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463A - 기업재무상태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업재무상태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463A
KR20190027463A KR1020170114278A KR20170114278A KR20190027463A KR 20190027463 A KR20190027463 A KR 20190027463A KR 1020170114278 A KR1020170114278 A KR 1020170114278A KR 20170114278 A KR20170114278 A KR 20170114278A KR 20190027463 A KR20190027463 A KR 20190027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data
diagnosis
ratio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엠씨
Priority to KR102017011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463A/ko
Publication of KR2019002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재무 진단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가 개시된다. 재무 진단 시스템은 데이터 입력부, 및 재무 상태 진단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고, 재무 상태 진단부는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한다.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체 재무 데이터 중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재무 데이터만 입력하면 되므로 데이터 입력이 쉬워진다. 또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재무제표 사이클의 단계별로 제공하므로, 기업 재무 상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재무 활동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기업재무상태 진단 시스템{Corporate financial status diagnosis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기업의 재무 상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중소기업의 숫자가 대략 200만개 이상을 넘고 있으나, 관리 인프라의 부족과 CEO의 관심 부족으로 회사의 재무 위험도를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 부도기업의 경우에도 유동성 위험을 감(感)으로는 알고 있으나 감으로 알기 시작할 때는 이미 유동성 위험을 막기에는 타이밍이 너무 늦어 감당하기가 매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의 경우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창업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관리 실무자들의 수준은 그저 경리를 하는 수준에 불과하고 이 이상의 수준을 넘기에는 비용부담으로 인하여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CEO 역시 회사의 매출을 올리는 영업활동에 전념하기 때문에 오로지 관심은 숫자적인 개념 즉, 매출액, 마진, 현금 시재 정도이며 회사의 전체적인 시각에서의 재무적 안정성에 관심을 둘 여지가 별로 없다.
많은 부도기업을 분석해 보면 매출증가율이나 활동성은 좋은데 자산이나 부채의 적정수준(예로서 과다한 매출채권, 악성 재고자산, 과잉 투자, 영업 무관 자산 과다, 차입금 과다 등)을 관리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너 무도 많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이러한 문제를 알면서도 실제로 재무진단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전문가의 도움 없이 재무 분석이나 재무 진단을 수행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외부 전문가에 의뢰하는 것은 비용 부담이 크고 회사의 재무 정보가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배경에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재무에 대해 전문 지식이 없는 재무 비전공자들도 기업의 재무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업재무상태 진단 시스템은 데이터 입력부, 및 재무 상태 진단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고, 재무 상태 진단부는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한다.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체 재무 데이터 중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재무 데이터만 입력하면 되므로 데이터 입력이 쉬워진다. 또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재무제표 사이클의 단계별로 제공하므로, 기업 재무 상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재무 활동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현금 흐름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영업 CF(Cash Flow)-매출액 비율, 영업 CF-순이익 비율, 영업 CF-단기 차입금 비율, 및 영업 CF-투자 CF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전문가도 기업 현금 흐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금 흐름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영업 CF-차입금 비율, 및 영업 CF-금융비용 비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기업 현금 흐름 상태를 더욱 자세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본 조달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자기 자본 비율, 자기 자본 증가율, 및 적립금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전문가도 기업 자본 조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자본 조달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타인 자본 비율, 유동 부채 비율, 차입금 의존도, 차입금 증가율, 매입 채무 증가율, 및 비유동 부채 비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기업 자본 조달 상태를 더욱 자세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산 운용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총자산 증가율, 유동 자산 증가율, 및 현금 예금 보유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전문가도 기업 자산 운용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산 운용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당좌 자산 