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710A - Scaffold and fabrication method by dragging technique - Google Patents
Scaffold and fabrication method by dragging techniqu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2710A KR20190032710A KR1020170120492A KR20170120492A KR20190032710A KR 20190032710 A KR20190032710 A KR 20190032710A KR 1020170120492 A KR1020170120492 A KR 1020170120492A KR 20170120492 A KR20170120492 A KR 20170120492A KR 20190032710 A KR20190032710 A KR 201900327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jection nozzle
- main frame
- cell support
- inner diameter
- techniqu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포지지체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래깅 기법으로 제작된 세포지지체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suppor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ll support fabricated by a dragging techniqu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조직공학에서 세포지지체(scaffold)는 인체의 손상된 장기 및 조직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In tissue engineering, cell scaffolds have been used to replace damaged organs and tissues in the body.
이러한 세포지지체는 재생하기 위한 특정 조직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한 후 체내로 삽입하기 위한 운송수단의 역할을 가지고 있어, 생분해성 및 적절한 기계적 강성의 기능을 갖추고, 특정 조직 배양을 위한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Such cell scaffolds serve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culturing specific tissue cells for in vitro culture and for inserting them into the body, thus providing a biodegradable and appropriate mechanical stiffness function and providing an environment for specific tissue culture .
이렇게 세포지지체로써 갖추어야 할 다양한 기능 중에서 세포에 원활한 영양분 공급, 산소 공급 등을 위해 단위 부피 내에 최대의 기공성을 갖는 다공성 구조 세포지지체 제작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Among the various functions to be provided as cell supports, studies have been made on porous structure cell supports having maximum porosity within a unit volume in order to supply nutrients to cells and supply oxygen.
다공성 구조 세포지지체 제작을 위해 전기방사(electro spinning) 시스템, 3D 플로팅(3D plotting) 시스템 등이 이용되어 왔다. 전기방사의 경우 전극을 이용하여 수 마이크로, 나노 크기의 섬유(fiber)를 토출하여 적층 가능하지만, 3D 플로팅 방식의 경우 사용하는 노즐의 직경에 따라 섬유의 크기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사용가능한 노즐의 크기 중 25㎛가 가장 작은 크기인 바 25㎛ 이하의 섬유 제작은 어렵다. Electro spinning systems, 3D plotting systems, and the like have been used to fabricate porous structural cell supports. In the case of electrospinning, although it is possible to stack several micro- and nano-sized fibers by using an electrode, the size of the fiber is limit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nozzle used in the 3D float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fibers having a size of 25 mu m or less, which is the smallest size of currently available nozzles, to be 25 mu m or less.
본 발명은 생적합성 고분자의 점성과 3D 플로팅 시 적용되는 다양한 변수들을 제어하여 노즐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섬유를 갖는 세포지지체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support having a fiber of a siz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nozzle by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the biocompatible polymer and various parameters applied in 3D floating,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방사 시스템과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수백 ㎛ 크기의 노즐을 이용하여 수 ㎛ 크기를 갖는 섬유를 제작할 수 있어, 공압, 스크류 타입의 3D 플로팅 시스템에서 제어 가능한 수 ㎛ 크기의 세포지지체 제작에 활용 가능한 드래깅 기법을 이용한 세포지지체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fibers having a size of several micrometers by using nozzles having a size of several hundred micrometers without any separate equipment such as an electrospinning system, and can produce a cell support having a size of several micrometers which can be controlled in a pneumatic and screw type 3D floating system And to provide a cell support using the dragging techniqu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 내경을 갖는 분사노즐을 통해 용융된 생체적합성 고분자 재료를 토출하는 세포지지체 제작 장치를 이용한 세포지지체 제작 방법으로, 세포지지체를 설계하는 단계; 상기 세포지지체를 분사노즐의 내경을 기준으로 하여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한 플로팅 기법 적용을 위한 제1 토출 조건과, 상기 서브프레임에 대한 드래깅 기법 적용을 위한 제2 토출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토출 조건과 상기 제2 토출 조건을 반복 적용하는 제어를 수행하여 복수의 슬라이스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지지체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ll support us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ell support that discharges a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melted through an injection nozzle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the method comprising: designing a cell support; Dividing the cell support into a main frame and a subframe based on an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nozzle; Setting a first ejection condition for applying a floating technique to the main frame and a second ejection condition for applying a dragging technique to the subframe; And a step of repeatedly applying the first discharging condition and the second discharging condition to laminate a plurality of slice layers.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분사노즐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복수의 메인 프레임 조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분사노즐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복수의 스트랜드로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main frame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main frame pieces made of fibers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jetting nozzle and the subframe is a portion made of fibers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jetting nozzle, Strand.
