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997A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ioration diagnosis of structure surf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nsor interfa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ioration diagnosis of structure surf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nso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997A
KR20190027997A KR1020170114847A KR20170114847A KR20190027997A KR 20190027997 A KR20190027997 A KR 20190027997A KR 1020170114847 A KR1020170114847 A KR 1020170114847A KR 20170114847 A KR20170114847 A KR 20170114847A KR 20190027997 A KR20190027997 A KR 20190027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nsor unit
sensing valu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4412B1 (en
Inventor
천경식
윤태양
김철환
전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70114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412B1/en
Publication of KR2019002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9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surface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e structure surface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includes (a) obtaining a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from a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wh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among distances allow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among a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provided on an inspection target structure; (b) determining that detailed diagnosis is necessary for the surfac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n the inspection target structure in a case where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deviates from a reference range and obtaining an imag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throug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 determining that detailed diagnosis is unnecessary for the surfac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n the inspection target structure in a case where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Description

무인 비행체와 센서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IORATION DIAGNOSIS OF STRUCTURE SURF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NSOR INTERFA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sensor interface,

본원은 무인 비행체와 구조물에 설치되는 센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강교량의 도장면과 같은 구조물 표면의 열화를 진단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deterioration of a surface of a structure such as a coating surface of a steel bridge using a sensor interface installed 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structure.

종래에 교량의 열화상태 등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교량 상부 구조물의 하측에 사다리, 받침대, 난간 지지대, 교량 점검용 전용 차량 등의 구성된 전용 점검 시설을 설치한 후 작업자가 직접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직접 육안으로 검사를 수행하거나 사진(영상)을 촬영한 다음 상기 작업자 또는 다른 검사자가 촬영된 사진을 살펴보며 육안으로 간접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Conventionally, as a method of diagnosing a deterioration state of a bridge, a dedicated inspection facility composed of a ladder, a pedestal, a railing support, and a vehicle for bridge inspec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a bridge overhead structure, There is a method in which an inspection is performed with the naked eye or a photograph (picture) is photographed, and then the operator or another inspector examines the photographed picture and performs an indirect examination with the naked ey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진단 방법의 경우에는 교량의 열화상태 진단이 교량의 도장면과 같이 광범위한 면적에 대하여 검사자(작업자)의 육안 관찰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diagnostic metho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s required as the deterioration state of the bridge is diagnosed by the naked eye of the inspector (operator) over a wide area such as the coating surface of the bridge.

또한, 이러한 종래의 진단 방법의 경우, 전용 점검 시설을 점검 대상 교량에 맞게 설치하거나, 기설치된 점검 시설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하천이나 해상을 가로지르는 장경간 교량과 같이 교량 상부의 하면이나 측면에 대한 이미지(영상) 획득에 제한이 있는 구조물의 경우, 진단을 위한 이미지 획득 자체가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diagnosis method, a dedicated inspection facility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bridge to be inspected, or a pre-installed inspection facility is used. In the case of a long-span bridge crossing a river or sea, In the case of structures with limited image (image) acquisition, it was difficult to acquire images for diagnosis.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94412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94412.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 교량의 면적이 광범위함에 따라 열화 진단을 위한 검사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하천이나 해상을 가로지르는 장경간 교량과 같이 교량 상부의 하면이나 측면에 대한 이미지(영상) 획득에 제한이 있는 구조물에 대해서도 교량의 열화상태 진단을 위한 이미지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in which a large area of bridges is widely used,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can acquire an image for diagnosing the deterioration state of a bridge more easily even for a structure having limitation on the acquisition of images (images)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택적 상세 이미지 획득을 통해 조사 대상 구조물 전체에 대한 열화 진단시 소요되는 모니터링 시간 및 분석 소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ffectively reducing the monitoring time and analysis time required in the deterioration diagnosis for the entire structure to be inspected, And to provide a diagnostic method and apparatus.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은, (a) 무인 비행체가 조사 대상 구조물에 구비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로부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를 통해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 Acquiring a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when approaching within a preset distance of a distan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b) determining that a detailed diagnosis of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s necessary for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out of a reference range, Obtaining an image of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sensor portion; And (c) if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determining that the detailed diagnosis of the surfac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s unnecessary.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은, (d) 상기 (b)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와는 다른 제2 열화 측정 센서부에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d) after the step (b) or (c) And controll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approach the other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distance that can be wirelessly communicated.

또한, 상기 제2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은,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과 이웃할 수 있다.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may be adjacent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거리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a distance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 획득을 스킵하거나, 상기(b) 단계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와 대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커버하도록 줌 아웃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step (c) may include: skipping the image acquisition on the surface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or zooming out to cover a wider area in comparison with the image acquired in step (b)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controlled so as to acquire an imag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은, (e) 상기 (b) 단계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와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함께 고려한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도출된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a) 단계에서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으로부터 상기 (b) 단계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예측 열화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화 진단 결과는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잔존 수명 또는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유지보수와 관련한 진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s of: (e) deriving a correlation between a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based on an image obtained in the step (b) And (f) based on the correlation derived in the step (e), predictive degradation corresponding to the degradation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image obtained in the step (b) from the degradation 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in the step (a) And deriving a diagnosis result, wherein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may include a diagnosis result relating to a remaining life of the structure to be searched or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to be searched.

또한, 상기 (b) 단계 또는 (c) 단계에서의 기준 범위는 상기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Further, the reference range in the step (b) or (c) may be set or updated based on the correlation.

또한, 상기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에서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격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in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may be set to be longer than a time interval for sensing whether the unmanned air vehicle approaches or not.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는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 열화 센싱값 및 대기 중의 열화 유발 환경인자 센싱값을 포함하는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In the step (a),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may acquire a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ncluding a surface degradation sensing valu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and a deterioration-inducing environmental factor sensing value in the atmospher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대해 레이저 스캐닝으로 반사강도를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강도를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는, 열화가 미발생한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상기 반사강도가 허용치를 벗어나면, 상기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열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the method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and analyzing a reflection intensity by laser scanning on a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before the step (b) The step of acquiring and analyzing the strength may include determining a deterioration region o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intensity when the reflection intensity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To obtain an image for the corresponding surface.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는, 무인 비행체가 조사 대상 구조물에 구비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로부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하는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를 통해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s provided in a structure to be irradiated, A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a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ing sensor unit; Determining that a detailed diagnosis of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s necessary for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when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is out of a reference rang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at detailed diagnosis of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s unnecessary; And an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a surface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throug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requir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는, 상기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에, 상기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와는 다른 제2 열화 측정 센서부에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무인 비행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s for detecting the surface deterioration of the structure, after the detailed diagnosis is determined to be unnecessary, And a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and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또한, 상기 제2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은,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과 이웃할 수 있다.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may be adjacent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거리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a distance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 획득을 스킵하거나, 상기(b) 단계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와 대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커버하도록 줌 아웃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unit may skip image acquisition on the surface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when the detailed diagnosis is determined to be unnecessar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zoomed-out image so as to cover a large area.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는, 상기 이미지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와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함께 고려한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상관관계 도출부; 및 상기 도출된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에서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예측 열화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예측 열화 진단 결과 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화 진단 결과는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잔존 수명 또는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유지보수와 관련한 진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rrelation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nd a predi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unit for deriving a predi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corresponding to a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from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ed value acquired by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ed value acquisition unit based on the derived correlation, And the diagnosis result may include a diagnosis result related to the remaining life of the structure to be searched or the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to be searched.

또한, 상기 판단부에서의 기준 범위는 상기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range in the determination unit may be set or updated based on the correlation.

또한,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이 획득되는 시간 간격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격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is acquired may be set to be longer than a time interval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nmanned air vehicle is approaching.

