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525A -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525A
KR20190028525A KR1020197004483A KR20197004483A KR20190028525A KR 20190028525 A KR20190028525 A KR 20190028525A KR 1020197004483 A KR1020197004483 A KR 1020197004483A KR 20197004483 A KR20197004483 A KR 20197004483A KR 20190028525 A KR20190028525 A KR 20190028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tu
width
dividing
heigh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877B1 (ko
Inventor
인 자오
하이타오 양
샨 가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6Tree coding, e.g. quad-tre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디코딩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는 단계 - 여기서, 하나 이상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고,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음 - 와;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일부 형상의 CU의 분할은 디코딩 중에 값 범위에 따라 배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CU의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이전에 사용된 일부 분할 정보가 비트스트림에서 절감될 수 있으므로 비트 점유율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인코딩 및 디코딩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인코딩할 때, 인코더 측은 통상적으로 화상의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CTU)을 복수의 코딩 유닛(Coding Unit, CU)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CU를 인코딩한다. 인코더 측은 CTU를 복수의 CU로 복수의 분할 방식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 측은 쿼드 트리(Quadtree, QT), 3 진 트리(Ternary Tree, TT) 및 2 진 트리(Binary Tree, BT)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분할 유형에 따라 CTU를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인코더 측은 CTU를 분할하여 획득한 CU를 더 분할하여 더 작은 CU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CTU를 복수의 CU로 분할하는 많은 다양한 분할 방식이 있다. 인코더 측은 통상적으로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rate-distortion optimizat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가능한 모든 분할 방식 중에서 가장 낮은 레이트 왜곡 코스트에 대응하는 분할 방식을 타겟 분할 방식으로서 선택하고, 이 타겟 분할 방식으로 CTU를 분할하고, CTU를 분할하여 획득한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한다.
타겟 분할 방식을 선택할 때, 인코더 측은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실현 가능한 분할 방식으로 인코딩의 수행을 시도하고, 분할 방식에 대응하는 레이트 왜곡 코스트를 비교하여 최적화 분할 방식을 획득할 필요가 있다. 실현 가능한 분할 방식이 비교적 많은 경우, 비교적 대량의 계산이 요구되고, 인코더 측의 계산 복잡도는 증가하게 된다.
본 출원은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인코딩 및 디코딩의 효율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디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width-to-height ratio)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고,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음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며, 그에 따라, 디코딩 동안 상기 허용 값 범위에 기초하여 분할 방식이 배제될 수 있고, 그 일부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이전에 사용된 일부 분할 정보가 비트스트림에서 절감될 수 있어서 비트 점유율이 감소될 수 있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CTU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는 단계는: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때,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은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은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정보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제 1 정보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높이 대 폭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대안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또는 단변 대 장변의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CTU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 1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와;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인 경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1 플래그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정보는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된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인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인코딩될 화상에서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내에 속함 - 와; 상기 타겟 분할 방식에서 상기 CTU를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CU를 획득하는 단계 -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음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CTU의 인코딩 동안,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복수의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이 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코딩 동안 CTU를 분할하는 데 일부 분할 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인코딩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CTU의 분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상기 분할 정보를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정보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제 1 정보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높이 대 폭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높이 대 폭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높이 대 폭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높이 대 폭 비 및 최소 허용 높이 대 폭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낼 수 있고, 폭 대 높이 비 또는 높이 대 폭 비가 구체적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장변 대 단변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와; 제 1 플래그 정보를 비트스트림 내에 기입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와;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정보는,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디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는 쿼드 트리 유형에 따라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임 - 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는 단계 -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함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며, 그에 따라, 디코딩 동안 상기 허용 값 범위에 기초하여 일부 분할 방식이 배제될 수 있고, 그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이전에 사용된 일부 분할 정보가 비트스트림에서 절감될 수 있어서 비트 점유율이 감소될 수 있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CTU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는 단계는: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여 쿼드 트리 깊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CU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때,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은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은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정보가,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제 1 정보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높이 대 폭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또는 단변 대 장변의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CTU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 1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와;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1 플래그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제 1 정보는 복수 개의 서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정보 중 임의의 하나는 쿼드 트리(QT)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인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인코딩될 화상에서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는 쿼드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임 - 와;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내에 속함 - 와; 상기 타겟 분할 방식에서 상기 CTU를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CU를 획득하는 단계 -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음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CTU의 인코딩 동안,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복수의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이 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코딩 동안 CTU를 분할하는 데 일부 분할 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인코딩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CTU의 분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상기 분할 정보를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정보가,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제 1 정보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높이 대 폭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율(또는 단변 대 장변의 비율)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와; 제 1 플래그 정보를 비트스트림 내에 기입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와;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며 상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제 1 정보는 복수 개의 서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정보 중 임의의 하나는 쿼드 트리(QT)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디코더가 제공되며, 상기 디코더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을 포함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인코더가 제공되며, 상기 인코더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을 포함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디코더가 제공되며, 상기 디코더는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을 포함한다.
제 8 양태에 따르면, 인코더가 제공되며, 상기 인코더는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을 포함한다.
제 9 양태에 따르면, 비휘발성 저장 매체 및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디코더가 제공되며,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접속되며 제 1 양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 10 양태에 따르면, 비휘발성 저장 매체 및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인코더가 제공되며,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접속되며 제 2 양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 11 양태에 따르면, 비휘발성 저장 매체 및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디코더가 제공되며,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접속되며 제 3 양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 12 양태에 따르면, 비휘발성 저장 매체 및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인코더가 제공되며,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접속되며 제 4 양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 13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 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 14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 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 15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 3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 16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 4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도 1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개략도이다.
도 2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개략도이다.
도 3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개략도이다.
도 4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개략도이다.
도 5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개략도이다.
도 6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인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고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인코딩 방법,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먼저 인코딩 및 디코딩 프로세스에서의 관련 개념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화상을 인코딩할 때, 인코더 측 디바이스는 화상을 복수의 CTU로 분할할 수 있다. CTU는 일반적으로 N × N 정사각형 영역(즉, N × N 픽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픽셀 행렬)이며, CTU의 크기는 H.265 비디오 코딩 표준에서 일반적으로 64 × 64이다.
또한, CTU는 복수의 CU로 더 분할될 수 있다. 각 CU는 A × B 직사각형 영역이다. A는 직사각형의 폭이고, B는 직사각형의 높이이며, A와 B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A와 B 각각의 값은 2의 정수의 멱승으로 된다. 예를 들어, A 및 B의 각각은 4, 8, 16, 32, 64, 128 등일 수 있다.
CTU의 분할 중에, CTU는 복수의 분할 유형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분할 유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쿼드 트리:
쿼드 트리는 트리형 구조이며, 하나의 노드는 네 개의 서브 노드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U는 쿼드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분할되어 동일한 크기의 네 개의 CU, 즉, a, b, c 및 d가 획득된다.
2 진 트리:
2 진 트리는 또한 트리형 구조이며, 하나의 노드는 두 개의 서브 노드로 분할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U는 2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2 개의 CU, 즉, 좌측의 a와 우측의 b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CTU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으로서, 이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상부의 a와 하부의 b로 분할될 수 있다.