상기 드래깅 기법은 상기 메인 프레임 조각 사이에서 상기 분사노즐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용융된 생체적합성 고분자 재료를 늘어지게 하여 상기 스트랜드를 만들 수 있다.The dragging technique may horizontally move the injection nozzle between the main frame pieces to slacken the molten biocompatible polymeric material to form the strand.
상기 드래깅 기법은 상기 분사노즐의 토출압,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속도, 상기 메인 프레임 조각 사이의 거리,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경로 중 하나 이상의 토출 변수를 제어할 수 있다.The dragging technique may control at least one of a discharge pressure of the injection nozzle, a movement speed of the injection nozzle, a distance between the main frame pieces, and a movement path of the injection nozzl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세포지지체 제작 방법으로 제작된 세포지지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ll support produc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ell support.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는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방향에 따라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수평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strands may have a horizontal bar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방향이 층마다 동일한 경우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에 의해 생성되는 마이크로 기공은 브릿지(bridge)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is the same for each layer, the micro pores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strands may have a bridge shape.
또는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방향이 층마다 변동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에 의해 생성되는 마이크로 기공은 메쉬(mesh) 형태를 가질 수 있다.Or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varies from layer to layer, the micro pores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strands may have a mesh shap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적합성 고분자의 점성과 3D 플로팅 시 적용되는 다양한 변수들을 제어하여 노즐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섬유를 갖는 세포지지체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ell support having fibers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nozzle by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the biocompatible polymer and various parameters applied in 3D floating.
또한, 전기방사 시스템과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수백 ㎛ 크기의 노즐을 이용하여 수 ㎛ 크기를 갖는 섬유를 제작할 수 있어, 공압, 스크류 타입의 3D 플로팅 시스템에서 제어 가능한 수 ㎛ 크기의 세포지지체 제작에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bricate a fiber having a size of several micrometers by using a nozzle having a size of several hundred micrometers without any separate equipment such as an electrospinning system, so that it can be utilized for manufacturing a cell support having a size of several micrometers, which can be controlled in a pneumatic and screw type 3D floating system There is a possi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지지체 제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기존의 세포지지체 제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깅 기법을 이용한 세포지지체 제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깅 기법을 이용한 세포지지체 제작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드래깅 기법에 따라 제작된 브릿지 형태의 세포지지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드래깅 기법에 따라 제작된 메쉬 형태의 세포지지체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el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ll support manufacturing process,
FIG. 3 illustrates a process of fabricating a cell support using a dragg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ll support using a dragg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llustrates a bridge-shaped cell scaffold fabricated according to a dragging technique,
6 illustrates a mesh-shaped cell scaffold fabricated according to a dragging techniqu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description is omitted, multipl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gain in one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지지체 제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기존의 세포지지체 제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깅 기법을 이용한 세포지지체 제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깅 기법을 이용한 세포지지체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5는 드래깅 기법에 따라 제작된 브릿지 형태의 세포지지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드래깅 기법에 따라 제작된 메쉬 형태의 세포지지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fabricating a cel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fabricating a conventional cell support.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agg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ll support using a dragg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bridge-shaped cell support fabricated according to a dragging technique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mesh-shaped cell scaffold fabricated according to the dragging techniq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지지체 제작 장치는 3D 플로팅(3D plotting) 방식의 3D 프린터인 것을 가정한다. It is assumed that the cell suppor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3D plotting 3D printer.
