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321A - End for a can - Google Patents

End for a c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321A
KR20190030321A KR1020170117609A KR20170117609A KR20190030321A KR 20190030321 A KR20190030321 A KR 20190030321A KR 1020170117609 A KR1020170117609 A KR 1020170117609A KR 20170117609 A KR20170117609 A KR 20170117609A KR 20190030321 A KR20190030321 A KR 20190030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ab
closing plate
open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진혁
Original Assignee
(주) 엑스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엑스알이 filed Critical (주) 엑스알이
Priority to KR102017011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321A/en
Publication of KR2019003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3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32Reclosable openings the tab reclosing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 for a can, which seals the can, to simply move a closing plate to a clos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for a can comprises: a panel (20) having a protrusion part (27) protruding around a score (S1) on the outside of the score (S) and having a first button (26) protruding from a central part; a tap (40) having a button coupling part (44) of an island structure formed on a central part, having a first button hole (46) formed in the button coupling part (44) to allow the first button (26) to be upwardly extended and riveted, and installed to be able to rotate between a first position of disposing a front pressing part (41) on the upper part of an opening part (25) and a second position of disposing a rear pressing part (42) on the upper part of an opening part (46); and the closing plate (50) disposed between the tap (40) and a panel (10) to rotate with the tap (40), and closing the opening part (25) when the tap (40) cuts the score to open the opening part (25) and is disposed on the second position. Moreover, a pressing groove (45) is formed around the first button hole (46) of the tap (40) and a coupling protrusion (26a)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groove (45)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op extended part of the first button (26), thereby allowing the pressing groove (45)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26a) when the closing plate (50) moves to the closing position for closing the opening part (25).

Description

캔의 엔드{END FOR A CAN}End of the can {END FOR A CAN}

본 발명은 캔의 엔드(End)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캔 용기의 상단 엔드를 이루는 판넬에 스코어(score)를 형성하여 탭(tab)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하여 캔의 개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캔이 개봉된 후에 캔을 휴대하고 이동할 때 내부의 음료 및/또는 탄산가스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닫힘판이 개봉부를 닫을 수 있도록 한 재밀봉 가능한 이지 오픈 캔의 엔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닫힘판이 개봉부를 닫기 위해 회전할 때 닫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닫힘판에 의한 개봉부 닫힘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캔의 엔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 of a can, more specifically, to a score formed on a panel constituting the upper end of a can container so as to be easily broken by a tab, And an end of the resealable open can which allows the closure plate to close the opening so that leakage of the beverage and / or carbon dioxide gas when the can is carried and moved after the can is opene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d of a can which can easily grasp the closed position when the closing plate is rotated to close the opening portion, so that the opening portion can be closed more easily by the closing plate.

일반적으로 캔 용기는 원통형의 캔 바디와, 캔 바디 상단부에 밀봉 결합되는 엔드(END)를 포함한다. 엔드는 캔 용기에서 상단을 이루는 부분을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In general, the can vessel includes a cylindrical can body and an end (END) sealing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n body. The term " end "

엔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어 금속 재질의 캔 바디의 상단에 결합되는 데, 캔 바디의 상단부와 엔드의 테두리 부분은 음료 충진 공장에서 시밍 척(Seaming Chuck)과 롤(Roll)에 의해 시밍(Seaming) 결합되어, 내부의 음료수가 밀봉된다. End is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nd is joined to the upper end of a metal can body, the upper end and the edge of the end of the can body are seamed by a seaming chuck and a roll in a beverage filling factory Seaming) to seal the inside beverage.

엔드를 이루는 판넬의 표면 일측에는 파단선 형태의 스코어(S, score)가 새겨진 개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를 지렛대의 원리로 가압하여 파단시킴으로써 개봉부를 개봉할 수 있게 하는 탭(tab)이 설치된다. 탭은 판넬에 리벳팅 고정된다. A ta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panel constituting the end so that a tapping portion formed with a score S in the form of a broken line is formed and the score is pressed and broken by the principle of a lever to thereby unseal the opening portion . The tabs are riveted to the panel.

따라서 사용자가 탭의 후단부를 들어 올리면, 스코어 상부에 위치한 탭의 전단부가 스코어를 지렛대의 원리로 가압하여 파단선을 따라 파단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개봉부가 개봉된다. 종래의 캔에서는 이와 같이 스코어가 파단되어 개봉부가 개봉된 캔에서 개봉부를 다시 닫을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다시 음용할 목적으로 내용물이 남아 있는 캔을 휴대하고 이동하거나, 개봉 후 내용물을 보관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Therefore, when the user lift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ab,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ab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core is pressed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to break along the broken line, thereby opening the opening portion. The conventional can does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core is broken and the can opener can be closed again in the can opened with the can opener. Therefore,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carrying the can with the contents for the purpose of drinking again, or storing the contents after opening.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캔의 재밀봉 가능한 이지 오픈 엔드를 개발하였다.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는, 스코어가 새겨져 형성된 개봉부가 일측으로 구비된 판넬과; 중심부 버튼결합부에 형성된 제1 버튼홀을 통해 상기 판넬에 형성된 제1 버튼이 돌출되어 리벳팅 결합되고, 전단 가압부를 이용하여 상기 스코어를 파단하는 제1 위치와 후단 핑거부가 상기 스코어를 파단하여 개봉된 개봉부의 상부로 배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탭; 상기 탭이 스코어를 파단하여 상기 개봉부를 개봉시킨 후 제2 위치로 배치될 때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탭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개봉부를 막는 닫힘판으로서 상기 판넬과 상기 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버튼이 통과하는 버튼관통홀과 상기 탭의 버튼결합부에 형성되는 제2 버튼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탭과 리벳팅 결합되어 상기 탭과 일체로 회전하는 닫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n easily re-sealable open end of a can to solve this problem. The end of the resealable can comprises: a panel having a score opening formed on one side; A first button formed on the panel is protruded and riveted by a first button hole formed in a central button engagement portion, and a first position and a rear end finger portion, which break the score using a front end pressing portion, A tab disposed rotatably between a second position disposed on top of the unsealed portion; The tab being disposed between the panel and the tab as a closed plate closing the opening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tab in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tab breaks the score and is placed in the second position after opening the opening, And a second button which is inserted and coupled to a second button hole formed in a button-engaging portion of the tab, through which the button passes, and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tab by being riveted with the tab .

이러한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로 인하여, 캔 개봉 후에 개봉부를 다시 닫아 음료 및 탄산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캔을 휴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캔에 담긴 음료수는 개봉 후에도 신선도와 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개봉 후 먼지, 곤충 등의 이물질이 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With this end of the re-sealable can, it is possible to carry the can while preventing the outflow of beverage and carbon dioxide gas by closing the re-opening part after opening the can, and the beverage in the can can maintain freshness and taste even after opening. In addition,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nd insects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an after opening.

특히 상술한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는 종래의 캔 제조 공정 및 설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단지 몇 개의 공정을 추가하는 간단한 설비 변경만으로 캔을 제조할 수 있게 하므로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큰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end of the re-sealable ca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an only by a simple facility change, which adds only a few steps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can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equipment as it is.

