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135A - 드론 - Google Patents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135A
KR20190030135A KR1020170139945A KR20170139945A KR20190030135A KR 20190030135 A KR20190030135 A KR 20190030135A KR 1020170139945 A KR1020170139945 A KR 1020170139945A KR 20170139945 A KR20170139945 A KR 20170139945A KR 20190030135 A KR20190030135 A KR 2019003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balance
housing
holding member
landing as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594B1 (ko
Inventor
이기섭
유창수
강호열
강원민
하재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엘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엘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엘시스템즈
Publication of KR2019003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60/00Undercarriages
    • B64U60/2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uneven ter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60/00Undercarriages
    • B64U60/50Undercarriages with land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드론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본체 및 적어도 하나의 로터부를 포함하는 드론으로서, 드론에 장착되고, 드론의 착륙 시 수평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착륙 보조부를 포함하며, 착륙 보조부는, 드론의 하부에 장착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착륙 보조 하우징, 및 일부가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드론의 착륙 시 수평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균형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론{DRO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인 비행체 기술과 관련된다.
드론은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원격 조정에 의해 비행하거나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적으로 비행하는 비행체로서, 주로 군사적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운송 분야, 보안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개인적인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에는 이착륙 시 드론의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랜딩 기어(Landing Gear)가 장착된다. 그러나, 드론의 착륙 시 지면이 편평하지 않고 기울어진 경우 드론이 기울어져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드론의 착륙 시 드론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7-0083856호(2017.07.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드론의 착륙 시 드론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기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본체 및 적어도 하나의 로터부를 포함하는 드론으로서, 상기 드론에 장착되고, 상기 드론의 착륙 시 수평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착륙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륙 보조부는, 상기 드론의 하부에 장착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착륙 보조 하우징; 및 일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드론의 착륙 시 수평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균형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상단 중심에서 양측으로 각각 하방 절곡되어 마련되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양 단부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형 유지 부재는, 플렉서블 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일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양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균형 유지 부재는, 상기 드론이 착륙하는 지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일 단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타 단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균형 유지 부재는,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론은,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 인입을 제한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외경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벽 및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외면 중 하나 이상에는 오일이 코팅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착륙 보조 하우징 및 균형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착륙 보조부의 간단한 구성을 통해 드론의 착륙 시 수평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착륙 시 균형 유지를 위한 별도의 센서가 필요 없으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드론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드론의 고장 가능 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 착륙 보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이 경사진 지면에 착륙하는 경우, 착륙 보조부를 통해 수평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론(100)은 본체(102), 암 프레임(104), 로터부(106), 및 착륙 보조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터부(106)는 제1 로터부(106-1), 제2 로터부(106-2), 제3 로터부(106-3), 및 제4 로터부(106-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 프레임(104)은 제1 암 프레임(104-1), 제2 암 프레임(104-2), 제3 암 프레임(104-3), 및 제4 암 프레임(104-4)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론(100)은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원격 조정에 의해 비행하거나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적으로 비행하는 비행체로서,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로도 지칭될 수 있으나, 탑승자 없이 원격 조정에 의해 비행하거나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비행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한 명칭 및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드론(100)은 군사, 운송, 방범, 관찰, 촬영 등 다양한 용도로 운용될 수 있으며, 그 용도에 따라 카메라, 적외선 센서, 열 감지 센서, 자세 센서, 위치 측정 센서(예를 들어, GPS 수신기)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이 탑재될 수 있다.
본체(102)는 드론(1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102)에는 드론(100)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 회로, 부품들이 내장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2)에는 카메라 또는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부수 장비들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2)에는 로터부(106)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암 프레임(104)은 본체(102)와 로터부(106)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암 프레임(104-1)은 본체(102)와 제1 로터부(106-1)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암 프레임(104-1)은 본체(102)의 외주면에서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로터부(106-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 프레임(104-2)은 본체(102)의 외주면에서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로터부(106-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 프레임(104-2)은 제1 암 프레임(104-1)과 동일 직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암 프레임(104-3)은 본체(102)의 외주면에서 제1 방향과 직각인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3 로터부(106-3)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암 프레임(104-4)은 본체(102)의 외주면에서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4 로터부(106-4)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암 프레임(104-4)은 제3 암 프레임(104-3)과 동일 직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암 프레임(104-1) 내지 제4 암 프레임(104-4)은 본체(102)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放射形)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암 프레임(104-1)과 제2 암 프레임(104-2)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3 암 프레임(104-3)과 제4 암 프레임(104-4)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로터부(106)는 드론(100)에 양력 및 추력을 제공한다. 