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462A -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he same - Google Patents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462A
KR20190025462A KR1020170112131A KR20170112131A KR20190025462A KR 20190025462 A KR20190025462 A KR 20190025462A KR 1020170112131 A KR1020170112131 A KR 1020170112131A KR 20170112131 A KR20170112131 A KR 20170112131A KR 20190025462 A KR20190025462 A KR 20190025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membrane
plasma
mask
surface treatmen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7226B1 (en
Inventor
김민형
최동인
최승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1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226B1/en
Publication of KR2019002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2/168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with wave-energy, particle-radiation or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electric discharg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M2/1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which is excellent in electrolyte wettability and electrode binding properties and does not need to have a separate electrode adhesive layer for increasing binding power with an electrode,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binding power with the electrode by a plasma treatment part by performing a plasma treatment only for a predetermined part of a surface. Also, the separator prevents excessive binding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through a plasma non-treatment part and can allow the non-treatment part to be provided to a passage, in which an electrolyte flows inside electrode assembly, so as to improve the electrolyte wettability. Moreover,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have the separate adhesive layer for increasing the binding power with the electrode. Therefore, interfacial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s low and a thin-type electrochemical device can be manufactured.

Description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parator.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액 젖음성과 전극 결착성이 우수하며, 전극과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전극 접착층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eparat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which is excellent in electrolyte wettability and electrode binding property and does not need to have a separate electrode adhesive layer to increase binding strength with an electrod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이차 전지는 양극/음극/분리막/전해액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가 가역적으로 변환되면서 충방전이 가능한 에너지 말도가 높은 에너지 저장체로, 휴대폰, 노트북 등의 소형 전자 장비에 폭넓게 사용된다. 최근에는 환경문제, 고유가, 에너지 효율 및 저장을 위한 대응으로 복합 전기 자동차(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s, HEV), 플러그 전기 자동차(Plug-in EV), 전기자전거(e-bike)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으로의 응용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is based on anode / cathode / separator / electrolytic solution, and it is widely used for small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mobile phones and notebooks. In recent year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 plug-in EVs, electric bikes (e-bik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Energy Storage System, ESS) is rapidly expanding.

이러한 이차 전지의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 이의 안전성 확보은 중요한 해결과제이다. 특히 전기 화학 소자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리막(separator)은 그의 재료적 특성 및 제조 공정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고온 등의 상황에서 극심한 열수축 거동을 보임으로써 내부 단락 등의 안정성 문제를 갖고 있다. 최근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의 혼합물을 이차 전지 분리막용 다공성 고분자 기재에 코팅하여 다공성 무기 코팅층을 형성한 유기-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이 제안되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0070096 참조). 그러나 전극과 분리막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 경우 층간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분리될 위험이 크고 이 경우 분리 과정에서 탈리되는 무기물 입자가 소자 내에서 국부적 결함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The securing of safety in the manufacture and use of such a secondary battery is an important problem. Particularly, a separator commonly used in an electrochemical device has a problem of stability such as an internal short circuit by exhibiting extreme thermal shrinkage behavior in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due to its material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stics. In recent years,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separator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mixture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is coated on a porous polymer substrate for a secondary battery separator to form a porous inorganic coating lay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econdary battery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 0070096). However,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by laminating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the interlayer adhesion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great risk that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inorganic particles desorbed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may act as local defects in the device exist.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공개공보 10-2006-0116043는 PVDF를 아세톤과 같은 양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에 에탄올을 첨가한 후 분리막 위에 도포한 뒤 건조시키면 상분리 효과에 의해 다공성의 접착층이 얻어지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JP-A-10-2006-0116043 discloses a method in which a porous adhesive layer is obtained by adding ethanol to a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PVDF in a good solvent such as acetone, .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다공성 접착층은 우수한 침윤성과 전지 작동시 낮은 저항이라는 장점을 가지지만,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과량의 바인더가 필요하여 고출력 설계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분리막이 두꺼워져 박형 전지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전지의 제조과정에서 주액 후 팽윤(swelling)됨으로 인해 분리막과의 결합력, 즉,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고 낮은 싸이클링 특성을 나타내며 다공성 무기 코팅층과의 층간 혼합(interlayer mixing)이 발생하여 다공성 무기 코팅층에 형성된 기공을 폐쇄하여 분리막의 통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The porous adhesive layer obtained by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s of excellent wettability and low resistance in battery operation. However, in order to apply such a technique, an excessive amount of binder is required, which is not suitable for high output design. In addition, due to the swelling after the liquid injec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ttery, the coupling strength with the separator, that is, the mechanical strength is lowered, the low cycling characteristic is exhibited, and interlayer mixing with the porous inorganic coating layer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lowered by closing the pores.

본원 발명은 전극 접착성과 젖음성이 우수한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접착층을 구비하지 않아 박형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갖는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재되는 수단 또는 방법, 및 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excellent electrode adhesiveness and wettability.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or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adhesive layer and is capable of producing a thin-film battery. Fin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or method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으로서, 상기 분리막은 양측 또는 일측의 최외곽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상압 플라즈마, 오존 처리법 및 자외선 조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처리 의해 소정 패턴을 갖는 표면 처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면 처리부의 면적은 분리막의 총 표면적 100% 대비 50% 미만이며, 상기 표면 처리부는 스트라이프 패턴 및/또는 각 스트라이프가 교차되어 형성된 바둑판 패턴인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ion membran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wherein the separation membrane is formed by applying at least one treat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rona discharg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ozone treatment and ultraviolet irradiation to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n both sides or one side, And the surface treatment portion is a checkerboard pattern formed by intersecting the stripe patterns and / or the respective stripes. The surface treatment portion has a surface area of less than 50% of 100% of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separator.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기 분리막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플라즈마 광원 및 제1 마스크를 포함하는 분리막 표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제1 마스크는 상기 광원을 통과하는 개구부 및 차단하는 차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eparation membrane, wherein the apparatus is a separation membran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plasma light source and a first mask, wherein the first mask has an opening passing through the light source, And a blocking part for blocking off.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기 제2 측면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표면 처리 장치는 제2 마스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마스크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1 마스크를 통과한 플라즈마를 차단하여 플라즈마가 분리막 표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embran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econd mask, wherein the second mask does not have an opening and blocks plasma passing through the first mask, Is prevented from reaching the separation membrane surface.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상기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와 제2 마스크는 각각의 일측 단부가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마스크는 고정되어 있고 제2 마스크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제1 마스크의 개구부가 개방 및 차폐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In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aspect, each of the first mask and the second mask is hingedly connected at one end thereof, the first mask is fixed, and the second mask is fix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So that the opening of the first mask is opened and shielded.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표면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5측면은 분리막 표면의 소정 부분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플라즈마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전술한 특징을 갖는 제2 측면 내지 제4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표면 처리 장치는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분리막이 표면 처리 장치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이며, 이 때 상기 표면 처리 장치의 플라즈마 광원은 on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surface treatment of a separation membrane using 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lasma trea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surface of a separation membrane to form a plasma pattern, Wherein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separation membrane is continuously passed through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t this time,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of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second to fourth aspects, The plasma light source is kept on.

