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147A -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Device - Google Patents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147A
KR20190029147A KR1020170116344A KR20170116344A KR20190029147A KR 20190029147 A KR20190029147 A KR 20190029147A KR 1020170116344 A KR1020170116344 A KR 1020170116344A KR 20170116344 A KR20170116344 A KR 20170116344A KR 20190029147 A KR20190029147 A KR 20190029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electrode
concrete
mold
resistivity
material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9276B1 (en
Inventor
임홍재
김재홍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6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276B1/en
Publication of KR2019002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1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5Circuits
    • G01N27/046Circuits provided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ceramics; glass; bricks
    • G01N33/383Concrete, c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device for reading whether concrete is separated from a material through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of concrete,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mold part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fastened in a vertically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able to deposit mixed concrete to form a mold; a plurality of ring electrode part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mounted on an inner side of the mold parts so as to measure resistivity of the concrete deposited on the mold; and a measuring part connected to the ring electrode parts and receiving a resistivity value measured at the ring electrode parts to measure whether or not the concrete deposited on the mold is separated from the material.

Description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Device}[0001]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Device [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전기비저항 측정을 통해 해당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for reading whether or not a material of a concrete is separated through an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of the concrete.

대표적 건설재료인 콘크리트의 시공 시 콘크리트의 배합 불량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중 재료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When concrete is used as a typical construction material, material separation during concrete pouring may occur due to poor mixing of concrete.

콘크리트(물, 시멘트, 골재 및 혼화재료)는 배합(믹싱) 후 거푸집에 타설하여 양생(굳음)과정을 거쳐 강도를 가지게 되는 건설재료인데, 물, 시멘트, 골재 및 혼화재료의 배합 상태 및 배합 비율 불량 시 여러 재료가 고루 분포되어있는 상태가 아닌 각 내부 재료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각 재료의 밀도가 다르기 때문)할 수 있는 데, 이를 콘크리트의 재료분리라 한다.Concrete (water, cement, aggregate, and admixture) is a construction material that is put into a mold after mixing (curing) and has a strength after curing process. The mixing condition and mixing ratio of water, cement, aggregate and admixture In case of failure, the internal material is separated rather than the uniform distribution of materials (because the density of each material is different), which is called material separation of concrete.

따라서 콘크리트 배합 및 시공 시 적절한 배합 비율이 요구되며, 배합 불량 시 골재분리(혹은 재료분리라고 함)가 발생될 경우 시공 후 강도 불량 또는 원하는 건설 재료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Therefore, a proper blending ratio is required for concrete formulations and construction, and when aggregate separation (or material separation) occurs when the blend is poor, the concrete can not function as a defective strength or a desired construction material after construction.

이에 따라, 재료분리 측정을 위해 사용된 기존의 측정법은, ASTM C 1610 측정법(3단 분리가 가능한 기둥 형식의 3층 원통에 굳기 전 콘크리트를 채우고 각 층에 분포하고 있는 굵은 골재량을 ??시빙(wet-sieving, 체가름 시험)을 통해 측정하여 재료분리를 판단)에 따라 원통 내부 타설 시 발생한 굵은 골재량 측정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기존의 측정법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므로, 체가름 등 추가 시험 과정을 배제한 실시간 재료분리 측정법을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method used for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ement is ASTM C 1610 measurement method (a three-layer cylindrical type three-layer separable concrete is filled with a pre-hardening concrete, and the coarse aggregate amount distributed in each layer is measured wet-sieving, and sieving tests), the coarse aggregate measurement occurred during the pouring of the cylinder. This conventional method requires a lot of time and labor, It has been required to develop a real-time material separation measurement method that excludes a material.

한국등록특허 제10-1300813호Korean Patent No. 10-1300813 한국등록특허 제10-1055224호Korean Patent No. 10-1055224

