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673A - 진동기 - Google Patents

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673A
KR20190023673A KR1020170109796A KR20170109796A KR20190023673A KR 20190023673 A KR20190023673 A KR 20190023673A KR 1020170109796 A KR1020170109796 A KR 1020170109796A KR 20170109796 A KR20170109796 A KR 20170109796A KR 20190023673 A KR20190023673 A KR 20190023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housing
unit
fixing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717B1 (ko
Inventor
김응범
김기관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응범
김성수
김기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범, 김성수, 김기관 filed Critical 김응범
Priority to KR1020170109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7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제1진동부, 고정부, 제2진동부 및 제3진동부에 의해 자극을 제공하여 마사지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인체의 곡선 및 크기에 적합하도록 말단이 다양한 모양의 진동부를 제공하여 진동에 의한 근육이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진동기{VIBRATOR}
본 발명은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부위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안마(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시간에 따라 자연스럽게 노화가 진행되며 이로 인해 자연스러운 통증이 발생됨은 물론 부분적 퇴화에 의한 손상으로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산업과 기술의 발달에 따른 활동의 제약과 교통사고, 산업재해, 스포츠 손상, 활동상 단순 재해는 물론 스트레스와 운동부족, 비만에 따른 다양한 합병증으로 뇌손상, 심근경색, 동맥경화 또는 관절염 등 다양한 병증이 유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안마란 손이나 특수한 기구로 몸을 쓸거나, 주무르거나,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두드리거나, 움직이거나 하여 혈액순환을 돕고, 피로가 풀리게 하는 의료 보조요법의 하나이다. 기계적 장치에 의하여 안마를 수행하는 기구를 안마기구라 하며, 안마기구는 효과적인 안마를 위하여 다양한 기계요소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마기구 중 휴대용 안마기는 특히 콤팩트한 사이즈나 충전식으로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인기가 있는 제품이다. 여기서, 휴대용 안마기는 안마구를 진동(振動) 또는 진퇴(進退)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AC 또는 DC모터가 적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중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6044959호(2017. 3. 29. 이하 ‘선행문헌 1’)의 “전기마사지기(一按摩棒)”에서는, 무선충전이 가능하고,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의 일측 말단에 커넥터가 구비되어 마사지 헤드의 분해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마사지의 효과를 향상시킨 전기 마사지기가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1 발명을 이용할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마사지 헤드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잦은 마사지 헤드의 교체로 인하여 커넥터 또는 설치 슬롯의 손상이 발생될 경우, 상기 마사지 헤드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아 마사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7323호(2015. 1. 29. 이하 ‘선행문헌 2’)의 “음향 압력을 이용하는 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체 자극 장치”에서는, 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다양한 진동 프로브에 전달함으로써 인체에 마사지 및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자극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2 발명을 이용할 경우에는, 스마트 환경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체질 등의 개인 환경에 맞는 음원을 이용하여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마사지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음원을 이용함으로써, 음원을 음원 처리부를 포함하는 음향 압력 발생부에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9271호(2017. 3. 8. 이하 ‘선행문헌 3’)의 “두피마사지장치”에서는, 진동모터를 사용하여 두피에 자극을 제공하고, 자극돌기를 이용하여 두피를 마사지 하는 도중에 헤어토닉을 두피에 분사함으로써 마사지 효과를 높이며, 헤어토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두피마사지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에는, 자극돌기를 이용하여 두피를 마사지하는 도중에 헤어토닉을 두피에 분사함으로써 마사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상기 두피 마사지 장치에 구비된 저장통의 헤어토닉 잔량의 확인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상기 헤어토닉의 교체시기를 계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2399호(2016. 12. 5. 이하 ‘선행문헌 4’)의 “무선 핸드 안마기”에서는, 안마볼의 승강시 바람을 일으켜 사용자로 하여금 시원함을 느끼게 하면서 안마기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내부 열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안마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에는, 안마기를 가방 안이나 별도의 공간에 보관할 때 스위치가 눌려져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작동 방지부를 충전단자에 삽입하는 경우에만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진동 등에 의해 배터리가 흔들려도 배터리의 양단에 완충재로 지지하여 소음 발생이나 단선 등의 전기적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안마볼의 운동에 의해 마사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안마볼이 닿는 부부만 마사지가 수행되어 인체의 넓은 면적을 마사지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상기 안마기를 이동시킴으로써 마사지를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욱이, 근육이완이 필요한 경우, 근육이완제 등을 마사지 부위에 도포한 후 마사지를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중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60449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73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92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239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진동부, 제2진동부 및 제3진동부에 의해 자극을 제공하여 마사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체의 곡선 및 크기에 적합하도록 말단이 다양한 모양의 진동부를 제공하여 진동에 의해 근육이완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여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성분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구비된 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성분을 함유한 적층체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적층체의 점착성에 의해 신체에 용이하게 점착되고, 