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073A - 앱 및 서버 기반 도보 이용자 대상 경호 및 동행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앱 및 서버 기반 도보 이용자 대상 경호 및 동행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073A
KR20190031073A KR1020170118941A KR20170118941A KR20190031073A KR 20190031073 A KR20190031073 A KR 20190031073A KR 1020170118941 A KR1020170118941 A KR 1020170118941A KR 20170118941 A KR20170118941 A KR 20170118941A KR 20190031073 A KR20190031073 A KR 20190031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location notific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Priority to KR102017011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1073A/ko
Publication of KR2019003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3
    • H04M1/7256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앱 및 서버를 기반으로 위치를 알리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위치 알림 단말에 부여된 식별자와 위치 알림 단말을 소지한 객체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위치 알림 단말에서 수신되는 위치 로그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위치 로그의 데이터를 패턴화하여 활동 구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활동 구역을 식별자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및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위치 알림 단말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로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앱 및 서버 기반 도보 이용자 대상 경호 및 동행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앱 및 서버를 기반으로 위치를 알리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범죄 상황이 발생할 시 위치 알림을 경호 및 동행, 주변인에게 동시다발적으로 위치 알림을 등록 단말로 전송하여 피보호자의 보호가 가능한 플랫폼 시스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약자,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력범죄가 날로 늘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호신용 도구 및 위험 알림용 도구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피보호자의 위험 알림 방법은, 피보호자가 보유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신호 발생시 신호 처리 기관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0778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02063호에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헬프 트리거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베이스 유닛을 분리하고, 헬프 트리거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별도의 단말기를 소지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동시키는 경우, 별도의 단말기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작동하지 않거나 전원이 없거나, 단말기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를 잃어버린 경우에는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피보호자가 단말기를 소지 및 관리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활용도가 현저히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선행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9-0120778호(2009.11.25 공개) (선행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5-0002063호(2015.01.07 공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보호자의 몸에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에 위치 알람 단말을 형성하고, 모바일 단말과의 연동 없이도 위치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위치를 로그 데이터 및 빅 데이터화하여 행동 반경을 설정하고, 설정된 행동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보호자를 포함한 기 등록된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피보호자는 별도의 단말없이도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고, 보호자는 정확한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 알림 단말에 부여된 식별자와 위치 알림 단말을 소지한 객체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위치 알림 단말에서 수신되는 위치 로그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위치 로그의 데이터를 패턴화하여 활동 구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활동 구역을 식별자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및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위치 알림 단말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로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피보호자의 몸에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에 일체로 위치 알림 단말을 형성하고, 모바일 단말과의 연동 없이도 위치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위치를 로그 데이터 및 빅 데이터화하여 행동 반경을 설정하고, 설정된 행동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보호자를 포함한 기 등록된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피보호자는 별도의 단말없이도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고, 보호자는 정확한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치 알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위치 알림 단말(100),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모바일 단말(400), 등록 단말(500) 및 리소스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실시간 지식 공유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위치 알림 단말(100)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알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400), 등록 단말(500) 및 리소스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위치 알림 단말(100), 모바일 단말(400), 등록 단말(500) 및 리소스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위치 알림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등록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위치 알림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리소스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위치 알림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위치 알림 단말(100),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서버(300), 모바일 단말(400), 등록 단말(500) 및 은리소스 단말(600)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알림 단말(100)은,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위치 알림 단말(100)은,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즉, 위치 알림 단말(100)은, 몸에 착용되는 기기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알림 단말(100)은, 보청기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임플란트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때, 위치 알림 단말(100)은 신체의 일부가 되거나 신체에 부착되거나 객체가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알림 단말(100)은, 자신의 위치를 자신의 식별자와 함께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위치 알림 단말(100)은 무선으로 충전되는 단말일 수 있고, 방수 또는 방오 기능을 위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알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 알림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위치 알림 단말(100)을 등록 단말(500) 과 매핑하여 저장하고, 위치 알림단말(100)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패턴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패턴화된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착용 객체의 행동 반경을 설정하고, 설정된 행동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과 매핑되어 저장된 등록 단말(500)로 알림을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에 따른 알림을 전송할 때, 시간에 동기화된 패턴에 기반하여 알림을 생성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리소스 단말(600)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리소스 단말(600)의 자원을 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400)과 위치 알림 단말(100)을 연동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400)은, 위치 알림 단말(100)을 보유한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400)은, 위치 알림 단말(100)과 연동되는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거나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400)은, 등록 단말(500) 또는 리소스 단말(600)과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 단말(500)은,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거나, 위치 알림 단말(100)에서 기 설정된 반경을 벗어난 경우,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알림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등록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등록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단말(600)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리소스 단말(600)은, 위치 알림 단말(100)이 기 설정된 반경을 벗어난 경우, 실시간으로 위치 알림 단말(100)과 가까이 있는 단말인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을 소지한 객체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객체의 소재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리소스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소스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리소스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치 알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 1 저장부(310), 수집부(320), 제 2 저장부(330), 전송부(340) 및 긴급 알림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위치 알림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400)로 실시간 지식 공유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400)은, 실시간 지식 공유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위치 알림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위치 알림 단말(100),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 모바일 단말(400), 등록 단말(500) 및 리소스 단말(6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 1 저장부(310)는, 위치 알림 단말(100)에 부여된 식별자와 위치 알림 단말(100)을 소지한 객체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저장부(310)는, 객체의 정보를 텍스트 및 이미지를 포함한 콘텐츠로 저장할 수 있다.
