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964A -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964A
KR20190031964A KR1020170120317A KR20170120317A KR20190031964A KR 20190031964 A KR20190031964 A KR 20190031964A KR 1020170120317 A KR1020170120317 A KR 1020170120317A KR 20170120317 A KR20170120317 A KR 20170120317A KR 20190031964 A KR20190031964 A KR 20190031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olf course
influence
weather
influe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환
Original Assignee
코아인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아인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아인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1964A/ko
Publication of KR2019003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은, 외부의 기상예측시스템으로부터 외부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골프 코스 또는 골프 코스 주변에서 내부 기상정보에 대한 제1 환경정보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상정보와 상기 제1 환경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골프 코스에 대한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향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상정보를 상기 내부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기상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향정보는, 상기 골프 코스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골프 코스의 잔디에 대한 병충해 및 생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 {Golf Course Management Apparatus and Golf Cours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후 변화(지구 온난화)에 따라 최근에는 이상 기상 현상이 자주 출현하고 있다. 골프 코스는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관계로, 이상 기상 현상의 출현은 그 관리를 더 어렵게 하고 있다. 이에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골프 코스를 관리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골프 코스를 관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은, 외부의 기상예측시스템으로부터 외부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골프 코스 또는 골프 코스 주변에서 내부 기상정보에 대한 제1 환경정보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상정보와 상기 제1 환경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골프 코스에 대한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향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상정보를 상기 내부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기상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향정보는, 상기 골프 코스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골프 코스의 잔디에 대한 병충해 및 생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향정보를 지수화하고, 상기 지수화된 값에 대응되는 안전 등급을 상기 영향정보가 포함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기상정보로부터 추출된 기상 조건이 병충해의 발생시기 및 그 전후로 기 설정된 값에 속하는 경우, 상기 영향정보가 상기 안전 등급으로서 위험 등급을 나타내도록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임시 영향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골프 코스의 상태를 측정하여 제2 환경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임시 영향정보에 대해 상기 제2 환경정보와의 차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임시 영향정보를 최종의 상기 영향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시점 이전의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임시 영향정보와 상기 제2 환경정보의 차이의 변화 및,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상기 임시 영향정보와 상기 제2 환경정보의 차이의 값에 근거하여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골프 코스의 홀(hole) 단위로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격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골프 코스 중 하나의 골프 코스에서 제1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다른 골프 코스에 대한 영향정보에 상기 제1 상황이 발생을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장치는, 내부 기상정보를 포함하여, 골프 코스 또는 골프 코스 주변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골프 코스 환경정보 수집부; 외부의 기상계측시스템으로부터 외부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상정보와 상기 내부 기상정보를 결합하여 보정된 기상정보를 생성하고, 보정된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영향정보 생성부; 및 상기 영향정보를 출력하는 영향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향정보는, 상기 골프 코스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골프 코스의 잔디에 대한 병충해 및 생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보다 정확한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근거하여 정확히 날씨를 예측하여, 골프 코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고객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통해 골프 코스를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농약, 비료 및 살수 등 코스 관리에 필요한 의사 결정의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골프 코스를 상기와 같이 관리함으로써 골프 플레이의 컨디션을 최상으로 하여, 골퍼에게 최적의 골프코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최적의 그린 상태와 코스 조경은 골퍼가 코스를 다시 