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263A -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light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light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263A
KR20190026263A KR1020170112771A KR20170112771A KR20190026263A KR 20190026263 A KR20190026263 A KR 20190026263A KR 1020170112771 A KR1020170112771 A KR 1020170112771A KR 20170112771 A KR20170112771 A KR 20170112771A KR 20190026263 A KR20190026263 A KR 2019002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control unit
signal
control
lumi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대한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263A/en
Publication of KR2019002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2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Provided is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ing equipment disposed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equipment from adjacent positions thereof to wirelessly control slave lighting equipment on the basis of master lighting equipment; and a master control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master signal to a neighboring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lighting equipmen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as the master lighting equipment. Master lighting equipment of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equipment can be selectively set to control the slave lighting equipment wirelessly.

Description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LIGHTING EQUIPME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control synchronizing system for a luminaire,

본 발명은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등기구를 동기화시켜 제어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a lumina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a luminaire that synchronously controls a plurality of luminaire.

일반적으로, 등기구는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시야를 밝히기 위해 사용되거나 등기구의 조도를 조절하여 주변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디자인적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luminaire is used to illuminate a user's view in a dark environment or as a design element to control the illuminance of a luminaire to produce an ambient atmosphere.

이러한 등기구는 가정, 사무실, 옥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넓은 공간에 배치되는 등기구의 경우 보통 하나 이상의 등기구가 예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 배치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이렇게 배치되는 다수의 등기구는 하나의 스위치에 의하여 1개 이상 다수의 등기구가 연결되고 등기구의 스위치에서 전원을 차단 또는 도통을 통해 온오프 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운용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Such a luminaire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home, an office, and an outdoor. In the case of a luminaire disposed in a large space, a plurality of luminaire are usually arranged in a spaced apart relationship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lurality of lamps arranged in this way are generally installed and operated in such a manner that one or more lamps are connected by one switch and the lamps of the lamp are turned on or off through the power supply.

최근 조명기구의 광원이 고효율/장수명인 LED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지고 있다. LED조명의 장점은 기존 조명과 달리 제어가 가능 하다는 점이 있으며, 즉 조도조절(조광)이나 두가지 색상의 LED를 장착 색상조절(조색)이 가능하다.Recently, a light source of a lighting apparatus is often installed with a high efficiency / long life LED. The advantage of LED lighting is that it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from conventional lighting, i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llumination (dimming) or adjust the color of the LED with two colors (toning).

단순히 스위치로 온 오프만 하던 조명을 다양한 제어가 가능해짐에 따라 많은 코드를 가진 입력 수단이 필요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입력 수단은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는 리모콘으로 사용된다.As a variety of controls can be made for the lighting that has just been turned on and off by the switch, an input means having a large number of codes is required. Such an input means is used as a remote controller using an infrared signal.

적외선 리모콘을 입력수단으로 하는 등기구는 메인 스위치 ON상태에서 리모콘을 통해 전원의 온 오프 또는 조도 조절 및 꺼짐 예약 등 여러가지 편리한 기능이 제공되지만, 동일공간에 1개 이상의 등기구가 설치 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적외선리모콘)으로 조절하면 신호 입력에 오류가 발생하여 비동기화 되는 문제가 있다.The luminaire using the infrared remote control as an input means has various convenient functions such as power on / off or illumination adjustment and off reservation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in the main switch ON state. However, when one or more luminaire is installed in the same space, Infrared remote control),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occurs in the signal input and it is not synchronized.

예를 들어, 2개의 등기구가 동일 공간에 설치가 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리모콘으로 등기구의 전원을 온(ON) 할 때 하나의 등기구가는 신호를 입력 받고 다른 하나의 등기구는 신호를 입력 받지 못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등기구는 전원이 들어온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등기구는 전원이 들어오지 않아 다시 전원을 온 시키게 되고 이때, 전원이 들어왔던 등기구가 신호를 입력 받고 오프 될 수 있다. 이러한 등기구의 비동기화를 방지하기 위해 등기구의 제어는 리모콘으로 하되, 등기구를 동기화 하기 위해서는 등기구간의 동기화를 위한 신호 전달이 필요하다. 그 중 하나는 유선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방법이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wo luminaires are installed in the same space, when the luminaire is turned on with the remote controller, one luminaire may receive a signal and the other luminaire may not receive a signal . That is, one luminaire is powered on and the other luminaire is not powered, and then the power is turned on again, and the luminaire to which the power is supplied can be turned on and off. In order to prevent the asynchronization of the luminaire, the luminaire is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In order to synchronize the luminaire, it is necessary to transmit signals for synchronizing the registration period. One of them is a method of synchronizing by transmitting a signal to a wired line.

하지만, 등기구의 수가 많아 질수록 배선이 증설되며, 배선의 증설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점(컨넥팅 불량, 파손, 현장 설치와 유지보수성의 불편함, 합선으로 인한 누전)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s the number of the luminaire increases, the number of wiring is increased, and various problems due to the extension of the wiring (such as defective connection, breakage, inconvenience of on-sit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short circuit caused by short circuit) may occur.

