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550A -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550A
KR20190026550A KR1020180064677A KR20180064677A KR20190026550A KR 20190026550 A KR20190026550 A KR 20190026550A KR 1020180064677 A KR1020180064677 A KR 1020180064677A KR 20180064677 A KR20180064677 A KR 20180064677A KR 20190026550 A KR20190026550 A KR 20190026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information
user terminal
social media
chat roo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540B1 (ko
Inventor
조래성
조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임
Priority to KR1020180064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5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은,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를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함에 따라 생성된 분할 조각을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분할 조각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된 공유 정보를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MEDIA USING PARTITION FUNCTION}
아래의 설명은 사진이나 영상, 문서 등 공유하는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분할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발전으로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웹서핑, 동영상 시청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MIM(Mobile Instant Messenger) 서비스,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 등을 제공받으며 다양한 경로로 타인과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타인과의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공개됨에 따라 사생활 침해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9111호(등록일 2016년 1월 21일) "보안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는 채팅방에서 대화하는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 특정 사용자가 채팅방을 떠나있는 사이에 비밀 대화를 하더라도, 특정 사용자가 다시 채팅방에 들어오더라도 암호화 아이콘만을 확인 가능하여 대화 내용을 확인할 수 없어 대화 내용이 악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소셜 미디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에 대한 분할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은,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를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함에 따라 생성된 분할 조각을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분할 조각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된 공유 정보를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가 블러 처리되고, 상기 블러 처리된 공유 정보가 상기 대화방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문서 파일,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를 상기 대화방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한 후, 블러 처리하여 출력하는 방식,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를 즉시 블러 처리하여 상기 대화방에 출력하는 방식, 상기 대화방에서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 이외에 추가적으로 공유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를 블러 처리하여 출력하는 방식 또는 상기 공유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방에 제외됨에 따라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를 블러 처리하여 출력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은, 각각의 사용자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접속된 소셜 미디어에서 상기 공유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초대함으로써 대화방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함에 따라 생성된 분할 조각을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분할 조각을 각각 암호화하여 획득된 암호화된 분할 조각을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암호화된 분할 조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에 대한 승인이 수락될 경우,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할당된 분할 조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할 조각과 함께 암호키를 수신하여 상기 분할 조각을 복호화한 후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 각각을 복구하는 방식, 상기 대화방에 존재하는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 전체를 복구하는 방식 또는 상기 대화방에 존재하는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를 화면단위로 복구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처리로 전환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된 공유 정보를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대화방에 상기 공유 정보와 관련된 복원된 공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를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함에 따라 생성된 분할 조각을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할당부;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분할 조각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처리된 전환된 공유 정보를 복원하는 복원부; 및 상기 복원된 공유 정보를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가 블러 처리되고, 상기 블러 처리된 공유 정보가 상기 대화방에 출력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문서 파일,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할당부는, 서로 다른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분할 조각을 각각 암호화하여 획득된 암호화된 분할 조각을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암호화된 분할 조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에 대한 승인이 수락될 경우,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할당된 분할 조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할 조각과 함께 암호키를 수신하여 상기 분할 조각을 복호화한 후 상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를 복원할 수 있따.
