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684A -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684A
KR20190028684A KR1020190028115A KR20190028115A KR20190028684A KR 20190028684 A KR20190028684 A KR 20190028684A KR 1020190028115 A KR1020190028115 A KR 1020190028115A KR 20190028115 A KR20190028115 A KR 20190028115A KR 20190028684 A KR20190028684 A KR 20190028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e
case
outer case
communication hole
vacuum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217B1 (ko
Inventor
정원영
윤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2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여 냉장고의 단열기능을 제고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는, 소정의 저장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측으로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연통구가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와; 상기 진공 공간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와 외부케이스의 연통구를 연결하여 배수 또는 배관이 통과하는 통로를 이루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본 발명은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여 냉장고의 단열기능을 제고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저장실의 온도를 영상 또는 영하의 온도로 유지하여, 저장물을 냉장보관 또는 냉동보관할 수 있는 전기 제품이다.
냉장고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면,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그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본체의 경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는 단열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단열재에 의하여 외부 온도에 의하여 저장공간 내의 온도가 영향받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단열재로는 우레탄 발포재가 많이 사용되는데, 액상의 우레탄을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주입하여 발포 성형하였다.
다만, 단열재를 이용하여 단열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열재의 두께가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하고, 이는 그만큼 단열재가 두꺼워지는 것을 의미하며, 자연적으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의 벽 두께가 두꺼워져서 냉장고의 크기가 그만큼 커지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냉장고의 컴팩트화 경향이 대두되어, 내부 저장공간의 용적은 크게 하면서도 외부 크기는 종전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의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단열재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여 단열하는 새로운 구조의 냉장고를 제안한다.
한편, 냉장고에서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증발기에 수증기가 냉각되어 서리로 되어 붙으므로 이를 가열하여 물로 만든 다음 제거하는 제상장치가 구비된다.
이렇게 제상장치에 의해 융해된 물은 배수관을 통해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배수관은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및 그 사이의 단열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배수관 외에도 냉장고 내부에서 외부로 배관이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발포재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경우에, 상기 배관은 상기 내부케이스, 단열재 및 외부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파이프를 단순히 연결하면 되었다.
그래서, 상기 파이프는 단순히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것을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를 관통하도록 배관한 다음 상기 단열재를 발포 성형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진공 냉장고의 경우, 상기 배관이 진공 공간부를 통과하도록 연결되면서도 진공 공간부의 밀폐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플라스틱 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 부위의 밀폐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진공 공간부의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강판으로 형성되는 상기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와 용접될 수 있는 금속 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배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관을 통해 열전달이 이루어져 냉장고의 단열 성능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여 단열 효과를 높이는 한편, 외부 용적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면서도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그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가진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는 배수, 배관 또는 냉매관이 통과하면서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연결관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도록 연결된 연결관을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결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는, 소정의 저장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측으로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연통구가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와; 상기 진공 공간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와 외부케이스의 연통구를 연결하여 배수 또는 배관이 통과하는 통로를 이루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진공 공간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강도를 유지하고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하도록 그 측벽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은 벨로우즈(bellows) 타입의 파이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은 금속 박판을 성형하여 제작되고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외부케이스와 각각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의 측벽 주름부는 0.05~0.2mm의 금속 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스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와 간섭되지 않도록 스페이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지지판 및 상기 제2지지판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외부케이스와 각각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은 그 내면에 부식방지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통상의 단열재가 아닌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진공 공간부에 의하여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의 열 전달이 억제되는 단열작용이 이루어진다.
진공 상태의 단열효과가 통상적인 단열재에 의한 단열효과보다 현저하게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종래의 냉장고보다 단열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진공 공간부의 경우, 그 두께(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의 간격)에 무관하게 진공 상태만 유지되면 단열이 되나, 통상의 단열재의 경우,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열재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고, 이러한 두께의 증가는 곧 냉장고의 크기의 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종래의 냉장고와 비교하여, 그 저장공간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외부케이스 부분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냉장고의 컴팩트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는 배수 또는 배관이 통과하면서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연결관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도록 연결된 연결관을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의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벨로우즈 타입의 파이프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탄성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여 연결관이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관과 그 주위의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관을 별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및 그 사이의 스페이서와 그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케이스 구조에 도 4의 연결관이 용접되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연결관 내면에 플라스틱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여 연결관이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의 연결관과 그 주위의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연결관을 별도로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도어(4)와, 상기 본체(1)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도어(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도어(4)는 저장실 중 냉동실을 개폐하고, 제2도어(5)는 저장실 중 냉장실을 개폐하는 기능을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의 냉장고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의 냉장고는 냉동실이 좌측에 배치되고 냉장실이 우측에 배치된 소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by-side type) 냉장고이나,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어떻게 배치되든지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또는 냉동실만 구비된 냉장고나 냉장실 및 냉동실 이외에 별도의 냉각실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1)의 구조를 보면, 내측으로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상기 내부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케이스(120)와;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130)와; 상기 진공 공간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112)와 외부케이스의 연통구(122)를 연결하여 배수 또는 배관이 통과하는 통로를 이루는 연결관(20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내부케이스(11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공간에는 별도의 단열재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 단열작용을 한다.
