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618A -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618A
KR20190023618A KR1020170109625A KR20170109625A KR20190023618A KR 20190023618 A KR20190023618 A KR 20190023618A KR 1020170109625 A KR1020170109625 A KR 1020170109625A KR 20170109625 A KR20170109625 A KR 20170109625A KR 20190023618 A KR20190023618 A KR 20190023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ling
biogas
exhaust ga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1591B1 (en
Inventor
안병철
허철호
Original Assignee
(주) 지엔씨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엔씨에너지 filed Critical (주) 지엔씨에너지
Priority to KR102017010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591B1/en
Publication of KR2019002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6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5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1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s being mechanically coupled
    • F01K23/14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s being mechanically coupled including at least one combustion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nd a method thereof. This invention uses biogas as fuel of a cogeneration system in order to generate electricity, and supplies sufficient hot water by performing double heating to the hot water by using combustion heat and exhaust gas of an engine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Moreover, the hot water is used as a heating energy source, there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and preventing waste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dition, when the hot water circulating a medium-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and a medium-temperature water return line i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valve un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herefore, stability and reliability in the cogeneration system are maximized, and maintenance costs are reduced. Not only that, the optimum packaging facilitates miniaturization and guarantees ease of installation, thereby facilitating distribution of the cogeneration system.

Description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방법{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nd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오가스를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동시에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엔진부의 연소열과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온수를 이중으로 가열하여 충분한 온수를 공급하고 난방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중온수 공급라인과 중온수 회수라인을 순환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이상이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밸브부를 제어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최적의 패키징화를 통해 소형화를 도모하여 설치용이성과 설치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nd a cogeneration method using bioga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s a fuel for a cogeneration system, When the hot water circulating in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and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biogas capable of increasing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by minimizing the size of the valve by controlling the valve portion to maximize stability and reliability and optimizing packaging.

일반적으로 양돈, 축산, 양계 농장에서 발생하는 분뇨 폐기물과 도심지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폐기물은 처리 비용이 고가 일뿐만 아니라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설 역시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In general, manure wastes generated in pig farms, livestock farms, and poultry farms and food wastes generated in urban areas are not only expensive to treat, but also have a shortage of organic waste disposal facilities.

특히 소규모의 영세 축산 농가나, 소규모의 음식점은 폐기물처리장치를 설치할 능력이 없어 일반 생활 쓰레기에 혼입되는 문제점과 분리 폐기를 한다 하더라도 수거업체가 다시 이를 전문처리업체로 보내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small-scale farms and small-scale restaurants are not able to install waste disposal equipment, so they are mixed with general household waste, and even if they are separated and disposed of, there is a problem that collectors must send them back to specialist processing companies for disposal.

교토의정서가 발효되면서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With the entry into force of the Kyoto Protoco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일례로, 음식물 쓰레기, 축산폐수, 그리고 도시폐수 등의 유기물이 다량 함유된 폐기물을 소각시키지 않고, 매립, 해양투기 또는 공공처리 등을 통해 처리되고 있다.For example, waste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organic matter such as food waste, livestock wastewater, and city wastewater are disposed of through incineration, marine dumping, or public treatment without being incinerated.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하루에 약 5,500톤 정도의 음폐수와, 약 7,000톤 정도의 가축분뇨와, 약9,500톤 정도의 하수/폐수가, 즉 전체적으로 하루에 약 22,000톤 정도의 엄청난 양의 유기성 폐기물이 해양투기를 통해 처리되고 있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bout 5,500 tonnes of waste water per day, about 7,000 tonnes of livestock manure, and about 9,500 tonnes of sewage / wastewater, that is, about 22,000 tonnes per day, Waste is being processed through marine dumping.

그러나, 런던 협약으로 인해 해양투기가 금지되고 환경적인 이유로 매립 또한 점점 힘들어질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앞으로는 많은 양의 폐기물을 공공처리를 통해 처리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기기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However, because the London Convention prohibits the use of marine dumping and it is predicted that landfills will also become more difficult due to environmental reasons, it is inevitable to handle a large amount of waste through public treatment in the future, and there are many devices and devices It is in the trend of being developed.

