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175A - Apparatus and method for de-identification on offline document, and apparatus for restoration on offline docu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e-identification on offline document, and apparatus for restoration on offline doc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175A
KR20190032175A KR1020180085029A KR20180085029A KR20190032175A KR 20190032175 A KR20190032175 A KR 20190032175A KR 1020180085029 A KR1020180085029 A KR 1020180085029A KR 20180085029 A KR20180085029 A KR 20180085029A KR 20190032175 A KR20190032175 A KR 20190032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area
image
unit
mas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소희
김건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6/116,90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087602A1/en
Publication of KR2019003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1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06F21/6254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by anonymising data, e.g. decorrelating personal data from the owner's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06T5/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Abstract

Disclosed are off-line document de-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n off-line document restoring apparatus. The off-line document de-identification apparatus comprises: an image obtaining unit obtaining an off-line document as an image; a document area detection unit detecting a document area from th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obtaining unit; a de-identification unit performing de-identification for a first area which is an are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ocument area;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a document including the de-identified first area.

Description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DE-IDENTIFICATION ON OFFLINE DOCUMENT, AND APPARATUS FOR RESTORATION ON OFFLINE DOCUMENT}[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DE-IDENTIFICATION ON OFFLINE DOCUMENT, AND APPARATUS FOR RESTORATION ON OFFLINE DOCUMENT [0002]

본 발명은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line document non-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n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오프라인 상에서 개인 신분 정보가 포함된 문서들(예를 들면, 신분증 복사본, 우편물 주소, 단체 가입원서 등)이 보안이 제공되지 않은 채 유통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개인 신분 정보가 노출되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문서 내 개인 신분 정보가 포함된 영역 중 일부 내용을 가리거나 다른 내용으로 변환하여 유통하였다. 그러나 이는 개인 정보가 반영구적으로 삭제되므로, 필요에 따라 개인 신분 정보를 다시 확인활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Documents contain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for example, copies of ID cards, mailing addresses, group membership applications, etc.) are being circulated without security provided, which exposes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to social problems have. To improve this, some of the areas contain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ocument were covered or converted into other contents and circulated. However, since the personal information is permanently dele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not be checked again as needed.

온/오프라인 상에 유통되는 개인 신분 정보는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비식별화되어 유통되고 있다. 개인 신분 정보는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서 불특정 다수에게 감춰져야 하지만, 사회적 안전 서비스를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허가된 관리자에 의해 복원이 가능해야 한다. 온라인 상의 개인 신분 정보는 프라이버시 마스킹 기법을 적용하여 비식별화와 동시에 복원이 가능한 기술이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오프라인인 상의 개인 신분 정보를 위해, 복원이 가능한 비식별화 기술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distributed on / off line has been uniquely identified and distributed in various ways in order to protect individual privacy.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must be hidden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privacy.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an be applied to the privacy masking technique and can be restored simultaneously with non - identification. However, for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on the off-line person, there is no provision for non-identifiable technology that can be resto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프라인 문서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 신분 정보가 포함된 영역을 비식별화하고 필요한 경우 복원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non-discriminating an area includ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n offline document and enabling restoration if necessar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는,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에서 문서 영역을 검출하는 문서 영역 검출부, 상기 문서 영역 중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역인 제1 영역에 대해서 비식별화를 수행하는 비식별화부, 그리고 상기 비식별화된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문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ffline document non-discrimination apparatus is provided. The offline document non-discrimination apparatus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n offline document as an image, a document reg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document region in the acquired image, a first region that is an area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document region A non-identifying unit for performing the non-identifying,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document including the non-identified first region.

상기 비식별화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해서 마스킹을 통해 비식별화를 수행할 수 있다. The non-identifying unit may perform non-discrimination on the first area through masking.

상기 비식별화부는, 상기 문서 영역에 상기 비식별화된 제1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마커를 삽입할 수 있다. The non-identifying unit may insert a marker for displaying the non-identified first area in the document area.

상기 비식별화부는, 상기 문서 영역에서 상기 삽입된 마커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문서 영역의 소정의 위치에 저장할 수 있다. The non-identifying unit may stor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marker in the document are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document area.