캔이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를 구비함에 따라, 캔 개봉 후에 개봉부를 다시 닫아 음료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데, 사용자는 캔 개봉 후 개봉부를 다시 닫고자 할 때, 탭을 이동 손잡이로 하여 닫힘판을 개봉부를 덮는 닫힘 위치인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When the can is re-sealable, the end of the can can be closed so that the drin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eaked by closing the can after the opening of the can. When the user wants to close the can opener again after opening the can, And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which is the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그런데, 이러한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에서 닫힘판의 이동은 전적으로 사용자의 육안 관찰에 의존한다. 즉, 캔의 엔드는 판넬 표면에 닫힘판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함몰된 표면 형태의 오목표면을 구비함으로, 닫힘판을 정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육안으로 닫힘판의 이동을 관찰하면서 닫힘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약간의 주위를 기울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movement of the closure plate at the end of this resealable can depends entirely on the user's visual observation. That is, the end of the can has a concave surface in the form of a recessed surface compris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closure plate on the panel surface, so that the closure plate can be easily positioned in place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must tilt a little in that the user must accurately position the closed plate in the closed position while observing the movement of the closed plate with the naked ey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닫힘판이 개봉부를 닫기 위해 탭에 의해 회전할 때 닫힘판이 닫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닫힘판을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캔의 엔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it easier to know that the closure plate reaches the closed position when the closure plate is rotated by the tab to close the opening section, And to provide an end of the can which is capable of making the can.

또한 본 발명은 닫힘판이 개봉부를 닫기 위해 탭에 의해 회전할 때 닫힘 위치에서 멈춤되도록 함으로써 닫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닫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캔의 엔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d of a can which allows the closure plate to be easily grasped and fixed in the closed position by making the closure plate stop at the closed position when it is rotated by the tab to close the unsealing part.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캔 제조 설비를 교체함이 없이 그대로 활용하면서 간단한 설비 변경만으로 제작할 수 있는 캔의 엔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d of a can which can be manufactured by simply changing the equipment while remaining intact without replacing the conventional can manufacturing facility.

본 발명에 따르면, 캔의 엔드는, 캔을 밀봉하는 엔드로서 스코어(S)가 새겨져 형성된 개봉부(25)가 일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스코어(S)의 외측으로 스코어(S)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27)가 구비되며 중심부에 제1 버튼(26)이 돌출 형성된 판넬(20); 중심부에 아일랜드 구조의 버튼 결합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 결합부(44)에 상기 제1 버튼(26)이 상부로 연장되어 리벳팅되는 제1 버튼홀(46)이 형성되고, 전단 가압부(41)가 상기 개봉부(25)의 상부로 배치된 제1 위치와, 후단 핑거부(42)가 상기 개봉부(46) 상부로 배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탭(40); 및 상기 탭(40)과 상기 판넬(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탭(40)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탭(40)이 스코어를 파단하여 상기 개봉부(25)를 개봉시킨 후 제2 위치로 배치될 때, 상기 개봉부(25)를 막는 닫힘판(50)을 포함하며, 상기 탭(40)의 제1 버튼홀(46) 주변에는 프레싱홈(4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튼(26)의 상단 확장부 하단에는 상기 프레싱홈(45)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6a)가 형성되어, 상기 닫힘판(50)이 상기 개봉부(25)는 닫는 담힘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프레싱홈(45)과 상기 결합돌기(26a)가 맞춤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can is an end for sealing the can, and is provided with a uncovering portion 25 formed by engraving a score S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core S along the periphery of the score S A panel 20 having a protrusion 27 formed therein and having a first button 26 protruding from the center thereof; And a first button hole 46 is formed in the button fitting portion 44 so that the first button 26 is extended upward to be riveted, A tab 40 rotatably installed between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41 is disposed above the opening 25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rear fingering 42 is disposed above the opening 46, ); And a tab disposed between the tab and the panel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tab to open the tab to break the score and place the tab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button 26 is formed with a pressing groove 45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button hole 46 of the tab 40, The upper end of the upper opening of the opening portion 25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6a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groove 45. When the opening plate 25 moves to the closing and closing position,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s 26a are fitt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탭(40)의 상기 버튼 결합부(45)에는 상기 제1 버튼홀(46)의 후측으로 제2 버튼홀(47)이 형성되고, 상기 닫힘판(50)에는 상기 제1 버튼(26)이 통과하는 버튼 관통홀(51)과, 돌출된 제2 버튼(5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버튼(26)은 상기 버튼 관통홀(51)을 통과하여 상기 탭(40)과 회전가능하게 리벳팅 결합되고, 상기 제2 버튼(52)은 상기 제2 버튼홀(47)을 통과하여 리벳팅 결합됨으로써, 상기 닫힘판(50)은 상기 탭(40)과 일체로 회전한다. The second buttonhole 47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buttonhole 46 in the button fitting portion 45 of the tab 40 and the second buttonhole 47 is formed on the closing plate 50, A button through hole 51 through which one button 26 passes and a protruded second button 52 are formed and the first button 26 passes through the button through hole 51, And the second button 52 is riveted to the second button hole 47 so that the closing plate 50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tab 40 do.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합돌기(26b)는 상기 제1 버튼(26)이 상기 제1 버튼홀(46)을 통과하여 상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리벳팅될 때 형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rotrusion 26b is formed when the first button 26 is rive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button hole 46 and extending upwar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레싱홈(45)은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프레싱홈(45)을 포함하거나, 상기 프레싱홈(45)은 복수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짝수개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grooves 45 include at least two pressing grooves 45 position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or the pressing grooves 45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evenly spaced grooves.