3 진 트리:
3 진 트리는 비교적 특수한 트리형 구조이며, 하나의 노드는 세 개의 서브 노드로 분할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U는 3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전체 3 개의 CU, 즉, 좌측의 a와 우측의 c와 중앙의 b로 분할될 수 있다. a의 크기는 c의 크기와 동일하고 a의 크기는 b의 크기의 절반이다. 또한, CTU는 대안으로서, 3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U는 대안으로서, 3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상부의 a와 중앙의 b와 하부의 c로 분할될 수 있다. a의 크기는 c의 크기와 동일하고, a의 크기는 b의 크기의 절반이다.
하나의 CTU는 복수의 CU로 분할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CU는 더 작은 CU를 획득하기 위해 더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4 × 64 CTU는 먼저 쿼드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4 개의 32 × 32 CU로 분할될 수 있다. 네 개의 32 × 32 CU의 우측 하부의 CU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지만 다른 CU는 더 분할된다. 좌측 상부의 CU는 먼저 2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두 부분으로 분할되고, 그 후 좌측의 CU는 2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a와 b로 더 분할된다. 우측 상부의 CU는 2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d와 e로 분할된다. 좌측 하부의 CU는 먼저 쿼드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동일한 크기의 네 개의 CU로 분할된 다음, 좌측 상부의 CU와 우측 하부의 CU가 더 분할되어 최종적으로 f, g, h, i, j, k 및 l이 획득된다.
도 6은 CTU를 복수의 CU로 분할하는 최종 분할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CTU를 분할할 때, 인코더는 분할될 필요가 있는 각 CTU에 대해 다양한 가능한 분할 유형(쿼드 트리, 2 진 트리 및 3 진 트리) 및 분할 방향(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시도하며,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CTU를 다양한 분할 방식으로 복수의 CU로 분할하기 위한 레이트 왜곡 코스트를 계산하고, CTU를 분할하기 위해 가장 낮은 레이트 왜곡 코스트에 대응하는 분할 방식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즉, 인코더는 CU 분할 동안 다양한 가능한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을 시도해야 하고, 결과적으로 인코더의 계산 복잡도가 증가하고 인코딩 효율이 저하된다.
통계 분석을 통해, CTU가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선택되는 비교적 선호되는 분할 방식으로 분할되는 경우, CTU에서 장변 대 단변의 비가 더 큰(또는 더 큰 폭 대 높이 비 또는 더 큰 높이 대 폭 비를 가진) CU는 CTU에서 보다 작은 비율을 점유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CTU를 비교적 선호되는 분할 방식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가 특정의 임계치보다 작고, CU의 장변 대 단변의 과도하게 큰 비를 야기하는 분할 방식은 선호되는 분리 방식을 결정하는 동안 바로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의 허용 값 범위를 설정하여, 인코더에 의한 CTU 분할 방식의 선택의 계산 복잡도를 저감하고, 인코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디코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의 방법은 디코더 측 디바이스, 디코더 또는 디코딩 기능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110.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 내의 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CU의 폭 대 높이의 비는 CU의 "폭 대 높이 비"라고 간단히 지칭될 수 있다. CU의 폭 대 높이 비는 CU의 높이의 값에 대한 폭의 값의 비율일 수 있다. 폭과 높이의 값은 픽셀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CU의 폭과 높이의 값은 각각 32 픽셀과 16 픽셀이다(이 경우, CU의 폭 대 높이 비는 2이다).
선택적으로, CTU는 디코딩될 화상 내의 하나의 특정의 CTU일 수 있고, 이 경우, 제 1 정보는 이 특정의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대안으로서, CTU는 디코딩될 화상 내의 복수의 CTU일 수 있고, 이 경우, 제 1 정보는 복수의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즉, 제 1 정보는 하나의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낼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최대 폭 대 높이 비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이며, 최소 폭 대 높이 비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이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높이 대 폭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높이 대 폭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높이 대 폭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높이 대 폭 비 및 최소 허용 높이 대 폭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또는 단변 대 장변의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낼 수 있고, 폭 대 높이 비 또는 높이 대 폭 비가 특정적으로 표시되는지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장변 대 단변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현 가능한 일부 구현예에서, 대안으로서, 제 1 정보는 CU의 높이 또는 폭의 값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U의 허용 높이는 CTU의 높이의 1/N이며, N은 사전 설정된 정수이며; CU의 허용 폭은 CTU의 폭의 1/M이며, M은 사전 설정된 정수이다.
비트스트림은 인코딩 측 디바이스 또는 인코더가 인코딩될 화상을 인코딩한 후 생성되는 비트스트림일 수 있다.
제 1 정보는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SPS), 화상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PPS), 슬라이스 헤더(slice header)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slice segment header) 중의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정보가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 디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내의 제 1 정보는 디코딩될 화상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화상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파라미터 세트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디코딩될 화상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슬라이스 헤더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코딩될 화상 내의 각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헤더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슬라이스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코딩될 화상 내의 각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된다.
120.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한다.
130.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며,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CTU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는 단계는: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CTU의 분할 동안, CTU는 처리될 CU를 획득하기 위해 적어도 한번 먼저 분할될 수 있다. 처리될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고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이고, 처리될 CU는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CU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더 분할될 필요가 없는 CU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CU는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CU이다.
선택적으로,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한 경우, 분할 정보는 제 1 CU의 분할 유형만을 포함하고, 제 1 CU의 분할 방향은 포함하지 않는다.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한 경우,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는 제 1 CU를 제 1 CU의 제 1 정보 및 분할 유형에 기초하여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한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CU의 분할 방향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CU의 분할 유형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 정보에 의해 점유된 비트가 감소되어 비트 점유율이 감소된다.