또한, 상기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는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 열화 센싱값 및 대기 중의 열화 유발 환경인자 센싱값을 포함하는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may acquir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s including a surface deterioration sensing valu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and a deterioration-inducing environmental factor sensing value in the atmospher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는, 상기 이미지를 획득하기 이전에,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대해 레이저 스캐닝으로 반사강도를 획득하고 분석하는 반사강도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강도 분석부는 열화가 미발생한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상기 반사강도가 허용치를 벗어나면, 상기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열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라 수 있다.The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flection intensity analyzing unit for obtain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on intensity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surveyed by laser scanning, Wherein the reflection intensity analyzer determines that a deteriorated region exists o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intensity when the reflection intensity is out of tolerance as compared with a reference intensity on a surface on which degradation has not occurred,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image of the user.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is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조물 표면의 열화를 진단함으로써, 종래에 교량의 면적이 광범위함에 따라 열화 여부에 대한 검사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하천이나 해상을 가로지르는 장경간 교량과 같이 교량 상부의 하면이나 측면에 대한 이미지(영상) 획득에 제한이 있는 구조물에 대해서도 교량의 열화상태 진단을 위한 이미지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ioration of the surface of a structure is diagnosed based on an image acquired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it is easier to acquire images for diagnosing the deterioration state of bridges even for structures with limited acquisition of images (image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bridges such as long-span bridges crossing rivers or sea. can do.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의 획득을 스킵하는 등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의 획득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조사 대상 구조물 전체에 대한 열화 진단시 소요되는 모니터링 시간 및 분석 소요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acquisition of the detailed image on the surface is skipp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monitoring time and analysis time required in the deterioration diagnosis for the entire structure to be irradiated.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무인 비행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에서 무인 비행체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무인 비행체의 제어 경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에서 무인 비행체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에서 반사강도를 획득하여 분석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에서 무인 비행체의 제어에 따른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led by a structure surface deterioration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to 3C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trol path of a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led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ler in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an image acquired through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on intensity in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operation according to control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op", "top", "under", "bottom"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무인 비행체(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10)를 설명의 편의상 본 진단 장치(10)라 하기로 한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10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deterioration diagnosis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apparatus 10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structures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diagnostic apparatus 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진단 장치(10)는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11), 판단부(12) 및 이미지 획득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진단 장치(10)는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diagnostic apparatus 10 may include a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cquiring unit 11, a determining unit 12, and an image acquiring unit 13. In addition, the diagnostic apparatus 10 may include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unit 14.

본 진단 장치(10)는 무인 비행체(5)로부터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열화(열화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열화 진단 관련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The diagnostic apparatus 10 can acquire deterioration diagnosis related data for diagnosing deterioration (deteriorated state) of the irradiation target structure 1 from the unmanned air vehicle 5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여기서, 조사 대상 구조물(1)은 교량(강교량), 건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조사 대상 구조물(1)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은 도장면(도장외관)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진단 장치(10)는 바람직하게 강교량과 같은 교량(교량 상부 구조물)의 도장면에 대한 열화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열화라 함은 부식, 박리, 체킹, 쵸킹 등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structure to be surveyed 1 may mean various structures including bridges (steel bridge), buildings, and the like. Illustratively, the structure 1 to be irradiated may be a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may be a painting surface (paint appearance). According to this, the diagnostic apparatus 10 can diagnose deterioration of the coating surface of a bridge (bridge superstructure) such as a steel bridge amount,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deterioration can be understood as a broad concept including corrosion, peeling, checking, chalking, and the like.

무인 비행체(5)는 드론(drone), 무인기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can be expressed as a drone, a UAV, or the like.

또한, 무인 비행체(5)로부터 획득 가능한 열화 진단 관련 데이터에는 조사 대상 구조물에 구비된 열화 측정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열화 진단 관련 데이터에는 무인 비행체(5)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 레이저 스캐너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획득된 반사강도 데이터 및 공간 좌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레이저 스캐너는 교량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레이저 스캐닝을 수행하는 장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레이저 스캐너는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에 탑재될 수 있는 규모의 장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스캐너는 다양한 규모로 구비될 수 있고, 무인 비행체와 별도로 배치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무인 비행체에 탑재될 수 있다. 각 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lated data obtainable from the unmanned air vehicle 5 may include a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from a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provided in the structure to be examined. 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lated data includes an imag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 photographed by the camera provided in the unmanned air vehicle 5, reflection intensity data obtained through laser scanning by the laser scanner, and spatial coordinate data . Illustratively, the laser scanner may be a device that performs laser scanning on the lower or upper side of the bridge. As another example, the laser scanner may be equipped with equipment of a size that can be mounted on a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a drone. As described above, the laser scanner can be provided in various scales, and can be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r can be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f necessary. The description of each data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본 진단 장치(10)와 무인 비행체(5) 간의 무선 통신의 일예로는 RF(Radio Frequency)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비콘(Beacon)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본 진단 장치(10)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무인 비행체(5)로부터 열화 진단 관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Examples of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agnostic device 10 and the unmanned air vehicle 5 may include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and beacon communication ,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agnosis apparatus 10 may be a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A wireless LAN, a WAN (Wide Area Network), a PAN (Personal Area Network), a Bluetooth network,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Network and the like, the deterioration diagnosis-related data can be acquired from the unmanned air vehicle 5.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11)는 무인 비행체(5)가 조사 대상 구조물(1)에 구비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1, 22, 23, …)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r) 이내로 접근하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cquisition unit 11 acquires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of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among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21, 22, 23, ... provided in the irradiation target structure 1, The degradation-related sensing value can be obtained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when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 of the distan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구체적으로, 조사 대상 구조물(1)에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 제3 열화 측정 센서부(23)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1, 22, 23, …)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1, 22, 23, …)는 일예로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1, 22, 23, …)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4, 25, 26)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의 구비(설치) 위치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내측(예를 들면, 표면에 가까운 내측 또는 표면과 이웃하는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includes a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ncluding a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a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a thir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3, 21, 22, 23, ...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21, 22, 23, ...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for example. 2,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21, 22, 23, ...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tructure 1 to be irradiated. 3B,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24, 25, and 26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However, the positions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are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for example, the inner side close to the surface or the inner side adjacent to the surface).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1, 22, 23, …)는 조사 대상 구조물(1)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는 조사 대상 구조물(1)에서 열화 진단을 수행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하여 열화 측정 센서부가 구비됨에 따라 서로 간에 비규칙적인 간격(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는 서로 간에 규칙적인 간격(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21, 22, 23, ...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structure 1 to be irradiat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rregular intervals (unequal intervals) as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deterioration diagnosis is to be performed in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have.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constant intervals).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1, 22, 23, …) 각각은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 열화 센싱값 및 대기 중의 열화 유발 환경인자 센싱값을 포함하는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1, 22, 23, …) 각각은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의 열화를 측정하는 표면 열화 측정 센서 및 대기 중에 열화를 유발하는 환경인자를 측정하는 열화 유발 환경인자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1, 22, 23, …) 각각은 표면 열화 측정 센서를 통한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 열화 센싱값 및 열화 유발 환경인자 측정 센서를 통한 대기 중의 열화 유발 환경인자 센싱값을 포함하는 열화 관련 센싱값을 계측(센싱)하여 획득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21, 22, 23, ... can acquire a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ncluding a surface deterioration sensing valu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and a deterioration-inducing environmental factor sensing value in the atmosp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21, 22, 23, ... is composed of a surfac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deterioration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and a deterioration inducing environmental factor for measuring an environmental factor And a measurement sensor. In other words, each of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21, 22, 23, ... measures the surface degradation sensing valu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through the surfac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and the deterioration induced environmental factor sensing value (Sensing) a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ncluding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열화 측정 센서는 계측(센싱,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무인 비행체(5)가 열화 측정 센서부에 인접했을 때, 특히 열화 측정 센서와 무인 비행체 간의 무선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진입했을 때 무인 비행체로 전송할 수 있다.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can store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measured (sensed and acquired) in its own memory. When the detonation related sensing value stored in the memory is adjacent to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enter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betwe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다시 말해, 열화 측정 센서부는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대한 열화를 측정한 표면 열화 센싱값 및 대기 중의 열화 유발 환경인자를 측정한 열화 유발 환경인자 센싱값을 포함하는 열화 관련 센싱값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해둘 수 있다. 이후 무인 비행체(5)가 열화 측정 센서부와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진입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무인 비행체(5)로 전송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stores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s including a deterioration sensing value for the deterioration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nspected and a deterioration-inducing environment factor sensing value I can do it. When the unmanned air vehicle 5 enters the communicable area with the degrad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stored in the memory can be transmitted to the unmanned air vehicle 5.

일예로,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와 무인 비행체(5) 간의 통신 가능 영역은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r)만큼 떨어진 거리 이내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무인 비행체(5)가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r)만큼 떨어진 거리 이내의 영역내로 접근(진입)한 경우, 무인 비행체(5)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의하여 계측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11)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11)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계측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무인 비행체(5)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ble area between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and the unmanned air vehicle 5 may be an area within a distanc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r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 At this time, when the unmanned air vehicle 5 approaches (enters) an area within a distanc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r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the unmanned air vehicle 5 is moved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and can transmit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to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cquisition unit 11. [ That is,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cquisition unit 11 can acquire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measured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throug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또한, 열화 측정 센서부는 일예로 자체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열화 측정 센서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열화 관련 센싱을 상시 수행하지 않고, 일예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열화 관련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can receive power through a self-contained battery. Further, in order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the degradation measurement sensor can perform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without performing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at all times.

또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에서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즉,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에서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하는 시간의 간격)은 무인 비행체(5)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격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Further, the acquisition time intervals of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s in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i.e., the intervals of time for acquiring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s in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Can be set longer than the time interval.

