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672A - Trays with cup holders - Google Patents
Trays with cup hold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1672A KR20190031672A KR1020170119388A KR20170119388A KR20190031672A KR 20190031672 A KR20190031672 A KR 20190031672A KR 1020170119388 A KR1020170119388 A KR 1020170119388A KR 20170119388 A KR20170119388 A KR 20170119388A KR 20190031672 A KR20190031672 A KR 201900316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holder
- tray
- cup
- joint
- rod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0070 Sarracenia purpu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41—Serving tray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e.g. for carrying glasses, bottl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33—Attachments to tray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있는 컵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음식과 함께 복수의 컵을 한 번에 운반할 수 있으며, 쟁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식사 중에도 컵홀더에 수용된 컵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컵홀더를 착탈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한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on which a cup holder is mounted. By providing a cup holder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arry a plurality of cups together with food at one time, an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r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which can be stably accommodated and can be detached or pulled out by a sliding method so that the cup holder can be easily stored and u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있는 컵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음식과 함께 복수의 컵을 한 번에 운반할 수 있으며, 쟁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식사 중에도 컵홀더에 수용된 컵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컵홀더를 착탈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한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on which a cup holder is mounted. By providing a cup holder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arry a plurality of cups together with food at one time, an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r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which can be stably accommodated and can be detached or pulled out by a sliding method so that the cup holder can be easily stored and used.
일반적으로 컵홀더는 물이나 음료 등을 수용한 컵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나 책상 등에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the cup holder is for accommodating cups containing water, drinks, and the like, and is installed in an automobile or a desk.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3200호에는 차량의 기어박스가 형성된 기어박스리드의 전단에 형성된 음료용 수납홈과, 상기 음료용 수납홈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축결합됨으로써,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음료용기 수납홈에 컵홀더를 추가로 제공하는 회전식 컵홀더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식 컵홀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83200 discloses a beverage storage groove formed at the front end of a gear box lead having a gear box of a vehicle, a hinge shaf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everage storage groove, Which is rotatable about a hinge axis so as to additionally provide a cup holder in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ing groove.
또 다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4203호에는 하단 저부 중앙에 형성한 흡착고무고정홈에 흡착고무를 체결한 컵홀더베이스와 컵홀더사면테의 낮은 사면에 절개홈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고정식 컵홀더가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54203 discloses a cup holder base having a suction rubber fixed to an absorbent rubber fixing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a lower bottom portion, and a cutout groove formed at a lower slope of the cup holder slope surface A cup holder is disclosed.
다만, 기존에는 쟁반이나 식판에 컵을 수용하는 컵홀더가 없었기 때문에, 한 사람이 쟁반이나 식판과 함께 여러 개의 컵을 운반하기 어려워 쟁반이나 식판의 운반과는 별개로 물컵 등을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since there is no cup holder for accommodating the cup in the tray or plate,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carry several cups together with the tray or the plate, so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 water cup separately from the transportation of the tray or the plate .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컵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음식과 함께 복수의 컵을 한 번에 운반할 수 있으며, 쟁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식사 중에도 컵홀더에 수용된 컵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컵홀더를 착탈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한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which can carry a plurality of cups together with food at one time, And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which can stably receive a cup accommodated in the holder and can be detached or pulled out by a sliding manner so that the cup holder can be stored and used easily.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은 쟁반과; 쟁반 밑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컵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컵홀더는, 상기 쟁반에 힌지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컵을 끼울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컵끼움홀이 형성되는 컵홀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y; And a cup holder rotatably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ray, wherein the cup holder comprises: a fixing part hinged to the tray; at least one cup-shaped hol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xing part so as to insert the cup; And a cup holder portion for holding the cu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은 다수의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쟁반과; 쟁반의 전후면 또는 좌우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컵홀더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컵홀더 모듈은 복수의 컵끼움홀이 형성되며 테두리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컵홀더 몸체와,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함께 끼움결합하는 봉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y on which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portions are formed; And a cup holder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ray, wherein the cup holder module includes a cup hold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cup- And at least on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에 있어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상기 