근육이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비된 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접촉부와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비된 제1진동부; 상기 제1진동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진동부와 나사결합을 체결하며, 내측에 회로기판이 인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와 나사결합을 체결하며, 관통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측에 배터리 및 둘 이상의 진동축을 포함하는 진동모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진동부; 및 상기 제2진동부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진동부의 하측 말단에 나사결합이 체결되도록 구비된 제3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단면이 평형, 물결형, 포크형, 곡선형, 갈고리형, 호형(弧形), 판형, 곡면형, 뿔형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인 것이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의 하측 일측에 연장되어 구비되고, 말단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측 말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내측에 제1나사홈이 구비된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측말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제2나사홈을 포함하여 구비된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측 일측에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배터리 잔량표시부; 상기 배터리 잔량표시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상측 일측에 진동기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전원부; 상기 전원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상측 일측에 진동의 강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강도표시부; 상기 강도표시부와 이격되어 진동기의 진동 강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진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강도조절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배터리 충전단자가 인입되도록 구비된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 또는 제3진동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에 다수 구비된 통공부; 상기 제3진동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저장부; 상기 제1진동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진동기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와 연결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진동기 일측에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된 하우징 덮개부; 상기 패치 덮개부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 덮개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 덮개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 하우징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진동부는, 경사지게 양측 단면을 절단하여 테이퍼 지도록 한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의 단부는 모서리가 둥글거나 평평한 단면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진동부, 제2진동부 및 제3진동부에 의해 자극을 제공하여 마사지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인체의 곡선 및 크기에 적합하도록 말단이 다양한 모양의 진동부를 제공하여 진동에 의한 근육이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진동축이 진동모터의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진동의 세기가 진동기의 상측 및 하측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여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성분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성분을 함유한 적층체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점착되고, 근육이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를 보호할 수 있는 하우징, 덮개부, 하우징 고정부 및 하우징 잠금부를 구비하여 상기 적층체의 재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진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제1진동부, 110: 접촉부, 111: 평형, 112: 물결형, 113: 포크형, 114: 곡선형, 115: 갈고리형, 116: 호형, 117: 판형, 118: 곡면형, 119: 뿔형, 120: 지지부, 121: 제1나사산, 122: 너트
200: 고정부, 210: 회로기판, 220: 제1고정부, 230: 제2고정부, 231: 배터리 잔량표시부, 232: 전원부, 233: 강도표시부, 234: 강도조절부, 235: 충전부, 250: 제1나사홈
300: 제2진동부, 310: 배터리, 320: 제1진동축, 321: 제2진동축, 322: 진동모터, 330: 제2나사산
400: 제3진동부
500: 통공부, 510: 저장부, 520: 연결관, 530: 개폐장치
600: 적층체, 610: 하우징, 620: 하우징 덮개부, 630: 하우징 고정부, 640: 하우징 잠금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기는 제1진동부(100), 고정부(200), 제2진동부(300) 및 제3진동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진동부(100)는 접촉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10)는 상기 제1진동부(100)의 상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후술할 고정부와 평행하도록 구비되어 근육이완 또는 마사지가 필요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진동을 가함으로써 근육이완 또는 마사지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1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단면은 인체의 곡선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111), 물결형(112), 포크형(113), 곡선형(114), 갈고리형(115), 호형(弧形)(116), 상측면이 평평하도록 형성된 판형(117), 상측면의 일측이 하측방향으로 구부러진 곡면형(118), 상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상인 뿔형(119)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상기 접촉부(110)의 단면이 평형(111)으로 구비될 경우, 단면이 평평하게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고르게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안면근육, 승모근, 삼각근, 대흉근, 외복사근, 광배근 등을 용이하게 마사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결형(112)으로 구비될 경우, 신체 부위 중 척추부위에 일정하게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승모근, 대하근, 대원근, 광배근 또는 척추기립근 등과 같은 단면이 물결모양으로 형성되는 부위의 이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곡선형(114) 갈고리형(115) 또는 호형(116)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평형(111)보다 넓은 부위의 마사지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곡선형(114) 또는 호형(116)으로 구비될 경우, 이두근, 삼두근, 대흉근, 전완근, 복직근, 대퇴근, 비복근 등의 단면이 호형으로 형성되는 부위의 이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갈고리형(115)의 경우, 일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갈고리형(115)의 단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마사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크형(113)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평형(111), 