또한,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분리막 표면의 소정 부분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플라즈마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제4 측면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표면 처리 장치는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분리막이 표면 처리 장치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이며, 이 때 상기 표면 처리 장치의 분리막이 장치를 통과하는 동안 플라즈마 광원은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2 마스크의 작동에 의해 소정 시간 간격을 주기로 플라즈마 처리가 되어 분리막에 소정 패턴을 갖는 플라즈마 처리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lasma process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separation membrane surface by plasma processing to form a plasma pattern, wherein the plasma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Wherein the plasma light source is kept powered while the separation membrane of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passes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maintain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ask Plasma processing is performed in a cycle, and a plasma processing unit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in the separation membrane.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표면의 소정 부분에 대해서만 플라즈마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플라즈마 처리 부분에 의해 전극과의 접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라즈마 비처리 부분을 통해 전극과 분리막의 과도한 결착을 방지하고 상기 비처리 부분이 전극 조립체 내로 전해액이 유입되는 통로로 제공될 수 있어 전해액 젖음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막은 전극과의 결착력 강화를 위한 별도의 접착층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극과 분리막 사이의 계면저항이 낮고 박형의 전기화학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막을 이차 전지 등 전기화학소자에 적용했을 때 출력 및 수명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제조 방법은 연속 공정으로 패턴화된 플라즈마 처리가 가능하므로 공정 효율성이 매우 높다. The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plasma treatment is performed only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urface, whereby the adhesion strength to the electrode is improved by the plasma treatment portion. Also, the non-plasma-treated portion prevents excessive binding of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nd the untreated portion can be provid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flows into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improving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lyte. Further,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have a separate adhesive layer for enhancing adhesion with an electrod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thin-type electrochemical device can be manufactured with a low interface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Therefore, when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ctrochemical device such as a secondary battery, the output and lifetime characteristics are excellent. In addition, the separation membran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ss the patterned plasma in a continuous process, so that the process efficiency is very high.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수록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축척 또는 비율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분리막의 표면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식화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6b는 제1 및 제2 마스크가 구비된 표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On the other hand, the shape, size, scale or ratio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incorporated herein can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Figures 1 and 2 show schematically the surface of a membra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5 illustrate schematically and illustrate a method of making a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illu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paration membrane using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masks.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및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its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stitu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s the most prefer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 connected " with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 directly connected " but also " electrically connected " .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 「실질적으로」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used as terms of reference to and in the figures when referring to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meanings mentioned,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mentioned disclosu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 positioned "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when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면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combination thereof " contained in the surface of the Macro-style means one or more combinations or combin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nstituents described in the Macro-style expression, Quot; and " the "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이들 모두」를 의미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scription of "A and / or B" means "A or B or both".

이하, 본원 발명의 구현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하기 구체적인 구현예들로만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전극과의 접착력을 향상함과 동시에 분리막의 전해액 젖음성을 시키기 위해, 표면의 일부가 표면 처리 되어 있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는 유기 고분자 소재 및/또는 무기 소재에 친수성 기능기를 도입하는 물리적, 화학적 및/또는 전기화학적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면 처리부는 분리막 표면의 일부분에 소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우수한 전해액 젖음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membran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a part of the surface thereof surface-treated in order to improve an adhesion force with an electrode and to improve electrolyte wettabil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treatment is formed by physical, chemical and / or electrochemical treatment for introducing a hydrophilic functional group into the organic polymer material and / or the inorganic material. In addition, the surface treatment un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has excellent electrolyte wet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분리막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membra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리막은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분리막 기재(140)를 포함하며, 분리막의 양측 또는 일측의 최외곽층의 표면에 소정 패턴을 갖는 표면 처리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리막은 음극과 양극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하면서 이온을 통과시키는 이온 전도성 배리어(porous ion-conducting barrie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ous separation membrane substrate 140 including a polymer material and a surface treatment section 120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embrane serves as a porous ion-conducting barrier for passing ions while blocking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분리막 기재(140)의 양측 표면 또는 일측 표면에 다공성 코팅층(1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면 처리부(120)는 다공성 코팅층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고분자 수지와 무기물 입자의 혼합물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embrane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coating layer 130 on both side surfaces or one side surface of the porous separation membrane substrate 140. At this time, the surface treatment unit 12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coating layer. The porous coating layer includes a mixture of a polymer resin and inorganic particles.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을 구성 요소별로 설명하였다. Hereinafter,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erms of its components.

1. 다공성 분리막 기재1. Porous membrane substr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분리막 기재는 음극 및 양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단락을 방지하면서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전기화학소자의 분리막 소재로 사용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다공성 분리막 기재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레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렌과 같은 고분자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분리막 기재는 고분자 수지를 용융하여 성막한 시트 형태의 고분자 필름이나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여 얻은 필라멘트를 집적시킨 부직포를 각각 또는 이들을 하나 이상을 적층한 적층체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separator substrate can provide a path for lithium ion migration while electrically insulating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to prevent short-circuiting. The porous separator base material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used as a separator material for electrochemical devices. Do. Such a porous separator substrat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polyolefi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a polybutylene terephthalate, a polyacetal, a polyamide, a polycarbonate, a polyimide, a polyether ether ketone, a polyether sulfone, a polyphenylene oxide, And a polymer resin such as rhenium sulfide, rhenium sulfide, polyethylene naphthalene, or the lik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rous separator substrate may be a laminate obtained by laminating a polymer film in the form of a sheet obtained by melting a polymer resin or a nonwoven fabric in which filaments obtained by melt spinning a polymer resin are stacked or one or more laminated.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분리막 기재의 두께는 3㎛ 내지 50 ㎛, 또는 3㎛ 내지 30㎛일 수 있다. 다공성 분리막 기재의 범위가 특별히 전술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께가 전술한 하한보다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전지 사용 중 분리막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한편, 다공성 분리막 기재에 존재하는 기공 크기 및 기공도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각각 0.1㎛ 내지 10㎛ 및 25% 내지 85%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separator substrate may have a thickness of 3 탆 to 50 탆, or 3 탆 to 30 탆. Although the range of the porous membrane bas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range, if the thickness is too thin than the above-mentioned lower limit,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deteriorated, and the membrane may be easily damaged during use of the battery. On the other hand, the pore size and porosity present in the porous separator substrate are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0.1 탆 to 10 탆 and 25% to 85%, respectively.

