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151A -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 Google Patents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151A
KR20190029151A KR1020170116353A KR20170116353A KR20190029151A KR 20190029151 A KR20190029151 A KR 20190029151A KR 1020170116353 A KR1020170116353 A KR 1020170116353A KR 20170116353 A KR20170116353 A KR 20170116353A KR 20190029151 A KR20190029151 A KR 20190029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speed
bicycle
carriage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113B1 (ko
Inventor
함형석
조주영
Original Assignee
함형석
조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형석, 조주영 filed Critical 함형석
Priority to KR102017011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1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자전거 페달을 밟아 회전시키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의 실제 운동속도와 미리 설정한 운동속도를 비교하여 실내 자전거 운동부가 전후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운동시 목표 달성률을 높일 수 높일 수 있고 흥미를 느끼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페달을 회전시키면서 운동하는 자전거 운동부와; 내부에 볼 스크류 장치가 구비되고 상부에 자전거 운동부가 연결되며 스크류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되는 캐리지 블록과; 스크류 레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페달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페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스크류 레일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캐리지 블록이 전후 이동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Saddle Movable Indoor Bicycle Exercise Device }
본 발명은 실내에서 자전거 페달을 밟아 회전시키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실제 운동속도와 미리 설정한 운동속도를 비교하여 실내 자전거 운동부, 특히 안장이 전·후 이동토록 함으로써 운동시 목표 달성률을 높일 수 있고 흥미를 느끼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페달을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킴으로써 목적지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 자전거는 도로나 공원, 산길(임도) 등에서 타는 용도로 사용되며, 실내 운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헬스용 자전거, 다시 말해서 실내 자전거 운동기가 사용되고 있다.
실내 자전거 운동기는 이용자가 설정한 부하 조건하에서 속도계 등을 참고하면서 자신이 생각하는 운동 속도에 맞추어서 운동하게 된다.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서는 이용자의 운동 속도가 이용자가 생각하는 운동 속도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하여도 운동을 계속 진행하는 데 있어서 무리가 없다.
종래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서는 부하 조건만 설정 가능하고 운동 속도에 대한 설정 및 피드백은 불가능하다. 가령, 운동 속도가 스스로 정한 운동 속도, 또는 운동 속도의 범위에서 벗어난다고 해도 속도계를 계속 보면서 스스로 속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등의 방법으로 운동 속도를 맞추어야 하며, 실내 자전거 운동기로부터 자동화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이에 따라 반복되는 운동 일정에서 일관성 있는 운동 강도 및 운동량을 얻기 위해서는 오직 이용자의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의지에만 기대야 하므로, 일관성 있는 운동 강도 및 운동량의 설정과 유지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종래의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서는 목표의 설정과 일관성있는 목표 달성을 위한 피드백이 어렵다.
특히, 운동 부하 검사 또는 재활 운동 분야에 실내 자전거 운동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현저하다.
운동 부하 검사란 안정 상태에서는 얻을 수 없는 심혈관계 정보를 운동을 통하여 심장 관련 질환을 발견하고 최대와 최대하 운동수행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검사로서 크게 트레드밀(treadmill)과 실내 자전거(bike)를 이용하여 평가한다. 자전거를 이용할 경우, 프로토콜마다 설정된 시간에 따라 부하는 올라가게 되지만 회전수(운동 속도)는 각 프로토콜마다 설정된 특정 회전수(대부분 50 ~ 70 RPM)를 유지하도록 요구한다. 그런데 실내 자전거에서는 이러한 특정 회전수의 유지를 위한 피드백 메커니즘이 미약하므로, 정해진 회전수를 정확하게 맞추어서 검사를 시행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검사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재활 운동에서는 정해진 운동 강도로 운동을 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부하 조건의 설정과 유지는 가능하지만 운동 속도(회전수)의 정확한 관리 및 유지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KR 10-2014-0024581 A KR 10-2014-0122451 A KR 10-2015-0090553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관성 있는 운동 강도 및 운동량의 설정과 유지가 가능한 실내 자전거 운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한 운동 부하 검사 등이 가능한 실내 자전거 운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페달을 회전시키면서 운동하는 자전거 운동부와; 내부에 볼 스크류 장치가 구비되고 상부에 자전거 운동부가 연결되어 스크류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되는 캐리지 블록과; 스크류 레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페달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페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스크류 레일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캐리지 블록이 전후 이동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는, 페달과 안장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부의 본체와; 자전거 운동부의 손잡이와 본체를 연결하는 프레임 부재와;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레일이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스크류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되도록 내부에 볼 스크류 장치가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본체가 연결되는 캐리지 