따라서, 리모콘으로 다수의 등기구를 제어 가능하고 각각의 등기구도 무선으로 연결되어 시공 시 배선의 증설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luminaire with a remote control and wirelessly connecting each luminaire, thereby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extension of wiring during construction.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0023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8309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riority Patent Publication No. 10-0920023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28309 disclos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0023(2009년 10월 5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0023 (October 5, 20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8309호(2016년 06월 01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28309 (June 01, 2016)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등기구 중 하나를 마스터 등기구로 선택적 설정하여 슬래이브 등기구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a luminaire that wirelessly controls a slave luminaire by selectively setting one of a plurality of luminaire as a master luminair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은 예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등기구; 상기 다수의 등기구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연결되어 마스터 등기구를 기초로 슬래이브 등기구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다수의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이웃하는 상기 컨트롤 유닛으로 마스터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해당하는 상기 컨트롤 유닛과 연결된 상기 등기구를 상기 마스터 등기구로 설정하기 위한 마스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a lighting fix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luminai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amp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lamps to wirelessly control the slave lamps based on the master lamp; And a master control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master signal to the neighboring control unit to set the lamp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to the master lamp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마스터 신호를 수신 받으면 해당하는 상기 등기구를 슬래이브 등기구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preferably sets the corresponding luminaire as a slave luminaire when receiving the master signal from the master contro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마스터 등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preferably includes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first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ster lamp into a second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상기 마스터 등기구와 연결된 해당 컨트롤 유닛이 제2 신호를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을 통해 이웃하는 다수의 컨트롤 유닛으로 송신하고, 상기 슬래이브 등기구와 연결된 해당 컨트롤 유닛이 상기 마스터 등기구와 연결된 해당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2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상기 슬래이브 등기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transmits a second signal to a plurality of neighboring control units via the master control unit,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lave luminaire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slave lamp in response to the second signal provided from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aster lam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등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이 마련된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중 하나는 기 설정된 입력값을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 받으면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을 통해 이웃하는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으로 마스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mote control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amps,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receives a predetermined input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ler,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master signal to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상기 입력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preferably includes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nput valu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연결된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preferably includes a switch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aster control unit connec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상기 제2 신호를 기 설정된 해당 컨트롤 유닛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preferably transmits the second signal to the predetermined contro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상기 마스터 등기구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슬래이브 등기구를 각각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순차 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preferably includes a sequential mode for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slave lamps based on the master lam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마스터 등기구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등기구가 대상 영역의 조명을 대상 영역 외의 조명보다 밝게 비추기 위한 스포트라이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preferably includes a spotlight mode for illuminating the illumination of the target area to brighter than the illumination of the target area based on the master lam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은 상기 마스터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control unit preferably includes an amplification unit for amplifying at least one of the master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illumination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a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다수의 등기구에 따른 배선의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시공 시 불편함과 오류를 해소하여 줌으로써 다수의 등기구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고 유지 보수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ably controlling a large number of luminaires and reducing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costs 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and error during construction caused by an increase in wiring according to a plurality of luminaires.

본 발명은 배선의 구애없이 다수의 등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수의 등기구를 배치할 수 있는 영역의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lurality of luminaire without any wiring,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ange in which a plurality of luminaires can be arranged.

본 발명은 다수의 등기구 중 하나를 마스터 등기구로 설정하여 슬래이브 등기구를 제어함으로써 등기구와 사용자의 제어 거리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등기구 제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overcoming the limitation due to the control distance of the luminaire and the user by controlling one of the plurality of luminaire as the master luminaire to control the slave luminaire,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extend the control range of the luminaire hav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a lighting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a lumina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encompas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예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등기구(10); 와 상기 다수의 등기구(10)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연결되어 마스터 등기구(10M)를 기초로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및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이웃하는 상기 컨트롤 유닛(20)으로 마스터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해당하는 상기 컨트롤 유닛(20)과 연결된 상기 등기구(10)를 상기 마스터 등기구(10M)로 설정하는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포함한다.1 and 2, there are shown a plurality of luminaire 10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amp units (10), respectively, for wirelessly controlling the slave lamp unit (10S) based on the master lamp unit (10M).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master signal to the adjacent control unit so that the lamp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master lamp, 10M. ≪ / RTI >

먼저, 등기구(10)는 사용자의 시야를 밝히거나 외관 또는 실내를 밝히거나 심미적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디자인 요소로 많이 사용되는 조명 기구 이며, LED 조명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lighting device 10 is a lighting device widely used as a design element for illuminating a user's view, illuminating an exterior or a room, or enhancing an aesthetic effect, and an LED lighting lamp can be used.

LED가 사용된 등기구(10)는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는 리모콘을 통해 제어가능하고, 이러한 제어에는 등기구(10)의 온오프 외에 조색 및 조도가 제어 가능할 수 있다.The lamp 10 using the LED can be controlle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using an infrared signal. In this control, the coloring and the illuminance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o the ON / OFF of the lamp 10.

등기구(10)는 실내에서 예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 배치되어 실내의 조도를 조절하거나 도로에 가로등이 다수 배치되어 거리를 밝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lamps 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room to control the illuminance of the room or a plurality of street lamps may be arranged on the street to illuminate the distance.