일예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한 시간 관련 설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시간 관련 설정이라 함은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의 설정 및 무인 비행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격의 설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한 시간 관련 설정 정보는 무인 비행체(5)와 열화 측정 센서부 간에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한 정보의 송수신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또는 조정)될 수 달리 표현하여,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한 시간 관련 설정은 본 진단 장치(10)에 의하여 생성된 시간 관련 설정 정보를 열화 측정 센서부가 무인 비행체(5)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업데이트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ime-related settings for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can be made by presetting based on user input. Here, the time-related setting may be a setting of an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nd a setting of a time interval for detecting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pproaches or not. The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thus set may be updated (or adjusted) based on transmission / reception of information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unmanned air vehicle 5 and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Related setting for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of the diagnostic device 10 can be updated by receiving the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iagnostic device 10 via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unmanned aerial vehicle 5.

여기서, 본 진단 장치(10)에 의하여 생성된 시간 관련 설정 정보는 열화 측정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의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본 진단 장치(10)에 의하여 생성된 시간 관련 설정 정보는 열화 측정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열화 관련 센싱값의 이력을 고려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iagnostic apparatus 10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Or the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iagnostic apparatus 10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considering the history of a plurality of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s obtained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예를 들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가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하는 시간 간격이 24시간(하루)인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본 진단 장치(10)에서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금번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의 분석 결과 열화 정도의 수준이 심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가 위치한 표면의 열화 상태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가 위치한 표면의 열화 상태를 더 자주 측정하도록, 본 진단 장치(10)는 미리 설정된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인 24시간을 일예로 10시간 간격으로 짧게 바뀌도록 하는 시간 관련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진단 장치(10)에 의하여 생성된 시간 관련 설정 정보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와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진입한 무인 비행체(5)를 통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는 미리 설정되어 있던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을 무인 비행체(5)로부터 수신한 시간 관련 설정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는 기존에 24시간의 시간 간격으로 계측하던 열화 관련 센싱값을 10시간 간격으로 계측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acquires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preset to be 24 hours (one day).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at this time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n the diagnostic apparatus 10 is at a severe level,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The present diagnostic apparatus 10 judges that the deterioration stat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s located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so that the deterioration stat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s placed is measured more frequently,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for shortening the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24 hours, for example, every 10 hours. At this time, the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iagnostic apparatus 1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through the unmanned flying body 5 that has entered the are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Lt; / RTI > Accordingly,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can update the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which has been set in advance, to the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Thus,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can measure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previously measured at the time interval of 24 hours at intervals of 10 hours.

다른 예를 들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가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하는 시간 간격이 24시간(하루)인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본 진단 장치(10)에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이전에 획득된 복수의 열화 관련 센싱값(달리 표현하여, 제1 열화 측정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의 이력)이 기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본 진단 장치(10)에서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금번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과 기저장되어 있는 열화 관련 센싱값을 포함하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의 센싱 이력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 센싱값에 대한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가 위치한 표면에 열화가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가 위치한 표면의 열화 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대비 덜 측정하도록, 본 진단 장치(10)는 미리 설정된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인 24시간을 일예로 40시간 간격으로 길게 바꾸도록 하는 시간 관련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진단 장치(10)에 의하여 생성된 시간 관련 설정 정보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와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진입한 무인 비행체(5)를 통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는 미리 설정되어 있던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이 무인 비행체(5)로부터 수신한 시간 관련 설정 정보로 바뀌도록 획득 시간 간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는 기존에 24시간의 시간 간격으로 계측하던 열화 관련 센싱값을 40시간 간격으로 계측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reset that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acquires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t a time interval of 24 hours (one day). In this diagnostic apparatus 10, Assume that a plurality of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s (history of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s obtained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n other words) previously acquired from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or unit 21 are stored. At this time, the sensing history of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ncluding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nd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thus obtained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n the diagnostic apparatus 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in the sensing value is in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unnecessary to monitor carefully because the deterioration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s located is hardly progressed, In order to measure the deterioration stat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measurement sensor unit 21 is placed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diagnostic apparatus 10 has a time interval of 24 hours, which is an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preset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s,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to be changed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iagnostic apparatus 1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through the unmanned flying body 5 that has entered the are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Lt; / RTI > Accordingly,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can update the acquisition time interval so that the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the previously set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changed to the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Accordingly,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can measure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which was previously measured at a time interval of 24 hours, at intervals of 40 hours.

또 다른 예로, 본 진단 장치(10)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의 센싱 이력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의 변화 수준이 큰 폭으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가 위치한 표면이 급격히 열화되고 있어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가 위치한 표면의 열화 상태를 더 자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 관련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시간 관련 설정 정보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 전송(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는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vel of change of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ens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s changed to a large extent, 1 deterioration measuring sensor unit 21 is deteriorated so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ition is to be monitored with caution so that the deterioration stat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ing sensor unit 21 is placed can be measured more frequently Related setting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e generated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ransferred)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via the automatic unmanned aerial vehicle 5, and accordingly,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acquires the deterioration- You can update the time interval.

이러한 본원에 의하면,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가 하나의 동일 조사 대상 구조물(1)에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열화 측정 센서부가 위치한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주변 여건이나 환경에 따른 열화의 진행 속도 등의 차이를 고려함으로써,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각각에 대한 시간 관련 설정이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열화 측정 센서부(23)의 주변 여건이나 환경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의 주변 여건이나 환경에 대비하여 바람이 많이 불거나 습하거나 비가 많이 고이는 환경인 경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가 구비된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비해 제3 열화 측정 센서부(23)가 구비된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열화가 더 잘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열화 측정 센서부(23)의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 시간 간격은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의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 시간 간격 대비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진단 장치(10)는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에서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 시간 간격이 최적화되도록 업데이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are provided in one same irradiation target structure 1, even if the deterioration measuring sensor unit is provided in the same irradiation target structure 1, By considering the difference, the time-relate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can be set differently. For example, when the ambient conditions or the environment of the thir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3 is in a windy environment, a humid environment, or a heavy rainfall environment in comparison with the surrounding conditions or the environment of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provided with the thir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3 can be more likely to deteriorate tha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provided wit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 In this case,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the thir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3 may be set shorter tha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 This diagnostic apparatus 10 can be updated so that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cquisition time interval is optimized in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한편, 앞선 예에서는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에 대한 업데이트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예시하였으나, 무인 비행체(5)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격에 대한 업데이트 과정 또한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에 대한 업데이트 과정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다.Although the updating process of the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above example, the updating process of the time interval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nmanned air vehicle 5 is approaching is also performed, Can be understood to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update process.

일예로,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무인 비행체(5)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격이 10초 간격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10초 간격으로 무인 비행체(5)의 접근 감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접근 감지를 놓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본 진단 장치(10)는 일예로 무인 비행체(5)의 접근 감지 시간 간격이 5로 간격으로 짧게 바뀌도록 하는 시간 관련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관련 설정 정보를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가 무인 비행체(5)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는 무인 비행체(5)의 접근 여부의 감지를 5초 간격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진단 장치(10)는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에서 무인 비행체(5)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격이 최적화되도록 업데이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ime interval for detecting whether the unmanned air vehicle 5 is approaching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may be preset at intervals of 10 seconds. 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pproach detec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5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 approach detection is missed) at intervals of 10 seconds, the diagnostic apparatus 10 may detect the approach detection time of the unmanned air vehicle 5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that causes the interval to be shortened by an interval of 5 can be generated. When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receives the time-related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nmanned air vehicle 5,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detects the approach or non-approach of the unmanned air vehicle 5 at intervals of 5 seconds . ≪ / RTI > The present diagnostic apparatus 10 can update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so as to optimize the time interval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nmanned air vehicle 5 is approaching.

본원에서 무인 비행체(5)는 조사 대상 구조물에 구비된 열화 측정 센서부와 연동될 수 있다. 일예로 열화 측정 센서부와 무인 비행체가 연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본 진단 장치(10)가 열화 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서버 등을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음에 따라, 서버 등의 이상 발생시 열화 관련 센싱값을 전달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본원은 무인 비행체가 조사 대상 구조물(1)에 구비된 열화 측정 센서의 열화 관련 센싱값을 예를 들어 지그비 통신, 와이파이, RFID,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열화 측정 센서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음에 따라 서버 등의 이상 발생과 관계없이 열화 관련 센싱값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무인 비행체(5)는 열화 측정 센서로부터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즉시 본 진단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can be interlocked with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provided in the structure to be researched. For example, when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re not interlocked, the diagnostic apparatus 10 can receive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through a server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receive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ceives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f the deterioration measuring sensor provided in the structure to be surveyed 1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ing senso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communication, Wi-Fi, RFID,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can be easily obtained irrespective of the abnormality of the server or the lik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may store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in its own memory or may transmit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to the diagnostic device 10 upon acquisition of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without storing it in its own memory.

열화 측정 센서부와 무인 비행체 간에는 무선 통신으로서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일예로 지그비 통신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 RFID,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Zigbee communication can be used as an examp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conomical efficiency and efficienc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RFID, .