2. 다공성 코팅층2. Porous coating layer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상기 다공성 분리막 기재의 일측 표면 또는 양측 표면에 층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다공성 분리막 기재의 표면이 무기물 입자로 피복됨으로써 분리막의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간 인터스티셜 볼륨(interstitial volume)에 의한 미세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무기물 입자들은 다공성 코팅층의 물리적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일종의 스페이서(spacer) 역할을 겸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인터스티셜 볼륨은 인접한 무기물 입자들이 실질적으로 면접하여 한정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일반적으로 200℃ 이상의 고온이 되어도 물리적 특성이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상기 다공성 코팅층에 의해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두께가 1㎛ 내지 50㎛, 또는 2㎛ 내지 30㎛인 또는 2㎛ 내지 20㎛이다.The porous coating layer is formed as a layer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porous separator substrate, and includes a mixture of a plurality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The surface of the porous separator substrate is covered with the inorganic particles, so that the heat resistance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eparator are further improved. The porous coating layer has a microporous structure by an interstitial volume between inorganic particles, and the inorganic particles also serve as a kind of spacer capable of maintaining the physical form of the porous coating layer. In this specification, the interstitial volume means a space in which adjacent inorganic particles are substantially interfac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inorganic particles generally have a property that their physical properties do not change even at a high temperature of 200 ° C or more,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by the porous coating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coa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1 탆 to 50 탆, or 2 탆 to 30 탆, or 2 탆 to 20 탆.

상기 다공성 코팅층에서, 상기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의 함량비는 최종 제조되는 본 발명의 다공성 코팅층의 두께, 기공 크기 및 기공도를 고려하여 결정하되, 중량비를 기준으로 무기물 입자가 50 내지 99.9 중량% 또는 70 내지 99.5 중량%, 고분자 수지가 0.1 내지 50중량% 또는 0.5 내지 30중량% 인 것이다. 상기 무기물 입자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 고분자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게 되어 무기물 입자들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감소로 인한 기공 크기 및 기공도가 감소되어 최종 전지 성능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반면, 99.9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고분자 함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무기물 사이의 접착력 약화로 인해 최종 다공성 코팅층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In the porous coating layer, the content ratio of the inorganic particles to the binder resi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pore size, and porosity of the porous coa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50 to 99.9% 70 to 99.5 wt%, and the polymer resin is 0.1 to 50 wt% or 0.5 to 30 wt%. I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less than 5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polymer becomes excessively large,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pore size and porosity due to the reduction of the void space formed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99.9% by weigh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nal porous coating layer are deteriorated due to the weak adhesion between the inorganic materials because the polymer content is too small.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코팅층의 무기물 입자 크기는 제한이 없으나,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 형성 및 적절한 공극률을 위하여, 가능한 한 0.001 내지 1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 크기가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분산성이 유지되어 분리막의 물성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다공성 코팅층의 두께가 증가하는 현상을 피할 수 있어 기계적 물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또한 지나치게 큰 기공 크기로 인해 전지 충·방전시 내부 단락이 일어날 확률이 적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organic particle size of the porous coating layer is not limited, but may be in the range of 0.001 to 10 탆 as much as possible for the formation of a uniform thickness coating layer and proper porosity. When the inorganic particle size satisfies this range, the dispersibility is maintain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easily controlled, the increase in thickness of the porous coating layer can be avoided, and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improved, Due to the pore size, there is less chance of an internal short circuit occurring during battery charge / discharge.

상기 무기물 입자는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무기물 입자는 적용되는 전기화학소자의 작동 전압 범위(예컨대, Li/Li+ 기준으로 0~5V)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이온 전달 능력이 있는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화학소자 내의 이온 전도도를 높여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무기물입자로서 유전율이 높은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액체 전해질 내 전해질 염, 예컨대 리튬염의 해리도 증가에 기여하여 전해액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BaTiO3, Pb(Zr,Ti)O3 (PZT), Pb1 - xLaxZr1 - yTiyO3 (PLZT, 여기서, 0 < x < 1, 0< y < 1임), Pb(Mg1/3Nb2/3)O3-PbTiO3 (PMN-PT), 하프니아(Hf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SiC, TiO2, AlOOH, Mg(OH)2, BaSO4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inorganic particl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electrochemically stable. That is, the inorganic particl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xidation and / or reduction reaction does not occur in the operating voltage range of the applied electrochemical device (for example, 0 to 5 V based on Li / Li +). Particularly, when inorganic particles having ion transfer ability are used, the ion conductivity in the electrochemical device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When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are used as the inorganic particles, dissociation of an electrolyte salt, for example, a lithium salt, in the liquid electrolyte is also increased, and ion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can be improved. In a specific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organic particles is BaTiO 3, Pb (Zr, Ti ) O 3 (PZT), Pb 1 - x La x Zr 1 - y Ti y O 3 (PLZT, where 0 < x <1, 0 <y < 1 Im), Pb (Mg 1/3 Nb 2/3 ) O 3 -PbTiO 3 (PMN-PT), hafnia (HfO 2), SrTiO 3, SnO 2, CeO 2, MgO, NiO, CaO, ZnO, ZrO 2 , Y 2 O 3 , Al 2 O 3 , SiC, TiO 2 , AlOOH, Mg (OH) 2 and BaSO 4 can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have.

상기 다공성 코팅층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는 분리막의 유연성 및 탄성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무기물 입자간 점착을 안정하게 고정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다공성 코팅층의 기계적 물성 저하 방지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VDF(vinylidene fluoride)를 단량체로 함유하는 PVDF계 고분자 수지 및/또는 (메타)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상기 PVDF 계 고분자 수지 및/또는 (메타)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이외에,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플루란 (pullulan) 및 카르복실 메틸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porous coating layer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improvement 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flexibility and elastic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The binder resin stably fixes the adhesion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thereby contributing to prevention of deterior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rous coating layer finally produced.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er resin may include a PVDF polymer resin and / or a (meth) acrylic polymer resin containing vinylidene fluoride (VDF) as a monomer. The binder resi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bind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acetate, polyethylene-covinylacetate, and polyvinylpyrrolidone, in addition to the PVDF polymer resin and / or the (meth) But are not limited to, polyethylene oxide, polyarylate, cyanoethylpullulan, cyanoethylpolyvinylalcohol, cyanoethylcellulose cyanoethylcellulose, cyanoethylsucrose, Pullulan, and carboxyl methyl cellulose. &Lt; Desc / Clms Page number 7 &gt;