즉,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내부케이스(110) 사이에는 진공 공간부(130)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간의 열전달을 매개하는 매질이 제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럼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120) 외부의 더운 공기의 열이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그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편의상 상기 연결관(200)을 생략한 상태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및 스페이서(150)를 도시하였다.
상기 연결관(200)과 상기 스페이서(150)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연결관(200)은 이를 통해 증발기 등의 제상수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이용되거나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내부로부터 외부케이스(120)의 외부로 연결되는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200)은 진공 공간부(130)를 관통하면서 진공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와의 연결부가 각각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는 모두 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연결관(200)은 강판과 용접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진공 공간부(130)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강도를 유지하고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하도록 그 측벽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200)의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진 측벽 부분을 측벽 주름부(240)라 명명한다.
이 측벽 주름부(240)는 진공 공간부(130) 내외의 진공 압력차를 견뎌야 하므로 강도가 우수해야 한다.
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단순히 두꺼운 강판으로 파이프 형태의 연결관을 만들어 용접하여 연결하는 경우, 강도는 충분할지 모르나 연결관을 통해 전도되는 열에 의해 단열 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벽 주름부(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멍이 뚫린 복수의 금속 박판을 적층하되 그 내경 부위와 외경 부위끼리 순차적으로 용접하여 측면 윤곽이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벽 주름부(240)의 형태를 벨로우즈(bellows) 타입의 파이프 형태라고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연결관(200)은 그 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벨로우즈 타입의 파이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의 측벽 주름부(240)는 금속 박판을 적층하면서 그 내경 부위와 외경 부위끼리 순차적으로 용접하여 제작되고, 상기 측벽 주름부(240)는 다시 상부관부(220) 및 하부관부(230)와 그 상부 및 하부에서 용접되어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는 각각 소정의 높이, 지름 및 두께를 가진 원형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측벽 주름부(240)와 용접되어 연결관(200)을 구성한다.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의 높이는 상기 측벽 주름부(240)와 상기 진공 공간부(130)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는 상기 외부케이스(120) 및 내부케이스(110)와 용접되었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상면 및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하면보다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는 상기 외부케이스(120) 및 내부케이스(110)와 용접되었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상면 및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하면과 그 높이가 일치되도록 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관(200)의 측벽 주름부(240)의 높이도 상기 진공 공간부(130)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형성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측벽 주름부(240)의 높이가 상기 진공 공간부(130)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도 6에서는 상기 측벽 주름부(240)의 높이가 상기 진공 공간부(13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200)의 측벽 주름부(240)의 형태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측벽 주름부(240)의 형태에 의해 금속 박판의 강도를, 특히 반경 방향의 진공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훨씬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관(200)을 통해 열이 전도되는 경로를 매우 길게 형성함으로써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에는 미리 연통구(112, 122, 도 6 참조)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상부관부(220)가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연통구(112)와 용접되고 상기 하부관부(230)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연통구(122)와 용접되어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00)의 측벽 주름부(240)는 금속 박판을 적층하면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상기 상부관부(220), 측벽 주름부(240) 및 하부관부(230)가 가압 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작된 연결관(200)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
*상기 연결관(200)의 측벽 주름부(240)는 0.05~0.2mm의 금속 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 주름부(240)는 진공 공간부 내에서 진공 압력을 견뎌야 하므로 0.05mm 이상이 되어야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 주름부(240)는 상기 외부케이스(120)로부터 내부케이스(110)로 전도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통로가 되므로, 0.2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는 상기 측벽 주름부(240)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겠지만, 적정 강도만 유지할 수 있다면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줄이기 위해 너무 두껍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210)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제1지지판(160)과, 상기 제1지지판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서(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진공 공간부(130)가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복수의 스페이서(spacer)(150)가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의 스페이서(150)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어 지지한다.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사이에 복수 개가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가 상기 제1지지판(160)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지지판(160)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중 어느 일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제1지지판(160)이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제1지지판(160)이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160)이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판(17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1지지판(160)의 스페이서(150)가 상기 제2지지판(170)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연결관(200)을 보면, 그 측벽 주름부(240)가 인접하는 두 스페이서(15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은 인접하는 4개의 스페이서(150) 사이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스페이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상기 연결관(200)을 복수의 스페이서(150)가 배치된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 사이에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연결관(200)으로부터 상기 스페이서(150)로의 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본체(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중 어느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판(1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지지판(170)이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는 상기 제1지지판(160)에 고정 배치되어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지지판(160)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면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판(170)은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는 결국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지지판(160)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2지지판(170)을 구비하고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페이서(150)가 일체로 고정되어 배치된 제1지지판(160)만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제2지지판(170)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의 단부가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될 것이다.