상기 전송부는,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대화방에 상기 공유 정보와 관련된 복원된 공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소셜 미디어에서 보호하려고 하는 내용이 포함된 공유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상대방의 허가 없이는 이용할 수 없도록 하여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소셜 미디어에서 송수신되는 텍스트 데이터, 음성 데이터, 문서 파일, 이미지, 동영상, 등의 공유 정보를 분할하여 분산 저장 및 복원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의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분할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복원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공유 정보의 감추기 기능을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공유 정보의 복원 기능을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블러 처리된 공유 정보를 나타낸 예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에서는 소셜 미디어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동영상, 문서 파일,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공유 정보(메시지)를 상대방 사용자 단말과 함께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에서 소셜 미디어는 트위터, 페이스북, 채팅 서비스와 같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들이 서로 정보와 의견을 공유하면서 대인 관계망을 넓힐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단말(110),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 및 네트워크(12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예로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10)은 소셜 미디어에서 복수의 사용자들 간에 보안이 유지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 간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채팅 서비스 환경일 수 있으며, 이러한 소셜 미디어에서 대화방을 개설하여 사용자들 사이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공유된 공유 정보를 분할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저장함으로써 보안을 유지시킬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2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2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110)은 상기에서 설명한 네트워크(120)를 통해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와 서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과 네트워크(12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10)로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의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프로세서(200)는 소셜 미디어에서 분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분할 기능이란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되는 공유 정보를 분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 포함된 프로세서(200)는 생성부(210), 제1 수신부(220), 할당부(230), 제2 수신부(240), 복원부(250) 및 전송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00) 및 프로세서(200)의 구성요소들은 도 3의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310 내지 360)을 수행하도록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0) 및 프로세서(20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0)의 구성요소들은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0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서는 운영체제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의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하도록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생성부(210)는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210)는 각각의 사용자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접속된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초대함으로써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들 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방이 개설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제1 수신부(220)는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부(220)는 수신된 공유 정보를 특정 처리하고,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를 대화방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의 내용을 판독하기 어렵게 블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공유 정보의 내용을 출력시키지 않고 입력된 공유 정보의 유무만을 표시하는 비공개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대화방에 초대된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공유 정보가 메시지로 인식되어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할당부(230)는 수신된 공유 정보를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함에 따라 생성된 분할 조각을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할당할 수 있다. 할당부(230)는 서로 다른 암호키를 이용하여 분할 조각을 각각 암호화하여 획득된 암호화된 분할 조각을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암호화된 분할 조각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제2 수신부(240)는 대화방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수신부(240)는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350)에서 복원부(250)는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분할 조각에 기초하여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를 복원시킬 수 있다. 복원부(250)는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에 대한 승인이 수락될 경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할당된 분할 조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분할 조각과 함께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암호키를 수신하여 분할 조각을 복호화한 후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단계(360)에서 전송부(260)는 복원된 공유 정보를 공유 정보의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60)는 공유 정보의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대화방에 공유 정보와 관련된 복원된 공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분할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소셜 미디어에서 복수의 사용자 간에 송수신되는 공유 정보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유 정보를 분할하여 저장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11) 사이에 송수신되는 공유 정보의 분할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 2사용자 단말(111)을 포함하는 대화방이 개설될 수 있다(410).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들을 대화방으로 자동으로 초대할 수 있고, 또는, 제1 사용자 단말은 대화방을 생성한 후, 생성된 대화방으로 사용자들을 초대할 수 있다. 이때, 대화방은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후에 대화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에 의하여 다른 사용자들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대화방에서 공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420). 