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069A -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069A
KR20190028069A KR1020170115056A KR20170115056A KR20190028069A KR 20190028069 A KR20190028069 A KR 20190028069A KR 1020170115056 A KR1020170115056 A KR 1020170115056A KR 20170115056 A KR20170115056 A KR 20170115056A KR 20190028069 A KR20190028069 A KR 20190028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uide
patient
teeth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344B1 (ko
Inventor
정성욱
권태엽
홍민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5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3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식립 위치에 대한 가상시술이 이루어지고 이를 토대로 가이드가 제작되도록 구현한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치아를 3D 스캔하여 환자의 치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치아 정보를 이용하여 컴퓨터 가상 시술을 통해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식립될 부분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식립 가이드를 가상 성형하는 단계; 및 가상 성형된 식립 가이드를 3D 프린터로 출력하여 식립 가이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Dental Orthodontic Bracket Implant Guide Manufacturing Method, Implanting Method thereof and Dental Orthodontic Bracket Implant Guide}
본 발명은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식립 위치에 대한 가상시술이 이루어지고 이를 토대로 가이드가 제작되도록 구현한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치아 교정 장치는 치열이 비뚤어진 치아, 돌출입, 상하악골 격차를 외과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수술교정 등 균형잡힌 안모와 기능의 회복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중 브래킷을 이용한 치열 교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브래킷을 치아에 부착하는 방식은 크게 치아에 직접 붙이는 직접 부착 방식과 치아 모델을 만들어 모델에 브래킷을 부착한 후, 이 브래킷을 치아에 다시 옮겨 부착하기 위해 실리콘 소재, 금속 소재, 경화수지 수재 등으로 제작된 위치가이드용 지그를 이용하여 환자 치아에 옮겨 붙이는 간접 부착 방식이 있다.
직접 부착 방식은 브래킷을 치아에 직접 부착하는 과정에서 교정치과의사의 시야에 따른 위치차와 숙련도에 따른 부착 오차가 많이 발생함에 따라 교정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간접 부착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간접 부착 방식도 별도의 치아모델을 만들어야 하므로 치료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절차가 복잡하며, 지그에 접합시키고 이를 다시 치아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고, 고가의 기성 브래킷을 사용해야 하므로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마다 치아의 형태가 다를 뿐만 아니라, 환자마다 다른 치료 계획 예를 들면 발치 또는 비발치 여부, 상하악전치의 후방견인방법 등 개별적인 치료 계획의 차이를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평균적 치아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제작되는 기성 브래킷을 후가공 없이 교정대상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점, 옮겨 부착할 때에도 역시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 등은 교정 효과를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문제점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교정용 브래킷은 미국에서 개발된 제품들이 전 세계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회사마다 사양이 다를 뿐만 아니라 같은 회사 제품 중에도 서로 사양이 다른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서 치료 결과가 브래킷의 선택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브래킷 사양의 상이함에 따른 치료의 결과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숙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508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8043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식립 위치에 대한 가상시술이 이루어지고 이를 토대로 가이드가 제작되도록 구현한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은, 환자의 치아를 3D 스캔하여 환자의 치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치아 정보를 이용하여 컴퓨터 가상 시술을 통해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식립될 부분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식립 가이드를 가상 성형하는 단계; 및 가상 성형된 식립 가이드를 3D 프린터로 출력하여 식립 가이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립 가이드를 가상 성형하는 단계는, 환자의 치아 형태에 대응하여 환자의 치아를 덮으며 식립되는 식립 가이드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식립될 부분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식립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개수, 식립 위치 또는 형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립 가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립 가이드를 세척 및 소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립 가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립 가이드를 환자의 치아에 가(假)식립하여 환자의 치아에 맞는지를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환자의 치아에 맞는지를 판독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립 가이드가 환자의 치아에 맞지 않다고 판독된 경우, 오차를 수정한 식립 가이드를 가상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를 이용한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방법은, 식립 가이드 본체를 환자의 치아에 식립하는 단계; 가이드홈의 가이드에 따라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하는 단계; 및 환자의 치아에 식립된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를 환자의 치아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상기 가이드홈으로 삽입하여 식립될 위치로 배치하는 단계; 및 식립될 위치로 배치된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환자의 치아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는, 환자의 치아 형태에 대응하여 환자의 치아를 덮으며 식립되는 식립 가이드 본체; 및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식립될 부분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는, 윗니용 또는 아랫니용이 독립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환자의 치아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식립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 식립면의 상부 일부를 삽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시술 오차가 최소화되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식립 가이드를 가상 성형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방법의 개략적인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3차원 매핑된 환자의 치아에 대응하여 식립 가이드를 가상 성형한 것이다.
