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428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조 참조 신호와 데이터 간 다중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조 참조 신호와 데이터 간 다중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428A
KR20190029428A KR1020180094847A KR20180094847A KR20190029428A KR 20190029428 A KR20190029428 A KR 20190029428A KR 1020180094847 A KR1020180094847 A KR 1020180094847A KR 20180094847 A KR20180094847 A KR 20180094847A KR 20190029428 A KR20190029428 A KR 20190029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rs
data
multiplexing
base s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고산
김일규
김준형
정희상
최승남
회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2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DMRS 전송 방법은 제 1 패턴에서 DMRS와 데이터 간의 다중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다중화 여부에 기초하여 DMRS 및 데이터를 자원 요소에 매핑하는 단계 및 자원 요소에 매핑된 DMRS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중화 여부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제 1 정보는 DMRS 포트 개수, 추가 DMRS 개수, SNR(Signal Noise Ratio), SINR(Signal Interference Noise Ratio), 변조 차수, 부호화율, MCS(Modulation Coding Sche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조 참조 신호와 데이터 간 다중화 방법{METHOD OF MULTIPLEXING BETWEE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와 데이터 간 다중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 반송파(Multicarrier)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나누어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한 개의 심볼에 전송되는 방식을 사용 함으로써 다중 경로 무선 환경에서의 광대역 고속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반송파 시스템의 일례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전송 방식을 들 수 있다.
수신된 OFDM 신호의 동기 검파(Coherent Detection)을 위해서는 채널 추정을 통해 채널 정보를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해 OFDM 신호의 주파수-시간 격자(Frequency-time grid) 중 특정 위치에 미리 알고 있는 신호열로 구성된 참조 신호 (Reference signal; RS)를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참조 신호 중 사용자 특정 참조 신호(User-specific RS) 또는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S; DMRS)는 특정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적합한 맞춤형 참조 신호 패턴 설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채널 추정 성능 향상 및 참조 신호 오버헤드 감소 등을 달성할 수 있다. DMRS는 특정 사용자를 기준으로 고유한 신호열, 주파수-시간 격자 상 위치, 또는 코드(Code)를 가지는 특성이 있다. 서로 다른 다수의 단말은 동일한 셀에 위치 하더라도 각 단말에 해당하는 고유의 DMRS 만을 사용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지원 여부 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OFDM 기반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를 결정하여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고,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DMRS 전송 방법은 제 1 패턴에서 DMRS와 데이터 간의 다중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다중화 여부에 기초하여 DMRS 및 데이터를 자원 요소에 매핑하는 단계 및 자원 요소에 매핑된 DMRS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중화 여부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제 1 정보는 DMRS 포트 개수, 추가 DMRS 개수, SNR(Signal Noise Ratio), SINR(Signal Interference Noise Ratio), 변조 차수, 부호화율, MCS(Modulation Coding Sche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지원 여부 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OFDM 기반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를 결정하여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콤브(Comb) 패턴에 기초하여 DMRS를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OCC 패턴에 기초하여 DMRS를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콤브(Comb) 패턴에 기초하여 DMRS와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OCC 패턴에 기초하여 DMRS와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OCC 패턴에 기초하여 DMRS와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추가 DMRS 개수에 기초하여 DMRS와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추가 DMRS 개수에 기초하여 DMRS와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추가 DMRS 개수에 기초하여 DMRS와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DMRS와 데이터 간 다중화 허용 여부에 따른 주파수 효율(Spectral efficiency)의 SNR의 변화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다.
도 12는 DMRS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DMRS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하기에서는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에 기초하여 서술한다. 이때, 기지국은 이동국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동작으로 지칭한다.