한편, 다공성 코팅층의 기공 크기 및 기공도는 주로 무기물 입자의 크기에 의존하는데, 예컨대 입경이 1㎛ 이하인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형성되는 기공 역시 1㎛ 이하가 된다. 이와 같은 기공 구조는 추후 주액되는 전해액으로 채워지게 되고, 이와 같이 채워진 전해액은 이온 전달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공의 크기 및 기공도는 다공성 무기 코팅층의 이온 전도도 조절에 중요한 영향 인자이다. 본원 발명의 다공성 무기 코팅층의 기공 크기 및 기공도(porosity)는 각각 0.001 내지 10㎛이고, 5 내지 9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ore size and porosity of the porous coating layer mainly depend on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For example, when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1 탆 or less are used, pores to be formed also become 1 탆 or less. Such a pore structure is fill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to be injected at a later stage, and the filled electrolyte serves as an ion transfer function. Therefore, the pore size and porosity are important factors for controlling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porous inorganic coating layer. The porosity and porosity of the porous inorganic coa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0.001 to 10 μm, and preferably 5 to 95%.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분산매에 전술한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여 다공성 코팅층용 슬러리를 준비하고 이를 다공성 분리막 기재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는 상기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산매는 비점이 낮고 휘발성이 높은 용매인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세톤, 톨루엔,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시클로헥산, 자일렌, 혹은 N-메틸피롤리돈, 또는 이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리를 다공성 분리막 기재 상에 도포하여 다공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한이 없으며, 딥(Dip) 코트법, 다이(Die) 코트법, 롤(roll) 코트법, 콤마(comma) 코트법, 닥터 블레이드 코트법, 리버스롤 코트법, 다이렉트롤 코트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coating layer is formed by mixing the above-mentioned inorganic particles with a binder resin in a dispersion medium to prepare a slurry for the porous coating layer, applying the slurry onto the porous membrane substrate, and drying the slurr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rsion mediu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uniformly disperse the inorganic particles and the binder resin. Preferably, the dispersion medium is a solvent having a low boiling point and a high volatility.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acetone, toluene, cyclohexanone, cyclopentane, tetrahydrofuran, cyclohexane, xylene or N-methylpyrrolidone, Mixtures of two or more can be use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ethod of forming the porous coating layer by coating the slurry on the porous separator substrate. The porous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a dip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comma coating method, , A doctor blade coat method, a reverse roll coat method, and a direct roll coat method.

3. 표면 처리부3. Surface treatment section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양측 또는 일측의 최외곽층 표면의 소정의 부분에 표면 처리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이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면 처리부는 다공성 분리막 기재의 표면 및/또는 다공성 코팅층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rface treatment portion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n both sides or one sid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ous coating layer, the surface treatment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eparation membrane substrate and / or the surface of the porous coating layer.

상기 표면 처리부는 분리막의 표면에,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법, 오존 처리법, 상압 플라즈마 처리법 및 자외선 조사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방법을 조합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방전 및/또는 상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분리막 기재나 다공성 코팅층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는 통상적으로 화학구조상 극성기가 적고 결정화도가 높아 결착 특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분리막의 표면을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표면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전극과 분리막의 결착력을 향상시켰다.The surface treatment section may be formed by combining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method, ozone treatment method,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reatment method and ultraviolet ray irradiation method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Or by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reatment. The polymeric resin used for the porous separation membrane substrate or the porous coating layer is generally disadvantageous in that it lacks polarity due to its chemical structure and high crystallinity and thus lacks binding characteristics.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including the polymer resin is changed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reby improv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상기 코로나 방전 처리는 50/60Hz의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고주파 발전기에서 고주파, 고전압을 발생시켜 공기가 절연파괴를 일으켜 이온화되고 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렇게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 두 전극 사이로 분리막을 통과시키면 이때 흐르는 다량의 전자가 표면의 고분자와 반응하게 된다. In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an AC power of 50/60 Hz is converted into a direct current, and a high frequency and a high voltage are generated in the high frequency generator, so that air is ionized due to insulation breakdown and corona discharge occurs between the electrodes. When the separation membrane is pass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where the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a large amount of electrons flowing at this time react with the polymer on the surface.

또한, 플라즈마 처리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도체에 직류 전압을 가하여 전기장(E)를 발생시키고 이에 의하여 도체로부터 생성된 전자와 도체 사이에 존재하는 가스가 충돌함으로써 형성된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한 두 전극 사이로 분리막을 통과시켜 분리막 표면의 고분자를 개질하는 것이다.In the plasma treatment, a plasma discharge is generated by applying a DC voltage to a conductor spaced by a certain distance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E, thereby forming a collision between the electrons generated from the conductor and the conductor. And the polymer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reformed by passing the separation membrane between the two electrodes.

코로나 방전 처리 후 표면 처리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 후 ESCA(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 스펙트럼 결과를 확인해 본 바에 따르면 PVDF-HFP가 포함된 분리막의 경우 바인더 수지와 전자가 충돌함으로써 그 충돌 에너지에 의해 H-O-C-F 또는 H-O-CF2와 같은 극성 관능기가 형성되어 접착력이 향상된다. 또한, 다량의 전자가 필름표면에 충돌함에 따라 전기적 이온화도 일어날 수 있다. 또한, 5/1,000,000mm 정도 크기의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면서 액체의 접촉각이 낮아지고 표면장력이 낮아져 전해액에 대한 젖음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한 없이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방전량은 예를 들어 30 내지 300 Wmin/m2의 범위, 또는 50 내지 120Wmin/m2의 범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ffect of the surface treatment after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can be explained as follows.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ESCA (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if the spectrum of the membrane containing the PVDF-HFP as a binder resin by electron collision polar functional group, such as the HOCF or the HOCF 2 by its impact energy So that the adhesive force is improved. In addition, electrical ionization may also occur as a large amount of electrons impinge on the film surface. In addition, fine irregularities having a size of about 5 / 1,000,000 mm are formed, which lowers the contact angle of the liquid and lowers the surface tension, thereby improving the wettability to the electrolyte.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may be performed without restriction in a usual method, whereby the discharge amount is, for example, but may use a range, or a range of 50 to 120Wmin / m 2 of 30 to 300 Wmin / m 2, this limited It is not.