수집부(320)는, 위치 알림 단말(100)에서 수신되는 위치 로그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부(320)는, 수집되는 로그를 저장하기 위하여 하둡(Hadoop)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알림 단말(100)은, 보청기를 포함한 웨어러블 단말일 수 있다.
제 2 저장부(320)는, 수집된 위치 로그의 데이터를 패턴화하여 활동 구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활동 구역을 식별자에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패턴화된 로그 데이터는 시간에 동기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저장부(320)는, 어떠한 시간대에는 어떠한 구역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가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500)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알림 단말(100)은, 위치 알림 단말(100)을 착용한 객체의 모바일 단말(400)과 연동되고, 모바일 단말(400)을 통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알림 단말(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청기로 구현되는데, 이때 보청기의 방수 또는 방오 처리를 위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무선으로 충전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전송부(340)는,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가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500)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를 전송할 때,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가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위치 신호에 식별자 및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의 리다이렉트(Redirect) 명령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340)는, 식별자 및 리다이렉트 명령이 삽입된 위치 신호를 수신한 리소스 단말(600)로부터, 식별자, 위치 신호 및 리소스 단말(600)의 위치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 알림 단말(100) 및 리소스 단말(600)의 위치 신호를 시간에 동기화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340)는, 생성된 경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등록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기 등록된 등록 단말(500)은, 적어도 하나의 경찰 단말을 포함하는데, 전송부(340)에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가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500)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를 전송할 때,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가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적어도 하나의 경찰 단말에서 위치 알림 단말(100)의 객체의 정보 및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가 우선순위가 부여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알림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경찰 단말 중 위치 알림 단말(100) 간의 거리가 최소인 경찰 단말로 위치를 전송하고, 위치를 수신한 경찰 단말은, 위치 알림 단말(100)에서 위치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위치의 헤더(Header)에 포함된 식별자를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객체 정보를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다.
긴급 알림부(350)는, 전송부(340)에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가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500)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를 전송한 후,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가 활동 구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을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벗어난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의 리소스 단말(600)로 위치 알림 단말(100)의 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 알림부(350)는, 객체 정보에 대한 제보 정보를 리소스 단말(600)로부터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정보를 시간 및 위치에 동기화하여 기 등록된 등록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매 노인이 길을 헤메이고 있고, 위치 알림 단말(100)의 신호가 약하여 주변 단말로밖에 신호를 보낼 수 없는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은, 타인의 단말인 리소스 단말(600)을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알림 단말(100)의 전원이 기 설정된 전위값 미만인 경우, 주변 단말로 신호를 송신하는 모드로 변경하고, 신호를 수신한 주변 단말인 리소스 단말(600)은, 자동으로 리다이렉트 페이지, 즉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위치 알림 단말(100)의 자원이 부족한 상태일지라도, 주변에 위치한 다른 단말을 리소스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긴급 알림부(350)는, 수집된 정보를 시간 및 위치에 동기화하여 기 등록된 등록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고, 위치 알림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식별자 및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의 리다이렉트(Redirect) 명령을 삽입할 수 있고, 식별자 및 리다이렉트 명령이 삽입된 위치 신호를 수신한 리소스 단말(600)로부터, 식별자, 위치 신호 및 리소스 단말(600)의 위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등록 단말(500)의 위치가 리소스 단말(600)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등록 단말(500)로 리소스 단말(600)의 위치 및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리소스 단말(600)에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등록 단말(500)에서 리소스 단말(600)의 위치를 수신하는 시간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등록 단말(500)에서 리소스 단말(600)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등록 단말(500)의 보유자가 위치 알림 단말(100)의 보유자를 찾고자 하는 경우, GPS 신호만을 가지고는 찾기가 힘든 경우가 많다.