본 발명의 캔의 엔드에 의하면, 캔 개봉 후에 개봉부를 다시 닫아 음료 및 탄산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캔을 휴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an e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portion can be closed again after opening the can to carry the can while preventing the outflow of beverage and carbon dioxide ga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캔에 담긴 음료수는 개봉 후에도 신선도와 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개봉 후 먼지, 곤충 등의 이물질이 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캔 음료를 보관 가능하게 되어 PET 및 유리병이 점하고 있는 500ml 이상의 음료 제품에도 캔 제품 출시가 가능하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in the can can maintain freshness and taste even after opening,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insects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into the can after open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ore canned beverages, and can also be launched into beverage products with more than 500ml of PET and glass bottl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닫힘판이 개봉부를 닫기 위해 탭에 의해 회전할 때 닫힘판이 닫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닫힘판을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닫힘판이 개봉부를 닫기 위해 탭에 의해 회전할 때 닫힘 위치에서 멈춤되도록 함으로써 닫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닫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move the closing plate to the closed position by making it easy to know that the closing plate has reached the closing position when the closing plate is rotated by the tab to close the opening portion.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ed position can be easily grasped and fixed at the closed position by making the closed plate stop at the closed position when the tab is rotated by the tab to close the open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는, 스코어의 외측으로 스코어의 둘레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닫힘판의 바닥면과 돌출부가 긴밀하게 맞닿아 더욱 향상된 밀폐력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re-sealable ca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ding portion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core to the outside of the scor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losed plate and the protruding por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는 종래의 캔 제조 공정 및 설비를 이용하면서 간단한 설비 변경만으로 제작 가능한 장점이 있다. 종래의 캔 제작 공정은 원판을 절단하여 원형 형태로 플레이트를 절단하고 프레스 공정, 탭 성형 공정을 거치면서 엔드를 제조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는 종래의 엔드 공정에서 사용되는 공정을 그대로 활용하고, 닫힘판을 종래의 엔드 공정 장비를 이용하여 제조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re-sealable ca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anufactured only by simple facility change while using a conventional can manufacturing process and equipment. In the conventional can making process, the disk is cut to cut the plate into a circular shape, and the end is manufactured through a pressing process and a tap forming process. The end of the re-sealable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conventional end process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rocess as it is and to manufacture and connect the closed plate using conventional end processing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는 이벤트 및 프로모션 등을 위한 감춰진 인쇄 공간을 제공하는 데, 인쇄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광고 문구를 활용하여 이벤트 및 프로모션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구매자의 흥미성과 주목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re-sealable ca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dden print space for events, promotions, etc.,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relatively large print space. Therefore,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interest and attention of the purchaser.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의 엔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의 엔드에서 판넬과 닫힘판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의 엔드에서 닫힘판과 탭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의 엔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의 엔드에서 탭이 제1 위치에서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의 엔드에서 개봉 후에 닫힘판이 제2 위치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은 도 8 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의 판넬 및 닫힘판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캔의 엔드를 구비한 캔에서 개봉부의 개봉 후 닫힘판으로 개봉부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nd of a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a panel and a closing plate at an end of a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closed plate and a tab at an end of a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n end of a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is a plan view of the can at the end of the can in a first 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state shown i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osed plate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after opening at the end of the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in the state shown in Fig.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panel and a closing plate of an end of a re-sealable c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portion is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the opening portion in the can having the end of the re-sealable c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의 엔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의 엔드에서 판넬과 닫힘판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의 엔드에서 닫힘판과 탭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의 엔드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 는 도 4 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nd of a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a panel and a closing plate at an end of a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d of a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view of the end of the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캔의 엔드(10)는 판넬(20), 탭(40) 및 닫힘판(5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end 10 of a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el 20, a tab 40 and a closing plate 50.

판넬(20)은 캔 바디와 결합되어 캔의 상단을 이루는 것으로, 측단으로 위치한 테두리부(21)는 벤딩되어 캔 바디의 상단부와 시밍(seaming) 결합된다. The panel 20 is joined with the can body to form the upper end of the can, and the rim 21 located at the side end is bent and seam-join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an body.

판넬(20)의 테두리부(21) 내측 판넬 표면(22) 가장자리에는 환형 홈 형태의 카운터 싱크(23)가 형성된다. 카운터 싱크(23)는 캔의 내압을 견디는 역할을 하며, 캔 바디(1)와 엔드(10)를 시밍할 수 있도록, 엔드(10)가 시밍 척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료 충진 공장에서 시밍 척이 카운터 싱크(23) 부분에 안착되어 시밍 롤에 의해 캔의 바디(1)와 엔드(10)가 밀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생산된 완제품에서 상부로 적층되는 캔의 밑바닥이 안착되는 부분이 된다.A countersink 23 in the form of an annular groov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inner panel surface 22 of the rim 21 of the panel 20. The counter sink 23 serves to withst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an and allows the end 10 to be fixed to the seaming chuck so that the can body 1 and the end 10 can be seamed. In addition, in the beverage filling plant, the seaming chuck is seated in the counter-sink portion 23 so that the body 1 and the end 10 of the can can be sealed by the seaming roll. In addition, the bottom part of the can is stacked on top of the finished product.

판넬 표면(22)에는 공지의 엔드와 동일하게 일측으로 파단선 형태의 스코어(S)가 새겨진 개봉부(25)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탭(40)을 이용하여 개봉부(25)를 가압하면 스코어(S)가 파단 되면서 개봉부가 개봉된다. On the panel surface (22), an opening portion (25) formed with a score S in the form of a broken line is formed on one side in the same manner as a known end.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ning portion 25 using the tab 40, the score portion S is broken and the opening portion is opened.

판넬 표면(22)의 중심부에는 판넬 표면(22)이 하부에서 상부로 프레싱되어 돌출 형성된 제1 버튼(26)을 포함한다. 제1 버튼(26)에는 닫힘판(50) 및 탭(40)이 리벳팅 결합된다. A central portion of the panel surface 22 includes a first button 26 having a panel surface 22 protrud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first button (26) is riveted to the closing plate (50) and the tab (40).

판넬 표면(22)에는 개봉부(25) 위치에 반대되는 방향인 제1 버튼(26)의 후측으로 지렛대 버블(27)이 형성된다. 지렛대 버블(27)은 닫힘판(50)이 개봉부(25)를 밀폐하기 위하여 탭(40)과 함께 닫힘 위치인 제2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탭(40)의 전단 가압부(41)를 상승시켜 후단 핑거부(42)가 닫힘판(50)을 가압하면서 누를 수 있도록 한다. On the panel surface 22, a lever bubble 27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button 26, which is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opening 25. The lever bubble 27 is moved upwardly to raise the front end pressing portion 41 of the tab 40 when the closing plate 50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which is the closed position together with the tab 40 to seal the opening 25 So that the rear end fingers 42 can be pressed while pressing the closing plate 50.

판넬 표면(22)에는 닫힘판(50)이 위치하는 제1 오목표면(30)이 형성된다. 제1 오목표면(30)은 판넬 표면(22)이 오목하게 프레싱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싱 되지 않은 판넬(20) 표면(22)의 다른 부분에 비해 함몰된 영역이다. 제1 오목표면(30)은 탭(40)의 전단 가압부(41)가 개봉부(25)의 상부로 위치할 때의 닫힘판(50)이 위치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위치 영역과 닫힘판(50)이 개봉부(25)를 닫기 위해 닫힘 위치인 제2 위치로 이동했을 때 닫힘판(50)이 위치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위치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닫힘판(5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1 오목표면(30)은 숫자 8과 같은 모양을 띈다.The panel surface 22 is formed with a first concave surface 30 on which the closing plate 50 is located.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is a depressed area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surface 22 of the panel 20 that are not pressed and formed by depressing the panel surface 22 concavely.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has a first positio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the closing plate 50 is located when the front end pressing part 41 of the tab 40 is located above the opening part 25, And a second positio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the closing plate 50 is positioned when the cover plate 5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which is the closed position to close the opening section 25.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osing plate 5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has a shape like the numeral 8.