판단부(12)는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11)에서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또는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조사 대상 구조물(1)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12)에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미지 획득부(13)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by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cquiring unit 11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or the reference value), the determining unit 12 determines that the deteriora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detailed diagnosis of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area A1 is necessary. If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required, the image obtaining unit 13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on the surface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sensor unit 21 through the unmanned air vehicle 5 Can be obtained.

구체적으로, 판단부(12)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또는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열화 관련 센싱값을 측정한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에 열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해당 영역(A1)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미지 획득부(13)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세 이미지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접근하도록 제어된 무인 비행체(5)에 의하여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을 확대 촬영한 확대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세 이미지는 무인 비행체(5)가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접근하지 않고 무인 비행체(5)에 구비된 카메라의 줌인 기능에 의하여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을 확대 촬영한 확대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or the reference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at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It can be determined that a deteriorated area exists on the surface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sensor unit 21 and accordingly the detailed diagnosis of the surface of the area A1 is necessary.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iagnosis is necessary, the image obtaining unit 13 obtains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through the unmanned air vehicle 5 . Here, the detailed image is an enlarged image obtained by enlarging and photographing the surface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1 by the unmanned air vehicle 5 controlled to approac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1 . ≪ / RTI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detailed image may be obtained by the zooming function of the camera provided in the unmanned air vehicle 5 without the unmanned air vehicle 5 approaching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May be an enlarged image obtained by enlarging and photographing the surface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part (21).

달리 말해, 판단부(12)는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11)에서 획득된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의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또는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가 획득되도록 무인 비행체(5)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로 하여금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는 생성된 제어 명령을 무인 비행체(5)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무인 비행체(5)의 이동이 제어됨에 따라, 이미지 획득부(13)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f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obtained by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cquisition unit 11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or the reference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at the deterioration- It is possible to cause th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ler 14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unmanned air vehicle 5 so that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21 is obtained. Th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ler 14 can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unmanned air vehicle 5. The movement of the unmanned air vehicle 5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so that the image acquiring unit 13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unmanned object 5 on the surface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sensor unit 21 A detailed image can be obtained.

여기서, 기준 범위(또는 기준치)는 열화 측정 센서로부터 이전에 획득한 열화 관련 센싱값 대비 금번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의 차이에 대하여 열화 여부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판단부(12)는 열화 측정 센서로부터 이전에 획득한 열화 관련 센싱값 대비 금번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이상인 경우, 해당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열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해당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가 획득되도록 무인 비행체(5)가 제어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range (or reference value) may refer to a reference range set in advanc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previously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is different from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this time.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i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this time relative to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previously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at the surfac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can be controlled so that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s obtai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기준 범위(또는 기준치)는 열화 측정 센서로부터 획득된 금번 열화 관련 센싱값에 대하여 열화 여부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판단부(12)는 열화 측정 센서로부터 금번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열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해당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가 획득되도록 무인 비행체(5)가 제어될 수 있다.Further, the reference range (or reference value) may refer to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is deteriorated. For example,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this time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12 can determine that a deteriorated area exists on the surfac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The unmanned air vehicle 5 can be controlled so that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s obtai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한편, 판단부(12)는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11)에서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조사 대상 구조물(1)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cquired by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cquiring unit 11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determining unit 12 determines that the deterioration- It can be judged that the detailed diagnosis on the surface of the area to be examined is unnecessary.

판단부(12)는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 획득을 스킵(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판단부(12)는 상세 진단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세 이미지 획득을 스킵하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5)의 제어 명령을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로 하여금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생성된 제어 명령에 따라 무인 비행체(5)가 제어됨으로써 상세 이미지 획득이 스킵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12 may skip (skip) the detailed image acquisition on the surface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unnecessary. 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12 may cause th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ler 14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the unmanned air vehicle 5 to skip the detailed image acquis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unnecessary. Detailed image acquisition can be skipped by controlling the unmanned air vehicle 5 according to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또한, 판단부(12)는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획득되는 상세 이미지와 대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커버하도록 줌 아웃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판단부(12)는 상세 진단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세 이미지 대비 더 넓은 면적을 커버하는 줌 아웃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5)의 제어 명령을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로 하여금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생성된 제어 명령에 따라 무인 비행체(5)가 제어됨으로써 줌 아웃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줌 아웃된 이미지는 조사 대상 구조물(1)로부터 무인 비행체(5)가 멀리 떨어지도록 제어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또는 무인 비행체(5)에 구비된 카메라의 줌 아웃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unnecessary, the determination unit 12 may obtain the zoomed-out image so as to cover a wider area than the detailed image obtai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necessary.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unnecessary, the determination unit 12 instructs th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 unit 14 to control the unmanned air vehicle 5 to acquire a zoomed-out image covering a wider area than the detailed image Can be generated. And the unmanned air vehicle 5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so that the zoomed-out image can be obtained. Here, the zoomed-out image can be obtained by being controlled so that the unmanned air vehicle 5 is far away from the subject structure 1, or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zoom-out function of the camera provided in the unmanned air vehicle 5 have.

달리 말해, 판단부(12)에서 열화 측정 센서로부터 획득한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금번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이전에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 대비 급격한 변화(상승 또는 하락)가 발생하지 않거나 건전한 정상 상태의 표면(달리 말해, 열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표면)에서 측정된 열화 관련 센싱값과 대비하여 금번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 무인 비행체(5)는 무인 비행체 제어부(14)에 의하여 해당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의 획득을 스킵하거나 상세 이미지 대비 줌 아웃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is included in the reference range in the determination unit 12, for example,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this time is compared with the deterioration-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at this time is compared with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measured at the surface of a sound steady state (in other words, the surface which has not been deteriorated) or a sudden change (rise or fall) If there is no difference, the unmanned air vehicle 5 skips the acquisition of the detailed image on the surface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ler 14 or acquires the zoomed-out image with respect to the detailed image Movement can be controlled.

이미지 획득부(13)는 판단부(1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해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3)는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반면, 이미지 획득부(13)는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가 아닌 현재의 무인 비행체(5)의 위치를 기준으로 조사 대상 구조물(1)에 대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획득된 이미지는 상세 이미지 대비 표면에 대하여 더 넓은 면적이 보이도록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The image obtaining unit 13 may obtain an imag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through the unmanned air vehicle 5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2. [ The image obtaining unit 13 may obtain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iagnosis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unnecessary, the image obtaining unit 13 obtains the captured image with respect to the survey target structure 1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5, And the acquired image may be a photographed image such that a larger area is see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han the detailed image.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는 판단부(12)를 통한 판단 결과에 따라 무인 비행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무인 비행체(5)로 전송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ler 14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by the determination unit 12,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unmanned air vehicle 5.

판단부(12)에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 또는 판단부(12)에서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이후에,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는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1, 22, 23, …)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와는 다른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도록 무인 비행체(5)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판단부(12)에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 또는 판단부(12)에서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이후에,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와는 다른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와 무인 비행체(5) 간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 중 다른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에 대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무인 비행체(5)가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After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necessary and acquires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or after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at detailed diagnosis is unnecessary, th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ler 14 performs a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s The unmanned object 5 is moved so as to approach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a distance at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different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among the sensor units 21, 22, 23,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lternatively, after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necessary and obtains the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or after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unnecessar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unit 14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and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and the unmanned air unit 5,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flying object 5 to approach.

특히,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는 일예로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되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 내지 줌 아웃된 이미지의 획득없이(즉, 상세 이미지 내지 줌 아웃된 이미지를 스킵하고) 무인 비행체(5)를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전체 표면 중 열화가 나타나는 영역의 표면만을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어, 조사 대상 구조물(1) 전체에 대한 열화 진단에 소요되는 모니터링 시간 및 분석 소요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Particularly, th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nmannurized airplane control unit 14 such that, for example,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iagnosis of the surface is not necessary, the detailed image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Out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object 1 to be irradiated, by controlling the unmanned air vehicle 5 to approach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a distance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monitor and analyze only the surface of the region where the object 1 is exposed,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monitoring time and the analysis time required for the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entire structure 1 All.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무인 비행체(5)가 접근한 경우, 달리 표현하여, 무인 비행체(5)가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와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진입한 경우,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11)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해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로부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판단부(12)는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로부터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에 대응하는 영역(A2)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 획득부(13)는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에 대응하는 영역(A2)의 표면에 접근하도록 제어되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해 또는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에 대응하는 영역(A2)의 표면을 줌 인하여 촬영하도록 제어되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해,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에 대응하는 영역(A2)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unmanned air vehicle 5 approaches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2 in a case where the unmanned air vehicle 5 approaches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2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tance at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cquisition unit 11 can acquire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from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through the unmanned air vehicle 5 when entering the communication enabled area.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from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e details of the surface of the region A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It can be judged that diagnosis is necessary. Thereafter, the image acquiring unit 13 acquires, via the unmanned air vehicle 5 controlled to approach the surface of the area A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or via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2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of the area A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2 can be obtained through the unmanned air vehicle 5 controlled to shoot by zooming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area A2 .