분할 정보는 CTU 내의 각각의 결정될 CU의 분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분할 유형은 비분할, 쿼드 트리(quadtree) 분할 유형, 2 진 트리 분할 유형, 및 3 진 트리 분할 유형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할 방향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분할 유형은 분할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어떤 분할 유형이 사용될 것인지를 나타내지만,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이 수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또한, 본원에서 수평 방향은 CU의 폭과 평행한 방향이 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CU의 높이와 평행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쿼드 트리 분할 유형은 비교적 특수하며 분할 방향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CU의 분할 유형이 쿼드 트리 분할 유형인 경우, CU의 분할 정보는 분할 방향을 표시하지 않고 CU가 쿼드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더 분할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만을 나타낸다.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1)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최대 폭 대 높이 비, 즉,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최대 허용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4이고, 최대 폭 대 높이 비는 또한 4이고, CTU의 가용 분할 유형은 2 진 트리 분할 유형 및/또는 3 진 트리 분할 유형만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 1 CU를 분할하는 동안, 제 1 CU는 2 진 트리 분할 유형 또는 3 진 트리 분할 유형이 사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수직 방향으로만 분할될 수 있고, 수평 방향으로 분할될 수는 없다(왜냐하면, 분할이 수평 방향으로 수행되면 폭 대 높이 비가 더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CU의 분할 정보는 분할 방향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2)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최소 폭 대 높이 비, 즉,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최소 허용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1/4이고, 최소 폭 대 높이 비는 또한 1/4이고, CTU의 분할 유형은 2 진 트리 분할 유형 및/또는 3 진 트리 분할 유형만을 포함한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제 1 CU의 분할 중에, 제 1 CU는 어느 분할 유형이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수평 방향으로만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CU의 분할 정보는 분할 방향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1)과 (2)에서 폭 대 높이 비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예로서 사용된다. 실제로, 높이 대 폭 비는 대안으로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의 표시 방식은 유사하며, 간결성을 위해 그 세부사항은 본원에서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다음은 구체적인 예를 참조하여 상기 2 가지 경우 (1) 및 (2)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 1: 제 1 CTU의 가용 분할 유형은 2 진 트리 분할 유형 및 쿼드 트리 분할 유형을 포함한다. 제 1 CTU의 분할 동안, 제 1 CTU는 먼저 쿼드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프 노드(CU)로 분할되고, 쿼드 트리 리프 노드(CU)는 2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더 분할되거나 분할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CU는 2 진 트리에서 더 분할될 수 있는 CU이다(구체적으로, 제 1 CU의 2 진 트리 깊이(BT depth)는 가장 큰 2 진 트리 깊이보다 작고 제 1 CU의 장변은 CU의 최단변보다 길다).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최대 폭 대 높이 비와 동일할 때, 제 1 CU가 2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분할되면, 제 1 CU는 수직 방향으로만 분할될 수 있고, 분할 정보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최소 폭 대 높이 비와 동일할 때, 제 1 CU가 2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분할되면, 제 1 CU는 수평 방향으로만 분할될 수 있고, 분할 정보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예 2: 제 1 CTU는 먼저 쿼드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프 노드(CU)로 분할되고, 쿼드 트리 리프 노드(CU)는 2 진 트리 분할 유형 또는 3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더 분할되거나 분할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CU는 2 진 트리 또는 3 진 트리로 더 분할될 수 있는 CU이다(구체적으로, 제 1 CU의 2 진 트리 깊이 및 3 진 트리 깊이(TT depth)는 가장 큰 2 진 트리 깊이 및 3 진 트리 깊이보다 작고, 제 1 CU의 장변은 CU의 최단변보다 길며, CU의 2 진 트리 깊이와 3 진 트리 깊이가 N이라는 것은, 쿼드 트리 리프 노드(CU) 상에서 2 진 트리 분할 또는 3 진 트리 분할을 N 회 수행함으로써 CU가 획득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최대 폭 대 높이 비와 동일할 때, 제 1 CU가 2 진 트리 분할 유형 또는 3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더 분할되면, 제 1 CU는 수직 방향으로만 분할될 수 있고, 제 1 CU의 분할 정보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최소 폭 대 높이 비와 동일할 때, 제 1 CU가 2 진 트리 분할 유형 또는 3 진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분할되면, 제 1 CU는 수평 방향으로만 분할될 수 있고, 제 1 CU의 분할 정보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최대 폭 대 높이 비보다 작고 최소 폭 대 높이 비보다 큰 경우, 제 1 CU의 분할 정보는 제 1 CU의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을 포함한다.
즉, 일부의 경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고유하게 결정할 수 없는 경우, 제 1 CU의 분할 정보는 제 1 CU의 분할 유형뿐만 아니라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분할 정보 및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CTU에 포함되는 복수의 CU를 결정하는 단계는, 분할 정보 및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CTU를 최종적으로 복수의 CU로 분할하는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CTU를 상기 타겟 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최종 CU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40.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한다.
CU 디코딩은 엔트로피 디코딩, 역양자화, 역변환, 예측 및 루프 필터링과 같은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며, 그에 따라, 디코딩 동안 상기 허용 값 범위에 기초하여 일부 분할 방식이 배제될 수 있고, 그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이전에 사용된 일부 분할 정보가 비트스트림에서 절감될 수 있어서 비트 점유율이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7의 방법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7의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 1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와;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를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1 플래그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분할에 의해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충분히 큰 최대 폭 대 높이 비와 충분히 작은 최소 폭 대 높이 비 사이에 속한다는 것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최대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폭 대 높이 비는 사전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트스트림이 제 1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플래그 정보 내의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을 먼저 결정할 필요가 있고, 그 다음에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제 1 정보를 파싱할지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예를 들어, 0)일 때,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CTU의 분할 동안 고려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 1 정보는 파싱될 필요가 없다.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예컨대, 1)일 때,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CTU의 분할 동안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파싱될 필요가 있다.
대안으로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제 1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디폴트 값 범위일 수 있다. 제 3 값 및 제 4 값은 각각 0 및 1, 또는 1 및 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플래그 비트가 0일 때,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플래그 비트가 1일 때,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범위는 [1/4, 4]이다(즉, 폭 대 높이 비는 1/4 이상과 4 이하이다). 이 경우, 제 1 값 범위는 최소 폭 대 높이 비인 1/4 내지 최대 폭 대 높이 비인 4이다.
전술한 비트스트림은 인코더 또는 인코딩 측 디바이스가 인코딩될 화상을 인코딩한 후에 생성되는 비트스트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는 특히 신택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고정 길이 코드 또는 골롬(Golomb) 코드를 이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으며, 상기 디코더 측 디바이스는 비트스트림을 파싱함으로써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획득하여 제 1 정보를 획득한다.
제 1 정보가 신택스 엘리먼트에 의해 표현되는 구현예는 다음과 같다: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장변 대 단변 비가 사용될 때, 최대 장변 대 단변 비는 제 1 정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이 0, 1 및 2일 때, 최대 장변 대 단변 비는 각각 4, 8 및 16이거나; 또는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이 0, 1 및 2일 때, 최대 장변 대 단변 비는 각각 16, 8 및 4이거나; 또는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이 0, 1, 2 및 3일 때, 최대 장변 대 단변 비는 각각 4, 8, 16 및 32이다. 장변 대 단변 비와 1 간의 차이가 크다는 것은 직사각형이 보다 더 가늘어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장변 대 단변 비와 1 간의 차이가 작아진다는 것은 직사각형이 정사각형에 근접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최대 폭 대 높이 비, 최소 폭 대 높이 비, 최대 높이 대 폭 비, 최소 높이 대 폭 비 등은 본원의 제 1 정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를 이용하여 유사하게 획득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 1 정보가 신택스 엘리먼트에 의해 표현되는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다: 최대 폭 대 높이 비와 최소 폭 대 높이 비가 특히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최대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정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 및 신택스 엘리먼트 B를 사용하여 각각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이 0, 1 및 2인 경우 최대 폭 대 높이 비는 각각 16, 8 및 4이고; 신택스 엘리먼트 B의 값이 0, 1 및 2인 경우, 최소 폭 대 높이 비율은 각각 1/16, 1/8 및 1/4이다.
