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614A -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614A
KR20190027614A KR1020170114610A KR20170114610A KR20190027614A KR 20190027614 A KR20190027614 A KR 20190027614A KR 1020170114610 A KR1020170114610 A KR 1020170114610A KR 20170114610 A KR20170114610 A KR 20170114610A KR 20190027614 A KR20190027614 A KR 20190027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microalgae
support
po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균
정인재
임상민
박한울
박재훈
조용희
강성모
신동우
김준호
이윤우
김한별
김기현
김광민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614A/ko
Publication of KR2019002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8Open ponds; Greenhouse type or underground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6Float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재로 이루어진 형상 유지 장치를 구비하여 배양효율이 보다 향상된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Pond type photobioreactor for mass production of microalgae}
본 발명은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의 다량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발생은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화석연료가 고갈된 시대를 대비한 지속가능한 친환경연료로 바이오연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바이오연료 중에 바이오디젤은 내연기관인 디젤기관의 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친환경연료로서 각광 받고 있는 연료이다. 그러나 제조원료로서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터(glycerol ester), 지방산 또는 식물과 동물유래의 지질이 사용되고 있지만, 그 지질은 대부분 식량자원이기 때문에 바이오디젤의 대량생산이 식량의 고갈문제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식량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으면서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지질의 생산자원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질 생산자원 중에 미세조류는 태양태양광과 이산화탄소 및 물을 사용하여 광합성을 하여 유기물, 특히 지질을 생산하는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미래 바이오디젤의 생산원으로 기대되고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수상에 설치되는 미세조류 배양기는 조류와 파도에 의해 배양액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배양액 쏠림 현상에 의해 배양기 전체 면적이 미세조류 배양에 사용되지 못하고, 배양액의 깊이가 깊어진 곳에서는 하층에 있는 미세조류가 빛을 공급받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배양기의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저해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84576호는 해양 광생물반응기 내에서의 미세조류 배양액의 유동을 촉진하기 위해 내부에 격벽을 갖는 광생물반응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격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광생물반응기의 윗면과 아랫면을 접합해야 하기 때문에 개방형 배양기에는 적용이 불가능 하고, 격벽 형성을 위한 열접합에 의해 배양 용기의 내구성이 약화되기 때문에 광생물반응기의 규모를 확대하기에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상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양효율이 더욱 향상된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미세조류 배양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배양용기; 및 상기 배양용기 하부에 설치되고 자체의 부력을 상기 배양용기에 제공하여 상기 배양용기의 형상을 유지하는 선형 또는 막대형의 부이 지지체를 포함하는,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 유지 장치를 구비하여 배양효율이 더욱 향상된 미세조류 대량 배양에 적합한 연못형 배양장치 생산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1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개요도이다.
도 2는 배양기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구비하지 않은 배양용기(A), 밧줄 지지체를 구비한 배양용기(B) 및 부이 지지체를 구비한 배양용기(C)의 쏠림 현상 정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3종류의 배양용기를 이용하여 가상 해양환경에서 배양액 혼합 효율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부이 지지체를 구비하지 않은 배양용기의 미세조류 배양액의 쏠림현상을 나타내고 있는 사진이고(A), 부이 지지체를 구비하여 미세조류 배양액의 쏠림방지를 나타내고 있는 사진이다(B).