상기 영상 획득부는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일 수 있다.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be a camera of a scanner or a smart phone.

상기 문서 영역 검출부는, 상기 획득한 영상에서 원근 변형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일정한 크기의 문서로 스케일 보정할 수 있다.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can correct the distortion caused by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in the acquired image and correct the scale to a document of a predetermined siz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된 제1 영역이 비식별화된 문서인 제1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제1 문서의 영상에서 문서 영역을 검출하는 문서 영역 검출부, 상기 검출된 문서 영역에서 마스킹 영역을 검출하는 마스킹 영역 검출부, 그리고 상기 마스킹 영역에 대해서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영상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is provided. 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a first document that is a non-identified document in a first reg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s an image, a document reg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document region in the image of the first document, A masking area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masking area in the detected document area, and an image restoring unit for unmasking the masking area.

상기 문서 영역에는 상기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마커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마스킹 영역 검출부는 상기 마커를 이용하여 상기 마스킹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A marker for displaying the masking area may be inserted in the document area, and the masking area detecting part may detect the masking area using the marker.

상기 문서 영역은 상기 마커가 삽입된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영상 복원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원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The document area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in which the marker is inserted, and the image restoration unit may restore the original image of the first area using the image information.

상기 영상 획득부는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일 수 있다.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be a camera of a scanner or a smart phone.

상기 문서 영역 검출부는 상기 제1 문서의 영상에서 원근 변형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일정한 크기의 문서로 스케일 보정할 수 있다.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may correct the distortion due to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in the image of the first document and perform scale correction to a document of a predetermined size.

상기 영상 복원부에 의해 복원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image reconstructed by the image reconstruct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가 오프라인 문서를 비식별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에서 문서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문서 영역에서 소정의 제1 영역에 대해서 비식별화를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식별화된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provided for the off-line document non-identifying device to de-identify an offline document.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the offline document as an image; detecting a document region in the acquired image; performing a non-discrimination on a predetermined first region in the document region; And outputting a document including the first area.

상기 제1 영역은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역일 수 있다. The first area may be an are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상기 비식별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마스킹이 수행된 영역을 표시하는 마커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erforming of the non-discrimination may include performing masking on the first area, and inserting a marker indicating the area on which the masking has been performed.

상기 비식별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 영역에서 상기 삽입된 마커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문서 영역의 소정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performing the non-discrimination may further include storing vide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marker in the document are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document area.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영상에서 원근 변형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일정한 크기의 문서로 스케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cting may include correcting distortion caused by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in the acquired image and performing scale correction to a document of a predetermined siz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문서에서 개인 신분 정보가 포함된 영역을 비식별화하여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includ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offline document can be unidentified to protect the personal privac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식별된 오프라인 문서에서 비식별된 영역을 복원하여 개인 정보를 취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identified area can be restored to handl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된 문서 영역에서 비식별화가 필요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에 삽입된 마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커의 원영상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커가 표시된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ffline document non-discrimination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ea where non-discrimination is required in a corrected documen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mask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markers inserted into a mask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location where original image information of a marker is s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ffline document non-discri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 mask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storing an image displayed with a ma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storing an offline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는 개인 신분 정보가 포함된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하고 사용자로부터 비식별화(마스킹)가 필요한 영역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 받는다.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는 선택된 영역에 대해서 다양한 마스킹 프로그램을 통해 마스킹하고, 마스킹된 문서를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는 오프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유통된다. The offline document non-ident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an offline document includ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 image and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s an area requiring non-identification (masking) from the user. The offline document non-identifying device masks the selected area through various masking programs and outputs the masked document as an unidentified offline document. Such unidentified offline documents are freely distributed offli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는 필요한 경우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한다.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는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 내에서 마스킹된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마스킹 영역을 복원(언마스킹)하여 원영상으로 복원한다. 이를 통해 개인 신분 정보가 확인 될 수 있다. 한편, 마스킹/언마스킹 과정에서 암호화키와 같은 비밀 정보는 사용자들간에 서로 공유함으로써, 허가 받지 않은 사용자가 마스킹 하거나 언마스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as an image if necessary. 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detects a masked area in the unidentified offline document and restores (unmasks) the detected masking area to restore the original image. This allows verification of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secret information such as an encryption key in the masking / unmasking process can be shared among users so as to prevent unauthorized users from masking or unmasking.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 및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ffline document non-discrimination apparatus and an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ffline document non-discri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 문서 영역 검출부(120), 비식별화부(130), 그리고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1, the offline document non-discri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obtaining unit 110, a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120, a non-identifying unit 130, and an output unit 140 ).

