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179A -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179A
KR20190024179A KR1020170110912A KR20170110912A KR20190024179A KR 20190024179 A KR20190024179 A KR 20190024179A KR 1020170110912 A KR1020170110912 A KR 1020170110912A KR 20170110912 A KR20170110912 A KR 20170110912A KR 20190024179 A KR20190024179 A KR 2019002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ing unit
signal receiving
uni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349B1 (ko
Inventor
김경남
김민규
김은영
김호정
박중구
이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3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에 위치한 자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표시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는, 자재에 부착된 센서에서 송출하는 자재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자재 신호의 수신 시점에 따른 상기 신호 수신부의 수신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수신 위치가 3개 이상인 경우 삼각측량법으로 상기 자재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재가 위치한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Near distance materials location cogni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의 발전으로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BLE(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기반의 비콘이 등장하였다. 대표적인 위치 측위 기술인 GPS는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실외에서만 사용 가능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비콘의 경우에는 각 사물에 부착되어 블루투스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실내에서도 사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비콘 디바이스를 통한 실내 위치 측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개의 AP를 이용하는 삼각측량법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3개 이상의 AP 및 복잡한 시스템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높은 비용이 요구된다.
반면 비콘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만을 이용하여 위치 측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의 경우 삼각측량법과 비교할 때 시스템이 간단하고 저비용이지만, 측정 기기와 비콘 간의 거리 정보만을 파악할 수 있고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방법들은 모두 난반사가 심한 환경에서는 계산된 위치에 대한 오차가 매우 심해 제대로 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자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10-1650077호 (2016.08.16 등록) - 측위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1개의 신호 수신부를 이용하여 근거리 자재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재에 부착된 센서에서 신호 세기가 구분되는 복수 종류의 신호를 송신하여 자재까지의 거리를 알려줄 수 있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에 위치한 자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표시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로서, 자재에 부착된 센서에서 송출하는 자재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자재 신호의 수신 시점에 따른 상기 신호 수신부의 수신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수신 위치가 3개 이상인 경우 삼각측량법으로 상기 자재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재가 위치한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를 포함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신호 수신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구동부와 지지 바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 바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의 수신 위치는 상기 지지 바의 회전 각도로부터 환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 내에 복수의 접촉 센서가 일정 간격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 수신부의 수신 위치는 수신 시점에 접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 센서의 위치에 상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 위치는 상기 기울기를 조합하여 3차원 위치로 보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UUID별로 서로 다른 세기를 갖는 복수의 자재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되, 수신된 상기 자재 신호의 UUID에 따른 상기 자재까지의 이격 거리를 표시하는 거리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에 위치한 자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표시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방법으로서, 신호 수신부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자재에 부착된 센서에서 송출하는 자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의 수신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제어부는 동일한 자재 신호에 대해 상기 수신 위치가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수신 위치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으로 상기 자재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자재가 위치한 방향을 방향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위치를 3차원 위치로 정밀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가 UUID별로 서로 다른 세기를 갖는 복수의 자재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자재 신호의 UUID 중 가장 작은 세기에 상응하는 이격 거리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자재와의 이격 거리를 거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개의 신호 수신부를 이용하여 근거리 자재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재에 부착된 센서에서 신호 세기가 구분되는 복수 종류의 신호를 송신하여 자재까지의 거리를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콘 디바이스를 통한 실내 위치 측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신호 수신부의 이동에 따른 다양한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방법의 순서도,
도 7은 자재와의 이격 거리 파악 및 표시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신호 수신부의 이동에 따른 다양한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1), 자재(5), 센서(10),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20), 사용자 단말(22), 케이스(23), 가이드 홈(24), 구동부(30), 지지 바(32), 신호 수신부(40), 디스플레이(50), 방향 표시부(54), 거리 표시부(52)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1)은 1개의 신호 수신부만을 통해서도 근거리 자재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1)은 자재(5)에 부착되는 센서(10)와, 센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자재(5)의 위치를 파악하고 표시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20)를 포함한다.