각 로터부(106-1 ~ 106-4)는 프로펠러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체(102)를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로터부(106-1) 및 제2 로터부(106-2)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2)를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3 로터부(106-3) 및 제4 로터부(106-4)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로터부(106-1) 및 제2 로터부(106-2)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 로터부(106-3) 및 제4 로터부(106-4)는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로터부(106)가 4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로터부(106)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로터부(106)의 개수가 변경됨에 따라 암 프레임(104)의 개수 및 구조도 그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론(100)은 별도의 암 프레임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터부(106)는 본체(102)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착륙 보조부(108)는 본체(10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착륙 보조부(108)는 드론(100)의 착륙 시 드론(100)이 수평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착륙 보조부(108)는 본체(102)의 하부에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착륙 보조부(108)는 본체(102)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착륙 보조부(108)는 제1 착륙 보조부(108-1) 및 제2 착륙 보조부(10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륙 보조부(108-1)는 본체(102)의 하부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착륙 보조부(108-2)는 본체(102)의 하부에서 제1 착륙 보조부(108-1)와 이격되어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착륙 보조부(미도시)가 본체(102)의 하부에서 제1 착륙 보조부(108-1) 및 제2 착륙 보조부(108-2)와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즉,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착륙 보조부(108)는 드론(100)이 착륙하고자 하는 지면이 경사져 있다 하더라도 드론(100)이 수평 균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착륙 보조부(108)가 본체(102)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륙 보조부(108)는 암 프레임(104) 또는 로터부(106) 등의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착륙 보조부(108)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 착륙 보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착륙 보조부(108)는 착륙 보조 하우징(111) 및 균형 유지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착륙 보조 하우징(111)은 양단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륙 보조 하우징(111)은 곡선부(111a) 및 직선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부(111a)는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상단 중심을 기준으로 양 측에서 하방(즉, 중력 방향)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곡선부(111a)는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상단 중심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1 곡선부(111a-1) 및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상단 중심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2 곡선부(111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곡선부(111a-1) 및 제2 곡선부(111a-2)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직선부(111b)는 곡선부(111a)의 단부에서 곡선부(111a)와 연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직선부(111b)는 곡선부(111a)의 단부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직선부(111b)는 제1 곡선부(111a-1)의 단부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111b-1) 및 제2 곡선부(111a-2)의 단부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111b-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륙 보조 하우징(111)은 곡선부(111a) 및 직선부(111b)를 포함함에 따라 역 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곡선부(111a) 및 직선부(11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균형 유지 부재(113)는 일부가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균형 유지 부재(113)는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착륙 보조 하우징(111)은 역 U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기 위해 균형 유지 부재(113)는 플렉서블 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균형 유지 부재(113)는 외경은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경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부 벽 또는 균형 유지 부재(113)의 외면에는 균형 유지 부재(113)가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부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오일(윤활유)가 코팅될 수 있다.
균형 유지 부재(113)는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균형 유지 부재(113)의 일부(균형 유지 부재(113)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는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부에 수납되고, 균형 유지 부재(113)의 양 단부는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양 단부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균형 유지 부재(113)는 착륙 보조 하우징(111)과 마찬가지로 역 U자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균형 유지 부재(113)의 양 단부에는 이탈 방지부(11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부(115)는 균형 유지 부재(113)의 양 단부가 각각 끼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이탈 방지부(115)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균형 유지 부재(113)의 양 단부가 각각 이탈 방지부(115)의 삽입홈에 끼움 삽입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15)의 측면에는 걸림부(115a)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115a)는 이탈 방지부(115)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115a)는 균형 유지 부재(113)가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균형 유지 부재(113)의 단부가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측까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걸림부(115a)는 균형 유지 부재(113)가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단부에 걸림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균형 유지 부재(113)의 양 단부가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양 단부에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외력에 의해 균형 유지 부재(113)가 착륙 보조 하우징(1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균형 유지 부재(113)의 양 단부가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양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균형 유지 부재(113)가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드론(100)의 착륙 시 지면이 경사져 있다 하더라도 드론(100)의 수평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이 경사진 지면에 착륙하는 경우, 착륙 보조부를 통해 수평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론(100)이 경사진 지면에 착륙하는 경우, 균형 유지 부재(113)의 양 단부 중 지면에 먼저 접촉되는 일 단부는 드론(100)이 하강하려는 힘과 지면에 의한 반발에 의해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인입되게 된다.
그러면, 균형 유지 부재(113)가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균형 유지 부재(113)의 타 단부가 원 상태 보다 더 돌출(인출)되게 된다. 균형 유지 부재(113)의 타 단부의 돌출되는 길이는 균형 유지 부재(113)의 일 단부가 인입되는 길이와 대응하게 된다.