또한 상기 표면 처리는 오존 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접촉시켜 고분자 수지의 표면을 산화시키는 방법인 오존 처리법이나 자외선 조사법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의해 분리막의 표면에 표면 처리부를 형성하게 되면 표면이 개질되어 극성 관능기를 갖게 되고 전극에 대한 접착력이 향상된다. 특히 전극 합제가 수성 분산매를 이용하는 수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계 방식으로 형성된 전극층에 대한 표면 접착력이 향상되어 결착력이 향상된다.The surface treatment may be performed using an ozone treatment method or a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method, which is a method of oxidizing the surface of the polymer resin by contacting the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If the surface treatment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surface is modified to have a polar functional group and improve the adhesion to the electrode. Particularly, when the electrode mixture contains an aqueous binder using an aqueous dispersion medium, the surface adhesion to the electrode layer formed by the aqueous system is improved and the binding force is improv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부는 분리막의 표면적 대비 90% 미만, 80% 미만, 70% 미만, 60% 미만 또는 50%미만의 면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지나치게 초과하여 표면 처리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극과 분리막이 과도하게 밀착되어 전해액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전해액 젖음성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출력특성 및 계면 저항 특성이 나빠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treatment portion is formed in an area of less than 90%, less than 80%, less than 70%, less than 60%, or less than 50% of the surface area of the separation membrane. When the surface treatment portion is excessively over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excess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is not smoothly mov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electrolyte wettability and poor output characteristics and interfacial resistance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부는 분리막의 표면 일부에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표면 처리부는 분리막 표면의 테두리 부분(외주 부분, 엣지(edge) 부분)에 소정의 폭을 갖는 벨트(belt)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treatment unit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treatment section may be formed in a bel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t a rim portion (an outer peripheral portion, an edge por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표면 처리부는 분리막 전면에 대해 고른 전해액 젖음성 및 계면 저항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패턴이 규칙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처리부가 복수개의 스트라이프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 스트라이프의 폭은 예를 들어 0.5 내지 50mm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regularly repeated so that the surface treatment unit exhibits uniform electrolyte wettability and interfac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For example, the surface treatment section may be formed in a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stripes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ase of a stripe pattern, the width of the stripe may be, for example, 0.5 to 50 m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표면 처리부(120)의 또 다른 패턴을 도식화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상기 표면 처리부의 패턴은 어느 하나의 구체적인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FIG. 2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another pattern of the surface treatment section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attern of the surface treatment unit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shap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특히 분리막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a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a method for treating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막은 플라즈마 광원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플라즈마가 방출되도록 하는 연속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by a continuous process in which plasma is continuously discharged from a plasma light source.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분리막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플라즈마 광원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광원에서 연속적으로 플라즈마가 방출되고(on 상태) 방출된 플라즈마가 분리막 전면에 표면처리가 가능하도록 분리막이 광원을 통과하도록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도 3 참조). 또는 플라즈마 표면 처리 대상인 분리막을 고정시키고 플라즈마 광원을 분리막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도 4 참조). 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embrane manufacturing method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paration membrane, for example, by fixing a position of a plasma light source, continuously discharging plasma (on state) (See Fig. 3). Or by fixing the separation membrane to be subjected to the plasma surface treatment and moving the plasma light sourc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eparation membrane (see FIG. 4).

통상적으로 분리막은 종횡비가 큰 필름 형상으로 제조되고 롤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된다. 따라서 필름형 분리막을 권취롤에서 권출한 후 광원을 통과시켜 표면 처리 한 후 전지 제조 공정에 투입하거나 또는 다시 권취하여 롤 형태로 보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로서 플라즈마 광원이 고정된 분리막 제조 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필름형 분리막을 제조하고 권취하여 보관한 경우 분리막을 권출 롤러로부터 권취 롤러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고정형 광원을 통과하게 하고 이때 표면 처리가 되도록 한다(도 5 참조). Typically, the separator is produced in a film shape having a large aspect ratio and is rolled up and stored. Therefore, the film-type separator may be rolled in a take-up roll, surface-treated through a light source, and then put into a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or rewound and stored in a roll form. FIG. 5 illustrates a method of fabricating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plasma light source fix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lm type separation membrane is prepared and wound and stored, the separation membrane is sequentially moved from the extraction roller to the winding roller, (See Fig. 5).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분리막의 폭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하여 분리막 전폭에 걸쳐 걸쳐 고른 패턴으로 플라즈마 처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source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is plasma-processed in a uniform pattern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separation membrane.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한 마스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에서 개구부는 플라즈마 광원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마스크 중 관통홀이 형성된 개구부 이외의 부분은 차폐부라고 한다. 상기 마스크는 플라즈마 광원과 분리막 사이에 배치되어 플라즈마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플라즈마가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의 패턴에 따라 통과/차폐하여 마스크의 개구부 패턴에 따라 분리막이 소정 패턴의 플라즈가 처리부를 갖게된다. 플라즈마 광원에서 방출된 플라즈마의 일부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분리막의 표면에 도달하며, 일부 플라즈마는 개구부 이외의 차폐부에 의해 차단되어 분리막까지 도달할 수 없다. 도 6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구비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210)는 다수의 개구부(211)를 구비하고 있어 개구부를 통해 플라즈마가 통과 이 부분을 지나는 분리막의 소정 구역은 플라즈마 처리가 되고 나머지 부분, 즉 차폐부(212)에 의해 플라즈마 광원이 마스크에 의해 차단된 부분은 플라즈마 처리 되지 않는다.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ma light source may include a mask having at least one opening. The opening in the mask i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lasma light source can pass. In this specification, a portion of the mask other than the opening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referred to as a shielding portion. The mask is disposed between the plasma light sourc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plasma emitted from the plasma light source is passed / shielde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mask, so that the separation membrane has a processing unit with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the opening pattern of the mask. A part of the plasma emitted from the plasma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opening to reach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some plasma can not be blocked by the shielding portion other than the opening portion to reach the separation membrane. 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ss of performing a plasma process using a mask having at least one opening. FIG. The mask 210 has a plurality of openings 211, and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parator through which the plasma passes through the openings is plasma-processed. The remaining portion, that is, the shielding portion 212, The portion where the light source is blocked by the mask is not plasma-treated.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개구부가 형성된 제1 마스크 및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2 마스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스크는 제1 마스크의 개구부를 통과한 플라즈마 광원이 분리막으로 투사되지 않도록 플라즈마를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ask having an opening portion and a second mask having no opening portion. The second mask shields the plasma so that the plasma light sourc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rst mask is not projected onto the separation membrane.

도 6a는 제2 마스크를 구비한 플라즈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의 표면 처리 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광원과 분리막 사이에 제1 마스크(310) 및 제2 마스크(32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마스크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삽탈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마스크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것이거나, 제1 마스크를 통과한 플라즈마가 분리막에 도달하지 않도록 형상화할 수 있다. 6A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lasma apparatus having a second mask and a method of treating a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sing the same. Referring to FIG. 2, a first mask 310 and a second mask 320 are sequentially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second mask is periodically inserted and remov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second mask may be configured such that no openings are formed, or that the plasma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mask does not reach the separation membrane.

도 6b는 제1 마스크 및 제2 마스크가 연결된 마스크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는 힌지 등 체결구(3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제2 마스크(320)가 제1 마스크(310)의 하면부에 수평적으로 배치되고 일정 시간동안 수평이 유지되어 광원을 차단하고 이후 제2 마스크가 경첩식으로 회전하여 제1 마스크의 개구부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플라즈마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플라즈마가 분리막에 도달되도록 한다.6B is a schematic view of a mask to which a first mask and a second mask are connected. The first and second masks are connected by a hinge fastener 330. The second mask 320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ask 310 and horizontally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block the light source and then the second mask is hingedly rotated, Lt; / RTI &gt; Thereby allowing the plasma emitted from the plasma light source to reach the separat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크는 제1 마스크에 대해 90도 내지 180도 각도로 피봇 회전할 수 있도록 소정 체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스크의 일측 단부와 제2 마스크의 일측 단부가 체결구, 예를 들어 경첩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스크는 고정되고, 제2 마스크가 경첩식에 의해 회전하여 여닫히는 방식으로 개구부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방식으로 플라즈마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ask may be connected through a predetermined fastener so as to be pivotally rotated at an angle of 90 to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mask. For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mask and one end of the second mask may be connected using a fastener, for example, a hinge. Then, the first mask is fixed, and the plasma can be passed or blocked in such a manner that the opening is opened and clo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econd mask is rotated and opened by the hinge.