도 1을 참조하면, 세포지지체 제작 장치(1)는 챔버(10), 공기 공급부(20), 분사노즐(30), 스테이지(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ell
챔버(10)에는 생체조직에 적합한 고분자 재료가 수용된다. 고분자 재료를 별도의 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필요한 양만큼 공급받을 수 있다. A polymer material suitable for living tissue is accommodated in the
챔버(10)에는 히터(미도시)가 포함되어 있어, 내부에 수용된 고분자 재료의 토출이 용이하도록 용융시킬 수 있다.The
공기 공급부(20)는 챔버(10)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고분자 재료가 공압에 의해 분사노즐(30)을 통해 토출되도록 한다. The
분사노즐(30)은 챔버(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챔버(10) 내에 수용된 고분자 재료가 스테이지(40) 상에 토출된다. 이 경우 하방으로 토출되는 고분자 재료는 분사노즐(30)의 내경에 종속되는 크기를 가지게 된다. The
분사노즐(30)이 장착된 챔버(10)는 XYZ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지(40)가 XYZ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분사노즐(30)이 장착된 챔버(10)가 XYZ 방향 중 n(n은 2 이하의 자연수)개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스테이지(40)는 나머지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분사노즐(30)이 장착된 챔버(10)와 스테이지(40) 사이의 3차원 이동성으로 인해 3차원 형상의 세포지지체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The three-dimensional mobility between the
세포지지체는 다수의 층으로 슬라이스된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포지지체 제작 장치(1)는 층 단위로 공압에 의해 챔버(10) 내의 고분자 재료를 분사노즐(30)을 통해 토출시키면서 경화시켜 층 단위로 구분된 세포지지체 조각들(세포지지체 슬라이스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완전한 세포지지체를 이루도록 한다. The cell support may be designed to have a sliced structure with multiple layers. The cell
이 경우 플로팅 기법에 따르면 고분자 재료는 분사노즐(30)을 통해 하방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분사노즐(30)을 통해 토출되는 섬유는 분사노즐(30)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게 된다. 예컨대, 분사노즐(30)이 150㎛ 라면 토출된 섬유 역시 150㎛ 정도의 크기를 가지게 된다.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floating technique, the polymer material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분사노즐(30)을 통한 고분자 재료의 토출 과정에서 토출 변수를 제어하는 드래깅 기법(dragging technique)을 통해 분사노즐(3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섬유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n this embodiment, a fiber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도 2에는 세포지지체를 제작하기 위한 일반적인 플로팅 기법이 도시되어 있다. 일정 간격 이격된 두 개의 기둥(51a, 51b, 이하 '51'로 통칭하기도 함)을 가지는 세포지지체(50)를 제작할 경우를 가정한다. Figure 2 shows a general floating technique for making cell supports. It is assumed that a
제1 기둥(51a)에 대해 분사노즐(30)을 통한 플로팅으로 슬라이스층이 제작되도록 토출이 완료되면 분사노즐(30)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분사노즐(30)을 수평 이동시켜 제2 기둥(51b)의 상방에 놓이게 한 후, 분사노즐(30)을 하강시켜 제2 기둥(51b)에서 상응하는 슬라이스층을 제작하기 위한 플로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플로팅되는 제1 기둥(51a)의 슬라이스층과 제2 기둥(51b)의 슬라이스층은 분사노즐(30)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예. 직경)를 가지게 된다. The
도 3에는 세포지지체를 제작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래깅 기법이 도시되어 있다. FIG. 3 shows a dragging techniqu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 fabricating a cell support.
도 2와 마찬가지로 일정 간격 이격된 두 개의 기둥(51a, 51b)을 가지는 세포지지체(50)에 대해서 제1 기둥(51a)에 대한 분사노즐(30)을 통한 플로팅이 이루어진 후 분사노즐(30)의 상승, 수평 이동, 하강 과정이 생략되고, 분사노즐(30)을 직접 제2 기둥(51b)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2, the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고분자 재료의 토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즉, 수평 방향)으로 분사노즐(30)을 이동시켜 분사노즐(30)에서 토출 중이거나 토출이 완료되고 남은 재료가 수평 방향으로 길게 늘어져 직경이 줄어드는 수평 바 구조의 스트랜드(60)를 만들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 때 분사노즐(30)을 통한 용융된 고분자 재료의 토출 변수를 제어하여 제1 기둥(51a)에서의 플로팅과 제2 기둥(51b)에서의 플로팅 사이에서 재료의 점성에 의해 수평으로 길게 늘어지는 형상의 스트랜드(60)가 만들어지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by controlling the discharging parameters of the molten polymer material through the
도면에서 기둥 구조물은 세포지지체를 이루는 메인 프레임이 되고, 기둥(51a, 51b) 사이에 만들어지는 스트랜드(60)는 서브 프레임이 된다. In the drawing, the column structure becomes a main frame constituting the cell support, and the
메인 프레임은 플로팅 기법으로 제작되며, 서브 프레임은 플로팅 사이에서 드래깅 기법으로 제작된다. The mainframe is made of floating technique, and the subframe is made by dragging technique between floating.