증가율, 매출 채권 증가율, 재고 자산 증가율, 비유동 자산 증가율, 투자 자산 증가율, 유형 자산 증가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기업 자산 운용 상태를 더욱 자세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익 창출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영업 이익 증가율, 경상 이익 증가율, 매출액 영업 이익율, 매출액 경상 이익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전문가도 기업 수입 창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익 창출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매출액 증가율, 순이익 증가율, 매출액 원가율, 매출액 순이익율, 금융비용 부담율, 이자 보상 비율, 경상 수지 비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기업 수입 창출 상태를 더욱 자세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스템은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재무 분석 데이터는 현금예금 보유율, 영업 CF-매출액 비율, 영업 CF-순이익 비율, 영업 CF-단기 차입금 비율, 순운전 자본 비율, 자기 자본 비율, 적립금 비율, 유동 부채 비율, 차입금 의존도, 비유 동 장기 적합율, 영업 CF-투자 CF 비율, 매출액 영업 이익율, 매출액 경상 이익율, 총자산 순이익율, 자기 자본 순이익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재무 분석 데이터는 안정성, 수익성, 활동성, 및 성장성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부문별로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전문가인 사용자도 용이하게 기업의 재무 분 석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재무 상태 진단부는 재무 진단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 점수화된 재무 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점수화된 재무 상태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재무 상태의 진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기업의 재무 상태, 및 재무 상태의 진단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재무 상태 진단부는 점수화된 재무 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기별로 산출하여 재무 상태의 추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재무 상태의 추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판단하여 재무 상태의 추세의 진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기업 재무 상태의 추세, 및 추세에 따른 재무 상태의 진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은 재무 상태를 도표화 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도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기업의 재무 상태를 포괄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도 재무 상태를 용이하게 진단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외부 데이터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업 재무 상태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획득하여 항상 새로운 기준에 따라 재무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을 방법의 형태로 구현한 발명과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가 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재무 진단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체 재무 데이터 중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재무 데이터만 입력하면 되므로 데이터 입력이 쉬워진다. 또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재무제표 사이클의 단계별로 제공하므로, 기업 재무상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재무 활동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기업의 현금 흐름, 자본 조달, 자 산 운용, 수입 창출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전문가인 사용자도 용이하게 기업의 재무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점수화된 재무 상태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재무 상태의 진단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기업의 재무 상태, 및 재무 상태의 진단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재무 상태의 추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판단하여 재무 상태의 추세의 진단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업 재무 상태의 추세, 및 추세에 따른 재무 상태의 진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재무 상태를 도표화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기업의 재무 상태를 포괄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재무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도 재무 상태를 용이하게 진단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외부 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기업 재무 상태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획득하여 항상 새로운 기준에 따라 재무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비율 분석 차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재무 상태가 불량한 기업의 요약 보고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재무 상태가 우량한 기업의 요약 보고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불량 기업과 우량 기업의 재무 분석 보고서를 비교한 도면.
도 6은 불량 기업과 우량 기업의 재무 진단 보고서를 비교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100)은 통신망(200)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 및 외부 기관 시스템(400)과 연 결되어 있으며, 다시 사용자 단말 접속부(110), 외부 기관 데이터 획득부(120), 데이터 입력부(130), 재무 상 태 분석부(140), 재무 상태 진단부(150), 및 재무 상태 도출부(160)를 포함한다.