제1 오목표면(30)은 닫힘판(50)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닫힘판(50)을 수용하는 수용홈으로서 사용자가 닫힘판(50)을 제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오목표면(30)은 닫힘판(3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때를 포함하므로, 스코어(S)가 새겨진 개봉부(25)는 제1 오목표면(30) 내에 형성되며, 제1 버튼(26)을 중심으로 상기 개봉부(25)에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게 된다. 개봉부(25)에 대향하는 영역은 닫힘판(50)이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가려지는 영역으로 후술하는 인쇄 공간(29)을 형성한다.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is a receiving recess for receiving the closing plate 50 when the closing plate 5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lace the closing plate 50 in position . The opening portion 25 in which the score S is engraved is formed in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and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is formed in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because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includes when the closing plate 30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And a region opposed to the opening portion 25 with the center portion 26 as a center. An area opposed to the opening section 25 forms a printing space 29 to be described later as an area to be covered when the closing plate 5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판넬 표면(22)에는 제1 오목표면(30) 영역을 포함하는, 판넬 표면(22)에서 프레싱된 하트 모양의 제2 오목표면(35)을 포함한다. The panel surface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oncave surface 35 shaped like a heart that is pressed at the panel surface 22, including the area of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제2 오목표면(35)은 제1 오목표면(30) 영역과 닫힘판(50)의 이동 경로를 그 영역 내부에 포함한다. 제2 오목표면(35)은 그 내부에 제1 오목표면(30) 영역을 포함하므로, 제1 오목표면(30) 영역과 제1 오목표면(30)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제2 오목표면(35)의 나머지 영역을 대비하면 제1 오목표면(30) 영역은 나머지 제2 오목표면(35) 영역에 비해 낮게 위치한다. 제2 오목 표면(35) 영역은 판넬 표면(22)에서 프레싱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싱된 되지 않은 판넬 표면(22)과의 경계에서 단차를 가지며, 이러한 단차는 판넬의 표면(22)의 내압 강도를 증가시키며, 탭(40)이 지렛대 원리로 동작하면서 스코어(S)를 파단하는 동작 중에 판넬 표면(22)에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내압 강도 증진 및 판넬 표면(22)의 변형 방지 효과는 제1 오목표면(30) 역시 가지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넬 표면(22)과 단차져 오목한 제1 오목표면(30) 및 제2 오목표면(35), 또한 제2 오목표면(30) 내부에 단차져 오목한 제1 오목표면(30)을 형성하여 개봉부(25) 개봉 판넬 표면(22)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형성된다. The second concave surface 35 includes a path of movement of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area and the closing plate 50 inside the area. Since the second concave surface 35 includes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region inside thereof, the second concave surface 35 and the second concave surface 35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region The first recessed surface 30 region is located lower than the remaining second recessed surface 35 region. The area of the second concave surface 35 is formed by pressing on the panel surface 22 and has a step at the boundary with the unpressured panel surface 22, And prevents the deformation of the panel surface 22 during operation in which the tabs 40 are operated on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the score S is brok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and the second concave surface 30 that are stepped concave to the panel surface 22 are formed on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The surface 35 and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are formed in the second concave surface 30 so as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opening panel surface 22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캔의 엔드는 판넬(20)에 결합되는 탭(40)을 포함한다. 탭(40)은 판넬 표면(22)에 형성된 제1 버튼(26)에 결합되는 데, 제1 버튼(26)은 닫힘판(50)의 버튼 관통홀(51)을 통과하여 탭(40)의 제1 버튼홀(46)로 상부로 연장되어 리벳팅된다. 탭(40)은 제1 버튼(26)을 중심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스코어(S)를 파단하여 개봉부(25)를 개봉시킨다. The end of the can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tab (40) coupled to the panel (20). The tab 40 is coupled to the first button 26 formed on the panel surface 22 so that the first button 26 passes through the button through hole 51 of the closure plate 50, And is extended upward by the first buttonhole 46 to be riveted. The tab 40 breaks the score S by the leverage principle centered on the first button 26 to open the opening 25.

탭(40)은 공지의 형상과 동일하게, 전단으로 개봉부(25)의 상부에 위치하여 개봉시 스코어(S)를 파단하는 전단 가압부(41)가 제공되고, 후단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들어오려 힘을 가하는 부분인 후단 핑거부(42)가 제공되며, 중심에는 버튼들이 결합되는 버튼결합부(44)가 제공된다. The tab 40 is provided with a shear pressing portion 41 which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25 at the front end to break the score S at the time of opening and is provided with a force And a button engaging portion 44 to which the buttons are coupled is provided at the center.

버튼결합부(44)는 전단 가압부(41)를 향한 면을 제외하고 주위를 둘러싸고 절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버튼결합부(44)를 아일랜드(island) 구조로 지칭할 수 있다. The button engaging portion 44 is cut around the circumference excluding the surface facing the front end pressing portion 41. [ With such a structure, the button fitting portion 44 can be referred to as an island structure.

탭(40)에서 후단 핑거부(42)의 전측으로는 관통된 홀 형상의 탭홀(43)이 형성된다. 탭홀(43)의 형성 시에 탭홀(43)을 둘러싼 가장자리들의 아래로 탭홀(43) 형성 부분의 판넬이 벤딩되어 말려지도록 함으로써 후단의 핑거부(42)의 단면 강도가 증가되도록 한다. A through-hole-shaped tapped hole 43 is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rear end fingering 42 in the tab 40. The panel of the portion where the tapped hole 43 is formed is bent under the edges surrounding the tapped hole 43 when the tapped hole 43 is formed so that the panel strength of the rear end fingering 42 is increased.

본 발명은 이러한 공지의 탭(40)의 구조에서, 버튼결합부(44)에 형성된 두 개의 버튼홀을 포함한다. 제1 버튼홀(46)은 판넬 표면(22)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버튼(26)이 결합되며, 제1 버튼홀(46) 후측으로 형성된 제2 버튼홀(47)을 통해서는 닫힘판(50)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버튼(52)이 결합된다. 돌기 형태의 제1 버튼(26) 및 제2 버튼(52)이 제1 및 제2 버튼홀(46, 47)을 통해 상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그 상단이 프레싱을 통해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리벳팅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button holes formed in the button engagement portion 44 in the structure of this known tab 40. [ The first button hole 46 is coupled with the first button 26 protruding from the panel surface 22 and the second button hole 47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button hole 46, The second button 52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button 50 is engaged. The first button 26 and the second button 52 in the form of a protrusion extend upwardl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utton holes 46 and 47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expanded outwardly through pressing so as to be riveted .