본 발명의 일측면은 콘크리트의 전기비저항 측정을 통해 해당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for reading whether or not a material of the concrete is separated through an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of the concret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는,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며, 배합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원통형으로 체결되어 거푸집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몰드부;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몰드부의 내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는 다수 개의 링전극부; 및 상기 링전극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전극부에서 측정된 비저항값을 전달받아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old part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fastened in a vertically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able to pour the mixed concrete to form a mold; A plurality of ring electrode part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mold part so as to measure the resistivity of the concrete placed on the mold; And a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ring electrode unit and measuring a resistivity value measured at the ring electrode unit and measuring whether or not the concrete placed in the mold is separated from the materi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몰드부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링전극부를 내측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기; 및 상기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ld portion comprises: a cylindrical body; A seat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inner side of the body so as to seat the ring electrode unit on the inner side; And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는, 다른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기 위해 하부 내측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체결턱; 및 다른 본체의 하부를 체결하기 위해 상부 외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체결턱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includes: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ly along a lower inner side for fasten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body; And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protruded upward along the upper side to fasten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bod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체결턱는, 상기 제2체결턱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tang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econd fastening tang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몰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하 체결 시 간극을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밀봉씰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ld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seal formed on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seal the gap when the main body is vertically fasten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밀봉씰은, 상기 제1체결턱의 하부 또는 상기 제2체결턱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ling seal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astening step or on the second fastening step.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링전극부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전극이 닿는 모든 위치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 electrode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it is possible to measure a specific resistance at all positions where the electrode contact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링전극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연결핀; 상기 연결핀을 각각 체결한 후 상기 연결핀을 통해 상기 링전극부로부터 비저항값을 각각 전달받는 다수 개의 연결클립; 및 상기 연결클립으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비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하는 재료분리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emen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connected to the ring electrode unit; A plurality of connection clips for respectively connecting the connection pins and receiving specific resistances from the ring electrode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ins; And a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for comparing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clip and measuring whether the concrete laid on the formwork is separated or no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재료분리측정부는, 비교된 각각의 비저항값들이 오차 범위 내인 경우 재료분리가 발생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독하고, 오차 범위 밖인 경우 재료분리가 발생된 것으로 판독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ement section reads out that the material separation has not occurred when each of the compared resistivity values is within the error range, and reads out that material separation has occurred when the outside of the error rang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재료분리측정부는, 상부에 위치한 링전극부로부터 전달되는 비저항값의 평균값과 하부에 위치한 링전극부로부터 전달되는 비저항값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may measure whether or not the material is separated by comparing an average value of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ring electrode unit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nd an average value of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ring electrode unit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재료분리측정부는, 다수 개의 링전극부를 상부, 중부 및 하부의 3개의 구역으로 구분한 후, 각 구열별로 비저항값의 평균값을 산출한 후 각각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divides a plurality of ring electrode portions into three zones, upper, middle, and lower, and then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resistivity values for each of the rows, compares the average values, Can be measur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재료분리측정부는, 최상단에 위치한 링전극부와 최하단에 위치한 링전극부의 비저항값의 편차와 중간에 위치한 링전극부와 링전극부의 비저항값의 편차를 비교하여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ement unit compares the deviation of the resistivity value between the ring electrode unit located at the uppermost stage and the ring electrode unit located at the lowermost stage and the deviation of the resistivity value between the ring electrode unit and the ring electrode unit located at the middle, Can be measur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측정부는, 주의의 온도를 감지한 후 온도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재료분리측정부로 전달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e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hat generates temperature information afte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atten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ement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몰드부의 상부 입구 및 하부 입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몰드부의 상부 입구 및 하부 입구에 체결되는 두 개의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may further comprise two covers fastened to the top and bottom inlets of the mold section to seal the top and bottom inlets of the mold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는,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며, 배합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원통형으로 체결되어 거푸집을 형성하는 몰드부; 및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몰드부의 내측에 장착 설치되는 링전극부를 포함한다.A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ld part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coupled to a vertically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able to pour the concrete, And a ring electrode part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mold part so as to measure the resistivity of the concrete placed in the mold.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전기비저항 측정을 통해 해당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링 전극을 통해 원통 내부 전극이 닿는 모든 위치의 재료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for reading whether a concrete material is separated by measuring an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Can be refl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몰드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몰드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링전극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측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시멘트 입자의 수화에 의한 미세 구조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4-전극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ld part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old part shown in Fig. 1;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asuring unit shown in Fig. 1.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microstructure due to hydration of cement particles.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4-electrode method.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는, 다수 개의 몰드부(100), 다수 개의 링전극부(200) 및 측정부(30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old units 100, a plurality of ring electrode units 200, and a measurement unit 300.

각각의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이론적 배경인 콘크리트의 수화과정에 따른 전기전도성 변화 원인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Before describing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in detail, the cause of the change of the electric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hydration process of the concrete,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lained as follows.

콘크리트의 초기 재령 양생 시 수화반응에 따라 경화(hardening) 및 재료의 고체화(solidification)가 진행되며, 수화반응 진행에 따른 시멘트 페이스트의 미세구조를 굳기 전후의 상변화(phase change)에 따라 구분하면 도 7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다. 도 7(a)는 시멘트 페이스트 배합 직후 수화반응 시작 상태로 공극 수의 네트워크(pore water network)가 형성된 fluid percolation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는 응결 전 재료의 유동성과 점성이 충분한 소성 상태로 내부 공극수를 통해 재료 내 전기 전도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후 수화반응 진행에 따라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등의 이온이 용출되고, 이러한 이온들의 반응을 통해 수화물이 생성 된다. 생성된 수화물에 의해 시멘트 입자들의 응집(flocculation and aggregation)이 발생하며 최종적으로 도 7(b)와 같이 fluid depercolation 상태로 미세구조가 발전한다. 즉 공극수 감소에 따라 재료 내 전기 전도성 감소가 발생하며, 이는 수화물 증가에 따른 전자 흐름의 방해 때문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재료 내 전기 저항 변화 측정으로 콘크리트의 수화물 생성 및 경화 과정을 나타낼 수 있다.Hardening and solidification of the material proceed according to the hydration reaction at the early age curing of the concrete. If the microstructure of the cement paste as the hydration reaction progresse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before and after hardening 7. FIG. 7 (a) can be defined as a fluid percolation state in which a pore water network is formed in a hydration reaction state immediately after the cement paste is mixed. This may result in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material through internal pore water in a fired state where the fluidity and viscosity of the pre-condensation material is sufficient. Thereafter, as the hydration reaction progresses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And the like, and the hydrate is generated through the reaction of these ions. Flocculation and aggregation of the cement particles occurs due to the generated hydrate, and the microstructure develops finally in the state of fluid depercolation as shown in FIG. 7 (b). That is, as the porosity decreas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material decreases,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obstruction of the electron flow due to the increase of the hyd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how the process of hydration formation and curing of concrete by measuring electrical resistance change in the material.