영상 획득부(110)는 개인 신분 정보가 포함된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110)는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일 수 있다. 즉, 영상 획득 기기인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오프라인 문서가 영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cquires an offline document includ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 image. The image obtaining unit 110 may be a camera of a scanner or a smart phone. That is, an offline document can be acquired as an image through a camera of a scanner or a smart phone, which is an image acquiring device.

문서 영역 검출부(120)는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한 영상에 대해서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문서 영역을 검출한다. 문서 영역 검출부(120)는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한 영상 내에서 문서 영역만을 획득한다. 즉, 문서 영역 검출부(120)는 영상에서 문서 외곽선을 검출하여 문서 영역만을 추출한다. 한편,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원근 변형으로 인해 기존 문서의 사각형 형태로 획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서 영역 검출부(120)는 원근 변형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전체 문서를 일정한 크기의 문서로 스케일 보정하여 문서 영역을 획득한다. 이하에서, 문서 영역 검출부(120)에 의해 최종 검출된 문서 영역을 '보정된 문서 영역'이라 한다. The document area detection unit 120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to detect a document area. The document area detection unit 120 acquires only the document area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 That is,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120 detects the document outline in the image and extracts only the document area.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not be acquired in the form of a rectangle of the existing document due to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Accordingly,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120 corrects the distortion caused by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and scales the entire document to a document of a predetermined size, thereby acquiring the document area. Hereinafter, the document area finally detected by the document area detection unit 120 is referred to as a 'corrected document area'.

비식별화부(130)는 문서 영역 검출부(120)로부터 입력 받은 보정된 문서 영역 중에서 비식별화가 필요한 영역(131)에 대해서 비식별화(마스킹)를 수행한다. The non-identifying unit 130 performs non-discrimination (masking) on the area 131 in which the non-discrimination is required among the corrected document areas inputted from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12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된 문서 영역에서 비식별화가 필요한 영역(13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식별화가 필요한 영역(131)은 개인 정보가 포함된 문서에서 비밀 보장이 필요한 영역(얼굴, 이름 등)이다. 비식별화가 필요한 영역(131)은 사용자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 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자동으로 선택 받는 경우, 사용자가 미리 특정 문서 포맷을 등록해 놓을 수 있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area 131 in which a non-discrimination is required in a corrected documen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area 131 in which the non-discrimination is required is an area (face, name, etc.) which requires confidentiality in a document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The area 131 in which the non-discrimination is required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ed from the user. In the case of automatically selecting from the user, the user can register a specific document format in advance.

비식별화가 필요한 영역(131)이 선택되면, 비식별화부(130)는 선택된 영역(131)에 대해서 마스킹 프로그램을 통해 마스킹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양한 마스킹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안 서비스를 위해 키를 이용한 마스킹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마스킹 프로그램을 통해 마스킹을 수행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보정된 문서 영역에서 비식별화부(130)에 의해 마스킹된 부분을 '마스킹 영역'이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13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식별화가 필요한 영역(121)이 마스킹 되어 비식별화된다. When the non-identifying area 131 is selected, the non-identifying unit 130 performs masking on the selected area 131 through a masking program. Here, various masking programs can be used, and a masking program using a key can be used for security services. The method of performing masking through the masking program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the portion masked by the non-identifying unit 130 in the corrected document region will be referred to as a 'masking region'. 3 is a view showing a masking region 1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area 121 in which the non-identification is required is masked and is unidentified.