블록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레일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모터 커버로 이루어진 모터 박스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운동속도를 설정함과 아울러 현재 운동속도가 표시되도록 하고 실제 운동속도와 설정 운동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 박스의 모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일부가 개방된 바디 및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페달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과, 부하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 또는 종동 스프로킷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 연결된 안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장높이 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장높이 조절부는 안장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장 프레임과, 상기 안장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승강축이 연결되어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는 스크류 레일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캐리지 블록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와, 길이 방향 양단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베이스 부재의 균형을 유지하고 중간 부분에 상기 스크류 레일과 가이드 바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균형유지용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는 일정 길이의 하판과, 내부에 상기 스크류 레일과 가이드 바가 설치되도록 상기 하판의 폭 방향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균형유지용 받침대가 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하판의 길이 방향 양 끝단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스크류 레일과 가이드 바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마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캐리지 블록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복수의 리미트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 센서는 캐리지 블록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리미트 센서와 캐리지 블록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자전거 운동기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동속도의 설정을 위한 설정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홀 센서를 통해 운동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는 모터제어부와, 설정된 운동속도와 실제 운동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설정부의 정보와 속도감지부의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모터제어부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에 운동정보가 나타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는 설정된 운동 속도의 미달 또는 초과시 즉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되고 이러한 피드백을 이용자가 쉽게 체감할 수 있으므로, 운동 속도의 설정 및 유지가 용이하며 일관성 있는 운동 강도의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는 운동 속도 등의 운동 목표를 설정한 후 페달을 회전시켜 운동할 때 실제 운동 속도가 설정된 운동속도보다 작으면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페널티를 피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최선을 다해 운동하게 되므로 운동 목표에 대한 달성률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따르면, 운동 속도에 따라 자전거 운동부가 전후로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흥미를 느끼면서 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경고음이나 격려음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더 많은 힘을 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는 설정된 운동 속도의 미달 또는 초과시 즉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되고 이러한 피드백을 이용자가 쉽게 체감하고 이용자의 대응을 강제하게 되므로, 운동부하검사 또는 재활 운동 등에 있어서 신뢰도 및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자전거 운동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베이스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는, 페달을 회전시키면서 운동하는 자전거 운동부와; 내부에 볼 스크류 장치가 구비되고 상부에 자전거 운동부가 연결되어 스크류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되는 캐리지 블록과; 스크류 레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자전거 운동부에 구비되어 페달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페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스크류 레일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캐리지 블록이 전후 이동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전거 운동기의 페달을 회전시켜 운동할 때, 미리 설정된 페달의 회전속도와 실제 회전속도를 비교한 후, 실제 회전속도가 설정된 회전속도보다 느릴 경우 모터에 의해 캐리지 블록이 후퇴하여 자전거 운동부가 뒤로 밀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뒤로 밀리지 않도록 페달을 더욱 빠르게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운동 목표를 달성하기가 쉬워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1)과 안장(15)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부의 본체(10)와; 자전거 운동부의 손잡이(12)와 본체(10)를 연결하는 프레임 부재(13)와;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레일(21)이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20)와; 상기 스크류 레일(21)을 따라 전후 이동되도록 내부에 볼 스크류 장치가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본체(10)가 연결되는 캐리지 블록(25)과;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레일(21)을 회전시키는 모터(31) 및 모터 커버(32)로 이루어진 모터 박스(30)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운동속도를 설정함과 아울러 현재 운동속도가 표시되도록 하고 실제 운동속도와 설정 