방문할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자동통보 기능을 제공하여 자연재해 등 이상 기후 발생 또는 병충해의 임계치 도달 여부 등이 예측되는 골프 코스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격하여 위치한 서로 다른 골프 코스를 동시에 관리하는 경우, 하나의 골프 코스에서 발생한 상황을 다른 골프 코스에 경고함으로써 피해의 확대를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골프 코스의 관리에 대한 데이터의 축적 및 통계화를 통해 향후 요구되는 관리 업무에 대해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골프 코스 관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장치가 알고리즘의 실행에 사용될 수 있는 항목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정보 분석기가 생성한 병충해에 대한 지수 IDX2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잔디의 10대 병충해 중 하나인 라지패취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향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 및 골프 코스 관리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영향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 및 골프 코스 관리 장치에서 영향정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골프 코스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제시되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들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는 오로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른 경우를 제외하고는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나열된 특징들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지,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및/또는"은 열거된 특징들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들을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특징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하나의 특징을 다른 특징과 구별하기 위한 의도로만 사용되며, 이러한 특징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제1 특징이 제2 특징과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되는 경우, 이는 제1 특징과 제2 특징 사이에 제3 특징이 개재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골프 코스 관리 방법(100)은 도 2의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 또는 기타 골프 코스 관리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의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는 도 1의 골프 코스 관리 방법(100) 또는 기타 골프 코스 관리 방법을 채용하여 골프 코스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골프 코스 관리 방법(100)이 도 2의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100) 또는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는 별도의 시스템이 아닌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100)에 의하면,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가 외부의 기상예보시스템(300)으로부터 외부 기상정보(OINF)를 수신하고(S120),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의 골프 코스 환경정보 수집부(220)가 골프 코스의 환경정보(EINF)를 수집하며(S140),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의 영향정보 생성부(240)는 외부 기상정보(OINF)와 골프 코스의 환경정보(EINF)를 결합하여 임의의 골프 코스에 대한 영향정보(IINF)를 생성하고(S160),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의 영향정보 출력부(260)가 영향정보 생성부(240)에 의해 생성되고 골프 코스의 관리에 사용되는 영향정보(IINF)를 출력한다(S180). 이때, 골프 코스에 대한 환경정보(EINF)는 골프 코스 또는 골프 코스 주변에서 측정된 날씨(내부 기상정보)에 대한 제1 환경정보를 포함하고, 또는 골프 코스의 병충해 또는 잔디 상태 등에 대한 제2 환경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영향정보에서 "영향"은 골프 코스가 날씨 등에 의해 받는 영향의 의미로 사용됨을 알려둔다.
도 3은 도 2의 골프 코스 관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 및 골프 코스 관리 장치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기상예측시스템(300)은 기상청 또는 한국기상산업기술원 등이 기상예보를 위해 활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전지구 예보(GSM: Global Spectral Model) 시스템, 또는 통합형 수치예보모델(UM: Unified Model)을 채택한 전지구 분석 및 예측 시스템(GDAPS: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등일 수 있다. 기상예측시스템(300)은 각 수치예보모델에 의거, 일정 지역 범위에 대해 외부 기상정보(OINF)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상정보(OINF)는 25 km 단위의 Global 정보, 12 km 단위의 Regional 정보 또는 1.5 km 단위의 Local 정보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Global 정보는 GDAPS에 의해, Regional 정보는 지역예보시스템(RDAPS)에 의해, 그리고 Local 정보는 로컬예보시스템(LDAPS)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단위의 정보는 매회 제공되는 횟수가 다르거나, 제공되는 내용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lobal 정보는 하루에 2회 제공되는 반면, Local 정보는 하루 4회 제공될 수 있다.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는 외부 기상정보(OINF)를 수신하여 필요한 사항을 추출한다. 도 2에서는 영향정보 생성부(240)가 직접 외부 기상정보(OINF)를 수신하여 필요한 사항을 추출하거나 별도의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가 외부로부터 외부 기상정보(OINF)만을 수신하여 영향정보(IINF)를 생성하는 것으로 기술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는 외부 기상정보(OINF)와 함께, 골프 코스와 관련된 지형적 또는 지리적 정보, 병충해, 또는 잔디 생육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영향정보(IINF)의 생성에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부병, 춘고병, 탄저병 등 병충해의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등에 대한 정보, 또는 한지형 잔디 및 난지형 잔디 생육지수, 또는 바랭이, 은이끼 등 잡초의 성장시기 및 성장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유하고, 이를 후술되는 영향정보(IINF)의 생성에 활용할 수 있다.