그리고 비식별화부(130)는 마스킹을 수행한 후 마스킹 영역(131')에 마커(marker)(132)를 삽입한다. 즉, 비식별화부(130)는 추후 복원 시에 마스킹 영역을 찾을 수 있도록, 마커(132)를 마스킹 영역에 삽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에 삽입된 마커(13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커(132)는 다양한 방법으로 삽입 가능하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예로서 사각형의 마커(132)가 각 마스킹 영역(131')의 사각 코너에 삽입될 수 있다. After performing the masking, the non-identifying unit 130 inserts the marker 132 into the masking region 131 '. That is, the non-identifying unit 130 inserts the marker 132 into the masking area so that the masking area can be found at the time of restoration. 4 is a view showing a marker 132 inserted in a mask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rs 132 can be inserted in various ways, and as shown in FIG. 4, a square marker 132 as an example can be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corner of each masking area 131 '.

한편, 마커(132)가 삽입된 위치의 원영상 정보가 소실 될 수 있으므로, 비식별화부(130)는 마커(132)가 삽입된 위치의 원영상 정보를 보정된 문서 영역에서 중요하지 않은 영역(예를 들면, 특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공백 부분)에 저장(보관)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커의 원영상 정보가 저장된 위치(13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식별화부(130)는 마커(132)가 삽입된 위치의 원영상 정보를 전체 영상의 하단(133)에 저장(보관)할 수 있다. 전체 영상의 하단(133)에 저장되어 있는 마커의 원영상 정보는 추후 복원 시에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marker 132 is inserted may be lost, the non-identifying unit 130 may detect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marker 132 is inserted in the non-important area For example, a blank part that does not contain specific informa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133 where original image information of a ma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As shown in FIG. 5, the non-identifying unit 130 can store (store)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marker 132 is inserted in the lower end 133 of the entire image.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of the marker stored in the lower end 133 of the entire image can be used for restoration later.

출력부(140)는 비식별화부(130)에서 생성된 비식별화 문서를 출력하여,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를 생성한다. 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non-identified document generated by the non-identifying unit 130 to generate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이와 같이 생성된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는 개인 신분 정보가 비식별화되어 오프라인 상에 유통되더라고 개인 신분 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The generated unidentified offline document can prevent the outflow of the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even i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nidentified and circulated on the off - lin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ffline document non-discri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100)는 개인 신분 정보가 포함된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한다(S610). 즉, 영상 획득부(110)는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개인 신분 정보가 포함된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한다. First, the offline document non-identification apparatus 100 acquires an offline document includ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 image (S610). That is, the image acquiring unit 110 acquires an offline document includ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 image through a camera of a scanner or a smart phone.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100)는 S610 단계에서 획득한 영상에 대해서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문서 영역을 검출한다(S620). 즉, 문서 영역 검출부(120)는 S610 단계에서 획득한 영상에서 문서 외곽선을 검출하여 문서 영역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문서 영역 검출부(120)는 원근 변형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전체 문서를 일정한 크기의 문서로 스케일 보정하여 문서 영역을 획득한다.The offline document non-identification apparatus 100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the image acquired in operation S610 to detect a document area (S620). That is,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120 detects the document outline in the image obtained in step S610, and extracts only the document area. Then,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120 corrects the distortion due to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and scales the entire document to a document of a predetermined size to acquire the document area.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100)는 S620 단계에서 검출한 문서 영역(보정된 문서 영역) 중에서 비식별화가 필요한 영역에 대해서 마스킹을 수행한다(S630). 즉, 비식별화부(130)는 비식별화가 필요한 영역(131)에 대해서 마스킹 프로그램을 통해 마스킹을 수행한다. 여기서, 비식별화가 필요한 영역(131)은 사용자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 받을 수 있다. In step S630, the offline document non-identification apparatus 100 performs masking on an area which needs to be unidentified in the document area (corrected document area) detected in step S620. That is, the non-identifying unit 130 performs masking on the area 131 requiring non-identification through a masking program. Here, the area 131 in which the non-identification is required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ed by the user.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100)는 S630 단계에서 생성된 마스킹된 영역에 마커(132)를 삽입한다(S640). 즉, 비식별화부(130)는 S630 단계에서 마스킹을 수행한 후 마스킹 영역(131')에 마커(132)를 삽입한다. 그리고 비식별화부(130)는 마커(132)가 삽입된 위치의 원영상 정보를 보정된 문서 영역에서 중요하지 않은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The offline document non-identifying apparatus 100 inserts the marker 132 into the masked area generated in step S630 (S640). That is, the non-identifying unit 130 performs masking in step S630 and inserts the marker 132 into the masking area 131 '. The non-identifying unit 130 may store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marker 132 is inserted in an unimportant area in the corrected document area.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100)는 마커가 삽입된 비식별화된 문서를 출력한다(S650). 이와 같이 비식별화된 문서는 개인 신분 정보가 비식별화되어 오프라인 상에 유통될 수 있다. The offline document non-identifying apparatus 100 outputs the non-identified document in which the marker is inserted (S650). In this way, the non - identified document can be distributed offline on the basis of the non - identified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한편,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100)가 출력한 비식별화 오프라인 문서는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에 의해 원영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에 대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output by the offline document non-identification apparatus 100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image by 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10), 문서 영역 검출부(120), 마스킹 영역 검출부(230), 영상 복원부(240), 그리고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7, an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obtaining unit 210, a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120, a masking area detecting unit 230, an image restoring unit 240, And an output unit 250.

