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330A -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330A
KR20190028330A KR1020180106625A KR20180106625A KR20190028330A KR 20190028330 A KR20190028330 A KR 20190028330A KR 1020180106625 A KR1020180106625 A KR 1020180106625A KR 20180106625 A KR20180106625 A KR 20180106625A KR 20190028330 A KR20190028330 A KR 20190028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ol
client
grouping
virtual machin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복
지봉구
Original Assignee
(주) 퓨전데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퓨전데이타 filed Critical (주) 퓨전데이타
Priority to KR1020180106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8330A/ko
Publication of KR2019002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Distribution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Migration and load bala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접속한 클라이언트에 호스트 가상머신의 능동적인 할당을 제공하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데스크탑 가상화 환경을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 풀을 포함하는 호스트 서버, 클라이언트의 상기 호스트 서버 접속을 지원하는 커넥션브로커, 클라이언트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커넥션 브로커의 요청에 의하여 인가된 클라이언트 여부를 확인하여 전달하는 인증서버, 상기 호스트 서버의 앞단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 풀을 그룹화하고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최적의 풀로 연결을 유도하는 풀 그룹화부 및 상기 풀 그룹화부와 동기화하여 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풀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 운용 시 풀 간의 능동적인 가상머신의 로딩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소속된 풀에 접속이 불가한 경우 서비스가 가능한 풀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수 있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USING POOL GROUPING}
본 발명은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의 중단없이 자원을 능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가상화(Virtualization)란 물리적으로 다른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통합하거나 반대로 하나의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분할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케 하는 기술을 말하며, 최근에는 서버나 PC에서도 이러한 기능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가상화의 종류에는 어플리케이션 가상화, 데스크탑 가상화, 서버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가상화는 사용자의 로컬PC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매번 설치하지 않고도 가상화를 통해 제공하는 기술이다.
서버 가상화는 보통 평소 사용량이 아닌 최대 사용량에 맞춰 성능과 용량을 설계하기 때문에 평소에는 리소스가 많이 남는 서버의 특성을 이용하여, 피크 시간이 각기 다른 이런 서버들을 가상화하여 리소스 운영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이다.
스토리지 가상화는 예전에는 스토리지 서버에 고성능 레이드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클러스터와 이중화를 통해 구성했다. 그러나 최근 스토리지 가상화 솔루션들은 레이드 카드의 기능을 가상화하고, 필요한 만큼 물리적 서버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고성능과 확장성을 갖춘 가상화된 단일 스토리지를 구축할 수 있다. 스토리지 수요는 동영상, 문서, 사진 등 사용자가 생산하는 수많은 콘텐츠로 인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인터넷 시대에 요구되는 좋은 스토리지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용량에 대응하면서도 최소의 시간으로 검색이 가능해야 하고 동시에 데이터 소실 등에 대비한 안정성을 갖춰야 한다.
네트워크 가상화의 예로는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가상 사설망 서비스란 인터넷망을 전용선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특수 통신체계와 암호화기법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기업 본사와 지사 또는 지사 간에 전용망을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기존 사설망의 고비용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한다. 기업의 통신망과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와 연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별도로 값비싼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구입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어, 기존 전용선에 비해 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성 보장과 편리한 네트워크 구성 등이 장점이 있다.
