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339A -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339A
KR20190032339A KR1020190031982A KR20190031982A KR20190032339A KR 20190032339 A KR20190032339 A KR 20190032339A KR 1020190031982 A KR1020190031982 A KR 1020190031982A KR 20190031982 A KR20190031982 A KR 20190031982A KR 20190032339 A KR20190032339 A KR 2019003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ntroller
time
palm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272B1 (ko
Inventor
강지영
김경화
신동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2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을 검출하고, 터치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 또는 터치의 이동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터치 동작들이 제안되며, 각각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키보드(keyboard)나 마우스(mouse) 등의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의 휴대 단말기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신하여 터치 패널(touch panel)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 터치 패널은 다수개의 터치 센서(touch sensor)들로 이루어진다. 즉 휴대 단말기는 터치 센서에서 감지되는 터치 동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며, 해당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터치 동작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터치 동작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터치 동작들을 제안하고, 각각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행 과정은, 상기 터치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행 과정은, 상기 터치의 이동이 있으면, 상기 터치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행 과정은, 상기 터치의 이동이 없으면, 상기 터치의 유지 시간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을 검출하기 위한 면적 검출부와, 상기 터치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이동이 있으면, 상기 터치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이동이 없으면, 상기 터치의 유지 시간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터치 동작들이 제안되며, 각각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즉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의 터치 면적, 이동 여부,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또는 유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터치 동작을 결정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각각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3은 도 2에서 팜 터치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2에서 팜 터치 모드 수행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8은 도 2에서 핑거 터치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도 2에서 핑거 터치 모드 수행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터치(touch)"라는 용어는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거나 접근하는 행위를 나타낸다. 이 때 터치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stylus)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면적, 이동 여부,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또는 유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다양한 터치 동작들로 제공된다. "팜 터치(palm touch)"라는 용어는 터치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터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팜 터치는 터치 스크린에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날(hand blade)이 접촉하거나 접근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핑거 터치(finger touch)"라는 용어는 터치 면적이 면적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해당하는 터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핑거 터치는 터치 스크린에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거나 접근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터치 스크린(120), 제어부(130), 메모리(140), 오디오 처리부(150) 및 키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표시부(121)와 터치 패널(123)을 포함한다. 표시부(121)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121)는 LCD로 구현되며, LCD 제어부,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한다. 터치 패널(123)은 표시부(121)에 장착되어, 표시부(121) 상에서 터치 동작을 감지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123)은 터치 감지부(125)와 신호 변환부(127)로 이루어진다. 터치 감지부(125)는 물리량, 예컨대 저항,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 동작을 감지한다. 신호 변환부(127)는 물리량의 변화를 터치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터치 동작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한다. 즉 제어부(130)는 터치 동작 별로 상이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 이동 여부,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또는 유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터치 동작을 식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면적 검출부(131), 이동 추적부(133) 및 시간 검출부(135)를 포함한다. 면적 검출부(131)는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위치 및 터치 면적을 검출한다. 이동 추적부(133)는 터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이동 추적부(133)는 터치에 대응하는 이동 방향을 추적하고, 이동 거리를 검출한다. 시간 검출부(135)는 터치에 대응하여 터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유지 범위 내에서 터치의 유지 시간을 검출한다.
메모리(1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터치 동작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메모리(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각각의 기능을 연관시켜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 이동 여부,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또는 유지 시간과 개별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임계치들을 저장하고 있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60)는 각종 기능 등을 설정하고 실행시키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절차는, 제어부(130)가 211단계에서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즉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을 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120)을 통해 동작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메뉴(menu)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응하여 동작 화면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터치 스크린(120)에서 터치가 발생되면, 제어부(130)가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5단계에서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을 검출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터치 위치를 더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의 사이즈를 터치 면적으로 검출하고, 해당 영역의 다수개의 좌표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217단계에서 터치 면적을 미리 설정된 면적 임계치와 비교한다. 여기서, 면적 임계치는 단일 수치일 수 있으며, 일정 범위에 해당하는 수치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터치 면적에서 전체적인 사이즈를 면적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으며, 터치 면적에서 특정 방향에 해당하는 길이를 면적 임계치와 비교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30)는 터치 면적이 면적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217단계에서 터치 면적이 면적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219단계에서 터치를 팜 터치로 파악하고 팜 터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팜 터치 모드를 수행한다. 이 때 터치 면적이 면적 임계치에 해당하는 수치들 중 상한값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팜 터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이동 여부,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또는 유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터치 동작을 더 구분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30)의 팜 터치 수행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서 팜 터치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도 2에서 팜 터치 모드 수행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311단계에서 팜 터치에 이동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팜 터치가 터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유지 범위 내에 해당하는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팜 터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311단계에서 팜 터치에 이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313단계에서 팜 터치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고, 이동 거리를 검출한다. 이 때 팜 터치의 이동은 팜 터치의 드래그(drag), 스윕(sweep) 및 트위스트(twist)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315단계에서 이동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 임계치와 비교한다. 여기서, 거리 임계치는 단일 수치일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수치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거리 임계치는 특정 방향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이동 거리를 거리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으며, 이동 거리를 이동 방향과 연관시켜 거리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315단계에서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321단계에서 팜 터치의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에 해당하는 수치들 중 하한값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이동 거리를 거리 임계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수치와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수치를 검출하여 팜 터치의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에서 팜 터치의 해제에 대응하여,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30)는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315단계에서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도 2로 리턴한다.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 표시 중 터치 스크린(120)의 좌에서 우로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날이 통과하면,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고, 이동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을 이미지로 획득(capture)할 수 있다.
