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514A -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514A
KR20190026514A KR1020170113529A KR20170113529A KR20190026514A KR 20190026514 A KR20190026514 A KR 20190026514A KR 1020170113529 A KR1020170113529 A KR 1020170113529A KR 20170113529 A KR20170113529 A KR 20170113529A KR 20190026514 A KR20190026514 A KR 2019002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touch input
list
item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영
맹덕영
장유진
조현임
이다건
한수빈
임현식
신정민
박성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514A/ko
Publication of KR2019002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은 비선택 상태인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내에서 제1 아이템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상태를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ITEMS ON A LIST}
본 발명은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리스트 상의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 및 다른 아이템들이 같이 선택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기반의 장치에서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메일 리스트 상에 복수의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들을 각각 터치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들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이유는 복수의 아이템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동일한 작업(예를 들어, 복수의 아이템들 각각을 삭제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아이템들을 일괄적으로 선택한 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각각의 아이템에 대해 작업을 수행하는 것보다 편리하기 때문에 최근 사용자들은 복수의 아이템들을 일괄적으로 선택한 후 작업을 수행하는 경향이 많다. 다만,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아이템의 수가 많으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든 아이템들을 전부 각각 터치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 입력을 통해 리스트 내의 복수의 아이템을 일괄 선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괄 선택된 아이템들 중 복수의 아이템의 선택을 일괄 해제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번의 터치 입력을 통해 복수의 아이템들이 일괄 선택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은 비선택 상태인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내에서 제1 아이템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상태를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 d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의 선택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 13b 및 13c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의 선택을 해제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리스트란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정보의 집합을 의미한다. 리스트는, 예를 들어, 메일 리스트, 동영상 리스트, 음성 파일 리스트, 채팅 방 리스트, 메시지 리스트, 사진 리스트, 스케줄 리스트, 메모 리스트, 연락처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은 일련의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가로 칸(row)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아이템은 각각 하나의 메일, 동영상, 음성 파일, 채팅 방, 메시지. 사진, 스케줄, 메모, 연락처 등에 대응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는 기능 실행 장치로 약칭한다.
도 1에 도시된 기능 실행 장치(100)는, 터치 기반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능 실행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기능 실행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몇몇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능 실행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E-메일,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실행 장치(100)가 고정식 컴퓨팅 장치인 경우, 통신부(110)는 유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에 구비된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 표준들 또는 통신 방식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10)에 구비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에 사용되는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5)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기능 실행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12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기능 실행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5)는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35))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 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 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5)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5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5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5)를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기능 실행 장치(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5)가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과 더불어, 터치 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의 표면과 접촉한 채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과 더불어, 상기 터치 스크린과 소정의 거리의 근접 터치 제스처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은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기능 실행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기능 실행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 실행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기능 실행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 등)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기능 실행 장치(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부(140)에 저장되고, 기능 실행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의하여 기능 실행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또는 제어부(150)의 연산 결과를 임시적으로 또는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1 에서 저장부(140)는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후술할 제어부(150)와 통합되어 기능 실행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메일, 동영상, 음성 파일, 메시지, 이미지, 스케줄, 메모, 연락처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특정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동영상들의 리스트, 저장부(140)에 저장된 음성 파일들의 리스트,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시지들의 리스트, 저장부(140)에 저장된 이미지들의 리스트, 저장부(140)에 저장된 스케줄들의 리스트,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모들의 리스트 및 저장부(140)에 저장된 연라처들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기능 실행 장치(100)의 구성으로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 실행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35) 및 제어부(150)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몇몇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복수의 아이템 전부에 대해 각각 터치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도 4a, 도 4b,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도 2의 각 단계는, 도 1에서 설명된 기능 실행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디스플레이부(도 1의 135)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도 1의 150)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도 1의 135)를 제어할 수 있다(S201).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의 상태는 선택 상태 및 비선택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상태인 아이템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선택된 아이템을 의미하고, 비선택 상태인 아이템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선택되지 않은 아이템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비선택 상태인 복수의 아이템(301~309) 을 포함하는 리스트(3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선택 상태인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디스플레된다고 가정하고 이하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는 선택 상태인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선택 상태인 제1 그룹의 아이템 및 비선택 상태인 제2 그룹의 아이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아이템(301~309) 각각의 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아이템(301~309)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아이템(301~309)이 전부 비선택 상태인 경우, 제어부(150)는 비선택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410)를 복수의 아이템(예를 들어, 제1 아이템(301) 내지 제9 아이템(309))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아이템(301~309)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하여 복수의 아이템(301~309) 각각이 비선택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S202).