본 발명의 등기구 조명 제어 동기화 시스템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다수의 등기구(10)가 예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가로등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 편의상 실내에서 다수 배치되는 실내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reetlight in which a plurality of lamps 10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먼저, 다수의 등기구(10)는 거실, 주방 및 안방과 같이 실내 공간의 천정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등기구는 거실 및 주방의 면적에 비례하여 하나 또는 2개 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다수의 등기구(10)는 동일한 방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First, a plurality of the lamps 10 may be disposed on a ceiling of an indoor space such as a living room, a kitchen, and a room. The number of lamps may be one or two or more in proportion to the area of living room and kitchen,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lamp units 10 may b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ame room.

그리고, 다수의 등기구(10)에 인접한 위치에는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다수의 등기구(10)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은 1 개수당 1 개수의 등기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은 등기구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다수의 등기구(10)의 각각의 측면 또는 하부 등 외부에 배치되어 해당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amps 10 in response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lamps 10.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may desirably control one lamp unit per lamp unit. 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are disposed inside the luminaire, bu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respective side or bottom of the plurality of luminaire 10 to control the luminaire.

여기서,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일반적으로 리모콘에서 사용되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고, 리모콘에서 컨트롤 유닛(20)으로 송신하는 제어 신호는 제1 신호로 정의하며 이하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제1 신호는 마스터 등기구(10M)와 연결된 컨트롤 유닛(20)만 수신 받고, 마스터 등기구(10M)와 연결된 컨트롤 유닛(20)은 이웃하는 다른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으로 제1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한다.Her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s generally an infrared sensor used in the remote controller, and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control unit 20 is defined as a first signal, and will be described again.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only by the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master lamp 10M and the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master lamp 10M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neighboring control units 20 by the first signal Into a second signal and provides it.

또한,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은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적외선 (IR)신호를 다른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하기 때문에 서로 무선으로 제어 가능할 수 있다. 마스터 등기구(10M)와 연결된 컨트롤 유닛(20)을 제외한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은 마스터 등기구(10M)와 연결된 컨트롤 유닛(20)으로부터 제1 신호를 변환한 제2 신호를 수신받고, 제2 신호에만 응답하여 해당하는 등기구(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제2 신호는 제1 신호와 같은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느 하나의 신호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신호는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 또는 다른 파장대역을 사용하여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converts the infrared (I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nto another signal and communicates, it can be controlled wirelessly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except for the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master lamp 10M receive a second signal converted from the first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master lamp 10M,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lamp 10 only in response to the signal. Here, the above-described first signal and second signal will be described below again. 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ignal uses the same infrared signal as the first signal, but it is not limited to any one signal. Also, the second signal can prevent crosstalk using a different frequency or a different wavelength band from the first signal.

따라서, 다수의 등기구(10)는 서로 무선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시공 시 배선 작업이 추가로 필요 없고, 배선이 증가함에 따른 유지 보수 면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plurality of lamp units 10 are controlled by radio, the wiring work is not requir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the efficiency in terms of maintenance due to the increase of the wiring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은 다수의 등기구(10)를 마스터-슬래이브(한쪽을 마스터로 하고, 이것이 다른 쪽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것) 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luminai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 plurality of luminaire 10 with a master-slave (one that acts as master and one that controls the other) system.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이웃하는 컨트롤 유닛으로 마스터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해당하는 컨트롤 유닛(20)과 연결된 등기구를 마스터 등기구(10M)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스터 제어 유닛(30)과 연결된 컨트롤 유닛(20)은 해당 컨트롤 유닛이 마스터가 되었다는 마스터 신호를 이웃하는 컨트롤 유닛(20)으로 송신하고, 마스터 신호를 수신받은 이웃하는 컨트롤 유닛(20)은 자동으로 슬래이브로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다수의 등기구(10)는 각각에 연결된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에 의해 마스터 슬래이브로 동작하고, 슬래이브는 마스터를 기준으로 동기화 될 수 있다.The master control unit 3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and wirelessly transmits a master signal to a neighboring control unit so that a luminai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20 can be set as a master luminaire 10M have.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master control unit 30 transmits a master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ntrol unit is the master to the neighboring control unit 20, and the neighboring control unit 20, Can be automatically set to slaves. For reference, the plurality of luminaire 10 operate as a master slave by each of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laves can be synchronized with respect to the master.

일 예로,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에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각각의 컨트롤 유닛(20)에 배치된 마스터 제어 유닛(30)의 동작 여부를 선택적으로 하여 해당하는 컨트롤 유닛(20)과 해당 등기구(10)를 마스터로 할 수 있다. 마스터 제어 유닛(30)의 동작 여부를 선택적으로 하여 해당하는 컨트롤 유닛(20)과 해당 등기구(10)를 마스터로 하는 방법은 이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For example, the master control unit 30 may be disposed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In this case, the master control unit 30 disposed in each control unit 20 may be selectively operated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20 and the corresponding lamp 10 can be used as a master. A method of selecting whether to operate the master control unit 30 and mak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20 and the corresponding lamp 10 as masters will be described later.

바람직하게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컨트롤 유닛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컨트롤 유닛(20)의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에 배치될 수 있지만 마스터 등기구(10M)와 연결된 컨트롤 유닛(20)에만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aster control unit 30 is disposed inside the control unit as shown in Figs. 1 and 2, but may be mounted outside the control unit 20. Fig. The master control unit 30 may b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but may be disposed only in the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master lamp 10M.

