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548A -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548A
KR20190031548A KR1020197005251A KR20197005251A KR20190031548A KR 20190031548 A KR20190031548 A KR 20190031548A KR 1020197005251 A KR1020197005251 A KR 1020197005251A KR 20197005251 A KR20197005251 A KR 20197005251A KR 20190031548 A KR20190031548 A KR 20190031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system information
time
frequency
determ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730B1 (ko
Inventor
츄핑 황
츄빈 가오
룬화 천
후이 리
탐라카 라케스
양 숭
멍쥔 왕
촨쥔 리
신 수
위 양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03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여, TRP와 빔 개수가 증가하므로 네트워크 노드의 식별 정보를 전달하고 식별하는 것이 더 복잡해지는 존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방법에서, 송신단은제1 식별자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송신하고,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고, 시스템 정보에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SI와 제1 식별자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수신단으로 하여금 SI를 수신한 후 제1 식별자를 얻도록 하고, 시스템 정보에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수신단은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 후 제2 식별자를 얻는다. 이리하여 수신단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에 따라 송신단의 모든 식별 정보를 얻는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6년 07월 22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610587543.7호,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를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출원에 통합되어 본 출원의 일부분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node) 및 그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User Equipment, UE)를 포함한다. UE에 전원이 공급된 후,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UE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를 찾아 이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액세스해야 한다. 네트워크 노드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경우, UE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 중 임의의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셀룰러 시스템을 예로 들면, 네트워크 노드는 셀(Cell)로 구성되고, 각 셀은 상이한 신호를 송신하고, UE는 상이한 셀의 신호를 검출하고, 적절한 셀을 선택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이 절차는 초기 액세스로 지칭된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UE는 초기 액세스 일 때(즉, 즉 적절한 네트워크 노드를 찾아 내어 액세스함) 셀을 식별할 뿐만 아니라, 셀 재선택 또는 연결된 상태에서도 셀을 식별하여 적절한 셀을 선택하여 체류하거나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을 보고한다.
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는 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LTE 시스템의 동기 신호는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한다. 셀의 소속한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PSS 또는 SSS는 빔 형성 후에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다. PSS 또는 SSS는 셀 내의 모든 UE가 셀에 액세스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빔 형성 방식은 PSS 또는 SSS가 셀의 모든 사용자에 의해 수신될 수 있도록 넓은 빔 형성을 위해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셀이 하나의 PSS 또는 SSS를 전송하고 이 신호는 이 셀의 Cell ID(셀 식별자)사이에 일대일 대응 관계가 있다. UE가 셀의 PSS/SSS를 검추한 후 해당 셀의 셀 ID를 획득하여 그 셀을 식별한다.
기존의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저주파수 대역에 배치되며, 네트워크 노드 측에 소량의 안테나가 존재한다. 향후 통신 시스템은 0.4GHz 내지 100GHz의 주파수 대역 심지어 더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배치될 것이다. 6GHz 이하의 저주파수와 6GHz이상의 고주파수는 전송 성능의 차로 인해 고주파수의 결로 손실은 저주파수보다 훨씬 높다. 예를 들면, 반송파 주파수 26GHz는 동일한 전파 거리에서 시각 거리 조건 하에서 2.6 GHz의 반송파 주파수의 경로 손실 보다20Db더 높다. EIRP(Effective Isotropic Radiated Power)가 동일한 조건 하에서 고주파 대역의 신호 도달 범위가 극적으로 좁아지고 기존의 동기화 및 초기 액세스 신호 설계는 충분한 네트워크 커버 영역을 보장 할 수 없다. 충분한 네트워크 커버 영역을 보장하기 위해, 향후 하나의 시스템의 하나의 셀에 복수의 TRP(Transmit or receive point)가 존재 가능하다. 또한, 향후 시스템에서의 안테나의 수는 극적으로 수백에서 수천까지 증가할 것이며, 많은 수의 안테나가 빔 형성을 통해 좁게 형성된 빔을 생성할 수 있으며, 빔 내 거버 범위는 빔 이득으로 인해 개선될 수 있지만, 빔이 좁아지기 때문에 각 빔으로 커버 할 수 있는 각도가 더 작을 것이고, 셀은 다른 셀 전체가 커버 될 수 있도록 여러 방향을 가리키는 빔이 필요된다. 향후 시스템에서, UE는 셀뿐만 아니라 TRP 및 빔을 식별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요약하면 네트워크의 배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TRP와 빔 개수가 증가하므로 네트워크 노드의 식별 정보를 전달하고 식별하는 것이 더 복잡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TRP와 빔 개수가 증가하므로, 네트워크 노드의 식별 정보를 전달하고 식별하는 것이 더 복잡해지는 존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제1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은,
송신단은 제1 식별자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I)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에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단은 하기 절차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단은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송신단은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적어도 2개이면 상기 방법에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2 식별자이고, 또는,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2 식별자 사이에는 미리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을 충족하고, 또는,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의 사이에는 한정된 제2 제약 조건을 충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는 적어도 2개의 서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적어도 2개의 제1 서브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신호 각각이 하나의 제1 서브 식별자와 대응되고, 상이한 서브 신호에 대응된 제1 서브 식별자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상기 송신단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상기 송신단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 상기 방법은,