도 8은 가이드홈에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삽입하여 식립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가상 수술을 통해 치아 교정용 브래킷이 환자의 아랫니에 가상 식립된 것을 나타낸 그림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은, 먼저 환자의 치아를 3D 스캔하여 환자의 치아 정보를 획득한다(110).
일 실시 예에서, 환자의 치아 정보를 획득은, 3D 스캔이나 CT(computed tomography) 촬영 데이터를 통해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자의 하악 내지 상악의 3차원 영상 데이터인 치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110에서 환자의 치아 정보를 획득한 후, 치아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를 3차원 매핑(컴퓨터 애니메이션에서 모델을 사실적으로 보이기 위해 2차원의 이미지를 3차원의 굴곡이 있는 표면 위로 옮겨 표현하는 것)하며, 해당 3차원 매핑된 환자의 치아에 컴퓨터 가상 시술을 통해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식립 위치를 결정한다(120).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단계 120은,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에 대하여 각 치아의 기준선과 매칭시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이 치아의 가운데 위치하도록 개별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위치를 조절하고, 개별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이 치아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개별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방향을 조절하고, 개별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치아 외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개별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방향을 조절한다. 이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이 치아의 가운데 위치하지 않고, 치아 외측면과 수평이 되지 않을 경우 교정력이 치아의 방향과 다른 방향이나 각도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체 치아 교정력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단계 120에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은 와이어가 삽입되어 교정력이 제공되므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적인 아치선으로 정렬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후술할 가이드홈(120) 역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아치선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향후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실제 식립 시에도 설정되었던 아치선으로 식립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은, 잇몸의 돌출도, 수술여부, 발치와 비발치 여부, 발치의 위치, 상하악전치의 후방견인방법, 개별치아의 해부학적인 상태등 모든 치료 계획을 고려한 최적의 결찰윙, 슬롯의 크기와 배열, 브래킷 베이스의 형태와 배열을 포함하는 브래킷 형태를 치과의사가 임의로 선택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3D진단을 이용하여 시술자가 손쉽게 치료 결과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른 편차를 최소화하여 치료의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물론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은, 스트레이트 브래킷으로 선택될 경우 치아 상태에 따라 브래킷의 홈의 형태, 결찰 윙, 브래킷 베이스를 달리하는 셋업을 할 수 있으며, 자가 결찰도 가능하다. 여기서, 자가 결찰이라 함은 결찰할 때 와이어나 고무링이 브래킷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브래킷에 캡(뚜껑), 훅(hook) 등의 특수한 처리를 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9는, 컴퓨터 등을 이용한 가상 수술 시스템의 가상 수술(Virtual Surgery)을 통해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환자의 아랫니에 가상 식립된 것을 나타낸 그림으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이 가상 수술된 위치는 향후 환자의 치아에 실제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이 식립되는 위치이다.
상술한 단계 120에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식립 위치를 결정한 후,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식립될 부분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식립 가이드(100)를 가상 성형한다(130).
일 실시 예에서, 식립 가이드(100)는, 환자의 치아 정보 중 교정이 필요한 치아 상에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배치하고, 높이가 일정하게 정렬하고, 각 치아의 가운데 위치시키고, 치아 내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세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식립 가이드(100)는, 치아 외측부(즉, 교정용 브래킷(200)의 식립을 가이드 하는 부분)는 치아의 1/3 ~ 2/3를 덮는 정도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치아의 1/2를 덮는 크기로 형성되고, 치아 내측부(즉, 교정용 브래킷(200)의 식립을 가이드 하지 않는 부분)는 치아를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3차원 매핑된 환자의 치아에 대응하여 식립 가이드(100)를 가상 성형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립 가이드(100)는, 환자의 치아를 덮고 식립되는 식립 가이드 본체(110)와, 환자의 치아 앞 부분에 식립되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가이드 하기 위한 홈인 가이드홈(120)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130에서 식립 가이드(100)를 가상 성형한 후, 가상 성형된 식립 가이드(100)를 3D 프린터로 출력하여 식립 가이드(100)를 제조한다(140).