영상 획득부(210)는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210)는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일 수 있다. 즉, 영상 획득 기기인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가 영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acquires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as an image.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may be a camera of a scanner or a smart phone. That is, a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can be acquired as an image through a camera of a scanner or a smart phone, which is an image acquisition device.

문서 영역 검출부(220)는 영상 획득부(210)가 획득한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의 영상에 대해서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문서 영역을 검출한다. 즉, 문서 영역 검출부(220)는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의 영상에서 문서 외곽선을 검출하여 문서 영역만을 추출한다. 한편, 영상 획득부(21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원근 변형으로 인해 기존 문서의 사각형 형태로 획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서 영역 검출부(220)는 원근 변형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전체 문서를 일정한 크기의 문서로 스케일 보정하여 문서 영역을 획득한다. 이하에서, 문서 영역 검출부(220)에 의해 최종 검출된 문서 영역을 '보정된 비식별화된 문서 영역'이라 한다.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220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an image of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acquired by the image obtaining unit 210 to detect a document area. That is,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220 detects the document outline in the image of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and extracts only the document area.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may not be acquired in the form of a rectangle of the existing document due to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Accordingly,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220 corrects the distortion due to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and scales the entire document to a document of a predetermined size to acquire the document area. Hereinafter, the document area finally detected by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220 is referred to as a 'corrected non-identified document area'.

마스킹 영역 검출부(230)는 문서 영역 검출부(220)가 획득한 보정된 비식별된 문서 영역에서 마스킹 영역을 검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킹 영역 검출부(230)는 보정된 비식별화된 문서 영역에서 마커(132)를 검출하고, 검출한 마커(132)를 이용하여 마스킹 영역(131')을 검출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에는 마스킹 영역(131')을 표시하기 위해 마커(132)가 삽입되어 있는데, 마스킹 영역 검출부(230)는 삽입되어 있는 마커(132)를 이용하여 마스킹 영역(131')를 검출한다. 하나의 예로서, 사각형의 마커(132)가 각 마스킹 영역(131')의 사각 코너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마스킹 영역 검출부(230)는 각 마커(132)를 검출한 후 4개씩 마커(132)를 그룹핑하여 마스킹 영역(131')을 검출할 수 있다. The masking area detecting unit 230 detects a masking area in the corrected non-identified document area acquired by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220. [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 mask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he masking area detecting unit 230 detects the markers 132 in the corrected non-identified document area and detects the masking area 131 'using the detected markers 132.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markers 132 are inserted in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to display the masking area 131 '. The masking area detecting unit 230 detects the masking area 131' Region 131 '. As an example, if a rectangular marker 132 is inserted in the square corner of each masking area 131 ', the masking area detecting unit 230 detects four markers 132 after detecting each marker 132, May be grouped to detect the masking area 131 '.