제 1 정보가 신택스 엘리먼트에 의해 표현되는 또 다른 구현예는 다음과 같다: 최대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폭 대 높이 비가 특히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최대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정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 0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한되지 않는다(또는 이 경우, 최대 폭 대 높이 비가 64와 같이 충분히 큰 값이고 최소 폭 대 높이 비가 1/64와 같이 충분히 작은 값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 1은, 최대 폭 대 높이 비가 4이고 최소 폭 대 높이 비가 1/4임을 나타내고;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 2는 최대 폭 대 높이 비가 8이고 최소 폭 대 높이 비가 1/8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이 0일 때,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신택스 엘리먼트 A의 다른 값은 다른 값 범위에 해당하며 이들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디코딩 방법을 디코더 측의 관점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인코더 측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인코딩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되는 인코딩 방법의 단계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된 디코딩 방법의 단계에 대응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결성을 위해, 반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된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의 방법은 인코더 측 디바이스, 인코더 또는 인코딩 기능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210. 인코딩될 화상 내의 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CU의 폭 대 높이의 비는 CU의 "폭 대 높이 비"라고 간단히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최대 폭 대 높이 비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이며, 최소 폭 대 높이 비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이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높이 대 폭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높이 대 폭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높이 대 폭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높이 대 폭 비 및 최소 허용 높이 대 폭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낼 수 있고, 폭 대 높이 비 또는 높이 대 폭 비가 구체적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장변 대 단변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정보는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퀀스, 화상, 슬라이스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가 먼저 설정될 수 있고(즉, 제 1 정보가 먼저 결정되며), 그 후 제 1 정보는 SPS, PPS,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어느 하나에 기입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정보가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내의 제 1 정보는 인코딩될 화상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화상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파라미터 세트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인코딩될 화상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슬라이스 헤더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될 화상 내의 각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헤더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슬라이스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될 화상 내의 각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된다.
220.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한다.
230. CTU를 타겟 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CU를 획득하고, 여기서,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의 각각은 하나의 분할 트리 구조에 대응될 수 있으며, CTU는 상기 분할 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중첩되지 않는 복수의 CU로 분할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U는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분할 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중첩되지 않는 복수의 CU(a, b, c, d, e, f, g, h, i, j , k, l, 및 m)로 분할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CTU는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 분할될 수 있고, 각 분할 방식에 대응하는 레이트 왜곡 코스트는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하고, 가장 낮은 레이트 왜곡 코스트에 대응하는 분할 방식이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으로서 선택된다.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CTU를 분할하는 것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타겟 분할 방식이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될 때,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분할 방식만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는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복잡도를 감소시킨다.
240. 하나 이상의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CTU의 인코딩 동안,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복수의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이 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코딩 동안 CTU를 분할하는 데 일부 분할 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인코딩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도 8의 방법은: CTU의 분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상기 분할 정보를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한 후에, 인코더 측은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분할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기입하고, 그에 따라, 디코더 측은 또한 디코딩 동안 그 타겟 분할 방식으로 CTU를 분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한 경우, 분할 정보는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고, 제 1 CU의 분할 방향은 포함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고 그리고 더 분할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CU이다.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한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CU의 분할 방향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CU의 분할 유형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 정보에 의해 점유된 비트가 감소되어 비트 점유율이 감소된다.
분할 정보는 CTU 내의 각각의 결정될 CU의 분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3)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최대 폭 대 높이 비, 즉,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최대 허용 값일 수 있다.
(4)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최소 폭 대 높이 비, 즉,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최소 허용 값일 수 있다.
(3)과 (4)에서 폭 대 높이 비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예로서 사용된다. 실제로, 높이 대 폭 비는 대안으로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의 표시 방식은 유사하며, 간결성을 위해 그 세부사항은 본원에서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8의 방법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 1 플래그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이다.
비트스트림이 제 1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플래그 정보 내의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을 먼저 결정할 필요가 있고, 그 다음에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제 1 정보를 파싱할지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예를 들어, 0)일 때,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CTU의 분할 동안 고려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 1 정보는 파싱될 필요가 없다.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예컨대, 1)일 때,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CTU의 분할 동안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파싱될 필요가 있다.
대안으로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제 1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디폴트 값 범위일 수 있다. 제 3 값 및 제 4 값은 각각 0 및 1, 또는 1 및 0일 수 있다.
전술한 것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다음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의 방법은 디코더 측 디바이스, 디코더 또는 디코딩 기능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310.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고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는 CTU를 쿼드 트리 유형에 따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이다.
CU의 폭 대 높이의 비는 CU의 "폭 대 높이 비"라고 간단히 지칭될 수 있다. CU의 폭 대 높이 비는 CU의 높이의 값에 대한 폭의 값의 비율일 수 있다. 폭과 높이의 값은 픽셀로 나타낼 수 있다.
실현 가능한 일부 구현예에서, 대안으로서, 제 1 정보는 CU의 높이 또는 폭의 값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U의 허용 높이는 이전의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CU의 높이의 1/N이며, N은 사전 설정된 정수이며; CU의 허용 폭은 이전의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CU의 폭의 1/M이며, M은 사전 설정된 정수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방법에서, 제 1 정보는 전체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낼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방법에서,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쿼드 트리 깊이는 일 예시적인 구현예이며, CTU를 CU로 반복적으로 분할하는 프로세스에서 깊이를 나타내고, 상기 깊이에서 다른 분할 방식으로 획득된 CU에, 예를 들어, 2 진 트리 분할 또는 3 진 트리 분할을 통해 획득된 CU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320.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대안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높이 대 폭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또는 단변 대 장변의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은 인코딩 측 디바이스 또는 인코더가 인코딩될 화상을 인코딩한 후 생성되는 비트스트림일 수 있다.
제 1 정보는 비트스트림 내의 SPS, PPS,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정보가 SPS에 포함되는 경우, 디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SPS 내의 제 1 정보는 디코딩될 화상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PPS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PPS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디코딩될 화상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슬라이스 헤더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코딩될 화상 내의 각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헤더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슬라이스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코딩될 화상 내의 각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된다.
330. 제 1 정보와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CTU를 분할하며, 여기서,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한다.
340.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한다.
CU 디코딩은 엔트로피 디코딩, 역양자화, 역변환, 예측 및 루프 필터링과 같은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며, 그에 따라, 디코딩 동안 상기 허용 값 범위에 기초하여 일부 분할 방식이 배제될 수 있고, 그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이전에 사용된 일부 분할 정보가 비트스트림에서 절감될 수 있어서 비트 점유율이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CTU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는 단계는: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여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CTU의 분할 동안, CTU는 쿼드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로 먼저 분할될 수 있고(특히,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네 개의 CU로 CTU를 분할할 수 있음), 그 후,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CU가 더 분할된다.
예를 들어, CTU가 쿼드 트리 분할 유형에 따라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네 개의 CU로 분할되고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하나의 CU만이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경우, 제 1 정보는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때,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은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은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한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CU의 분할 방향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CU의 분할 유형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 정보에 의해 점유된 비트가 감소되어 비트 점유율이 감소된다.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5)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최대 폭 대 높이 비, 즉,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최대 허용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8이고, 최대 폭 대 높이 비는 또한 8이고, CTU의 가용 분할 유형은 2 진 트리 분할 유형 및/또는 3 진 트리 분할 유형만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 1 CU를 분할하는 동안, 제 1 CU는 2 진 트리 분할 유형 또는 3 진 트리 분할 유형이 사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수직 방향으로만 분할될 수 있고, 수평 방향으로 분할될 수는 없다(왜냐하면, 분할이 수평 방향으로 수행되면 폭 대 높이 비가 더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CU의 분할 정보는 분할 방향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6)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최소 폭 대 높이 비, 즉,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최소 허용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1/8이고, 최소 폭 대 높이 비는 또한 1/8이고, CTU의 분할 유형은 2 진 트리 분할 유형 및/또는 3 진 트리 분할 유형만을 포함한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제 1 CU의 분할 동안, 제 1 CU는 어느 분할 유형이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수평 방향으로만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CU의 분할 정보는 분할 방향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5)과 (6)에서 폭 대 높이 비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예로서 사용된다. 실제로, 높이 대 폭 비는 대안으로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의 표시 방식은 유사하며, 간결성을 위해 그 세부사항은 본원에서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최대 폭 대 높이 비보다 작고 최소 폭 대 높이 비보다 큰 경우, 제 1 CU의 분할 정보는 제 1 CU의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을 포함한다. 즉, 일부의 경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고유하게 결정할 수 없는 경우, 제 1 CU의 분할 정보는 제 1 CU의 분할 유형뿐만 아니라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의 방법은,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9의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 1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와;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1 플래그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비트스트림이 제 1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플래그 정보 내의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을 먼저 결정할 필요가 있고, 그 다음에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제 1 정보를 파싱할지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예를 들어, 0)일 때,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CTU의 분할 동안 고려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 1 정보는 파싱될 필요가 없다.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예컨대, 1)일 때,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CTU의 분할 동안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파싱될 필요가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플래그 정보는 복수의 플래그 서브 정보를 포함한다. 복수의 플래그 서브 정보 중 임의의 하나는 QT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범위가 제한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플래그 서브 정보 중 임의의 하나의 값이 제 1 값일 때, QT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플래그 서브 정보의 임의의 하나의 값이 제 2 값일 때, QT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된다.