이때, 기지국은 Node B, eNode B, gNode B 등일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또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스테이션(station) 등일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또한, 상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되는 경우일 수 있고, 하향링크는 이동국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셀’과 통신을 수행한다는 기재는 디바이스가 해당 셀의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실질적인 대상은 특정 기지국이 될 수 있으나, 기재의 편의상 특정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기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셀’ 및/또는 ‘스몰 셀’ 이라는 기재는 각각 특정한 커버리지(coverage)를 의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매크로 셀을 지원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스몰 셀을 지원하는 스몰 셀 기지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xx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설명하지 않은 자명한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user equipment)(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 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기술들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GPP LTE 및 LTE-A에서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리계층 상위계층에서의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이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이하 'RACH'라 칭함)이며,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에 직접 할당된 무선자원으로서 물리계층에 매핑되는 RACH의 물리 채널을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이하 'PRACH'라 칭함)라 한다. RACH는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 기지국과의 초기 타이밍 동기 및 전력 제어, 상향링크 자원 요청, 핸드오버(handover) 등을 수행하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과정에서 단말이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이용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과정은 기지국에 의해 초기화되고,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후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 랜덤 액세스 응답을 단말로 전송한다. 그 후 단말과 기지국은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UL-SCH(Uplink shared channel)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과 DL-SCH(Downlink shared channel)과 같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주고 받으며 단말의 요구사항에 맞도록 무선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이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과정 중 복수의 단말이 기지국에 송신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상호 충돌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충돌 발생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 LTE와 같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는 시간 영역에서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슬롯(혹은 서브프레임(subframe) 수를 늘리거나, 혹은 주파수 영역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을 위한 무선 자원의 수를 더 확보하여 단말들의 성공적인 랜덤 액세스 기회(random access opportunity)를 늘리고 있다. 이와 같은 랜덤 액세스 멀티 채널 운용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이 송신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간의 충돌 확률을 줄이고, 이를 통해 단말의 기지국에의 액세스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자원 블록은 12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로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NR 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와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뉴머놀러지(Numerologies)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뉴머놀러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 CP길이 및 슬롯당 OFDM 심볼의 수 등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NR 시스템에서 기본 슬롯(Normal Slot)과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14개 OFDM 심볼 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본 슬롯은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시간 단위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슬롯과 다르게 서브 프레임은 NR시스템에서 1ms에 해당하는 절대적인 시간 길이를 가지고 다른 시간 구간의 길이를 위한 참고 시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LTE와 NR 시스템의 공존 또는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LTE의 서브 프레임과 같은 시간 구간이 NR 규격에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LTE에서 데이터는 단위 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TTI는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 단위로 구성될 수 있었다. 이때, LTE에서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1ms로 설정될 수 있으며, 14개의 OFDM 심볼(또는 12개의 OFDM 심볼)이 포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환경을 고려하여 DMRS 패턴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DMRS는 데이터 복조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DMRS가 전송되는 영역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바, DMRS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DMRS가 너무 적은 경우에는 데이터 복조를 위한 참조 신호가 충분하지 않는바, 복조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하기 도 3 내지 도 7은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DMRS 패턴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DMRS 패턴 설계와 관련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콤브(Comb) 기반 패턴과 OCC(Orthogonal cover code) 기반 패턴을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콤브 패턴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다른 포트(Port) 그룹에 해당하는 DMRS가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포트 그룹 내의 포트들은 CDM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즉, 포트 그룹 내의 포트 그룹들은 CDM을 통한 Code의 OCC 또는 순환 시프트(Cyclic shift) 방법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콤브 패턴의 경우에 있어서 도 3(a)에서처럼 데이터 영역의 첫 심볼에만 DMRS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영역의 첫 번째 심볼에만 DMRS가 존재하는 경우는 “Front-loaded DMRS”일 수 있다. 반면, 도 3(b)처럼 데이터 영역의 첫 번째 심볼뿐만 아니다 다수의 추가적인 DMRS(Additional DMRS)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DMRS는 1개, 2개 또는 3개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OCC 기반 패턴에 기초하여 포트를 구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두 개의 RE(Resource element)에서 OCC에 기초하여 포트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포트 그룹들은 서로 다른 RE로서 분리된 RE에 할당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그룹들은 서로 다른 RE에 할당될 수 있으며, 그룹 내의 포트들은 OCC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OCC 기반 패턴의 경우에도 도 4(a)처럼 데이터 영역의 첫 번째 심볼에만 DMRS가 존재하는 “Front-loaded DMRS”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첫 번째 심볼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DMRS가 할당되는 경우로서 도 4(b)의 경우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콤브 패턴과 유사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추가 DMRS가 존재하는 경우, 추가 DMRS는 1개, 2개, 또는 3개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DMRS가 존재하는 심볼의 모든 주파수 자원에 DMRS가 할당 되었으나 지원해야 할 DMRS 포트 수가 줄어드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DMRS가 존재하는 심볼 내 포트 수가 줄어드는 경우, DMRS가 존재하는 심볼 내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처럼 포트 그룹 세 개를 고려하여 RE가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세 개의 포트 그룹 전부가 필요하지 않고, 일부가 필요한 경우라면 필요하지 않는 포트 그룹에 대한 DMRS 전송이 생략될 수 있다. 즉, 심볼 내에 빈 공간이 생길 수 있다.
