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346A -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346A
KR20190029346A KR1020170116767A KR20170116767A KR20190029346A KR 20190029346 A KR20190029346 A KR 20190029346A KR 1020170116767 A KR1020170116767 A KR 1020170116767A KR 20170116767 A KR20170116767 A KR 20170116767A KR 20190029346 A KR20190029346 A KR 2019002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accident
distribution system
power distribu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3596B1 (ko
Inventor
김병기
장문석
고희상
유경상
김대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5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02J2003/00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2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using renewable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는 선로, 부하, 전압 조정 및 변환 설비, 배터리-태양전지 시뮬레이터, 에너지저장시스템,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DC 배전계통인 DC 배전시스템, 배전계통을 축약한 형태로 형성되는 AC 배전계통으로서, 모의선로, 무효전력보상기기, 시험용 동조필터, DC 배전시스템이 포함하는 배터리-태양전지 시뮬레이터, 에너지저장시스템, 그리고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를 중복하여 포함하는 AC 배전시스템, 그리고 DC 배전시스템과 AC 배전시스템에 사고를 모의하여 사고발생시 DC 배전시스템과 AC 배전시스템의 설비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는 장치로서, DC 배전시스템과 AC 배전시스템에 연결되어 DC 배전시스템과 AC 배전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단락사고를 발생시키는 사고시험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결된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의 안정성 유지를 위해,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신뢰성을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및 그 방법{ACCIDENT TEST APPARATUS FOR DISTRIBUTION SYSTEM OF ELECTRIC CHARG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충전을 위한 전력설비를 포함하는 30kW급의 배전계통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전기충전을 위한 전력설비의 상태를 시험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 사고시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는 전력계통을 일정 단위로 모아 시스템을 구성하고, 소규모 시스템들을 제어함으로써 운영, 관리하는 전력계통 제어시스템이다. 이러한 마이크로그리드는 도서지역에 설치된 디젤발전기에 신재생에너지원과 에너지저장장치를 도입하여,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을 통해 전력망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수행한다. 이때, 계통부하에 각 발전원들이 전력공급을 분담하는 독립전원계통으로 구성됨으로써 디젤발전 의존도를 낮추고 또한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차세대 전력망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그리드가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용 전기충전장치와 연결될 때, 마이크로그리드 내 전력수요가 급증하여 발전설비를 증설해야 함에 따라 설비의 투자저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의 연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거나 전기충전 설비가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의 배전계통을 평가하는 시험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4472호(전력 통합 테스트 베드 시스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결된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의 안정성 유지를 위해,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는 선로, 부하, 전압 조정 및 변환 설비, 배터리-태양전지 시뮬레이터, 에너지저장시스템,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DC 배전계통인 DC 배전시스템, 배전계통을 축약한 형태로 형성되는 AC 배전계통으로서, 모의선로, 무효전력보상기기, 시험용 동조필터, 상기 DC 배전시스템이 포함하는 상기 배터리-태양전지 시뮬레이터,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 그리고 상기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를 중복하여 포함하는 AC 배전시스템, 그리고 상기 DC 배전시스템과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사고를 모의하여 사고발생시 상기 DC 배전시스템과 상기 AC 배전시스템의 설비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는 장치로서, 상기 DC 배전시스템과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DC 배전시스템과 상기 AC 배전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단락사고를 발생시키는 사고시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사고시험장치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의 규모를 갖는 계통전원인 평가대상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대상 설비의 AC 측 및 DC 측에 각각 MC(magnetic contactor)를 포함하여 상기 평가대상 설비에 단락사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고시험장치는 상기 단락사고의 규모가 상기 배전계통의 정격전원의 4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상기 평가대상 설비의 전단에 변압기 및 한류형 리액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고시험장치는 상기 DC 배전시스템 또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의 모의패턴을 시험하는 현장시험, 상기 DC 배전시스템 또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의 설비의 성능시험 또는 단락사고를 시험하는 공장시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고시험장치는, 상기 DC 배전시스템 또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의 설비에 대해 시험 요청이 발생함에 따라, 시험 요청된 설비에 대해 수행해야 하는 현장시험의 항목 또는 공장시험의 항목을 판단하여 상기 사고시험장치가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사고시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험 요청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하여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DC 배전시스템 또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포함된 설비에 대해 수행해야 하는 공장시험 또는 현장시험 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고, 발생된 상기 시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시험항목을 추출하여 상기 사고시험장치가 사고 시험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은 DC 배전시스템, AC 배전시스템, 그리고 