기존의 전기 비저항 측정은 주로 웨너의 4-전극법이 사용되었는데, 웨너의 4-전극법(Wenner's 4-electrode method)24)은 1915년 Frank Wenner가 제안한 비저항 측정 기법으로 전류 및 전압 전극을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대지 비저항(earth resistivity) 측정에 사용되어왔다. 도 8은 4-전극법을 도식화한 그림으로서, 직선상의 동일한 간격으로 4개의 전극(전류보조극: 외부 전극 2개, 전위보조극: 내부 전극 2개)을 설치하고, 외부 전극에 전류계를 연결해 흐르는 전류(I)를 측정한다. 내부 전극은 전압계와 연결하여 전극 간의 유도되는 전압(V)을 측정한다. 즉 외부 전극 사이 전원을 연결하여 전류를 흘리고, 전압계와 전류계의 측정 결과와 옴의 법칙(R=V/I)에 따라 접지저항이 산출된다. 따라서 전극의 간격을 a라 하면, 재료 내 전기비저항은 수학식 1로부터 산출이 되고, 산출된 전기비저항 값은 a깊이만큼의 평균 전기비저항을 나타낸다.Wenner's 4-electrode method (Wenner's 4-electrode method) is a resistivity measurement technique proposed by Frank Wenner in 1915. The current and voltage electrodes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nd have been used to measure earth resistivity.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4-electrode method, in which four electrodes (current-assist poles: two external electrodes, potential-assist poles: two internal electrod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a straight line, Measure the current (I). The internal electrode is connected to a voltmeter to measure the voltage (V) induced between the electrodes. That is, a current is flowed by connecting a power source between the external electrodes, and the ground resistanc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voltmeter and the ammeter and the Ohm's law (R = V / I). Therefore,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s is a, the electrical resistivity in the material is calculated from the equation (1), and the calculated electrical resistivity value shows an average electrical resistivity of a depth.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05
는 전기비저항,
Figure pat00006
는 전극의 간격,
Figure pat00007
는 접지저항을 나타낸다.In Equation (1)
Figure pat00005
Is an electrical resistivity,
Figure pat00006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Figure pat00007
Represents a ground resistance.

몰드부(100)는,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며, 배합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원통형으로 체결되어 거푸집(1)을 형성하며, 내측에 링전극부(200)가 장착 설치되어 비저항을 측정하도록 한다.The mold part 100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is coupled with a vertically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able to pour the concrete to form a mold 1, and a ring electrode part 200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Measure.

일 실시 예에서, 몰드부(10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에 대응하여 지름 또는 높이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ld part 100 may have various diameters or height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laid.

일 실시 예에서, 몰드부(100)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의 개방된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하부덮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ld part 100 may have a lower lid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sake of explanation) for sealing the lower open space to prevent leakage of the poured concrete.

일 실시 예에서, 몰드부(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mold part 1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a worker easily visually confirm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concrete poured therein.

링전극부(200)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거푸집(1)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몰드부(100)의 내측에 각각 장착 설치된다.The ring electrode unit 200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old unit 100 so that the resistivity of the concrete placed on the mold 1 can be measured.

일 실시 예에서, 링전극부(200)는, 원통형의 거푸집(1) 내측에 층층이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 electrode portion 200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ayered structure is inserted inside the cylindrical mold 1.

측정부(300)는, 링전극부(200)에 연결 설치되어 링전극부(200)에서 측정된 비저항값을 전달받아 거푸집(1)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한다.The measuring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ring electrode unit 200 and receives the measured resistivity value from the ring electrode unit 200 to measure whether or not the concrete placed in the mold 1 is separated from the material.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300)는, 다수 개의 몰드부(100)의 내측에 각각 장착 설치된 다수 개의 링전극부(200-1 내지 200-N)에서 측정된 비저항값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비저항값으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ing unit 300 receives the resistivity values measured at the plurality of ring electrode units 200-1 to 200-N mounted inside the plurality of mold units 100, The resistivity value can be used to measure the separation of concrete.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300)는, 최상단에 위치한 링전극부(200)로부터 전달되는 비저항값으로부터 최하단에 위치한 링전극부(200)로부터 전달되는 비저항값을 순차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ing unit 300 can sequentially compare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ring electrode unit 20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from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ring electrode unit 200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300)는, 상부에 위치한 링전극부(200)(예를 들어, 링전극부(200)가 총 10개 링전극부(200-1 내지 200-10) 형성된 경우에 있어, 링전극부(200-1)부터 링전극부(200-5)까지)로부터 전달되는 비저항값의 평균값과 하부에 위치한 링전극부(200)(예를 들어, 링전극부(200)가 총 10개 링전극부(200-1 내지 200-10) 형성된 경우에 있어, 링전극부(200-6)부터 링전극부(200-10)까지)로부터 전달되는 비저항값의 평균값을 비교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ement unit 3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ing electrode unit 200 (for example, the ring electrode unit 200) having a total of ten ring electrode units 200-1 to 200-10 The average value of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ring electrode unit 200-1 to the ring electrode unit 200-5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ring electrode unit 200 (for example, the ring electrode unit 200-5) The ring electrode unit 200-6 and the ring electrode unit 200-10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he case where a total of ten ring electrode units 200-1 to 200-10 are formed. have.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300)는, 비교된 각각의 비저항값이 오차 범위 내인 경우 재료분리가 발생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독하고, 오차 범위 밖인 경우 재료분리가 발생된 것으로 판독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ing unit 300 can read that the material separation has not occurred when each of the compared resistivity values is within the error range, and can read that the material separation has occurred when it is outside the error rang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는, 최상단에 위치한 링전극부(200)로부터 최하단에 위치한 링전극부(200)까지 순차적으로 콘크리트의 비저항을 측정한 후 측정된 비저항값을 측정부(300)로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easures the resistivity of the concrete sequentially from the ring electrode unit 200 located at the uppermost stage to the ring electrode unit 200 located at the lowermost stage, (3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는, 콘크리트의 재료인 물, 시멘트, 골재 및 혼화재료의 비율에 따른 비저항값을 측정한 후, 해당 측정한 비저항값의 차이를 판독함으로써, 기존의 재료분리 측정법과 달리 전기비저항 측정을 통해 내부 골재 상태 및 재료분리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mentioned construction measures the specific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water, the cement, the aggregate and the admixing material which are the materials of the concrete and then reads the difference of the measured specific resistance value, Unlike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ement method, it is possible to easily judge the state of the internal aggregate and the state of material separation through the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일반적으로, 골재 함유량에 따라 비저항값이 증가하며, 굵은 골재에 비해 잔골재 함유량이 초기 비저항에 큰 영향을 미치며, 동일 배합 시 혼화제 사용은 초기 비저항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아니하며, 전기비저항의 급격한 상승시기 역시 재료의 구성성분 및 배합비율에 따라 결정된다.In general, the resistivity valu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ggregate content, and the content of the fine aggregate has a greater effect on the initial resistivity than the coarse aggregate. The use of the admixture in the same composition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itial resistivity, Is also determined by the constitutional components of the material and the blending ratio.