단계(S203)에서 제어부(150)는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리스트 내의 최상단에 위치한 아이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리스트 내의 최상단에 위치한 아이템이라고 인식한 경우(S203, Y),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만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 아이템(301)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1 아이템(301)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에 포함된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 을 감지한 경우, 제1 아이템(301)의 상태만 선택 상태로 변경하고, 리스트(300)에 포함된 다른 아이템들(302~309)의 상태는 비선택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아이템(301)은 리스트(300) 내의 최상단에 위치한 아이템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아이템(301)의 상태가 선택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아이템(301)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도 4a의 410) 대신 제2 인디케이터(4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디케이터(420)는 제2 인디케이터(420)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템의 상태가 선택 상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단계(S202)에서 수신된 제1 터치 입력이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04).
롱 터치 입력은,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인디케이터(도 3의 41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복수 터치 입력은,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인디케이터(도 3의 41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을 복수 회(예를 들어, 2회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터치 입력이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탭하는 터치 입력이라고 인식한 경우(S204, N),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만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리스트 내의 최상단에 위치한 아이템이 아니라고 인식하고(S203, N) 제1 터치 입력이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이라고 인식한 경우(S204, Y), 리스트 내의 최상단에 존재하는 아이템 및 상기 최상단에 존재하는 아이템과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S205).
일례로, 도 5a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리스트(300) 내에서 제2 아이템(302)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2 아이템(302)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에 포함된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아이템(301) 및 제2 아이템(302)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아이템(302)은 최상단에 위치하지 않은 아이템이다.
즉, 제어부(150)는 리스트 내의 제2 아이템(302)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하고, 제2 아이템(302) 이외의 제1 아이템(301)의 상태를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이템(301) 및 제2 아이템(302) 사이에 다른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150)는 제1 아이템(301) 및 제2 아이템(302)의 상태만 비선택 상태에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 아이템(301) 및 제2 아이템(302)이 선택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1 아이템(301) 및 제2 아이템(302)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도 5a의 410) 대신 제2 인디케이터(4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리스트(300) 내에서 제4 아이템(304)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4 아이템(304)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에 포함된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제4 아이템(304)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 아이템(301)과 제4 아이템(304)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아이템(302) 및 제3 아이템(303)의 상태와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아이템(301)의 상태도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아이템(304)은 최상단에 위치하지 않은 아이템일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리스트 내의 제4 아이템(304)에 대한 롱 터치 입력(또는 복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제4 아이템(304)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하고, 제4 아이템(304) 이외의 제1 아이템(301), 제2 아이템(302) 및 제3 아이템(303)의 상태를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 아이템(301), 제2 아이템(302), 제3 아이템(303) 및 제4 아이템(304)이 선택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1 아이템(301), 제2 아이템(302), 제3 아이템(303) 및 제4 아이템(304)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도 6a의 410)들 대신 제2 인디케이터(420)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50)는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최상단에 위치하지 않은 아이템에 대한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선택 상태로 변경된 아이템의 위에 존재하는 아이템들을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에는 단계들(S202~S205)이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계들(S202~S205)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단계들(S202~S205)이 수행되는 순서는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10a 및 도 10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비선택 상태인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상기 리스트 내의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탭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탭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상태를 비선택 상태에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S206). 이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 상태로 변경된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 대신 제2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탭 터치 입력은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 미만 터치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3 아이템(303)에 대한 탭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제3 아이템(303)의 상태를 비선택 상태에서 선택 상태로 변경하고, 제3 아이템(303)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 상에 제2 인디케이터(4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07).
제어부(150)는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S207, Y),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S208).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5 아이템(305)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5 아이템(305)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에 포함된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을 터치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인 제5 아이템(305)의 상태를 비선택 상태에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5 아이템(305)의 상태가 선택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5 아이템(305)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도 9a의 410) 대신 제2 인디케이터(4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2 터치 입력이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09).
제어부(150)는 제2 터치 입력이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이라고 인식하지 않은 경우(S209, N), 도 9b와 같이 제3 아이템(303) 및 제5 아이템(305)의 상태만 선택 상태로 변경하고 리스트(300) 내의 다른 아이템들의 상태는 비선택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2 터치 입력이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이라고 인식한 경우(S209, Y), 탭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 및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S210).