사고시험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에서 사고시험을 수행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에 있어서, a-1) 전력변환설비에 대해 사고시험 요청에 발생함에 따라, 상기 사고시험장치에 포함된 사고시험 제어장치가 사고시험 요청된 장비가 상기 DC 배전시스템 및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포함된 에너지저장시스템인지,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a-2) 상기 a-1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장비가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용 목적이 마이크로그리드용인지 전력안정화 및 수요관리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1) 상기 a-2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용 목적이 마이크로그리드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무정전전환 속도시험, 듀티 사이클 효율시험, 충방전시험 및 응동특성시험, 동작 임계시간 시험, 고속차단기 특성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b-2) 상기 a-2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용 목적이 전력안정화 및 수요관리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LVRT 시험, 라운드-트립 및 램프-레이트 시험, 듀티 사이클 효율시험 및 충방전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a-3) 상기 a-1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에너지저장시스템이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사고시험 요청이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한 성능시험 요청인지 또는 안정성시험 요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1) 상기 a-3 단계에서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성능시험 요청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해 LVRT 시험, 효율시험, 순시전압변동 및 고조파특성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c-2) 상기 a-3 단계에서 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안정성시험 요청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해 Anti-islanding 시험 및 Multi Anti-islanding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2) 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c-3)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해 수행한 시험결과가 설정된 기준값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를 적어도 2회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1 단계, 상기 b-2 단계,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d-1)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b-1 단계, 상기 b-2 단계,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의 수행결과가 설정된 기준값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부합하는 경우 사고시험 대상 설비를 적합 판정하고, 부합하지 않는 경우 사고시험 대상 설비를 부적합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예에서, e-1) 상기 전력변환설비가 연계된 상기 DC 배전시스템 또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대해 사고시험 요청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가 상기 사고시험 요청된 시스템이 상기 DC 배전시스템인지 상기 AC 배전시스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e-2) 상기 e-1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시스템이 AC 배전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가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대해 발생한 사고시험 요청이 전력안정화에 대한 시험요청인지, 성능에 대한 시험요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f-1) 상기 e-2 단계에서 AC 배전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전력안정화에 대한 시험요청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대해 무정전전환 속도시험, 듀티 사이클, 충방전, 효율시험,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한 동작 임계시간 시험, AC 배전시스템에 대해 고속차단기 특성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f-2) 상기 e-2 단계에서 AC 배전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성능에 대한 시험요청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대해 LVRT 시험, 라운드-트립 및 램프-레이트 시험, 듀티 사이클, 충방전, 효율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e-3) 상기 e-1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시스템이 DC 배전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가 상기 DC 배전시스템에 대해 발생한 사고시험 요청이 전력품질 및 효율에 대한 성능평가 시험인지, 과도평가 시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g-1) 상기 e-3 단계에서 DC 배전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전력품질 및 효율에 대한 성능평가 시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DC 배전시스템에 대해 DC 차단 특성시험, 전압변동특성, 효율시험, DC 고조파 특성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g-2) 상기 e-3 단계에서 DC 배전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과도평가 시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DC 배전시스템에 대해 Anti-islanding 시험, Multi Anti-islanding 시험, 3-위상 결합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는 분산전원계통에 연계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운용 상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현장시험 및 공장시험을 수행하여,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계된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상에서, 배전시스템과 배전계통은 전력설비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동일한 용어로서, 혼용 기재될 수 있으며 해당 용어의 혼용 기재로 인해 본 명세서 상의 기술내용이 오해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1)는 DC 배전시스템(10), AC 배전시스템(20) 및 사고시험장치(30)를 포함한다. DC 배전시스템(10)은 DC 전력설비로 구성되는 배전계통으로서, 선로, 부하, 전압 조정 및 변환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C 배전시스템(10)은 DC 선로를 모의한 선로저항(11), 30kW 급의 DC 부하(12; 12a, 12b),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전력변환시키는 전력변환설비인 AC/DC 변환장치(13a, 13b), DC 전압 조정을 위한 DC/DC 컨버터(14a, 14b), 과도특성에 대한 분석과 마이크로그리드 시험의 수행을 위해 AC/DC 변환장치(13a, 13b, 13c)의 전단에 설치되어 AC 선로를 변경할 수 있는 선로임피던스(15)를 포함한다.