운동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 박스(30)의 모터(31)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전거 운동부는 자전거 운동을 실행하는 부분으로서 캐리지 블록(25)에 직간접으로 결합되어 캐리지 블록(25)과 함께 전후 이동될 수 있으며, 본체(10), 페달(11), 안장(15), 손잡이(12)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바디(10a) 및 커버(10b)와, 상기 바디(10a)의 내측에 배치되고 페달(1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10c)과, 종래 자전거 운동기와 같이 운동 부하를 부여하는 부하장치(구체적인 사항은 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10c)에 체인(10e)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종동 스프로킷(10d)과, 페달(11), 크랭크 아암, 구동 스프로킷(10c) 또는 종동 스프로킷(10d)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자석 및 홀 센서(18)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종동 스프로킷(10d)에 구비된 부하장치를 이용하여 운동 부하를 조정할 수 있고, 상기 홀 센서(18)를 이용하여 페달(11), 크랭크 아암, 구동 스프로킷(10c) 또는 종동 스프로킷(10d)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운동속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안장(1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장높이 조절부(16)가 구비되고, 상기 안장높이 조절부(16)는 안장(15)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부재(16a)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16a)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장 프레임(16b)과, 상기 안장 프레임(16b)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6a)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16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2)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손잡이(12)의 하부에 승강축(14)이 연결되어 프레임(13)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장(15)과 손잡이(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캐리지 블록(25)은 스크류 레일(21)의 나선 형상에 대응하는 너트 및 볼을 구비하고 스크류 레일(21)의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한다. 모터(31)와 스크류 레일(21)의 사이에는 커플링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0)는 스크류 레일(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캐리지 블록(25)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22)와, 길이 방향 양단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베이스 부재(20)의 균형을 유지하고 중간 부분에 상기 스크류 레일(21)과 가이드 바(22)가 삽입되는 구멍(23')이 형성된 한 쌍의 균형유지용 받침대(2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바(22)가 캐리지 블록(25)의 이동을 안내함에 따라 캐리지 블록(25)에 연결된 자전거 운동부가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한 쌍의 균형유지용 받침대(23)가 설치됨에 따라 자전거 운동부가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20)는 일정 길이의 하판(20a)과, 내부에 상기 스크류 레일(21)과 가이드 바(22)가 설치되도록 상기 하판(20a)의 폭 방향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균형유지용 받침대(23)가 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20b)과, 상기 하판(20a)의 길이 방향 양 끝단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마감판(20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 레일(21)은 마감판(20c) 또는 균형 유지용 받침대(2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베어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캐리지 블록(25)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복수의 리미트 센서(24)가 설치되고, 리미트 센서(24)는 접촉식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자석 및 홀센서 등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리미트 센서(24)는 캐리지 블록(25)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리미트 센서(24a)와 캐리지 블록(25)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 리미트 센서(24b)와, 상기 캐리지 블록(25)의 시작점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후방 스타트포지션 센서(24c) 및/또는 전방 스타트포지션 센서(24d)를 포함한다. 따라서, 초기에는 상기 캐리지 블록(25)이 후방 스타트포지션 센서(24c) 및 전방 스타트포지션 센서(24d)에 의해 베이스 부재(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리지 블록(25)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리미트 센서(24a) 또는 후방 리미트 센서(24b)에 감지되는 경우 모터(31)가 정지함으로써 상기 캐리지 블록(25)과 자전거 이동부가 더 이상 넘어서지 않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7)는 이용자와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고 제어장치로 기능하며, 운동 부하와 페달 회전 속도 등의 운동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17b)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홀 센서(18)를 통해 운동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17c)와, 상기 모터(31)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는 모터제어부(17d)와, 설정된 운동속도와 실제 운동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17e)와, 상기 설정부(17b)의 정보와 속도감지부(17c)의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모터제어부(17d)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17e)에 운동정보가 나타나도록 하는 제어부(17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속도감지부(17c)에서 감지되는 운동속도가 설정 운동속도보다 작아지는 순간 경고음이나 격려음을 발생하는 경고발생부(도시 생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는 운동 부하와 페달 회전 속도 등의 운동속도를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자전거 운동부의 페달을 회전시킬 때, 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실제 운동속도와 설정 운동속도를 대비하여 실제 운동속도가 설정 운동속도보다 느리면 자전거 운동부가 뒤로 밀리게 되고, 실제 운동속도가 설정 운동속도보다 빠르면 자전거 운동부가 앞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흥미를 느끼면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운동 목표를 달성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뒤로 밀린 상태에서는 설정 운동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페달을 회전시켜야 원위치로 돌아오고 앞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설정 운동속도보다 더 느린 속도로 페달을 회전시켜야 원위치로 돌아오게 할 수 있다. 설정된 운동 속도와의 차이는 누적(적분)되어 자전거 운동부의 위치로 나타날 수 있으며, 다시 자전거 운동부를 원위치로 하기 위해서는 누적된 운동 속도의 차이만큼 보상해줘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동 속도의 차이를 자동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본체