도 5는 무 지지체, 밧줄 지지체 및 부이 지지체를 구비한 배양용기의 배양액 혼합 효율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무 지지체, 밧줄 지지체 및 부이 지지체를 구비한 배양용기의 미세조류 생산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용어의 정의: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세조류(microalgae)"는 바다에 서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흔히 적조를 일으키는 코클로디니움 같은 플랑크톤 역시 미세조류에 속한다. 해양 바이오에너지 연구가 주목하는 미세조류는 특히 지질, 즉 기름 성분이 풍부한 미세조류 종(種)이다. 크기는 10μm(미크론, 1m의 100만분의 1)정도, 머리카락 굵기의 10분의 1 안팎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광합성 미생물"은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녹조류, 홍조류, 남조류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클로렐라, 클라디도모나스(Chlamydomonas), 해마토코커스(Haematococous), 보트리오 코커스(Botryococcus), 세네데스무스(Scenedesmus), 스피룰리나(Spirulina), 테트라셀미스(Tetraselmis), 두날리엘라(Dunaliella)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술한 미세조류는 배양용기 내에서 카로테노이드, 균체, 파이코빌리프로테인, 지질, 탄수화물, 불포화지방산,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이지지체(buoy support)"는 종래 밧줄 또는 체인형태의 형상 유지 지지체가 아닌 부력재 소재의 지지체로 배양용기에 설치되어 하부에서 발생하는 유동(流動)에 의한 배양용기의 변형을 방지하고 배양용기에 부력을 제공하여 배양용기 내부 배양액의 혼합 효율 또한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미세조류 배양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배양용기; 및 상기 배양용기 하부에 설치되고 자체의 부력을 상기 배양용기에 제공하여 상기 배양용기의 형상을 유지하는 선형 또는 막대형의 부이 지지체를 포함하는,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연못형 배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이 지지체는 플라스틱, 스티로폼 또는 목재일 수 있고 상기 부이 지지체는 수중에서 발생하는 유동(流動)에 의한 상기 배양용기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배양용기 내부 모든 면적에 균일한 태양광 에너지를 수용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流動)은 조류(tidal current), 해류(oceanic current) 또는 파도(wave)일 수 있다. 상기 부이 지지체가 차지하는 면적은 배양기가 설치되는 수역의 특성에 따라 상기 배양용기의 하부면적의 10% 내지 30% 또는 30% 내지 50% 등 다양한 규격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균일한 부호는 균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무게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개요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개방형 구조의 배양용기는 종래의 미세조류 배양기 형태와 동일하나 배양용기 하부에 부력재로 구성되어 배양용기에 부력을 제공하는 형상 유지 장치 즉 부이 지지체(120)를 구비하였다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미세조류 배양기는 배양용기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어떠한 지지체도 구비하지 않은 가마니(주머니) 형태로 수상에 설치되면 배양기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조류, 해류 또는 파도와 같은 유동(流動)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서 배양기의 형태가 변형되고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미세조류 세포가 고루 분포되지 못하고 태양광 및 배양액의 혼합이 원활하지 못하는 쏠림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배양중인 전체 미세조류에 대해 태양광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함에 따라 미세조류 배양액(130)이 원활하게 혼합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배양용기의 단위면적당 미세조류 생산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배양용기 하부에 밧줄 또는 체인형태의 형상 유지 지지체를 포함하는 미세조류 배양기를 개발하였다(특허공개번호: 10-2017-0098011). 그러나 밧줄 또는 체인형태의 지지체는 배양기에 설치할 경우, 배양용기의 규모가 커져 길이가 길어질수록 자체 하중에 의해 중심부가 가라앉아 배양기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능력이 감소하고 밧줄과 배양용기의 마찰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마모 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배양용기의 규모의 증감과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고 마찰의 의한 마모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종래의 밧줄 형태가 아닌 부력재로 구성된 부이 지지체(120)를 포함하는 배양기를 개발하였다. 이는 도 1을 참조하면, 배양용기의 하단(바닥)에 본 발명의 부이 지지체(120)를 설치한 결과, 배양장치의 규모가 커져 지지체의 폭 또는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부력에 의해 배양기의 하중을 충분히 견디면서 하부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미세조류 배양액(130)이 배양기 전체 면에 고르게 분포할 수 있도록 유지시켜 준다.