AC/DC 변환장치(13b)는 태양전지(PV, photovoltaic)(17)에 연결되어 변환된 DC 전원을 PV(17)에 전달하는 AC/DC 변환장치(13b)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18)에 연결되어 변환된 DC 전원을 에너지저장시스템(18)에 전달하는 AC/DC 변환장치(13c)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14a, 14b)는 DC측의 전압을 200V~1000V까지 변환시키는 구성으로서, DC 부하(12)의 전단에 형성되는 DC/DC 컨버터(14a), 그리고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16)의 전단에 형성되는 DC/DC 컨버터(14b)를 포함한다.
DC 배전시스템(10)은 DC/DC 컨버터(14b)와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16)의 사이에 계통 연계형 전력변환시스템(PCS, power conversion system)(19)을 포함한다.
AC 배전시스템(20)은 AC 전력설비로 구성되는 배전계통으로서, 10MW급의 배전계통을 1/300으로 축약한 형태로 구성되며, 정상상태 및 전력품질 특성을 해석 및 평가하기 위해 모의선로, SVC, 시험용 동조필터, Battery-PV 시뮬레이터를 포함한다.
AC 배전시스템(20)은 선로를 40km 긍장의 AC 선로를 모의하는 선로임피던스(21)를 포함하고, 정임피던스(CZ, Constant Zeta), 정전류(CI, Constant Intensity) 및 정전력(CP, Constant Power) 특성을 가지는 부하(22;22a, 22b, 22c)를 포함한다. 부하(22)는 30kVA까지 운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C 배전시스템(20)은 수용가 부하의 무효전력보상기기인 SVC(static var compensator)(23), 시험용 동조필터(24)를 포함한다. SVC(23)는 30kVA급 ZIP모델의 수용가 부하에 대한 무효전력보상을 수행할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AC 배전시스템(20)은 DC 배전시스템(10)에 포함된 태양전지(17), 에너지저장시스템(18), AC/DC 변환장치(13b, 13c),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16)를 AC 배전시스템(20)의 구성요소로서 중복하여 포함하고, 이때, 에너지저장시스템(ESS, 18)과 AC/DC 변환장치(13c)가 연결된 부분은 사고시험장치(30)가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시험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이때, 태양전지(17)와 AC/DC 변환장치(13b)가 연결된 부분은 사고시험장치(30)가 태양전지를 시험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에너지저장시스템(18)과 AC/DC 변환장치(13c)가 연결된 부분, 그리고 태양전지(17)와 AC/DC 변환장치(13b)가 연결된 부분은 사고시험장치(30)가 에너지저장시스템(18) 및 태양전지(17)에 대한 시험이 가능하도록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고 AC 전원을 다시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백투백(back-to-back) 원리를 적용한 배터리-태양전지 시뮬레이터로서 구성할 수 있다. 자세한 예에서, 배터리-태양전지 시뮬레이터는 에너지저장시스템(18)과 AC/DC 변환장치(13c), 태양전지(17)와 AC/DC 변환장치(13b)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 배전시스템(20)은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16)에 연계되는 전력계통의 전력품질(PQ; power quality) 특성에 따라,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16)에 연계 가능한 전력설비의 용량 및 안정적인 운용방안을 제시하는 Grid 시뮬레이터(25)를 포함한다. Grid 시뮬레이터(25)는 기존 배전시스템(2)에 연결된다.
Grid 시뮬레이터(25)는 전력계통의 특성을 모사하는 시스템으로서,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16)를 포함한 전력변환장치에 전력품질과 관련된 다양한 외란을 주어, 시험대상 품목의 특성을 분석한다. 또한,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16)에 대한 시험결과를 출력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시험대상 품목의 특성 분석결과를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함으로써, 시험결과 및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16)에 연계 가능한 전력설비의 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AC 배전시스템(20)은 선로임피던스(21)에 연결되는 CZ 부하(26)를 포함하고, 위에서 이미 설명한 CZ 부하(22a)를 선로임피던스(21)의 말단에 연결하여 포함한다.
AC 배전시스템(20)은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16)을 모의한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를 모의한 모의저항(16a)을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16)의 후단에 포함한다.
사고시험장치(30)는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에 사고를 모의하여 사고시 설비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는 장치로서, 30kW급 규모의 계통전원인 평가대상 설비(31)를 포함하고, 평가대상 설비(31)의 AC 측에 형성된 MC(magnetic contactor)(3a)와 DC 측에 형성된 MC(3b)를 포함하여 평가대상 설비(31)에 단락사고를 발생시킨다.