통신망(200)은 사용자 단말(300)이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통신망으로도 구현될 수 있겠지만 인터넷 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망(200)을 통해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통신 단말로 구현 가능하며, 유선은 물론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외부 기관 시스템(400)은 통신망(200)을 통해 재무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어떠한 외부 기관의 시스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증권 거래소나 코스닥 상장 기업의 재무 데이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기관의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접속부(110)는 통신망(200)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이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상태 진단 시스템(100)은 웹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300)을 이용하여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자신 소유의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100)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통신망(200)을 통해 원거리에 있는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100)에 접속함으로써 원하는 기업의 재무 상태를 용이하게 진단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외부 기관 데이터 획득부(120)는 통신망(2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외부 기관 시스템(4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미리 설정된 외부 기관이나 미리 설정된 데이터는 기업의 재무 진단을 위해 필요하다고 시스템 관리자 등에 의해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기관이나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관리자 등에 의해 변경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업 재무 상태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획득하여 새로운 기준에 따라 재무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데이터 입력부(130)는 사용자 단말(300)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한다. 재무 분석이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는 재무 데이터는 너무나 많지만, 일반적인 재무 분석 등을 위해 모든 재무 데이터를 다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재무 분야의 비전문가는 어떠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떠한 결과값을 산출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지식이 없기 때문에, 데이터 입력조차 용이하지 않기마련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100)이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체 재무 데이터 중 시스템(100)에서 요구하는 재무 데이터만 입력하면 되므로 데이터 입력이 쉬워진다.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서의 설정에 따라 재무 진단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데이터들로 시스템에서의 설정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데이터의 입력 방식은 제한이 없으나 엑셀 파일 등을 업로드하는 형태의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대차 대조표, 손익 계산서, 현금흐름표, 및 제조 원가 등에 기재되는 데이터 중 필요한 데이터만 입력되는 것이 일반적일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입력된 데이터 중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재무 상태 분석부(140)는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재무 분석 데이터는 현금예금 보유율, 영업 CF-매출액 비율, 영업 CF-순이익 비율, 영업 CF-단기 차입금 비율, 순운전 자본 비율, 자기 자본 비율, 적립금 비율, 유동 부채 비율, 차입금 의존도, 비유동 장기 적합율, 영업 CF-투자 CF 비율, 매출액 영업 이익율, 매출액 경상 이익율, 총자산 순이익율, 자기 자본 순이익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재무 분석 데이터는 안정성, 수익성, 활동성, 및 성장성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부문별로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전문가인 사용자도 용이하게 기업의 재무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재무 상태 분석부(140)는 안정성 부문을 유동성 부문과 안정성 부문으로 다시 나누어 분류할 수도 있으며, 재무 분석 데이터도 상기 열거된 것 이외에도, 예를 들어 유동 비율이나 당좌 비율과 같이, 시스템(100)에 설정된 바 에 따라 다양한 것들이 제공될 수 있다.
재무 상태 진단부(150)는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 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이,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재무제표 사이클의 단계별로 제공하므로, 재무 분야의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기업 재무 상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가 기업의 재무 활동 어느 부분에서 발생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재무 분야의 비전문가는 재무 진단은 그 기초가 될 수 있는 재무 분석을 수행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많다. 여기서, 재무 분석은 기업의 재무 문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단순화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기초자료에 불과 하며 기초자료를 어떻게 활용하고 판단할 것인가에 대한 분야가 바로 진단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 중소기업에서 엑셀 등을 활용하여 재무 분석은 수행할 수도 있지만, 어디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가에 대한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쉽지가 않다. 일반적인 재무서적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경우 관계비율이 매우많다.
예를 들면, 안정성 비율인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100)'도 관계비율로서 '유동비율'이 악화 되었을 경우 원인이 '유동자산'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유동부채'로 기인한 것인지를 파악하려면 산식을 분해하여야 하며, 분해된 계정과 관련된 관계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일반적인 분석체계를 기본으로 하되 진단을 위하여 새로운 분석방법을 도입하였다. 새로운 분석방법이란 재무제표의 사이클이라고 할 수 있는 자본조달 -> 자산운용 -> 수익창출 -> 현금흐름의 체계로 분석을 하여 사이클의 어느 부문에서 문제가 되었는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여 누구라도 쉽게 이해하고 개선의 대상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현금 흐름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영업 CF-매출액 비율, 영업 CF-순이익 비율, 영업 CF-단기 차입금 비율, 및 영업 CF-투자 CF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전문가도 기업 현금 흐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금 흐름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영업 CF-차입금 비율, 및 영업 CF-금융비용 비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기업 현금 흐름 상태를 더욱 자세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본 조달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자기 자본 비율, 자기 자본 증가율, 및 적립금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전문가도 기업 자본 조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자본 조달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타인 자본(부채) 비율, 유동 부채 비율, 차입금 의존도, 차입금 증가율, 매입 채무 증가율, 및 비유동 부채 비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기업 자본 조달 상태를 더욱 자세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산 운용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총자산 증가율, 유동 자산 증가율, 및 현금 예금 보유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전문가도 기업 자산 운용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산 운용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당좌 자산 증가율, 매출 채권 증가율, 재고 자산 증가율, 비유동 자산 증가율, 투자 자산 증가율, 유형 자산 증가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기업 자산 운용 상태를 더욱 자세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익 창출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영업 이익 증가율, 경상 이익 증가율, 매출액 영업 이익율, 매출액 경상 이익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전문가도 기업 수입 창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익 창출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매출액 증가율, 순이익 증가율, 매출액 원가율, 매출액 순이익율, 금융비용 부담율, 이자 보상 비율, 경상 수지 비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기업 수입 창출 상태를 더욱 자세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무 상태 진단부(150)는 재무 진단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 수치화된 재무 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치화된 재무 상태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재무 상태의 진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기업의 재무 상태, 및 재무 상태의 진단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재무 분석에서 가장 힘든 것이 바로 비교분석이라고 할 수가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 비교분석은 기업이 속해 있는 동업종 평균비율과의 비교를 통하여 기업의 수준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기업이 속한 산업의 성장성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경쟁력 분석도 가능하다.