이러한 결합을 통해 탭(40)은 제1 버튼(26)에 의해 판넬 표면(2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2 버튼(52)에 의해 닫힘판(50)과 일체로 동작되도록 고정된다. 이에 따라 탭(40)이 전단 가압부(41)가 개봉부(45)의 상부로 위치하는 제1 위치와 후단 핑거부가 개봉부(45)의 상부로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버튼(26)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닫힘판(50)은 후단 핑거부(42)의 위치 이동을 따라 탭(40)과 함께 회전한다. Through this engagement, the tab 40 is rotatably secured to the panel surface 22 by the first button 26 and is fixed to be integral with the closing plate 50 by the second button 52 . The tab 4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t which the front end pressing portion 41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nsealing portion 45 and the second position at which the rear end finger portion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nsealing portion 45, The closing plate 50 rotates together with the tab 40 along with the positional shift of the rear end fingering 42.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버튼홀(46)의 주변으로 프레싱홈(45)이 형성된다. 프레싱홈(45)은 제1 버튼홀(46) 주변을 프레싱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싱홈(45)은 제1 버튼홀(46) 주변에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프레싱홈(45)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싱홈(45)은 대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적어도 2 개 프레싱홈(45)을 가진다. 첨부된 도면에서 프레싱홈(45)은 제1 버튼(26)의 상단부 외부에 관찰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ing groove 45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first buttonhole 46. The pressing groove 45 is formed by press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buttonhole 4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grooves 45 ar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first buttonhole 46, and the plurality of pressing grooves 45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groove 45 has at least two pressing grooves 45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sing groove 45 is formed to be long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first button 26,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버튼홀(46) 주변에 프레싱홈(45) 형성됨에 따라 돌기 형태의 제1 버튼(26)이 제1 버튼홀(46)을 통해 상부 연장된 상태로 상단이 프레싱되면, 제1 버튼(26)의 상단이 외측으로 펴지면서 리벳팅될 때 제1 버튼(26)의 상단 확장부 하단으로 프레싱홈(45) 형상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6a)가 형성된다. 도 5 는 프레싱에 의해 제1 버튼(26)의 상단 확장부 하단으로 결합돌기(26a)가 형성된 것을 도 4 으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6 은 부분 확대도는 프레싱홈(45)과 결합돌기(26a)가 결합관계를 수평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26a)는 프레싱홈(45)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형상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button 26 in the form of a protrusion is pressed upward with the upper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first button hole 46 as the pressing groove 45 is formed around the first button hole 46, 26 are formed with an engaging projection 26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essing groove 45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xtension of the first button 26 wh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button 26 is riveted.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in which the engaging protrusion 26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xtension of the first button 26 by pressing, and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45)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6a) are shown in a horizontal sectional view. As shown in the figure, the engaging projections 26a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grooves 45, so that they can be coupled in shape.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싱홈(45) 및 그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6a)는 탭(4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groove (45) and the corresponding engaging projection (26a) allow easy adjustment of the movement of the tab (40).

탭(40)을 회전시킬 때 제1 버튼(26)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탭(40)이 회전한다. 이때 제1 버튼홀(46) 주변의 프레싱홈(45)이 형성되고, 제1 버튼(26)에 프레싱홈(45)에 대응되는 걸림돌기(26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탭(40)의 회전시 연속적인 움직임이 아니라 프레싱홈(45) 및 결합돌기(26a)가 맞춤될 때와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때가 서로 구별되는 단속적인 회전이 일어난다. When the tab 40 is rotated, the tab 40 rotates around the first button 26 as a rotation center. At this time, the pressing groove 45 is formed around the first buttonhole 46 and the locking protrusion 26a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groove 45 is formed in the first button 26, An intermittent rotation occurs when the pressing groove 45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6a are fitted and when the rotation is performed while being misaligned with each other.

따라서 프레싱홈(45) 및 결합돌기(26a)가 닫힘판(5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서로 맞춤되도록 프레싱홈(45)이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육안으로 닫힘판(50)의 움직임을 관찰하지 않더라도 탭(40)을 회전시킬 때 손에 느껴지는 힘의 차이로서 닫힘판(50)이 제2 위치 즉, 닫힘 위치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pressing grooves 45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26a are formed so that the pressing grooves 45 are aligned with each other when the closing plate 5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movement of the closing plate 5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losing plate 5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at is, the closed position, as a difference in the force felt on the hand when the tab 40 is rotated.

프레싱홈(45)은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2개의 프레싱홈(4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캔 가공시 탭(4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기준으로 가공이 이루어지므로 탭(40)이 180도 회전한 위치 즉, 닫힘판(50)이 개봉부(25)를 덮는 닫힘판(50)의 제2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프레싱홈(45)을 포함할 수 있으며,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짝수개의 프레싱 홈을 구비하여도 된다. The pressing groove 45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two pressing grooves 45 positioned at mutually opposite position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processing is generally performed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tab 4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during cans processing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ab 40 rotated 180 degrees, that is, when the closing plate 50 covers the opening 25 In order to designate the second position of the closing plate 50, the pressing plate 50 may include two pressing grooves 45 position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r may have even number of pressing groove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닫힘판(5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형상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프레싱홈(45)과 결합홈(26a)이 형성된다면 사용자는 닫힘판(50)의 닫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등간격으로 형성된 추가의 프레싱홈(45)을 포함한다면 사용자는 닫힘판(50)을 프레싱홈(45) 형성 개수만큼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탭을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면서 더욱 용이하게 닫힘판(50)을 닫힘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closed position of the closing plate 50 if the pressing groove 45 and the engaging groove 26a are formed so that the shape is formed when the closing plate 50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In addition, if the additional pressing groove 45 formed at equal intervals is included, the user can rotate the closing plate 50 stepwise by the number of forming the pressing grooves 45. This makes it easier to position the closure plate 50 in the closed position while rotating the tabs step by step.

본 발명에 따르면, 탭(40)은 중심 부근이 융기되는 삼각형의 형태로 벤딩 가공 된다. 따라서 아일랜드 구조의 버튼결합부(44)를 제외하고는 삼각형의 두 사면 형태를 지니게 된다. 탭(40)이 이러한 벤딩된 형태를 지님에 따라 탭(40)이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후단 핑거부(42)가 닫힘판(50)을 누르는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s 40 are bent in the form of a triangle rising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Therefore, except for the button-engaging portion 44 of the island structure, it has two triangular slopes. As the tab 40 has this bended shape, the rear fingers 42 can increase the pressure that presses the closure plate 50 when the tab 40 is in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탭(40)은 전단 가압부(41)가 판넬 표면(22)의 개봉부(25)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180도(degree) 회전하여 후단 핑거부(42)가 개봉부(25)의 상부로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데, 탭(40)의 회전시 닫힘판(50)이 제2 버튼(52)을 매개로 탭(4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닫힘판(50)도 탭(40)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탭(40)은 닫힘판(50)의 회전 손잡이 기능을 하게 된다. The tab 40 rotates 180 degrees from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pressing portion 41 is located above the opening portion 25 of the panel surface 22 so that the rear end fingering 42 is rotated And a second posi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 25 so that the closing plate 50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tab 40 via the second button 52 when the tab 40 is rotated, Plate 50 also rotates with tab 40. Thus, the tab 40 functions as a turning handle of the closing plate 50.

본 발명에 따르면, 닫힘판(50)은 탭(40)과 판넬(20) 사이에 배치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 closing plate (50) is disposed between the tab (40) and the panel (20).

닫힘판(50)은 스코어(S)가 파단되어 개봉된 개봉부(25)를 닫는 부재이다. 닫힘판(50)은 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탭(40)과 함께 닫힘판(50)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 회전하며, 제2 위치에서 개봉부(25)를 덮어 밀폐한다. The closing plate (50) is a member that closes the opening section (25) opened by breaking the score (S). The closing plate 50 is formed of a circular plate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tabs 40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closing plate 50 and covers and seals the opening 25 at the second position.