대안으로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예를 들어, 제 2 플래그 비트가 0일 때,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플래그 비트가 1일 때,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범위는 [1/8, 8]이다(즉, 폭 대 높이 비는 1/8 이상과 8 이하이다). 이 경우, 제 1 값 범위는 최소 폭 대 높이 비인 1/8 내지 최대 폭 대 높이 비인 8이다.
선택적으로, 제 1 정보는 CTU의 일부 QT 깊이에 존재하는 CU에 대해서만 유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TU에서 1보다 작거나 같은 QT 깊이의 CU, 또는 CTU에서 0보다 큰 QT 깊이에서의 CU, 또는 CTU에서 2보다 크거나 같은 QT 깊이에서의 CU, 또는 CTU에서 2보다 크거나 같은 QT 깊이에서의 CU, 또는 0과 2와 같은 QT 깊이에서의 CU에 대해서만 유효할 수 있다. 유효한 QT 깊이는 디폴트 값으로서 사전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한 QT 깊이는 디폴트로 0과 1이거나, 유효한 QT 깊이는 디폴트로 2보다 크거나 같다. 대안으로, 유효한 QT 깊이는 비트스트림 내의 신택스 엘리먼트를 파싱(parsing)함으로써 명시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스트림 내의 신택스 엘리먼트가 파싱되고,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 0, 1 및 2는 각각 유효한 QT 깊이가 0, 0 및 1, 0, 1 및 2임을 나타낸다. 다른 예로서, 비트스트림 내의 네 개의 인접 비트가 파싱되고, 제 1 비트 내지 제 4 비트는 각각 QT 깊이 0, QT 깊이 1, QT 깊이 2, 및 QT 깊이 3이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낸다(0은 "무효(invalid)", 1은 "유효(valid)"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정보는 복수의 플래그 서브 정보를 포함한다. 복수의 플래그 서브 정보 중 임의의 하나는 QT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상기 복수의 서브 정보는 복수의 QT 깊이와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거나, 상기 복수의 서브 정보 중 하나는 적어도 두 개의 QT 깊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보는 두 개의 서브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서브 정보는 QT 깊이 0에 존재하는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제 2 서브 정보는 QT 깊이 1에 존재하는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다른 예의 경우, 제 1 정보는 2 개의 서브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서브 정보는 QT 깊이 0 및 1에 존재하는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제 2 서브 정보는 1보다 큰 QT 깊이에 존재하는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다른 예의 경우, 제 1 정보는 세 개의 서브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서브 정보는 QT 깊이 0에 존재하는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제 2 서브 정보는 QT 깊이 1에 존재하는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제 3 서브 정보는 QT 깊이 2에 존재하는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제 1 정보는 다른 QT 깊이에 존재하는 C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보다 유연하게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어서, CTU는 보다 적절하게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작은 QT 깊이에 존재하는 CU에 대해 비교적 큰 값 범위의 폭 대 높이 비가 설정될 수 있어서, CU는 보다 다양한 형상의 CU로 분할될 수 있고, 비교적 큰 QT 깊이에 존재하는 CU에 대해 비교적 작은 값 범위의 폭 대 높이 비가 설정될 수 있어서, CU는 더 적은 형상의 CU로 분할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분할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비트가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특히 신택스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고정 길이 코드 또는 골롬(Golomb) 코드를 이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으며, 상기 디코더 측 디바이스는 비트스트림을 파싱함으로써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획득하여 제 1 정보를 획득한다.
제 1 정보는 하나 이상의 신택스 엘리먼트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장변 대 단변 비가 사용될 때, 최대 장변 대 단변 비는 제 1 정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이 0, 1 및 2인 경우, 최대 장변 대 단변 비는 각각 4, 8 및 16이거나; 또는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이 0, 1 및 2인 경우, 최소 장변 대 단변 비는 각각 16, 8 및 4이다.
최대 폭 대 높이 비, 최소 폭 대 높이 비, 최대 높이 대 폭 비, 최소 높이 대 폭 비 등은 본원의 제 1 정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를 이용하여 유사하게 획득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최대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폭 대 높이 비가 특히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최대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정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 및 신택스 엘리먼트 B를 사용하여 각각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이 0, 1 및 2인 경우, 최대 폭 대 높이 비는 각각 16, 8 및 4이고; 신택스 엘리먼트 B의 값이 0, 1 및 2인 경우, 최소 폭 대 높이 비는 각각 1/16, 1/8 및 1/4이다.
예를 들어, 최대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폭 대 높이 비가 특히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최대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정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 0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한되지 않는다(또는 이 경우, 최대 폭 대 높이 비가 64와 같이 충분히 큰 값이고 최소 폭 대 높이 비가 1/64와 같이 충분히 작은 값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 1은, 최대 폭 대 높이 비가 4이고 최소 폭 대 높이 비가 1/4임을 나타내고; 신택스 엘리먼트 A의 값 2는 최대 폭 대 높이 비가 8이고 최소 폭 대 높이 비가 1/8임을 나타낸다.
전술한 것은 도 9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디코딩 방법을 디코더 측의 관점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다음은 도 10을 참조하여 인코더 측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인코딩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되는 인코딩 방법의 단계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술된 디코딩 방법의 단계에 대응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결성을 위해, 반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의 방법은 인코더 측 디바이스, 인코더 또는 인코딩 기능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410. 인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고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는 CTU를 쿼드 트리 유형에 따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이다.
선택적으로,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대안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높이 대 폭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장변 대 단변의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낼 수 있고, 폭 대 높이 비 또는 높이 대 폭 비가 구체적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장변 대 단변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정보는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퀀스, 화상, 슬라이스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가 먼저 설정될 수 있고(즉, 제 1 정보가 먼저 결정되며), 그 후 제 1 정보는 SPS, PPS,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어느 하나에 기입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정보가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내의 제 1 정보는 인코딩될 화상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화상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파라미터 세트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인코딩될 화상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슬라이스 헤더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될 화상 내의 각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헤더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슬라이스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될 화상 내의 각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내의 제 1 정보는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내의 모든 CTU의 제 1 정보로서 사용된다.
420.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한다.