또한, 골재 함유량 증가에 따라 상승시간 및 응결 시점이 단축되며, 동일 배합 시 응결 시점을 지연시키는 혼화제(AE제, 유동화제) 사용여부 역시 전기비저항 측정으로 판단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ising time and the condensation time are shortened with the increase of the aggregate content, and the use of the admixture (AE agent, fluidizing agent) that delays the agglomeration timing at the same mixing can be judged by the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는, 두 개의 덮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 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two covers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덮개는, 몰드부(100)의 상부 입구 및 하부 입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몰드부(100)의 상부 입구 및 하부 입구에 체결됨으로써, 몰드부(100)에 배합된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 또는 타설할 후 몰드부(100)로부터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over i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mold part 100 so as to seal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mold part 100 so that the concrete embedded in the mold part 100 is poured or laid Thereby preventing the concrete from flowing out from the post mold part 1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는, 콘크리트의 전기비저항 측정을 통해 해당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판독함으로써, 링전극부(200)을 통해 다수 개의 몰드부(100)에 의해 형성된 원통 형태의 거푸집(1)의 내부에서 링전극부(200)가 닿는 모든 위치의 재료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The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reads out the separation of the concrete from the concrete through the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of the concrete,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all the positions where the ring electrode unit 200 touches inside the mold 1 of the shape.

도 2는 도 1에 있는 몰드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ld part in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몰드부(100)는, 본체(110), 안착돌기(120) 및 관통홀(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old unit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mount projection 120, and a through hole 130.

본체(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측 면을 따라 안착돌기(120)가 형성된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seating protrusion 120 is formed along the inner side.

일 실시 예에서, 본체(110)는, 원통형의 부도체 재질(예를 드렁, 아크릴 통 등)로 형성되며, 내부에 도체인 링전극부(200)가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110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non-conductive material (e.g., a cylinder, an acrylic cylinder, or the like), and a ring electrode unit 200 as a conductor may be inserted therein.

안착돌기(120)는, 링전극부(200)를 내측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본체(110)의 내측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The seating protrusion 120 is protrud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ring electrode unit 200 can be seated on the inside.

관통홀(130)은, 본체(11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핀(310)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핀(310)은, 관통홀(130)을 통해 본체(110)를 관통한 후 링전극부(200)에 연결됨으로써, 링전극부(200)에서 측정된 비저항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through hole 130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a connection pin 31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 connection pin 310 is connected to the ring electrode unit 200 after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30 so that the resistivity value measured at the ring electrode unit 200 can be received .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130)은, 연결핀(310)의 두께에 대응하여 지름을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크게 형성되어 연결핀(310)이 삽입된 후에도 형성되는 공간으로 거푸집(1)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해당 공간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through hole 13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in 310 so that it is formed unnecessarily large so that the space is formed even after the connection pin 310 is inserted into the mold 1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poured concrete from leaking through the space.

일 실시 예에서, 본체(110)는, 높이가 20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에 대응하여 높이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110 may have a height of 20 mm, and various heights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concrete being laid.

일 실시 예에서, 몰드부(100)는, 본체(110)를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 체결시켜 높이 500mm의 원통형 거푸집(1)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에 대응하여 높이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ld part 100 can form a cylindrical mold 1 having a height of 500 mm by fastening a plurality of main bodies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eight of the cylindrical mold 1 can be varied .

도 3은 도 1에 있는 몰드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old part shown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몰드부(100)는, 본체(110), 안착돌기(120), 관통홀(130), 밀봉씰(140) 및 제1체결턱(150) 및 제2체결턱(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10), 안착돌기(120) 및 관통홀(130)은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락한다.3, the mold part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seating protrusion 120, a through hole 130, a sealing seal 140,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150 and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60 ). Here, the main body 110, the seating protrusions 120, and the through holes 13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밀봉씰(140)은, 본체(110)의 상하 체결 시 간극을 밀봉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다.The sealing seal 14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so as to seal the gap when the main body 110 is vertically fastened.

일 실시 예에서, 밀봉씰(140)은, 본체(1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따라 중간에 끊김 없이 형성됨으로써 본체(110)의 상부 또는 하부를 완전히 밀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sealing seal 140 is preferably formed seamlessly in the middle along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to thereby seal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completely.