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의 영향정보 생성부(240)는 일정 단위 기준으로 영향정보(IINF)의 생성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향정보 생성부(240)는 홀(hole) 단위로 영향정보(IINF)의 생성을 진행할 수 있다. 영향정보 생성부(240)는 골프 코스의 최적화된 관리를 위해 영향정보(IINF)를 생성함에 있어, 기상정보 처리기(242) 및 정보 분석기(24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정보 처리기(242)는 외부 기상정보(OINF) 및 골프 코스 환경정보 수집부(220)로부터 제공되는 내부의 기상정보를 결합하여 보정된 기상정보를 생성한다. 골프 코스 환경정보 수집부(220)는 골프 코스 또는 골프 코스의 주변에 설치된 기상계측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기상을 관측하여 내부의 기상정보를 환경정보(EINF)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기상정보(OINF)는 예측 지역범위가 비교적 넓은 관계로 골프 코스와 같이 국지적 지역에 대한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100)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100)에 의하면, 골프 코스 또는 그 주변에서 기상 정보를 계측하여 이를 반영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기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보상된 기상정보는 외부 또는 내부의 기상정보와 함께 골프 코스의 지형적 또는 지리적 정보를 함께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보상된 기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향정보 생성부(240)는 보상된 기상정보만을 포함한 영향정보(IINF)가 생성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또는, 영향정보 생성부(240)의 정보 분석기(244)는 보상된 기상정보에 대해 소정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향정보(IINF)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된 기상정보로부터 온도 또는 습도를 추출하여 불쾌지수 또는 체감지수를 영향정보(IINF)로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정보 분석기(244)는 보상된 기상정보와 전술된 병충해 관련 정보, 일조량에 대한 정보, 잔디 생육에 대한 정보 또는 잡초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영향정보(IINF)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의 실행에 사용될 수 있는 항목의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에서 각 항목에 대한 약자는 정보 분석기(244)가 영향정보(IINF)를 생성하기 위해 수집된 환경정보(내부의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임의의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규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날씨 변수에 대한 단위 REF1은 강우량, 강설량 및 전운량에 대한 코드화된 정보이고, 서리 및 가뭄 등에 대한 지수(단위) IDX1 및 병충해 등에 대한지수(단위) IDX2는 안전, 관심, 경고 및 위험 등 기상 현상에 대한 경고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IDX1의 값이 1이면 서리 또는 가뭄으로부터 골프 코스가 안전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IDX1의 값이 4이면 서리 또는 가뭄의 영향이 심각한 위험 수준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영향정보 생성부(240)의 정보 분석기(244)가 생성한 병충해에 대한 지수 IDX2의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의 예에서, 정보 분석기(244)는 보정된 기상정보 또는 보정된 기상정보를 소정 처리한 정보로부터 기온 조건, 습도 조건 및 지속 시간 등의 인자를 추출하고, 해당 병충해가 발생하는 시기에 대한 상기 정보를 반영하여 총 10개의 레벨로 지수화하고, 대응되는 안전 등급으로 분류한다.
도 6은 잔디의 10대 병충해 중 하나인 라지패취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향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상된 기상정보(기온, 습도 등)에 근거하여 상술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하루에 2회 라지패취의 발병지수를 영향정보(IINF)로 생성할 수 있다. 골프 코스를 관리하는 주체는 영향정보(IINF)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병충해 발병 확률이 임계치에 달했을 때에, 예를 들어, 연속 2회의 "위험" 단계에 이르는 때에 라지패취에 대한 방제를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 및 골프 코스 관리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영향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영향정보 출력부(26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영향정보(IINF)를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다양한 내용의 영향정보(IINF)를 시각화 및 대시보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향정보(IINF)에는 현재 날씨, 잔디 생육, 토양 상태 등의 함께 제공되고 지수화된 안전 등급을 색을 달리하여 골프 코스 관리에 사용되는 단말에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스마트 폰, 패드, 및 모니터 등일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홀 단위로 영향정보(IINF)가 출력될 수 있다. 도 7에서 빨간색, 노란색, 또는 초록색의 각 원은 하나의 홀에 대응될 수 있다. 임의의 원을 터치 또는 클릭하거나, 해당 원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입력하는 때에, 대응되는 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영향정보(IINF)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데이터 베이스가 영향정보 생성부(24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베이스는 영향정보 생성부(240) 또는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은 편의상 영향정보(IINF)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바로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영향정보 출력부(260)에 의해 일정한 처리를 거쳐 출력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통해 골프 코스를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농약, 비료 및 살수 등 코스 관리에 필요한 의사 결정의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골프 