봉부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개구홈과, 상기 개구홈에서 연장되어 상기 봉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부재는, 상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1걸림돌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걸림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사이에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 중 어느 하나가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tray equipped with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y have an opening groove in which the rod member is drawn in or drawn out, a seat extending from the opening groove, Wherein the rod member comprises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being formed betwe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on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interdigit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은 쟁반과; 쟁반의 저면 좌우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컵홀더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컵홀더 모듈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치합되는 가이드부재와, 컵끼움홀이 형성되는 판상의 컵홀더 몸체와, 상기 컵홀더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봉부재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y; And a pair of cup holder modul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of the tray, wherein the cup holder module includes a casing, a rail formed in the casing, a guide member engaged with the rail, And a rod member module rotatably coupled to the cup holder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에 있어서, 봉부재 모듈은 조인트 몸체와, 상기 조인트 몸체에 수용되는 봉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봉부재는 원형의 조인트부와, 상기 조인트에서 연장되는 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인트 몸체는 상기 조인트를 수용하는 조인트 수용홈과, 상기 조인트 수용홈에서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개구부와, 상기 조인트 수용홈에서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홀더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개구부로 인출된 상기 봉부를 수용하는 봉부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tray equipped with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d member module comprises a joint body and a rod member accommodated in the joint body, the rod member having a circular joint portion, Wherein the joint body comprises a joint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joint, a first opening portion horizontally opened in the joint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opening downward in the joint receiving groove And a rod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rod portion drawn to the first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up holder body.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에 의하면, 컵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음식과 함께 복수의 컵을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ray equipped with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arry a plurality of cups together with the food at one time by providing the cup hol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에 의하면, 쟁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식사 중에도 컵홀더에 수용된 컵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컵홀더를 착탈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ray equipped with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can be stably accommodated even during meal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ray, and the cup holder can be taken out or pulled out in a sliding manner, There is an easy-to-use effec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봉부재 모듈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와 대응되는 것으로서, 봉부재 모듈이 생략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rear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d memb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od member module is omitt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use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1 is a rear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쟁반(100)과, 쟁반(100) 밑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컵홀더(10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본 발명에서 쟁반(100)은 음식 또는 음식을 담은 그릇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식판도 포함하는 개념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컵홀더(101)는 상기 쟁반(100)에 힌지(104)로 결합하는 고정부(103)와, 상기 고정부(103)에서 연장 형성되어 컵(C)을 끼울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컵끼움홀(107)이 형성되는 컵홀더부(105)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컵홀더(101)가 쟁반(100)의 밑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만 쟁반 일측으로 꺼내어 컵을 수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Since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다수의 제1결합부(201)가 형성되는 쟁반(200)과, 쟁반(200)의 전후면 또는 좌우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컵홀더 모듈(203)을 포함한다.2 and 3,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컵홀더 모듈(203)이 쟁반(200)의 좌우에 설치되기 때문에 쟁반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상기 컵홀더 모듈(203)은 복수의 컵끼움홀(213)이 형성되며 테두리에 제2결합부(207)가 형성되는 컵홀더 몸체(205)와, 상기 제1결합부(201) 및 제2결합부(207) 중 적어도 하나에 함께 끼움결합하는 봉부재(2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제1결합부(201) 및 제2결합부(207)는 상기 봉부재(215)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개구홈(209)과, 상기 개구홈(209)에서 연장되어 상기 봉부재(215)가 안착되는 안착홈(2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first
상기 봉부재(215)는 상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217)와, 상기 제1걸림돌기(217)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걸림돌기(219)로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상기 제1걸림돌기(217)와 제2걸림돌기(219) 사이에 상기 제1결합부(201) 및 제2결합부(207) 중 어느 하나가 끼움결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And the first
상기 쟁반과 상기 컵홀더 몸체는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상기 봉부재의 제1걸림돌기(217)와 제2걸림돌기(219) 사이에 끼워지면서 결합하게 된다.The tray and the cup holder body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engaged while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쟁반을 식탁이나 거실 바닥 등에 올려놓으면 컵끼움홀에 끼워진 컵이 위로 올라가게 되어 작은 충격에도 컵이 컵끼움홀에 걸려 쓰러지는 등의 불안 요소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봉부재로 인해 컵끼움홀이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불안 요소를 해소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hen the tray is placed on the table or the living room floor, the cup inserted in the cup-fitting hole is lifted up, so that the cup is caught by the cup-fitting hole even in a small impact. Since the cup-fitting hole is kep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due to the member, the anxiety factor can be solved.