일반적인 재무 분석을 하는 경우 이러한 비교 분석이 동시에 가능하게 하려면 동업종 평균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찾아야 하며, 경쟁사와의 비교를 위해서 추가적인 수고와 비용이 들게 되지만 본 시스템(100)을 활용하는 경우 비용 대비 효과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에서는 재무 분석을 하는 경우 분석결과에 대한 판단시 분석항목이 많아서 개별로 판단을 한다고 하더라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량화를 하였다. 계량화의 기준은 본 시스템(100)에서 설정한 것으로서 주로 중소기업의 재무 안정성을 중점적으로 하여 유동성 위험을 예방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고 있다.
물론 본 시스템(100)에서 정한 기준이 절대적 기준은 아니지만 과거 부도로 인하여 상장 폐지된 기업의 재무 분석 통계와 균형 재무제표모형(경험적으로 우량과 불량의 기준이 되는 비율의 구조를 기본조건으로 하여 설정한 것임)을 통한 균형비율 등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설정되었으며, 상장기업 중 부도기업과 우량기업의 데이터를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 상당한 변별력이 있음을 입증할 수가 있었다.
재무수준의 평가는 총점뿐만이 아니라 부문별(유동성, 안정성, 수익성, 성장성, 활동성)로 계량화하여 총점이 내포하고 있는 잘못된 정보(부도기업 분석 결과 의외로 활동성이 매우 양호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활동성의 점수가 총점에 포함되는 경우 기업의 안정성 목적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도 있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부문 별로 세분화하여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재무 상태 진단부(150)는 수치화된 재무 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기별로 산출하여 재무 상태의 추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재무 상태의 추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판단하여 재무 상태의 추세의 진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기업 재무 상태의 추세, 및 추세에 따른 재무 상태의 진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재무 상태 도출부(160)는 재무 상태를 도표화 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기업의 재무 상태를 포괄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재무 분석이란 비전공자들뿐만이 아니라 전공자들에게도 '계륵'과 같은 것이어서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지만 실제로 분석을 하는 계산도 번거롭지만 이를 정기적으로 분석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그렇다고 CEO가 관심을 갖지 않은 한 더욱더 재무 분석이나 진단은 남의 일이 되어 버리기 쉽게 된다.
따라서 재무 또는 재무 분석(경영분석)에 관심을 가지려면 당연 중소기업의 CEO들이 필요성에 대한 관심도 있어 야 하지만 중요한 것은 분석 결과에 대한 흥미와 판단이 용이해야 한다.
본 시스템(100)은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든 분석 결과를 비쥬얼(Visual)화 하였기 때문에 재무 분석의 복잡한 절차나 결과에 대한 어려운 판정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비율 분석 차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비율 분석 차트의 목적은 연도별 비율 증감을 시각화하고, 위험 구간(Red Zone), 위험 신호(Red Mark)를 통한 위험 경고(Risk Warnig)를 수행하며, 비교 데이터(업종 평균, 타기업)를 통한 비율을 비교하는 것이다.
도 2에서, 도표에는 자본 조달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인 자기 자본 비율의 5년간 추세가 도시되어 있다. 도표에서 각 연도별 수치가 위험 구간에 위치하면 자본 비율이 위험한 것이고, 연도별 수치가 위험 구간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자본 비율의 추세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해당하면 위험 신호에 해당하여 위험한 것으로 간주 된다.