나아가, 이때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사용하여 발전하는 장치, 기기들도 계속하여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Furthermore, devices and devices that develop using biogas generated at this time are still being developed.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분뇨 폐기물과 음식물폐기물 등의 유기성 폐기물은 발효에 의한 혐기성 소화방식으로 처리한다.Generally, organic wastes such as manure waste and food wastes are treated by anaerobic digestion by fermentation.

분뇨 폐기물과 음식물폐기물은 소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탈황정제 및 유수분리하면 고 농도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잘 이용하면 분뇨 폐기물과 음식물폐기물은 재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Manure wastes and food wastes can produce high concentration of biogas by separating methane gas generated during digestion process from desulfurization refinery and oil water so that manure wastes and food wastes can be reprocessed if they are used well.

그러나, 이러한 바이오가스를 사용하여 발전하는 장치, 기기들이 계속하여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장치, 기기들은 종래의 내연기관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However, although apparatuses and devices that generate electricity by using such biogas are being continuously developed, such apparatuses and devices use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it is.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바이고가스 공급라인(1)과 연소용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바이오가스와 연소용 공기를 에어필터를 통해 여과한 후에 가스혼합부(5)에서 혼합하여 엔진부(7)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과정은 제어부(9)를 통해 일괄적으로 제어된다.1, in the conventional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the biogas gas supply line 1, the bioga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air inlet and the combustion air are filtered through an air filter, and then the gas mixture 5 And can be supplied to the engine unit 7, and this process is coll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9. [

이때, 연소용 공기 유입구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엔진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과급부(3)에서 가압하여 가스혼합부(5)로 공급한다. 즉, 과급부(3)에 의해 배기가스 배출라인(2)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힘을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air inlet or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ngine is pressurized by the supercharger 3 and supplied to the gas mixer 5. That is, a force by which the exhaust ga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2 flows by the supercharger 3 can be used.

가스혼합부(5)에서 혼합된 혼합가스가 엔진부(7)로 유입되기 이전에 더욱 많이 들어갈 수 있도록 이를 압축시키게 되는데, 혼합가스를 압축시키게 되면 역학상 혼합가스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The mixed gas in the gas mixing section 5 is compressed so that it can enter the engine section 7 more before entering the engine section 7. When the mixed gas is compressed,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gas mechanically increases.

이와 같이 혼합가스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일정한 용량 내에서 고밀도의 혼합가스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가스혼합부(5)와 엔진부(7) 사이에 인터쿨러부(6)를 마련하여 혼합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이를 통해 고밀도의 혼합가스를 생성하게 된다.Since the high-density mixed gas can not be generated within a constant capacit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gas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an intercooler unit 6 is provided between the gas mixing unit 5 and the engine unit 7, Thereby producing a dense mixed gas.

발전부(8)는 엔진부(7)의 구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The power generation section 8 produces electricity by driving the engine section 7. [

이처럼, 종래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방법은 인터쿨러부의 냉각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열교환부가 이중으로 열교환을 수행하지 않아 배기가스에 의한 열이 낭비되고, 회수된다 하더라도 구성의 최적화 및 패키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에너지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bioga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intercooler is not maintained constant and the heat exchanging unit does not perform the heat exchange doub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nergy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no improvement.

또한, 종래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방법은 중온수가 가열된 경우 이에 따라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구성부품이 손상되거나 파손됨에 따라 유비보수 비용이 증가하고, 열병합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in the conventional co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iogas, when components of the cogeneration system are damaged or destroyed due to the heating of the medium temperature water, the cost of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cogeneration system increases, and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ogeneration system are reduced there was.