닫힘판(50)에는 판넬의 표면(22)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버튼(25)이 통과하는 버튼 관통홀(5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측으로는 제2 버튼(5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버튼(52)은 탭(40)의 제2 버튼홀(47)을 통과하여 탭(40)과 리벳팅된다. A button through hole 51 through which the first button 25 protruding from the panel surface 22 is formed is formed on the closing plate 50 and a second button 52 is protruded do. The second button 52 passes through the second buttonhole 47 of the tab 40 and is riveted with the tab 40. [

제2 버튼(52)의 후측으로 닫힘판(50)이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판넬의 표면(22)에 형성된 지렛대 버블(27)을 수용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버블 수용홈(54)을 포함한다. Includes bubble receiving grooves 54 projected upwardly to receive the lever bubble 27 formed in the surface 22 of the panel when the closed plate 50 is in the first position to the rear side of the second button 52 do.

버블 수용홈(54)에 의하여 닫힘판(50)이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닫힘판(50)과 판넬의 표면(22)에 형성된 지렛대 버블(27)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1 위치에서 닫힘판(50)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The closing plate 50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lever bubble 27 formed on the surface 22 of the panel when the closing plate 5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by the bubble receiving groove 54, And functions to fix the closing plate 50 at the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닫힘판(50)에는 탭(40)의 후단 핑거부(42)가 접하는 위치에 후단 핑거부(42)가 상승하도록 지지하는 핑거부 지지돌기(56)를 포함한다. 핑거부 지지돌기(56)는 핑거부(42)를 닫힘판(5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사용자가 핑거부(42)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ing plate 50 includes a fingering support protrusion 56 for supporting the rear fingering 42 to rise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fingering 42 of the tab 40 contacts. The fingering support protrusions 56 allow the finger fingers 42 to be spaced from the surface of the closure plate 5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finger fingers 42.

제1 오목표면(30) 중 닫힘판(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여 닫힘판(50)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는 이벤트 또는 프로모션을 위한 문구가 인쇄되는 인쇄 공간(29)이 마련된다. A printing space 29 in which the closing plate 50 of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cover for the event or promotion is printed is provided in the area covered by the closing plate 50. [

인쇄 공간(29)은 닫힘판(50)이 제2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노출되는데, 탭(40)의 뒷면에 형성되는 인쇄 공간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순히 일렬번호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광고 문구를 함께 기재하여 이벤트 및 프로모션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인쇄 공간(29)은 인쇄가 용이하며, 탭(40)과 함께 닫힘판(50)을 회전시켜야만 노출되므로, 흥미성과 주목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inting space 29 is exposed by rotating the closing plate 50 to the second position. Since the printing space 29 can be formed larger than the printing spac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ab 40,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event and the effect of the promotion. Furthermore, since the printing space 29 is easy to print and is exposed only when the closing plate 5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tab 4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terest and attention can be provided.

개봉부(25)가 개봉된 후 닫힘판(50)은 제2 오목표면(35) 영역을 통과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데, 제2 오목표면(35)은 제1 오목표면(30) 보다 돌출된 영역이므로 닫힘판(50)이 약간 들린 상태로 이동하지만, 제2 위치에서 다시 제1 오목표면(30) 내로 수용되고, 개봉부(25)를 덮어 밀봉한다. 제2 위치에서 제1 오목표면(30)의 내측 가장자리가 닫힘판(50)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싸므로(버튼 방향 제외), 제1 오목표면(30)은 닫힘판(50)에 의한 개봉부(25) 밀폐성을 향상시킨다.After the opening 25 is opened, the closing plate 50 passes through the area of the second concave surface 35 and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concave surface 35 is protruded from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The closing plate 50 is slightly moved in a state in which it is held, but is received again in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opening 25 is covered and sealed.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is formed by the opening portion 25 by the closing plate 50 because the inner edge of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surrounds the outer edge of the closing plate 50 in the second position ) Improves the hermeticity.

이하 도 6 내지 도 9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픈 엔드(10)의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asy open en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FIG.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오픈 엔드(10)에서 닫힘판(50) 및 탭(4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의 단면도에서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프레싱홈(45) 및 결합돌기(26a)는 생략되어 있다. 6 and 7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losing plate 50 and the tab 40 ar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in the easy open en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he pressing grooves 45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26a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닫힘판(50)은 제1 오목표면(30)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탭(40)의 후단 핑거부(42)는 핑거부 지지돌기(56)에 의해 닫힘판(5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탭(40)이 삼각형 형태로 벤딩되어 있으므로 탭(40)의 후단 핑거부(42)가 닫힘판(50)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탭(40)의 핑거부(42)를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The closing plate 5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cave surface 30 and the rear end finger 42 of the tab 40 is spaced from the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50 by the fingering support protrusions 56 . Since the tab 40 is bent in a triangular shap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finger 42 of the tab 40 even in the state where the rear fingering 42 of the tab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sing plate 50 You can raise.

사용자가 핑거부(42)를 들어올려 전단 가압부(41)가 스코어(S)를 파단하도록 힘을 가하면, 탭(40)의 버튼 결합부(44)는 제1 버튼(26)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지렛대 원리로 탭(40)이 들어 올려져 탭의 전단 가압부(41)가 개봉부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스코어(S)가 파단되면서 개봉부(25)가 개봉된다. When the user lifts the finger rest 42 and applies a force so that the front end pressing portion 41 breaks the score S, the button fitting portion 44 of the tab 40 is fixed by the first button 26 The tab 40 is lifted by the lever principle and the front end pressing portion 41 of the tab presses the opening portion. Thus, the opening portion 25 is opened while the score S is broken.

사용자는 음료를 일정량만 마시고 개봉부(25)를 닫거나, 음료를 다 마신 후 이벤트 또는 프로모션 문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닫힘판(50)을 제2 위치로 회전시킨다. 탭(40) 및 닫힘판(50)은 제2 버튼(52)에 의해 일체로 동작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탭(40)을 닫힘판(50)의 이동 손잡이로 하여 닫힘판(50)의 제2 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The user drinks only a certain amount of the beverage and closes the opening portion 25 or drinks the beverage and rotates the closing plate 50 to the second pos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event or the promotion phrase. The tab 40 and the closing plate 50 are integrally operated by the second button 52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tab 40 as the moving handle of the closing plate 50, 2 position.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탭(40)의 회전시 탭(40)의 버튼 결합부(44)의 제1 버튼홀(46) 주변으로 형성된 프레싱홈(45)과 이에 대응되어 형성된 제1 버튼(26)의 결합돌기(26a) 간의 형상 결합이 발생하므로, 닫힘판(50)을 제2 위치로 간편히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육안으로 닫힘판(50)의 위치를 면밀히 살피지 않더라도 걸림이 일어나는 위치로 닫힘판(50)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닫힘판(50)을 닫힘 위치인 제2 위치에 위치시키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groove 45 formed around the first button hole 46 of the button engagement portion 44 of the tab 40 during rotation of the tab 40 and the first button 26 , The closing plate 50 can be easily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at is,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losed plate 50 is not observed by the naked eye, only by moving the closing plate 50 to the position where the latching occurs, the closing plate 50 can be positioned at the closed position.