드래깅 기법에서 제어 가능한 토출 변수로는 토출 압력(Q), 이동속도(V), 기둥 사이의 거리(d), 분사노즐(30)의 이동 경로(pathway), 공기압력, 재료의 점성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ejection parameters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dragging technique are the ejection pressure Q, the movement speed V, the distance d between the columns, the pathway of the
토출 압력(Q)은 스트랜드(60)의 크기 및 길이에 관계된다. 토출 압력(Q)이 클 경우에는 드래깅 기법에 의할 때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스트랜드(60)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토출 압력(Q)이 작을 경우에는 스트랜드(60)의 크기(직경)를 작게 제작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ressure Q is related to the size and length of the
이동속도(V)는 스트랜드(60)의 크기에 관계된다. 이동속도(V)가 빠를 경우에는 이동경로 상의 각 지점에서 토출 방향으로 하강되는 재료가 적어 스트랜드(60)의 크기가 작게 된다. 이동속도(V)가 느릴 경우에는 이동경로 상의 각 지점에서 토출 방향으로 하강되는 재료가 많아 스트랜드(60)의 크기가 크게 된다. The moving speed V is related to the size of the
기둥 사이의 거리(d)는 스트랜드(60)의 최소 길이가 된다. 드래깅 기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트랜드(60)가 기둥 사이의 거리(d)보다 큰 길이를 가져야 최종 제작된 세포지지체에서 미세 기공을 만들어주는 역할이 가능할 수 있다.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ts is the minimum length of the
분사노즐(30)의 이동 경로(pathway)는 스트랜드(60)의 배치와 관계된다. 분사노즐(3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스트랜드(60)의 두께가 점점 작아지면서 수평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드래깅 기법으로 만들어지는 스트랜드(60)는 메인 프레임에 해당하는 기둥(51a, 51b)과 비교할 때 상당히 작은 크기(예. 직경)를 가질 수 있어, 세포지지체에서 기둥(51a, 51b) 사이에 형성되는 매크로 기공에 속하는 다수의 마이크로 기공을 구획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The pathway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드래깅 기법을 이용한 세포지지체 제작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a method of fabricating a cell support using a dragging technique is shown.
우선 제작하고자 하는 세포지지체를 설계한다(단계 S100). First, a cell support to be fabricated is designed (step S100).
설계된 세포지지체는 분사노즐(30)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섬유로 제작 가능한 메인 프레임과, 분사노즐(3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섬유로 제작해야 하는 서브 프레임으로 구분한다(단계 S102). The designed cell support is divided into a main frame which can be made of fiber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메인 프레임은 세포지지체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 기둥(51)과 같은 메인 프레임 조각들로 구성된다. The main frame is the main frame of the cell support, and consists of main frame pieces such as the pillars 51.
서브 프레임은 분사노즐(30)의 토출 방향과는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놓여지는 스트랜드(60)로만 제작되는 부분이다. 스트랜드(60) 각각이 서브 프레임 조각이 될 수 있다. The subframe is a portion made only of the
메인 프레임은 다수의 슬라이스층으로 구분되며, 서브 프레임의 스트랜드(60)는 하나의 슬라이스층에 대응된다. The main fram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lice layers, and the
설계가 완료되면, 토출 조건을 설정한다(단계 S110). When the design is completed, a discharge condition is set (step S110).