일례로, 도 9a를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5 아이템(305)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5 아이템(305)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에 포함된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5 아이템(305)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탭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3 아이템(303)과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5 아이템(305) 사이에 존재하는 제4 아이템(304)의 상태도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 상태로 변경된 제4 아이템(304) 및 제5 아이템(305)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도 9a의 410) 대신 제2 인디케이터(4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0a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 아이템(301)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1 아이템(301)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에 포함된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을 감지한 경우, 제1 아이템(301)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탭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3 아이템(303)과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아이템(301)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아이템(302)의 상태도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 상태로 변경된 제1 아이템(301) 및 제2 아이템(302)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도 10a의 410) 대신 제2 인디케이터(4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장치를 통해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비선택 상태인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제4 아이템(304)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4 아이템(304)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에 포함된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제1 터치 입력 및 제6 아이템(306)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6 아이템(306)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에 포함된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제2 터치 입력을 디스플레이부(135)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고, 제1 터치 입력이 수신된 후에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도 있고,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된 후에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6 터치 입력은 롱 터치 입력일 수도 있고, 탭 터치 입력일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 및 상기 아이템들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상태를 비선택 상태에서 선택 상태로 일괄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아이템(304) 및 상기 제6 아이템(306)의 상태를 비선택 상태에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아이템(304) 및 상기 제6 아이템(306)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5 아이템(305)의 상태도 추가로 비선택 상태에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1b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된 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제스처(이하, '핀치 인 터치 제스처')를 추가로 감지한 경우 제4 아이템(304), 제5 아이템(305) 및 제6 아이템(306)의 상태를 비선택 상태에서 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1c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4 아이템(304), 제5 아이템(305) 및 제6 아이템(306)이 비선택 상태에서 선택 상태로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4 아이템(304), 제5 아이템(305) 및 제6 아이템(306)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도 11a 및 도 11b의 410) 대신 제2 인디케이터(4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든 아이템들을 전부 각각 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많은 아이템들을 일괄 선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든 아이템들을 손쉽게 일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선택 상태인 아이템들 중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선택을 해제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복수의 아이템 전부에 대해 각각 터치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 d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의 선택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복수의 아이템(301~309)을 포함하는 리스트(3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아이템(301), 제2 아이템(302) 및 제7 아이템(307) 내지 제9 아이템(309)은 비선택 상태일 수 있고, 제3 아이템(304) 내지 제 6 아이템(306)은 선택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비선택 상태인 아이템들(301, 302, 307, 308, 309)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410)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선택 상태인 아이템들(303, 304, 305, 306)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2 인디케이터(420)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4 아이템(304)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4 아이템(304)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포함된 제2 인디케이터(42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터치 입력은 제4 아이템(304)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4 아이템(304)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포함된 제2 인디케이터(42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롱 터치 입력 또는 복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만약, 도 7의 단계(S206)에서의 탭 터치 입력에 따라 도 12a의 제3 아이템(303)이 선택 상태로 변경되었고, 도 7의 단계(S207)에서의 제2 터치 입력에 의해 도 12a의 제6 아이템(306)이 선택 상태로 변경되었고, 도 7의 단계(S210)에서 제4 아이템(304) 및 제5 아이템(305)이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50)는 도 12b에서 상술한 제1 터치 입력에 따라 제4 아이템(304) 내지 제6 아이템(306)의 상태를 선택 상태에서 비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4 아이템(304) 내지 제6 아이템(306)이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따라 비선택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3 아이템(304) 내지 제6 아이템(306)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각각의 일 지점에 제2 인디케이터(도 12a의 420)대신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도 7의 단계(S206)에서의 탭 터치 입력에 따라 도 12a의 제6 아이템(306)이 선택 상태로 변경되었고, 도 7의 단계(S207)에서의 제2 터치 입력에 의해 도 12a의 제3 아이템(303)이 선택 상태로 변경되었고, 도 7의 단계(S210)에서 제4 아이템(304) 및 제5 아이템(305)이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50)는 도 12b에서 상술한 제1 터치 입력에 따라 제3 아이템(303) 및 제4 아이템(304)의 상태를 선택 상태에서 비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2d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3 아이템(303) 및 제4 아이템(304)이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따라 비선택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3 아이템(304) 내지 제6 아이템(306)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각각의 일 지점에 제2 인디케이터(도 12a의 420)대신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a, 13b 및 13c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의 선택을 해제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2a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복수의 아이템(301~309)을 포함하는 리스트(3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아이템(301), 제2 아이템(302) 및 제7 아이템(307) 내지 제9 아이템(309)은 비선택 상태일 수 있고, 제3 아이템(304) 내지 제 6 아이템(306)은 선택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비선택 상태인 아이템들(301, 302, 307, 308, 309)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1 인디케이터(410)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선택 상태인 아이템들(303, 304, 305, 306)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2 인디케이터(420)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제4 아이템(304)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4 