수신단은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단은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I를 송신하는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단이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의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제1 식별자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 내의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비트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단이 상기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단이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수신단은 하기 절차로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단이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전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및 사전 정의된 제2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는 적어도 2개의 서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적어도 2개의 제1 서브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신호 각각이 하나의 제1 서브 식별자와 대응되고, 상이한 서브 신호에 대응된 제1 서브 식별자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상기 송신단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상기 송신단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4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5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장치는,
제1 식별자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송신하는 제1 처리 모듈; 및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제2 처리 모듈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적어도 2개이면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한다.
제6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장치는,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송신하고, 상기 SI에는 제1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고,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적어도 2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한다.
제7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및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SI를 송신하는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상기 SI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SI의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제1 식별자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고, 여기서, 하기 절차로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전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및 사전 정의된 제2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한다.
제8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 상기 수신 장치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고;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SI를 송신하는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SI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SI의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제1 식별자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고, 여기서, 하기 절차로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전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및 사전 정의된 제2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수신단은 SI를 검출한 후 SI와 제1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식별자를 얻을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수신단은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 후 제2 식별자를 얻는다. 이리하여 수신단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에 따라 송신단의 모든 식별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액세스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I와 시스템 정보의 송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송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장점을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여기서 서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을 기반으로 하여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창조력을 발휘하지 않으면서 얻은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관련된 장치는 송신 장치(즉, 송신단) 및 수신 장치(즉, 수신단)를 포함하고, 송신 장치와 이 송신 장치에 액세스된 수신 장치 사이에서 다운링크 송신 및 업링크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송신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동기 신호(SI)를 송신할 수 있고,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동기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장치는 기지국이나 다른 유형의 전송 포인트 장치일 수 있으며, 수신 장치는 사용자 장치(또는 단말)일 수 있다. 물론 위 두 장치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른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단말이어도 된다. 대안적으로, 송신 장치는 복수의 네트워크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예를 들어,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 또는 기저 대역 컴포넌트 및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예를 들어, 활성 안테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기저 대역 컴포넌트(예를 들어,베이스 밴드 유닛(BBU))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층에 디지털 또는 무선 주파수 기능을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위 층 신호를 처리하는 것에만 책임을 질 수 있고, 무선 인터페이스 층에서의 베이스 밴드 처리는 Active antenna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가능한 다른 많은 네트워크 구현이 있을 수도 있다.