또한, 컵홀더 몸체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때에만 결합해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편의성도 있으며, 식탁이 아닌 거실 바닥에서 음식을 먹을 때 컵홀더 몸체를 설치하여 쟁반 높이를 상승시키면 사용자가 많이 구부리지 않고서도 편안하게 음식을 먹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p holder body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t can be used only when necessary. When the cup holder body is not used, it is convenient to separate and store the cup holder body. The user can eat food comfortably without bending too much.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봉부재 모듈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tray equipped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d memb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쟁반(300)과, 쟁반(300)의 저면 좌우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컵홀더 모듈(301)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컵홀더 모듈(301)이 쟁반의 저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and 5,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이러한 컵홀더 모듈(301)은 케이싱(303)과, 상기 케이싱(303) 내에 형성되는 레일(미도시)과, 상기 레일에 치합되는 가이드부재(309)와, 컵끼움홀(311)이 형성되는 판상의 컵홀더 몸체(307)와, 상기 컵홀더 몸체(30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봉부재 모듈(315)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즉, 컵홀더 모듈(301)을 사용할 때에만 잡아당겨서 인출하고, 사용한 후에는 집어넣어 보관하게 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판상의 컵홀더 몸체(307)가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사용시에 레일과 가이드부재의 안내에 따라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plate-shaped
상기 봉부재 모듈(315)은 조인트 몸체(317)와, 상기 조인트 몸체(317)에 수용되는 봉부재(325)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봉부재(325)는 원형의 조인트부(327)와, 상기 조인트부(327)에서 연장되는 봉부(329)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조인트 몸체(317)는 상기 조인트부(327)를 수용하는 조인트 수용홈(319)과, 상기 조인트 수용홈(319)에서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개구부(321)와, 상기 조인트 수용홈(319)에서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개구부(323)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컵홀더 몸체(307)의 일측에는 상기 제1개구부(321)로 인출된 상기 봉부(329)를 수용하는 봉부 수용홈(313)이 형성된다.A
상기 조인트부(327)는 조인트 수용홈(319) 내에 고정되되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봉부재를 사용할 때에만 제1개구부(321)에 걸려있는 봉부(329)를 잡고 회전하여 제2개구부(323)로 인출하도록 하여 수직하게 설치하고,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다시 제1개구부(321)로 이동시켜 봉부(329)를 봉부 수용홈(313)에 보관하게 된다.The
적어도 4개의 봉부(329)가 쟁반(300)의 좌우를 지지하기 때문에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컵을 한번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식사할 때에도 쟁반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at least four
도 6은 도 5와 대응되는 것으로서, 봉부재 모듈이 생략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제3실시예에서 봉부재 모듈을 생략한 경우에는 높이 조절은 할 수 없지만, 복수의 컵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운반할 수 있으며, 서랍 타입의 컵홀더 몸체를 활용할 수 있다.Fig. 6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od member module is omitted. As shown in FIG. 6, when the rod member module is omitte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height can not be adjusted. However, a plurality of cups can be stably received and transported, and a drawer-type cup holder body can be utilized.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set forth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쟁반
101 : 컵홀더
103 : 고정부
104 : 힌지
105 : 컵홀더부
107 : 컵끼움홀
200 : 쟁반
201 : 제1결합부
203 : 컵홀더 모듈
205 : 컵홀더 몸체
207 : 제2결합부
209 : 개구홈
211 : 안착홈
213 : 컵끼움홀
215 : 봉부재
217 : 제1걸림돌기
219 : 제2걸림돌기
300 : 쟁반
301 : 컵홀더 모듈
303 : 케이싱
307 : 컵홀더 몸체
308 : 조인트 몸체 수용홈
309 : 가이드부재
311 : 컵끼움홀
313 : 봉부 수용홈
315 : 봉부재 모듈
317 : 조인트 몸체
319 : 조인트 수용홈
321 : 제1개구부
323 : 제2개구부
325 : 봉부재
327 : 조인트부
329 : 봉부
C : 컵100: Tray 101: Cup holder
103: fixing part 104: hinge
105: cup holder part 107: cup-fitting hole
200: Tray 201: First coupling part
203: cup holder module 205: cup holder body
207: second coupling portion 209: opening groove
211: seating groove 213: cup-fitting hole
215: rod member 217: first locking projection
219: Second stopping motion
300: Tray 301: Cup holder module
303: casing 307: cup holder body
308: joint body housing groove 309: guide member
311: Cup-in hole 313:
315: rod member module 317: joint body
319: joint receiving groove 321: first opening
323: second opening 325: rod member
327: joint part 329:
C: Cup
Claims (5)
쟁반 밑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컵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컵홀더는,
상기 쟁반에 힌지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컵을 끼울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컵끼움홀이 형성되는 컵홀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
A tray;
And a cup holder rotatably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ray,
The cup holder comprises:
And a cup holder unit having a fixing part hinged to the tray, and a cup holder part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and having at least one cup-inserting hole for inserting the cup therein.
쟁반의 전후면 또는 좌우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컵홀더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컵홀더 모듈은,
복수의 컵끼움홀이 형성되며 테두리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컵홀더 몸체와,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함께 끼움결합하는 봉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
A tray on which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portions are formed;
And a cup holder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y,
The cup holder module includes:
A cup hold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cup-shaped holes formed therein and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rim thereof, and a bar member fitted into and engag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Equipped tray.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상기 봉부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개구홈과, 상기 개구홈에서 연장되어 상기 봉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부재는, 상단에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1걸림돌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걸림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사이에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 중 어느 하나가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comprise an opening groove into which the rod member is drawn or drawn and a seating groove extending from the opening groove to receive the rod member,
Wherein the rod member comprises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being provided betwe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Wherein one of the engaging portions is engaged with the other of the engaging portions.