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 표시 중 터치 스크린(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날이 통과하면,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고, 이동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화면은 제어부(130)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홈 화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메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메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지 않고, 홈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 표시 중 터치 스크린(120)에서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바닥이 트위스트되면,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터치 위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팜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팜 터치에 해당하는 영역의 경계부에 배치되는 좌표들의 변화를 감지하여 팜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팜 터치에 해당하는 영역의 경계부에 배치되는 좌표들을 연결하는 축들 중 장축의 방향 변화를 감지하여 팜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고, 이동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오디오 처리부(150)를 통해 터치 스크린(120)의 잠금을 알리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311단계에서 팜 터치에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317단계에서 팜 터치의 유지 시간을 검출한다. 즉 팜 터치가 유지 범위 내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이탈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팜 터치가 이동 없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319단계에서 유지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임계치와 비교한다. 여기서, 시간 임계치는 단일 수치일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수치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유지 시간이 시간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319단계에서 유지 시간이 시간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321단계에서 팜 터치의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유지 시간이 시간 임계치에 해당하는 수치들 중 하한값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유지 시간을 시간 임계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수치와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수치를 검출하여 팜 터치의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에서 팜 터치의 해제에 대응하여,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30)는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319단계에서 유지 시간이 시간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도 2로 리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화상 통화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을 수행하여 영상 또는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 표시 중 터치 스크린(120)에서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바닥이 접촉되면,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유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유지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 시간이 시간 임계치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동작 화면에 대응하여 영상 또는 음성의 재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또는 음성의 재생이 정지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20)에서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바닥 접촉이 해제되면, 제어부(13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또는 음성의 재생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영상 또는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동작 화면은 영상의 정지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 표시 중 터치 스크린(120)에서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바닥이 접촉되면, 제어부(!30)는 팜 터치의 유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팜 터치의 유지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 시간이 시간 임계치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동작 화면에 대응하여 영상 또는 음성의 재생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217단계에서 터치 면적이 면적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221단계에서 터치를 핑거 터치로 파악하고 핑거 터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핑거 터치 모드를 수행한다. 이 때 터치 면적이 면적 임계치에 해당하는 수치들 중 하한값 미만이면,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의 이동 여부,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또는 유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터치 동작을 더 구분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핑거 터치 수행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2에서 핑거 터치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도 2에서 핑거 터치 모드 수행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811단계에서 핑거 터치에 이동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가 터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유지 범위 내에 해당하는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핑거 터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811단계에서 핑거 터치에 이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813단계에서 핑거 터치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고, 이동 거리를 검출한다. 이 때 핑거 터치의 이동은 핑거 터치의 드래그, 스윕 및 트위스트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815단계에서 이동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 임계치와 비교한다. 여기서, 거리 임계치는 단일 수치일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수치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거리 임계치는 특정 방향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이동 거리를 거리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으며, 이동 거리를 이동 방향과 연관시켜 거리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815단계에서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817단계에서 핑거 터치의 터치 면적이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823단계에서 핑거 터치의 터치 면적 변경 여부에 따라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에 해당하는 수치들 중 하한값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이동 거리를 거리 임계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수치와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수치를 검출하여 핑거 터치의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에서 핑거 터치의 해제에 대응하여,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30)는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815단계에서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도 2로 리턴한다.