더욱이, 종래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방법은 열병합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구성부품과 최적화에 의한 패키징이 이루어지지 않아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대형화에 의해 설치가 어렵고, 농장 등에 쉽게 설치되지 않아 실제 보급율이 현저히 저조하며, 생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co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iogas are not easily packed with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generation system, the cogeneration system is difficult to install due to the large size of the cogeneration system,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3942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9425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001832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0183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가스를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동시에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엔진부의 연소열과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온수를 이중으로 가열하여 충분한 온수를 공급하고 이러한 온수를 난방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중온수 공급라인과 중온수 회수라인을 순환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이상이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밸브부를 제어하여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며, 최적의 패키징을 통해 소형화를 도모하고 설치용이성을 확보하여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보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열병합발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generation system that uses biogas as a fuel for a cogeneration system and generates electricity, while simultaneously using combustion heat and exhaust gas of an engine unit of a cogeneration system. The hot water circulating in the hot water supply line and the hot water collection line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In this case, the valve un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maximiz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ogeneration system,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ptimize the size of the cogeneration system through the optimal packaging, Combined cogeneration system and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별도의 바이오가스 처리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바이오가스 공급라인과,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의 배기가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과급부와, 상기 과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와 에어필터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외부공기를 혼합하는 가스혼합부와, 상기 가스혼합부를 통해 혼합된 혼합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인터쿨러부와, 상기 인터쿨러부를 통과한 혼합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하는 엔진부와, 상기 엔진부의 구동축에 연결 설치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가스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바이오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 상기 바이오가스 공급라인 상에서 상기 제습부와 상기 가스혼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바이오가스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방지부; 상기 바이오가스 공급라인 상에서 상기 역화방지부와 상기 가스혼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역화방지부를 통과한 바이오가스를 여과하는 가스필터부; 상기 바이오가스 공급라인 상에서 상기 가스필터부와 상기 가스혼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필터부를 통과한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가스압력조절부; 상기 인터쿨러부를 냉각하기 위한 제1 냉각부; 일측이 상기 인터쿨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냉각부에 연결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1 순환펌프부; 상기 엔진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중온수 공급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온수를 1차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폐열회수 열교환부; 상기 엔진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상기 엔진부의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SCR; 상기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폐열회수 열교환부를 통해 1차적으로 가열된 온수를 2차로 가열하고 중온수 회수라인을 통해 2차로 가열된 온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배기가스 열교환부;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배기가스 배출라인의 선단에 설치되는 소음저감부; 상기 엔진부를 냉각하기 위한 제2 냉각부; 일측이 상기 엔진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냉각부에 연결되는 제2 냉각라인; 및 상기 제2 냉각라인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2 순환펌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iogas supply line for supplying biogas produced by a separate biogas processing unit, A gas mixer for mixing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supercharger with the external air passed through the air filter unit, an intercooler for cooling the mixed gas mixed through the gas mixer,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engine unit to generate electricity, and a control unit. The cogeneration system includes a biogas supply unit A dehumidifying part installed on the line for removing moisture of the biogas; A reverse osmosis part installed between the dehumidifying part and the gas mixing part on the biogas supply line to prevent backflow of the biogas; A gas filter unit disposed between the backflow prevention part and the gas mixing part on the biogas supply line and filtering the bio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ackflow prevention part; A gas pressure regulat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gas filter unit and the gas mixing unit on the biogas supply line to regulate the pressure of the bio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as filter unit; A first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intercooler unit; A first cooling lin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intercooler pa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oling part; A first circulation pump unit installed on the first cooling line for circulating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first cooling line; A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for primarily heating the hot water supplied by the hot water supply line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engine; An SCR disposed on an exhaust gas discharge line of the engine for purifying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ngine; An exhaust gas exhaust line disposed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to heat the hot water primarily heated through 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by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CR, and to discharge the hot water, which is secondarily heated through the intermediate- A gas heat exchanger; A noise reduction unit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to reduce nois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A second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engine unit; A second cooling lin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engine uni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cooling unit; And a second circulation pump unit installed on the second cooling line for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second cooling lin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상기 제2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보다 저온이 되도록 상기 제1 냉각부와 상기 제1 순환펌프부 및 상기 제2 냉각부와 상기 제2 순환펌프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further comprises a cooling water circulating in the first cooling line,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in the second cooling line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oling unit, the first circulation pump unit, the second cooling unit, and the second circulation pump unit can be controlled to be low.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상기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에서 상기 SCR과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부; 상기 중온수 공급라인과 상기 중온수 회수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중온수 공급라인과 상기 중온수 회수라인의 내부를 유동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중온수 온도감지부; 및 일측은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와 상기 소음저감부 사이에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라인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바이패스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has a valve unit installed between the SCR and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 unit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A middle-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middl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and the middl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hot water flowing in the middl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and the middl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And a bypass line connected to the valve unit on one side and to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between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and the noise reduct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온수 온도감지부의 측정결과 상기 중온수 회수라인을 유동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온수 온도감지부의 측정결과 상기 중온수 회수라인을 