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795A -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795A
KR20190032795A KR1020170121059A KR20170121059A KR20190032795A KR 20190032795 A KR20190032795 A KR 20190032795A KR 1020170121059 A KR1020170121059 A KR 1020170121059A KR 20170121059 A KR20170121059 A KR 20170121059A KR 20190032795 A KR20190032795 A KR 20190032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message
user terminal
wearable device
notification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690B1 (ko
Inventor
김기현
김현숙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12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6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6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연부 및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US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LINKED WITH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란 입을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과학 기술이 발전하며 티셔츠, 안경, 팔찌, 시계, 신발 등의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는 스마트 워치가 있으며, 스마트 워치는 시간을 알려주는 기존의 시계 기능에 스마트폰을 확인하지 않아도 알림, 메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더해졌다.
이러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 10-1689368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해 스마트폰에서 발생되는 알림을 전달받아 더 가까이에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불필요한 알림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의 집중을 방해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저해하며, 알림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화면 온/오프, 진동 등의 기능이 동반으로 발생됨으로써,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 단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불필요한 알림의 전달을 감소시켜 베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 단말의 알림 동작은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알림 전달을 지연하는 방법을 통해 불필요한 전달을 감소시키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새로운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지연 시간에 상한을 두어 사용자 경험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연부 및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단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불필요한 알림의 전달을 감소시켜 베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알림 동작은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알림 전달을 지연하는 방법을 통해 불필요한 전달을 감소시키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지연 시간에 상한을 두어 사용자 경험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알림 메시지의 삭제 명령어를 전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중인 알림 및 지연된 알림을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10)은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모든 행위)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하지 않고,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스크린이 온(on)되어 있는 동안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알림 메시지의 전달이 지연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하고,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의 입력에 따라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삭제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삭제하기 위해 삭제 명령어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단말(110)과의 연동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사용(10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IMS(Instant Messenger Service) 등의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알림 메시지의 발생 시, 알림 효과 및 사용자 편의를 위해 추가적으로 전력을 소모하여 짧은 시간 화면을 켜게 되는 스크린 온(screen on) 상태가 된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를 스크린 온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동시에 발생시키는 것은, 지나치게 에너지 소모가 큰 비효율적인 알림으로 판단하여, 스크린 온을 동반하는 알림 메시지의 경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에서 알림 메시지를 인지하지 못한 경우에만,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스크린 온 알림의 발생의 경우, 이전의 사용자(10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알림 메시지 전달 지연과 같이 전달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는 예를 들어, 10초 미만으로 화면을 켜게 되므로, 사용자(100)가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짧은 시간 지연시킨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알림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 간의 연동을 위해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 예를 들어, 알림 매니저와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의 설치가 필요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알림 매니저와의 연동을 통해 알림 메시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글 안드로이드 웨어(Google Android Wear) OS가 적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10)에 구글 안드로이드 웨어러블 응용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안드로이드 웨어 응용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단말(110)에 발생하는 알림 중 'ON_GOING'(백그라운드로 진행 중인 작업 표시) 또는 'LOCAL_ONLY flag'가 설정되지 않은 알림 등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달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 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알림 삭제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전달 받아 반대편 디바이스의 알림이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부(210), 지연부(220), 전달부(230), 취소부(240), 업데이트부(250) 및 삭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의 생성부(210), 지연부(220), 전달부(230), 취소부(240), 업데이트부(250) 및 삭제부(270)는 알림 매니저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며, 사용자 단말(110)은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를 통해 알림 메시지의 생성 및 삭제를 다른 시스템 컴포넌트 또는 사용자 응용 소프트웨어에 통보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사용하기 위해 'NotificationListenerService'를 상속받아 각각 알림 메시지의 생성/삭제가 발생될 때 호출되는 콜백(callback) 메소드를 구현한 다음, 'NotificationManagerService'에 등록할 수 있다.
생성부(210)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는 예를 들어, 알림, 문자, IMS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210)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원격 서버의 정보 업데이트,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알람 이벤트(alarm event) 등의 다양한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알림 API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210)는 알림 내용(title, content 등)과 알림 속성(진동, 소리, LED, 알림 표시 형태 등)을 나타내는 알림 객체를 생성하여,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로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안드로이드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능으로, 알림 매니저에 의해 관리되며, 전달된 알림 메시지는 올바른지 검사 후, 내부적으로 관리되는 알림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는 이벤트의 생성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지연부(220)는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 중 발생되는 알림의 경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인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연부(220)의 판단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즉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하지 않고, 일정 시간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시킴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의 불필요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지연부(220)는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연부(220)는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할 수 있다. 또한, 지연부(2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스크린이 온(on)되어 있는 동안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할 수 있다.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은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110)의 스위치를 입력하는 경우 등에 발생할 수 있다.