여기서,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2)에 대응하는 영역(A2)은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과 이웃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The region A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2 may mean a region adjacent to the region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1. [

본 진단 장치(10)에서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이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21, 22, 23, …)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A1, A2, A3, …)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구획된 복수의 영역(A1, A2, A3, …)의 크기는 각각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주변의 환경 여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획된 영역의 크기는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열화 측정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크기 만큼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획된 영역의 크기는 충분히 넓게 설정될 수도 있다. 구획된 영역의 크기가 충분히 넓게 설정된 다음 해당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충분히 넓게 설정된 상기 구획된 영역 전체에 대하여 상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세 진단을 수행함으로써, 본 진단 장치(10)는 구획된 해당 영역에 있어서 열화와 관련하여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판단 및 진단을 할 수 있다. The diagnosis apparatus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can be partitioned into regions A1, A2, A3, ...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21, 22, 23, have.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divided plurality of areas A1, A2, A3, ... may be various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and the like. Illustratively, the size of the segmented region can be set to a size that is thought to be based on the degrad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by the degradation measurement senso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As another example, the size of the partitioned area may be set sufficiently wide. When the size of the divided area is set sufficiently wide and then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continuous image is acquired for the whole of the divided area which is set sufficiently wide, The device 10 is able to make more detailed and specific judgments and diagnoses with regard to deterioration in the compartmented area.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A 조사 대상 구조물의 주변의 환경 여건이 B 조사 대상 구조물의 주변의 환경 여건에 대비하여 열화가 더 나타나는 환경 여건인 경우(예를 들어, 바람이 많이 불거나 습하거나 비가 많이 오는 지역, 나라 등인 경우), 구조물의 표면에 열화 발생시 B 조사 대상 구조물 대비 A 조사 대상 구조물에 열화가 더 광범위한 범위로 나타난다고 판단하여,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각각에 대응하여 구획되는 영역의 크기는 B 조사 대상 구조물 보다 A 조사 대상 구조물에서 더 크게 구획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for example, in a case where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round the structure A to be surveyed is an environmental condition in which degradation is more likely to occur in comparison with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structure to be surveyed (for example, When the deterioration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it is determined that deterioration appears in a broader range in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B compared to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and the size of the region Can be set to be larger in the structure to be surveyed A than the structure to be surveyed B is.

다른 예로, 하나의 조사 대상 구조물에 있어서도,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각각에 대응하여 구획되는 영역의 크기가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사 대상 구조물의 주변의 환경 여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열화 측정 센서부(23)의 주변의 환경 여건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의 주변의 환경 여건에 대비하여 열화가 더 나타나는 환경 여건인 경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표면보다 제3 열화 측정 센서부(23)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하여 열화가 더 광범위한 범위로 나타난다고 판단하여, 제3 열화 측정 센서부(23)에 대응하는 영역(A3)의 크기가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크기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one structure to be irradiated, the size of the region partition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portions consider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portions And can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in a case where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round the thir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3 is an environmental condition in which deterioration further appears in comparison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t is judged that deterioration appears in a wider rang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hir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3 tha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hir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3 and the area A3 Can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ing sensor unit 21. [

한편,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r)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이라 함은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를 통해 계측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기준으로 열화 상태의 진단(판단)이 가능한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 상에서의 열화 상태의 진단(판단) 가능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t distance r among the distances wirelessly communicable wit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1 is a distance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1 have.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means that the deterioration state can be diagnosed (judged) based o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measured throug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Judgment) of the deterioration state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한편, 본 진단 장치(10)는 이미지 획득부(13)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와 열화 관련 센싱값을 함께 고려한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상관관계 도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화 진단 결과는 조사 대상 구조물의 잔존 수명 또는 조사 대상 구조물의 유지보수와 관련한 진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화 진단 결과는 일예로 딥 러닝 기반의 이미지 자동 인식 및 열화 판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도출되거나 획득되는 이미지를 모니터링하는 작업자(사용자 또는 검사자)의 판단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다. 다만, 열화 진단 결과의 도출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알려지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방법(방식)의 적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agnostic apparatus 10 may include a correlation derivation unit (not shown) for deriv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and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 Here,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may include the remaining lif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or a diagnosis result relating to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to be researched. 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can be derived, for example, by an operator (user or an examiner) who monitors an image derived or obtained by at least one of automatic image recognition and deterioration judgment based on deep running. However, the method of deriving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pplication of various known methods or method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본 진단 장치(10)는 열화 측정 센서로부터 획득한 열화 관련 센싱값과 그에 대응하여 무인 비행체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빅데이터화하고, 상관관계 도출부(미도시)는 빅데이터화된 정보에 기초하여 열화 관련 센싱값과 이미지 내의 열화 상태 내지 열화 상태에 대응하는 열화 진단 결과 간의 상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진단 장치(10)는 도출된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무인 비행체(5)로부터 획득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열화 영역의 현 상태를 정량화하고, 획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조사 대상 구조물의 잔존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The diagnostic apparatus 10 converts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cquired from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into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nd the correlation deriving unit (not show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ed sensing value and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ed state or deteriorated state in the image can be derived. The present diagnostic apparatus 10 quantifies the present state of the deteriorated area included in the image acquir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based on the derived correlation and estimates the remaining life of the survey target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image .

또한, 본 진단 장치(10)는 상관관계 도출부(미도시)에서 도출된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11)에서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으로부터 이미지 획득부(13)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예측 열화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예측 열화 진단 결과 도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agnostic apparatus 1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based on the correlation derived from the correlation derivation unit (not show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by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acquisition unit 11 And a predi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deriving unit (not shown) for deriving a predi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acquired image.

간단히 예를 들면, 본 진단 장치(10)에서는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로서 조사 대상 구조물의 잔존 수명이 '10년 이내', '10년 내지 20년 사이', '20년 내지 30년 사이' 등과 같은 잔존 수명 관련 열화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로서 표면에 대한 유지보수가 '필요함', '불필요함', '관찰대상임'과 같은 유지 보수 관련 열화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보수 관련 열화 진단 결과로서 유지보수가 필요한 정도에 따른 등급화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관관계 도출부(미도시)는 이러한 열화 진단 결과에 대하여 열화 진단 결과 도출시 이용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을 고려함으로써, 열화 진단 결과와 열화 관련 센싱값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예측 열화 진단 결과 도출부(미도시)는, 일예로 금번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제1 값인 경우, 상기 제1 값으로부터 이미지 획득부(13)를 통해 획득되는 상세 이미지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예측 열화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In brief, for example, in the present diagnostic apparatus 10, as a result of the deterioration diagnosis based on the acquired image, the remaining life of the structure to be investigated is within 10 years, between 10 and 20 years, ≪ / RTI > < RTI ID = 0.0 > and / or < / RTI > Also, as a result of the deterioration diagnosis based on the obtained image, it is possible to derive maintenance-related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s such as maintenance of the surface, 'unnecessary', and 'observation object'. Also, as a result of the maintenance deterioration diagnosis,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ra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intenance required. The correlation derivation unit (not shown) calcul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and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by considering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image used in deriving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with respect to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 According to this, the predi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deriving unit (not shown), for example,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this time is the first value, calculates the predi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obtaining unit 13 from the first value The predicted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for the surface can be derived.

한편, 판단부(12)에서 고려되는 기준 범위는 상관관계 도출부(미도시)에서 도출되는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때, 기준 범위의 설정 또는 업데이트는 특정한 조사 대상 구조물에 한정하여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이를 통해 본 진단 장치(10)에서는 해당 조사 대상 구조물의 주변 여건 환경 등에 맞춤화된 맞춤형 기준 범위의 설정 또는 업데이트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range considered in the determination unit 12 may be set or updated based on the correlation derived from the correlation derivation unit (not shown). At this time, the setting or updating of the reference range is performed based on the correlation that is derived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which is limited to the specific survey target structure, Customized customized reference ranges can be set or updated.

예를 들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로부터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서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 획득에 기반하여 상세 진단을 수행했으나, 상세 진단의 결과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응하는 영역(A1)에 유지보수가 필요없거나 잔존수명이 일예로 30년 이상 등 상당 기간 오래 남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준 범위가 높아지도록 업데이트(보정)할 수 있다. 이때, 기준 범위의 업데이트는 일예로 해당 조사 대상 구조물 전반에 대하여(즉, 해당 조사 대상 구조물에 포함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전체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준 범위의 업데이트는 상세 진단이 이루어진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열화 측정 센서에 대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based on the detailed image acquisition on the surface of the region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maintenance is not required in the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as a result of the detailed diagnosis, or that the remaining service life is long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such as 30 years or more (Corrected) so that the reference range previously set for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1 is increased. At this time, the update of the reference range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for the entire structure to be investigated (i.e., for all of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s included in the structure to be investig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date of the reference range may be performed only for the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detailed diagnosis is performed.