상술한 단계를 가지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은,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개수, 식립 위치 또는 형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은, 환자의 치아 개수 또는 치열 상태에 따라 그 개수 또는 식립 위치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환자의 치아 일부에만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식립하고자 할 경우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식립할 치아의 개수 또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식립할 치아를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받은 치아에만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식립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를 가지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은, 식립 가이드(100)를 제조하는 단계 후에, 식립 가이드(100)를 세척 및 소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출력된 식립 가이드(100)를 환자의 치아에 식립하기 전에 식립 가이드(100)를 약품, 일광, 열탕, 증기 따위를 이용하여 세척 또는 소독함으로써, 병원균을 죽여 병의 감염이나 전염을 예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단계를 가지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은, 치아 교정 시 브래킷을 장착할 때 과거에는 의사의 경험에 의존하여 부착되어 왔지만, 전문의의 도움 또는 시술이 없더라도 환자의 치아 정보와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하여 정밀하고 간편한 교정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환자의 치아 정보를 스캔이나 CT 데이터 등을 통해 획득하고, 컴퓨터 가상시술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 부착 위치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며, 해당 위치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이 식립되도록 하는 식립 가이드(100)를 3D 프린팅하여 환자에게 맞춤형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를 가지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은,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식립 위치에 대한 가상시술이 이루어지고, 이를 토대로 식립 가이드(100)가 제작되므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시술 오차가 최소화되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상 결과를 향상시키는 바, 심미적 요소가 중요시되는 현시점에서 교정치료가 널리 행해지고 있으므로 시장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각광받고 있는 정밀 의료 기술을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식립 가이드를 가상 성형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식립 가이드(100)를 가상 성형하는 단계(131)는, 먼저, 환자의 치아 형태에 대응하여 환자의 치아를 덮으며 식립되는 식립 가이드 본체(110)를 성형한다(131).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식립 가이드 본체(110)를 성형하는 단계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립 가이드 본체(110)가 환자의 아랫니 모두를 덮도록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예를 들어, 환자의 치아에 기 식립되어 있던 다수 개의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 중 일부가 분리되어 해당 분리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만의 식립이 필요한 경우 등) 식립 가이드 본체(110)가 환자의 아랫니 또는 윗니의 일부만을 덮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단계 131에서 식립 가이드 본체(110)을 성형한 후,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식립될 부분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홈(120)을 식립 가이드 본체(110)에 형성한다(132).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홈(120)은 식립 가이드 본체(110)의 앞 쪽에 환자의 치아를 따라 형성되는데,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식립하고자 하는 부분에 형성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홈(120)은,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식립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은, 도 1에서 상술한 식립 가이드(100)를 제조하는 단계(140) 후에, 식립 가이드(100)를 환자의 치아에 가(假)식립하여 환자의 치아에 맞는지를 판독한다(15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은, 상술한 단계 150에서 환자의 치아에 맞는지를 판독한 후에, 식립 가이드(100)가 환자의 치아에 맞지 않다고 판독된 경우, 오차를 수정한 식립 가이드(100)를 가상 성형한다(16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은, 치아 정보의 오차 또는 3D 프린터의 출력 시 오차 등으로 인하여 식립 가이드(100)가 환자의 치아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지 않을 수 있는데, 식립 가이드(100)가 환자의 치아의 형태에 대응하지 못 할 식립을 원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로 경우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가이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바, 교정용 브래킷(200)을 환자의 치아에 식립하기 전에 식립 가이드(100)를 환자의 치아에 가(假)식립하여 식립 가이드(100)가 환자의 치아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방법의 개략적인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방법은, 먼저 식립 가이드 본체(110)을 환자의 치아에 식립한다(410).
상술한 단계 410에서 식립 가이드 본체(110)을 환자의 치아에 식립한 후, 가이드홈(120)의 가이드에 따라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한다(420).
상술한 단계 420에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한 후, 환자의 치아에 식립된 식립 가이드 본체(110)을 환자의 치아로부터 제거한다(430).