이때, 일 예로서, 도 5는 DMRS와 데이터 사이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허용 여부에 기초하여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기초하면 콤브 기반 패턴에서 포트 개수를 1개 또는 2개만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도 5(a)의 경우는 DMRS와 데이터 사이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가 허용되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반면, 도 5(b)는 DMRS와 데이터 사이의 다중화를 허용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때, 도 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첫 번째 심볼에서만 DMRS가 할당된 경우로서 “Front-loaded DMRS”에 대해 나타내지만 상술한 바처럼 추가로 DMRS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DMRS와 데이터 사이의 다중화가 허용되는 경우에는 빈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바, 데이터 전송을 통해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반면, DMRS 와 데이터 사이의 다중화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DMRS 성분에 송신 전력을 집중할 수 있어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DMRS와 데이터 사이의 다중화를 허용할지 여부는 채널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OCC 기반 패턴의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OCC 기반 패턴의 경우 포트 개수가 3개 또는 4개의 경우에는 도 6과 같은 패턴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는 상술한 바처럼 첫 번째 심볼만을 고려하는 “Front-loaded DMRS”만 존재하는 경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 DMRS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와 비교하여 DMRS 포트 4/5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DMRS 포트 4/5를 위한 DMRS가 할당되었던 위치에 DMRS가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처럼 DMRS와 데이터 다중화가 가능한 경우라면, DMRS가 할당 되었던 위치에 데이터를 할당시켜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반면, 상술한 바처럼 DMRS와 데이터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고, DMRS가 할당된 영역을 비워둘 수 있다. 이때, 비워둔 부분에 기초하여 DMRS 성분에 송신 전력을 집중할 수 있어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 4와 비교하여 도 7은 OCC 기반 패턴의 경우로서 포트 개수가 1개 또는 2개인 경우일 수 있다. 즉, 도 4와 비교하여 DMRS 포트 2/3 및 DMRS 포트 4/5에 대응하는 DMRS가 할당되는 부분에 DMRS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다중화가 적용되지 않거나(도 7(a)), 데이터와 다중화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b)) 한편, 도 7도 첫 번째 심볼만을 고려하는 “Front-loaded DMRS”의 경우를 중심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 DMRS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화를 지원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부반송파를 통해 정보 신호를 전달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기반으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OFDM, Windowed-OFDM, Filtered-OFDM, Filtered-bank multi-carrier(FBMC), Generalized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GFDM) 등의 전송 기법들에 기초하여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부반송파를 기반으로 하지만 DFT 확산을 통해 단일 부반송파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DFTspread-OFDM 또는 SC-FDMA(Single carrier-FDMA) 등의 전송 기법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해당 다중 반송파 시스템은 시간 영역에서 보호 구간(Guard period)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호 구간의 예로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 순환 후치(Cyclic postfix), 공백 보호 구간(Null guard perio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DMRS 설계 방법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의 하향 링크(Downlink), 상향 링크(Uplink), 및 사이드 링크(Sidelink)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의 채널 추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 결정 방법에 필요한 요소에 대해서는 하기 실시예로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고려되는 요소에 대해서 각각 기재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즉, 하기 실시예에서 기재된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에 대해서 실시예로 기재한다.