아이템(304)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에 포함된 제2 인디케이터(42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제1 터치 입력 및 제6 아이템(306)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예를 들어, 제6 아이템(306)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에 포함된 제2 인디케이터(42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제2 터치 입력을 디스플레이부(135)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고, 제1 터치 입력이 수신된 후에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도 있고,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된 후에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6 터치 입력은 롱 터치 입력일 수도 있고, 탭 터치 입력일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아이템 및 상기 아이템들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에서 비선택 상태로 일괄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아이템(304) 및 상기 제6 아이템(306)의 상태를 선택 상태에서 비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아이템(304) 및 상기 제6 아이템(306)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5 아이템(305)의 상태도 추가로 선택 상태에서 비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3b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된 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제스처(이하, '핀치 인 터치 제스처')를 추가로 감지한 경우 제4 아이템(304), 제5 아이템(305) 및 제6 아이템(306)의 상태를 선택 상태에서 비선택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3c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4 아이템(304), 제5 아이템(305) 및 제6 아이템(306)이 선택 상태에서 비선택 상태로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4 아이템(304), 제5 아이템(305) 및 제6 아이템(306) 각각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에 제2 인디케이터(도 13a의 420) 대신 제1 인디케이터(41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5)를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비선택 상태인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내에서 제1 아이템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상태를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제1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을 복수 회 터치하는 터치 입력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상태로 상태가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템과 다른 상기 리스트 내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2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상태로 상태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템과 상기 제2 아이템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더 포함하는,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상태로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제3 아이템에 대한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 상기 제3 아이템 및 상기 제1 아이템과 상기 제3 아이템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상태를 비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제3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제3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을 복수 회 터치하는 터치 입력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전, 상기 리스트 내의 제4 아이템에 대한 제3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템과 상기 제4 아이템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터치 입력은,
    상기 제4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을 탭하는 터치 입력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6 아이템에 대한 제5 터치 입력을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같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5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6 아이템의 상태를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상태를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제5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과 상기 제6 아이템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추가로 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동시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에 수신되는 터치 입력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 상태로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제7 아이템 및 제8 아이템에 대한 제6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6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7 아이템, 상기 제8 아이템 및 상기 제7 아이템과 상기 제8 아이템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상태를 비선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제1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내의 일 지점을 복수 회 터치하는 터치 입력인,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KR1020170113529A 2017-09-05 2017-09-05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26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29A KR20190026514A (ko) 2017-09-05 2017-09-05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29A KR20190026514A (ko) 2017-09-05 2017-09-05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14A true KR20190026514A (ko) 2019-03-13

Family

ID=6576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529A KR20190026514A (ko) 2017-09-05 2017-09-05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5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831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haring content from a respective application
US11190478B1 (en) Enhanc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processes in email communication
US1020052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32681B2 (en) Electronic Device, memory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objects on a display screen
US971257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haring content from a respective application
EP2992490B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haring content from a respective application
KR102010219B1 (ko) 내비게이션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EP285400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image format object to text format object
EP2738661A2 (en)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53453B1 (ko)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9785324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952760B2 (en) Mobile terminal,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bination control method
US107889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new message associated with application
EP2891970A1 (en) Method for providing glance information,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102234400B1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8023951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50051292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139677A1 (en) Mobile terminal and incoming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20190063853A (ko) 입력 필드의 이동 방법 및 장치
US201703227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on a plurality of items on list
KR20190026514A (ko)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99985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41463B1 (ko)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2324946B1 (ko) 표시 영역 자동 분할 방법 및 장치
Baig Ahead of WWDC, my wish list for iOS 12 and i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