전달부(230)는 지연부(220)에서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부(230)는 지연부(220)에서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지연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달부(230)는 지연부(220)에서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의 생성을 인지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1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알림 메시지의 생성을 인지하기 위하여 지연 없이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하는 것이다.
전달부(230)는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부(230)는 알림 메시지가 지연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110)에서 화면이 꺼지는 스크린 오프(screen off)가 발생하는 경우, 전달부(230)는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여,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의 생성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이미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의 생성을 인지한 상황에서 다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인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하는 것이다.
취소부(240)는 알림 메시지의 전달이 지연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소부(240)는 알림 메시지의 지연 중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인지한 것으로 간주하여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25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부(250)는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에 대해 업데이트가 발생되는 경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에 전달된 상태가 아니므로, 업데이터의 발생 시,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25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
삭제부(260)는 사용자(100)의 입력에 따라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삭제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삭제부(260)는 사용자(100)의 입력에 따라 알림 매니저의 알림 삭제 메소드가 호출되면, 알림 리스트에서 해당 알림을 삭제할 수 있다.
삭제부(260)는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삭제 명령어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삭제 명령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삭제부(260)는 사용자 (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삭제 명령어가 생성되는 경우, 삭제 명령어의 전달을 지연할 수 있고, 사용자 (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삭제 명령어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가 인지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삭제 명령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삭제부(260)는 알림 메시지의 삭제 명령어에 대한 무분별한 전달도 지연을 통해 줄일 수 있으며, 알림 메시지의 삭제는 알림 메시지의 전달보다 중요성이 낮기 때문에 더 오랜 시간 지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 중 알림 메시지를 삭제하면, 그 즉시 동일한 알림 상태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삭제 명령어가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 중이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의 삭제를 인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삭제부(260)는 사용자 (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생성된 삭제 명령어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지연 시간 또는 화면이 꺼지는 스크린 오프(screen off) 시점까지 지연 전달함으로써,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 중 발생하는 모든 알림 메시지와 함께 모아서 전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삭제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달이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에 대해 새로운 알림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해당 삭제 명령어의 전달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 중 발생되는 대부분의 알림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삭제부(260)는 삭제 명령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삭제하기 위해 삭제 명령어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삭제부(260)는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에 대해 삭제가 발생되는 경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에 전달된 상태가 아니므로, 삭제 발생 시,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새롭게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S300),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의 관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S311),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320).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이 없는 경우(S432),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상호 작용 발생 여부는 사용자의 최근 상호 작용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DELAY_THR) 이내 발생된 경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의 발생되지 않은 경우(S331),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 온(screen on)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340).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 온인 경우(S341),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 수 있다(S360). 또는,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 온이 아닌 경우(S342),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지연 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S350).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된 경우(S332), 사용자 단말(110)은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 수 있다(S360).