제1체결턱(150)은, 본체(110-1)의 하부 내측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른 본체(110-2)의 상부 외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체결턱(160)의 내측에 체결된다.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50 protrudes downward along the low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10-1 and has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60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ther main body 110-2, As shown in Fig.

제2체결턱(160)은, 본체(110-2)의 상부 외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본체(110-2)의 상측에 체결되는 본체(110-1)의 하부 내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체결턱(150)을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하여 체결되도록 한다.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60 protrudes upwar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2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10-1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2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50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at the inner side and is fastened.

일 실시 예에서, 밀봉씰(140)은, 제1체결턱(150)의 하부(140-2) 또는 제2체결턱(160)의 상부(140-1)에 이중으로 형성됨으로써, 거푸집(1)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ling seal 14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140-2 of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50 or the upper portion 140-1 of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60 so that the mold 1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도 4는 도 1에 있는 링전극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ing electrode portion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링전극부(200)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몰드부(1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장착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4, the ring electrode unit 200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mounted in a space formed inside the mold unit 100.

링전극부(200)는, 두께 2m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측정환경(예를 들어, 콘크리트의 양, 또는 배합 비율 등)에 대응하여 두께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ring electrode unit 20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2 mm, but the ring electrode unit 200 may have various thicknesses corresponding to a measurement environment (for example, an amount of concrete, a mixing ratio, etc.).

링전극부(200)는, 원형 고리 형태의 전극이 닿는 모든 위치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The ring electrode portion 200 can measure the specific resistance at all positions where the circular ring-shaped electrode touche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링전극부(200)는, 통상적인 전극을 통한 비저항측정법과 달리, 원형 고리 형태의 전극을 형성하여 전극이 닿는 모든 위치에서의 비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거푸집(1)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비저항을 보다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Unlike the conventional resistivity measuring method, the ring electrode unit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orms a ring-shaped electrode and measures the resistivity at every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touches, The resistivity of the poured concrete can be measured more effectively.

도 5는 도 1에 있는 측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asuring unit shown in Fig. 1. Fig.

도 5를 참조하면, 측정부(300)는, 다수 개의 연결핀(310), 다수 개의 연결클립(320) 및 재료분리측정부(3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measuring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310, a plurality of connecting clips 320, and a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330.

연결핀(310)은, 관통홀(130)을 통해 삽입되어 링전극부(200)에 연결 설치되며, 관통홀(130)에 삽입되지 아니한 부분이 연결클립(320)에 의체 체결되어 링전극부(200)에서 측정된 비저항값을 연결클립(320)로 전달한다.The connection pin 31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30 and is connected to the ring electrode unit 200.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in 310 not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130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clip 320, And transmits the measured resistivity value to the connection clip 320.

연결클립(320)은, 연결핀(310)을 체결한 후 연결핀(310)을 통해 링전극부(200)로부터 비저항값을 각각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비저항값을 재료분리측정부(330)로 전달한다.The connection clip 320 receives the resistivity values from the ring electrode unit 200 through the connection pins 310 after coupling the connection pins 310 and transfers the resistivity values to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ement unit 330. [ .

재료분리측정부(330)는, 연결클립(320)으로부터 비저항값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비저항값을 비교하여 거푸집(1)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한다.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330 receives the resistivity value from the connection clip 320 and compares the received resistivity values to measure whether or not the concrete laid on the form 1 is separated from the material.

일 실시 예에서, 재료분리측정부(330)는, 다수 개의 연결핀(310-1 내지 310-N)으로부터 각각 측정된 각 부분의 비저항값들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각 부분의 비저항값들의 차이를 판독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330 receives the measured resistivity valu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310-1 to 310-N, It is possible to measure whether or not the concrete is separated from the material.

예를 들어, 거푸집(1)의 상부에 위치한 콘크리트의 비저항값을 10이라고 할 경우 하부에 위치한 콘크리트의 비저항값이 10인 경우 비저항값이 동일하여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고, 상부에 위치한 콘크리트의 비저항값을 10이라고 할 경우 하부에 위치한 콘크리트의 비저항값이 20인 경우 비저항값이 서로 상이하므로 재료분리가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sistivity value of the concrete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formwork (1) is 10, the resistivity value of the concrete at the lower part is 10, When the resistivity value of the concrete is 10, the resistivity values of the concrete at the lower part are 20, which indicates that the material separation occurred.

이때, 다수 개의 연결핀(310-1 내지 310-N)으로 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비저항값은, 각각을 비교하거나, 구획을 나누워 상부 세 개의 연결핀(310-1 내지 310-3)의 평균 비저항값, 중간 세 개의 연결핀(310-4 내지 310-6) 및 하부 세 개의 연결핀(310-7 내지 310-9)의 평균 비저항값을 비교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310-1 to 310-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or divided into sections, and the average resistivity of the upper three connection pins 310-1 to 310-3 Value, the middle three connection pins 310-4 to 310-6, and the three lower connection pins 310-7 to 310-9.