이와 같이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광원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광원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인가하여 전원을 on/off 하지 않고도 패턴화된 표면 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제조 공정은 광원을 on/off 하는 것에 비해 분리막 전면에 걸쳐 균일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플라즈마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공정에 따른 분리막은 분리막 전면에 걸쳐 균일한 접착력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second mask to periodically block the light sourc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power sou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patterned surface treatment can be performed without turning on / off the power source. The separation membran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plasma treatment while maintaining the uniform strength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compared to turning on / off the light source. Therefore, the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process can exhibit a uniform adhesion improving effect over the entire separation membrane.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분리막은 전기화학소자의 분리막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전기 화학 반응을 하는 모든 소자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모든 종류의 1차, 2차 전지, 연료 전지, 태양 전지 또는 캐퍼시터(capacitor) 등이 있다. 특히, 상기 2차 전지 중 리튬 금속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 전지 등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가 바람직하다.The thus-prepare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eparator of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eparator. The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es all devices that perform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ll kinds of primary, secondary, fuel cell, solar cell, and capacitor. Particular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or a lithium ion polymer secondary battery is preferable.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술한 분리막을 개재(介在)시켜 전극 조립체를 준비하고 이를 전지 케이스에 장입한 후 전해액을 주입함으로써 이차 전지를 제조In one specific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de assembly is prepared by interposing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membrane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charging the electrode assembly into a battery case, and then injecting an electrolyte to manufacture a secondary battery

할 수 있다.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 적인 방법에 따라 전극 활물질을 전극 전류집전체에 접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활물질 중 양극 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종래 전기 화학 소자의 양극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양극 활물질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리튬망간산화물,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니켈산화물, 리튬철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복합산화물 등과 같은 리튬흡착물질(lithium intercalation material) 등이 바람직하다. 음극 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종래 전기 화학 소자의 음극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음극 활물질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 탄소, 석유코크(petroleum coke), 활성화 탄소(activated carbon), 그래파이트(graphite) 또는 기타 탄소류 등과 같은 리튬 흡착물질 등이 바람직하다. 양극 전류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으며, 음극 전류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리, 금, 니켈 또는 구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manufactured by adhering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Examples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lithium manganese oxide, lithium cobalt oxide, lithium nickel oxide, lithium iron oxide, A lithium intercalation material such as a composite oxide formed by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like are preferable. 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nventional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n electrochemical device can be used. In particular, lithium metal or a lithium alloy, carbon, petroleum coke, activated carbon, Lithium-adsorbing materials such as graphite or other carbon-based materials and the like are preferabl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positive current collector include aluminum, nickel, or a combination thereof. Examples of the negative current collector include copper, gold, nickel, or a copper alloy or a combination thereof Foil to be manufactured,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해액은 A+B-와 같은 구조의 염으로서, A+는 Li+, Na+, K+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고 B-는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CF2SO2)3 -와 같은 음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는 염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감마 부티로락톤 (γ-부티로락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해리된 것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lectrolyte that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 B - A salt of the structure, such as, A + is Li +, Na +, K + comprises an alkaline metal cation or an ion composed of a combination thereof, such as, and B - is PF 6 -, BF 4 -, Cl - , Br -, I -, ClO 4 -, AsF 6 -, CH 3 CO 2 -, CF 3 SO 3 -, NCF 3 SO 2) 2 -, (CF 2 SO 2) 3 - , anion such as anion, or a combination thereof,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ene carbonate (PC), ethylene carbonate (EC), diethyl carbonate (DEC), dimethyl carbonate (DMC), dipropyl carbonate (NMP), ethylmethyl carbonate (EMC), gamma-butyrolactone (gamma -butyrolactone), or a mixture of these solvents. ,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전해액 주입은 최종 제품의 제조 공정 및 요구 물성에 따라, 전지 제조 공정 중 적절한 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다. 즉, 전지 조립 전 또는 전지 조립 최종단계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를 전지로 적용하는 공정으로는 일반적인 공정인 권취(winding) 이외에도 분리막과 전극의 적층(lamination, stack) 및 접음(folding) 공정이 가능하다.The electrolyte injection may be performed at an appropriate stage of the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quired properties of the final product. That is, it can be applied before assembling the cell or at the final stage of assembling the cell. As a process for applying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battery, a lamination, stacking and folding process of a separator and an electrode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o a general wind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화학소자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전지모듈, 상기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electrochemical device as a unit cell,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and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이 때, 상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예로는,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specific examples of the device include a power tool that is powered by an electric motor and moves;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and the like; An electric motorcycle including an electric bike (E-bike) and an electric scooter (E-scooter); An electric golf cart; And a power storage syste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제조예 1: 분리막의 제조Produc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

35℃에서 아세톤에 대하여 20 중량%의 용해도를 갖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20몰% 함유), 35℃에서 아세톤에 대하여 5 중량%의 용해도를 갖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8몰% 함유) 및 시아노에틸플루란을 각각 8:2:2의 중량비로 아세톤에 첨가하여 50℃에서 약 12시간이상 용해시켜 바인더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바인더 고분자 용액에 중량비가 9:1로 혼합한 Al2O3 및 BaTiO3 분말을 바인더 고분자/ 무기물 입자 =20/80 중량비가 되도록 첨가하고 12시간 이상 볼밀법(ball mill)을 이용하여 무기물 분말 파쇄 및 분산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슬러리를 딥(dip) 코팅법으로 폭 10cm의 폴리에틸렌 다공성 기재에 코팅 및 건조하여 분리막을 수득하였다. 이때 다공성 코팅층의 코팅 두께는 양면 각각 약 5㎛ 정도로 조절하였다.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ntaining 20 mol% of hexafluoropropylene) having a solubility of 20% by weight based on acetone at 35 DEG C, polyvinylidene fluoride having a solubility of 5% by weight based on acetone at 35 DEG C Fluoro-chlorotrifluoroethylene (containing 8 mol% of chlorotrifluoroethylene) and cyanoethylflurane were added to acetone at a weight ratio of 8: 2: 2, respectively, and dissolved at 50 DEG C for at least 12 hours to obtain a binder polymer Solution. Al2O3 and BaTiO3 powder mixed at a weight ratio of 9: 1 were added to the prepared binder polymer solution so that the binder polymer / inorganic particles = 20/80 weight ratio, and the inorganic powder was crushed and dispersed for 12 hours or more using a ball mill To prepare a slurry. The slurry thus prepared was coated on a polyethylene porous substrate having a width of 10 cm by dip coating and dried to obtain a separation membrane. At this time,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porous coating layer was adjusted to about 5 탆 each on both sides.