이때, 공유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예를 들면, 기호, 이모티콘, 숫자, 문자 등), 문서 파일,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즉시 촬영된 촬영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문서 파일, 이미지, 동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불러오는 경우, 불러온 정보를 대화방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촬영이나 녹음, 문서 작성 등의 기능과 연동하여 생성된 공유 정보를 대화방에 업로드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430). 이때,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입력된 공유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함에 따라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대화방에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비공개로 전환시킴으로써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의 내용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의 수(N, N은 자연수)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를 분할할 수 있다(440). 또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메시지를 입력한 사용자를 제외한 사용자의 수(N-1, N은 자연수)에 기초하여 공유 정보를 분할할 수도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대화방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 단말(110)임을 식별함에 따라 공유 정보를 동일한 비율 또는 서로 다른 비율의 분할 조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공유 정보를 분할한 이후, 분할된 공유 정보의 복원 시에 필요한 정보로서 공유 정보의 분할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 정보와 매칭하여 유지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분할 조각 1, 분할 조각 2로 분할함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10)에게 분할 조각 1을 할당하고, 제2 사용자 단말(111)에게 분할 조각 2를 할당할 수 있다(450, 451). 이때, 분할된 조각의 자체만으로는 원래의 촬영 정보로 복원할 수 없는 형태로 분할된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분할 조각을 할당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암호키를 이용하여 분할 조각을 각각 암호화하여 획득된 암호화된 분할 조각 각각을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1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에 이용되는 암호키는 분할 조각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암호키 또는 서로 다른 암호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분할 조각의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키를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여 암호키와 분할 조각을 함께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암호키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지 않고 서버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분할 조각의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키는 분할 조각과 서로 다른 저장 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분할 조각 1을 저장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은 분할 조각 2를 저장할 수 있다(460, 470).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복원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대화방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11) 사이에 송수신되는 공유 정보에 대한 복원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대화방에서 송수신된 공유 정보(예를 들면, 메시지)에 대한 열람이 요청될 수 있다(510). 이때, 공유 정보는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 정보는 블러 처리될 수 있고, 비공개 처리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제2 사용자 단말)에게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520). 제2 사용자 단말(111)로부터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에 대한 승인이 수락될 수 있다(530).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2 사용자 단말(111)로부터의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의 열람에 대한 승인이 수락됨을 수신함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11)에게 각각의 단말에 저장된 분할 조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분할 조각 1을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111)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분할 조각을 수신할 수 있다(540, 541). 한편,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2 사용자 단말(111)이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에 대한 복원을 수락하지 않는 경우, 요청된 공유 정보에 대한 분할 조각 2를 확보할 수 없어 원래 정보로의 복원이 불가하기 때문에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사용 불가 알림을 제1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정보와 관련된 분할 조각이 암호화된 경우,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가 공유 정보의 분할 조각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암호키 전송을 함께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분할 조각 및 분할 조각에 대한 암호키를 전달받아 분할 조각을 복호화할 수 있다. 또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 암호키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분할 조각에 대한 암호키를 읽어와 분할 조각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분할 조각 1 및 분할 조각 2를 모두 수신함에 따라 분할 조각 1과 분할 조각 2를 이용하여 원래의 공유 정보로 복원할 수 있다(550).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복원된 공유 정보를 공유 정보의 열람을 요청한 제1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달할 수 있다(560).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대화방에 복원된 공유 정보가 공개될 수 있다. 이때,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공유 정보의 사용을 요청한 제1 사용자 단말로 복원된 공유 정보를 전송할 때 복제 방지 기법(예컨대, 워터마크 기술 등)을 이용하여 복원된 공유 정보의 복사 등 복제가 불가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간에 보호하려고 하는 내용이 담긴 공유 정보의 경우 서로의 동의가 있을 때에만 해당 공유 정보의 복원과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공유 정보를 조각 단위로 분할하여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각각에서 보관 및 공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들 간의 허락 하에서 공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상대방이 허락하지 않을 경우 공유 정보를 확인 및 유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미디어를 실행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하여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입력한 후, 로그인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630)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와 관련된 식별 정보로서 아이디(이메일 주소) 및 패스워드가 입력됨에 따라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저장된 식별 정보와 일치할 경우, 사용자를 소셜 미디어로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소셜 미디어로의 접속을 불허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미디어에 가입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이 소셜 미디어에 가입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서버, 암호를 생성하는 OTP 서버 및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가 동작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가입 요청에 따라 인증 서버로 신규 OTP를 요청할 수 있고,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신규 OTP 요청시 소셜 미디어에 가입을 위한 사용자 ID를 인증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인증 서버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의 신규 OTP 요청에 따라 OTP 서버로 신규 OTP를 요청할 수 있다. OTP 서버는 인증 서버의 신규 OTP 요청에 따라 무작위로 OTP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를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OTP는 길이와 특수문자 포함 여부 등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자유롭게 자동 생성될 수 있다. 