영상 복원부(240)는 마스킹 영역 검출부(230)가 검출한 마스킹 영역(131')에 대해서 언마스킹(unmasking)을 수행하여, 영상을 복원한다. 영상 복원부(240)는 마스킹 영역(131')에 언마스킹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영상을 복원한다. 여기서, 다양한 언마스킹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안 서비스를 위해 키를 이용한 언마스킹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언마스킹 프로그램을 통해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image restoring unit 240 performs unmasking on the masking area 131 'detected by the masking area detecting unit 230 to restore the image. The image restoring unit 240 applies an unmasking program to the masking area 131 'to restore the image. Here, various unmasking programs may be used, and unmasking programs using keys may be used for security services. The method of performing unmasking through the unmasking program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영상 복원부(240)가 언마스킹한 영상은 마커(132)가 표시(삽입)된 원영상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커가 표시된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좀 더 정확한 원영상으로 복원하기 위해, 영상 복원부(240)는 마커의 원영상 정보가 저장된 위치(133)에 저장되어 있는 마커의 원영상 정보를 마커(132) 위치에 차례로 복사하여, 원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The image unmasked by the image restoring unit 240 is an original image in which the marker 132 is displayed (inserted).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storing an image displayed with a ma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store a more accurate original image, the image restoring unit 240 sequentially copies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of the marker stored in the position 133 where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of the marker is stored to the position of the marker 132, Can be restored.

영상 복원부(240)에 의해 복원된 최종 영상은 영상 상태로 사용자에게 확인 될 수 있거나 출력부(250)에 의해 오프라인 문서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영상 복원부(240)에서 복원된 최종 원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The final image reconstructed by the image reconstruction unit 240 may be confirmed to the user in the image state or may be outputted as an offline document by the output unit 250. [ 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the final original image reconstructed by the image reconstructing unit 2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는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를 원 영상(개인 신분 정보가 포함된 문서)으로 변환하여 획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nd convert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into an original image (document includ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storing an offline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는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한다(S1010). 즉, 영상 획득부(210)는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한다.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obtains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as an image (S1010). That is,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acquires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as an image through the camera of the scanner or the smart phone.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는 S1010 단계에서 획득한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의 영상에 대해서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문서 영역을 검출한다(S1020). 즉, 문서 영역 검출부(220)는 S1010 단계에서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의 영상에서 문서 외곽선을 검출하여 문서 영역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문서 영역 검출부(220)는 원근 변형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전체 문서를 일정한 크기의 문서로 스케일 보정하여 문서 영역을 획득한다.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the image of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obtained in step S1010 to detect the document area (S1020). That is,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220 detects the document outline in the image of the non-identified offline document in step S1010, and extracts only the document area. Then,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220 corrects the distortion due to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and scales the entire document to a document of a predetermined size to acquire the document area.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는 S1020 단계에서 검출한 문서 영역에서 마스킹 영역을 검출한다(S1030). 즉, 마스킹 영역 검출부(230)는 S1020 단계에서 검출한 문서영역(보정된 비식별화된 문서 영역)에서 마커(132)를 검출하고, 검출한 마커(132)를 이용하여 마스킹 영역(131')을 검출한다.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detects a masked area in the document area detected in step S1020 (S1030). That is, the masking area detecting unit 230 detects the markers 132 in the document area (corrected non-identified document area) detected in step S1020, and detects the masking area 131 'using the detected markers 132. [ .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는 S1030 단계에서 검출한 마스킹 영역에 대해서 언마스킹을 수행하여, 영상을 복원한다(S1040). 즉, 영상 복원부(240)는 마스킹 영역(131')에 언마스킹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영상을 복원한다. 그리고 영상 복원부(240)는 더욱더 정확한 원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마커의 원영상 정보가 저장된 위치(133)에 저장되어 있는 마커의 원영상 정보를 마커(132) 위치에 차례로 복사하여, 원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S1030 단계에서 획득한 최종 영상을 영상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unmasks the masking area detected in step S1030 and restores the image (S1040). That is, the image restoring unit 240 applies an unmasking program to the masking region 131 'to restore the image. The image restoring unit 240 sequentially copies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of the marker stored in the position 133 where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of the marker is stored to the position of the marker 132 in order to restore a more accurate original image, Can be restored. The user can confirm the final image acquired in step S1030 in the image state.