일 실시 예에서, 재료분리측정부(330)는, 다수 개의 링전극부(200-1 내지 200-N)의 비저항 측정의 방법으로서, ⅰ) 다수 개의 링전극부(200-1 내지 200-N) 전체가 한꺼번에 비저항을 측정하는 일괄측정모드, ⅱ) 상측에 위치한 링전극부(200-1)로부터 하측에 위치한 링전극부(200-N)까지 순차적으로 비저항을 측정하는 순차측정모드, ⅲ) 다수 개의 링전극부(200-1 내지 200-N)가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30분 내지 1시간 등의 간격 등)을 두고 비저항을 측정하는 간격측정모드 및 ⅳ) 최상단에 위치한 링전극부(200-1)와 최하단에 위치한 링전극부(200-10)(링전극부(200)가 총 10개로 형성(200-1 내지 200-10)된 것으로 가정할 경우)의 비저항값의 편차와 중간에 위치한 링전극부(200-5)와 링전극부(200-6)의 비저항값의 편차를 비교하는 편차측정모드 등의 모드로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ement unit 330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resistivity of a plurality of ring electrode units 200-1 to 200-N, including: i) a plurality of ring electrode units 200-1 to 200-N (Ii) a sequential measurement mode in which the resistivity is sequentially measured from the ring electrode unit 200-1 located on the upper side to the ring electrode unit 200-N located on the lower side, (iii) An interval measurement mode in which the plurality of ring electrode units 200-1 to 200-N measure the resistivity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intervals of 30 minutes to 1 hour, etc.), and iv) (200-1 to 200-10) of the ring electrode unit 200-1 and the ring electrode unit 200-1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the total number of the ring electrode units 200 is 200-1 to 200-10) And a deviation measurement mode that compares the deviation of the resistivity values of the ring electrode unit 200-5 and the ring electrode unit 200-6 located in the middle with each other, The.

상술한 편차측정모드에 의할 경우, 재료분리가 시작될 경우 서로간의 거리 차이로 인해 재료분리가 가장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상단에 위치한 링전극부(200-1)와 최하단에 위치한 링전극부(200-10)간의 비저항값의 편차를, 서로 인접하여 재료분리가 가장 적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에 위치한 링전극부(200-5)와 링전극부(200-6)간의 비저항값의 편차와 비교함으로써, 재료분리의 발생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수치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재료분리가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링전극부(200-1과 200-10)의 편차가 10이라고 할 경우 재료분리가 가장 적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링전극부(200-5와 200-6)의 편차가 3일 경우 편차의 차이가 7로서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가 많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링전극부(200-1과 200-10)의 편차가 4이라고 할 경우 재료분리가 가장 적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링전극부(200-5와 200-6)의 편차가 2일 경우 편차의 차이가 2로서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가 적게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deviation measurement mode, when the material separation starts, the ring electrode unit 200-1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and the ring electrode unit 200 located at the lowermost position -10) is compared with the deviation of the resistivity value between the ring electrode unit 200-5 and the ring electrode unit 200-6 located in the middle where the material separation is expected to be least adjacent to each other , The degree of occurrence of material separation can be more accurately measured numerically. That is, when the deviation between the ring electrode units 200-1 and 200-10, which are expected to cause material separation the most, is 10, the ring electrode units 200-5 and 200-6 ) Is 3, it can be judg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deviation is 7, which means that the material of the concrete is largely separated. When the deviation of the ring electrode parts 200-1 and 200-10 is 4, If the deviation of the ring electrode units 200-5 and 200-6 expected to occur in the enemy is 2, it can be judg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difference is 2 and the material separation of the concrete is less occurred.

일 실시 예에서, 재료분리측정부(330)는, 상술한 간격측정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링전극부(200-1 내지 200-N)로부터 전달되는 비저항값의 변동을 전달 시간 별, 전달 위치별로 저장해 두며, 해당 저장한 비저항값의 변동을 시간 별 또는 위치 별로 그래프화시켜 표시수단(예를 들어, LCD/LED 모니터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330 measures the variation of the resistivity value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ring electrode units 200-1 to 200-N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interval measurement mode, And the variation of the resistivity value stored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means (for example, an LCD / LED monitor, etc.) in a graph by time or by location.

일 실시 예에서, 재료분리측정부(330)는, 다수 개의 링전극부(200)를 상부, 중부 및 하부의 3개의 구역으로 구분한 후, 각 구열별로 비저항값의 평균값을 산출한 후 각각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전극부(200)가 10개라고 할 경우, 상부 3개의 링전극부(200-1 내지 200-3), 중부 3개의 링전극부(200-4 내지 200-6) 및 하부 3개의 링전극부(200-7 내지 200-8)로 구분한 후, 각각의 그룹으로부터 전달되는 비저항값을 평균한 후, 3개의 평균값을 비교함으로써 재료분리를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330 divides a plurality of ring electrode units 200 into three regions, that is, upper, middle, and lower regions. Then, an average value of resistivity values is calculated for each row, It is possible to measure whether or not the material is separated by comparing the average value.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he ring electrode portions 200 is ten, the upper three ring electrode portions 200-1 to 200-3, the middle three ring electrode portions 200-4 to 200-6, Three ring electrode units 200-7 to 200-8, and then the average of the resistivity values transferred from the respective groups is averaged, and then the three material values are compared to determine the material sepa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측정부(300)는, 온도 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온도 센서는, 주의의 온도를 감지한 후, 해당 감지한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정보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온도 정보를 상기 재료분리측정부(330)로 전달한다.The temperature sensor generates temperatu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330 afte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attention.

일 실시 예에서, 온도 센서는, 몰드부(100)의 내부 공간 또는 몰드부(100)의 외측에 장착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pace of the mold part 100 or on the outside of the mold part 100.

일 실시 예에서, 재료분리측정부(330)는,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정보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온도 정도를 재료분리 판단에 고려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330 receiv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can consider the delivered temperature degree in the material separation determination.