코스를 상기와 같이 관리함으로써 골프 플레이의 컨디션을 최상으로 하여, 골퍼에게 최적의 골프코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최적의 그린 상태와 코스 조경은 골퍼가 코스를 다시 방문할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자동통보 기능을 제공하여 자연재해 등 이상 기후 발생 또는 병충해의 임계치 도달 여부 등이 예측되는 골프 코스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형자료 및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토양 수분, 토양 온도 및 토양 염도 예측모델로 잔디 생육을 모니터링하고, 각 코스별 관측 데이터로 자료 동화, 즉 모델의 초기 입력 자료를 실제 대기에 가깝도록 조절하여 예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그 후, 공간보간을 적용해 코스별 상세기상정보를 제공하고 단기 강우 예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그 후 수치모델링을 통해 국지적으로, 예를 들어, 홀 단위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생산된 영향정보가 대시보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영향정보 생성부(240)는 검증 및 개선기(246)를 더 포함하여, 보정된 기상정보뿐 아니라, 골프 코스 환경 정보 수집부가 직접 모니터링하여 제공한 환경정보(EINF), 예를 들어, 잔디의 상태 또는 수원 등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생성된 영향정보(IINF)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방법 및 골프 코스 관리 장치에서 영향정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영향정보 생성부(240)는 일정 기간 동안 모델 예측 값을 생성하는 한편, 검증 및 개선기(246)를 통해 모델 예측 값에 실제 골프 코스에서 모니터링하여 관측된 관측 값(환경정보(EINF))를 반영한다. 여기서 모델 예측 값이란 전술된 방법으로 생성된 영향정보를 나타내며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임시 영향정보의 개념으로 쓰인다. 그리고, 일 시점(현재 시점)에서 그 차이가 보정된 값을 최종의 영향정보(IINF)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증 및 개선기(246)는, 정보 분석기(244)에 의해 생성된 모델 예측 값과 골프 코스 환경정보 수집부(220)가 수집한 관측 값의 차이 및 그 차이의 추세를 고려하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모델 예측 값과 관측 값의 차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경우, 검증 및 개선기(246)는, 일 시점(현재)에서 모델 예측 값과 관측 값의 차이보다 작은 값을 모델 예측 값에 플러스 하여 최종적인 영향정보(IINF)로 생성할 수 있다.
검증 및 개선기(246)는 나아가, 골프 코스의 관리에 대한 데이터의 축적 및 통계화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향후 요구되는 관리 업무에 대해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축적 또는 통계화된 데이터는 도 3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골프 코스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코스 관리 장치(200)는 이격하여 위치한 서로 다른 골프 코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 하나의 골프 코스에서 발생한 상황(제1 상황)을 다른 골프 코스의 영향정보에 반영함으로써, 해당 상황이 발생한 골프 코스뿐 아니라 다른 골프 코스에서도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어, 피해의 확대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골프 코스 관리 방법, 200: 골프 코스 관리 장치, 220: 골프 코스 환경정보 수집부, 240: 영향정보 생성부, 260: 영향정보 출력부, OINF: 외부 기상정보, EINF: 환경정보, IINF: 영향정보

Claims (8)

  1. 외부의 기상예측시스템으로부터 외부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골프 코스 또는 골프 코스 주변에서 내부 기상정보에 대한 제1 환경정보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상정보와 상기 제1 환경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골프 코스에 대한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향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상정보를 상기 내부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기상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향정보는,
    상기 골프 코스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골프 코스의 잔디에 대한 병충해 및 생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코스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향정보를 지수화하고, 상기 지수화된 값에 대응되는 안전 등급을 상기 영향정보가 포함하도록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코스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기상정보로부터 추출된 기상 조건이 병충해의 발생시기 및 그 전후로 기 설정된 값에 속하는 경우, 상기 영향정보가 상기 안전 등급으로서 위험 수준을 나타내도록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코스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임시 영향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골프 코스의 상태를 측정하여 제2 환경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임시 영향정보에 대해 상기 제2 환경정보와의 차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임시 영향정보를 최종의 상기 영향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코스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시점 이전의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임시 영향정보와 상기 제2 환경정보의 차이의 변화 및,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상기 임시 영향정보와 상기 제2 환경정보의 차이의 값에 근거하여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코스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골프 코스의 홀(hole) 단위로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코스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격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골프 코스 중 하나의 골프 코스에서 제1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다른 골프 코스에 대한 영향정보에 상기 제1 상황이 발생을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코스 관리 방법.