유동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기로 유입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이 폐쇄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t water in the middl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flowing through the medium-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unit so that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C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exhaust gas heat exchanging unit and the bypass line is opened,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unit such that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water sensor When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line is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exhaust gas having passed through the SCR flows into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and the valve un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bypass line is clo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은 바이오가스 공급라인을 통해 별도의 바이오가스 처리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과급부에서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의 배기가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단계; 가스혼합부에서 압축된 압축공기와 에어필터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외부공기를 혼합하는 단계; 인터쿨러부에서 혼합가스를 냉각하는 단계; 엔진부에서 혼합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하고, 상기 엔진부의 구동축에 연결 설치되는 발전부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상기 엔진부를 냉각하는 단계; 폐열회수 열교환부에서 상기 엔진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중온수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1차적으로 가열하는 단계; SCR에서 상기 엔진부의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단계; 배기가스 열교환부에서 상기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폐열회수 열교환부를 통해 1차적으로 가열된 온수를 2차로 가열하고 중온수 회수라인을 통해 최종 가열된 온수를 배출하는 단계;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쿨러부에서 혼합가스를 냉각하는 단계는 제1 순환펌프부에 의해 제1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로 제1 냉각부를 통해 냉각하고, 상기 엔진부를 냉각하는 단계는 제2 순환펌프부에 의해 제2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로 제2 냉각부를 통해 냉각하되,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상기 제2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보다 저온이 되도록 상기 제1 냉각부와 상기 제1 순환펌프부 및 상기 제2 냉각부와 상기 제2 순환펌프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generation method using biogas, comprising: supplying biogas produced in a separate biogas processing unit through a biogas supply line; Compressing and supplying the exhaust gas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in the supercharger; Mixing the compressed air compressed in the gas mixing unit and the outside air passed through the air filter unit and flowing in; Cooling the mixed gas in the intercooler section; Generating electricity through a power generation unit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engine unit using a mixed gas as a fuel in an engine unit; Cooling the engine section; Heating the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line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unit in 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Purifying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ngine unit in the SCR; Heating the hot water primarily heated through the waste heat recovering heat exchanger by the exhaust gas passed through the SCR in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and discharging the finally heated hot water through the low 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Wherein the step of cooling the mixed gas in the intercooler part comprises the step of cooling the first cooling part with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e first cooling line by the first circulation pump part And cooling the engine part,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second cooling line is cooled by the second circulation pump part through the second cooling part, and the control part controls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line,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oling unit, the first circulation pump unit, the second cooling unit, and the second circulation pump unit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lower than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e cooling lin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은 상기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제습부에서 공급된 바이오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역화방지부에서 수분이 제거된 바이오가스의 역화를 방지하기 위해 바이오가스의 부압을 조절하는 단계; 가스필터부에서 부압이 조절된 바이오가스를 여과하는 단계; 및 가스압력조절부에서 여과된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기준압력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generation using biogas is a method of remov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biogas supplied from the dehumidifying part after the step of supplying the biogas, ; Adjusting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biogas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biogas from which water has been removed from the backfill section; Filtering the biogas whose negative pressure is controlled by the gas filter unit; And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biogas filtered by the gas pressure regulator at a reference pressur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은 상기 온수를 2차로 가열하고 중온수 회수라인을 통해 최종 가열된 온수를 배출하는 단계 이후에 소음저감부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소음이 저감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generation using biogas comprises the steps of: heating the hot water by a second order and discharging the finally heated hot water through a middle- And reducing the noise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by the noise reducing unit.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열병합발전 방법은 바이오가스를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동시에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엔진부의 연소열과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온수를 이중으로 가열하여 충분한 온수를 공급하고 이러한 온수를 난방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generation system and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 electricity by using biogas as a fuel for the cogeneration system and simultaneously heat the hot water using the combustion heat and the exhaust gas of the engine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by supplying sufficient hot water and using such hot water as a heating energy sour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열병합발전 방법은 중온수 공급라인과 중온수 회수라인을 순환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이상이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밸브부를 제어하여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온수의 2차 가열을 방지함에 따라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각 구성부품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과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하고,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안전적인 가동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ogeneration system and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t water circulating in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and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i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unit, To prevent the secondary heating of the hot water, thereby maximizing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ogeneration system and preventing the breakage or damage of each component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and maintenance time and to ensure the safe operation of the cogeneration syste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열병합발전 방법은 각 구성부품의 최적의 패키징을 통해 장비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설치용이성을 확보하여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을 감소하고, 설치공간 제약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여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보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cogeneration system and the cogeneration method using the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installation time by securing the ease of installation by reducing the size of the equipment through optimal packaging of each compon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read of the cogeneration system.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열병합발전 방법은 소형화에 따른 설치비용과 제조비용을 감소시켜 보급화를 증가함에 따라 각 농가, 돈사, 축사 등 필요한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유기성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석탄 연료의 사용을 감소시켜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generation system and the cogeneration method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nd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miniaturization and increase the supply, so that they can be easily installed at necessary places such as farmhou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the use of coal fuels and to reduce waste of resources by reducing the use of coal fuel.