한편,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는 S1050 단계에서 복원한 최종 영상을 오프라인 문서로 출력할 수 있다(S1050). Meanwhile, 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may output the final image restored in step S1050 as an offline document (S10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문서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 신분 정보가 포함된 영역을 비식별화하고, 필요한 경우 비식별화된 부분을 원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includ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ffline document can be unidentified and, if necessary, the non-identified part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imag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system 1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100) 및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는 각각 도 11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11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 및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200)의 각 구성 요소는 각각 도 11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11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offline document non-discrimination apparatus 100 and 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the computer system 1100 as shown in FIG. Each component of the offline document non-identification apparatus 100 and each component of the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200 may be implemented by the computer system 1100 as shown in FIG.

컴퓨터 시스템(1100)은 버스(102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1110), 메모리(1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150), 그리고 저장 장치(1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uter system 1100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ocessor 1110, a memory 1130, a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140, a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150, and a storage device 1160 that communicate via a bus 1020 .

프로세서(1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또는 메모리(1130) 또는 저장 장치(116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상기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기능들 및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ocessor 111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30 or storage 1160. The processor 1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functions and methods described in FIG. 1 through FIG.

메모리(1130) 및 저장 장치(11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30)는 ROM(read only memory)(11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1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1130)는 프로세서(1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1130)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1110)와 연결될 수 있다.Memory 1130 and storage device 1160 may include various form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1130 may include a read only memory (ROM) 1131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130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1110, and the memory 1130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 1110 through various means already know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구현된 방법으로서 구현되거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본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Th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method embodied in a computer, or as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th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may perform a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7)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에서 문서 영역을 검출하는 문서 영역 검출부,
상기 문서 영역 중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역인 제1 영역에 대해서 비식별화를 수행하는 비식별화부, 그리고
상기 비식별화된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문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n offline document as an image,
A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document area in the acquired image,
A non-discrimination unit for performing non-discrimination on a first area, which is an area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ocument area, and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a document including the non-identified firs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식별화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해서 마스킹을 통해 비식별화를 수행하는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identifying unit performs non-discrimination through masking for the firs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식별화부는, 상기 문서 영역에 상기 비식별화된 제1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마커를 삽입하는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identifying unit inserts a marker for displaying the non-identified first area in the document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식별화부는, 상기 문서 영역에서 상기 삽입된 마커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문서 영역의 소정의 위치에 저장하는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non-identifying unit stores vide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marker in the document are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documen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인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acquiring unit is a camera of a scanner or a smart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영역 검출부는, 상기 획득한 영상에서 원근 변형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일정한 크기의 문서로 스케일 보정하는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corrects distortion caused by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in the acquired image and corrects the scale to a document of a predetermined size.
개인 정보가 포함된 제1 영역이 비식별화된 문서인 제1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제1 문서의 영상에서 문서 영역을 검출하는 문서 영역 검출부,
상기 검출된 문서 영역에서 마스킹 영역을 검출하는 마스킹 영역 검출부, 그리고
상기 마스킹 영역에 대해서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영상 복원부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
An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s an image, a first document that is a non-identified document, the first reg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 document area detector for detecting a document area in the image of the first document,
A masking area detector for detecting a masking area in the detected document area, and
And an image restoring unit for unmasking the masking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영역에는 상기 마스킹 영역을 표시하는 마커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마스킹 영역 검출부는 상기 마커를 이용하여 상기 마스킹 영역을 검출하는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marker for indicating the masking area is inserted in the document area,
Wherein the masking area detecting unit detects the masking area using the mark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영역은 상기 마커가 삽입된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영상 복원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원영상을 복원하는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ocument area includes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first area in which the marker is inserted,
And the image restoration unit restores the original image of the first area using the image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인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mage acquiring unit is a camera of a scanner or a smart pho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영역 검출부는 상기 제1 문서의 영상에서 원근 변형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일정한 크기의 문서로 스케일 보정하는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ocument area detecting unit corrects distortion caused by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in the image of the first document and performs scale correction on the document with a predetermined siz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복원부에 의해 복원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문서 복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image reconstructed by the image reconstructing unit.
오프라인 문서 비식별화 장치가 오프라인 문서를 비식별화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오프라인 문서를 영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에서 문서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문서 영역에서 소정의 제1 영역에 대해서 비식별화를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식별화된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for non-identifying an offline document,
Obtaining the offline document as an image,
Detecting a document area in the acquired image,
Performing non-discrimination on a predetermined first area in the document area, and
And outputting a document including the non-identified first reg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개인 정보가 포함된 영역인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rea is an are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식별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마스킹이 수행된 영역을 표시하는 마커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performing the non-discrimination comprises:
Performing masking on the first area, and
Inserting a marker indicative of an area where the masking has been perform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식별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 영역에서 상기 삽입된 마커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문서 영역의 소정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non-discrimination further comprises storing vide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marker in the document are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ocument are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영상에서 원근 변형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일정한 크기의 문서로 스케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etecting includes correcting distortion due to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in the acquired image and performing scale correction to a document of a predetermined size.
KR1020180085029A 2017-09-19 2018-07-20 Apparatus and method for de-identification on offline document, and apparatus for restoration on offline document KR201900321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16,901 US20190087602A1 (en) 2017-09-19 2018-08-29 Offline document de-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702 2017-09-19
KR20170120702 2017-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75A true KR20190032175A (en) 2019-03-27