물결형(112), 곡선형(114) 갈고리형(115) 및 호형(116)보다 사용자의 인체에 닿는 면적이 작게 구비됨으로써 손가락 끝으로 마사지하듯 근육에 자극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근육이완 또는 마사지가 필요한 부위에 상기 갈고리형(115)의 단부보다 넓은 부위에 집중적으로 진동을 전달하여 근육이완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판형(117), 곡면형(118) 또는 뿔형(119)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평형(111), 물결형(112), 포크형(113), 곡선형(114), 갈고리형(115) 및 호형(116)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단면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면으로 형성되어 집중적으로 근육이완 또는 마사지가 필요한 부위에 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110)의 일측에 합성수지로 형성된 커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에 의해 접촉부(110)와 근육이완 또는 마사지가 필요한 부위의 밀착력이 증가함으로써 접촉부(110)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고, 진동 흡수력에 의해 진동의 세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전기적 결합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접촉부(110)의 하측 일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120)의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지지부가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부(120)는 하나의 지지축으로부터 여러 가지 뻗어나가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의 접촉부(110)가 모두 연결되거나, 선택적으로 연결된 현상으로 구비됨으로써 넓은 면적의 근육을 이완시키는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부(120)의 말단에는 제1나사산(121)을 포함하여 후술될 고정부(200)와 나사결합을 체결함으로써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나사산(121)의 상측 말단에 너트(122)를 더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200)로부터 상기 제1진동부(100)의 해체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플라이어, 스패너 등 공구를 이용하여 해체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한 상기 너트(12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제1진동부(100)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진동부(100)와 나사결합을 체결하며, 내측에 회로기판(210)이 인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210)은 후술될 배터리(310), 제1진동축(320), 제2진동축(321) 및 진동모터(322)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는 세기조절드라이버, 온/오프 드라이버, 온도제어드라이버, 배터리 충전단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210)에 의해 상기 진동기의 온/오프, 진동의 세기 또는 배터리(310) 충전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로기판(210)에는 과충전방지 회로가 내장되어 과충전에 의한 배터리(3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200)는 제1고정부(220) 및 제2고정부(23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고정부(220)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측 말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내측에 제1나사홈(250)이 구비되어 상기 제1진동부(100)와 나사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230)는 상기 제1고정부(220)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220)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측말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제2나사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230)는 배터리 잔량표시부(231), 전원부(232), 강도표시부(233), 강도조절부(234) 및 충전부(2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잔량표시부(231)는 상기 고정부(230)의 상측 일측에 배터리의 잔량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잔량표시부(231)는 상기 회로기판(210)의 온/오프드라이버와 연동되며, 후술될 전원부(23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만약, 배터리(310)의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의 잔량이 10% 미만일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표시부(231) 말단에 구비된 다른 색의 빛이 점화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충전의 필요성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32)는 상기 배터리 잔량표시부(231)와 이격되어 상기 제2고정부(230)의 상측 일측에 진동기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32)는 스위치 형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로기판(210)의 온/오프 드라이버와 연동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배터리 잔량표시부(231) 및 후술될 강도표시부(233)의 신호를 확인할 수 있고, 후술할 강도조절부(234)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232)의 스위치는 상기 제2고정부(23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방 등에 수납하거나 특정 장소에 보관할 때 스위치가 눌림으로써 오작동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강도표시부(233)는 상기 전원부(232)와 이격되어 상기 제2고정부(230)의 상측 일측에 진동의 강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도표시부(233)는 상기 회로기판(210)의 세기조절드라이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후술될 강도조절부(23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진동 주기를 3단계로 제어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만약, 상기 강도표시부(233)의 불빛이 하나만 켜졌을 경우, 짧은 주기의 진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두 개가 켜졌을 경우, 상기 짧은 주기의 진동은 반으로 짧아지며, 세 개가 켜졌을 경우, 세 번째 켜진 불빛은 다른 색으로 표시되며, 상기 반으로 짧아진 진동 주기의 반으로 더욱 짧아짐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근육이완 또는 마사지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강도표시부(233)는 상기 강도표시부(233)와 이격되어 진동기의 진동 강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도표시부(233)는 스위치 형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로기판(210)의 세기조절드라이버와 연동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강도표시부(233)의 강도 식별과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강도조절부(234)와 이격되어 진동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부(미도시)는 스위치 형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210)의 온도제어드라이버와 연동되어 상기 제1진동부(100) 및 제3진동부(400)의 온도가 42~44℃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만약, 42℃ 이하로 유지될 경우, 환부의 근육이완이 제대로 되지 않아 근육이 경직된 상태에서 마사지가 행해짐으로써 의료사고를 야기할 수 있고, 44℃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온도가 높게 유지됨으로써 화상의 위험이 있다.