또한, 본 진단 장치(10)에 적용되는 열화 측정 센서는 일예로 용량성 웨이크-업(Capacitive Wake-Up)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용량성 웨이크-업 기능을 통해 열화 측정 센서는 배터리를 절감할 수 있도록 슬립 모드에서 5μA 미만으로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또한, 열화 측정 센서는 저전력 모드로 작동하면서 무인 비행체의 접근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measuring sensor applied to the diagnostic apparatus 10 may include a capacitive wake-up function. Capacitive wake-up capability allows the degradation measurement sensor to consume less than 5μA in sleep mode to save battery life. 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sensor can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ile operating in a low power mode.

도 3a 내지 도 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10)에서 무인 비행체 제어부(14)에 의하여 제어되는 무인 비행체(5)의 제어 경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to 3C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trol path of the unmanned air vehicle 5 controlled by th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ler 14 in the apparatus 10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무인 비행체(5)의 이동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은 전후 방향, x축 방향은 좌우 방향, z축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y축 방향은 조사 대상 구조물(1)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y-axis direction may be a forward / backward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may be a left / right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may be an up / down direction based on movement of the unmanned air vehicle 5. The y-axis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1 to be irradiated.

일예로,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하면에 대응하는 표면(2)에 대한 이미지 획득시 무인 비행체(5)가 제1 경로(r1)와 같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로(r1)는 무인 비행체(5)가 전 방향(즉, y축 방향)으로 이동하되 좌우 방향(즉, x축 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ler 14 can control the unmannurial vehicle 5 to move along with the first path r1 when acquiring images of the surface 2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ructure 1 to be irradiated . In this case, the first path r1 may refer to a path in which the UAV 5 moves in a forward direction (that is, the y-axis direction) but zigzag in the left-right direction (i.e., the x-axis direction).

또한, 일예로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측면에 대응하는 표면(2a)에 대한 이미지 획득시 무인 비행체(5)가 제2 경로(r2)와 같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경로(r2)는 무인 비행체(5)가 측면의 표면(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 방향(즉, y 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ler 14 can control the unmanned air vehicle 5 to move along with the second path r2 when acquiring images of the surface 2a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structure 1 to be irradiated have. In this case, the second path r2 may refer to a path in which the unmanned air vehicle 5 linearly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2a in the forward direction (i.e., the y-axis direction).

예시적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는 무인 비행체(5)를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제1 측면(예를 들어, 우측면)에서 하면을 경유하여 제2 측면(예를 들어, 좌측면)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획득부(13)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제1 측면(예를 들어, 우측면)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이미지,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하면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이미지 및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제2 측면(예를 들어, 좌측면)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ler 14 control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to travel from the first side (for example, the right side) of the object 1 to be irradiated to the second side For example, the left side). Thereby, the image acquiring unit 13 acquires the image of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for example, the right sid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the image of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rradiated structure 1 And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de (e.g., the left side) of the structure 1 to be irradiated.

한편, 일예로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제1 측면에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4)가 구비되고,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하면에는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5)가 구비되고,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제2 측면에는 제3 열화 측정 센서부(24)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무인 비행체(5)가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4)와의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4)로부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하여 본 진단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인 비행체(5)가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5)와의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제2 열화 측정 센서부(25)로부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하여 본 진단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제3 열화 측정 센서부(26)에 대한 설명은 제1 열화 측정 센서부(24)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4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 of the structure 1 to be irradiated,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5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The thir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4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At this time, when the unmanned air vehicle 5 approaches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4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tance that can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4,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acquired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4, To the device (10). Likewise, when the unmanned air vehicle 5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a distan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5,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acquired from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25, To the device (10).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6 can be understoo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for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24,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c를 참조하면, 본 진단 장치(10)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한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 획득시 조사 대상 구조물(1)인 교량의 교대, 교각부를 기준좌표점(A, B, C, D, …)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무인 비행체(5)는 설정된 기준좌표점을 따라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측면과 하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3)는 이를 통해 무인 비행체(5)로부터 조사 대상 구조물(1)의 측면과 하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예로, 하면에 대한 이미지는 무인 비행체(5)를 지그재그로 이동시킴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제1 측면에 대한 이미지는 무인 비행체(5)를 기준좌표점 A에서 기준좌표점 D까지 선형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제2 측면에 대한 이미지는 무인 비행체(5)를 기준좌표점 B에서 기준좌표점 C까지 선형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C, the diagnostic apparatus 10 includes an alternating bridge of the object 1 to be surveyed, an angle of the bridge portion to a reference coordinate point A, B, C, D, ...).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can photograph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rvey target structure 1 along the set reference coordinate point. The image acquiring unit 13 can acquire images of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rradiation target structure 1 from the unmanned air vehicle 5 through the image acquiring unit 13. For example, the image of the bottom surface can be obtained by moving the unmanned air vehicle 5 in a zigzag manner. For example, the image of the first aspect may be obtained by linearly moving the UAV 5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 point A to the reference coordinate point D. For example, the image of the second aspect can be obtained by linearly moving the UAV 5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 point B to the reference coordinate point C.

또한, 일예로 본 진단 장치(10)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3차원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agnostic apparatus 10 can visualize an image obtained throug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in three dimensions.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에서 무인 비행체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an image acquired through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진단 장치(10)는 일예로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무인 비행체(5)를 제어함에 따라 획득된 이미지를 기준좌표점을 기준으로 도 4와 같이 3차원으로 투영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조사 대상 구조물(1)이 교량인 경우, 시각화된 모델은 교량의 경간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량 전체로 모델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인 도장의 열화 위치, 분포도 등을 직관적으로 손쉽게 확인(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진단 장치(10)는 기준좌표점을 이용하여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인 도장의 열화 위치 및 분포면적 등을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iagnostic apparatus 10, for example, control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as shown in FIGS. 3A to 3C, and projects the acquired image in three dimensions with reference to a reference coordinate point as shown in FIG. 4 Can visualize. If the structure to be surveyed (1) is a bridge, the visualized model can be constructed for each span of the bridge and can be modeled as a whole bridge. Through this, the user can intuitively easily confirm (grasp) the 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paint, which is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1 to be irradiated. In addition, the diagnostic apparatus 10 can calculate the deterioration 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coating, which is the surface of the irradiation target structure 1, using the reference coordinate point.

한편, 본 진단 장치(10)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이전에,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대해 레이저 스캐닝으로 반사강도를 획득하고 분석하는 반사강도 분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agnostic apparatus 10 includes a reflection intensity analyzing unit 10 for acquir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on intensity by laser scanning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before acquiring an imag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Not shown).

반사강도 분석부(미도시)는, 열화가 미발생한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대하여 획득된 반사강도가 허용치를 벗어나면, 허용치를 벗어나는 상기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열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열화 영역에 접근하도록 제어된 무인 비행체(5)를 통해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When the reflection intensity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the reflection intensity analysis section (not shown) corresponds to the reflection intensity exceeding the allowable value It is possible to obtain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intensity through the unmanned object 5 controlled to approach the deteriorated area. This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에서 반사강도를 획득하여 분석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on intensity in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는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대한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의 반사강도(Intensity)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11에서 본 진단 장치(10)는 이미지 획득부(13)에서 이미지를 획득하기 이전에(달리 말해, 무인 비행체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기 이전에), 반사강도 분석부(미도시)를 통해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대해 레이저 스캐닝으로 반사강도를 획득하고 분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S11, the reflection intensity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can be obtained through laser scanning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using a laser scanner. In step S11, the diagnostic apparatus 10 performs an inspection (not shown) before acquiring an image in the image acquiring unit 13 (in other words, before acquiring an image throug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reflection intensity can be obtained and analyzed by laser scanning on the surface of the target structure.

반사강도 분석부(미도시)는 레이저 스캐닝에 의하여 획득된 반사 강도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S12에서 반사강도 분석부(미도시)는 열화가 미발생한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획득된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의 반사강도가 허용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는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획득된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의 반사강도가 허용치를 벗어나면, 반사강도 분석부(미도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이미지 획득부(13)에서 이미지가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단계S13에서 반사강도 분석부(미도시)는 획득된 반사강도가 기준강도 대비 허용치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획득된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열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무인 비행체(5)가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의 제어 명령을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로 하여금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생성된 제어 명령은 무인 비행체(5)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무인 비행체(5)가 제어됨에 따라 이미지 획득부(13)는 무인 비행체(5)를 통해 획득된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The reflection intensity analyzer (not shown) can analyze the reflection intensity obtained by laser scanning. More specifically, in step S12, the reflection intensity analyzing unit (not shown) determines whether the reflection intensity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which is obtained through laser scanning, exceeds the allowable value Can be analyzed. In step S13, if the reflection intensity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obtained through laser scanning is out of tolerance, the image is acquired in the image acquisition section 13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flection intensity analysis section (not shown) can do. In other word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 that the obtained reflection intensity deviates from the allowable value of the reference intensity, the reflection intensity analyzer (not shown) may determine that the deteriorated area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So that th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 unit 14 is caused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allows the unmanned air vehicle 5 to acquire detailed images of the surface of the subject structure 1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intensity .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unmanned air vehicle 5 and the unmanned air vehicle 5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so that the image obtaining unit 13 can respond to the intensity of reflection obtained through the unmanned air vehicle 5 To obtain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to be imaged.