일 예로, 마스터 제어 유닛(30)이 마스터 등기구(10M)와 연결된 컨트롤 유닛(20)에만 배치될 경우에는 해당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탈착하고 다른 컨트롤 유닛(20)에 장착하여 해당 컨트롤 유닛(20)과 해당 등기구(10)를 마스터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aster control unit 30 is disposed only in the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master lamp 10M, the master control unit 30 is detached and attached to another control unit 20, 20 and the corresponding luminaire 10 as masters.

도 2는 이해를 돕기 위해 마스터 등기구(10M)와 연결된 컨트롤 유닛(20)에만 마스터 제어 유닛(30) 유닛이 도시되고, 슬래이브 등기구(10S)와 연결된 컨트롤 유닛(20)은 수신부(210)만 도시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이후 다시 설명하겠지만 마스터 제어 유닛(30)과 변환부(220)와 메모리 부는 제어 방식에 따라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2 shows a master control unit 30 unit only for the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master lamp 10M and a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slave lamp 10S for receiving only the receiving unit 210 Will be describ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ster control unit 30, the conversion unit 220, and the memory unit may b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according to a control method.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이웃하는 컨트롤 유닛(20)으로 마스터 신호를 송신하고 이웃하는 컨트롤 유닛(20)은 마스터 제어 유닛(30)으로부터 마스터 신호를 수신하면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master control unit 30 transmits the master signal to the neighboring control unit 20 and the neighboring control unit 20 receives the master signal from the master control unit 30 and is set to the slave control unit 20S .

이때, 마스터 제어 유닛(30)이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에 배치된 경우에는 마스터 등기구(10M)로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20)만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동작시키고 그 외에 컨트롤 유닛(20)에 배치된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비활성화 시켜 슬래이브 유닛으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aster control unit 30 is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only the control unit 20 for setting the master lamp 10M operates the master control unit 30, The master control unit 30 disposed in the master control unit 20 can be deactivated and set as a slave unit.

따라서,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의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은 다수의 등기구(10)를 마스터-슬래이브 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다.Thus,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of the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luminai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 plurality of luminaire 10 with a master-slave system.

이하,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마스터 등기구(10M)와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각각 다른 도면 부호로 정의하고, 마스터 등기구(10M)와 연결된 컨트롤 유닛(20)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슬래이브 등기구(10S)와 연결된 컨트롤 유닛(20)은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A master lighting fixture 10M and a slave lighting fixture 10S are defined by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and a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master lighting fixture 10M is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lighting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slave lamp unit 10S by the master control unit 20M is defined as a slave control unit 20S.

또한,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마스터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기 위한 증폭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는 이웃하는 컨트롤 유닛(20)으로 마스터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함으로써 이웃하는 컨트롤 유닛(20)까지의 간격이 멀더라도 이웃하는 컨트롤 유닛(20)이 마스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the master control unit 30 may include an amplification unit (not shown) for amplifying and transmitting the master signal. The amplifying unit can amplify and transmit the master signal to the neighboring control unit 20 so that the neighboring control unit 20 can receive the master signal even if the interval to the neighboring control unit 20 is far.

또한, 증폭부는 마스터 신호 외에 후술할 제2 신호도 증폭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마스터 신호 또는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하여 이웃하는 컨트롤 유닛(20)으로 송신할 수 있다.Further, the amplifying unit can amplify the second signal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master signal. That is, the master control unit 30 can amplify at least one of the master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transmit the amplified signal to the neighboring control unit 20.

예컨대, 리모콘의 경우는 배터리로 구동하기 때문에 제1 신호의 세기를 증폭하기에 제약이 있는 반면,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컨트롤 유닛(20)은 제2 신호를 증폭부를 통해 증폭시킨 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emote controller, since it is driven by a battery, there is a limitation in amplifying the intensity of the first signal, while the control unit 20 using a commercial power supply can amplify the second signal through the amplifier and then output .

증폭부는 마스터 제어 유닛(30)에 포함되어 마스터 신호를 증폭할 수 있지만, 컨트롤 유닛(20)에 포함되어 마스터 신호를 증폭한 뒤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The amplifying unit can be included in the master control unit 30 to amplify the master signal, but can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0, amplify the master signal, and then transmit the amplified signal through the master control unit 30.

만약, 증폭부가 컨트롤 유닛(20) 포함된다면 제2 신호를 증폭하여 후술할 송신부로 제공하거나 마스터 제어 유닛(30)으로 제공할 수 있다.If the amplification unit includes the control unit 20, the second signal may be amplified and provided to a transmiss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provided to the master control unit 30.

먼저,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은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은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받은 등기구(1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10)와 제1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변환부(220)는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에만 구비될 수 있지만, 다수의 컨트롤 유닛(200) 각각에 포함되고 해당 컨트롤 유닛(20)이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이 됐을 경우에만 활성화되어 제1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First, in the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lighting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includes a receiving unit 210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for controlling the lamp 10 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ler, And a conversion unit 220 for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signal. The converting unit 220 may be provided only in the master control unit 20M but only when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20 is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0 and becomes the master control unit 20M So that the first signal can be converted into the second signal.