일 실시 예에서, 식립 가이드 본체(110)을 제거하는 단계(430)는, 식립 가이드 본체(110)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환자의 치아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랫니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립 가이드 본체(110)를 환자의 아랫니에 식립하게 되면 환자의 아랫니들을 따라 가이드홈(120)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가이드홈(120)에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삽입한 후 부착하여 식립함으로써 전문의 등의 도움이 없는 경우에도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이 식립되어야 하는 정확한 위치에 식립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식립이 마무리되면, 식립 가이드 본체(11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환자의 아랫니로부터 제거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아랫니에는 식립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만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있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하는 단계(420)는, 먼저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가이드홈(120)으로 삽입하여 식립될 위치로 배치한다(421).
상술한 단계 421에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배치한 후, 식립될 위치로 배치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한다(422).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하는 단계는, 도 8을 참조하면,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이 아직 식립되지 아니한 가이드홈(120)에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배치(도 8의 오른쪽 마지막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한 후, 접착 수단을 통해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이미 식립된 도 8의 좌측 세 개의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들과 같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도 6을 참조하면,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는, 식립 가이드 본체(110) 및 가이드홈(120)을 포함한다.
식립 가이드 본체(110)는, 환자의 치아 형태에 대응하여 환자의 치아를 덮으며 식립된다.
일 실시 예에서, 식립 가이드 본체(110)는, 치아 외측부(즉, 가이드홈(120)이 형성되는 부분)는 치아의 1/3 ~ 2/3를 덮는 정도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치아의 1/2를 덮는 크기로 형성되고, 치아 내측부(즉, 가이드홈(120)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는 치아를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20)은,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식립될 부분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식립 가이드 본체(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식립 가이드 본체(110)는, 윗니용 또는 아랫니용이 독립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윗니 또는 아랫니를 독립적으로 교정하도록 하여 시술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홈(120)은, 환자의 치아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홈(120)은, 환자의 치아 개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동일한 개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보다, 환자의 치아 개수에 대응하여 달리하여 불필요한 홈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홈(120)은,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식립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홈(120)은,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 식립면의 상부 일부를 삽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120)이 식립면의 상부 일부만을 삽입하도록 함은, 도 8을 참조하면, 기 식립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식립면이 모두 가이드홈(120)에 삽입된 경우에는 식립 가이드 본체(110)를 환자의 치아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와 함께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어 분리되지 아니하는 경우까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이드홈(120)을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 식립면의 상부 일부를 삽입하도록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향후 식립 가이드 본체(110)을 환자의 치아로부터 들어 올려 분리할 시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의 방해 없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식립 가이드
110: 식립 가이드 본체
120: 가이드홈
200: 치아 교정용 브래킷

Claims (15)

  1. 환자의 치아를 3D 스캔하여 환자의 치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치아 정보를 이용하여 컴퓨터 가상 시술을 통해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식립될 부분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식립 가이드를 가상 성형하는 단계; 및
    가상 성형된 식립 가이드를 3D 프린터로 출력하여 식립 가이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 가이드를 가상 성형하는 단계는,
    환자의 치아 형태에 대응하여 환자의 치아를 덮으며 식립되는 식립 가이드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식립될 부분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식립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개수, 식립 위치 또는 형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 가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립 가이드를 세척 및 소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 가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립 가이드를 환자의 치아에 가(假)식립하여 환자의 치아에 맞는지를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치아에 맞는지를 판독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립 가이드가 환자의 치아에 맞지 않다고 판독된 경우, 오차를 수정한 식립 가이드를 가상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8. 식립 가이드 본체를 환자의 치아에 식립하는 단계;
    가이드홈의 가이드에 따라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하는 단계; 및
    환자의 치아에 식립된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를 환자의 치아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를 이용한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상기 가이드홈으로 삽입하여 식립될 위치로 배치하는 단계; 및
    식립될 위치로 배치된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여 식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를 이용한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 환자의 치아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를 이용한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방법.