이때, 반사강도 분석부(미도시)는 획득된 반사강도(즉, 측정 강도)가 "허용치 ≤ |측정강도-기준강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획득된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열화 영역(이상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obtained reflection intensity (i.e., measurement intensity) satisfies the condition of "tolerance? | Measurement intensity-reference intensity | ", the reflection intensity analysis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a deteriorated area (abnormal area) exists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반사강도 분석부(미도시)는 획득된 반사강도와 열화가 미발생한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 간의 차이가 허용치를 벗어나는 정도로 크게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획득된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열화 영역, 즉 열화된 표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반사강도를 이용하여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열화 영역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열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인 비행체(5)로부터 열화 영역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When it is judg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tained reflection intensity and the reference intensit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n which the deterioration has not occurred greatly differs from the tolerance, the reflection intensity analyzing unit (not shown) , That is, it can be judged that the deteriorated surface exists. That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teriorated area can be determined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using the reflection intensity. Thereafter,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eriorated area exists, a detailed image of the deteriorated area can be obtain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5.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1 to S13 may be further divided into further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에서 무인 비행체의 제어에 따른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operation according to control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21에서는 무인 비행체(5)에 구비된 카메라(고성능 카메라)를 이용하여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조사대상 강도장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22에서는 획득한 이미지 내에 이상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인 비행체(5)가 이상 영역이 감지된 부분(이상감지부)을 상세 촬영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상 영역에 대한 상세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획득한 이미지 내에 이상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이미지 인식 프로세싱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S21, a camera (high-performance camera) provided in the unmanned air vehicle 5 can be used to acquire an imag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intensity scene to be irradiated). In step S22,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 region exists in the acquired image, the unmanned air vehicle 5 can be controlled to photograph the abnormal region (anomaly detection unit) in detail, An image can be obtained.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an abnormal region exists in the acquired image may be performed by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or user input, and a more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later.

단계S23에서는 이상 영역에 대응하는 열화 영역(표면에서 열화로 인해 손상된 영역, 열화 부위)의 분포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단계S23에서 분포면적의 계산(산출)은 레이저 스캐너를 통한 레이저 스캔(S24)에 의하여 획득된 3차원 위치정보(공간정보)(S25)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In step S23,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deteriorated are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area (area damaged due to deterioration at the surface, deteriorated area) can be calculated.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calculation (calculation) of the distribution area in step S23 can be calculat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S25 obtained by the laser scanning S24 through the laser scanner.

한편, 단계S24에서는 레이저 스캐너를 통한 레이저 스캔(스캐닝)을 통해 3차원 위치정보(공간정부)(S25) 및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대한 반사강도(S26)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스캐너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교량의 상, 하부에 위치하는 레이저 스캐너일 수도 있고, 또는 무인 비행체에 구비되는 레이저 스캐너일 수도 있다. 이때, 레이저 스캐너가 무인 비행체에 구비되는 장비가 아닌 교량의 상, 하부에 위치하는 장비인 경우, 본 진단 장치(10)는 3차원 위치정보 및 반사강도를 교량의 상, 하부에 위치하는 레이저 스캐너 장비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또는 무인 비행체를 통하여 전달받아 획득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step S24,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spatial section) S25 and the reflection intensity S26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through laser scanning (scanning) through the laser scanner. Here, the laser scanner may be a laser scanner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bridge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a laser scanner provid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is case, when the laser scanner is a devic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ridge, not the equipment provid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diagnostic device 10 can detect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reflection intensity by using a laser scanner It can be acquired from the equipment and acquired, or it can be acquired via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반사강도 분석부(미도시)는 획득된 반사강도와 열화가 미발생한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 간의 차이가 허용치를 벗어나는 경우(S27-Y), 허용치가 벗어나는 해당 영역에 열화 영역(열화에 의해 손상된 손상부)이 존재하는 것으로 탐지(S28)할 수 있다. 이후, 무인 비행체를 통해 열화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손상부, 이상감지부)에 대한 상세 촬영(S22)을 수행함으로써, 열화 영역에 대응하는 상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획득된 반사강도와 열화가 미발생한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 간의 차이가 허용치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S27-N), 무인 비행체는 획득된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의 획득을 수행하지 않고(스킵하고) 이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tained reflection intensity and the reference intensit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n which no deterioration has occurred is out of tolerance (S27-Y), the reflection intensity analysis section (not shown) analyzes the deteriorated area (S28) can be detected. Thereafter, the detail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ed area can be acquired by performing the detailed photographing (S22) o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ed area (the damaged part and the abnormal detection part) throug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n the other h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tained reflection intensity and the reference intensity for the surface on which no deterioration occurs has not exceeded the allowable value (S27-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erforms acquisition of the detailed image o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reflection intensity (Skipped).

본 진단 장치(10)에서는 레이저 스캔과 이미지 획득이 병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diagnostic apparatus 10, laser scanning and image acquisition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일예로, 본 진단 장치(10)는 레이저 스캔을 통해 획득한 반사강도에 기반하여 이상 영역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할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진단 장치(10)는 레이저 스캔을 통해 획득한 3차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5)의 이동경로(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획득한 이미지 내에 이상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상 영역에 대한 상세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도록 무인 비행체(5)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agnostic apparatus 10 can determine whether to obtain a detailed image of an ideal region based on the reflection intensity obtained through laser scanning. In addition, the diagnostic apparatus 10 can set the movement path (flight path) of the unmanned air vehicle 5 us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laser scanning, and judges that an abnormal region exists in the acquired image The movement of the unmanned air vehicle 5 can be controlled so that a detailed image of the abnormal region can be obtained.

또한 본 진단 장치(10)는 무인 비행체(5)가 조사 대상 구조물(1)의 표면에 대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이동함에 따라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된 이미지 내에 이상 영역 내지 이상 의심 영역이 감지된 경우 이상 영역 내지 이상 의심 영역을 상세 촬영하도록 무인 비행체가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세 촬영을 통해 무인 비행체로부터 획득된 상세 이미지에 레이저 스캔을 통한 3차원 위치정보를 고려함으로써, 본 진단 장치(10)는 표면에 형성된 열화 영역의 분포면적을 산출할 수 있으며, 열화 색상 정도, 열화 분포 형상에 따른 열화 상태 수준 등을 진단 및 평가할 수 있다.Also, the diagnostic apparatus 10 can acquire an image of the surface as the unmanned air body 5 moves with a certain distance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1. At this tim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controlled so as to photograph the abnormal region or abnormal region in detail when the abnormal region or abnormal region is detected in the obtained image. At this time, by consider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aser scan on the detailed image obtain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rough the detailed photographing, the diagnostic apparatus 10 can calculate the area of the deteriorated area formed on the surface, , The deterioration level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eterioration distribution, and the like can be diagnosed and evaluated.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은 앞서 설명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for diagnosing the surface deterioration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7 can be performed by the structure surface deterioration diagnosis apparatus 1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surface deterioration diagnosis apparatus 1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surface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31에서는 무인 비행체가 조사 대상 구조물에 구비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로부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거리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step S31, when the unmannurized air vehicle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among distance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s provided in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can be obtained from the sensor unit. Here,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a distance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이때,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에서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은 무인 비행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격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in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may be set to be longer than the time interval for sensing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pproaches or not.

또한, 단계S31에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는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 열화 센싱값 및 대기 중의 열화 유발 환경인자 센싱값을 포함하는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31,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may acquire a degradation-related sensing value including a surface degradation sensing valu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and a deterioration-inducing environmental factor sensing value in the atmosphere.

다음으로, 단계S32에서는 단계S31에서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할 수 있다.Next, in step S32,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in step S31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단계S31에서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S32-Y), 판단부(12)는 조사 대상 구조물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후 이미지 획득부(13)에서는 무인 비행체를 통해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33).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in step S31 deviates from the reference range (S32-Y),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at the surface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needs to be diagnosed in detail Then, the image obtaining unit 13 can obtain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through the unmanned air vehicle (S33).

한편, 단계S31에서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S32-N), 판단부(12)는 조사 대상 구조물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4).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in step S31 is included within the reference range (S32-N),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eterioration- It can be judged that it is unnecessary (S34).

단계S33 이후 및 단계S34 이후에, 무인 비행체 제어부(14)는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와는 다른 제2 열화 측정 센서부에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도록 무인 비행체를 제어할 수 있다(S35).After the step S33 and after the step S34, th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ler 14 approaches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different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controlled (S35).