  8. 내부 기상정보를 포함하여, 골프 코스 또는 골프 코스 주변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골프 코스 환경정보 수집부;
    외부의 기상계측시스템으로부터 외부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상정보와 상기 내부 기상정보를 결합하여 보정된 기상정보를 생성하고, 보정된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영향정보를 생성하는 영향정보 생성부; 및
    상기 영향정보를 출력하는 영향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향정보는,
    상기 골프 코스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골프 코스의 잔디에 대한 병충해 및 생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코스 관리 장치.
KR1020170120317A 2017-09-19 2017-09-19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 KR20190031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17A KR20190031964A (ko) 2017-09-19 2017-09-19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17A KR20190031964A (ko) 2017-09-19 2017-09-19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964A true KR20190031964A (ko) 2019-03-27

Family

ID=6590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317A KR20190031964A (ko) 2017-09-19 2017-09-19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19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870A1 (ko) 2019-03-20 2020-09-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수계 분산액,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870A1 (ko) 2019-03-20 2020-09-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수계 분산액,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nsemius et al. The potential value of seasonal forecasts in a changing climate in southern Africa
CN109934515B (zh) 一种作物精量灌溉决策方法及系统
Wetterhall et al. Seasonal predictions of agro-meteorological drought indicators for the Limpopo basin
Ceppi et al. Real-time drought forecasting system for irrigation management
US20170228743A1 (en) Crop forecasting with incremental feature selection and spectrum constrained scenario generation
Zhao et al. Ensemble forecasting of monthly and seasonal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based on global climate model outputs
Miranda et al. Evaluation and fitting of models for determining peach phenological stages at a regional scale
CN104089647A (zh) 一种作物病害发生范围监测方法及系统
CN116738766B (zh) 基于数字孪生的智慧农业线上产业化服务系统
KR102033762B1 (ko) 주변격자 최댓값 앙상블 확률 및 검정지수를 이용한 앙상블 예측 시스템의 성능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032485B1 (ko) 개별 농장단위로 관측되고 추정된 기상정보를 고려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273449A (zh) 用于日光温室精准监测的数字孪生体构造方法
CN106203839A (zh) 输电线路舞动影响关键因素辨识方法及系统
Tirivarombo et al. Regional droughts and food security relationships in the Zambezi River Basin
Mohan et al. A hurricane wind risk and loss assessment of Caribbean agriculture
KR20190031964A (ko) 골프 코스 관리 장치 및 골프 코스 관리 방법
CN116824807B (zh) 多灾害预警报警方法及系统
Jönsson et al. Potential use of seasonal forecasts for operational planning of north European forest management
KR20130102789A (ko) 댐 건설 전후 기후 특성 변화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Zhu et al. Forecasting regional apple first flowering using the sequential model and gridded meteorological data with spatially optimized calibration
CN116434138A (zh) 一种应用于多云多雾地区耕地智保实时动态监控方法
Pinel et al. Monitoring vineyard water status using Sentinel-2 images: qualitative survey on five wine estates in the south of France
Warner et al. Agricultural impacts of the 2015/2016 drought in Ethiopia using high-resolution data fusion methodologies
Bell et al. Agricultural drought analysis for sustainable smallholder maize production in semi-arid areas: A case study of the lower Moshi irrigation scheme, Tanzania
Eitzinger et al. Applications of agroclimatic indices and process oriented crop simulation models in European agri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