메인 프레임에 대해서는 플로팅 기법에 따른 토출 조건을 설정한다(단계 S112). 플로팅 기법에 따른 토출 조건은 3D 프린팅 혹은 3D 플로팅에서 자명한 사항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or the main frame, a discharg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floating technique is set (step S112). The ejectio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floating technique are obvious in the 3D printing or 3D floating,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서브 프레임에 대해서는 드래깅 기법에 따른 토출 조건을 설정한다(단계 S114). 드래깅 기법에 의한 토출 조건 설정 시에 전술한 것과 같이 각종 토출 변수에 대한 제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 가능한 토출 변수로는 토출량(Q), 이동속도(V), 드래깅 전후에 플로팅이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 조각 사이의 거리(d), 분사노즐(30)의 이동경로 등이 있다. Then, a discharge condition according to the dragging technique is set for the subframe (step S114). Control of various ejection variables may be included in setting the ejection conditions by the dragging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able ejection variables include a discharge amount Q, a moving speed V, a distance d between main frame pieces floating before and after dragging, and a movement path of the
세포지지체 제작 장치(1)를 제어하여 복수의 슬라이스층을 적층함으로써 세포지지체를 제작한다(단계 S120). A cell support is manufactured by controlling the cell
하나의 슬라이스층은 메인 프레임에 해당하는 메인 프레임 조각과 서브 프레임에 해당하는 스트랜드로 구분될 수 있다. 스트랜드는 메인 프레임 조각 사이에 배치된다. One slice layer may be divided into a main frame piece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and a strand corresponding to the sub frame. The strands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frame pieces.
메인 프레임 조각에 대해서는 플로팅 기법을 적용하고(단계 S122), 서브 프레임 조각인 스트랜드에 대해서는 드래깅 기법을 적용한다(단계 S124). The floating technique is applied to the main frame slice (step S122), and the dragging technique is applied to the strand which is a subframe slice (step S124).
제1 메인 프레임 조각에 대해 플로팅이 완료된 이후 이웃하는 제2 메인 프레임 조각에 대한 플로팅을 위해 분사노즐(30)을 수평 이동시킬 때 드래깅 기법에 의해 스트랜드를 만들어 준다. 이를 반복하면 하나의 슬라이스층이 완성된다. The strand is made by the dragging technique when the
복수의 슬라이스층에 대한 제작이 완료되면, 세포지지체가 완성된다(단계 S130). 완성된 세포지지체의 경우 메인 프레임에 의한 매크로 기공과 서브 프레임에 의한 마이크로 기공이 존재하여 2중 기공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세포 배양에 유리한 형상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When fabrication of a plurality of slice layers is completed, the cell support is completed (step S130). In the case of the completed cell support, macropores due to the main frame and micropores due to the subframe are present, thereby having a double pore structure, which is advantageous in favor of cell culture.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래깅 기법이 적용된 브릿지(bridge) 형태의 마이크로 기공을 갖는 세포지지체가 도시되어 있다. FIG. 5 shows a cell support having micropores in the form of a bridge to which the dragging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세포지지체(200)의 기둥(210) 사이에는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스트랜드(220)가 형성되어 있어, 기둥(210) 사이의 매크로 기공 내에 스트랜드(220) 사이의 마이크로 기공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스트랜드(22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일방향 드래깅에 의해서만 생성되어 있어 동일한 형상이 반복된 구조를 갖는다. A plurality of micro pores between the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래깅 기법이 적용된 메쉬(mesh) 형태의 마이크로 기공을 갖는 세포지지체가 도시되어 있다. FIG. 6 shows a cell support having a micro pore in the form of a mesh to which the dragging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세포지지체(300)의 기둥 사이에는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스트랜드가 형성되어 있는데, 일정 높이마다 스트랜드의 방향이 변경된 구조를 갖는다. 에컨대, 하층에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드래깅에 의한 스트랜드(310)가 만들어지고, 중층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드래깅에 의한 스트랜드(320)가 만들어지며, 상층에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드래깅에 의한 스트랜드(330)가 만들어져 도 5와는 차별화되게 미세 기공이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Strands having a gradually thinner thickness are formed between the pillars of th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마이크로 기공은 기존의 3D 플로팅 방식으로는 제작할 수 없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The micro pores shown in FIGS. 5 and 6 have a size that can not be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3D floating metho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세포지지체 제작 장치
10: 챔버
20: 공기 공급부
30: 분사노즐
40: 스테이지
50: 세포지지체
51a, 51b: 기둥
60: 스트랜드1: cell support preparation apparatus 10: chamber
20: air supply part 30: injection nozzle
40: stage 50: cell support
51a, 51b: Column 60: Strand
Claims (8)
세포지지체를 설계하는 단계;
상기 세포지지체를 분사노즐의 내경을 기준으로 하여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한 플로팅 기법 적용을 위한 제1 토출 조건과, 상기 서브프레임에 대한 드래깅 기법 적용을 위한 제2 토출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토출 조건과 상기 제2 토출 조건을 반복 적용하는 제어를 수행하여 복수의 슬라이스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지지체 제작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cell support using a cell support produc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a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melted through an injection nozzle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Designing a cell support;
Dividing the cell support into a main frame and a subframe based on an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nozzle;