인증 서버는 OTP 서버로부터 수신된 OTP를 인증 서버에 포함되거나 혹은 인증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인증 서버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의 신규 OTP 요청에 대해 OTP 서버로부터 수신된 OTP를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ID와 함께 저장하고, OTP 서버로부터 수신된 OTP를 분할하여 두 개의 OTP 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OTP 서버로부터 수신된 OTP가 {1234567890}일 때, 분할 OTP 1{12345}와 분할 OTP2{67890}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인증 서버는 분할 OTP 1과 분할 OTP2를 신규 OTP를 요청한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인증 서버로부터 분할 OTP 1과 분할 OTP2를 수신하여, 그 중 하나를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에 포함되거나 혹은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가입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ID 및 기기 정보를 분할 OTP1과 매칭하여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된 분할 OTP 1과 분할 OTP 2 중 다른 하나, 예컨대, 분할 OTP2를 가입 요청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가입 요청에 대해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분할 OTP2를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거나 혹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ID와 사용자 단말의 기기 정보를 분할 OTP2와 매칭하여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가입 요청에 대해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OTP의 일부(예를 들면, 분할 OTP2)를 수신함으로써 가입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가입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OTP가 즉시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에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서 소셜 미디어에 가입됨에 따라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로서 사용자 ID는 물론이고 어떠한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은 소셜 미디어에 접속 요청을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기 정보와 사용자 ID 및 분할 OTP 2를 읽어와 이들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을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속 요청에 포함된 기기 정보 및 사용자 ID와 매칭되는 분할 OTP1을 읽어와 접속 요청에 포함된 분할 OTP2와 함께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OTP 인증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OTP 인증 검증 요청 시 접속 요청한 사용자 ID를 인증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인증 서버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분할 OTP1과 OTP2를 복원하여 복원된 OTP를 인증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OTP와 비교함으로써 OTP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서버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OTP 인증 검증 요청과 함께 사용자 ID를 수신하여 인증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OTP 중 수신된 사용자 ID와 매칭되는 OTP를 읽어와 복원된 OTP와 비교할 수 있다. 인증 서버는 OTP 검증에 성공할 경우, 다시 OTP 서버로 신규 OTP를 요청할 수 있다. OTP 서버는 인증 서버의 신규 OTP 요청에 따라 무작위로 OTP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를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서버는 OTP 서버로부터 수신된 OTP를 인증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서버는 사용자 ID에 대해 저장된 기존 OTP를 폐기하고, OTP 서버로부터 수신된 OTP를 저장한 후, OTP 서버로부터 수신된 OTP를 분할하여 두 개의 OTP(분할 OTP1, 분할 OTP2)로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서버는 OTP 검증에 성공한 경우, 분할 OTP1과 분할 OTP2를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서버는 OTP 검증에 실패한 경우 검증 실패 데이터를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OTP 검증에 성송한 경우 사용자 단말의 소셜 미디어에 접속을 허용함과 아울러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된 분할 OTP1과 분할 OTP2 중 하나, 예컨대 분할 OTP1을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ID와 기기 정보에 대해 기존 분할 OTP1을 폐기하고 새로운 분할 OTP1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OTP 검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OTP 검증 실패 처리를 한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OTP 검증에 성공한 경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된 분할 OTP1과 분할 OTP2 중 다른 하나, 예컨대 분할 OTP2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OTP 검증에 실패한 경우 검증 실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분할 OTP2를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이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에 접속되는 즉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존 분할 OTP2를 폐기하고 새로운 분할 OTP2를 저장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소셜 미디어에 접속함에 따라 공유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대화방을 생성하기 위한 대화방 유저 인터페이스(710)를 통하여 명칭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명칭에 기초하여 대화방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들을 대화방으로 초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들이 대화방에 자동으로 참여될 수 있으며, 또는, 대화방에 사용자들이 초대됨에 따라 초대된 사용자들의 선택에 따라 대화방에 참여 또는 불참여될 수 있다. 