바람직하게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과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모두 수신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 또는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에 따라 수신부(210)가 수신하는 신호는 각각 다를 수 있다.The master control unit 20M and the slave control unit 20S may both include the receiving unit 210 and the receiving unit 210 may receive the receiving unit 210 according to the master control unit 20M or the slave control unit 20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일예로,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에 배치된 수신부(210)는 마스터 등기구(10M)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신호를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고,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에 배치된 수신부(210)는 마스터 제어 유닛(30)에서 송신하는 마스터 신호와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ceiving unit 210 disposed in the master control unit 20M receives a first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ster lamp 10M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receiving unit 210 disposed in the slave control unit 20S The master control unit 30 can receive the master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즉,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마스터 신호를 수신 받아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제2 신호를 통해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210)는 제1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부(미도시)와 제2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부(미도시)와 마스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스터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slave control unit 20S receives the master signal, and is set to the slave control unit 20S and can control the slave lamp 10S through the second signal. Here, the receiving unit 210 includes a first receiving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a second receiving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 second signal, and a master receiving unit .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에 배치된 수신부(210)는 마스터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수신부를 비활성화 하고, 제2 수신부를 동작 활성화 시켜 제1 신호에는 응답하지 않고 제2 신호에만 응답하여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수신부는 활성화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210 disposed in the slave control unit 20S deactivates the first receiving unit when the master signal is received and activates the second receiving unit to respond to the second signal without 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10S)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master receiving unit is activated.

또한,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내부에 배치된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이 복수개 설정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ave control unit 20S can prevent an error that a plurality of master control units 20M are set up by deactivating the master control unit 30 disposed therein.

변환부(220)는 리모콘에서 수신된 제1 신호를 수신부(210)로부터 제공받아 제2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220)를 통해 변환된 제2 신호는 제1 신호와 동일한 명령을 가지되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이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제2 신호에만 응답하여 해당하는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verting unit 220 may convert the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nto a second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210. The second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conversion unit 220 has the same instruction as the first signal. In order to prevent the slave control unit 20S from generating an error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the slave control unit 20S May control the corresponding slave luminaire 10S in response to only the second signal.

예를 들어,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은 5hz 주파수의 제1 신호를 수신하고 6hz 주파수의 제2 신호로 변환하여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송신하고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6hz 주파수의 제2 신호만 수신하여 리모콘의 제어신호에는 반응하지 않고 제2 신호에만 응답하여 해당하는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ster control unit 20M receives the first signal of the 5-hz frequency and converts it into the second signal of the 6-hz frequency and transmits it to the slave control unit 20S and the slave control unit 20S Only the second signal is received, and the corresponding slave luminaire 10S can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second signal without react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참고로,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은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통해 마스터 신호를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송신하고, 변환부(220)를 통해 변환된 제2 신호도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통해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설계 시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변환부(220)는 마스터 신호와 제2 신호를 하나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은 변환부(220)에서 변환한 해당 제어 신호를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송신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master control unit 20M transmits the master signal to the slave control unit 20S through the master control unit 30, and the second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conversion unit 220 is also transmitted to the master control unit 30 To the slave control unit 20S, but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configur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at the time of designing. The conversion unit 220 converts the master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into one control signal and the master control unit 20M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220 to the slave control unit 20S can do.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이 마스터 제어 유닛(30)과 수신부(210)와 변환부(220)를 모두 포함하는 것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을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이때,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은 마스터 제어 유닛(30)과 수신부(210)와 변환부(220)를 활성화시켜 동작하고,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수신부(210)만 활성화시켜 동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include both the master control unit 30, the receiving unit 210, and the converting unit 220. That is, when the master control unit 20M is operated by the user, The master control unit 20M operates by activating the master control unit 30, the receiving unit 210 and the converting unit 220 and the slave control unit 20S operates the receiving unit 210) can be activated and operated.

참고로,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위에서 언급한 제2 수신부와 마스터 수신부를 활성화 시켜서 제1 신호는 수신하지 않고 제2 신호와 마스터 신호만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For referenc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slave control unit 20S activates the above-mentioned second receiving unit and the master receiving unit so that only the second signal and the master signal are received without receiving the first signal.

이하,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의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the master control unit 20M of the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luminai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리모콘을 통해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중 하나의 컨트롤 유닛을 선택하여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First, a method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via the remote controller and setting it as the master control unit 20M will be described.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중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하기 위한 하나의 컨트롤 유닛을 제외한 다른 컨트롤 유닛의 동작을 정지한 후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으로 리모콘을 통해 기설정된 입력값을 입력하여 해당 컨트롤 유닛을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할 수 있다.A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master control unit 20M as a master control unit 20M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other control units except for one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master control unit 20M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The set input value can be inputted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can be set to the master control unit 20M.

일예로, 하나의 컨트롤 유닛(20)만 동작시킨 상태에서 리모콘에 마련된 마스터 설정 버튼을 누른 후 기 설정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을 설정하기 위한 기 설정된 입력값이 1,2,3 이라 가정하면, 리모콘을 통해 1,2,3번의 숫자를 순차적으로 누르고 해당 컨트롤 유닛은 리모콘으로부터 1,2,3의 신호를 수신 받아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where only one control unit 20 is operated, a predetermined number can be inputted after pressing a master setting button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preset input values for setting the master control unit 20M are 1, 2, and 3, sequentially press the numerals 1, 2, and 3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2 and 3, and can be set as the master control unit 20M.