중소기업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무구조의 불균형으로 인한 재무위험을 사전에 알 수가 있다면 일정부분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재무 분석에서 도출된 결과에 대한 위험 정도를 쉽고 편리하게 알려 줄 수 있는 방안으로서 위험구간과 위험신호를 제공한다.
비율분석은 분석 목적에 따라 분석항목의 종류가 다양하여 그래프 상에 표시를 한다고 하더라도 쉽게 확인하기 에 어려운 점이 있다. 예를 들면 비율값이 높을수록 좋은 경우와 나쁜 경우가 있는데 이를 이해하려면 비율항목에 대한 성격을 이해하는 것이 전제가 되는데 이렇게 될 경우 비전공자들에게는 또 하나의 장벽이 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위험구간과 위험신호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로 위험구간은 표준비율(본 시스템에서는 표준비율이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하여 '참조비율'로 사용)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비율보다 불량한 경우에 표시되며, 위험신호는 추세분석으로서 2기 연속 악화 되거나 전기 대비 20% 이상 급격하게 악화되는 경우 위험의 신호가 발생 된다는 의미로 위험정보를 제공한다.
도 3은 재무 상태가 불량한 기업의 요약 보고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재무 상태가 우량한 기업의 요약 보고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에서, 재무 분야의 문외한인 사용자도 본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도표만으로도 불량 기업과 우량 기업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불량 기업과 우량 기업의 재무 분석 보고서를 비교한 도면이고, 도 6은 불량 기업과 우량 기업의 재무 진단 보고서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서 불량 기업의 경우 연도별 재무 상태도 나쁘지만, 재무 상태가 추세적으로도 나빠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만으로는 재무 상태가 나쁘다고 분석되어도 기업의 재무 활동 어느 부분의 문제로 재무 상태가 나빠진 것인지를 파악할 수 없지만, 도 6을 통해 이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로도 구현할 수 있지만, 하드웨어 장치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 고,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00: 재무 진단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접속부
120: 외부 기관 데이터 획득부
130: 데이터 입력부
140: 재무 상태 분석부
150: 재무 상태 진단부
160: 재무 상태 도출부

Claims (18)

  1.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진단 부를 포함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으로서,
    상기 현금 흐름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영업 CF-매출액 비율, 영업 CF-순이익 비율, 영업 CF-단기 차입금 비율, 및 영업 CF-투자 CF 비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 흐름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영업 CF-차입금 비율, 및 영업 CF-금융비용 비율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3.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진단 부를 포함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본 조달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자기 자본 비율, 자기 자본 증가율, 및 적립금 비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4. 상기 자본 조달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타인 자본 비율, 유동 부채 비율, 차입금 의존도, 차입금 증가율, 매입 채무 증가율, 및 비유동 부채 비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5.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진단 부를 포함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산 운용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총자산 증가율, 유동 자산 증가율, 및 현금 예금 보유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운용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당좌 자산 증가율, 매출 채권 증가율, 재고 자산 증가율, 비유동 자 산 증가율, 투자 자산 증가율, 유형 자산 증가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7.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진단 부를 포함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익 창출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영업 이익 증가율, 경상 이익 증가율, 매출액 영업 이익율, 매출액 경상 이익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창출 부문의 재무 진단 데이터는 매출액 증가율, 순이익 증가율, 매출액 원가율, 매출액 순이익율, 금융비용 부담율, 이자 보상 비율, 경상 수지 비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9.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진단 부를 포함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으로서,
    상기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무 분석 데이터는 현금예금 보유율, 영업 CF-매출액 비율, 영업 CF-순이익 비율, 영업 CF-단기 차입금 비율, 순운전 자본 비율, 자기 자본 비율, 적립금 비율, 유동 부채 비율, 차입금 의존도, 비유동 장기 적합율, 영업 CF-투자 CF 비율, 매출액 영업 이익율, 매출액 경상 이익율, 총자산 순이익율, 자기 자본 순이익율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재무 분석 데이터는 안정성, 수익성, 활동성, 및 성장성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부문별로 분류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11.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진단 부를 포함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으로서,
    상기 재무 상태 진단부는 상기 재무 진단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 점수화된 재무 상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재무 상태 진단부는 상기 점수화된 재무 상태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재무 상태의 진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재무 상태 진단부는 상기 점수화된 재무 상태를 미리 설정된 시기별로 산출하여 재무 상태의 추세를 제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재무 상태 진단부는 상기 재무 상태의 추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판단하여 재무 상태의 추세의 진단 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
  15. 제 11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무 상태를 도표화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도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
  16.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진단 부를 포함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
  17.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진단 부를 포함하는 재무 진단 시스템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외부 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외부 기관 데이터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
  18.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재무 데이터의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 환경 제 공 단계; 및
    상기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된 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 진단 데이터를 자본 조달, 자산 운용, 수익 창출, 및 현금 흐름의 부문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재무 상태 진단 단계를 포함하는 재무 상태 진단 방법으로서,
    상기 재무 진단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 점수화된 재무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 상태 진단 방법.