단말은 UE(User Equipment)로 지칭될 수 있거나, 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MS),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전화) 일 수도 있고, 이동 단말을 갖는 컴퓨터 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은 휴대용, 포켓, 핸드 헬드, 내장형 컴퓨터 또는 차량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은 또한 D2D(Device to Device,)단말 또는 M2M(Machine to Machine)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안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 2" 등의 용어는 송신기의 식별 정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정보의 수 및 운영 우선 순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식별자는 송신기의 식별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고, 제 2 식별자는 제1 식별자보다 송신기의 다른 식별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상기 송신단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는 그 영역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영역 ID일 수 있거나, 또는 전송된 위치가 포함된 영역 그룹의 ID와 전송된 위치가있는 영역 그룹 내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단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는 그 영역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TRP ID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TRP 그룹의 ID와 상기 송신단의 당해 TRP 그룹 내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는 빔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ID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된 빔의 소속한 빔 그룹의 ID와 당해 빔 그룹 내의 상기 빔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별자는 영역 ID이고, 제2 식별자는 TRP ID 와 빔 ID이다. 다른 예로서, 제1 식별자는 영역 ID와 TRP ID이고, 제2 식별자는 빔 ID이다. 다른 예로서, 제1 식별자는 영역 ID와 빔 ID이고, 제2 식별자는 TRP ID이다. 다른 예로서, 제1 식별자는 영역 ID이고, 제2 식별자는 TRP ID이다. 다른 예로서, 제1 식별자는 영역 그룹의 ID, 제2 식별자는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 그룹 내의 ID, TRP ID 및 빔 ID이다. 다른 예로서, 제1 식별자는 영역 그룹의 ID,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 그룹 내의 ID, 및 TRP 그룹의 ID이며, 제2 식별자는 당해 TRP 그룹 내의 상기 송신단 ID 등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언급된 "복수"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언급된 "영역"은 하나 이상의 종래 셀에 대응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시스템 정보 영역에 대응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물론, 그 영역은 다르게 정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송신단 측의 데이터 송신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S11에서, 송신단은 제1 식별자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I)를 송신한다.
S12, 상기 송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시스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SI와 제1 식별자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수신단으로 하여금 SI를 수신한 후 제1 식별자를 얻도록 하고, 시스템 정보에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수신단은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 후 제2 식별자를 얻는다. 이리하여 수신단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에 따라 송신단의 모든 식별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액세스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영역(예를 들어, 셀)은 하나 이상의 송신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송신단은 그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SI를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영역에서 송신되는 SI 개수는 빔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역에서 송신된 SI 수는 빔의 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영역에서 송신된 SI 수는 그 영역 내의 송신단(예를 들어, TRP)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 영역에서 송신된 SI 수는 그 영역 내의 TRP의 수와 동일하다.
상이한 영역에서 송신된 SI 수는 동일할 수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상이한 영역에서 송신된 SI의 시간-주파수 위치는 동일할 수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영역은 하나의 셀에 대응하고, 무선 네트워크는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을 커버하고, 셀 각각은 서로 다른 범위를 커버한다. 하나의 셀은 하나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대상로 정의되며 각 셀은 셀에서 브로드캐스트된 유일한 셀 ID에 대응한다. 하나의 셀은 하나 이상의 TRP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TRP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TRP상의 안테나는 빔 형성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다운 링크 신호는 빔 형성 후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각각의 빔은 안테나 수와 빔 형성 방식에 따라 넓은 커버리지 또는 좁은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하나의 셀은 다운링크에서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SI)를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하나의 셀의 각 TRP는 별개의 SI를 전송한다. 각각의 SI는 넓은 범위를 가진 해당 TRP를 제공하기 위해 넓은 빔 형성을 통해 TRP에서 전송된다. 이 경우, 복수의 SI는 셀 전체의 모든 TRP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커버한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복수의 SI는 복수의 빔 형성된 빔을 통해 송신된다. 즉, 셀의 각 TRP는 각 빔을 통해 어떤 방향을 지시하도록 SI를 송신하고, 복수의 빔 형성된 빔은 셀 전체의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영역에서 송신된 SI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의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SI의 시퀀스는 기본 시퀀스나 주기적으로 쉬프트된 시퀀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시스템 정보는 다음 전송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운 링크 시스템 대역폭, 물리적 하이브리드 -ARQ 표시 자 채널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HICH;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자원 표시 자, 시스템 프레임 번호 (System Frame Number, SFN), 안테나 포트 수 등.
일 가능한 구현에서, 시스템 정보는 LTE 시스템의 마스터 정보 블록 (Master Information Block, MIB)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다음의 3가지 가능한 구현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첫 번째로,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2 식별자이고.