센서(10)는 자재(5)에 부착되며, 센서(10)가 부착된 자재(5)와 신호 수신 장치(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20)) 사이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복수 종류의 신호를 송출하는 디바이스이다. 예컨대, 센서(10)는 비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10)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UUID(범용 단일 식별자,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마다 신호 세기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세기가 3단계로 구분될 때 제1 UUID를 갖는 가장 강한 세기의 신호(s1), 제2 UUID를 갖는 중간 세기의 신호(s2), 제3 UUID를 갖는 가장 약한 세기의 신호(s3)를 동시에 송출할 수 있다.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20)는 움직이는 신호 수신부(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예서는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20)가 태블릿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22)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스마트 기기가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20)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단말(22)의 후면에는 신호 수신부(40) 및 구동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신호 수신부(4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모터일 수 있다.
구동부(30)와 신호 수신부(40) 사이에는 지지 바(32)가 설치되어 있어, 구동부(3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신호 수신부(40)로 전달하여 신호 수신부(40)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의 후면에는 신호 수신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4)은 구동부(30)을 중심점으로 하고 지지 바(32)의 길이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홈(24)의 폭은 신호 수신부(40)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신호 수신부(40)가 가이드 홈(24)을 따라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 홈(24)은 원 형상으로 구현되고, 신호 수신부(40)는 구동부(30)를 중심점으로 하고 지지 바(32)를 직경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회전 운동(각 운동)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40)가 센서(10)로부터 특정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수신 시점에서의 신호 수신부(40)의 위치를 확인한다.
일 예시로,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수신부(40)의 위치는 지지 바(32)의 회전 각도(θ1, θ2, θ3)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지지 바(32)의 기준 위치 대비 수신 시점에서의 위치는 회전 각도로 환산될 수 있으며, 지지 바(32)의 길이와 조합하여 해당 수신 시점에서 신호 수신부(40)의 위치를 좌표화(P1, P2, P3)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각도는 구동부(30)에 마련된 엔코더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가이드 홈(24)의 내면에 다수의 접촉 센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수신부(40)가 특정 위치에 있을 때 해당 위치의 접촉 센서가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접촉 신호가 발생된 접촉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 신호 수신부(40)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수신 시점에서 접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 센서의 위치를 통해 신호 수신부(4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신호 수신부(40)의 위치를 확인하고, 동일한 특정 신호를 서로 다른 3곳의 위치에서 수신한 경우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신호를 송출한 센서(10), 즉 자재(5)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자재(5)의 위치가 산출되면, 사용자 단말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자재(5)의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자재(5)의 위치는 태블릿 PC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시될 수 있다(방향 표시부(54) 참조). 화살표 표시는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에게 자재(5)가 위치한 곳에 대해서 직관적 확인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수신한 신호의 UUID를 분석함으로써 자재(5)까지의 거리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신호 s1만이 수신된 경우에는 중간 세기 및 약한 세기의 신호가 도달하지 않았으므로 그 이격 거리가 먼 것으로 볼 수 있다. 신호 s1 및 s2가 수신된 경우에는 약한 세기의 신호만이 도달하지 않았으므로 그 이격 거리가 중간 정도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신호 s1 내지 s3가 모두 수신된 경우에는 약한 세기의 신호도 도달하였으므로 그 이격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볼 수 있다.