실시예 1
일 예로,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 결정 방법은 필요로 하는 DMRS 포트 개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DMRS 포트 개수가 많을수록 주파수 영역에서의 DMRS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DMRS 포트 개수가 많을수록 DMRS와 데이터의 다중화에 따른 주파수 효율 향상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콤브 패턴의 경우 M개를 초과하는 포트 개수가 할당된 경우, DMRS와 데이터 간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M개는 임계 개수로서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M개에 대한 정보는 상위 레이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M개에 대한 정보는 제어 정보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M은 기설정된 값으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사전에 알고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M은 2일 수 있다.
즉, 콤브 패턴의 경우, M개를 초과하는 포트 개수가 할당된 경우라면 다중화에 따라 주파수 효율이 높지 않은바,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도록하여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콤브 패턴의 경우, M개 이하의 포트 개수가 할당된 경우라면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 다중화를 통해 주파수 효율이 좋을 수 있는바, 다중화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OCC 패턴의 경우 N개를 초과하는 포트 개수가 할당된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N개 이하의 포트 개수가 할당된 경우에는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N개는 임계 개수로서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N에 대한 정보는 상위 레이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N에 대한 정보는 제어 정보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N은 기설정된 값으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사전에 알고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N은 2 또는 4일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 결정 방법은 추가 DMRS(Additional DMRS)의 개수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추가 DMRS 개수가 많을수록 데이터 다중화에 따른 오버헤드 감소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콤브 패턴의 경우 P개를 초과하는 추가 DMRS가 배치된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할 수 있다. 반면, P개 이하의 추가 DMRS가 배치된 경우에는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P개는 임계 개수로서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P에 대한 정보는 상위 레이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P에 대한 정보는 제어 정보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P은 기설정된 값으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사전에 알고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P는 0, 1 또는 2일 수 있다.
또한, OCC 패턴의 경우, Q개를 초과하는 추가 DMRS가 배치된 경우에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할 수 있다. 반면, Q개 이하의 추가 DMRS가 배치된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Q개는 임계 개수로서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Q에 대한 정보는 상위 레이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Q에 대한 정보는 제어 정보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Q는 기설정된 값으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사전에 알고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Q는 0, 1 또는 2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위 레이어 신호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정보들은 L1/L2 신호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도 8 내지 10은 추가 DMRS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DMRS와 데이터 간의 주파수 다중화가 허용되는 경우(도8(a), 도9(a), 도10(a))와 DMRS와 데이터 간의 주파수 다중화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도8(b), 도9(b), 도10(b))를 나타낸다. 이때, 도 8은 “Front-loaded DMRS”가 1개, 추가 DMRS가 1개인 경우일 수 있다. 즉, 첫 번째 심볼에서 DMRS가 할당되고, DMRS가 추가로 한 개 더 배치된 경우일 수 있다. 또한, 도 9는 “Front-loaded DMRS”가 1개, 추가 DMRS가 2개 존재하는 경우이고, 도 10은 “Front-loaded DMRS”가 1개, 추가 DMRS가 3개 존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8 내지 도 10을 비교하면 추가 DMRS 수가 많아지는 경우에 있어서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어 있는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즉, 추가 DMRS 수가 증가할수록 DMRS와 데이터 사이의 주파수 다중화가 허용되지 않으면, 낭비되는 자원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추가 DMRS 수가 많으면 DMRS와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다중화가 허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 결정 방법은 SNR(Signal-to-Noise Ratio) 또는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신기로부터의 피드백 또는 채널의 호혜성(Reciprocity) 등을 이용하여 SNR 또는 SINR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SNR 또는 SINR 값이 작을수록 채널 추정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고 DMRS 송신 전력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SNR 값이 X를 초과하는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할 수 있다. 반면, SNR 값이 X 이하일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SINR 값이 Y를 초과하는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할 수 있다. 반면, SNR 값이 Y 이하일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X 또는 Y는 임계 개수로서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X 또는 Y에 대한 정보는 상위 레이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X 또는 Y에 대한 정보는 제어 정보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X 또는 Y는 기설정된 값으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사전에 알고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 결정 방법은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및 부호화율(Coding rate) 또는 변조 차수와 부호화율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변조 차수와 부호화율의 조합에는 MCS Index(Modulation Coding Scheme Index)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변조 차수가 U를 초과하는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할 수 있다. 