예를 들어, 재료분리측정부(33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온도 별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가 일어나는 속도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둠으로써, 향후 재료분리 판단에 있어 온도를 판단의 일 요소로서 고려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330 stores a database of the rate at which material separation of concrete occurs at each temperature of concrete to be stored, so as to consider the temperature as an element of judgment in future material separation determination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측정부(300)는, 일률적인 비저항값을 비교방법만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 개의 비저항값 판단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상황에 맞게 비저항값을 측정/비교/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재료분리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rovides a plurality of resistivity value determination methods, rather than a uniform resistivity value, to measure / compare / judge the resistivity value according to each situation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material separation is more accurat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는, 다수 개의 몰드부(100) 및 다수 개의 링전극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concret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mold units 100 and a plurality of ring electrode units 200.

몰드부(100)는,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며, 배합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원통형으로 체결되어 거푸집(1)을 형성한다.The mold part 100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is fastened in a vertically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able to place the compounded concrete to form the mold 1. [

링전극부(200)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거푸집(1)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몰드부(100)의 내측에 각각 장착 설치된다.The ring electrode unit 200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old unit 100 so that the resistivity of the concrete placed on the mold 1 can be measured.

일 실시 예에서, 링전극부(200)는, 두께 2mm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 electrode portion 200 may be formed with a thickness of 2 mm.

일 실시 예에서, 링전극부(200)는, 원형 고리 형태의 전극이 닿는 모든 위치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 electrode portion 200 can measure the resistivity at all positions where the circular ring-shaped electrode touches.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1: 거푸집 100: 몰드부
110: 본체 120: 안착돌기
130: 관통홀 140: 밀봉씰
200: 링전극부 300: 측정부
310: 연결핀 320: 연결클립
330: 재료분리측정부
1: mold 100: mold part
110: main body 120:
130: Through hole 140: Sealing seal
200: ring electrode part 300: measuring part
310: connecting pin 320: connecting clip
330: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Claims (15)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며, 배합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원통형으로 체결되어 거푸집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몰드부;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몰드부의 내측에 각각 장착 설치되는 다수 개의 링전극부; 및
상기 링전극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링전극부에서 측정된 비저항값을 전달받아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A plurality of mold part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fastened in a vertically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able to pour the mixed concrete to form a mold;
A plurality of ring electrode part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mold part so as to measure the resistivity of the concrete placed on the mold; And
And a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ring electrode unit and receiving a measured resistance value measured at the ring electrode unit and measuring whether or not the concrete placed in the mold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링전극부를 내측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기; 및
상기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The mold according to claim 1,
A cylindrical body;
A seat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inner side of the body so as to seat the ring electrode unit on the inner side; And
And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른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기 위해 하부 내측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체결턱; 및
다른 본체의 하부를 체결하기 위해 상부 외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체결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along a lower inner side to be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another body; And
And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along the upper side to fasten the lower part of the other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턱는,
상기 제2체결턱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nd the second join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econd fastening jaw.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하 체결 시 간극을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밀봉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5. The mold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seal formed on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seal the gap when the main body is vertically fasten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씰은,
상기 제1체결턱의 하부 또는 상기 제2체결턱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6. The seal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or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전극부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전극이 닿는 모든 위치의 비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The ring resonator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pecific resistance of the concrete material is measured at every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is conta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링전극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연결핀;
상기 연결핀을 각각 체결한 후 상기 연결핀을 통해 상기 링전극부로부터 비저항값을 각각 전달받는 다수 개의 연결클립; 및
상기 연결클립으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비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하는 재료분리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ing electrode portions;
A plurality of connection clips for respectively connecting the connection pins and receiving specific resistances from the ring electrode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ins; And
And a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for comparing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clip and measuring whether or not the concrete placed in the mold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분리측정부는,
비교된 각각의 비저항값들이 오차 범위 내인 경우 재료분리가 발생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독하고, 오차 범위 밖인 경우 재료분리가 발생된 것으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And reading out that the material separation is not occurred when the compared resistances are within the error range and reads out that the material separation has occurred when the resistances are outside the error ran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분리측정부는,
상부에 위치한 링전극부로부터 전달되는 비저항값의 평균값과 하부에 위치한 링전극부로부터 전달되는 비저항값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eparation of the material is measured by comparing an average value of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ring electrode portion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nd an average value of the resistiv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ring electrode portion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분리측정부는,
다수 개의 링전극부를 상부, 중부 및 하부의 3개의 구역으로 구분한 후, 각 구열별로 비저항값의 평균값을 산출한 후 각각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plurality of ring electrode portions are divided into three zones, upper, middle, and lower, and then an average value of resistivity values is calculated for each of the rows, and then the average value of the resistances is compared to measure the separation of the material.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분리측정부는,
최상단에 위치한 링전극부와 최하단에 위치한 링전극부의 비저항값의 편차와 중간에 위치한 링전극부와 링전극부의 비저항값의 편차를 비교하여 재료분리 여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difference in resistivity value between the ring electrode portion at the uppermost stage and the ring electrode portion at the lowermost stage and a deviation between the resistivity value of the ring electrode portion and the ring electrode portion located at the middle are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material is separated or not.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주의의 온도를 감지한 후 온도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재료분리측정부로 전달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for generating temperature information afte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material separation measur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의 상부 입구 및 하부 입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몰드부의 상부 입구 및 하부 입구에 체결되는 두 개의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wo lid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mold part so as to seal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mold part.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며, 배합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원통형으로 체결되어 거푸집을 형성하는 몰드부; 및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몰드부의 내측에 장착 설치되는 링전극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A mold part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ed to a vertically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able to install the compounded concrete to form a mold; And
And a ring electrode part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mold part so as to measure a specific resistance of the concrete placed in the mold.
KR1020170116344A 2017-09-12 2017-09-12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Device KR102019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44A KR102019276B1 (en) 2017-09-12 2017-09-12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44A KR102019276B1 (en) 2017-09-12 2017-09-12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47A true KR20190029147A (en) 2019-03-20
KR102019276B1 KR102019276B1 (en) 2019-09-11