제조예 2: 음극의 제조Produc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negative electrode

음극 활물질로 탄소 분말, 결합재로 스타이렌부타디엔러버(SBR), 분산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도전재로 카본 블랙 (carbon black)을 각각 96 중량%, 3 중량%, 1 중량%로 하여, 용제인 N-메틸-2 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8 ㎛인 음극 집전체인 구리(Cu) 박막에 도포, 건조를 통하여 음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press)를 실시하였다. 음극 활물질의 로딩량은 380mg/25cm2였다. 3 wt.% And 1 wt.%, Respectively, of carbon powder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as a binder,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s a dispersant and carbon black as a conductive material, Was added to the solvent N-methyl-2-pyrrolidone (NMP)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was applied to a copper (Cu) thin film as an an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thickness of 8 占 퐉 and dried to produce a negative electrode, followed by roll pressing. The loading amoun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as 380 mg / 25 cm 2 .

제조예 3: 양극의 제조Produc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positive electrode

양극 활물질로 리튬 망간 복합산화물 95 중량%, 도전재로 카본 블랙 (carbon black) 2 중량%, 결합제로 PVDF 3 중량%를 용제인 N-메틸-2 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12 ㎛인 양극 집전체의 알루미늄(Al) 박막에 도포, 건조를 통하여 양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였다. 양극 활물질의 로딩량은 680mg/25cm2으로 하였다. 95% by weight of a lithium manganese composite oxide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2% by weight of carbon black as a conductive material, and 3% by weight of PVDF as a binder were added to N-methyl-2-pyrrolidone (NMP) . The anode mixture slurry was applied to an aluminum (Al) thin film of a cath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thickness of 12 탆 and dried to produce a cathode, followed by roll pressing. The loading amount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as 680 mg / 25 cm 2 .

실시예 1Example 1

제조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된 분리막의 표면에 80 Wmin/m2 의 방전량으로 코로나 처리하여 스트라이프 패턴의 표면 처리부를 형성하였다. 스트라이프의 폭은 20mm이었으며, 이들의 간격은 20mm으로 하였다. 그리고, 표면 처리된 부분의 면적비율은 50%로 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한 분리막과 상기 제조에 2 내지 3에 따른 음극 및 양극을 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의 순서로 적층하고 라미네이트 하여 모노셀을 제조하고 상기 모노셀을 케이스에 장입한 후 전해액을 주액(에틸렌카보네이트:프로필렌프로피오네이트 6:4(부피비), LiPF6 1M)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지의 용량은 78A였으며, 양극/음극 용량비(NP ratio)는 108% 였다.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obtain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1 was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at a discharge amount of 80 Wmin / m 2 to form a surface treatment portion of a stripe pattern. The width of the stripe was 20 mm and the spacing between them was 20 mm. The area ratio of the surface-treated portion was set to 50%. The separator obtained in this manne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ccording to 2 to 3 above were laminated in the order of separator / cathode / separator / anode, laminated to prepare a mono cell, the mono cell was charged into the case,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propionate 6: 4 (volume ratio), LiPF 6 1M) to prepare a secondary battery. At this tim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was 78 A and the ratio of the anode / cathode capacity (NP ratio) was 108%.

실시예 2Example 2

제조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된 분리막의 표면에 80 Wmin/m2 의 방전량으로 코로나 처리하여 표면 처리부를 형성하였다. 스트라이프의 폭은 20mm이었으며, 이들의 간격은 20mm으로 하였다. 그리고, 표면 처리된 부분의 면적비율은 66%로 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한 분리막과 상기 제조에 2 내지 3에 따른 음극 및 양극을 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의 순서로 적층하고 라미네이트 하여 모노셀을 제조하고 상기 모노셀을 케이스에 장입한 후 전해액을 주액(에틸렌카보네이트:프로필렌프로피오네이트 6:4(부피비), LiPF6 1M)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지의 용량은 78A였으며, 양극/음극 용량비(NP ratio)는 108% 였다.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obtain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1 was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at a discharge amount of 80 Wmin / m 2 to form a surface treatment portion. The width of the stripe was 20 mm and the spacing between them was 20 mm. The area ratio of the surface-treated portion was set to 66%. The separator obtained in this manne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ccording to 2 to 3 above were laminated in the order of separator / cathode / separator / anode, laminated to prepare a mono cell, the mono cell was charged into the case,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propionate 6: 4 (volume ratio), LiPF 6 1M) to prepare a secondary battery. At this tim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was 78 A and the ratio of the anode / cathode capacity (NP ratio) was 108%.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제조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된 분리막의 전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한 분리막과 상기 제조에 2 내지 3에 따른 음극 및 양극을 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의 순서로 적층하고 라미네이트하여 모노셀을 제조하고 이를 케이스에 장입한 후 전해액을 주입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A separation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obtain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1. [ The separator obtained in this manne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ccording to 2 to 3 described above were laminated in the order of separator / cathode / separator / anode and laminated to prepare a mono-cell, .

비교실험 결과Comparative experiment results

1) 젖음성 실험1) Wetting test

전해액을 용기에 1cm 높이가 되도록 투입하였다. 여기에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를 통해 수득된 모노셀을 담그고 1시간을 방치하였다. 모노셀의 높이는 10cm 였다. 이후 모노셀에서 전해액이 함침됨 높이를 측정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정리하였다. 아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모노셀에서 함침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he electrolytic solution was put into the container to a height of 1 cm. The monocells obtained in Example 1,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immersed therein and left for 1 hour. The height of the monocell was 10 cm. Then, the heights of the electrolyte impregnated in the mono-cells were measured and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1 below. 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below,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egnation property of the monocell of Example 2 was the most excellent.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Wetting 높이
(1hr 후)
Wetting Height
(After 1 hour)
2.2cm2.2cm 3.8cm3.8cm 2.0cm2.0cm

2) 접착력 실험 결과2) Adhesion test result

각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얻은 분리막과 제조예 2의 음극을 핫 프레스로 90℃에서 약 15MPa 압력으로 1초(sec)간 라미네이션 하여 접착력 실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샘플의 치수는 60x15mm로 하였다. 접착력은 필 테스터(peel tester, 180도)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에 따르면 비교예 1의 접착력이 실시예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separation membrane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cathode in Production Example 2 were laminated by hot pressing at 90 DEG C under a pressure of about 15 MPa for 1 second to prepare an adhesive force test sample. At this time, the dimensions of the prepared sample were 60x15 mm. Adhesion was measured using a peel tester (180 degree) instru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strength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excessively high as compared with th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접착력Adhesion 83gf/15mm83gf / 15mm 82gf/15mm 82gf / 15mm 90gf/15mm90gf / 15mm