상기 충전부(235)는 상기 제2고정부(23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배터리 충전단자가 인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235)에 의해 외부 전기와 후술될 배터리(3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충전부(235)에 의해 충전과 동시에 안마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진동부(300)는, 상기 고정부(2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양 말단에 제2나사산(330)을 포함하여 나사결합을 체결하며, 관통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측에 배터리(310), 제1진동축(320), 제2진동축(321) 및 진동모터(3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10)는 상기 회로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235)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전원부(232)에 의해 진동기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310)는 회로기판(210)과 제2진동축(3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터리(310)에 의해 외부전력 없이 진동기를 온/오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제2진동축(320,321) 또는 진동모터(322)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은 상기 회로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강도조절부(234)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진동주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기판(210)과 연결된 진동모터(322)를 중심으로 상기 제1진동축(320) 및 제2진동축(321)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구비되어 진동의 세기가 진동기의 상측 및 하측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진동기의 내부공기의 순환이 용이하도록 상기 배터리(310)와 제1진동축(320) 및 제2진동축(321)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과열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3진동부(400)는 상기 제2진동부(300)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진동부(300)의 하측 말단에 나사결합이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진동부(300)와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되기 위해 상기 제3진동부(400)의 상측 말단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나사홈(4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진동부(400)의 하측은 평평하거나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진동부(100)보다 넓은 범위를 마사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3진동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420) 및 모서리부(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420)는 상기 제3진동부(400)의 양측 단면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테이퍼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4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3진동부(400)로부터 근육이완 또는 마사지가 필요한 부위를 집중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테이퍼부(420)의 단부는 날카로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서리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부(421)는 상기 테이퍼부(420)의 단부는 모서리가 둥글거나 평평한 단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진동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부(500), 저장부(510) 및 연결관(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공부(500)는 상기 접촉부(110) 또는 제3진동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에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공부(500)는 상기 제1진동부(100) 또는 고정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에 구비된 개폐장치(530)에 의해 개폐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장치(530)는 후술될 연결관(520)이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부(200)의 일측에 인입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연결관(5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510)는 제3진동부(400)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관(520)은 상기 제1진동부(100)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진동기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510)와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공부(500)와 저장부(510)가 상기 연결관(52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510) 내부에 포함된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개폐장치(530)에 의해 개방되어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이완 또는 마사지가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의 성분은 피록시캄(Piroxicam), 디클로페낙(Diclofenac), 펠비낙(Felbinac), 케토프로펜(Ket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성(NSAIDs) 소염진통제와 멘톨(Menthol), 살리실산 메틸(Methyl salicylate), 살리실산 글리콜(Glycol salicylate), 캄파(Camphor), 치몰(thymol),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캡사이신(Capsaicin) 등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가지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기는 적층체(60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600)는 상기 진동기 일측에 상기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적층체(60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체(600)는 상기 제2진동부(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적층체(600)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또는 PU(polyurethane)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으로 형성된 부직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면, 스판덱스(spandex), 나일론(nylon), 액상실리콘, 하이드로겔(hydrogel) 또는 바이오셀룰로오스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직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적층체(600)의 점착성에 의해 상기 진동기가 사용자의 환부에 용이하게 점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진동에 의해 상기 적층체(600)에 포함된 상기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성분이 환부에 용이하게 흡수됨으로써 짧은 시간에 근육이완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600)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우징(610), 덮개부(620) 하우징 고정부(630) 및 하우징 잠금부(6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0)은 상기 적층체(60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610)이 진동기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상기 적층체(600)가 사용자의 환부에 용이하게 점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는 상기 하우징(610)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610)의 외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개폐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하우징(610)이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에 의해 개방될 경우,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는 상기 덮개부의 내측의 내주면을 따라 인입됨과 동시에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610)이 외력에 의해 인입되어 상기 적층체(600)가 환부에 점착될 때,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에 의해 상기 하우징(610)이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고정부(630)는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의 일측에 외측방향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하우징(610)을 개방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 고정부(630)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를 상기 하우징(61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방하고, 상기 하우징(610)을 폐쇄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 고정부(630)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를 상기 하우징(610)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잠금부(640)는 상기 하우징(610)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고정부(630)가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잠금부(640)는 상기 하우징 덮개부(620)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덮개부(620)가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덮개부(640) 및 하우징 잠금부(640)에 의해 상기 적층체(600)를 보호함으로써, 상기 적층체(600) 재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피부미용, 휴대용 안마기기 등과 관련한 산업에 이용 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7)