따라서, 등록 단말(500)의 보유자의 위치가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와 가까워지는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의 신호를 동시간에 받은 단말의 위치까지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등록 단말(500)에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착용자를 찾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를 수집하는 경우, 빅 데이터 기반 분산 파일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한 명의 사용자라고 할지라도, 시간별 위치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로그로 저장해야 하므로, 대용량 저장 시스템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빅 데이터 기반 분산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가 활동 구역이 아니고, 등록 단말(500)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 알림단말(100)의 위치가 등록 단말(50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에는,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가족과의 여행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보호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알림을 알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일지라도, 위치 알림 단말(100)의 위치 알림 서비스는 계속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음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위치 알림 단말(100)은, 객체의 모바일 단말(400)과 연동되고, 위치 알림 단말(100)과 연동된 모바일 단말(400)의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치 알림 단말(100)은, 위치 알림 단말(100)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리소스 단말(600)로, 위치 알림 단말(100)의 식별자, 위치 신호 및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이동되는 리다이렉트 명령을 전송하고, 리소소 단말은, 리다이렉트 주소로 식별자 및 위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위치 로그의 데이터는 시간에 동기화되어 유전자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패턴화될 수 있다.
상술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동 과정을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① 위치 알림 단말(100)에서 GPS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②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③ 신호를 수집하여 패턴화하기 시작한다.
이때, ④ 이때,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모니터링 결과, 활동 반경이 벗어나는 경우, ⑤ 등록 단말(500)에서 출력되도록 ⑥ 지인에게 알림을 전송한다.
또한, 위치 알림 단말(100)에서 리소스 단말(600)을 이용하는 경우, ⑦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리소스 단말(6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⑧ 리소스 단말(600)에서, 위치 알림 단말(100)의 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⑨ 리소스 단말(600)에서 피드백을 전송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위치 알림 단말(10))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S4100), 모바일 단말(400)과 연동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400)과의 동기화를 실시하며(S4200), 알림을 전송할 등록 단말(500)의 정보도 등록되도록 한다(S4300).
그리고 나서, 위치 알림 단말(100)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위치가 전송되는 경우(S4400), 위치를 수집하고(S4500), 로그로부터 패턴 및 행동 반경을 추출하여 위치 알림 단말(100)과 매핑되도록 저장한다(S4600).
또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위치 알림 단말(100)을 모니터링하고(S4700),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활동 반경을 이탈하는 경우(S4800), 등록 단말(500)로 알림을 전송하고(S4900), 등록 단말(500)에서 알림이 울리도록 한다(S4910).
한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위치 알림 단말(100)로 리소스 단말(6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명령을 삽입하는 경우(S4920), 위치 알림 단말(100)은, 리소스 단말(600)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S4930).
이때, 리소스 단말(600)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정보를 전송하고(S4940), 등록 단말(500)은, 피드백으로 정보를 수집하며(S4950), 수집된 정보 및 알림을 출력한다(S4960).
상술한 단계들(S4100~S498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8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위치 알림 단말에 부여된 식별자와 위치 알림 단말을 소지한 객체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나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위치 알림 단말에서 수신되는 위치 로그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한다(S5200).
또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집된 위치 로그의 데이터를 패턴화하여 활동 구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활동 구역을 식별자에 매핑되도록 저장한다(S5300).