예를 들어, 상기 제2 식별자가 TRP ID이면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TRP ID이다.
두번째로,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2 식별자 사이에는 미리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을 충족한다.
예를 들어, 상기 SI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 2 식별자에 관한 정보와 소정값의 합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SI에 대응하는 제 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f(y)이고, 여기서, f()는 미리 설정된 함수이고, y는 제 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SI에 대응하는 제 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f1(y1, y2)이고, 여기서f1()는 미리 설정된 함수이고, y1 및 y2는 제 2 식별자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인 f1 (y1, y2)이다. 제1 제약 조건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임의의 특정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번째로,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의 사이에는 한정된 제2 제약 조건을 충족한다.
예를 들어, 상기 SI에 대응된 제2 식별자를 내타내는 정보는 g(x,y)이고, 여기서, g()는 미리 설정된 함수이고, x는 상기 제1 식별자이고, y는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 등이다. 제 2 제약 조건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임의의 특정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있어서, SI는 다음의 3가지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식별자를 운반한다.
[방식 1] 상기 SI의 시퀀스는 상기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다.
상기 방식에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기본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주기적으로 쉬프트된 시퀀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대응하여, 수신단은 제1 식별자의 후보 값으로 수신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후보 값들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성공적으로 검출할 때, SI가 검출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후보 값을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로서 결정한다.
여기서, 제1 식별자의 후보 은 네트워크에서 가능한 모든 제1 식별자 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측에서 구성될 수 있거나, 프로토콜에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방식 2] 상기 SI는 상기 제1 식별자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것이다.
상기 방식에서, 상기 송신단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한다.
대응하여, 수신단은 제1 식별자의 후보 값으로 수신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상기 후보 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신호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때, 상기 SI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후보 값을 상기 SI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별자의 후보 값은 네트워크에서 가능한 모든 제1 식별자 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측에서 구성될 수 있거나, 프로토콜에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방식 3]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방식에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다음 2가지 가능한 구현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첫 번째,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식별자가 영역 ID이면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영역 ID이다.
두 번째,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식별자는 소정된 제약 조건을 충족한다.
예를 들어,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소정값의 합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별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배수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f(x)이고, 여기서, f()는 미리 설정된 함수를 나타내고, x는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낸다. 제약 조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특정 구현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응하여, 수신단이 SI를 성공적으로 검출한 후 상기 SI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직접 얻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제1 식별자 자체이면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를 직접 얻는다.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제1 식별자와 같이 제약 조건을 충족하는 값이면,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후, 송정된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한다.
위 어느 하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는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미리 정의하고, 송신단은 미리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1 매핑 관계에서 정의된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주파수 영역 상의 위치는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는 M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이며, M은 양의 정수이다.
상기 방식은 이하와 같은 두 가능한 구현 방식을 구비한다.
첫 번째,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하나로 미리 정의되면 송신단은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직접 송신한다.
두 번째,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복수로 미리 정의되면, 즉,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이 미리 정의되면 송신단은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서 하나를 선출하여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한다.
다른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SI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가 미리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하기 두 가능한 구현 방식을 포함한다.
방식 1, 제1 매핑 관계에 의해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정의한다. 여기서, 제1 매핑 관계에서 하나의 SI의 시간-주파수 위치는 하나의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대응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SI의 시간-주파수 위치는 하나의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대응된다. 또한, 상기 제1 매핑 관계에 의해 정의된 하나의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매핑 관계에서 정의된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주파수 위치는 상기 SI의 주파수 위치에서 N개의 리소스 엘리먼트(예를 들어, PRB,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s) 등)를 오프셋한 후의 시간 - 주파수 위치이다.
상기 방식에서, 제1 매핑 관계은 송신단에 의해 결정된 후 수신단으로 통지될 수 있고, 프로토콜에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방식에서, 상기 송신단은 하기 절차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송신단은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방식에서, 송신단은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결정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하나이면, 상기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직접 송신한다.
송신단이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결정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적어도 2개이면,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한다.