도 8 및 도 9 는 닫힘판(50)이 제2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 의 단면도에서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프레싱홈(45) 및 결합돌기(26a)는 생략되어 있다. 8 and 9 are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osing plate 5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9, the pressing grooves 45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26a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닫힘판(50)이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우선 닫힘판(50)의 제1 위치에서 닫힘판(50)의 아래의 위치하는 인쇄 공간(29)이 노출된다. 이러한 인쇄 공간(29)은 사용자의 능동적 동작에 의해 노출되는 공간으로 구매자에게 주목성과 흥미성을 느끼게 하고, 이에 따라 광고 및 프로모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When the closing plate 5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printing space 29 located below the closing plate 50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closing plate 50 is exposed. The print space 29 is a space that is exposed by the active operation of the user, so that the buyer feels interest and interest, thereby maximizing the advertising and promotional effect.

닫힘판(50)은 제2 위치에서 개봉된 개봉부(25)를 덮는다. 이로 인해 개봉부(25)는 닫히고 음료의 유출이 방지된다. 스코어(S) 파단을 위해 탭(40)은 전단 가압부(41)가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젖혀지는 데, 닫힘판(5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전단 가압부(41)가 판넬 표면(22)과 접촉하여 지렛대 원리로 버튼 결합부(45)를 누르게 되므로 닫힘판(50)은 닫힌 위치에서 눌려진다. 더욱이, 지렛대 버블(27)이 형성된 구조에서는 탭(40)의 전단 가압부(41)가 지렛대 버블(27)에 의해 들어 올려지므로 후단 핑거부(42)가 닫힘판(50)을 더욱 효과적으로 누르게 된다. The closing plate (50) covers the opening section (25) opened at the second position. As a result, the opening portion 25 is closed and the outflow of the beverage is prevented. The tab 40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end pressing portion 41 is directed downward so that the score S is broken and when the closing plate 5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22) and presses the button engagement portion (45) on the principle of the lever so that the closing plate (50) is pushed in the closed position. Furth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lever bubble 27 is formed, since the front end pressing portion 41 of the tab 40 is lifted by the lever bubble 27, the rear end fingering 42 presses the closing plate 50 more effectively .

또한, 핑거부 지지돌기(56)가 형성된 구조에서는 후단 핑거부(44)가 닫힘판(50)을 누르는 것이 아니라 핑거부 지지돌기(56)를 누르게 되므로 누르는 힘이 닫힘판(50) 표면을 통해 고르게 분사되면서 닫힘판(50)이 보다 효과적으로 눌릴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ngering-rejecting support protrusions 56 are formed, the rear-end fingering 44 does not press the closing plate 50 but press the fingering-support protrusions 56 so that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50 So that the closing plate 50 can be pressed more effectively.

닫힘판(50)이 제2 위치에서 개봉부(25)를 덮게 되므로 개봉부(25)는 밀폐되고, 개봉부(25)가 닫혀지므로 음료의 유출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캔을 휴대하고 이용하기 용이하다.The opening portion 25 is closed and the opening portion 25 is closed because the closing plate 50 covers the opening portion 25 at the second position.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arry and carry the ca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캔의 엔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반복적인 구성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nd of the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이지 오픈 엔드의 판넬 및 닫힘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이지 오픈 엔드를 구비한 캔에서 개봉부의 개봉 후 닫힘판으로 개봉부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panel and a closing plate of an easily re-sealable open e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portion is closed by the opening plate of the can opening and then the closing plate of the ca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20)의 오목 표면(30)에 형성된 스코어(S)의 외측으로 스코어(S)의 둘레를 따라 상기 오목 표면(30)이 프레싱되어 돌출 형성된 돌출부(28)가 형성된다.The concave surface 30 is pressed and protru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core S to the outside of the score S formed on the concave surface 30 of the panel 20 as shown in Fig. .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닫힘판(50)이 180° 회전하여 개봉된 개봉부(25)를 덮어 밀봉하게 된다. 이때, 닫힘판(50)의 바닥면과 돌출부(28)의 상면이 면 대 면으로 긴밀하게 면접촉하여 맞닿게 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closing plate 50 is rotated by 180 占 to cover and cover the opened unsealed portion 25.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28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ace to face.

이와 같이 판넬(20)의 오목 표면(30)에 돌출부(28)가 형성될 경우 닫힘판(50)의 형상도 변경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판(50)은 프레싱 가공을 통해 계단식 형태로 형성된다. 닫힘판(50)의 가장자리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환형의 제1 단턱(57)이 형성되면서 제1 단턱(57)의 경계로 내측이 돌출되어 주변 표면(53)보다 돌출된 높이의 제1 볼록 표면(58)을 형성하며, 제1 볼록 표면(58)의 내측에서 제1 단턱(57)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환형의 제2 단턱(59)이 형성되면서 제2 단턱(59)을 경계로 내측이 돌출되어 제1 볼록 표면(58) 보다 높은 제2 볼록 표면(60)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볼록 표면(58, 60)은 프레싱을 통해 형성되므로, 닫힘판(50)은 주변 표면(53), 제1 볼록 표면(58) 및 제2 볼록 표면(60)을 갖는 계단식 형태를 갖는 원형의 판이 된다. 제2 버튼(52)은 최상단의 볼록 표면, 본 실시예서는 제2 볼록 표면(60)에 형성되며, 제1 버튼홀(46)은 제1 볼록 표면(58)에 형성된다. When the projecting portion 28 is formed on the concave surface 30 of the panel 20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closing plate 50 also needs to be changed. The closing plate 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through a pressing process. The annular first step 57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closing plate 50 and the first convex surface 57 protrudes inward at the boundary of the first step 57 to be protruded from the peripheral surface 53, The second step 59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step 57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nvex surface 58 while the second step 59 is formed inwardly And a second convex surface 60 protruding to be higher than the first convex surface 58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convex surfaces 58 and 60 are formed through pressing so that the closure plate 50 has a stepped shape with a peripheral surface 53, a first convex surface 58 and a second convex surface 60 As shown in Fig. The second button 52 is formed on the uppermost convex surfac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nvex surface 60, and the first button hole 46 is formed on the first convex surface 58.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및 제2 볼록 표면(58, 60)을 갖는 형태로 닫힘판(50)을 예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볼록 표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버튼홀(46) 및 제2 버튼(52)의 동일한 높이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제2 버튼(52)이 상대적으로 높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버튼(52)이 상대적으로 높은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a closed plate 50 in the form of having first and second convex surfaces 58 and 60 but a single convex surface may be formed and the first button hole 46, And the second button 52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ame height or the second button 52 may be formed on the relatively high surface. Preferably, the second button 52 is formed on a relatively high surface.

닫힘판(50)이 이러한 볼록 표면(58, 60)을 가짐으로써, 닫힘판(50)이 개봉부(25)를 덮은 상태에서 탭(40)에 의해 닫힘판(50)에 힘이 가해질 때 닫힘판(50)을 누르는 힘이 증가되고 닫힘판(50)을 누르는 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밀폐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닫힘판(50)의 누르는 압력이 돌출부(28)에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더욱 향상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닫힘판(50)에 의한 닫힘 성능이 향상된다.When the closing plate 50 has such convex surfaces 58 and 60 that the closing plate 50 is covered with the opening 25 and the force is applied to the closing plate 50 by the tab 40,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late 50 is increased and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closing plate 50 is uniformly dispersed to improve the sealing force. At this time,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closing plate 50 is uniformly dispersed in the protruding portion 28, so that a further improved sealing force can be maintained. Therefore, the closing performance by the closing plate 50 is improved.