신호 세기와 이격 거리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으며, 서로 매칭되어 데이터화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2)에 기울기 센서(틸트 센서)(미도시)가 구비된 경우 기울기 정보를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40)의 위치는 사용자 단말(22)의 후면에 평행하게 파악되는 2차원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22)이 특정 기울기를 가지는 경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센싱된 기울기 정보를 적용하여 신호 수신부(40)의 위치를 3차원 위치로 환산할 수 있다. 2차원 평면의 위치를 기울기 정보를 적용하여 3차원 위치로 변환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 기울기를 통해 신호 수신부(4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그 결과 자재(5)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신호 수신부(40), 가이드 홈(24), 구동부(30)는 태블릿 PC에 설치 가능한 케이스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각 정보들(수신 신호의 종류(UUID), 수신 시점, 수신 시점에서 신호 수신부의 위치 등)은 케이스에서 태블릿 PC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공급,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하는 태블릿 PC의 USB 암단자에 대응되는 USB 수단자가 케이스에 구현되어 있어, USB 단자를 통해 유선 네트워크로 전술한 각 정보들이 전달될 수도 있다. 혹은 케이스에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설치되어 있어, 태블릿 PC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페어링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로 전술한 각 정보들이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자재와의 이격 거리 파악 및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20)는 후면 혹은 케이스에 마련된 신호 수신부(40)를 이동시킨다(단계 S100). 신호 수신부(4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부(30)를 작동시킨다. 구동부(30)를 작동시키면 그 각운동이 지지 바(32)에 의해 신호 수신부(40)로 전달됨으로써 신호 수신부(40)가 가이드 홈(2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신호 수신부(40)가 이동 중에 자재(5)에 설치된 센서(1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자재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110). 이 때 자재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 신호 수신부(4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체크한다.
동일한 자재 신호에 대해 3개 이상의 위치 정보(자재 신호 수신 위치)가 얻어지면(단계 S130), 제어부는 3개의 자재 신호 수신 위치를 이용하여 자재(5)의 위치를 파악한다(단계 S140). 이 경우 자재 위치의 파악은 삼각측량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재 위치가 파악되면, 사용자 단말(22)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자재(5)가 위치한 방향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50)의 방향 표시부(54)에 화살표로 표시한다(단계 S150).
본 실시예에서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20)에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경우, 단계 S120에서 단말 기울기를 센싱할 수 있다. 단말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자재 신호 수신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정밀한 3차원 수신 위치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자재 위치(자재가 위치한 방향)뿐만 아니라 자재와의 이격 거리에 대해서도 파악하고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S110에서 자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는 수신 신호를 분석한다(단계 S200). 여기서, 수신 신호의 분석은 동일한 UUID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3개의 자재 신호 수신 위치를 갖는 신호에 한정될 수 있다.
수신 신호를 분석한 결과 수신 신호의 종류를 파악한다(단계 S210). 수신 신호의 종류는 UUID로 분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s1(가장 강한 세기), s2(중간 세기), s3(가장 약한 세기)로 신호 세기가 구분되는 경우, s1만이 수신되었다면 제어부는 자재와의 이격 거리가 먼 것으로 판단한다(단계 S220). s1 및 s2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는 자재와의 이격 거리가 중간 정도인 것으로 판단한다(단계 S230). s1 내지 s3이 모두 수신된 경우 제어부는 자재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판단한다(단계 S240).
제어부에서 판단한 자재와의 이격 거리는 사용자 단말(22)의 거리 표시부(52)에 표시될 수 있다(단계 S250). 이 경우 이격 거리의 표시는 개략적으로 Far, Middle, Near와 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5: 자재 10: 센서
20: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
22: 사용자 단말 23: 케이스
24: 가이드 홈 30: 구동부
32: 지지 바 40: 신호 수신부
50: 디스플레이 52: 거리 표시부
54: 방향 표시부

Claims (9)

  1. 근거리에 위치한 자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표시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로서,
    자재에 부착된 센서에서 송출하는 자재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자재 신호의 수신 시점에 따른 상기 신호 수신부의 수신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수신 위치가 3개 이상인 경우 삼각측량법으로 상기 자재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재가 위치한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를 포함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구동부와 지지 바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 바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 운동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의 수신 위치는 상기 지지 바의 회전 각도로부터 환산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 내에 복수의 접촉 센서가 일정 간격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 수신부의 수신 위치는 수신 시점에 접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 센서의 위치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 위치는 상기 기울기를 조합하여 3차원 위치로 보정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UUID별로 서로 다른 세기를 갖는 복수의 자재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되,
    수신된 상기 자재 신호의 UUID에 따른 상기 자재까지의 이격 거리를 표시하는 거리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
  7. 근거리에 위치한 자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표시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방법으로서,
    신호 수신부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자재에 부착된 센서에서 송출하는 자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의 수신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제어부는 동일한 자재 신호에 대해 상기 수신 위치가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수신 위치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으로 상기 자재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자재가 위치한 방향을 방향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및 표시 기기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위치를 3차원 위치로 정밀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UUID별로 서로 다른 세기를 갖는 복수의 자재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자재 신호의 UUID 중 가장 작은 세기에 상응하는 이격 거리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자재와의 이격 거리를 거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방법.