430. CTU를 타겟 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CU를 획득하고, 여기서,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CTU는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 분할될 수 있고, 각 분할 방식에 대응하는 레이트 왜곡 코스트는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하고, 가장 낮은 레이트 왜곡 코스트에 대응하는 분할 방식이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으로서 선택된다.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CTU를 분할하는 것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타겟 분할 방식이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될 때,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분할 방식만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는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복잡도를 감소시킨다.
440. 하나 이상의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CTU의 인코딩 동안,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복수의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이 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코딩 동안 CTU를 분할하는 데 일부 분할 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인코딩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도 10의 방법은: CTU의 분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상기 분할 정보를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한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CU의 분할 방향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CU의 분할 유형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 정보에 의해 점유된 비트가 감소되어 비트 점유율이 감소된다.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7)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최대 폭 대 높이 비, 즉,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최대 허용 값일 수 있다.
(8)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최소 폭 대 높이 비, 즉,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최소 허용 값일 수 있다.
(7)과 (8)에서 폭 대 높이 비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높이 대 폭 비는 대안으로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의 표시 방식은 유사하며, 간결성을 위해 그 세부사항은 본원에서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10의 방법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와; 제 1 플래그 정보를 비트스트림 내에 기입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와;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제 3 값 및 제 4 값은 각각 0 및 1, 또는 1 및 0일 수 있다.
전술한 것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다음은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인코딩 장치 및 디코딩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인코딩 장치 및 디코딩 장치는 각각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간결성을 위해, 반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의 디코딩 장치(1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1110) -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획득 모듈(1110)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됨 - 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며,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처리 모듈(1120)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됨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1120)은 구체적으로, CTU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처리 모듈(1120)은 구체적으로 제 1 정보 및 제 1 CU의 분할 유형에 기초하여 제 1 CU를 분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CTU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기 전에, 처리 모듈(1120)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 모듈(1110)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 1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고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된다. 처리 모듈(1120)은 구체적으로,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의 인코딩 장치(1200)는:
인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1210) - 상기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122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며,
상기 처리 모듈(1220)은 CTU를 타겟 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CU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여기서,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처리 모듈(1220)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1220)은 구체적으로,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1220)은 CTU의 분할 정보 -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를 결정하고; 상기 분할 정보를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도록 더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정보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1220)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고; 제 1 플래그 정보를 비트스트림 내에 기입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며 상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의 디코딩 장치(13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1310) - 상기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고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는 CTU를 쿼드 트리 유형에 따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이며, 상기 획득 모듈(1310)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됨 - 과;
제 1 정보와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1320) -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며, 상기 처리 모듈(1320)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됨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1320)은 구체적으로, CTU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상기 처리 모듈(1320)은 구체적으로 제 1 정보 및 제 1 CU의 분할 유형에 기초하여 제 1 CU를 분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CTU를 제 1 정보 및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기 전에, 처리 모듈(1320)은,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1320)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 1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고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됨 - ;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된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의 인코딩 장치(1400)는:
인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1410) - 상기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고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는 CTU를 쿼드 트리 유형에 따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임 - 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142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며,
상기 처리 모듈(1420)은 CTU를 타겟 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CU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여기서,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처리 모듈(1420)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1420)은 구체적으로,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으로부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1420)은 CTU의 분할 정보 -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를 결정하고; 상기 분할 정보를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도록 더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여기서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1420)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고; 제 1 플래그 정보를 비트스트림 내에 기입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1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결정되고;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2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3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의 값이 제 4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며 상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다음은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와, 인코딩 장치 및 디코딩 장치를 포함하는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또는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기능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본 출원의 인코딩 장치 및 디코딩 장치의 디코더에 통합될 수 있다. 다음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도 15 및 도 16의 유닛을 설명한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 또는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비디오 화상을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할 필요가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디바이스 내에 통합되어 상기 디바이스, 디스플레이(32)(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음) 및 키패드(34)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는 마이크로폰(36) 또는 임의의 적절한 오디오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입력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 입력일 수 있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다음의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는 헤드셋(38), 스피커 및 아날로그 오디오 또는 디지털 오디오 출력 커넥션 중 하나일 수 있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또한 배터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태양 전지, 연료 전지 또는 클록 발생기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모바일 에너지 디바이스에 의해 전력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다른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시야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외선 포트(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블루투스 무선 커넥션 또는 USB/라이브 와이어 유선 커넥션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근거리 통신 솔루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56)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56)는 메모리(58)에 접속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화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및/또는 제어기(56) 상에서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기(56)는 제어기(56)의 도움으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데 적합한 코덱(54)에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네트워크 인증 및 사용자 승인을 위해 사용되는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가령, 범용 집적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및 UICC 리더와 같은 카드 리더(48) 및 스마트카드(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5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는 제어기에 접속되며,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데 적합하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안테나(4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는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52)에 접속되어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52)에 의해 생성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 송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단일 프레임을 기록 또는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코덱(54) 또는 제어기는 단일 프레임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저장하기 전에 다른 장치로부터 처리될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50)는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화상을 수신하고 그 화상을 인코딩/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1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10)은 소스 장치(12) 및 목적지 장치(14)를 포함한다. 소스 장치(12)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며, 그에 따라, 소스 장치(12)는 비디오 인코딩 장치 또는 비디오 인코딩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목적지 장치(14)는 소스 장치(12)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으므로, 목적지 장치(14)는 비디오 디코딩 장치 또는 비디오 디코딩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소스 장치(12) 및 목적지 장치(14)는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또는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디바이스의 일 예일 수 있다. 소스 장치(12) 및 목적지 장치(14)는 데스크탑 컴퓨터, 모바일 컴퓨팅 장치, 노트북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셋탑 박스, 스마트폰과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 텔레비전, 카메라, 디스플레이 장치,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콘솔, 차량용 컴퓨터 또는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목적지 장치(14)는 채널(16)을 사용하여 소스 장치(12)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채널(16)은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소스 장치(12)로부터 목적지 장치(14)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매체 및/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16)은 소스 장치(12)가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목적지 장치(14)로 직접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소스 장치(12)는 통신 표준(예를 들어,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비디오 데이터를 목적지 장치(14)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는 무선 주파수(RF) 스펙트럼 또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전송선과 같은 무선 통신 매체 및/또는 유선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는 패킷 기반 네트워크(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 광역 통신망 또는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는 소스 장치(12)로부터 목적지 장치(14)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라우터, 스위치, 기지국,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채널(16)은 소스 장치(12)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목적지 장치(14)는 디스크 액세스 또는 카드 액세스를 통해 저장 매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블루레이 디스크, DVD, CD-ROM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복수의 로컬 액세스 데이터 저장 매체 또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디지털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채널(16)은 소스 장치(12)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서버 또는 중간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목적지 장치(14)는 파일 서버 또는 중간 저장 장치에 저장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 전송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다. 파일 서버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목적지 장치(14)로 송신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서버는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 사용되는) 웹 서버,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 FTP) 서버, 네트워크 부착형 저장(Network Attached Storage, NAS) 장치, 및 로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목적지 장치(14)는 표준 데이터 접속(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을 통해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데이터 접속의 예는 파일 서버에 저장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데 적합한 무선 채널(예를 들어, Wi-Fi 접속), 유선 접속(예를 들어, DSL 또는 케이블 모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스트리밍 전송, 다운로드 전송,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파일 서버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은 무선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은 공중 TV 브로드캐스팅 애플리케이션, 케이블 TV 전송 애플리케이션, 위성 TV 전송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전송 비디오 전송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의 인코딩 애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의 디코딩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다수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10)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 비디오 전송을 지원하여, 비디오 스트리밍 전송, 비디오 재생, 비디오 브로드캐스팅 및/또는 비디오 전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의 예에서, 소스 장치(12)는 비디오 소스(18), 비디오 인코더(20) 및 출력 인터페이스(22)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출력 인터페이스(22)는 변조기/복조기(모뎀) 및/또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소스(18)는 비디오 캡처 장치(예를 들어, 비디오 카메라), 이전에 캡처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일, 비디오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 또는 전술한 비디오 데이터 소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인코더(20)는 비디오 소스(18)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소스 장치(12)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 인터페이스(22)를 사용하여 목적지 장치(14)로 직접 송신한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또한 저장 매체 또는 파일 서버에 저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목적지 장치(14)는 그 후 디코딩 및/또는 재생을 위해 그 비디오 데이터에 액세스하게 된다.