사고시험장치(30)는 변압기(32), 한류형 리액터(33)를 평가대상 설비(31)의 전단에 포함하여, 단락사고의 규모가 배전계통의 정격전원의 4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변압기(32)는 평가대상 설비(31)가 AC 배전시스템(20)의 전원의 30%에 해당하는 크기의 임피던스를 갖도록, 계통전원을 변환하고, 사고시험장치(30)는 변압기(32)의 일차측에 과전류 계전기(OCR;over current relay) 및 지락 과전류 계전기(OCGR;over current ground relay)를 포함하는 ACB(air circuit breaker)(34)를 포함한다.
이때, 사고시험장치(30)는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에 포함된 모의 부하 또는 전력변환기기를 현장시험(SAT;site acceptance test) 수행 또는 공장시험(FAT;factory acceptance test)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 예에서, 사고시험장치(30)가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을 수행하는 전력변환기기는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16) 또는 계통 연계형 전력변환시스템(19)를 포함한다.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1)가 10mW의 배전계통을 30kW급으로 모의한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을 포함하고, DC 배전시스템(10) 또는 AC 배전시스템(20)은 실제 부하(ZIP 모델)의 패턴 또는 마이크로그리드 내 전력소비(전력소매업자, RES; retail electricity supplier)의 패턴을 모의한 모의 패턴을 포함하며, 사고시험장치(30)는 모의 패턴에 대해 현장시험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고시험장치(30)는 DC 배전시스템(10) 또는 AC 배전시스템(20)에 포함된 전력변환기기의 일반적인 성능 및 단락사고를 시험하는 공장시험을 수행하는데, 공장시험 항목으로서, 듀티 사이클(duty cycle) 또는 설비의 용량시험과 같이 시험에 최소 3시간 이상의 장시간이 소요되는 시험을 포함한다.
사고시험장치(30)가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에 대해 현장시험 및 공장시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음의 표 1의 시험평가 항목에 따라 구분하여 현장시험 및 공장시험을 수행한다.
[표 1]
Figure pat00001
위의 표 1와 같이, 사고시험장치(30)는 배전계통을 모사하는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의 성능 시험을 위해 DC 배전시스템(10)과 AC 배전시스템(20) 중 적어도 어느 한 시스템에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을 수행하고,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의 안전성 시험을 위해 DC 배전시스템(10)과 AC 배전시스템(20) 중 적어도 어느 한 시스템에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을 수행한다.
사고시험장치(30)는 실계통을 모의한 배전계통인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에 형성된 모의 부하,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등을 시험하고, 계통에 구성되는 설비 등에 대한 특성 및 품질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실계통을 모의한 배전계통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사고시험장치(30)는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를 포함하여 시험대상 설비에 대해 수행해야 하는 시험항목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사고시험장치(30)가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의 설비에 대해 수행해야 하는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의 평가항목을 자동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평가항목을 사고시험장치(30)로 전달하여, 사고시험장치(30)가 설비에 대해 해당 평가항목으로 시험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의 특정 설비에 대한 사고시험을 요청하는 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구동되고, 발생된 사고시험 요청신호에 포함된 특정 설비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는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 항목을 추출한다. 한 예에서,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의 특정 설비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발생된 사고시험 요청에 따라 특정 설비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미 설정된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 항목을 위의 표 1을 참고로 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 항목을 판단결과로서 생성하여 생성된 판단결과를 사고시험장치(30)로 전달한다.
한 예에서,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위의 표 1의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거나, 표 1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로서 포함하는 외부의 저장장치,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에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하는 구조를 갖는 처리장치일 수 있다.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전력변환설비에 대해 사고시험 요청이 발생한 경우, 도 3의 흐름에 따라 사고시험 요청된 설비에 대해 사고시험장치(30)가 수행해야 할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 항목을 추출할 수 있고, 또는 전력변환설비가 연계된 DC 배전시스템(10) 또는 AC 배전시스템(20)에 대해 사고시험 요청이 발생한 경우, 도 4의 흐름에 따라 사고시험 요청된 설비에 대해 사고시험장치(30)가 수행해야 할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로 하는 전력변환설비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에 따른 사고시험에 있어서, 먼저,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사고시험 요청된 설비가 에너지저장시스템인지,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인지를 판단(Q1)한다.
위의 판단단계(Q1)의 판단결과 사고시험 요청된 설비가 에너지저장시스템(18)인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사고시험 요청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용 목적을 판단(Q2)한다. 한 예에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용 목적이 마이크로그리드용인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30)는 사고시험장치(30)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무정전, 용량, 효율, 응동특성(응답동작특성)의 평가항목에 대해 사고시험을 수행하도록 하는 판단결과를 생성하여 사고시험장치(30)로 전달한다.