10a...바디
10b...커버
10c...구동 스프로킷
10d...종동 스프로킷
10e...체인
11...페달
12...손잡이
13...프레임 부재
14...승강축
15...안장
16...안장높이 조절부
16a...지지부재
16b...안장 프레임
16c...고정부재
17...디스플레이 장치
17a...제어부
17b...설정부
17c...속도감지부
17d...모터제어부
17e...표시부
18...홀 센서
20...베이스
20a...하판
20b...측판
20c...마감판
21...스크류 레일
22...가이드 바
23...균형유지용 받침대
23'...구멍
24...센서
24a...전방 리미트 센서
24b...후방 리미트 센서
24c...후방 스타트포지션 센서
24d...전방 스타트포지션 센서
25...캐리지 블록
30...모터박스
31...모터
32...모터 커버

Claims (10)

  1. 페달을 회전시키면서 운동하는 자전거 운동부와;
    내부에 볼 스크류 장치가 구비되고 상부에 자전거 운동부가 연결되며 스크류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되는 캐리지 블록과;
    상기 스크류 레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자전거 운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페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스크류 레일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캐리지 블록이 전후 이동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2. 페달(11)과 안장(15)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부의 본체(10)와;
    상기 자전거 운동부의 손잡이(12)와 본체(10)를 연결하는 프레임 부재(13)와;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레일(21)이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20)와;
    상기 스크류 레일(21)을 따라 전후 이동되도록 내부에 볼 스크류 장치가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본체(10)가 연결되는 캐리지 블록(25)과;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레일(21)을 회전시키는 모터(31)를 포함하는 모터 박스(30)와;
    상기 손잡이(12)에 설치되어 운동속도를 설정함과 아울러 현재 운동속도가 표시되도록 하고 실제 운동속도와 설정 운동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 박스(30)의 모터(31)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바디(10a) 및 커버(10b)와, 상기 바디(10a)의 내측에 배치되고 페달(1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10c)과, 부하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10c)에 체인(10e)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종동 스프로킷(10d)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0c) 또는 종동 스프로킷(10d)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홀 센서(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안장(1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장높이 조절부(16)가 구비되고,
    상기 안장높이 조절부(16)는 안장(15)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부재(16a)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16a)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장 프레임(16b)과, 상기 안장 프레임(16b)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6a)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6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손잡이(12)의 하부에 승강축(14)이 연결되어 프레임(13)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20)는 상기 스크류 레일(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캐리지 블록(25)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22)와, 길이 방향 양단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베이스 부재(20)의 균형을 유지하고 중간 부분에 상기 스크류 레일(21)과 가이드 바(22)가 삽입되는 구멍(23')이 형성된 한 쌍의 균형유지용 받침대(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20)는 일정 길이의 하판(20a)과, 내부에 상기 스크류 레일(21)과 가이드 바(22)가 설치되도록 상기 하판(20a)의 폭 방향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균형유지용 받침대(23)가 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20b)과, 상기 하판(20a)의 길이 방향 양 끝단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마감판(20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캐리지 블록(25)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복수의 리미트 센서(24)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 센서(24)는 상기 캐리지 블록(25)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리미트 센서(24a)와 상기 캐리지 블록(25)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 리미트 센서(2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블록(25)의 시작점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스타트포지션 센서(24c, 24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7)는 운동속도의 설정을 위한 설정부(17b)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홀 센서(18)를 통해 운동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17c)와, 상기 모터(31)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는 모터제어부(17d)와, 설정된 운동속도와 실제 운동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17e)와, 상기 설정부(17b)의 정보와 속도감지부(17c)의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모터제어부(17d)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17e)에 운동정보가 나타나도록 하는 제어부(17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KR1020170116353A 2017-09-12 2017-09-12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KR10201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53A KR102014113B1 (ko) 2017-09-12 2017-09-12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53A KR102014113B1 (ko) 2017-09-12 2017-09-12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51A true KR20190029151A (ko) 2019-03-20