KR1020170114278A 2017-09-07 2017-09-07 기업재무상태 진단 시스템 KR20190027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78A KR20190027463A (ko) 2017-09-07 2017-09-07 기업재무상태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78A KR20190027463A (ko) 2017-09-07 2017-09-07 기업재무상태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63A true KR20190027463A (ko) 2019-03-15

Family

ID=6576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278A KR20190027463A (ko) 2017-09-07 2017-09-07 기업재무상태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74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2551A (zh) * 2021-09-02 2021-12-21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石家庄供电分公司 一种电力公司财务预算管控系统及其预警方法
KR20220008772A (ko) * 2020-07-14 2022-01-21 코리안리재보험(주) 생명보험 계약인수를 위한 재정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772A (ko) * 2020-07-14 2022-01-21 코리안리재보험(주) 생명보험 계약인수를 위한 재정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
CN113822551A (zh) * 2021-09-02 2021-12-21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石家庄供电分公司 一种电力公司财务预算管控系统及其预警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60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osite scoring, classification, and decision mak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Shahzad et al. Does intellectual capital efficiency expla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ngagement-firm performance relationship? Evidence from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performance of US listed firms
Asmild et al. Combining DEA window analysis with the Malmquist index approach in a study of the Canadian banking industry
Kiarie Effect of risk management strategies on projec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enterprises in Nairobi, Kenya
Scarlat et al. Indicators and metrics used in the enterprise risk management (ERM)
MX2007015671A (es) Metodo y sistema para determinar la efectividad de un programa de cumplimiento.
US20050272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 Valuation, Prioritiz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CN112700149A (zh) 一种投资组合风险评估系统、方法及计算机设备
KR101273625B1 (ko)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20190027463A (ko) 기업재무상태 진단 시스템
Gilliam Detecting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beyond performance matching
Brown et al. What is enterprise risk management?
Schmid et al. A structured comparison of the corporate information security maturity level
US8001031B2 (en) Capital-adequacy filing and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Astuti et al. The Effect of Board Characteristics on Carbon Emission Disclosure
Chi-Ai et al. Evaluat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life insurance companies in Taiwan–An application of the dynamic network SBM model
Dalwadi Cash Flow Statement Analysis: Identifying Red Flags And Warning Signs For Financial Distress
US20200211100A1 (en) System and Method of Tracking and Managing an Entity's Financial Performance
KR20240002632A (ko) 개인 재정 주치의 시스템을 이용한 재정관리방법과 응용프로그램 개발
Tsaousoglou et al. Forecasting the trends of financial ratios of Greek construction companies
Mohammed The relationship between Alertness entrepreneurial and strategic supremacy
JACKOVÁ THE PROCESS OF FINANCIAL PERFORMANCE EVALUATING OF THE COMPANY.
JP2020161101A (ja) 経営支援装置、経営支援システム、及び経営支援方法
Gleißner Risk Management–The Basics
Kuzhda et al. The applied aspects of enterprise capability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