방식 2, 제2 매핑 관계를 정의한다.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2 매핑 관계 내의 하나의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는 하나의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 대응되거나, 또는, 복수의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는 하나의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제2 매핑 관계에 의해 정의 된 하나의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상기 방식에서, 제2 매핑 관계는 송신단에 의해 결정된 후 수신단으로 통지될 수 있으며, 프로토콜에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방식에서, 상기 송신단은 하기 절차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방식에서, 송신단이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하나로 결정되면 송신단은 상기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직접 송신한다.
송신단이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적어도 2개로 결정되면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시간-주파수 위치는 시간 위치 및/또는 주파수 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SI의 시간-주파수 위치는 상기 SI에 점유된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시작 위치, 중간 위치, 또는, 종료 위치일 수 있다.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는 상기 시스템 정보에 점유된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시작 위치, 중간 위치, 또는, 종료 위치일 수 있다.
위 어느 하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는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시스템 정보와 제1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확립할 때 하기 두 가능한 실시 방식을 포함한다.
방식 A,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한다.
방식 B,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한다.
물론, 물론, 시스템 정보와 제1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는 확립되지 않을 수 있고, 송신단은 다른 스크램블링 방식으로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구성된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해 미리 구성된 스크램블링 코드 세트로부터 스크램블링 코드를 선택할 수 있다.
위 어느 하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는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하나의 SI는 복수의 컴포넌트(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컴포넌트는 동일할 수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하나의 SI에 포함된 복수의 컴포넌트는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및/또는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등과 같은 다중화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영역 내의 상이한 SI 사이에는 FDM, TDM, 및/또는 CDM 등과 같은 다중화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영역 내의 상이한 SI에 포함된 상이한 컴포넌트 사이에는 FDM, TDM, 및/또는 CDM 등과 같은 다중화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SI와 시스템 정보의 일 가능한 송신안을 제공한다. 도 2에서, 송신단은 동일한 시각에서 상이한 빔으로 4개의 SI를 송신한다. 즉, 빔 1로 SI1을 송신하고, 빔 2로 SI2를 송신하고, 빔 3으로 SI3을 송신하고, 빔 4로 SI4를 송신한다. 상기 4개의 SI는 FDM방식으로 다중화되어, 각각의 SI는 하나의 시스템 정보(예컨대, MIB)에 대응되고, 즉, SI1은 MIB1에 대응되고, SI2는 MIB2에 대응되고, SI3은 MIB3에 대응되고, SI4는 MIB4에 대응된다. SI에는 송신단의 제1 식별자가 포함되고, MIB에는 제2 식별자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식별자는 송신단의 셀ID이고, 제2 식별자는 SI에 대해 빔 형성을 수행하기 위한 빔 ID이다, SI의 시퀀스는 셀ID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4개의 SI의 시퀀스는 동일하며 대응된 제1 ID의 정보도 동일하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SI는 적어도 2개의 서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적어도 2개의 제1 서브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신호 각각이 하나의 제1 서브 식별자와 대응되고, 상이한 서브 신호에 대응된 제1 서브 식별자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SI는 2개의 서브 신호 (컴포넌트), 즉 PSS와 SSS를 포함하고, 제1 식별자는 셀 ID이고, 셀 ID는 2개의 제1 서브 식별자, 즉 섹터 ID와 그룹 내 ID PSS는 섹터 ID에 대응하고, 3개의 값 중 하나를 취한다.SSS는 그룹 내 ID에 해당하며 128개의 값 중 하나를 취하므로 504 개의 해당 셀 ID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방식에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할 때, 임의의 제1 서브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이한 제1 서브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상이한 서브 신호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구현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식에서,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할 때, 임의의 제1 서브 식별자로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할 수 있으며, 상이한 제1 서브 식별자로 상기 SI상이한 서브 신호를 스크램블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구현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동일한 발명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 측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31, 수신단은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한다.
이 단계에서, 수신단은 하나의 영역 내에서 개별적으로 각각의 SI를 검출할 수 있거나, 복수의 SI를 공동으로 검출할 수 있다. SI들이 공동으로 검출되면, 사용자는 SI의 검출시 수신된 신호로부터 검출된 각각의 SI를 검출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송신단이 복수의 SI를 송신하는 경우, 수신단은 각 SI를 검출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SI를 검출할 때 SI의 검출을 중지할 수 있다.
