shaft 325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first driving link coupling portion 311, and the vane link guide 350 is rotated And is located outside.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베인링크축(321)이 베인링크가이드(350)를 따라 이동 및 회전되고, 상기 베인(21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베인(210)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기울기가 조절된다. The first vane link shaft 321 is moved and rotated along the vane link guide 350 so that the vane 210 is rotated clockwise and the vane 210 is inclined vertically .

상기 구동링크(310)이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베인(2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베인(210)의 기울기에 따라 수직풍을 형성시킬 수 있다. The slope of the vane 21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link 310 and the vertical wind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vane 210.

상기 베인(210)이 수직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구동링크(31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인(210)도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When the vane 210 forms a vertical wind, the driving link 310 is vertically disposed, and the vane 210 is vertically disposed.

상기 베인(210)이 수직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구동링크(310)는 베인링크가이드(350)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베인링크(330) 또는 제 2 베인링크(340) 중 어느 하나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vane 210 forms a vertical wind, the driving link 31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vane link guide 350 and the first vane link 330 or the second vane link 340 Either one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상기 베인(210)이 수직풍을 형성시킬 때, 상기 베인(210)은 상기 커버패널(120)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101)로 직접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When the vane 210 forms a vertical air flow, the vane 21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over panel 120,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02 is directly supplied to the suction port 10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ow.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케이스 101 : 흡입구
102 : 토출구 103 : 흡입유로
104 : 토출유로 110 : 케이스하우징
120 : 커버패널 130 : 실내열교환기
140 : 실내송풍팬 200 : 토출베인
210 : 베인 220 : 베인모터
310 : 구동링크 311 : 제 1 구동링크결합부
312 : 제 2 구동링크결합부 315 : 구동링크바디
320 : 베인링크 325 : 상대회전축
321 : 제 1 베인링크축 322 : 제 2 베인링크축
330 : 제 1 베인링크 340 : 제 2 베인링크
350 : 베인링크가이드
100: Case 101: Suction port
102: discharge port 103:
104: Discharge channel 110: Case housing
120: cover panel 130: indoor heat exchanger
140: Indoor ventilation fan 200: Discharge vane
210: Vane 220: Vane motor
310: driving link 311: first driving link engaging portion
312: second drive link coupling portion 315: drive link body
320: Vane link 325: Relative rotational axis
321: first vane link shaft 322: second vane link shaft
330: first vane link 340: second vane link
350: Vane link guide

Claims (12)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저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베인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의 각도조절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
제 1 구동링크결합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링크;
제 1 베인링크축을 통해 상기 케이스와 상대이동 및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베인링크축을 통해 상기 구동링크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인에 고정되는 베인링크;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축이 상대회전 및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링크가 회전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축의 상대이동 또는 상대회전을 안내하는 베인링크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ceiling,
The indoor unit includes a case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discharge vane disposed in the case and guiding a flow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he discharge vane,
A vane for guid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 vane motor installed in the cas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vane;
A drive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through a first drive link engagement portion and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A vane link coupled to the case through a first vane link shaft so as to b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and relative rotation with the case, and coupled to the drive link via a second vane link shaft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hereto;
A vane link guide disposed in the case and guiding a relative movement or a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vane link shaft when the second vane link shaft is relatively rotatably and relatively movably coupled and the drive link is rotated; Inclu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 하측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vane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a horizontal wind,
And the vane is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은 상기 케이스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vane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a horizontal wind,
Wherein the vane is spaced apar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positioned lower than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의 일부는 상기 토출구 내측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vane is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vertical wind,
And a part of the vane is located inside the discharge 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 내에서 상기 흡입구 측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vane is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a vertical wind,
And the vane is located at the suction port side in the discharge 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은 상기 케이스의 저면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vane is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vertical wind,
And the vane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인링크는,
하측이 상기 베인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베인링크축에 의해 상측이 상기 베인링크가이드에 결합되는 제 1 베인링크;
하측이 상기 베인에 고정되고, 제 2 베인링크축에 의해 상측이 상기 구동링크와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링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vane link
A first vane link whose lower side is fixed to the vane and whos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vane link guide by the first vane link shaft;
And a second vane link whose lower side is fixed to the vane and whos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driving link by a second vane link shaft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driving link.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링크 및 제 2 베인링크는 일체로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vane link and the second vane link are integrally form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링크 및 제 2 베인링크는 사이각(A)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vane link and the second vane link form an angle &quot; A &quo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링크는 상기 제 1 베인링크보다 길게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second vane link is longer than the first vane link.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구동링크 및 베인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vane is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vertical wind,
Wherein the driving link and the vane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링크는 상기 베인에 대하여 V 형태로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ne link is formed in a V-shape with respect to the vane.



KR1020170121409A 2017-09-20 2017-09-2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392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09A KR102392958B1 (en) 2017-09-20 2017-09-2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09A KR102392958B1 (en) 2017-09-20 2017-09-2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41A true KR20190032941A (en) 2019-03-28
KR102392958B1 KR102392958B1 (en) 2022-04-29

Family

ID=6590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409A KR102392958B1 (en) 2017-09-20 2017-09-2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9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0177A (en) * 2021-06-30 2021-09-14 美的集团武汉暖通设备有限公司 Air guide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838B1 (en) 2005-10-05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JP2008122003A (en) * 2006-11-14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JP2017062087A (en) * 2015-09-25 2017-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838B1 (en) 2005-10-05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JP2008122003A (en) * 2006-11-14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JP2017062087A (en) * 2015-09-25 2017-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0177A (en) * 2021-06-30 2021-09-14 美的集团武汉暖通设备有限公司 Air guid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958B1 (en)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5305B2 (en) Air conditioner
EP3009752A1 (en) Air conditioner
EP4160097A2 (en) Air conditioner
KR20080101477A (en) Air conditioner
CN106662341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45476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92315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101611327B1 (en) Stand type air conditioner
KR100506896B1 (en) Air conditioner
KR20190047415A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10239295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78255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521295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05314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7061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451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90051677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710219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598644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80044650A (en) Air conditioner
CN103673094B (en) Air conditioner
KR20080101474A (en) Air conditioner
KR20190048077A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20070078253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90051676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