이때, 제2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은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과 이웃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may be adjacent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또한, 단계S34에서는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 획득을 스킵하거나, 단계S33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와 대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커버하도록 줌 아웃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무인 비행체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34, an unmanned aerial vehicle is skipped to skip the image acquisition on the surface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sensor section, or to obtain a zoomed-out image so as to cover a wider area in comparison with the image obtained in step S33 Can be controll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은, 단계S33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와 열화 관련 센싱값을 함께 고려한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단계S31에서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으로부터 단계S33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예측 열화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화 진단 결과는 조사 대상 구조물의 잔존 수명 또는 조사 대상 구조물의 유지보수와 관련한 진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riv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image obtained in step S33 and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nd deriving a predi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image obtained in step S33 from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in step S31 based on the correlation. Here,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may include the remaining lif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or a diagnosis result relating to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to be researched.

또한, 단계S33단계 또는 단계S34단계에서의 기준 범위는 상기 도출된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Further, the reference range in step S33 or step S34 may be set or updated based on the derived correlatio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은, 단계S32 이전에,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대해 레이저 스캐닝으로 반사강도를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사강도를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는, 열화가 미발생한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상기 반사강도가 허용치를 벗어나면, 상기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열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상세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diagnosing the surface deterio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acquir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on intensity by laser scanning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before the step S32. The step of acquir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on intensity may include determining a deteriorated area o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intensity when the reflection intensity is out of tolerance a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intensity of the surface on which degradation has not occurr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detailed image of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intensity.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 내지 S35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31 to S35 may be further divided into further steps, or combined in fewer step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for diagnosing the surface deterio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diagnosing surface deterioration of a structure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realiz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n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무인 비행체에 의한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
11: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
12: 판단부
13: 이미지 획득부
14: 무인 비행체 제어부
5: 무인 비행체
10: Diagnosis system of structure surface deterioration by unmanned aerial vehicle
11: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cquisition unit
12:
13: Image acquiring unit
14: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unit
5: unmanned aerial vehicle

Claims (12)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에 있어서,
(a) 무인 비행체가 조사 대상 구조물에 구비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로부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를 통해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A method for diagnosing a structure surface deterioration,
(a) when the unmannurized air vehicle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a distan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provided in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Obtaining a value;
(b) determining that a detailed diagnosis of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s necessary for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out of a reference range, Obtaining an image of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sensor portion; And
(c) determining that detailed diagnosis of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is unnecessary when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ing value is within a reference range; and Way.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b)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와는 다른 제2 열화 측정 센서부에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that are wirelessly communicable with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approa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은,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과 이웃하는 것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is adjacent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거리인 것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a distance covering at least a part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 획득을 스킵하거나, 상기(b) 단계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와 대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커버하도록 줌 아웃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c) includes: skipping image acquisition for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or for zooming out the image to cover a wider area in comparison with the image acquired in the step (b)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o as to acqui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b) 단계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와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함께 고려한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도출된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a) 단계에서 획득된 열화 관련 센싱값으로부터 상기 (b) 단계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반한 열화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예측 열화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화 진단 결과는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잔존 수명 또는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유지보수와 관련한 진단 결과를 포함하는 것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 deriv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image obtained in the step (b) and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nd
(f) calculating a predi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image obtained in the step (b) from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obtained in the step (a), based on the correlation derived in the step (e) Further comprising deriving a result,
Wherein the degradation diagnosis result includes a diagnosis result relating to a remaining lif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or a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to be research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또는 (c) 단계에서의 기준 범위는 상기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업데이트되는 것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ference range in step (b) or step (c) is set or updated based on the corre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에서 열화 관련 센싱값의 획득 시간 간격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 간격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quisition time interval of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is set to be longer than a time interval for detecting whether the unmanned air vehicle approaches or n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는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 열화 센싱값 및 대기 중의 열화 유발 환경인자 센싱값을 포함하는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하는 것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s acquir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s including a surface deterioration sensing valu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and a deterioration inducing environmental factor sensing value in the air in the step (a)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대해 레이저 스캐닝으로 반사강도를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강도를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는, 열화가 미발생한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상기 반사강도가 허용치를 벗어나면, 상기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열화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반사강도에 대응하는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인,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cquir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on intensity by laser scanning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before the step (b)
The step of acquir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on intensity may include determining a deteriorated area o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intensity when the reflection intensity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Thereby obtaining an image for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에 있어서,
무인 비행체가 조사 대상 구조물에 구비된 복수의 열화 측정 센서부 중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로부터 열화 관련 센싱값을 획득하는 열화 관련 센싱값 획득부;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열화 관련 센싱값이 기준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조사 대상 구조물 중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상세 진단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상세 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를 통해 상기 제1 열화 측정 센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표면 열화 진단 장치.
A structure deterioration diagnosis apparatus comprising:
When the unmannurized air vehicle approaches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distan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the deterioration-related sensor value is acquired from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A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acquiring unit;
Determining that a detailed diagnosis of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s necessary for the structure to be irradiated when the deterioration related sensing value is out of a reference rang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at detailed diagnosis of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is unnecessary; And
And an image acquiring unit that acquires an image of a surfac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rioration measurement sensor unit through the unmanned air vehicle whe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detailed diagnosis is required.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is recorded.
KR1020170114847A 2017-09-08 2017-09-08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ioration diagnosis of structure surf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nsor interface KR101994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47A KR101994412B1 (en) 2017-09-08 2017-09-08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ioration diagnosis of structure surf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nso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47A KR101994412B1 (en) 2017-09-08 2017-09-08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ioration diagnosis of structure surf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nsor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997A true KR20190027997A (en) 2019-03-18
KR101994412B1 KR101994412B1 (en) 2019-06-28

Family

ID=6594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847A KR101994412B1 (en) 2017-09-08 2017-09-08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ioration diagnosis of structure surf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nsor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4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290B1 (en) * 2020-07-21 2022-01-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Crack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drones
US11544919B2 (en) 2020-12-09 2023-01-03 Precisionhawk, Inc. Drone inspection of an undifferentiated surface using a reference image
KR102575082B1 (en) * 2022-11-07 2023-09-06 (주)한맥기술 Prefab structure damage analysis method and device
KR102577483B1 (en) * 2022-11-23 2023-09-13 주식회사 에프엠웍스 A drone image management system for deterioration damage to the exterior of a building and an image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887A (en) * 2000-06-07 2001-12-21 Univ Tokyo Aging diagnostic assistance system for concrete construction
JP2015034428A (en) * 2013-08-09 2015-02-19 一般財団法人土木研究センター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e of damage to bridge, and aerial movement apparatus
JP2016065809A (en) * 2014-09-25 2016-04-28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Concrete structure inspection support device, inspec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20170060250A (en) * 2015-11-24 2017-06-01 (주)스마트로직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nso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887A (en) * 2000-06-07 2001-12-21 Univ Tokyo Aging diagnostic assistance system for concrete construction
JP2015034428A (en) * 2013-08-09 2015-02-19 一般財団法人土木研究センター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e of damage to bridge, and aerial movement apparatus
JP2016065809A (en) * 2014-09-25 2016-04-28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Concrete structure inspection support device, inspec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20170060250A (en) * 2015-11-24 2017-06-01 (주)스마트로직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ns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412B1 (en)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4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ioration diagnosis of structure surf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nsor interface
US9952593B2 (en) Collaborative robot for visually inspecting an aircraft
US11199469B2 (en) Monitoring system
US10095087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for taking close-up picture of facility and photography method using the same
Lim et al. Developing a crack inspection robot for bridge maintenance
KR1019938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ioration diagnosis of structure surface based on deep learning
RU2444449C1 (en) Method and system of diagnostics and remote monitoring of railway overhead contact system
JP6263455B2 (en) Structure deterioration diagnosis system
US20220410949A1 (en) Method for in-situ and real-tim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geometric parameters of railway lines
US11494888B2 (en) Work terminal, oil leakage detection apparatus, and oil leakage detection method
CN104103030A (en) Image analysis method, camera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101942182B1 (en) Residual strength evaluation method for fire damaged structure
KR102443435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lidar sensor for measuring crack thickness of structures
CN102884552A (en) A method and a system to detect and to determine geometrical, dimensional and positional features of products transported by a continuous conveyor, particularly of raw, roughly shaped, roughed or half-finished steel products
WO2020194539A1 (en) Structure displacement measurement device
JP2017037008A (en) State inspection method for structure
JP5898921B2 (en) Vehicl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KR20140144047A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traffic characteristics information in the road network on a real-time basis
CN106023338B (en) A kind of unmanned vehicle vehicle conditio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09406716A (en) Pollutio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unmanned plane
RU100967U1 (en) DIAGNOSTIC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OF THE RAILWAY CONTACT NETWORK
Massaro et al. Intelligent inspection of railways infrastructure and risks estimation by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ed on noninvasive diagnostic systems
KR102192686B1 (en) Drone controlling system for checking of facility, and method for the same
RU2734363C1 (en) Examination of aircraft surfa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CN115004721A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localization in an indoor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