KR102014113B1 KR102014113B1 (ko) 2019-08-26

Family

ID=6603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353A KR102014113B1 (ko) 2017-09-12 2017-09-12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1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4213A (zh) * 2021-05-07 2021-07-20 王小宝 一种趣味儿童单车
EP4046693A1 (de) * 2021-02-17 2022-08-24 vision 8 GmbH Ergometer-trainingsgerät, insbesondere fahrrad-ergometer, mit fortschrittsanzei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794B1 (ko) 2020-05-21 2021-12-28 김성훈 실내용 외발 자전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989A (ja) * 1995-12-11 1997-06-17 Tokyo Univ スプリント・トレーニング・マシン
JP2001190708A (ja) * 2000-01-07 2001-07-17 Yamaha Motor Co Ltd 空中遊歩道
JP2003135643A (ja) * 2001-11-07 2003-05-13 Seiko Precision Inc スタート動作検出用センサボードおよびスタート動作判定装置
KR20030092172A (ko) * 2002-05-27 2003-12-06 신형서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KR20100011156A (ko) * 2008-07-24 2010-02-03 (주)다산알앤디 바이크형 헬스기구, 그 제어방법
KR20110037167A (ko) * 2009-10-06 2011-04-13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승마체감증진용 4자유도 라이드봇
KR20140024581A (ko) 2012-08-20 2014-03-03 임원석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
KR20140122451A (ko) 2013-04-10 2014-10-20 와이티엔티 주식회사 복합형 실내자전거
KR20150090553A (ko) 2014-01-29 2015-08-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연동 실내자전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989A (ja) * 1995-12-11 1997-06-17 Tokyo Univ スプリント・トレーニング・マシン
JP2001190708A (ja) * 2000-01-07 2001-07-17 Yamaha Motor Co Ltd 空中遊歩道
JP2003135643A (ja) * 2001-11-07 2003-05-13 Seiko Precision Inc スタート動作検出用センサボードおよびスタート動作判定装置
KR20030092172A (ko) * 2002-05-27 2003-12-06 신형서 헬스용 클라이밍 장치
KR20100011156A (ko) * 2008-07-24 2010-02-03 (주)다산알앤디 바이크형 헬스기구, 그 제어방법
KR20110037167A (ko) * 2009-10-06 2011-04-13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승마체감증진용 4자유도 라이드봇
KR20140024581A (ko) 2012-08-20 2014-03-03 임원석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
KR20140122451A (ko) 2013-04-10 2014-10-20 와이티엔티 주식회사 복합형 실내자전거
KR20150090553A (ko) 2014-01-29 2015-08-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연동 실내자전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6693A1 (de) * 2021-02-17 2022-08-24 vision 8 GmbH Ergometer-trainingsgerät, insbesondere fahrrad-ergometer, mit fortschrittsanzeige
WO2022175857A1 (de) 2021-02-17 2022-08-25 Vision 8 Gmbh Trainingsgerät mit fortschrittsindikator und unifizierter basis für unterschiedliche gerätetypen
CN113134213A (zh) * 2021-05-07 2021-07-20 王小宝 一种趣味儿童单车
CN113134213B (zh) * 2021-05-07 2022-07-26 云和县赤旺玩具有限公司 一种趣味儿童单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113B1 (ko) 201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8823B2 (en) Treadmill with suspended tread belt
US8272997B2 (en) Stride adjustment mechanism
US9694234B2 (en) Treadmill with slatted tread belt
US9675839B2 (en) Treadmill with a tensioning mechanism for a slatted tread belt
US7264576B2 (en) Elliptical exercise device
US7585251B2 (en) Load variance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machine
US5067710A (en) Computerized exercise machine
US7435202B2 (en) Elliptical step distance measurement
US20150182781A1 (en) Selective Angular Positioning of the Crank of an Elliptical
US9126078B2 (en) Stride adjustment mechanism
KR20190029151A (ko) 안장 이동형 실내 자전거 운동기
US20140378280A1 (en) Adjustable stationary fitting vehicle with simulated elevation control
KR20100020337A (ko) 헬스 자전거
WO2006004430A2 (en) Training apparatus
US20150057129A1 (en) Elliptical Trainer
EP2535089B1 (en)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simulation of physical exercises with legs and arms
CN216144447U (zh) 扭力检测法兰、阻力可调的转动轮以及运动设备
US10549144B2 (en) Hand-foot composite motion exercise machine
CN102357285B (zh) 坡度可自动调节的椭圆健身机
KR200454698Y1 (ko) 헬스 자전거
CN114129955A (zh) 阻力可调的转动轮和其调节方法以及运动设备
KR20170018533A (ko) 자전거 대회 코스 체험이 가능한 자전거 롤러 장치
EP2127702A1 (en) A Machine that can be used as a Running or Walking Training Aid
KR20010103355A (ko) 개인 운동량 조절 시스템
US20230191180A1 (en) Resistance apparatus and system for exercis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