이때, 사고시험 제어장치(30)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수행되어야 할 시험항목으로서 무정전 평가항목을 추출하여, 이를 판단결과로서 사고시험장치(30)에 전달하는 경우, 사고시험장치(30)는 안전성 시험을 위해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비상전원의 무정전전환 속도시험을 AC 전원을 대상으로 현장시험 및 공장시험 수행(S11)하게 된다.
그리고, 사고시험 제어장치(30)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수행되어야 할 시험항목으로서 용량 평가항목, 효율 평가항목 및 응동특성 평가항목을 추출하고, 이를 판단결과로서 사고시험장치(30)에 전달하는 경우, 사고시험장치(30)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부하 용량시험, 듀티 사이클 효율시험, 충방전시험 및 응동특성 시험을 DC 전원 및 AC 전원을 대상으로 현장시험 및 공장시험 수행(S12)하게 된다.
사고시험장치(30)는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시점부터 실제 출력이 나오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응답동작특성을 시험한다.
또한,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동작 임계시간 시험 및 고속도차단기(STS) 특성 시험을 수행하도록 사고시험장치(30)를 제어하여, 사고시험장치(30)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동작 임계시간 시험을 수행(S13)하고 고속차단기(STS;static transfer switch) 특성 시험을 수행(S14)한다.
그러나, 사고시험 제어장치(310)가 에너지저장시스템(18)의 사용 목적을 판단하는 단계(Q2)에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용 목적이 전력안정화(stabilizer)용 및 수요관리(demand management)용인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30)는 사고시험장치(30)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표 1에 제시된 모든 성능시험 및 안전성시험 평가항목을 수행하도록 하는 판단결과를 생성하여 사고시험장치(30)로 전달한다.
이때, 사고시험장치(30)는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LVRT 시험을 수행(S21)하고, 라운드-트립(round-trip) 및 램프-레이트(ramp-rate)시험을 수행(S22)하고, 듀티 사이클 효율시험 및 충방전시험을 수행(S23)한다.
그리고, 사고시험 제어장치(310)가 사고시험 요청된 설비를 판단하는 단계(Q1)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설비가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인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30)는 사고시험장치(30)가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해 전력 품질평가 및 효율평가의 성능시험과, 표 1에 제시된 모든 안전성시험 평가항목을 수행하도록 하는 판단결과를 생성하여 사고시험장치(30)로 전달한다.
이때,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해 성능시험을 수행할지 안정성시험을 수행할지를 판단(Q3)하고, 사고시험장치(30)가 성능시험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한 성능시험으로서 LVRT 시험을 수행(S31)하고, 효율시험을 수행(S32)한 다음, 순시전압변동 및 고조파특성 시험을 수행(S33)하도록 사고시험장치(30)를 제어한다.
위의 판단단계(Q3)에서 사고시험장치(30)가 안정성시험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해 안전성시험으로서 Anti-islanding 시험을 수행(S41)한 다음, Multi Anti-islanding 시험을 수행(S42)하도록 사고시험장치(30)를 제어한다.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사고시험장치(30)가 설비에 대해 설정된 사고시험을 수행하도록 판단결과를 생성하여 사고시험장치(30)로 제공한 이후, 사고시험장치(30)의 사고시험 수행결과를 사고시험장치(30)로부터 전달받아 사고시험 수행완료 여부를 판단하거나 사고시험 수행결과 관련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사고시험장치(30)로부터 사고시험 수행완료 관련 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사고시험 수행결과 관련 데이터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사고시험이 수행 완료된 설비의 적합성을 판단한다. 이때, 설비의 적합성 판단 비교에 이용되는 기준값은 사고시험 제어장치(310)가 메모리에 포함하거나 사고시험 제어장치(310)가 외부의 저장장치,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에 접속하여 제공받은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사고시험 제어장치(310)가 사고시험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해 수행한 사고시험 수행결과 관련 데이터 중 안전성 시험결과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Q31)한 결과, 사고시험 수행결과가 설정된 기준값에 미달인 경우, 미달로 판정된 해당 안전성 시험을 적어도 2회 반복하여 수행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안전성 시험결과가 기준값에 미달된 시험항목에 대해 안전성 시험을 3회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사고시험장치(30)를 제어(S43, Q32)한다.