또한, 부이 지지체(120) 자체가 가진 부력으로 파도가 배양기를 통과할 때 아무것도 설치가 되지 않았거나 밧줄 또는 체인 형태의 지지체를 설치했을 때보다 더 큰 상하 진동이 발생하여 배양용기 내부 배양액의 혼합 효율 또한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단위면적당 미세조류의 생산성이 크게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부이 지지체(120)의 소재는 수면에서 부력으로 배양용기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소재로 예컨대, 플라스틱, 스티로폼 또는 목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용기의 소재는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난분해성 고분자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epsilon-caprolactone)),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폴리락트산-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poly(lactic-co-glycolic acid), 셀룰로오스(cellulose),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루로오스(ethyl cellulose), 초산셀룰로오스(cellulose acetate),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커들란(curdlan), 폴리글루탐산(polyglutamic acid), 폴리라이신(polylysine), 폴리히드록시 알카노에이트(polyhydroxy alkanoate),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 glycol),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일 수 있고 상기 난분해성 고분자는 테프론(teflon,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올레핀(polyolefi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실리콘(silicon),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 methly meth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에틸렌-말레 안하이드리드 코폴리머,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플로라이드), 폴리비닐 이미다졸(poly(vinyl imidazole)), 클로로술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 polyolefin), 폴리에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나일론(nylon),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아크릴(acryl), 폴리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에틸렌 옥시드(poly(ethylene oxide))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100)의 특징인 쏠림 현상의 방지 효과를 다른 조건의 배양장치와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2A는 배양용기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어떠한 지지체도 구비하지 않은 종래 가마니 형태의 배양장치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양용기 하부에서 가해진 압력으로 인해 우측면이 심하게 변형되는 과도한 쏠림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B는 밧줄 또는 체인형태의 지지체를 구비한 배양용기로 도 2A의 배양기와 비교하여 과도한 쏠림현상이 많이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배양용기의 변형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C는 부이 지지체(120)를 구비한 배양용기로 배양용기 전체 면적에 대해 어떠한 변형도 발생하지 않고 본래의 형상이 완벽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부이 지지체(120)를 구비함에 따라 본 발명의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100)의 특징을 용이하게 설명하고자 임의의 길이와 수를 갖는 부이 지지체(120)를 설치한 배양용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사용자의 환경 및 배양용기의 크기에 따라 부이 지지체(120)의 길이 및 수를 자유롭게 증감하여 적용할 수 있고 목적에 따라서 부이 지지체(120)의 설치를 가로 또는 세로가 아닌 사선 또는 대각선으로 설치하여 배양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100)의 배양액 혼합 효율 향상과 쏠림 현상 방지 여부를 하기 실험예 1 및 2로 확인하였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배양액 혼합 효율 분석
본 발명의 부이 지지체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0.16 m2(40 cm X 40 cm) 면적으로 지지체를 구비하지 않은 "무 지지체", 밧줄 형태의 지지체를 설치한 "밧줄 지지체" 및 부력재를 설치한 "부이 지지체"의 소규모 연못형 배양장치를 제작하였다. 그 후 상기 각 배양기를 1,000 L의 바닷물이 들어있는 수로형 수조에 설치하고, 5 L의 바닷물을 배양기에 투입한 뒤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지시약과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수용액을 첨가하여 배양장치 내의 용액이 붉은 색을 띄게 만들었다. 이어서, 수차를 돌려 인공 파도를 만들고, 상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몰농도, 부피의 염산 수용액을 배양기에 주입한 뒤,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의 붉은 색상이 사라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각 지지체의 설치에 따른 배양액 혼합 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부이 지지체를 구비한 배양장치는 지지체를 설치하지 않은 무 지지체 실험군 및 밧줄 지지체 실험군과 비교하여 더 높은 배양액 혼합 효율을 나타내었다(도 3).