Family

ID=6590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029A KR20190032175A (en) 2017-09-19 2018-07-20 Apparatus and method for de-identification on offline document, and apparatus for restoration on offline doc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217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197B1 (en) * 2019-05-09 2020-09-15 박회준 Method and device for prividing medical information through prescription information
KR102229035B1 (en) * 2020-06-23 2021-03-17 주식회사 우리홈쇼핑 Method and device for masking personal inform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197B1 (en) * 2019-05-09 2020-09-15 박회준 Method and device for prividing medical information through prescription information
WO2020226456A1 (en) * 2019-05-09 2020-11-12 박회준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through prescription information
KR102229035B1 (en) * 2020-06-23 2021-03-17 주식회사 우리홈쇼핑 Method and device for masking personal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87602A1 (en) Offline document de-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offline document restoration apparatus
EP3009954A1 (en) Decryption Device, Method for Decrypting and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ata Transmission
EP2157560A2 (en) Document data encryption method and document data encryption system
CN108647262B (en) Pictur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704420B2 (en)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CN113806806B (en) Desensitization and rest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webpage screenshot
CN109348230A (en) A kind of ciphertext domain high capacity image reversible data concealing method
KR201900321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identification on offline document, and apparatus for restoration on offline document
AU2016360852B2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nd/or checking the integrity of a subject
CN110598823B (en) Signature method and device based on virtual three-dimensional seal and computer equipment
EP3118766B1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program, storage medium and authentication method
KR20140140928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serting Watermark,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atermark, and System for Protecting Digital Document
KR1015390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lectronic prescription note based on matching code printed on prescription slip
US95300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outputting encryption key on paper
CN115471860B (en) Express real name check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9614804B (en) Bimodal biological characteristic encryp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device
JP2006293577A (en) Data entry method
CN111488592B (en) Data encryption and decryption method and device and network equipment
CN107862210A (en) Cipher process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 equipment
CN110532792B (en)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privacy information
KR1024149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document information
CN113434827A (en) Information tracing method, device an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2406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KR20220051510A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tecting imag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EP2350913B1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nically capturing a handwritten signature using embedding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