S32,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다.
S33, 상기 수신단은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한다.
상기 SI를 송신하는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SI와 제1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를 통해, 수신단으로 하여금 SI를 수신한 후 제1 식별자를 얻도록 하고, 시스템 정보에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수신단은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 후 제2 식별자를 얻는다. 이리하여 수신단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에 따라 송신단의 모든 식별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식별 정보는 초기 액세스, 셀 재 선택, 셀 핸드오버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액세스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S31에서 수신단이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한다. 위 방식 1에 대응되며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의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제1 식별자로서 결정한다. 위 방식 2에 대응되며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 내의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비트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한다. 또는, 위 방식 3에 대응되며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수신단은 제1 식별자의 가능한 값들을 사용하여 시퀀스들을 생성함으로써 SI를 검출하고, 이들 시퀀스들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된 신호가 SI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는,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의 가능한 값들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함으로써 SI를 검출하고, 성공적인 디스크램블링시에만 상기 SI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식별자의 가능한 값들이 결정되어 상기 송신단에 의해 상기 수신단에 통지되거나, 프로토콜에서 미리 정의된다. 여기서, 수신단이 제1 식별자의 가능한 값들을 사용하여 시퀀스들을 생성하고 이들 시퀀스들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가능한 구현예에서, 수신단은 로컬에서 생성된 시퀀스를 수신된 신호와 상관시키고, 상관 관계가 주어진 임계 값 이상이다. 시퀀스에 대응하는 시퀀스는 로컬 생성된 시퀀스이고, 제1 식별자의 대응하는 값은 로컬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식별자이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S32에서 상기 수신단이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한다. 위 방식 A에 대응되며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고, 위 방식 B에 대응되며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물론, 시스템 정보와 제1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지만, 수신단은 다른 디스크램블링 방식으로 수신 시그널링을 디스크램블링 할 수 있고, 성공적인 디스크램블링 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단은 미리 구성된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수신된 시그널링을 디스크램블링 할 수 있고 성공적인 디스크램블링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수신단은 디스크램블링 코드들의 미리 구성된 세트 내의 각각의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트래버스하고,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성공적인 디스크램블링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위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S32에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수신단 하기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수신단은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다른 일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수신단은 하기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위 방식 1에 대응되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위 방식 2에 대응되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단은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 각각에서 검출할 필요가 있다.
위 임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S33에서, 상기 수신단이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전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한다.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및 사전 정의된 제2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한다.
상기 방법들의 처리 흐름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수행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 될 수 있고,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호출될 때, 상기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 할 수 있다.
동일한 발명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장치의 과제 해결 원리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신 방법과 유사하므로서 상기 장치의 구현은 방법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장치는,
제1 식별자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송신하는 제1 처리 모듈(41); 및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제2 처리 모듈(42)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적어도 2개이면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 및 처리는 송신단이 네트워크 노드인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송신 장치는 송수신기(51), 및 상기 송수신기(51)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52)는 메모리(53)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1 식별자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52)는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송수신기(51)는 상기 프로세서(52)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
상기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5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52)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53)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 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51)는 복수의 부재일 수 있으며,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질에서 다른 다양한 장치와 통신하는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52)는 버스 아키텍처과 일반 처리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며, 상기 메모리(53)는 상기 프로세서(52)가 동작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I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적어도 2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한다.
동일한 발명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데이터 수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 과제의 해결 원리는 위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수신 방법과 유사하며, 상기 장치의 구현은 방법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61);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62); 및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63)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에는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SI를 송신하는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상기 SI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SI의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제1 식별자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수신단은 하기 절차로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전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및 사전 정의된 제2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 및 처리는 단말이 네트워크 노드인 예로서 설명 될 것이다. 상기 수신 장치는 송수신기(71), 및 상기 송수신기(71)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72)는 메모리(73)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한다.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SI를 송신하는 송신단의 식별 정보 중의 일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한다.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식별 정보 내의 기 제1 식별자 외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에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송수신기(71)는 상기 프로세서(72)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72)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73)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 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1)는 복수의 부재일 수 있으며,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질에서 다른 다양한 장치와 통신하는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장치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74)는 주변 연결 및 내부 연결을 만족할 수 있는 장치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연결된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프로세서(72)는 버스 아키텍처과 일반 처리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며, 메모리(73)는 프로세서(72)가 동작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SI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SI의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제1 식별자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고, 여기서, 하기 절차로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전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및 사전 정의된 제2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한다.