사용자 단말(110)은 알림 메시지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7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 시키는 경우(S371),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에서 알림 메시지를 인지하더라도, 이후의 삭제 또는 업데이트의 발생시 동기화를 위하여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송해야 하므로, 추가적으로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강제 전송 플래그(MUST_SEND flag)를 설정하여 해당 알림 메시지가 반드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S380).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 시키지 않은 경우(S372), 임계 시간까지 알림을 지연시킬 수 있다(S390). 임계 시간은 스크린 절전 시간일 수 있으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스크린이 꺼질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나타내며, 지나치게 짧은 경우, 스크린이 사용 중일 때 꺼지게 되며, 길 경우, 불필요한 배터리를 낭비하게 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자신의 스마트폰 입력 간격 시간에 기초하여 개인화된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임계 시간을 (스크린 절전 시간*0.5)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0 내지 S39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알림 메시지의 삭제 명령어를 전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로부터 미리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삭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수신된 삭제 요청에 따라 삭제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S410).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를 생성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이 온(screen on)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20).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를 생성하는 동안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의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S421), 삭제 명령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S422).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이 온으로 되어 있다면(S423), 삭제 명령어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431),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S432).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S433), 삭제 명령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송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송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어 있는 경우(S441), 해당 알림 메시지가 새로 발생하지 않는 이상 동기화를 위해 추가적으로 삭제 명령어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S442).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송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S443), 삭제 명령어의 전달을 지연할 수 있다(S45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0 내지 S4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중인 알림 및 지연된 알림을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알림 메시지의 지연 중에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되면(S510), 지연 중인 모든 알림 메시지의 지연을 취소하고, 각 알림 메시지에 사용자 인식 플래그(USER_PERCEIVED flag)를 설정할 수 있다(S52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2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가 지연 시간을 초과하거나, 또는 스크린 오프(screen off)가 발생되면(S550),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 중 사용자 인식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거나 강제 전송 플래그(MUST_SEND flag)가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모두 전달하고(S560), 전송된 알림 메시지를 제외하고 알림 메시지에 대한 리스트를 초기화할 수 있다(S57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50 내지 S57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제어 서버에서 위성 방송망 및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끊김 없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제어 서버에서 위성 방송망 및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끊김 없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웨어러블 디바이스
210: 생성부
220: 지연부
230: 전달부
240: 취소부
250: 업데이트부
260: 삭제부

Claims (18)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연부; 및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하지 않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이 지연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하는 취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부는 상기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이 온(on)되어 있는 동안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상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상기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하는 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삭제 명령어를 생성하는 삭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부는 상기 삭제 명령어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삭제하기 위해 상기 삭제 명령어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부는 상기 삭제 명령어가 상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상기 지연 중인 알림 이벤트를 삭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이 지연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8. 사용자 단말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21059A 2017-09-20 2017-09-2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62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59A KR102362690B1 (ko) 2017-09-20 2017-09-2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59A KR102362690B1 (ko) 2017-09-20 2017-09-2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795A true KR20190032795A (ko) 2019-03-28
KR102362690B1 KR102362690B1 (ko) 2022-02-14

Family

ID=6590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059A KR102362690B1 (ko) 2017-09-20 2017-09-2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1176A (zh) * 2021-01-08 2021-04-30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电量提示方法、装置、可穿戴按摩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936A (ko) * 2007-05-15 2008-11-21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수신알림 필터링서비스방법
KR101161520B1 (ko) * 2003-06-13 2012-07-09 야후! 인크. 알림 전달 아키텍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339101B1 (ko) * 2012-11-03 2013-12-09 박상용 스마트 디바이스의 주소록에 기반한 알람 제어 방법
KR20150135065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장치의 메시지 수신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520B1 (ko) * 2003-06-13 2012-07-09 야후! 인크. 알림 전달 아키텍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80100936A (ko) * 2007-05-15 2008-11-21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수신알림 필터링서비스방법
KR101339101B1 (ko) * 2012-11-03 2013-12-09 박상용 스마트 디바이스의 주소록에 기반한 알람 제어 방법
KR20150135065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장치의 메시지 수신 설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1176A (zh) * 2021-01-08 2021-04-30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电量提示方法、装置、可穿戴按摩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690B1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632B2 (en) Method for receiving data, method for sending data, mobile terminal, and server
US10404642B2 (en) Message notific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a communication account
US11356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nformation pushed-to terminal
EP3226481B1 (en) Method for heartbeat packet processing by using proxy,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US10491535B2 (en) Adaptive data synchronization
US11716299B2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server,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0154106B2 (en) Method for sending heartbeat message and mobile terminal
KR101828295B1 (ko) 단말 및 그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US20140074941A1 (en) Messaging and updating services over the air from application servers to applications in mobile devices
TW201911021A (zh) 介面訊息顯示及處理方法、裝置及電子設備
US10003617B2 (en) Terminal and application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CN109792403A (zh) 联网消息传递系统中的时移通信
KR101945361B1 (ko) 푸쉬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단말
KR20130050202A (ko) 푸쉬 서버 및 단말
CN114980191A (zh) 信息处理方法、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20190032795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4199585A1 (ja) 配信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プッシュ配信システム、並びに記憶媒体
CN110362395B (zh) 后台程序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US10088890B1 (en) Managing message delivery
US20220361106A1 (en) Modifying idle mode drx on wireless devices
US10091317B2 (en) Proximity-based content sharing scheme
WO2023185929A1 (zh) 资源控制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4093712A1 (zh) 中继通信链路处理方法、中继通信链路配置方法、中继终端处理方法及相关设备
US2024003119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multaneous delivery of output communications
WO2023185845A1 (zh) 通信方法、装置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