데스크탑 가상화는 기존 데스크탑 수준의 성능을 가진 가상머신들을 중앙의 서버에 생성하고 관리자에 의해 사용자들에게 할당하여, 사용자는 데스크탑이나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할당 받은 계정으로 인증하고 로그인하면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용 가상화 PC 또는 업무용 가상화 PC를 자신만의 가상 데스크탑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기존의 모든 가상화 방식의 이점을 모아야 하는 데스크톱 가상화는 가장 난이도가 높으면서도 실제 구현이 어려운 방식이다. 사용자의 PC 하드웨어를 통해 제공하던 모든 서비스를 원격 접속을 통해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PC가 제공하던 적정한 성능과 기능, 편의성 등 여러 지표들 중 어느 하나라도 기존보다 낮으면 최종 사용자 집단의 반발과 실제적인 업무효율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성능상의 요구를 보장하기 위해 많은 메모리, CPU 코어와 전용 그래픽 코어를 개인의 VM에 전용(Dedicated)으로 할당하거나, VM을 공유하여 풀(Pool)방식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발표되고 있으나, 비용대비 효율은 아직 낮으며 리소스를 최적화하여 사용하고 중단없는 서비스의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풀 그룹화를 이용하여 전술한 리소스 최적화에 관한 기술적 제약을 해소시킬 수 있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07919호, 2013년 1월 18일 공개(명칭: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007279호, 2009년 6월 22일 공개(명칭: 가상 머신 디스크 풀을 이용한 가상 머신 프로비저닝 방법 및 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10-1761950호, 2011년 3월 10일 공개(명칭: 가상 머신을 위한 엔트로피 풀)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스템 운용 시 풀 간의 능동적인 가상머신의 로딩 지원이 가능한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소속된 풀에 접속이 불가한 경우 서비스가 가능한 풀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풀 가상머신의 장애 시 서비스의 중단없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접속한 클라이언트에 호스트 가상머신의 능동적인 할당을 제공하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데스크탑 가상화 환경을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 풀을 포함하는 호스트 서버; 클라이언트의 상기 호스트 서버 접속을 지원하는 커넥션브로커; 클라이언트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커넥션 브로커의 요청에 의하여 인가된 클라이언트 여부를 확인하여 전달하는 인증서버; 상기 호스트 서버의 앞단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 풀을 그룹화하고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최적의 풀로 연결을 유도하는 풀 그룹화부; 및 상기 풀 그룹화부와 동기화하여 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풀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이언트의 접속 그룹, 풀 점유 현황 혹은 풀 장애 여부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인증서버의요청에 따라 최적의 풀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에서 최적의 풀의 선정은, 현재 각 풀의 사용량 및 장애여부를 확인하여 선정할 수 있다.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에서 최적의 풀의 선정은, 장애가 없는 풀 중에서 사용량이 가장 적은 풀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에서 최적의 풀의 선정은, 장애가 없는 풀 중에서 풀의 사용량이 차이가 없을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에 기존에 할당되었던 풀을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에서 최적의 풀의 선정은, 장애가 없는 풀 중에서 풀의 사용량이 차이가 없을 경우, 임의의 풀을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가 인가된 클라이언트인 경우 최적의 풀 할당이 완료되면, 상기 커넥션브로커는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풀 그룹화부를 터널링하여 원격 연결하고, 상기 풀 그룹화부는 할당된 풀에 상기 클라이언트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그룹화 부와,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는 항시 동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접속한 클라이언트에 호스트 가상머신의 능동적인 할당을 제공하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커넥션브로커에 호스트 서버의 가상머신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커넥션브로커가 인증서버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인가된 클라이언트인지 여부를 확인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증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의 인가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인가된 클라이언트인 경우, 상기 인증서버는 풀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현재 각각의 풀의 사용현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는 풀 그룹화부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최적의 풀을 선정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인가된 클라이언트에게 최적의 풀 할당이 완료되면, 상기 커넥션브로커는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풀 그룹화부를 터널링하여 원격 연결하고, 상기 풀 그룹화부는 할당된 최적의 풀에 상기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는 풀 그룹화부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최적의 풀을 선정하여 할당하는 단계는, 현재 각 풀의 사용량 및 장애여부를 통하여 선정할 수 있다.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는 풀 그룹화부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최적의 풀을 선정하여 할당할 수 있다.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가 풀 그룹화부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최적의 풀을 선정하여 할당하는 단계는, 각 풀의 사용량에 큰 차이가 없을 경우, 기존에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되었던 풀을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상기 풀 데이터베이스가 풀 그룹화부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최적의 풀을 선정하여 할당하는 단계는, 각 풀의 사용량에 큰 차이가 없을 경우, 임의의 풀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 운용 시 풀 간의 능동적인 가상머신의 로딩 지원이 가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속된 풀에 접속이 불가한 경우 서비스가 가능한 풀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풀 가상머신의 장애 시 서비스의 중단없는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디케이트 방식에 의한 데스크탑 가상화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풀 방식에 따른 데스크탑 가상화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디케이트 방식에 의한 데스크탑 가상화의 접속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풀 방식에 의한 데스크탑 가상화의 접속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트 서버내의 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트 서버 내의 풀 구성을 예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데스크탑 가상화(VDI)는 자원을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데디케이트(dedicate), 풀(pool) 방식의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디케이트 방식에 의한 데스크탑 가상화를 설명한 도면이다.