도 17의 예에서, 소스 장치(14)는 입력 인터페이스(28), 비디오 디코더(30) 및 디스플레이 장치(32)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28)는 수신기 및/또는 모뎀을 포함한다. 목적지 장치(28)는 채널(16)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2)는 목적지 장치(14)에 통합되거나 목적지 장치(14)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2)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2)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인코더(20) 및 비디오 디코더(30)는 비디오 압축 표준(예를 들어, 고효율 비디오 코딩 H.265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고, HEVC 테스트 모델(HM)을 따를 수 있다. H.265 표준의 텍스트 설명 ITU-TH.265 (V3)(04/2015)는 2015 년 4 월 29 일에 릴리스되며 http://handle.itu.int/11.1002/1000/12455에서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이 파일의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구현예에서, "A에 대응하는 B"는 B가 A와 관련되고 B는 A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A에 기초하여 B를 결정한다는 것은 B가 A에 기초해서만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B는 A 및/또는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와 결합하여,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적 솔루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디자인 제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구현예가 본 출원의 이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처리에 대해,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목적으로,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처리가 참조되며, 그 세부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제공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일 예에 불과할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의 분할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예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다른 시스템 내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서 디스플레이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거나 그렇지 아닐 수도 있거나, 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산될 수도 있다.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은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의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거나, 적어도 두 개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그 기능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필수적인 기술적 솔루션 또는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디바이스(퍼스널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몇 가지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착탈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특정 구현예일 뿐이지만,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치환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따라야 한다.

Claims (80)

  1. 디코딩 방법으로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코딩 유닛(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며,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음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CTU를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때,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은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은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 및 제 1 CU의 상기 분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분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 1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와;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1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2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3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4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인
    디코딩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되는
    디코딩 방법.
  11. 인코딩 방법으로서,
    인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코딩 유닛(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함 - 와;
    상기 CTU를 상기 타겟 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CU를 획득하는 단계 -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음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방법은,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상기 비트스트림에 상기 분할 정보를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인코딩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방법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제 1 플래그 정보를 기입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와;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1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2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를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19.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3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4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인
    인코딩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며 상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되는
    인코딩 방법.
  21. 디코딩 방법으로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고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딩 유닛(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는 상기 CTU를 쿼드 트리 유형에 따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임 - 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분할하는 단계 -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함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CTU를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때,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은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은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 및 제 1 CU의 상기 분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CU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26. 제 2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27.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분할하기 전에, 상기 디코딩 방법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 1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와;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1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2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29.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3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4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인
    디코딩 방법.
  30. 제 2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되는
    디코딩 방법.
  31. 인코딩 방법으로서,
    인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고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딩 유닛(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는 상기 CTU를 쿼드 트리 유형에 따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임 - 와;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함 - 와;
    상기 CTU를 상기 타겟 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CU를 획득하는 단계 -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음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방법은,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상기 분할 정보를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는
    인코딩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37. 제 3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방법.
  38. 제 3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방법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제 1 플래그 정보를 기입하는 단계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1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2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인코딩 방법.
  39. 제 3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3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4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인
    인코딩 방법.
  40. 제 3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며 상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되는
    인코딩 방법.
  41. 디코딩 장치로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코딩 유닛(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됨 - 과;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하나 이상의 CU로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며,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음 - 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코딩 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CTU를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딩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CU를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딩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46. 제 41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디코딩 장치.
  47. 제 41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TU를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코딩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 1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1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고 결정되고,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2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되는
    디코딩 장치.
  49. 제 41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3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4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인
    디코딩 장치.
  50. 제 41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되는
    디코딩 장치.
  51. 인코딩 장치로서,
    인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코딩 유닛(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CTU를 상기 타겟 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CU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인코딩 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딩 장치.
  53. 제 51 항 또는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결정하고 -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상기 분할 정보를 기입하도록 더 구성되는
    인코딩 장치.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될 CU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인코딩 장치.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57. 제 51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인코딩 장치.
  58. 제 51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고;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제 1 플래그 정보를 기입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1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2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인코딩 장치.
  59. 제 51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3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4 값일 때,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인
    인코딩 장치.
  60. 제 51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며 상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되는
    인코딩 장치.
  61. 디코딩 장치로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 상기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고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딩 유닛(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는 상기 CTU를 쿼드 트리 유형에 따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이고,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됨 - 과;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디코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CU의 재구성된 픽셀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코딩 장치.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CTU를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CU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를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딩 장치.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CU를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딩 장치.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65.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66. 제 6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디코딩 장치.
  67. 제 6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TU를 분할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코딩 장치.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 1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1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고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2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됨 - ;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의 값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코딩 장치.
  69. 제 6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3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4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인
    디코딩 장치.
  70. 제 61 항 내지 제 6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의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되는
    디코딩 장치.
  71. 인코딩 장치로서,
    인코딩될 화상 내의 코딩 트리 유닛(CTU)의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 상기 제 1 정보는,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고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딩 유닛(CU)의 폭 대 높이 비의 허용 값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는 상기 CTU를 쿼드 트리 유형에 따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CU임 - 과;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에서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 내에 속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CTU를 상기 타겟 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CU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복수의 CU는 서로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CU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인코딩 장치.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레이트 왜곡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용 분할 방식 중에서 상기 CTU에 대한 타겟 분할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딩 장치.
  73. 제 71 항 또는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CTU의 분할 정보를 결정하고 -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타겟 분할 방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상기 분할 정보를 기입하도록 더 구성되는
    인코딩 장치.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정보는 분할 유형 및 분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에서 더 분할될 필요가 있는 제 1 CU의 분할 방향이 고유할 경우,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제 1 CU의 분할 유형을 포함하지만 상기 제 1 CU의 분할 방향을 포함하지는 않는
    인코딩 장치.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1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1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대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76.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CU의 상기 분할 방향이 고유하다는 것은: 상기 제 1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제 2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되, 상기 제 2 사전 설정된 값은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CU의 폭 대 높이 비의 사전 설정된 최소 허용 값이라는 것을 포함하는
    인코딩 장치.
  77. 제 71 항 내지 제 7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최대 허용 폭 대 높이 비 및 최소 허용 폭 대 높이 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인코딩 장치.