Setting a first ejection condition for applying a floating technique to the main frame and a second ejection condition for applying a dragging technique to the subframe;
And repeating application of the first ejection condition and the second ejection condition to laminate a plurality of slice layers.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분사노즐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복수의 메인 프레임 조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분사노즐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복수의 스트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지지체 제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frame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main frame pieces made of fibers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jetting nozzle,
Wherein the subframe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strands made of fibers having a size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nozzle.
상기 드래깅 기법은 상기 메인 프레임 조각 사이에서 상기 분사노즐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용융된 생체적합성 고분자 재료를 늘어지게 하여 상기 스트랜드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지지체 제작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agging technique horizontally moves the injection nozzle between the main frame pieces to slacken the molten biocompatible polymeric material to form the strand.
상기 드래깅 기법은 상기 분사노즐의 토출압,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속도, 상기 메인 프레임 조각 사이의 거리,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경로 중 하나 이상의 토출 변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지지체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ragging technique controls at least one of a discharge pressure of the injection nozzle, a movement speed of the injection nozzle, a distance between the main frame pieces, and a movement path of the injection nozzle.
A cell scaffold prepa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ell scaffol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는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방향에 따라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수평 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지지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strands have a horizontal bar shape in which a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in accordance with a moving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방향이 층마다 동일한 경우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에 의해 생성되는 마이크로 기공은 브릿지(bridge)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지지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is the same for each layer, the micro pores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strands have a bridge shape.
상기 분사노즐의 이동방향이 층마다 변동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에 의해 생성되는 마이크로 기공은 메쉬(mesh)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지지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icropore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strands has a mesh shape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varies from layer to lay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0492A KR102026635B1 (en) | 2017-09-19 | 2017-09-19 | Scaffold and fabrication method by dragging techniqu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0492A KR102026635B1 (en) | 2017-09-19 | 2017-09-19 | Scaffold and fabrication method by dragging techniqu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2710A true KR20190032710A (en) | 2019-03-28 |
KR102026635B1 KR102026635B1 (en) | 2019-09-30 |
Family
ID=6590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0492A KR102026635B1 (en) | 2017-09-19 | 2017-09-19 | Scaffold and fabrication method by dragging techniqu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663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7555A (en) * | 2019-08-27 | 2021-03-11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Artificial vascular scaffold with multi-layer tubular using 3D bioprinting and fabrica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WO2021060736A1 (en) * | 2019-09-26 | 2021-04-01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Artificial esophageal structure having multi-layer structure using three-dimensional bio-printing,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KR20210035933A (en) * | 2019-09-24 | 2021-04-02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Freeform membrane using 3D printing and fabrica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7395B1 (en) * | 2007-02-20 | 2008-07-18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Preparation of drug delivery system using drug-polymer composite deposition system |
KR20090054208A (en) * | 2007-11-26 | 2009-05-29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cise multi-head deposition apparatus and three dimensional scaffold fabr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JP2010099494A (en) * | 2004-03-03 | 2010-05-06 |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 Manufacturing method of three-dimensional medical structure |
KR20140033996A (en) * | 2012-09-11 | 2014-03-19 | 한국기계연구원 | Making method for complex-pore scaffold and the scaffold |
KR20150097087A (en) * | 2014-02-18 | 2015-08-26 | 한국기계연구원 | Fabrication method of hybrid scaffold and the scaffold made by the method |