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안전성 시험결과가 0.16초 이내에 계통이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Q31)하는 형태로 안정성 시험결과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최초 안전성 시험결과 또는 안전성 시험을 3회 수행한 결과가 설정된 기준값에 적합한지를 판단(Q31)하여 설정된 기준값 부합되는 경우,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S52)하고, 안전성 시험을 3회 수행한 이후에도 안전성 시험결과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Q33)한 결과 설정된 기준값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S51)한다.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사고시험장치(30)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수행한 사고시험결과 또는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성능시험결과가 각 시험항목들에서 이미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Q21)하고, 모든 시험항목에 대한 기준값을 만족하는 경우 에너지저장시스템 또는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S52)한다. 그러나 이때, 모든 시험항목에 대한 기준값을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에너지저장시스템 또는 전기자동차(EV)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S51)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로 하여 전력변환설비가 연계된 DC 배전시스템(10) 또는 AC 배전시스템(20)에 대해 사고시험 요청이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면, 먼저,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사고시험 요청이 발생된 시스템이 DC 배전시스템(10)인지 또는 AC 배전시스템(20)인지를 판단(Q11)하고, 사고시험 요청이 발생된 시스템이 AC 배전시스템(20)인 경우, 사고시험 요청이 전력안정화에 대한 시험 요청인지 또는 성능에 대한 시험 요청인지를 판단(Q21)하여, 전력안정화에 대한 시험 요청인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AC 배전시스템(20)에 대해 무정전전환 속도시험을 수행(S110)하고, 듀티 사이클, 충방전, 효율시험을 수행(S120)하고, AC 배전시스템(20)의 동작 임계시간을 시험을 수행(S130) 하고, AC 배전시스템(20)에 대해 고속차단기 특성 시험을 수행(S140)하도록 사고시험장치(30)를 제어한다.
이때, AC 배전시스템(20)에 대해 발생된 사고시험 요청의 유형을 판단(Q21)함에 있어서, 사고시험 요청이 성능에 대한 시험 요청인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AC 배전시스템(20)에 대해 LVRT 시험을 수행(S210)하고, 라운드-트립, 램프-레이트 시험을 수행(S220)하고, 듀티 사이클, 충방전, 효율시험을 수행(S230)하도록 사고시험장치(30)를 제어한다.
그러나, 발생된 사고시험 요청이 어느 배전시스템에서 발생하였는지를 판단(Q11)하는 위의 과정에서, 사고시험 요청이 발생된 시스템이 DC 배전시스템(10)인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사고시험 요청이 전력품질 및 효율에 대한 성능평가에 대한 시험요청인지 또는 과도평가에 대한 시험요청인지를 판단(Q31)한다. 이때, 발생된 사고시험 요청 신호가 DC 배전시스템(10)의 전력품질 및 효율에 대한 성능평가에 대한 시험요청인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DC 배전시스템(10)에 대해 DC 차단 특성시험을 수행(S310)하고, 전압변동특성 시험을 수행(S320)하고, 효율시험을 수행(S330)하고, DC 고조파 특성 시험을 수행(S340)하도록 사고시험장치(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때, DC 배전시스템(10)에 발생된 사고시험 요청이 과도평가에 대한 시험요청인 경우,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DC 배전시스템(10)에 대해 Anti-islanding 시험을 수행(S410)하고 Multi Anti-islanding 시험을 수행(S420)하고, 3-위상 결함(3 phase fault)시험을 수행(S430)한다.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사고시험장치(30)가 AC 배전시스템(20) 및 DC 배전시스템(10)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도록 제어한 후에, 사고시험결과가 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더 수행할 수 있고, 시험결과를 저장하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추가적으로 더 수행할 수 있다.