  1. 접촉부와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비된 제1진동부;
    상기 제1진동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진동부와 나사결합을 체결하며, 내측에 회로기판이 인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와 나사결합을 체결하며, 관통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측에 배터리 및 둘 이상의 진동축을 포함하는 진동모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진동부; 및
    상기 제2진동부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진동부의 하측 말단에 나사결합이 체결되도록 구비된 제3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단면이 평형, 물결형, 포크형, 곡선형, 갈고리형, 호형(弧形), 판형, 곡면형, 뿔형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인 것이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의 하측 일측에 연장되어 구비되고, 말단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측 말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내측에 제1나사홈이 구비된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측말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제2나사홈을 포함하여 구비된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측 일측에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배터리 잔량표시부;
    상기 배터리 잔량표시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상측 일측에 진동기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전원부;
    상기 전원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상측 일측에 진동의 강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강도표시부;
    상기 강도표시부와 이격되어 진동기의 진동 강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진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강도조절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배터리 충전단자가 인입되도록 구비된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또는 제3진동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에 다수 구비된 통공부;
    상기 제3진동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저장부;
    상기 제1진동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진동기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와 연결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 일측에 근육이완제 또는 파스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된 하우징 덮개부;
    상기 패치 덮개부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 덮개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 덮개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 하우징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진동부는,
    경사지게 양측 단면을 절단하여 테이퍼 지도록 한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의 단부는 모서리가 둥글거나 평평한 단면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
KR1020170109796A 2017-08-30 2017-08-30 진동기 KR102029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796A KR102029717B1 (ko) 2017-08-30 2017-08-30 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796A KR102029717B1 (ko) 2017-08-30 2017-08-30 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673A true KR20190023673A (ko) 2019-03-08
KR102029717B1 KR102029717B1 (ko) 2019-10-08

Family

ID=6580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796A KR102029717B1 (ko) 2017-08-30 2017-08-30 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7856A (zh) * 2019-09-28 2020-03-24 山东卡蕾兰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可收纳式美容仪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195A (ja) * 1998-04-28 1999-11-09 Shiseido Co Ltd 噴射機能付き電動マッサージ装置
JP2008539953A (ja) * 2005-05-12 2008-11-20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治療パッチ
KR20130117906A (ko) * 2012-04-16 2013-10-29 이중연 마시지 기능을 구비한 진동형 화장 기구
KR20150083007A (ko) * 2014-01-08 2015-07-16 주식회사 홈일렉코리아 안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195A (ja) * 1998-04-28 1999-11-09 Shiseido Co Ltd 噴射機能付き電動マッサージ装置
JP2008539953A (ja) * 2005-05-12 2008-11-20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治療パッチ
KR20130117906A (ko) * 2012-04-16 2013-10-29 이중연 마시지 기능을 구비한 진동형 화장 기구
KR20150083007A (ko) * 2014-01-08 2015-07-16 주식회사 홈일렉코리아 안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7856A (zh) * 2019-09-28 2020-03-24 山东卡蕾兰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可收纳式美容仪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717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2053A1 (en) Rollable device with features aiding soft tissue release and muscle loosening
US10695261B2 (en) Electronic massaging orthotic compression glove
KR101673182B1 (ko) 자기장을 이용하는 의료 장치
US20120046579A1 (en) Mechanical stimulation wrap and method of use
US20090143706A1 (en) Neck belt apparatus
US11344472B2 (en) Tissue treatment stick
US20160206502A1 (en) Stimulation and treatment device
US10172763B2 (en) Skin and scalp massaging apparatus using acoustic pressure
US10201472B2 (en) Tri-motion tactile stimulation device
KR101570862B1 (ko) 휴대용 눈 주위 안마기
KR20130108719A (ko) 얼굴 마사지용 진동마스크
KR20190023673A (ko) 진동기
KR20190021922A (ko) 진동기
KR101530772B1 (ko) 턱관절 통증 완화장치
WO2017156340A1 (en) Electroceutical device and wrap for using the same
JP3081412U (ja) 組合せ式マッサージ器
KR200247169Y1 (ko) 건강 벨트
CN203861549U (zh) 一种颈部按摩枕
CN206688025U (zh) 一种临床用理疗仪
EP1726282B1 (en) Massage vibrator apparatus
WO2021112018A1 (ja) 健康器具
EP3231475A1 (en) Process for establishing an electrostimulation protocol for pelvic pain control, and the respective portable electrostimulation equipment for pelvic pain control using said protocol
KR20090048980A (ko) 온열 어깨 마사지기
CN209864577U (zh) 可拆式小型按摩器
US202302008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tissue treatment using powered treatmen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