쟁반의 저면 좌우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컵홀더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컵홀더 모듈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치합되는 가이드부재와, 컵끼움홀이 형성되는 판상의 컵홀더 몸체와, 상기 컵홀더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봉부재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
A tray;
A pair of cup holder modul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The cup holder module includes a casing, a rail formed in the casing, a guide member engaged with the rail, a plate-shaped cup holder body on which a cup-fit hole is formed, and a rod rotatably engaged with the cup holder body. And a member module.
상기 봉부재 모듈은,
조인트 몸체와, 상기 조인트 몸체에 수용되는 봉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봉부재는 원형의 조인트부와, 상기 조인트에서 연장되는 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인트 몸체는 상기 조인트를 수용하는 조인트 수용홈과, 상기 조인트 수용홈에서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개구부와, 상기 조인트 수용홈에서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홀더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개구부로 인출된 상기 봉부를 수용하는 봉부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가 장착된 쟁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d member module includes:
A joint body, and a rod member accommodated in the joint body,
Wherein the rod member comprises a circular joint portion and a rod portion extending from the joint,
Wherein the joint body comprises a joint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joint, a first opening portion horizontally opened in the joint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opened downward in the joint receiving groove,
And a rod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rod portion drawn to the first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up holder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9388A KR102062083B1 (en) | 2017-09-18 | 2017-09-18 | Trays with cup hold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9388A KR102062083B1 (en) | 2017-09-18 | 2017-09-18 | Trays with cup holder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0293A Division KR102062084B1 (en) | 2018-11-29 | 2018-11-29 | Trays with cup holder modu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1672A true KR20190031672A (en) | 2019-03-27 |
KR102062083B1 KR102062083B1 (en) | 2020-01-03 |
Family
ID=6590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9388A KR102062083B1 (en) | 2017-09-18 | 2017-09-18 | Trays with cup hold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2083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36403A (en) * | 1987-12-03 | 1989-06-06 | Blackmon Laura M | Multi-use tray with accessories |
KR200163847Y1 (en) * | 1999-04-20 | 2000-02-15 | 이누리 | A table which is controled the width by a sub-table |
KR100610862B1 (en) * | 2004-12-21 | 2006-08-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rm rest with cup holder |
KR100683200B1 (en) | 2005-10-26 | 2007-02-15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Car Rotary Cupholder |
KR20100054203A (en) | 2008-11-14 | 2010-05-25 | 김현빈 | The drink clip |
CN104643850A (en) * | 2013-11-18 | 2015-05-27 | 天津工业大学 | Living arrangement tray |
-
2017
- 2017-09-18 KR KR1020170119388A patent/KR10206208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36403A (en) * | 1987-12-03 | 1989-06-06 | Blackmon Laura M | Multi-use tray with accessories |
KR200163847Y1 (en) * | 1999-04-20 | 2000-02-15 | 이누리 | A table which is controled the width by a sub-table |
KR100610862B1 (en) * | 2004-12-21 | 2006-08-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rm rest with cup holder |
KR100683200B1 (en) | 2005-10-26 | 2007-02-15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Car Rotary Cupholder |
KR20100054203A (en) | 2008-11-14 | 2010-05-25 | 김현빈 | The drink clip |
CN104643850A (en) * | 2013-11-18 | 2015-05-27 | 天津工业大学 | Living arrangement tr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2083B1 (en) | 2020-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23793B2 (en) | Container with one or more tray retention portions and support stand | |
US4836602A (en) | Apparatus for storing food and beverages in a passenger seatback | |
US9623971B2 (en) | Tray table with electronic device support for vehicles | |
US6343835B1 (en) | Couch console | |
US4928865A (en) | Bilateral beverage container holder | |
US20170318974A1 (en) | Portable customizable swiveling concession tray | |
US20150343933A1 (en) | Storage module | |
US8998037B2 (en) | Drink dispensing device with holding and drip-collecting system for receptacles of different sizes | |
EP2877398B1 (en) | Tray table with electronic device support | |
GB2454367A (en) | Child safety seat with storage in arm rests | |
JP2015147433A (en) | Vehicle console box | |
US5823410A (en) | Hold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especially for installation in motor vehicles | |
US20110240810A1 (en) | Cup Holder | |
US20060266667A1 (en) | Infant feeder basket | |
KR20190031672A (en) | Trays with cup holders | |
KR20190032259A (en) | Trays with cup holder modules | |
JPH11151968A (en) | Holder for small article | |
KR20130056093A (en) | Consol arm rest structure for vehicle | |
KR102388918B1 (en) | Armrest for chair | |
CN215959095U (en) | Storage backrest | |
CN218390757U (en) | Auxiliary material supply device of beverage machine | |
JP2556695Y2 (en) | Container holder for seat | |
KR20180067824A (en) | Selectively open and close possible feeding table for pet | |
JPH0323882Y2 (en) | ||
JP2009066148A (en) | Armrest device storing table in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1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