데디케이트 방식은 사용자별로 가상화된 PC의 지정 영역을 할당하며, 사용자별로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은 중앙의 PC, 서버에 정해져 있는 방식이다.
데디케이트 방식을 사용하면 설치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계속해서 자신의 시스템 안에 있는 것처럼 이용할 수 있다. 문제점은 가상화 서버, PC의 일정 영역이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여기에 연계된 모든 시스템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풀 방식에 의한 데스크탑 가상화를 설명한 도면이다.
풀 방식은 중앙의 통제시스템이 별도의 영역을 두지 않고 모든 서버, 모든 PC를 관리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풀 방식은 가상화 공간의 영역이 별도로 지정돼 있지 않아 내 정보를 남겨둘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중앙의 PC나 서버가 청정하게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디케이트 방식에 의한 데스크탑 가상화의 접속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100)는 서버(200)를 통하여 데스크탑 가상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데스크탑 가상화을 통하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및 정보통신 기기일 수 있다.
호스트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클라이언트(100)에 대하여 중앙에서 데스크탑 가상화 환경을 제공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말한다. OS, 사용자 정보 및 데이터가 클라이언트(100)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이 가능한 컴퓨팅 자원들을 공유된 풀에 두고 클라이언트(100)의 요구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통신망을 통하여 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모든 클라이언트(100) 데이터는 IT 관리자가 중앙에서 관리하는 서버에서 실행되고 사용자는 전통적인 PC나 씬클라이언트 즉, 클라이언트(100)를 통하여 접근한다.
호스트 서버(200)는 단일 서버뿐 아니라 서버팜(Server Farm) 형태로 있을 수도 있다. 서버팜은 한 집단으로 수용되어 동작되는 서버 그룹으로 서버클러스터라고도 하며, 클라이언트망과 분리하여 따로 관리된다. 각 서버들은 어떤 서버가 중단되더라도 다른 서버가 즉시 대체되어 서비스의 중단을 막을 수 있어 서버 안정화에 유용하다.
호스트 서버(200) 내에는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 210)이 존재한다. 가상머신(210)은 컴퓨팅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 즉 컴퓨터를 에뮬레이션하는 소프트웨어다. 가상머신(210) 상에서 운영 체제나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와 호스트 서버(20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공공 통신 네트워크(Global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인트라넷,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 또는 그 명칭 여부에 불구하고 향후 구현될 어떠한 형태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3은 데디케이트 방식에 의한 데스크탑 가상화의 접속절차로서, 클라이언트(100)가 커넥션브로커(300)에 호스트 서버(200)의 가상머신(210)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면, 커넥션브로커(300)는 인증서버(400)에 인가된 클라이언트(100)인지 여부를 확인요청한다.
커넥션브로커(300, Connection Broker)는 클라이언트(100)의 호스트 서버(200) 접속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는 일종의 게이트웨이 서버이다.
인증서버(400)는 클라이언트(100) 정보를 저장하고, 인가된 클라이언트(100)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액티브 디렉토리(Active Directory, AD) 및 데이터베이스(DB)를 말한다.