반면, 변조 차수가 U 이하일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부호화율이 V를 초과하는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할 수 있다. 반면, 부호화율이 V 이하일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MCS Index가 W을 초과하는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할 수 있다. 반면, MCS Index가 W 이하일 경우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때, U, V 또는 W는 임계 개수로서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U, V 또는 W에 대한 정보는 상위 레이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U, V 또는 W에 대한 정보는 제어 정보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U, V 또는 W는 기설정된 값으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사전에 알고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4에 기초하면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 결정 방법은 포트 개수, 추가 DMRS 개수, SNR, SINR, 변조 차수, 부호화율 및 MCS Index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일 예로, 도 11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DMRS와 데이터 간 다중화 허용 여부에 따른 주파수 효율(Spectral efficiency)의 SNR의 변화에 따른 변화일 수 있다. 이때, SNR이 낮은 영역에서는 FDM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고 SNR이 높은 영역에서는 FDM을 허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추가 DMRS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FDM에 의한 이득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 결정 방법은 기지국, 단말 또는 릴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 다중화는 사이드링크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DMRS와 데이터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중화 여부 결정 결과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 L1/L2 신호,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 또는 묵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DMRS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예로,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에서 제 1 디바이스는 기지국(eNB 또는 gNB)이고, 제 2 디바이스는 단말(UE)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DMRS는 하향링크에 대한 DMRS이고, 데이터는 하향 링크 데이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디바이스는 단말이고, 제 2 디바이스는 기지국일 수 있다. 이때, DMRS는 상향링크에 대한 DMRS이고, 데이터는 상향링크 데이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는 각각 각각 사이드링크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일 수 있다. 이때, DMRS는 사이드링크에 대한 DMRS이고, 데이터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향링크, 상항링크 및 사이드 링크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DMRS 패턴에 대한 DMRS와 데이터 간의 다중화 여부는 DMRS 포트 개수, 추가 DMRS 개수, SNR, SINR, 변조 차수, 부호화율 및 MCS 인덱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S1210) 이때, 도 1 내지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DMRS 패턴은 콤브 패턴 또는 OCC 패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DMRS와 데이터 간의 다중화 여부를 결정하는 DMRS 포트 개수, 추가 DMRS 개수, SNR, SINR, 변조 차수, 부호화율 및 MCS 인덱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의 패턴마다 개별적 또는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 1 디바이스는 DMRS와 데이터 간의 다중화 여부에 기초하여 DMRS 및/또는 데이터를 자원 요소 상에 매핑할 수 있다.(S1220) 이때, 자원요소는 DL DMRS, DL 데이터의 경우에는 DL 자원요소에 해당하고, UL DMRS, UL 데이터의 경우에는 UL 자원요소에 해당하고, SL DMRS, SL 데이터의 경우에는 SL 자원요소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디바이스는 자원 요소 상에 매핑된 DMRS 및/또는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S1230) 이때, 제 2 디바이스는 DMRS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추정된 채널에 기초하여 데이터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S1240)) 이때, 일 예로, UL/SL DMRS 및 데이터의 경우에 DMRS와 데이터 간의 다중화 여부는 기지국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디바이스(e.g.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중화 여부에 대한 설정에 기초하여 DMRS와 데이터 간의 다중화를 수행하거나 다중화 없이 DMRS를 자원 요소 상에 매핑 및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3은 DMRS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장치는 제 1 패턴에서 DMRS와 데이터 간의 다중화 여부를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S1310) 이때,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장치는 단말, 기지국 또는 그 밖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장치가 기지국인 경우, 기지국이 단말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한 DMRS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장치가 단말인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한 DMRS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장치가 단말인 경우, 단말은 다른 단말로 사이드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이드링크 전송에 대한 DMRS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일 예로, 제 1 패턴은 상술한 패턴은 콤브 패턴 또는 OCC 패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각각의 패턴별로 DMRS와 데이터 다중화 여부가 각각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제 1 정보는 DMRS 포트 개수, 추가 DMRS 개수, SNR(Signal Noise Ratio), SINR(Signal Interference Noise Ratio), 변조 차수, 부호화율, MCS(Modulation Coding Sche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DMRS 와 데이터 