  78. 제 71 항 내지 제 7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된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된다고 결정하고;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제 1 플래그 정보를 기입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 1 플래그 정보는 제 1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1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1 플래그 비트가 제 2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허용 값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인코딩 장치.
  79. 제 71 항 내지 제 7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2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3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플래그 비트가 제 4 값일 때, 상기 쿼드 트리 깊이에 존재하며 상기 CTU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U의 폭 대 높이 비의 값 범위는 사전 설정된 제 1 값 범위인
    인코딩 장치.
  80. 제 71 항 내지 제 7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며 상기 인코딩될 화상에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화상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중 임의의 하나에서 운반되는
    인코딩 장치.
KR1020197004483A 2017-02-06 2017-02-06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2230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73004 WO2018141116A1 (zh) 2017-02-06 2017-02-06 编解码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525A true KR20190028525A (ko) 2019-03-18
KR102230877B1 KR102230877B1 (ko) 2021-03-22

Family

ID=6303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483A KR102230877B1 (ko) 2017-02-06 2017-02-06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095891B2 (ko)
EP (1) EP3477949B1 (ko)
JP (1) JP6745979B2 (ko)
KR (1) KR102230877B1 (ko)
CN (1) CN109845260B (ko)
ES (1) ES2963982T3 (ko)
MX (1) MX2019002383A (ko)
MY (1) MY197275A (ko)
PL (1) PL3477949T3 (ko)
WO (1) WO201814111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113A1 (ko) * 2019-03-21 2020-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 형태별로 블록 크기가 설정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13711611A (zh) * 2019-04-19 2021-11-26 字节跳动有限公司 变换跳过模式中的系数编解码
US11985323B2 (en) 2019-04-24 2024-05-14 Bytedance Inc. Quantized residual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representation of coded vide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427A1 (ko) * 2016-05-23 2017-11-30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영상 복호화 및 부호화 방법
KR102230877B1 (ko) * 2017-02-06 2021-03-2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
WO2019174594A1 (en) * 2018-03-14 2019-09-19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optimized splitting structure for video coding
CN113396586A (zh) * 2019-02-11 2021-09-1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条件依赖的视频块分割
US11677969B2 (en) * 2019-03-22 2023-06-13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8187A (ko) * 2010-07-09 2013-09-04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US20140192890A1 (en) * 2009-12-08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by motion prediction using arbitrary parti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by motion prediction using arbitrary partition
WO2014120367A1 (en) * 2013-01-30 2014-08-07 Intel Corporation Content adaptive parametric transforms for coding for next generation video
US9215463B2 (en) * 2009-12-17 2015-12-15 Sk Telecom Co., Ltd.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7763B (zh) * 2011-06-30 2016-02-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帧内预测的解码方法和解码装置
KR101606131B1 (ko) * 2011-08-08 2016-03-25 구글 테크놀로지 홀딩스 엘엘씨 변환 유닛 분할의 잔여 트리 구조
US9014480B2 (en) * 2012-07-19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Identifying a maximally stable extremal region (MSER) in an image by skipping comparison of pixels in the region
CN104904202A (zh) * 2012-09-28 2015-09-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使用参考画面信息进行并行视频编码的方法和设备以及用于使用参考画面信息进行并行视频解码的方法和设备
JP6731574B2 (ja) * 2014-03-06 2020-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符号化方法
WO2017008263A1 (en) * 2015-07-15 2017-01-19 Mediatek Singapore Pte. Ltd. Conditional binary tree block partitioning structure
EP3293975A4 (en) * 2015-09-08 2018-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entropy encoding and decoding
WO2017052250A1 (ko) * 2015-09-23 2017-03-30 엘지전자(주) 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212444B2 (en) * 2016-01-15 2019-02-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type-tree framework for video coding
WO2017205704A1 (en) * 2016-05-25 2017-11-30 Arris Enterprises Llc General block partitioning method
US10721489B2 (en) * 2016-09-06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Geometry-based priority for the construction of candidate lists
KR20190029737A (ko) * 2016-09-22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코딩 시스템에서 조도 보상 기반 인터 예측 방법 및 장치
JP6565885B2 (ja) 2016-12-06 2019-08-2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復号化装置、画像復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化プログラム
AU2017377490B2 (en) * 2016-12-16 2022-04-21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Image decoding device and image coding device
KR102230877B1 (ko) * 2017-02-06 2021-03-2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10484703B2 (en) * 2017-02-07 2019-11-19 Mediatek Inc. Adapting merge candidate positions and numbers according to size and/or shape of prediction block
US20180367818A1 (en) * 2017-06-15 2018-12-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Block Partition Structure in Video Compress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2890A1 (en) * 2009-12-08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by motion prediction using arbitrary parti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by motion prediction using arbitrary partition
US9215463B2 (en) * 2009-12-17 2015-12-15 Sk Telecom Co., Ltd.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KR20160003593A (ko) * 2009-12-17 2016-01-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30098187A (ko) * 2010-07-09 2013-09-04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WO2014120367A1 (en) * 2013-01-30 2014-08-07 Intel Corporation Content adaptive parametric transforms for coding for next generation vide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113A1 (ko) * 2019-03-21 2020-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 형태별로 블록 크기가 설정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10014731A (ko) * 2019-03-21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 형태별로 블록 크기가 설정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1431975B2 (en) 2019-03-21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video having block size set for each block shape, an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video
US11979569B2 (en) 2019-03-21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video having block size set for each block shape, an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video
CN113711611A (zh) * 2019-04-19 2021-11-26 字节跳动有限公司 变换跳过模式中的系数编解码
CN113711611B (zh) * 2019-04-19 2024-03-19 字节跳动有限公司 用于变换跳过模式中的系数编解码的方法、装置和介质
US11985323B2 (en) 2019-04-24 2024-05-14 Bytedance Inc. Quantized residual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representation of coded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1116A1 (zh) 2018-08-09
EP3477949B1 (en) 2023-08-30
CN109845260B (zh) 2021-06-22
US11095891B2 (en) 2021-08-17
EP3477949A4 (en) 2019-07-03
KR102230877B1 (ko) 2021-03-22
MX2019002383A (es) 2019-07-08
US20190166367A1 (en) 2019-05-30
CN109845260A (zh) 2019-06-04
JP6745979B2 (ja) 2020-08-26
ES2963982T3 (es) 2024-04-03
JP2019530306A (ja) 2019-10-17
EP3477949A1 (en) 2019-05-01
MY197275A (en) 2023-06-08
PL3477949T3 (pl) 202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877B1 (ko) 인코딩 방법 및 장치와,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10225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for each spatial sub-are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ecoding for each spatial sub-area
RU268195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утреннего предсказания видео
JP7011031B2 (ja) クロマ予測方法及びデバイス
CN107566848B (zh) 编解码的方法及装置
US9826254B2 (en) Method for entropy-encoding slice segment and apparatus therefor, and method for entropy-decoding slice segment and apparatus therefor
RU264767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 определяющие список опор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внешнего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размера блока
CN106998470B (zh) 解码方法、编码方法、解码设备和编码设备
CN108965894B (zh) 一种视频图像的编解码方法及装置
US201500100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capable of parallel entropy encoding of subregions,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ecoding capable of parallel entropy decoding of subregions
US11812050B2 (en) Motion vector obt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40022748A1 (en) Picture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Sequence
US11146826B2 (en) Image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CN109922348B (zh) 图像编解码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