참고로, 슬래이브 등기구(10S)는 리모콘을 통해 기 설정된 입력값을 수신받아 설정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이 설정되면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과 연결된 마스터 제어 유닛(30)으로부터 마스터 신호를 수신 받아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master control unit 20M is connected to the master control unit 20M and the slave luminaire 10S is connected to the master control unit 20M, And can be set as the slave control unit 20S.

한편,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하기 위한 입력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may include a memory unit 230 for storing an input value for setting the master control unit 20M.

일예로,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은 리모콘을 통해 기 설정된 입력값을 수신하고 메모리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은 전원이 오프(OFF)된 후 다시 온(ON) 되더라도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입력값을 통해 다시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ster control unit 20M may receive a preset input value via the remote controller and store the input value in the memory unit 230. [ Even if the master control unit 20M is set to the master control unit 20M again through the input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230 even if the power is turned off and then turned on again, It can be set automatically.

리모콘을 통해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중 하나의 컨트롤 유닛을 선택하여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은 마스터 제어 유닛(30)과 수신부(210)와 변환부(220)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method of selecting one control unit of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through a remote controller and setting the master control unit 20M as a master control unit 20M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each including a master control unit 30, And the conversion unit 220 are all included.

그리고,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설정된 컨트롤 유닛은 수신부(210)를 제외한 변환부(220)와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비활성화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의 수신부(210)는 마스터 신호와 제2 신호만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set to the slave control unit 20S may desirably be inactivated by the conversion unit 220 and the master control unit 30 except for the receiving unit 210. [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unit 210 of the slave control unit 20S receives only the master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다음으로 스위치를 통해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setting the master control unit 20M through the switch will be described.

이 때에는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은 모두 마스터 제어 유닛(30)과 수신부(210)와 변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컨트롤 유닛(20) 각각은 마스터 제어 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may include a master control unit 30, a receiving unit 210, and a converting unit 220.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may include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ster control unit 30. [

이용자는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의 스위치를 조절하여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스위치가 조절된 컨트롤 유닛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되고 해당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이웃하는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으로 마스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master control unit 30 by adjust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master control unit 20M. That is, the switch-controlled control unit is set as the master control unit 20M and the master control unit 30 can transmit the master signal to the plurality of neighboring control units 20. [

다음으로, 마스터 제어 유닛(30)의 존재 여부에 따라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이 설정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in which the master control unit 20M is se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aster control unit 30 is present will be described.

이 때에는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은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제외한 수신부(210)와 변환부(220)만 포함하고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에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장착한 후 해당하는 컨트롤 유닛(20)을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include only the receiving unit 210 and the converting unit 220 except for the master control unit 30, and the master control unit 30 can be designed to be mountable and detachable. After the master control unit 30 is mounted in the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master control unit 20M,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20 can be set as the master control unit 20M.

이어서,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은 변환부(220)를 통해 제1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고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통해 이웃하는 다수의 등기구(10)로 제2 신호 및 마스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master control unit 20M converts the first signal to the second signal through the conversion unit 220 and outputs the second signal and the master signal to the plurality of neighboring luminaire 10 through the master control unit 30 Can be transmitted.

참고로, 마스터 제어 유닛(30)이 장착되지 않은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은 변환부(220)가 비활성화 되고, 수신부(210)는 제2 신호와 마스터 신호만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without the master control unit 30 are deactivated, and the receiving unit 210 receives only the second signal and the master signal.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a lumina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은 기 설정된 슬래이브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 제2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편의상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부터 제2 신호는 수신받는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을 제1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A)으로 정의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aster control unit 20M may transmit a second signal to control the predetermined slave unit. For convenience, the second signal from the master control unit 20M defines the slave control unit 20S to be received as the first slave control unit 20S-A.

그리고, 제1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A)은 제2 신호를 다시 기 설정된 다른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송신할 수 있다. 편의상 제1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A)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 받는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을 제2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B)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Then, the first slave control unit 20S-A can transmit the second signal to another pre-set slave control unit 20S. For convenience, the slave control unit 20S receiving the second signal from the first slave control unit 20S-A will be described as a second slave control unit 20S-B.

제1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A)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부터 수신 받은 제2 신호를 변환부(220)를 통해 제2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B)만 수신할 수 있는 제3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slave control unit 20S-A receives the second signal received from the master control unit 20M via the conversion unit 220, and the third slave control unit 20S- Signal to be transmitted.

이어서, 제2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B)은 제3 신호에만 응답하여 해당하는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으로부터 수신 받은 제2 신호를 연속적으로 기 설정된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전달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econd slave control unit 20S-B can control the corresponding slave luminaire 10S in response to the third signal only. In this way, the plurality of slave control units 20S can continuously transmit the second signal received from the master control unit 20M to the predetermined slave control unit 20S.

참고로, 제1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A)은 별도의 송신부를 통해 제3 신호를 제2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B)으로 송신하고,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통해 제3 신호를 제2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B)으로 송신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rst slave control unit 20S-A transmits a third signal to the second slave control unit 20S-B via a separate transmission unit, and transmits the third signal through the master control unit 30 To the second slave control unit 20S-B.

마스터 제어 유닛(30)을 통해 제3 신호를 제2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B)으로 송신할 경우에 마스터 제어 유닛(30)은 마스터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제3 신호만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ransmitting the third signal to the second slave control unit 20S-B via the master control unit 30, the master control unit 30 preferably transmits only the third signal without transmitting the master signal .