3) 저항 특성 실험 결과3) Resistance characteristic test result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지를 이용하여 각 전지의 저항 특성을 평가하였다. 각 전지의 용량 50%(SOC)에서 200A의 전류를 30초간 흘려보냈을 때, 10초인 지점에서의 저항값을 확인하였다. 이때 전지의 용량은 78Ah였다.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each battery were evaluated using the batteries manufactu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 When a current of 200 A was flown for 30 seconds at a capacity of 50% (SOC) of each battery, the resistance value at a point of 10 seconds was confirmed. At that tim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was 78 Ah.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저항(mohm)Resistance (mohm) 1.601.60 1.381.38 1.721.72

4) 용량 유지율 실험 결과4) Capacity retention rate test results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전지에 대해 45℃의 온도 조건에서 1/3C로 4.25V까지 CC-CV 모드로 충전하고 다시 1/3C로 3V까지 정전류로 방전하여 300 사이클을 반복하여 용량 유지율을 확인하였다. 용량 유지율은 하기 식 1으로 계산하였다. The batteries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charged in a CC-CV mode at a rate of 1 / 3C to 4.25V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45 DEG C, discharged at a constant current up to 3V at 1 / 3C, The capacity retention rate was confirmed. The capacity retention rat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식 1> <Formula 1>

용량 유지율(%) = [300th 사이클 방전용량/두 번째 사이클 방전용량] X 100Capacity retention rate (%) = [300th cycle discharge capacity / second cycle discharge capacity] X 100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용량 유지율(%)
(after 300cycle)
Capacity retention rate (%)
(after 300 cycles)
80.380.3 83.183.1 78.178.1

Claims (6)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으로서,
상기 분리막의 양측 또는 일측의 최외곽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상압 플라즈마, 오존 처리법 및 자외선 조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처리 의해 소정 패턴을 갖는 표면 처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면 처리부의 면적은 분리막의 총 표면적 100% 대비 50% 미만이며, 상기 표면 처리부는 스트라이프 패턴 및/또는 각 스트라이프가 교차되어 형성된 바둑판 패턴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As a separation membran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 surface treatment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by at least one proces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rona discharg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ozone treatment, and ultraviolet irradiation, Wherein the surface treatment portion is a checkerboard pattern formed by crossing a stripe pattern and / or each stripe, wherein the surface treatment portion is less than 50% of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separator.
플라즈마 광원 및 제1 마스크를 포함하는 분리막 표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제1 마스크는 상기 광원을 통과하는 개구부 및 차단하는 차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분리막 표면 처리 장치.
A separation membran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plasma light source and a first mask, wherein the first mask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assing through the light source and a blocking section for block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표면 처리 장치는 제2 마스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마스크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1 마스크를 통과한 플라즈마를 차단하여 플라즈마가 분리막 표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분리막 표면 처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paration membran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econd mask wherein the second mask is not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blocks plasma passing through the first mask to prevent plasma from reaching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와 제2 마스크는 각각의 일측 단부가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마스크는 고정되어 있고 제2 마스크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제1 마스크의 개구부가 개방 및 차폐되도록 작동하는 것인, 표면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mask and the second mask are hingedly connected at their respective one ends and the first mask is fixed and the second mask is operated to open and shield the openings of the first mask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 Surface treatment apparatus.
분리막 표면의 소정 부분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플라즈마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표면 처리 장치는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분리막이 표면 처리 장치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이며, 이 때 상기 표면 처리 장치의 플라즈마 광원은 on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표면 처리 방법.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surface is subjected to plasma treatment to form a plasma pattern,
Wherein the plasma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separation membrane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wherein the plasma light source of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is maintained in an on state.
분리막 표면의 소정 부분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플라즈마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제4항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표면 처리 장치는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분리막이 표면 처리 장치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이며, 이 때 상기 표면 처리 장치의 분리막이 장치를 통과하는 동안 플라즈마 광원은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2 마스크의 작동에 의해 소정 시간 간격을 주기로 플라즈마 처리가 되어 분리막에 소정 패턴을 갖는 플라즈마 처리부가 형성되는 것인, 표면 처리 방법.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surface is subjected to plasma treatment to form a plasma pattern,
Wherein the plasma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separation membrane is continuously passed through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While the separation membrane of th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passes through the apparatus, the plasma light source is maintained in the power- Wherein a plasma processing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in the separation membran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y the operation of the plasma processing section.
KR1020170112131A 2017-09-01 2017-09-01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he same KR102327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131A KR102327226B1 (en) 2017-09-01 2017-09-01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131A KR102327226B1 (en) 2017-09-01 2017-09-01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462A true KR20190025462A (en) 2019-03-11
KR102327226B1 KR102327226B1 (en) 2021-11-15

Family

ID=6575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131A KR102327226B1 (en) 2017-09-01 2017-09-01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2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630A1 (en) * 2019-08-09 2021-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Porous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same
WO2022086142A1 (en)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para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8622A (en) * 2012-03-30 2012-07-19 Nikon Corp Pattern generator, pattern forming apparatus and exposure apparatus
KR20160126343A (en)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 separator with enhanced boding properties and wettability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70092156A (en) * 2016-02-02 2017-08-11 주식회사 플라즈맵 Linear type plasma source for selective surface treat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8622A (en) * 2012-03-30 2012-07-19 Nikon Corp Pattern generator, pattern forming apparatus and exposure apparatus
KR20160126343A (en)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 separator with enhanced boding properties and wettability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70092156A (en) * 2016-02-02 2017-08-11 주식회사 플라즈맵 Linear type plasma source for selective surface treat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630A1 (en) * 2019-08-09 2021-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Porous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same
WO2022086142A1 (en)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para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226B1 (en) 202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69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283487B1 (en) A separat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the same
US10084167B2 (en) Method of preparing separator, separator prepared therefrom, and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the same
US825785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s, separators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electrochemical devices including the separators
KR101040482B1 (en) A separator having porous coating laye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US10411234B2 (en) Method of preparing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separator prepared therefrom,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60126343A (en) A separator with enhanced boding properties and wettability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2615665B1 (en) Separa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13010188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separator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eparator
KR101943502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parator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separator fabricated by the same
KR102638292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separator with improved adhesiveness toward an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eparator
KR101838350B1 (en) An electrode assembly with enhanced wettab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27226B1 (en)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he same
KR101499676B1 (en) A separator having porous coating laye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2120446B1 (en)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with improved safety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3471187B1 (e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electrode and separation film are partially bonded
KR20200000372A (en)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7395213B2 (en) Separation membrane for electrochemical devices and electrochemical devices including the same
KR101909318B1 (en) An organic-inoranic composite porous layer, a seperator and an electrod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2282276B1 (en) The Method For Treating Surface Of Battery Separator
KR102629834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de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therefro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chemical device
KR102346841B1 (en) Separator with patterned binder laye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764428A1 (en)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40053549A (en)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30160508A (en) A preparing method of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therefrom,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