그리고,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위치 알림 단말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로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전송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위치 알림 단말에 부여된 식별자와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을 소지한 객체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위치 알림 단말에서 수신되는 위치 로그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 로그의 데이터를 패턴화하여 활동 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활동 구역을 상기 식별자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상기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상기 위치 알림 단말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은, 보청기를 포함한 웨어러블 단말인 것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은,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을 착용한 객체의 모바일 단말과 연동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충전되는 것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상기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상기 위치 알림 단말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상기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상기 위치 알림 단말에서 출력되는 위치 신호에 식별자 및 상기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의 리다이렉트(Redirect) 명령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 및 리다이렉트 명령이 삽입된 위치 신호를 수신한 리소스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자, 위치 신호 및 리소스 단말의 위치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 알림 단말 및 리소스 단말의 위치 신호를 시간에 동기화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경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등록된 등록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경찰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상기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상기 위치 알림 단말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상기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찰 단말에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객체의 정보 및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우선순위가 부여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고,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찰 단말 중 상기 위치 알림 단말 간의 거리가 최소인 경찰 단말로 위치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를 수신한 경찰 단말은, 상기 위치 알림 단말에서 위치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의 헤더(Header)에 포함된 식별자를 상기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객체 정보를 수신 및 출력하는 것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상기 활동 구역이 아닌 경우, 상기 위치 알림 단말과 연동되어 기 등록된 등록 단말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상기 활동 구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을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벗어난 경우,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의 리소스 단말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객체 정보에 대한 제보 정보를 상기 리소스 단말로부터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시간 및 위치에 동기화하여 상기 기 등록된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정보를 시간 및 위치에 동기화하여 상기 기 등록된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위치 알림 단말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식별자 및 상기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의 리다이렉트(Redirect) 명령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 및 리다이렉트 명령이 삽입된 위치 신호를 수신한 리소스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자, 위치 신호 및 리소스 단말의 위치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등록 단말의 위치가 상기 리소스 단말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등록 단말로 상기 리소스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단말에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등록 단말에서 상기 리소스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는 시간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등록 단말에서 상기 리소스 단말의 위치를 출력하는 것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상기 활동 구역이 아니고, 상기 등록 단말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가 상기 등록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에는,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위치를 수집하는 경우, 빅 데이터 기반 분산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은, 상기 객체의 모바일 단말과 연동되고,
    상기 위치 알림 단말과 연동된 모바일 단말의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은,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리소스 단말로, 상기 위치 알림 단말의 식별자, 위치 신호 및 상기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이동되는 리다이렉트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리소소 단말은, 상기 리다이렉트 주소로 상기 식별자 및 위치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위치 로그의 데이터는 시간에 동기화되어 유전자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패턴화되는 것인,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70118941A 2017-09-15 2017-09-15 앱 및 서버 기반 도보 이용자 대상 경호 및 동행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20190031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941A KR20190031073A (ko) 2017-09-15 2017-09-15 앱 및 서버 기반 도보 이용자 대상 경호 및 동행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941A KR20190031073A (ko) 2017-09-15 2017-09-15 앱 및 서버 기반 도보 이용자 대상 경호 및 동행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073A true KR20190031073A (ko) 2019-03-25

Family

ID=6590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41A KR20190031073A (ko) 2017-09-15 2017-09-15 앱 및 서버 기반 도보 이용자 대상 경호 및 동행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107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778A (ko) 2008-05-20 2009-11-25 대진기술정보 (주) 독거노인 응급상황 관리시스템
KR20150002063A (ko)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디엔비 실버세대를 위한 모바일 개인응급응답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778A (ko) 2008-05-20 2009-11-25 대진기술정보 (주) 독거노인 응급상황 관리시스템
KR20150002063A (ko)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디엔비 실버세대를 위한 모바일 개인응급응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19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E-LIS)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96355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E-LIS) from automated vehicles
US90948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E-LIS) from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US9558645B2 (en) Released offender geospatial location information trend analysis
EP3025482B1 (en) Service layer device location management and privacy control
Lachtar et al. Elderly monitoring system in a smart city environment using LoRa and MQTT
Pervez et al. Wireless technologies for emergency response: A comprehensive review and some guidelines
US10694362B2 (en) Ad-hoc social network (AHSN) system, AHSN-enabled device, and methods of use
KR101584983B1 (ko) 비콘 기반 미싱 객체 찾기 시스템, 미싱 객체 찾기 방법, 그 컴퓨터 프로그램 및 미싱 객체 찾기 서버
KR20120102256A (ko) 단말 위치 패턴 데이터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2016184306A (ja) 保護支援システム、保護支援サーバー及び保護端末
KR20160054882A (ko) 노인 복지콜 서비스 제공 방법
Kaviarasan et al. Salp swarm bio inspired algorithm for detecting non line of sight vehicles in VANETs
KR101777339B1 (ko)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31073A (ko) 앱 및 서버 기반 도보 이용자 대상 경호 및 동행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EP3977763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geräts
Jiang et al. Hierarchical cloud-fog platform for communication in disaster incident coordination
Bhawiyuga et al. A web of thing middleware for enabling standard web access over BLE based healthcare wearable device
Mitkas et al. An agent framework for dynamic agent retraining: Agent academy
WO2014116691A2 (en) Predic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1686215B1 (ko) 웹링크 기반의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053179A (ko) 어린이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09164A (ko) 적응형 유저 모델(user model)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Singh et al. Safety and crime assistance system for a fast track response on mobile devices in bhubaneswar
Gil et al. Physical actions architecture: Context-aware activity recognition in mobile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