이때, 대화방은 적어도 두명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후에 대화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에 의하여 대화방에 다른 사용자들을 계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복수의 대화방이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대화방 리스트(720)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10)에 생성된 대화방이 복수 개일 경우, 대화방 리스트에 복수 개의 대화방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적어도 하나의 대화방이 선택됨에 따라 대화방에서 송수신되었던 대화 기록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대화방에서 송수신되는 공유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110)에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들의 공유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메시지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830)를 통하여 공유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들 간에 공유 정보가 메시지로 송수신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공유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대화방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길이 또는 크기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으며, 공유 정보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공유 정보 각각에 식별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분할된 공유 정보와 식별 정보를 함께 단말 각각에 전달할 수 있고, 단말 각각은 분할된 공유 정보와 식별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추후에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에 대한 복원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 각각으로부터 공유 정보와 관련된 식별 정보 및 분할된 공유 정보를 각각 수신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간편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특정 사용자(811)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820)를 대화방에 블러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공유 정보를 비공개로 변환된 공유 정보(821)로 변경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면, 공유 정보가 텍스트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 예이고, 도 8b를 참고하면, 공유 정보가 동영상인 것을 나타낸 예이다. 이때, 대화방에 제공된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830)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면,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문서 파일,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메시지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고하면, 특정 사용자(811)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에 대하여 블러 처리한 것을 나타낸 예이다.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블러 처리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하여 도 13(a) 또는 도 13(b)와 같이 블러 처리 방식이 설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블러 처리의 세기(약하게, 강하게)등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정된 블러 처리의 세기가 공유 정보에 적용되어 대화방에 메시지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공유 정보의 감추기 기능을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이다. 여기서, 감추기란 공유 정보에 대한 블러 처리를 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비공개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하여 공유 정보를 비공개로 변환할 것인지, 블러 처리할 것인지도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공유 정보의 감추기 기능을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소셜 미디어가 채팅 서비스일 경우, 채팅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공유 정보에 대한 감추기 기능을 설정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를 즉시 감출 것인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이후(예를 들면, 공유 정보가 입력되고 3초 후)에 공유 정보를 감출 것인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을 경우(예를 들면, 대화방에서 공유되는 공유 정보가 계속적으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 또는 대화방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공유 정보가 입력된 경우) 공유 정보를 감출 것인지, 또는 사용자 단말(110)이 대화방에서 공유 정보를 입력한 후, 대화방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예를 들면, 대화방을 나갔을 경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를 감출 것인지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감추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화방에 입력되는 공유 정보에 설정된 감추기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대화방에서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에 대하여 특정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는 블러 처리될 수 있고, 비공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처리된 공유 정보를 복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서는 비공개로 변환된 공유 정보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대화방에서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가 비공개 공유 정보로 표시됨에 따라 특정 사용자(811)로부터 비공개 공유 정보(910)가 선택(920)될 수 있고, 선택된 비공개 정보(910)에 대한 열람이 요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대화방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로부터의 비공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열람이 요청된 비공개 공유 정보는 본인이 작성한 공유 정보일 수 있으며, 대화방에 포함된 상대방으로부터 작성된 공유 정보일 수도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비공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열람이 요청된 비공개 공유 정보의 승인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열람이 요청된 비공개 공유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에 대한 수락 또는 거부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비공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공유 정보의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게 다른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인증 요청 중임을 통보하는 메시지(930)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다른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비공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에 대한 수락을 수신함에 따라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게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메시지(940)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비공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에 대한 수락을 하지 않을 경우, 비공개 공유 정보의 복원이 불가능하게 된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공개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에 대한 수락을 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요청된 공유 정보에 대한 분할 조각을 요청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하는 공유 정보에 대한 분할 조각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분할 조각에 기초하여 비공개 공유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분할 조각과 함께 암호키를 수신하여 분할 조각을 복호화한 후 공유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공유 정보의 복원 기능을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이다. 일례로,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공유 정보의 복원 기능을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소셜 미디어가 채팅 서비스일 경우, 채팅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공유 정보에 대한 복원 기능을 설정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 각각을 복구할 것인지, 대화방에 존재하는 공유 정보 전체를 한번에 복구할 것인지, 대화방에 존재하는 공유 정보를 화면단위로 복구할 것인지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유 정보를 복원시키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화방에 입력되는 공유 정보에 복원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열람을 요청한 공유 정보인 특정 사용자(811)로부터 입력된 공유 정보(910)에 대하여 복원된 공유 정보(1010)를 공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대화방에서 현재 송수신되고 있는 공유 정보 이외에도 대화방에 기록된 과거의 공유 정보가 복원될 수 있다. 