따라서, 이와 같이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은 기설정 된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제2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 함으로써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의 제어 신호가 도달하지 못하는 거리에 배치된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을 다른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하여 동기화 할 있다.Thus,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convert and transmit the second signal to the pre-set slave control unit 20S so that the slave arranged at a distance where the control signal of the master control unit 20M can not reach The control unit 20S can be controlled by transferring the control signal through another slave control unit 20S.

한편,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은 마스터 등기구(10M)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순차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may include a sequential mode in which the slave lamp 10S is sequentially controlled based on the master lamp 10M.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은 리모콘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연결된 마스터 등기구(10M)를 제1 신호를 기초로 제어하고, 제1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여 기 설정된 제1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A)으로 송신할 수 있다.3, when the master control unit 20M receives the firs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e master control unit 20M controls the connected master lamp 10M based on the first signal, converts the first signal into the second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set first slave control unit 20S-A.

제1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A)은 수신 받은 제2 신호를 예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해당하는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B)은 제1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A)으로부터 수신 받은 제어 신호를 예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해당하는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slave control unit 20S-A can control the corresponding luminair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received second signal. Similarly, the second slave control unit 20S-B can control the corresponding luminair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slave control unit 20S-A.

따라서,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과 연결된 마스터 등기구(10M)를 시작으로 다수의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다수의 등기구(10)가 순차적으로 켜짐에 따른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sequentially control the plurality of slave lamps 10S starting from the master lamp 10M connected to the master control unit 20M so that the plurality of lamps 10 are sequentially turned on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nhancing the sense of aesthetics.

다른 한편으로, 다수의 컨트롤 유닛(20)은 위에서 설명한 다수의 등기구(1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순차 모드와 다르게 다수의 등기구(10)를 통해 대상 영역의 조명을 대상 영역 외의 조명보다 밝게 비춰 대상 영역을 부각시키는 스포트라이트 모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contrast to the sequential mode in which the plurality of lamp units 10 are sequentially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20 illuminate the target area through the plurality of lamps 10 more brightly than the lights outside the target area, And a spotlight mode in which the area is highlighted.

스포트라이트 모드는 마스터 등기구(10M)를 기준으로 이웃하는 슬래이브 등기구(10S)가 마스터 등기구(10M)가 향하는 방향으로 따라서 향하는 제1 스포트라이트 모드와 마스터 등기구(10M)를 제외한 슬래이브 등기구(10S)의 조도를 낮추는 제2 스포트라이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spotligh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first spotlight mode in which the adjacent slave lamp 10S is orient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master lamp 10M and the second spotlight mode in which the slave lamp 10S is not the master lamp 10M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the second spotlight mode in which the illuminance is lowered.

일 예로, 제1 스포트라이트 모드는 다수의 등기구(10)가 대상을 향해 각각 회전이 가능한 경우에 가능한 모드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수의 등기구(10)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potlight mode is a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lamps 10 are rotatable toward a target, a driving device (not shown in the figure)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lamps 10 rotatably May be formed.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은 마스터 등기구(10M)가 향하는 방향으로 슬래이브 등기구(10S)가 향하도록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master control unit 20M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slave control unit 20S so that the slave lamp unit 10S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master lamp 10M.

예를 들어, 제1 스포트라이트 모드는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의 제어에 따라 마스터 등기구(10M)가 대상 영역을 비추고,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하는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대상 영역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irst spotlight mode, the master lamp 10M illuminates the target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master control unit 20M, and the slave control unit 20S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master control unit 20M The angle of the corresponding slave luminaire 10S can be adjusted so as to face the target area.

다시 말해서 제1 스포트라이트 모드는 마스터 등기구(10M)가 향하는 대상을 향해 슬래이브 등기구(10S)가 회전하여 다수의 등기구(10)가 하나의 대상 영역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모드이다.In other words, the first spotligh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lave lamp 10S is rotated toward the object to which the master lamp 10M is directed, so that the plurality of lamps 10 intensively illuminate one target area.

제2 스포트라이트 모드는 제1 스포트라이트 모드와 다르게 대상 영역을 향해서만 조명을 비추는 것이 아니라 영역 전체를 조명으로 비추지만 대상영역을 더 밝게 비추는 모드이다.The second spotlight mode differs from the first spotlight mode in that it does not illuminate only the object area but illuminates the entire area but brightens the object area.

예를 들어, 제2 스포트라이트 모드는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이 5의 밝기로 마스터 등기구(10M)를 제어하고 조도 신호를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으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econd spotlight mode, the master control unit 20M can control the master luminaire 10M with the brightness of 5 and transmit the illuminance signal to the slave control unit 20S.

이어서,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의 조도 신호를 기초로 5 보다 낮은 2 또는 3의 밝기로 해당하는 슬래이브 등기구(10S)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lave control unit 20S can control the illuminance of the corresponding slave luminaire 10S with a brightness of 2 or 3 lower than 5 based on the illuminance signal of the master control unit 20M.