사고시험 제어장치(310)는 사고시험 요청에 따라,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의 시험하도록 사고시험장치(30)가 제어하고, 배전시스템의 시험결과를 저장하거나 연결된 저장장치, 데이터베이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이를 저장함으로써 DC 배전시스템(10) 및 AC 배전시스템(20)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전시스템의 표준화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10 : DC 배전시스템 20 : AC 배전시스템
30 : 사고시험장치 310 : 사고시험 제어장치

Claims (11)

  1. 선로, 부하, 전압 조정 및 변환 설비, 배터리-태양전지 시뮬레이터, 에너지저장시스템,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DC 배전계통인 DC 배전시스템,
    배전계통을 축약한 형태로 형성되는 AC 배전계통으로서, 모의선로, 무효전력보상기기, 시험용 동조필터, 상기 DC 배전시스템이 포함하는 상기 배터리-태양전지 시뮬레이터,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 그리고 상기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를 중복하여 포함하는 AC 배전시스템, 그리고
    상기 DC 배전시스템과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사고를 모의하여 사고발생시 상기 DC 배전시스템과 상기 AC 배전시스템의 설비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는 장치로서, 상기 DC 배전시스템과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DC 배전시스템과 상기 AC 배전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단락사고를 발생시키는 사고시험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시험장치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의 규모를 갖는 계통전원인 평가대상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대상 설비의 AC 측 및 DC 측에 각각 MC(magnetic contactor)를 포함하여 상기 평가대상 설비에 단락사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시험장치는 상기 단락사고의 규모가 상기 배전계통의 정격전원의 4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상기 평가대상 설비의 전단에 변압기 및 한류형 리액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시험장치는 상기 DC 배전시스템 또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의 모의패턴을 시험하는 현장시험, 상기 DC 배전시스템 또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의 설비의 성능시험 또는 단락사고를 시험하는 공장시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시험장치는, 상기 DC 배전시스템 또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의 설비에 대해 시험 요청이 발생함에 따라, 시험 요청된 설비에 대해 수행해야 하는 현장시험의 항목 또는 공장시험의 항목을 판단하여 상기 사고시험장치가 현장시험 또는 공장시험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사고시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요청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하여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DC 배전시스템 또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포함된 설비에 대해 수행해야 하는 공장시험 또는 현장시험 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고, 발생된 상기 시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시험항목을 추출하여 상기 사고시험장치가 사고 시험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8. DC 배전시스템, AC 배전시스템, 그리고 사고시험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에서 사고시험을 수행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에 있어서,
    a-1) 전력변환설비에 대해 사고시험 요청에 발생함에 따라, 상기 사고시험장치에 포함된 사고시험 제어장치가 사고시험 요청된 장비가 상기 DC 배전시스템 및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포함된 에너지저장시스템인지,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a-2) 상기 a-1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장비가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용 목적이 마이크로그리드용인지 전력안정화 및 수요관리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1) 상기 a-2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용 목적이 마이크로그리드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무정전전환 속도시험, 듀티 사이클 효율시험, 충방전시험 및 응동특성시험, 동작 임계시간 시험, 고속차단기 특성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b-2) 상기 a-2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사용 목적이 전력안정화 및 수요관리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해 LVRT 시험, 라운드-트립 및 램프-레이트 시험, 듀티 사이클 효율시험 및 충방전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a-3) 상기 a-1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에너지저장시스템이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사고시험 요청이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한 성능시험 요청인지 또는 안정성시험 요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1) 상기 a-3 단계에서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성능시험 요청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해 LVRT 시험, 효율시험, 순시전압변동 및 고조파특성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c-2) 상기 a-3 단계에서 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안정성시험 요청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해 Anti-islanding 시험 및 Multi Anti-islanding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c-3)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장치 또는 태양전지 시스템에 대해 수행한 시험결과가 설정된 기준값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를 적어도 2회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 상기 b-2 단계,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d-1)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b-1 단계, 상기 b-2 단계,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의 수행결과가 설정된 기준값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부합하는 경우 사고시험 대상 설비를 적합 판정하고, 부합하지 않는 경우 사고시험 대상 설비를 부적합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e-1) 상기 전력변환설비가 연계된 상기 DC 배전시스템 또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대해 사고시험 요청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가 상기 사고시험 요청된 시스템이 상기 DC 배전시스템인지 상기 AC 배전시스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e-2) 상기 e-1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시스템이 AC 배전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가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대해 발생한 사고시험 요청이 전력안정화에 대한 시험요청인지, 성능에 대한 시험요청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f-1) 상기 e-2 단계에서 AC 배전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전력안정화에 대한 시험요청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대해 무정전전환 속도시험, 듀티 사이클, 충방전, 효율시험,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한 동작 임계시간 시험, AC 배전시스템에 대해 고속차단기 특성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f-2) 상기 e-2 단계에서 AC 배전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성능에 대한 시험요청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AC 배전시스템에 대해 LVRT 시험, 라운드-트립 및 램프-레이트 시험, 듀티 사이클, 충방전, 효율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e-3) 상기 e-1 단계에서 사고시험 요청된 시스템이 DC 배전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가 상기 DC 배전시스템에 대해 발생한 사고시험 요청이 전력품질 및 효율에 대한 성능평가 시험인지, 과도평가 시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g-1) 상기 e-3 단계에서 DC 배전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전력품질 및 효율에 대한 성능평가 시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DC 배전시스템에 대해 DC 차단 특성시험, 전압변동특성, 효율시험, DC 고조파 특성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g-2) 상기 e-3 단계에서 DC 배전시스템에 대한 사고시험 요청이 과도평가 시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고시험 제어장치는 상기 DC 배전시스템에 대해 Anti-islanding 시험, Multi Anti-islanding 시험, 3-위상 결합 시험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고시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방법.