도 5에서는 편의상 상기 연결관(200)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하였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 5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판(170)은 그 내측면에 상기 복수의 스페이스(15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홈부(17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판(170)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175)는 상기 제1지지판(160)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스페이스(150)에 상기 제2지지판(170)을 포갤 때 스페이서(150)들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의 단부는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확대된 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150)의 단부를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시 각 스페이서(150)의 단부가 상기 제2지지판(170)에 형성된 홈부(175)에 쉽게 안착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훨씬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판(170)의 복수의 홈부(175)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의 형태에 대응하여 오목한 곡면 형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판(170)의 복수의 홈부(175)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조립시 위치 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 후에도 제2지지판(170)이 그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제1지지판(160) 및 상기 제2지지판(170)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각각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보면,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에 상기 연결관(200)의 하부와 상부가 용접될 수 있도록 각각 연통구(112, 1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의 각 외측면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연통구(112) 및 외부케이스(120)의 연통구(122)에 각각 용접된다.
또한, 상술한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에도 상기 연결관(200)과 동심원인 연통구(162, 17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의 연통구(162, 172)는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의 연통구(112, 122)보다 지름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는 강판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은 금속, 세라믹, 강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연결관(200)을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와 용접할 때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인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의 연통구(162, 172)를 상기 지지판의 연통구(112, 122)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관(200)은 그 내면에 부식방지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관(200)은 그 내면으로 물이나 냉매 등의 액체가 흐르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내면이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의 내면에 플라스틱 등으로 코팅층(260)을 형성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의하면,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는 배수 또는 배관이 통과하면서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연결관 구조를 가진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의 측벽을 주름진 벨로우즈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연결관을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 본체
4, 5: 도어
110: 내부케이스
112: 연통구
120: 외부케이스
122: 연통구
130: 진공 공간부
150: 스페이서
160: 제1지지판
162: 연통구
170: 제2지지판
172: 연통구
175: 홈부
200: 연결관
220: 상부관부
230: 하부관부
240: 측벽 주름부
260: 코팅층

Claims (15)

  1. 소정의 저장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측으로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연통구가 형성된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상기 진공 공간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구조; 그리고
    상기 진공 공간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와 외부케이스의 연통구를 연결하며, 상기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는 통로를 이루며, 진공 압력을 견디도록 구비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보면 중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 그리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지지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배치된 상태로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지지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을 통한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열전달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의 두께가 상기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의 두께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연결관을 통한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열 전도 경로의 두께(단면적)가 작게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관을 통한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열 전도 경로의 길이가 상기 진공 공간부의 두께(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에 형성된 연통구를 관통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지지부에 형성된 연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진공 공간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진공 압력을 견디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연통구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경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의 지름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연통구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에 형성된 연통구의 지름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의 지름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연통구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복수 개의 스페이서와 비간섭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소정의 저장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측으로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연통구가 형성된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상기 진공 공간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구조; 그리고
    상기 진공 공간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와 외부케이스의 연통구를 연결하며, 상기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는 통로를 이루며, 진공 압력을 견디도록 구비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지지구조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을 통한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열전달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의 두께가 상기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의 두께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연결관을 통한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열 전도 경로의 두께(단면적)가 작게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관을 통한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열 전도 경로의 길이가 상기 진공 공간부의 두께(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보면 중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지지부에 형성된 연통구를 관통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지지부에 형성된 연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진공 공간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진공 압력을 견디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연통구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경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의 지름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연통구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에 형성된 연통구의 지름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의 지름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연통구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제1지지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배치된 상태로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90028115A 2019-03-12 2019-03-12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94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115A KR101994217B1 (ko) 2019-03-12 2019-03-12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115A KR101994217B1 (ko) 2019-03-12 2019-03-12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937A Division KR101960320B1 (ko) 2018-05-21 2018-05-21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415A Division KR102031216B1 (ko) 2019-06-21 2019-06-21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684A true KR20190028684A (ko) 2019-03-19
KR101994217B1 KR101994217B1 (ko) 2019-09-30

Family

ID=6590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115A KR101994217B1 (ko) 2019-03-12 2019-03-12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2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296A (ko) * 2003-09-18 2005-03-2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냉장고
KR20090059660A (ko) * 2007-12-07 200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09174797A (ja) * 2008-01-25 2009-08-06 Panasonic Corp 冷蔵庫
KR20110072686A (ko) *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단열재를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296A (ko) * 2003-09-18 2005-03-2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냉장고
KR20090059660A (ko) * 2007-12-07 200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09174797A (ja) * 2008-01-25 2009-08-06 Panasonic Corp 冷蔵庫
KR20110072686A (ko) *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단열재를 구비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217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831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61832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90076939A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60320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123614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90028684A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408210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206077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547150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62146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82314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182071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491917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332599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98497B1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90075871A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200070195A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80098192A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200111146A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80097485A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