반대로, 슬래이브 컨트롤 유닛(20S)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20M)의 조도 보다 더욱 밝은 조도로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the slave control unit 20S can control the slave luminaire 10S with a brighter illuminance than that of the master control unit 20M.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등기구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은 마스터 등기구(10M)를 기초로 슬래이브 등기구(10S)를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등기구(10)를 제어 신호의 수신 오류를 최소화 한 상태로 동기화 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system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ynchronizes the plurality of lamps 10 with the control errors of the control signals minimized by controlling the slave lamps 10S based on the master lamp 10M Can be controll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for purposes of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등기구
20: 컨트롤 유닛
30: 마스터 제어 유닛
210: 수신부
220: 변환부
230: 메모리부
10: Lighting
20: Control unit
30: Master control unit
210:
220:
230: memory unit

Claims (11)

예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등기구;
상기 다수의 등기구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연결되어 마스터 등기구를 기초로 슬래이브 등기구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다수의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이웃하는 상기 컨트롤 유닛으로 마스터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해당하는 상기 컨트롤 유닛과 연결된 상기 등기구를 상기 마스터 등기구로 설정하기 위한 마스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A plurality of luminai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amp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lamps to wirelessly control the slave lamps based on the master lamp; And
And a master control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master signal to the neighboring control unit to set the lamp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to the master lamp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마스터 신호를 수신 받으면 해당하는 상기 등기구를 슬래이브 등기구로 설정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When receiving the master signal from the master control unit, sets the corresponding luminaire to a slave luminaire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마스터 등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And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first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ster lamp into a second signal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상기 마스터 등기구와 연결된 해당 컨트롤 유닛이 제2 신호를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을 통해 이웃하는 다수의 컨트롤 유닛으로 송신하고,
상기 슬래이브 등기구와 연결된 해당 컨트롤 유닛이 상기 마스터 등기구와 연결된 해당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2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상기 슬래이브 등기구를 제어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A correspond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aster luminaire transmits a second signal to a plurality of neighboring control units via the master control unit,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lave luminaire controls the corresponding slave luminaire in response to the second signal provided from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aster luminaire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등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이 마련된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중 하나는 기 설정된 입력값을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 받으면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을 통해 이웃하는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으로 마스터 신호를 송신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uminaire,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receives a preset input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a master signal to the plurality of neighboring control units through the master control unit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상기 입력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nput value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연결된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connected master control unit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상기 제2 신호를 기 설정된 해당 컨트롤 유닛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And transmits the second signal to the predetermined control unit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상기 마스터 등기구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슬래이브 등기구를 각각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순차 모드를 포함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And a sequential mode in which the plurality of slave lamps are sequentially controlled based on the master lamp,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트롤 유닛 각각은
마스터 등기구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등기구가 대상 영역의 조명을 대상 영역 외의 조명보다 밝게 비추기 위한 스포트라이트 모드를 포함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Wherein the plurality of lamps includes a spotlight mode for illuminating the illumination of the object area brighter than the illumination of the object area based on the master lamp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은
상기 마스터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를 포함하는
등기구의 조명제어 동기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aster control unit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t least one of the master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Light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for Luminaires.



KR1020170112771A 2017-09-04 2017-09-04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lighting equipment KR201900262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771A KR20190026263A (en) 2017-09-04 2017-09-04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light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771A KR20190026263A (en) 2017-09-04 2017-09-04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lighting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263A true KR20190026263A (en) 2019-03-13

Family

ID=6576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771A KR20190026263A (en) 2017-09-04 2017-09-04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light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263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23B1 (en) 2007-11-07 2009-10-05 김경남 Expansional control system controling led illumination means
KR101628309B1 (en) 2014-06-11 2016-06-08 대한엘이디 주식회사 LED lighting device with energy savings and crosstalk prevention of remote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23B1 (en) 2007-11-07 2009-10-05 김경남 Expansional control system controling led illumination means
KR101628309B1 (en) 2014-06-11 2016-06-08 대한엘이디 주식회사 LED lighting device with energy savings and crosstalk prevention of remote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7269B2 (en) How to configure a wirelessly controlled lighting system
JP2002289373A (en) Illumination system and id setting method of illumination system
KR100886584B1 (en) Pottery led lamp system
US20130241420A1 (en) Dynamic lighting control
TWI584689B (en) Intelligent Wireless Dimming System and Its Adjustment of Ambient Brightness
JP2009021141A (en) Illumination control device
JP3918460B2 (en) Lighting system
WO2018126807A1 (en) Wireless lamp driving device having independent power supply and lamp system thereof
JP2013101779A (en) Lighting control system
JP2010257755A (en) Task ambient lighting system
KR101283370B1 (en) Remote control type lighting switch module
KR20130030925A (en) Led lighting device group control dimming system with visible light wireless communication
KR101559435B1 (en) A led lamp controlling board directly coupled with alternating current
KR20190026263A (en) Lighting control synchronization system of lighting equipment
CN103533712A (en) Wireless intelligent centralized control system with code matching function
KR101548540B1 (en) Wireless comunication control device
JP7190657B2 (en) lighting system
JP2015122216A (en) Transmissive interlocked illumination system
JP4668253B2 (en) Lighting system
JP2015026500A (en) Lighting control system
TWM483355U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KR101152789B1 (en) The led lamp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zigbee
JP4627914B2 (en) Lighting equipment
JPH11273875A (en) Lighting control system
JP2000286066A (en) Ligh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