KR20160125614A (en) | 2015-04-22 | 2016-11-01 | 주식회사 엔터봇 | Temperature adjustment apparatus of 3D printer extruder |
-
2017
- 2017-09-19 KR KR1020170120492A patent/KR10202663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99494A (en) * | 2004-03-03 | 2010-05-06 |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 Manufacturing method of three-dimensional medical structure |
KR100847395B1 (en) * | 2007-02-20 | 2008-07-18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Preparation of drug delivery system using drug-polymer composite deposition system |
KR20090054208A (en) * | 2007-11-26 | 2009-05-29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cise multi-head deposition apparatus and three dimensional scaffold fabr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KR20140033996A (en) * | 2012-09-11 | 2014-03-19 | 한국기계연구원 | Making method for complex-pore scaffold and the scaffold |
KR20150097087A (en) * | 2014-02-18 | 2015-08-26 | 한국기계연구원 | Fabrication method of hybrid scaffold and the scaffold made by the method |
KR20160125614A (en) | 2015-04-22 | 2016-11-01 | 주식회사 엔터봇 | Temperature adjustment apparatus of 3D printer extrude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7555A (en) * | 2019-08-27 | 2021-03-11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Artificial vascular scaffold with multi-layer tubular using 3D bioprinting and fabrica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WO2021040424A3 (en) * | 2019-08-27 | 2021-04-15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Artificial blood vessel structure having multi-layer structure, using three-dimensional bio-printing,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KR20210035933A (en) * | 2019-09-24 | 2021-04-02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Freeform membrane using 3D printing and fabrica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WO2021060736A1 (en) * | 2019-09-26 | 2021-04-01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Artificial esophageal structure having multi-layer structure using three-dimensional bio-printing,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KR20210037052A (en) * | 2019-09-26 | 2021-04-06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Artificial esophageal scaffold with multi-layer tubular using 3D bioprinting and fabrica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6635B1 (en) | 2019-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667344B (en) | 3D printing techniques for producing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 |
KR20190032710A (en) | Scaffold and fabrication method by dragging technique | |
US10913032B2 (en) | 3D polymer nanofiber membrane composed of 1D individual polymer nanofibers which are quasi-aligned and cross-laminated like grid structure with functions of controlling pore distribution and siz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8449283B2 (en) | Dies for forming extrusions with thick and thin walls | |
EP2447396B1 (en) | Electrospinning membrane machine in warp and weft directions and application process thereof | |
KR20150097087A (en) | Fabrication method of hybrid scaffold and the scaffold made by the method | |
DE10201710523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mputer-aided generation of 3-dimensional foam structures from a mixture of a polymer material and a blowing agent | |
US20230347576A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printing a porous structure | |
KR20090073566A (en) | A collective fibers reinforced polymeric strip, method thereof, and a geogrid using the same | |
US20210299943A1 (en) | Method of 3d printing a cellular solid | |
KR101849948B1 (en) | Biocompatible polymer scaffold with structure for enhanced mechanical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CN105034377B (en) | High polymer material supercritical fluid micropore foaming three-dimensional forming device and application | |
KR101283333B1 (en) | Cylindrical channel having saw-toothed cross sec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channel | |
CZ302876B6 (en) | Method of and device for producing nanofibers by flooded electrostatic spinning | |
Yunmin et al. | Application and analysis of biological electrospray in tissue engineering | |
US8513014B2 (en) | Method for fabricating foam scaffolds to culture cells | |
KR102252406B1 (en) | Freeform membrane using 3D printing and fabrica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
US20170043509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bonded body comprising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and foam | |
KR101637070B1 (en) | Nano-micro hybrid scaffold | |
KR102306282B1 (en) | Artificial vascular scaffold with multi-layer tubular using 3D bioprinting and fabrica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
KR101471928B1 (en) | Cell culture container | |
KR20160133061A (en) | Cell culture scaffold using water soluble polymer | |
KR101865769B1 (en) | Cell culture scaffold | |
KR102158012B1 (en) | Dual Fluidic Channel with Poros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US20130307169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optical el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