실험예 2: 미세조류 생산성 분석
상기 실험예 1의 가상 환경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규모가 확대된 배양장치(16 m2)를 제작하여 실제 해양환경에서 지지체 구비 유무에 따른 배양액 쏠림 현상 여부를 관찰하였고 실험예 1과 동일하게 무 지지체, 밧줄 지지체 및 부이 지지체를 구비한 배양장치의 배양액 혼합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3,000 L의 자연해수를 투입한 배양기에 NaNO3 염을 배양기 한쪽 모서리에 투입한 뒤, 반대쪽 모서리의 NO3- 이온 농도를 측정하여 평형을 이루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3종류의 연못형 해양 배양기에서 테트라셀미스(Tetraselmis sp. KCTC12429BP) 속의 미세조류를 10일 동안 배양하여 지지체 유무 및 종류에 따른 미세조류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지지체를 구비하지 않은 배양장치(A)에서는 쏠림 현상(★로 표시)이 발생하였지만, 부이 지지체가 설치된 본 발명의 배양장치(B)에서는 배양액 쏠림 현상 없이 배양액이 배양기 전체 면적에 골고루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또한, 부이 지지체를 구비한 배양장치의 배양액 혼합 효율은 무 지지체 배양장치와 비교하여 약 7배, 밧줄 지지체 배양장치에 비해 약 1.8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도 5) 부이 지지체를 구비한 배양장치의 미세조류 생산성이 무 지지체와 밧줄 지지체 배양장치와 비교하여 각각 98%, 27% 증가하여 가장 좋은 생산성을 나타내었다(도 6).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부이 지지체를 구비한 배양장치에서 배양용기 형상을 견고히 유지함에 따른 배양액이 골고루 퍼지는 효과와 밧줄 지지체 보다 더 큰 상하 진동에 의한 배양액 혼합 증진 효과가 더해져 더 높은 생산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120: 부이 지지체
130: 미세조류 배양액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고 미세조류 배양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배양용기; 및
    상기 배양용기 하부에 설치되고 자체의 부력을 상기 배양용기에 제공하여 상기 배양용기의 형상을 유지하는 선형 또는 막대형의 부이 지지체를 포함하는,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지지체는 플라스틱, 스티로폼 또는 목재인,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지지체는 수중에서 발생하는 유동(流動)에 의한 상기 배양용기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배양용기 내부 모든 면적에 균일한 태양광 에너지를 수용가능하게 하는,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流動)은 조류(tidal current), 해류(oceanic current) 또는 파도(wave)인,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KR1020170114610A 2017-09-07 2017-09-07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KR20190027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610A KR20190027614A (ko) 2017-09-07 2017-09-07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610A KR20190027614A (ko) 2017-09-07 2017-09-07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614A true KR20190027614A (ko) 2019-03-15

Family

ID=6576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610A KR20190027614A (ko) 2017-09-07 2017-09-07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76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266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flexible floating photobioreactors
CN105209593B (zh) 用于光合微生物大量培养的光生物反应器
CN102712888B (zh) 用于光合反应器的反应罩和相关的光合反应器
CN102037118A (zh) 带有光分布器的光生物反应器以及生产光合培养物的方法
WO2012177463A2 (en) Aquatic-based microalgae production apparatus
Zhu et al. Hydrodynamic performance of floating photobioreactors driven by wave energy
KR101452254B1 (ko) 부유형 광생물반응기
KR20190027614A (ko) 미세조류 대량 배양을 위한 연못형 배양장치
KR101517838B1 (ko) 공배양에 의한 광합성 미세조류의 배양방법
KR102016380B1 (ko) 상하 대칭 개방형 미세조류 배양기
KR20170098011A (ko) 미세조류 대량배양을 위한 부유형 배양기
KR101692269B1 (ko) 미세조류 대량생산을 위한 광생물반응기
KR20150128551A (ko) 광합성 자기영양 생물을 위한 광생물 반응기
KR101802797B1 (ko) 미세조류 수상배양을 위한 광생물반응기
KR101360795B1 (ko) 미세 조류 배양용 표층 부유형 광생물 반응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미세 조류 배양 시설
KR102176006B1 (ko) 내부 격벽을 구비한 해양 미세조류 배양기
KR101958937B1 (ko) 미세조류 농축 및 수확장치
KR20180016450A (ko) 미세조류 대량배양을 위한 부유형 배양기
KR101690267B1 (ko) 광합성 미생물 배양액 순환장치
KR101798460B1 (ko) 오염 방지 및 지질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광합성 미생물의 배양방법
RU2575087C2 (ru) Система фотобиореактора и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водорослей
TW201504432A (zh) 潛水式光生物反應器
KR101484577B1 (ko) 광에너지를 받는 표면적이 조절 가능한 광생물 반응기
KR101958938B1 (ko) 부유형 해양 광생물반응기
JP2015521042A (ja) 水生基盤の微細藻類生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3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18

Effective date: 202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