Family

ID=6603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344A KR102019276B1 (en) 2017-09-12 2017-09-12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2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1421A (en) * 2019-06-21 2019-10-22 中铁十六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Anti- Tunnel Second Lining concreting not Satiation devices and detec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7566A (en) * 2020-04-17 2020-08-14 中天华南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Concrete forming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concrete segregation degree testing devic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104B2 (en) * 1990-06-11 1995-05-31 エフ ラジー ファローク Nondestructive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for concrete
JPH07244043A (en) * 1994-03-04 1995-09-19 Shimizu Corp Testing method for material separation in concrete
JP2000035389A (en) * 1998-07-16 2000-02-02 Daiwa House Ind Co Ltd Method for curing concrete sample and curing container
JP2001513881A (en) * 1997-02-19 2001-09-04 ペーター シースル Electrode structure group for corrosion measurement system that detects corrosion of metal embedded in structural part made of ion conductive material
KR101055224B1 (en) 2009-07-27 2011-08-1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Nondestructive Corrosion Diagnosis System by Estimating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Structures
CN202126425U (en) * 2011-05-10 2012-01-25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Concrete pouring quality testing instrument
JP2013015382A (en) * 2011-07-02 2013-01-24 Shimizu Corp Method for testing quality management of crack suppression control
KR101300813B1 (en) 2006-07-11 2013-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screen size of projector and an apparatus therefor
KR101415350B1 (en) * 2013-07-09 2014-07-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Apparatus for measuring samples
JP2015180801A (en) * 2015-05-07 2015-10-15 佐藤工業株式会社 Resistance value measurement formwork for placed concre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00073T3 (en) 2019-03-06 2022-03-15 Ivoclar Vivadent Ag Polymerization and post-treatment devic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104B2 (en) * 1990-06-11 1995-05-31 エフ ラジー ファローク Nondestructive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for concrete
JPH07244043A (en) * 1994-03-04 1995-09-19 Shimizu Corp Testing method for material separation in concrete
JP2001513881A (en) * 1997-02-19 2001-09-04 ペーター シースル Electrode structure group for corrosion measurement system that detects corrosion of metal embedded in structural part made of ion conductive material
JP2000035389A (en) * 1998-07-16 2000-02-02 Daiwa House Ind Co Ltd Method for curing concrete sample and curing container
KR101300813B1 (en) 2006-07-11 2013-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screen size of projector and an apparatus therefor
KR101055224B1 (en) 2009-07-27 2011-08-1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Nondestructive Corrosion Diagnosis System by Estimating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Structures
CN202126425U (en) * 2011-05-10 2012-01-25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Concrete pouring quality testing instrument
JP2013015382A (en) * 2011-07-02 2013-01-24 Shimizu Corp Method for testing quality management of crack suppression control
KR101415350B1 (en) * 2013-07-09 2014-07-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Apparatus for measuring samples
JP2015180801A (en) * 2015-05-07 2015-10-15 佐藤工業株式会社 Resistance value measurement formwork for placed concre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1421A (en) * 2019-06-21 2019-10-22 中铁十六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Anti- Tunnel Second Lining concreting not Satiation devices and detection method
CN110361421B (en) * 2019-06-21 2022-06-21 中铁十六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Device for preventing tunnel secondary lining concrete from being poured insufficiently and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276B1 (en)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9146A (en)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Method
Morris et al. Practical evaluation of resistivity of concrete in test cylinders using a Wenner array probe
KR20190029147A (en)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Device
CN108593721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full grouting sleeve is full by resistance method
US7813883B2 (en) Remotely reconfigurable system for mapping subsurface geological anomalies
US20080136421A1 (en) Remotely reconfigurable system for mapping subsurface geological anomalies
CN109959683B (en) Detection method for sleeve grouting compactness quality
KR20190082731A (en) Concrete segregation measuring method
CN208091964U (en) A kind of device that grouting material plumpness is detected using metal detection line
CN109856191A (en) A method of detection sleeve grouting quality
CN105893688A (en) Performance-based drainage type asphalt stabilized macadam mixture ratio design method
CN107894437B (en) Method for monitoring hydration process of concrete expansion joint construction in severe cold area
CN110388894A (en) Roadbed monitoring device
JP3550893B2 (en) How to check the filling status of cast concrete
KR101668944B1 (en) Slope stability assessment method with anchor
CN106442946A (en) Grout state and strength determining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CN209310792U (en) Roadbed monitoring device
JP6230876B2 (en) Inspection method of cavity repair method of structure
US7055254B1 (en) Tiltsensor
CN207936886U (en) A kind of device measuring thickness of concrete floor
Millard et al. Novel method for linear polarisation resistance corrosion measurement
Thoresen et al. Frequency dependency of concrete resistance measurements
CN111155404A (en) Double-layer drainage asphalt pavement quality detection method
RU2369506C2 (en) Method of diagnosing concrete sleeper insulator state
AU2021105197A4 (en) A thermal conductivity meter for determining thermal conductivity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