인증서버(400)는 커넥션브로커(300)의 요청에 따라 인가된 클라이언트(100)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커넥션브로커(300)에 전달하면, 커넥션브로커(300)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호스트 서버(200)의 가상머신(210)을 터널링하여 원격 연결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풀 방식에 의한 데스크탑 가상화의 접속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100)가 커넥션브로커(300)에 호스트 서버(200)의 가상머신(210)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면, 커넥션브로커(300)는 인증서버(400)에 인가된 클라이언트(100)인지 여부를 확인요청한다.
인증서버(400)는 커넥션브로커(300)의 요청에 따라 인가된 클라이언트(100)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커넥션브로커(300)에 전달하면, 호스트 서버(200)는 원본디스크(220)와 클라이언트(100)에 할당된 증분디크스(230)를 결합하여 가상머신(210)을 구성한다. 커넥션브로커(300)는 이와 같이 생성된 가상머신(210)과 클라이언트(100)를 터널링하여 원격 연결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트 서버 내의 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시스템 관리자는 호스트 서버(200) 내에 다수의 풀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Case 1과 같이 구성할 경우, 소프트웨어적으로 풀에 문제가 생겼을 때, 풀 내에 있는 모든 가상머신(210)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Case 2 혹은 Case 3과 같이 다수의 풀을 구성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시스템 운용 시 풀 간의 능동적인 가상머신(210) 로딩이 되지 않는 이유로 가성비, 안정성 측면에서 한계가 발생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트 서버 내의 풀 구성을 예시한 다른 도면이다.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은 예에서 Pool 1에 클라이언트 A를 할당하면, Pool 2 및 Pool 3을 이용할 수 없다. 또한, Pool 2에 클라이언트 B를 할당하면 Pool 1 및 Pool 3을 이용할 수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서버(200)의 풀 앞단에 그룹화부(600)를 두고, 그룹정보를 풀 데이터베이스(500)를 통하여 상시 동기화하여, 클라이언트(100)가 접속시 사용자가 가장 적고 쾌적한 풀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풀 그룹화부(500)는 호스트 서버(200) 내의 복수의 풀을 그룹으로 묶는 기능부로서, 클라이언트(100)로 하여금 풀그룹 내의 적정한 풀로 연결을 유도한다.
풀 데이터베이스(600)는 클라이언트(100)의 접속 그룹, 풀 점유 현황 혹은 풀 장애 여부를 저장,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100)가 커넥션브로커(300)에 호스트 서버(200)의 가상머신(210)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면(S701), 커넥션브로커(300)는 인증서버(400)에 인가된 클라이언트(100)인지 여부를 확인요청한다(S703).
인가된 클라이언트(100)인 경우, 인증서버(400)는 풀 데이터베이스(500)를 통하여 현재 각각의 풀의 사용현황을 확인하고(S705), 풀 그룹화부(500)에 해당 접속 클라이언트(100)의 최적의 풀을 선정하여 할당한다(S707).
최적의 풀의 선정은 현재 각 풀의 사용량 및 장애여부를 통하여 선정하고, 풀의 사용량에 큰 차이가 없을 경우, 기존에 클라이언트(100)에 할당되었던 풀을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혹은 임의의 풀을 클라이언트(100)에 할당할 수 있다.
접속요청하는 클라이언트(100)가 인가된 클라이언트(100)인 경우 풀 할당이 완료되면, 커넥션브로커(300)는 클라이언트(100)와 풀 그룹화부(500)를 터널링하여 원격 연결하고(S709), 풀 그룹화부(500)는 할당된 풀에 클라이언트(100)를 연결한다(S711).