이상, 본 발명을 도시된 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시된 예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엔드 20: 판넬
22: 판넬 표면 23: 카운터 싱크
25: 개봉부 26: 제1 버튼
26a: 결합돌기 29: 인쇄 공간
30: 제1 오목표면 35: 제2 오목표면
40: 탭 41: 전단 가압부
42: 후단 핑거부 44: 버튼결합부
45: 프레싱홈 46: 제1 버튼홀
47: 제2 버튼홀 50: 닫힘판
51: 버튼 관통홀 52: 제2 버튼
54: 버블 수용홈 56: 핑거부 지지돌기
57 : 제1 단턱 58 : 제1 볼록 표면
59 : 제2 단턱 60 : 제2 볼록 표면
10: End 20: Panel
22: Panel surface 23: Countersink
25: opening section 26: first button
26a: engaging projection 29: printing space
30: first concave surface 35: second concave surface
40: tab 41: shear pressing portion
42: rear end rejection 44: button engagement part
45: pressing groove 46: first button hole
47: second buttonhole 50: closed plate
51: Button through hole 52: Second button
54: bubble receiving groove 56: fingering support projection
57: first step 58: first convex surface
59: second step 60: second convex surface

Claims (5)

캔을 밀봉하는 엔드로서,
스코어(S)가 새겨져 형성된 개봉부(25)가 일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스코어(S)의 외측으로 스코어(S)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27)가 구비되며 중심부에 제1 버튼(26)이 돌출 형성된 판넬(20);
중심부에 아일랜드 구조의 버튼 결합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 결합부(44)에 상기 제1 버튼(26)이 상부로 연장되어 리벳팅되는 제1 버튼홀(46)이 형성되고, 전단 가압부(41)가 상기 개봉부(25)의 상부로 배치된 제1 위치와, 후단 핑거부(42)가 상기 개봉부(46) 상부로 배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탭(40); 및
상기 탭(40)과 상기 판넬(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탭(40)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탭(40)이 스코어를 파단하여 상기 개봉부(25)를 개봉시킨 후 제2 위치로 배치될 때, 상기 개봉부(25)를 막는 닫힘판(50)을 포함하며,
상기 탭(40)의 제1 버튼홀(46) 주변에는 프레싱홈(4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튼(26)의 상단 확장부 하단에는 상기 프레싱홈(45)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6a)가 형성되어, 상기 닫힘판(50)이 상기 개봉부(25)는 닫는 담힘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프레싱홈(45)과 상기 결합돌기(26a)가 맞춤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엔드.
An end sealing a can,
A first button 26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core S and a protrusion 27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score S to the outside of the score S, The protruded panel 20;
And a first button hole 46 is formed in the button fitting portion 44 so that the first button 26 is extended upward to be riveted, A tab 40 rotatably installed between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41 is disposed above the opening 25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rear fingering 42 is disposed above the opening 46, ); And
The tab 40 is disposed between the tab 40 and the panel 1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tab 40. The tab 40 breaks the score to open the opening 25, , A closing plate (50) closing the opening (25)
A pressing groove 45 is formed around the first button hole 46 of the tab 40. An engaging projection 26a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groove 45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xtension of the first button 26, Wherein the pressing groove (45) engages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26a) when the closing plate (50) moves to the closing and unloading position of the opening section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40)의 상기 버튼 결합부(45)에는 상기 제1 버튼홀(46)의 후측으로 제2 버튼홀(47)이 형성되고,
상기 닫힘판(50)에는 상기 제1 버튼(26)이 통과하는 버튼 관통홀(51)과, 돌출된 제2 버튼(5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버튼(26)은 상기 버튼 관통홀(51)을 통과하여 상기 탭(40)과 회전가능하게 리벳팅 결합되고, 상기 제2 버튼(52)은 상기 제2 버튼홀(47)을 통과하여 리벳팅 결합됨으로써,
상기 닫힘판(50)은 상기 탭(40)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엔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buttonhole 47 is formed in the button fitting portion 45 of the tab 40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buttonhole 46,
A button through hole 51 through which the first button 26 passes and a second button 52 protruding from the first button 26 are formed in the closing plate 50,
The first button 26 passes through the button through hole 51 and rotatably rivets the tab 40 and the second button 52 passes through the second button hole 47 By being rive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closure plate (50) rotates integrally with the tab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26b)는 상기 제1 버튼(26)이 상기 제1 버튼홀(46)을 통과하여 상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리벳팅될 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캔의 엔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26b) is formed when the first button (26) passes through the first buttonhole (46) and extends upward so as to be rivet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홈(45)은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프레싱홈(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엔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groove (45) comprises at least two pressing grooves (45) positioned in at least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홈(45)은 복수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짝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엔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ressing grooves (45)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apart even numbered holes.
KR1020170117609A 2017-09-14 2017-09-14 End for a can KR201900303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09A KR20190030321A (en) 2017-09-14 2017-09-14 End for a c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09A KR20190030321A (en) 2017-09-14 2017-09-14 End for a ca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321A true KR20190030321A (en) 2019-03-22

Family

ID=6594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609A KR20190030321A (en) 2017-09-14 2017-09-14 End for a c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32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30506A1 (en) * 2021-10-26 2023-04-27 HEX20, Inc. Beverage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30506A1 (en) * 2021-10-26 2023-04-27 HEX20, Inc. Beve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669B1 (en) Resealable easy open end for a can
US6626314B1 (en) Resealable closure for beverage container
EP1247752B1 (en) Resealable closure for open end of beverage containers
US5199591A (en) Resealable flip-top can
US4930654A (en) Resealable flip-top can
US8215513B1 (en) Self-closing resealable can end
US20060096983A1 (en) Recloseable drink cup lid
US20070039960A1 (en) Spill-Resistant Reclosable Closure Assembly for a Lid
AU2002229041A1 (en) Resealable closure for open end of beverage container
MX2015001777A (en)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WO2005051783A1 (en) can
CA3123736A1 (en) Can lid, c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n lid
SG188348A1 (en) Reclosing can for food product
CA2016721A1 (en) Cover for pop top can
KR102118504B1 (en) Can cover
CZ292051B6 (en) Container lid, particularly beverage can lid and the container per se
KR20190030321A (en) End for a can
WO2019162437A1 (en) Beverage can
US20050051552A1 (en) Self-closing lid for beverage cups and the like
US3049264A (en) Sanitary removable covers for containers
EP3259196B1 (en) Safety mechanism for containers
KR101165758B1 (en) Resealable Easy Open End For a Can
KR101166302B1 (en) Resealable Easy Open End For a Can
KR20190027192A (en) End for a can
KR20140017387A (en) Resealable easy open end allowing the closing plate to be easily located in an accurate closing position for a c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