KR1020170116767A 2017-09-12 2017-09-12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10203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67A KR102033596B1 (ko) 2017-09-12 2017-09-12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67A KR102033596B1 (ko) 2017-09-12 2017-09-12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346A true KR20190029346A (ko) 2019-03-20
KR102033596B1 KR102033596B1 (ko) 2019-10-18

Family

ID=6603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767A KR102033596B1 (ko) 2017-09-12 2017-09-12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5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9897A (zh) * 2020-04-15 2020-08-25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用于全直流楼宇配用电系统性能评价的实验平台
KR20210071142A (ko) * 2019-12-05 2021-06-16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현장평가 시험장치 및 방법
KR20230100989A (ko) * 2021-12-29 2023-07-06 (주)파워닉스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21145B1 (en) 2020-10-12 2024-03-0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Electrical emulato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72B1 (ko) 2010-07-02 2011-10-17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통합 테스트 베드 시스템
KR101546715B1 (ko) * 2014-07-03 2015-08-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인버터 단락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1768169B1 (ko) * 2017-02-03 2017-08-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마이크로그리드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72B1 (ko) 2010-07-02 2011-10-17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통합 테스트 베드 시스템
KR101546715B1 (ko) * 2014-07-03 2015-08-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인버터 단락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1768169B1 (ko) * 2017-02-03 2017-08-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마이크로그리드 시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142A (ko) * 2019-12-05 2021-06-16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현장평가 시험장치 및 방법
CN111579897A (zh) * 2020-04-15 2020-08-25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用于全直流楼宇配用电系统性能评价的实验平台
CN111579897B (zh) * 2020-04-15 2022-09-02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用于全直流楼宇配用电系统性能评价的实验平台
US11921145B1 (en) 2020-10-12 2024-03-0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Electrical emulator system
KR20230100989A (ko) * 2021-12-29 2023-07-06 (주)파워닉스 자계 제어 방식의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596B1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imi et al. A new centralized adaptive underfrequency load shedding controller for microgrids based on a distribution state estimator
Verbic et al. A new concept of voltage-collapse protection based on local phasors
Xie et al. Identifying the source of subsynchronous control interaction via wide-area monitoring of sub/super-synchronous power flows
Baran et al. Fault analysis on distribution feeders with distributed generators
Freitas et al.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ROCOF and vector surge relays for distributed generation applications
Zeineldin et al. A simple technique for islanding detection with negligible nondetection zone
KR102033596B1 (ko) 전기충전 배전계통의 사고시험장치 및 그 방법
Kennedy et al. Intelligent load management in microgrids
Hudson et al. Implementation and testing of anti-islanding algorithms for IEEE 929-2000 compliance of single phase photovoltaic inverters
Tephiruk et al. Modeling of rate of change of under frequency relay for microgrid protection
Zhu et al. Impact of energy storage system response speed on enhanced frequency response services
Ahmad et al. Distributed photovoltaic inverters’ response to voltage phase-angle jump
KR101768169B1 (ko) 마이크로그리드 시험장치
Thakar et al. The impact of detailed distribution system representation in dynamic sub-transmission-distribution co-simulation
Shun et al. Influence of VSC HVDC on transient stability: Case study of the Belgian grid
Glassmire et al. Using Virtual Synchronous Generators to Resolve Microgrid Protection Challenges
Mahindara et al. Protection coordination challenges for microgrid distribution network with high penetration inverter-based resources
Ghosh et al. Investigation of transient stability of a power network with solar-PV generation: Impact of loading level & control strategy
Bravo et al. Solar photovoltaic inverters transient over-voltages
Van Thong et al. Maximum penetration level of distributed generation with safety criteria
Doumbia et al. Islanding protection evaluation of inverter-based grid-connected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
Nam et al. Establishment of a pilot plant for KERI microgrid system based on power IT development program in Korea
Smith et al. Analysis to inform CA grid integration rules for PV: Final report on inverter settings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performance
Khan et al. Fault current level analysis of future microgrids with high penetration level of power electronic-based generation
Hawas et al. Simulation and analysis of the distributed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s based on DIgSILENT power fac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