KR1020170110912A 2017-08-31 2017-08-31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KR102095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12A KR102095349B1 (ko) 2017-08-31 2017-08-31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12A KR102095349B1 (ko) 2017-08-31 2017-08-31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79A true KR20190024179A (ko) 2019-03-08
KR102095349B1 KR102095349B1 (ko) 2020-03-31

Family

ID=6580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912A KR102095349B1 (ko) 2017-08-31 2017-08-31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3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494A (ko) * 2009-07-08 2011-01-14 한국기계연구원 물품의 측위 장치 및 측위 방법
KR20110124263A (ko) * 2009-01-27 2011-11-16 엑스와이지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스 아이엔씨. 단일 및/또는 다중 장치의 감지, 방위 및/또는 배치 범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25031B1 (ko) * 2012-07-24 2015-06-03 주식회사 피엔에프 초음파 센서간 거리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650077B1 (ko) 2015-02-26 2016-08-23 (주)피플앤드테크놀러지 측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5441A (ko) * 2013-12-27 2016-09-06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비동기 방사와 다중경로 송신으로 위치 추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263A (ko) * 2009-01-27 2011-11-16 엑스와이지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스 아이엔씨. 단일 및/또는 다중 장치의 감지, 방위 및/또는 배치 범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04494A (ko) * 2009-07-08 2011-01-14 한국기계연구원 물품의 측위 장치 및 측위 방법
KR101525031B1 (ko) * 2012-07-24 2015-06-03 주식회사 피엔에프 초음파 센서간 거리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60105441A (ko) * 2013-12-27 2016-09-06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비동기 방사와 다중경로 송신으로 위치 추정
KR101650077B1 (ko) 2015-02-26 2016-08-23 (주)피플앤드테크놀러지 측위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349B1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95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targeted devices
US8169604B2 (en) Parameter detection system
US9442177B2 (en) Indoor robot and method for indoor robot positioning
JP5544032B2 (ja) ジェスチャを使用してレーザトラッカを制御する方法及びレーザ測定システム
CN110850430B (zh) 激光扫描系统
US9949082B2 (en) Mobile terminal device, location search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5175474A1 (en) Articulated arm coordinate measurement machine having a rotary switch
CN103635777B (zh) 用于追踪、测量以及标记相邻表面的边缘和转角的结构测量单元
CN106843280B (zh) 一种机器人智能跟随系统
TWI444645B (zh) 定位方法和定位裝置
JP2010078528A (ja) 移動局測位システム
JPWO2019003340A1 (ja) 位置検知システム
KR101732426B1 (ko) 알에프아이디 태그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5349B1 (ko) 근거리 자재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44211A1 (en) Optical touch loc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080366B1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로봇의 위치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JP2004230539A (ja) ロボットによる物体の位置と姿勢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CN108983217A (zh) 用于定位对象的方法和装置
US10310080B2 (en) Three dimensional manufacturing positioning system
WO2019100513A1 (zh) 光曲面定位方法和装置
EP3379285A1 (en) Positioning device and program
AU2019315032B2 (en) System for object tracking in physical space with aligned reference frames
TW201433808A (zh) 移動體之偵測定位系統與方法
US10969459B2 (en) Object detection
JP2024066849A (ja) 位置分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