균형 유지 부재(113)의 타 단부가 지면에 접촉되는 경우, 균형 유지 부재(113)의 일 단부가 더 이상 착륙 보조 하우징(111)의 내부로 인입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지면의 경사(즉, 지면의 높낮이 차이)에 따라 균형 유지 부재(113)의 일 단부가 인입되는 길이와 균형 유지 부재(113)의 타 단부가 돌출되는 길이가 동일하게 되므로, 드론(100)이 수평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드론(100)의 몸체(102)의 하부에 제1 착륙 보조부(108-1) 및 제2 착륙 보조부(108-2)를 제1 방향으로 장착하고, 제3 착륙 보조부(미도시)를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장착하는 경우, 드론(100)이 착륙하고자 하는 지형이 어느 방향으로 굴곡지거나 경사져 있다 하더라도 드론(10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착륙 보조 하우징(111) 및 균형 유지 부재(113)를 포함하는 착륙 보조부(108)의 간단한 구성을 통해 드론(100)의 착륙 시 수평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착륙 시 균형 유지를 위한 별도의 센서가 필요 없으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드론(10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드론(100)의 고장 가능 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무인 비행체(예를 들어, 드론(100)) 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드론
102 : 본체
104 : 암 프레임
104-1 : 제1 암 프레임
104-2 : 제2 암 프레임
104-3 : 제3 암 프레임
104-4 : 제4 암 프레임
106 : 로터부
106-1 : 제1 로터부
106-2 : 제2 로터부
106-3 : 제3 로터부
106-4 : 제4 로터부
108 : 착륙 보조부
108-1 : 제1 착륙 보조부
108-2 : 제2 착륙 보조부
111 : 착륙 보조 하우징
111a : 곡선부
111a-1 : 제1 곡선부
111a-2 : 제2 곡선부
111b : 직선부
111b-1 : 제1 직선부
111b-2 : 제2 직선부
113 : 균형 유지 부재
115 : 이탈 방지부
115a : 걸림부

Claims (7)

  1. 본체 및 적어도 하나의 로터부를 포함하는 드론으로서,
    상기 드론에 장착되고, 상기 드론의 착륙 시 수평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착륙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륙 보조부는,
    상기 드론의 하부에 장착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착륙 보조 하우징; 및
    일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드론의 착륙 시 수평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균형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드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상단 중심에서 양측으로 각각 하방 절곡되어 마련되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양 단부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직선부를 포함하는, 드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균형 유지 부재는, 플렉서블 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일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양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드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균형 유지 부재는,
    상기 드론이 착륙하는 지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일 단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타 단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드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균형 유지 부재는,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드론.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부 인입을 제한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외경은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착륙 보조 하우징의 내벽 및 상기 균형 유지 부재의 외면 중 하나 이상에는 오일이 코팅되어 마련되는, 드론.
KR1020170139945A 2017-09-12 2017-10-26 드론 KR101996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16678 2017-09-12
KR1020170116678 201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135A true KR20190030135A (ko) 2019-03-21
KR101996594B1 KR101996594B1 (ko) 2019-07-05

Family

ID=6603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945A KR101996594B1 (ko) 2017-09-12 2017-10-26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572A (ko)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드론 착륙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157B1 (ko) * 2019-10-25 2020-02-04 주식회사 에스엠소프트 비행선을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측량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9545A1 (en) * 2015-03-18 2016-09-22 Amazon Technologies, Inc. Adjustable landing gear assembly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170083856A (ko) 2016-01-11 2017-07-19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수직이착륙 드론 및 도킹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9545A1 (en) * 2015-03-18 2016-09-22 Amazon Technologies, Inc. Adjustable landing gear assembly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170083856A (ko) 2016-01-11 2017-07-19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수직이착륙 드론 및 도킹 스테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572A (ko)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드론 착륙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594B1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69395B (zh) 具有管道结构的无人驾驶飞行器
US9765925B2 (en) Platform stabilization system
US11345472B2 (en) UAV having barometric sensor and method of isolating disposing barometric sensor within UAV
US20180059660A1 (en) Intelligent event response with unmanned aerial system
US20180237276A1 (en) Method of Actively Controlling Winch Swing via Modulated Uptake and Release
KR101866528B1 (ko) 드론
KR20160041697A (ko) 무인 비행체
WO2017204892A1 (en) Payload delivery system
US10750313B2 (en) Map display of unmanned aircraft systems
WO201912627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oor-enabled loading and release of payloads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KR20190103091A (ko) 무인 비행체의 스테이션
CN106200681A (zh) 可移动物体的起飞辅助的方法以及系统
Remes et al. Paparazzi: how to make a swarm of parrot ar drones fly autonomously based on gps
KR102280688B1 (ko) 무인 비행 로봇의 컨트롤러
KR101996594B1 (ko) 드론
Bogdanowicz Flying swarm of drones over circulant digraph
US11358720B2 (en)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s with quick release tether assembly
US11745899B2 (en) Adhoc geo-fiducial mats for landing UAVs
EP36357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haring an airspace wide unmanned aircraft system database across a plurality of service suppliers
Lutz et al. ARDEA—An MAV with skills for future planetary missions
KR20160051163A (ko) 무인 비행체
Dobrokhodov et al. New generation of rapid flight test prototyping system for small unmanned air vehicles
US202004004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imbal lock avoidance in an aircraft
KR20200134064A (ko) 안정적인 동작 및 자유도를 가지는 드론
US20200307783A1 (en) Compact Transformable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