예를 들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 표시 중 터치 스크린(120)에서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위스트되면,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의 터치 위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팜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에 해당하는 영역의 경계부에 배치되는 좌표들의 변화를 감지하여 핑거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에 해당하는 영역의 경계부에 배치되는 좌표들을 연결하는 축들 중 장축의 방향 변화를 감지하여 핑거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고, 이동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 표시 중 터치 스크린(120)일 모서리(corner)의 가장자리에서 내부로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행(drag)하면,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고, 이동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치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에서 대응하는 모서리를 접는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이 후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에서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손가락이 유지되면,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이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면적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화면에 북마크(bookmark) 처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동작 화면의 위치를 즐겨찾기 목록에 추가하여 기록할 수 있다.
한편, 811단계에서 핑거 터치에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819단계에서 핑거 터치의 유지 시간을 검출한다. 즉 핑거 터치가 유지 범위 내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이탈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핑거 터치가 이동 없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821단계에서 유지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임계치와 비교한다. 여기서, 시간 임계치는 단일 수치일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수치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유지 시간이 시간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821단계에서 유지 시간이 시간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823단계에서 핑거 터치의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유지 시간이 시간 임계치에 해당하는 수치들 중 하한값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유지 시간을 시간 임계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수치와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유지 시간에 대응하는 수치를 검출하여 핑거 터치의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에서 핑거 터치의 해제에 대응하여,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30)는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821단계에서 유지 시간이 시간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면적에 따라 팜 터치와 핑거 터치로 구분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휴대 단말기에 다수개의 면적 임계치들이 설정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면적 임계치들을 이용하여 터치 면적을 다양한 기준 범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터치 면적을 터치의 이동 여부,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또는 유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터치 동작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터치 동작들이 제안되며, 각각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즉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의 터치 면적, 이동 여부,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또는 유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터치 동작을 결정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각각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

  1.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스피커;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화 통화를 수신 시, 상기 스피커가 상기 전화 통화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 중 수신한 터치 입력이 핑거(finger) 입력 또는 팜(palm) 입력인지 판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핑거 입력인 경우 상기 스피커가 상기 사운드를 계속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팜 입력인 경우 상기 스피커가 상기 사운드의 출력을 멈추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운드의 출력이 멈춘 이후, 상기 팜 입력의 지속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 또는 상태를 변경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90031982A 2019-03-20 2019-03-20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133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982A KR102133272B1 (ko) 2019-03-20 2019-03-20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982A KR102133272B1 (ko) 2019-03-20 2019-03-20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060A Division KR101962445B1 (ko) 2011-08-30 2011-08-30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231A Division KR102249182B1 (ko) 2020-07-07 2020-07-07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339A true KR20190032339A (ko) 2019-03-27
KR102133272B1 KR102133272B1 (ko) 2020-07-13

Family

ID=6590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982A KR102133272B1 (ko) 2019-03-20 2019-03-20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45B1 (ko) 2011-08-30 2019-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249182B1 (ko) * 2020-07-07 2021-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0026A1 (en) * 2008-07-25 2010-01-28 Microsoft Corporation Touch Interaction with a Curved Display
WO2011094936A1 (en) * 2010-02-04 2011-08-11 Nokia Corporation User input
KR101962445B1 (ko) * 2011-08-30 2019-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0026A1 (en) * 2008-07-25 2010-01-28 Microsoft Corporation Touch Interaction with a Curved Display
WO2011094936A1 (en) * 2010-02-04 2011-08-11 Nokia Corporation User input
KR101962445B1 (ko) * 2011-08-30 2019-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272B1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445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648747B1 (ko) 복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870848B1 (ko) 사이드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과 장치 및 단말기
CN104536684B (zh) 界面显示方法及装置
KR102209910B1 (ko) 위치 표시 장치의 입력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526494A (zh) 键盘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30099717A (ko) 터치 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9032447B (zh) 一种图标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2013009733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33272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9886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in touchscreen-based devices
KR102249182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5468194B (zh) 触控响应方法及装置
CN106897017A (zh) 控制终端屏幕的方法及装置
CN111665979A (zh) 操控方法及电子设备
KR102197912B1 (ko) 제스처 인식에 따른 기능 실행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50081496A (ko) 터치식 센서를 이용한 음향장치의 조작방법
CN107329604A (zh)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装置
CN107340899A (zh) 一种移动终端、移动终端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