  11. 환자의 치아 형태에 대응하여 환자의 치아를 덮으며 식립되는 식립 가이드 본체; 및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식립될 부분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 가이드 본체는,
    윗니용 또는 아랫니용이 독립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환자의 치아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식립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 식립면의 상부 일부를 삽입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KR1020170115056A 2017-09-08 2017-09-08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KR10200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56A KR102000344B1 (ko) 2017-09-08 2017-09-08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56A KR102000344B1 (ko) 2017-09-08 2017-09-08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69A true KR20190028069A (ko) 2019-03-18
KR102000344B1 KR102000344B1 (ko) 2019-07-15

Family

ID=6594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056A KR102000344B1 (ko) 2017-09-08 2017-09-08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798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뷰티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아교정방법 및 치아교정시스템
KR102401982B1 (ko) * 2021-06-04 2022-05-24 정중희 기능성 투명 교정장치와 이를 포함한 맞춤형 치아 교정시스템 및 치아 교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090B1 (ko) * 2020-06-08 2020-11-12 김창환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KR102537013B1 (ko) *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수치로 측정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바탕으로 기성품 브라켓 부착용 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로 인하여 제조된 가이드
KR102537012B1 (ko) *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치아교정을 위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수치적으로 측정하여 결정하는 방법
KR102537014B1 (ko) *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수치로 측정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바탕으로 가이드 일체형 브라켓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로 인하여 제조된 가이드 일체형 브라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444B1 (ko) * 2015-07-09 2015-12-28 홍경재 포지셔너 및 이에 적합한 포지셔너 제조 방법
US20160095670A1 (en) * 2014-10-07 2016-04-07 Orametrix, Inc. Tooth attachment placement device
KR20160049698A (ko) * 2014-10-28 2016-05-10 조건제 브라켓 위치 가이드용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5089B1 (ko) 2016-07-13 2016-11-11 이노범 3d 프린터를 이용한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KR101685606B1 (ko) * 2016-03-17 2016-12-20 (주)덴토스 3d프린터기를 이용하여 제작한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5670A1 (en) * 2014-10-07 2016-04-07 Orametrix, Inc. Tooth attachment placement device
KR20160049698A (ko) * 2014-10-28 2016-05-10 조건제 브라켓 위치 가이드용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0430B1 (ko) 2014-10-28 2016-11-29 조건제 브라켓 위치 가이드용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0444B1 (ko) * 2015-07-09 2015-12-28 홍경재 포지셔너 및 이에 적합한 포지셔너 제조 방법
KR101685606B1 (ko) * 2016-03-17 2016-12-20 (주)덴토스 3d프린터기를 이용하여 제작한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구조
KR101675089B1 (ko) 2016-07-13 2016-11-11 이노범 3d 프린터를 이용한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798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뷰티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아교정방법 및 치아교정시스템
KR102401982B1 (ko) * 2021-06-04 2022-05-24 정중희 기능성 투명 교정장치와 이를 포함한 맞춤형 치아 교정시스템 및 치아 교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344B1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344B1 (ko)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US20210161622A1 (en) Dental appliance binding structure
US10335253B2 (en) Tooth-positioning appliance for closing spaces
CN111631831B (zh) 生成牙科矫正器的方法
KR101675089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US8296952B2 (en) Orthodontic treatment aligners based on CT data
Xue et al. Accurate bracket placement using a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guided bonding device: An in vivo study
US8133050B2 (en) Dental appliance having a duplicated tooth area and/or a predicted tooth area and a method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teeth of a patient
EP3791824A1 (en) Method for displaying repositioning jaw elements
US20130337400A1 (en) Marker for image information registration
EP3383310A1 (en) Dental appliances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AU2015224413A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rgical guide for a dental implant
JP2018504191A (ja) 歯科用装置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支援設計
US20210077227A1 (en) Process for fabricating a digital bite opening appliance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CN114431989A (zh) 基于目标牙弓曲线的坐标系的建立方法、自动排牙方法及牙齿移动评价方法
KR20170034803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20488A1 (en) Orthodontic Treatment Aligners Based on CT Data
JP2024501887A (ja) 歯列矯正システムおよびその設計方法、製造方法
KR102080245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KR101347258B1 (ko) 고정원 시술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US11826212B2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117405A (ko) 치아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CN114176806B (zh) 一种正畸种植支抗植入导板及其制作方法
KR102615964B1 (ko) 3d 치아스캔사진과 측면 머리부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치아 교정목표 설정방법
KR102163625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포지셔닝을 위한 브라켓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