이때, 복원된 공유 정보는 현재 대화방에서 기록되고 있는 공유 정보의 다음 순서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대화방에서 송수신되고 있는 공유 정보의 시간 정보 및 공유 정보의 승인이 이루어진 시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시간 순으로 대화방에 공유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열람 요청된 공유 정보를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를 정보 내용이 출력되지 않도록 비공개 처리하여 상기 대화방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공유 정보가 표시되지 않을 경우 또는 상기 공유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방에 존재하지 않게 될 경우, 상기 공유 정보를 비공개 처리하여 상기 대화방에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이 적용된 상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가 블러 처리되고, 상기 블러 처리된 공유 정보가 상기 대화방에 출력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문서 파일,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각각의 사용자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접속된 소셜 미디어에서 상기 공유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초대함으로써 대화방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에 대한 승인이 수락될 경우, 상기 열람 요청된 공유 정보가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 요청된 공유 정보를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대화방에 상기 열람 요청된 공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7.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에 있어서,
    대화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열람 요청된 공유 정보를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를 정보 내용이 출력되지 않도록 비공개 처리하여 상기 대화방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공유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공유 정보가 표시되지 않을 경우 또는 상기 공유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방에 존재하지 않게 될 경우, 상기 공유 정보를 비공개 처리하여 상기 대화방에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이 적용된 상기 공유 정보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가 블러 처리되고, 상기 블러 처리된 공유 정보가 상기 대화방에 출력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공유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문서 파일,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에 대한 승인이 수락될 경우, 상기 열람 요청된 공유 정보가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공유 정보의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대화방에 상기 열람 요청된 공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 제공 서버.
KR1020180064677A 2018-06-05 2018-06-05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37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677A KR102137540B1 (ko) 2018-06-05 2018-06-05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677A KR102137540B1 (ko) 2018-06-05 2018-06-05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427A Division KR101867326B1 (ko) 2017-09-04 2017-09-04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50A true KR20190026550A (ko) 2019-03-13
KR102137540B1 KR102137540B1 (ko) 2020-07-24

Family

ID=6576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677A KR102137540B1 (ko) 2018-06-05 2018-06-05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842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와임 분할 기능을 이용한 보안이 강화된 평가 데이터 조회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960A (ko) * 2012-07-02 201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P2p 시스템에서의 파일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150061785A (ko) * 2013-11-28 2015-06-0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960A (ko) * 2012-07-02 201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P2p 시스템에서의 파일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150061785A (ko) * 2013-11-28 2015-06-0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842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와임 분할 기능을 이용한 보안이 강화된 평가 데이터 조회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540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12275B (zh) 用于传送和接收消息的用户终端和方法
JP2009526322A (ja) 変化識別子を使用するセキュアなデジタル・コンテンツ管理
CN104394174B (zh) 社交网络系统的登录方法及其登录系统
CN111711528B (zh) 网络会议的管控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设备
EP3474247B1 (en) Media content privacy control
US8516602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distributed access rights management using access rights filters
US201600801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Processing, and Revealing of Hidden Portions of Images
JP2018530212A (ja) 接近性を用いる情報保安装置及び情報保安方法
KR101479290B1 (ko) 보안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이전트 및 보안 클라우드 서비스를위한 보안키장치
US118819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e message
KR101657243B1 (ko) 온라인 시크릿 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7326B1 (ko)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902139B2 (en) Method to track the dissemination of a data set
KR102137540B1 (ko)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46163B1 (ko) 공유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83397B1 (ko) 신뢰 기반 콘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US10362196B2 (en) Secured communic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CN112149177A (zh) 一种网络信息安全的双向保护方法和系统
KR102507864B1 (ko) 보안 인스턴트 메시징 방법 및 장치
KR102538230B1 (ko) 콘텐츠 보안 방법 및 장치
JP2020102741A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認証プログラム
EP3676738A1 (en) A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on a screen of an electronic processing device
CN113268775B (zh) 照片处理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113910A (ko) 접속 인증정보를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
Kodumuri RemoraBook: Privacy-Preserving Social Networking Based On Remora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