도 7에서는 단계 S701 내지 단계 S711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701 내지 단계 S711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 운용 시 풀 간의 능동적인 가상머신의 로딩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소속된 풀에 접속이 불가한 경우 서비스가 가능한 풀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수 있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클라이언트 200: 호스트 서버 210: 가상머신
220: 원본디스크 230: 증분디크스 300: 커넥션브로커
400: 인증서버 500: 풀 그룹화부 600: 풀 데이터베이스

Claims (1)

  1. 접속한 클라이언트에 호스트 가상머신의 능동적인 할당을 제공하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데스크탑 가상화 환경을 제공하며 복수의 가상머신 풀을 포함하는 호스트 서버;
    클라이언트의 호스트서버 접속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는 게이트웨이 서버로써, 클라이언트의 상기 호스트 서버 접속을 요청받고, 인증서버에 인가된 클라이언트인지 여부를 확인요청하는 커넥션브로커;
    클라이언트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커넥션브로커의 요청에 의하여 인가된 클라이언트 여부를 확인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인가된 클라이언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액티브 디렉토리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인증서버;
    상기 호스트 서버의 앞단에서 복수의 가상머신 풀을 그룹화하고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최적의 풀로 연결을 유도하는 풀 그룹화부; 및
    상기 풀 그룹화부와 상시 동기화되고, 클라이언트의 접속그룹, 풀 점유 현황, 및 풀 장애여부를 포함하는 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가 인가된 클라이언트인 경우, 인증서버가 풀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현재 각각의 풀의 사용현황을 확인하고, 풀 그룹화부에 해당 접속 클라이언트의 최적의 풀을 선정하여 할당하게 하되,
    최적의 풀의 선정은 현재 각 풀의 사용량 및 장애여부를 확인하여, 장애가 없는 풀 중에서 사용량이 가장 적은 풀을 선정하되, 풀의 사용량에 큰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기존에 클라이언트에 할당되었던 풀을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풀 할당이 완료되면 상기 커넥션브로커는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풀 그룹화부를 터널링하여 원격 연결하고, 상기 풀 그룹화부는 할당된 풀에 상기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KR1020180106625A 2018-09-06 2018-09-06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90028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625A KR20190028330A (ko) 2018-09-06 2018-09-06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625A KR20190028330A (ko) 2018-09-06 2018-09-06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430 Division 2017-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330A true KR20190028330A (ko) 2019-03-18

Family

ID=6594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625A KR20190028330A (ko) 2018-09-06 2018-09-06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833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79B1 (ko) 2007-12-17 201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머신 디스크 풀을 이용한 가상 머신 프로비저닝 방법 및 시스템
KR101507919B1 (ko) 2011-07-01 2015-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61950B1 (ko) 2009-08-24 2017-08-0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가상 머신을 위한 엔트로피 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79B1 (ko) 2007-12-17 201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머신 디스크 풀을 이용한 가상 머신 프로비저닝 방법 및 시스템
KR101761950B1 (ko) 2009-08-24 2017-08-0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가상 머신을 위한 엔트로피 풀
KR101507919B1 (ko) 2011-07-01 2015-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0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iring on-premise clusters to clouds using identity service providers
US9015715B2 (en) Common contiguous memory region optimized long distance virtual machine migration
EP3365780B1 (en) Multi-tenant multi-session catalogs with machine-level isolation
KR101929048B1 (ko) 인메모리 기반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09767B2 (en) Cloud federation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US10129357B2 (en) Managing data storage in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US20130232252A1 (en) Assigning States to Cloud Resources
US20130198472A1 (en) Performing volume expansion in storage management system
US10594781B2 (en) Dynamic healthchecking load balancing gateway
US11201930B2 (en) Scalable message passing architecture in a cloud environment
US97126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er virtual machine for real-time virtual desktop service, and server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9653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emulator
US20150244769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US1115936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zero touch computing node initialization
US20150128220A1 (en) Location based authentication of users to a virtual machine in a computer system
CN108293047B (zh) 由用户访问跨多个分布式计算网络的资源的系统和方法
US10776173B1 (en) Local placement of resource instances in a distributed system
CN112231282A (zh) 在网络文件共享环境中管理服务质量
US10681113B2 (en) Geographically distributed highly available mailbox
US20180246860A1 (en) Dynamic cognitive optimization of web applications
KR20190028330A (ko) 풀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US10637924B2 (en) Cloud metadata discovery API
US20180123999A1 (en) Tracking client location using buckets
US11822968B2 (en) Application delivery controller performance capacity advisor
EP4310675A1 (en) Session preservation for automated powe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