다중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DMRS와 데이터 다중화를 수행하는 경우(S1320), 제 1 장치는 다중화된 DMRS와 데이터를 자원 요소에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S1330) 이때,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DMRS 포트에 기초하여 DMRS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DMRS와 다중화되어 할당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반면, DMRS 와 데이터 다중화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S1320), 제 1장치는 DMRS가 전송되지 않은 영역은 비운채로 DMRS 및 데이터를 자원 요소에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S1340) 이때,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DMRS 포트에 기초하여 DMRS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에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고, 비운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DMRS에 대한 송신 전력에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4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장치(1400)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410),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420) 및 송신부(1410)와 수신부(1420)를 제어하는 프로세스(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치(1400)는 송신부(1410) 및 수신부(142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장치는 단말, 기지국 또는 그 밖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는 다른 단말 장치, 기지국 또는 그 밖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향링크, 상향링크 사이드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단말 장치는 드론, 차량, IoT 디바이스 및 기타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술한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400 : 단말
1410 : 송신부
1420 : 수신부
1430 : 프로세서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 1 장치가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 1 패턴에서 상기 DMRS와 데이터 간의 다중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다중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DMRS 및 상기 데이터를 자원 요소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요소에 매핑된 상기 DMRS 및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중화 여부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DMRS 포트 개수, 추가 DMRS 개수, SNR(Signal Noise Ratio), SINR(Signal Interference Noise Ratio), 변조 차수, 부호화율, MCS(Modulation Coding Sche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장치가 DMRS를 전송하는 방법.
KR1020180094847A 2017-09-11 2018-08-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조 참조 신호와 데이터 간 다중화 방법 KR201900294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15963 2017-09-11
KR1020170115963 2017-09-11
KR1020170128273 2017-09-29
KR20170128273 2017-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428A true KR20190029428A (ko) 2019-03-20

Family

ID=6603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847A KR20190029428A (ko) 2017-09-11 2018-08-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조 참조 신호와 데이터 간 다중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94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15316B2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10214466B (zh)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和集成电路
JP5554799B2 (ja) 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343538B1 (ko) 멀티캐리어 시스템들에서 채널 품질 피드백
CN105340198B (zh) 在无线通信系统中获取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JP5487229B2 (ja) 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A277099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control channel resource of a relay node in a backhaul subframe
KR101892688B1 (ko) 다중 안테나를 위한 제어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CN110050452B (zh)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及集成电路
KR101818584B1 (ko) 전용 기준 신호를 위한 공통 제어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7925977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v2x终端的信号的方法和装置
WO2018008404A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19003433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9467989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9716578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4058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feedback signal for side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5088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측정을 통한 자원 선택 및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4094659A (zh) 无线基站装置、用户终端、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KR10241047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500574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2018009975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cr을 측정하고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3592071B1 (en) V2x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v2x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method
WO2018105631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8008458A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2284377B1 (ko)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d2d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