본 기술 분야 내의 당업자들이 명백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은 풀 하드웨어실시예, 풀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방면을 결합하는 실시예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메체(디스크 메모리, CD-ROM 및 광학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에서 실시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방법, 디바이스(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바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중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중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통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부터 수행한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장치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를 유도하여 특정된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하는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하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일련의 오퍼레이션 절차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실시하는 프로세스가 생성되도록 하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수행한 명령은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절차를 제공하도록 한다.
분명한 것은, 본 분야의 동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은 본 출원에 대해 각종 수정 및 변경을 실행하며 또한 본 출원의 주제 및 범위를 떠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본 출원의 청구항 및 동등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35)

  1. 송신단은 제1 식별자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I)를 송신하는 단계;및
    상기 송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하기 방식으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단은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송신단은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적어도 2개이면,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2 식별자이고, 또는,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2 식별자 사이에는 미리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을 충족하고, 또는,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의 사이에는 한정된 제2 제약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I는 적어도 2개의 서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적어도 2개의 제1 서브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신호 각각이 하나의 제1 서브 식별자와 대응되고, 상이한 서브 신호에 대응된 제1 서브 식별자가 상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상기 송신단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상기 송신단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수신단은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든 단계; 및
    상기 수신단은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I를 송신하는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의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제1 식별자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 내의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비트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상기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수신단은 하기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이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전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1 식별자,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및 사전 정의된 제2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I는 적어도 2개의 서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적어도 2개의 제1 서브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신호 각각이 하나의 제1 서브 식별자와 대응되고, 상이한 서브 신호에 대응된 제1 서브 식별자가 상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상기 송신단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송신단의 소속한 영역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상기 송신단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상기 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을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6. 제1 식별자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송신하는 제1 처리 모듈; 및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제2 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SI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적어도 2개이면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1.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및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SI를 송신하는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상기 SI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SI의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제1 식별자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고, 여기서, 하기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전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및 사전 정의된 제2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6.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송신하고, 상기 SI에는 제1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SI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은,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SI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SI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은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적어도 2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1.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 SI를 검출한 후 상기 SI에 포함된 제1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고,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2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SI를 송신하는 송신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I의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SI의 디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제1 식별자로서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SI 내의 비트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의 레퍼런스 신호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검출하고, 여기서, 하기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SI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제1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매핑 관계는 SI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제2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관계는 SI에 대응된 제1 식별자와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또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위치 집합에 따라 상기 SI에 대응된 시스템 정보의 후보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전 정의된 제1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식별자, 상기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및 사전 정의된 제2 제약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KR1020197005251A 2016-07-22 2017-06-08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2160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587543.7A CN107645769B (zh) 2016-07-22 2016-07-22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201610587543.7 2016-07-22
PCT/CN2017/087511 WO2018014669A1 (zh) 2016-07-22 2017-06-08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548A true KR20190031548A (ko) 2019-03-26
KR102160730B1 KR102160730B1 (ko) 2020-09-28

Family

ID=6099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251A KR102160730B1 (ko) 2016-07-22 2017-06-08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12014B2 (ko)
EP (1) EP3490303B1 (ko)
JP (1) JP6913738B2 (ko)
KR (1) KR102160730B1 (ko)
CN (1) CN107645769B (ko)
TW (1) TWI662824B (ko)
WO (1) WO201801466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7780A1 (en) * 2010-06-28 2011-12-29 Ji Won Ka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multi-node system
KR20120001598A (ko) * 2010-06-28 2012-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동기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4059801A1 (zh) * 2012-10-19 2014-04-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信号发送和设备识别方法及设备
JP2014532320A (ja) * 2011-09-09 2014-12-0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同期及びシステム情報獲得の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WO2015160856A1 (en) * 2014-04-15 2015-10-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ondary cell id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323369A1 (en) * 2004-09-17 2006-03-23 Siang Beng Chng System and method for batch conversion of RFID tag to RFID label
CN101001234B (zh) * 2006-01-10 2013-0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正交频分复用系统发送信号的方法及小区搜索的方法
TWI486050B (zh) 2008-06-09 2015-05-21 Inventec Appliances Corp 雙模無線通訊裝置及雙模無線通訊方法
CN101702829B (zh) 2008-11-26 2012-10-10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通过共享硬件同时使用多个用户号码的方法,装置和系统
CA2859980C (en) * 2008-12-26 2016-04-12 Sharp Kabushiki Kaisha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20042138A (ko) * 2010-10-22 2012-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탐색 방법
CN102186251B (zh) * 2011-04-29 2016-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系统
CN102710612B (zh) 2012-05-11 2016-06-29 张伟 实现多方交互通信应用的方法及装置
WO2014071615A1 (zh) 2012-11-09 2014-05-15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CN104956598B (zh) * 2013-05-08 2017-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检测及发送的方法及装置
JP2015041818A (ja) * 2013-08-20 2015-03-02 株式会社Nttドコモ 同期信号受信方法及び移動局装置
AU2014355189B2 (en) * 2013-11-27 2018-02-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for sending and detecting, respectively,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KR101750845B1 (ko) * 2013-12-25 2017-07-1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주파수 스펙트럼의 사용을 지시하고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635018B (zh) * 2014-11-07 2020-0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功能指示的方法、装置及系统
CN106507442A (zh) 2016-09-30 2017-03-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小区接入的控制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7780A1 (en) * 2010-06-28 2011-12-29 Ji Won Ka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multi-node system
KR20120001598A (ko) * 2010-06-28 2012-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동기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4532320A (ja) * 2011-09-09 2014-12-0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同期及びシステム情報獲得の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WO2014059801A1 (zh) * 2012-10-19 2014-04-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信号发送和设备识别方法及设备
WO2015160856A1 (en) * 2014-04-15 2015-10-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ondary cell id selec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L COR., "Beam support in NR", 3GPP R2-162709 (2016.04.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3738B2 (ja) 2021-08-04
EP3490303A1 (en) 2019-05-29
EP3490303A4 (en) 2019-05-29
TWI662824B (zh) 2019-06-11
JP2019527517A (ja) 2019-09-26
CN107645769A (zh) 2018-01-30
CN107645769B (zh) 2019-12-13
TW201804755A (zh) 2018-02-01
KR102160730B1 (ko) 2020-09-28
US10912014B2 (en) 2021-02-02
US20190281538A1 (en) 2019-09-12
EP3490303B1 (en) 2022-01-12
WO2018014669A1 (zh)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2720B (zh) 一种选择波束的方法及设备
CN107534467B (zh) 传输信息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CN107736060B (zh) 可变同步块格式
TWI613893B (zh) 參考信號傳輸及接收方法、基地台和使用者設備
CN110099021B (zh) 一种同步信号配置方法及装置
CN107787602B (zh) 基于公共随机接入信道资源的协调随机接入
US20220124513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JP2018046582A (ja) セルラー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ノード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200139743A (ko) 정보의 지시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CN105122663A (zh) 通过经由d2d的辅助信令的基于ue的干扰消除
CN107689855B (zh) 信号发送、接收方法和设备
CN110140411B (zh) 5g无线接入网络中的连接建立
KR102278618B1 (ko) 제어정보 수신 장치 및 방법, 신호 측정 장치 그리고 위치 측정 서버 및 방법
WO201818928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node,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CN109075833B (zh) 通信控制装置、终端装置、方法和程序
KR102160730B1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CN106664698B (zh) 终端装置、集成电路以及通信方法
US11770757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system information area or network area
CN112423377A (zh) 用于管理小区参考符号的功率的网络节点和方法
WO2018078216A1 (en) Mitigating backhaul interference
KR20150088742A (ko) Lte 스몰셀의 온 오프 정보 송수신 장치
CN116326071A (zh) 高频波束切换
JP2020503704A (ja) 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