도 1은 종래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과정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흐름에 대한 계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주요 구성의 외형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중 폐열회수 열교환부의 열교환과정에 대한 개념도를 나탠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중 폐열회수 열교환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중 폐열회수 열교환부의 플레이트부의 구조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chematic process of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flow of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ternal view of a main configuration of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heat exchange process of a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in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of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late portion of a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of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of a cogeneration method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베개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a prefabricated pillow.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an apparatu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the layers and region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 "and / or" comprising ",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presence of stated elements, Or addi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흐름에 대한 계통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주요 구성의 외형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중 폐열회수 열교환부의 열교환과정에 대한 개념도를 나탠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중 폐열회수 열교환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중 폐열회수 열교환부의 플레이트부의 구조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FIG. 2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flow of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main configuration of a cogeneration system using a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heat exchange process of a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in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in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cros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ructure of a plate portion of a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in a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7 is a flow chart of a cogeneration method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100)은 제습부(10), 역화방지부(11), 가스필터부(12), 가스압력조절부(13), 제1 냉각부(20), 제1 냉각라인(21), 제1 순환펌프부(22), 폐열회수 열교환부(30), SCR(31), 배기가스 열교환부(32), 소음저감부(33), 제2 냉각부(40), 제2 냉각라인(41), 제2 순환펌프부(4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 cogeneration system 100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 to 3, a cigarette cogeneration system 100 using a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humidifying part 10, a backflow prevention part 11, a gas filter part 12, a gas The first circulation pump unit 22, 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 unit 30, the SCR 31,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the first cooling unit 20, the first cooling unit 21, 32, a noise reduction unit 33, a second cooling unit 40, a second cooling line 41, and a second circulation pump unit 4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100)도 상술한 바와 같은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 배기가스 배출라인(2), 과급부(3), 가스혼합부(5), 인터쿨링부(6), 엔진부(7), 발전부(8), 제어부(9)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igarette cogeneration system 100 using the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the biogas supply line 1,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2, the supercharger 3, the gas An intercooling unit 6, an engine unit 7, a power generation unit 8, and a control unit 9, as shown in FIG.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은 별도의 바이오가스 처리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한다. 즉 혐기성 소화조 등에서 유기성 페기물을 소화시켜 발생한 바이오가스가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을 통해 공급된다.The biogas supply line 1 supplies biogas produced by a separate biogas processing unit. That is, the biogas generated by digesting the organic waste in the anaerobic digestion tank is supplied through the biogas supply line 1.

제습부(10)는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 상에 설치되어 바이오가스의 수분을 제거한다. 협기성 소화조를 통하여 연소에 의해 바이오가스가 발생할 때에 온도와 압력이 감소 또는 증가함에 따라서 바이오가스 내에 수증기가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에서 응축되어 액체상태의 응축수가 고여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총괄효율을 급격하게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응축수가 쌓이게 되면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의 벽면에 침적되어 유효공간을 감소시켜 압력손실을 초래하고, 이는 기체 흐름을 불안정하게 하여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전을 저해하게 된다. 즉, 제습부(10)는 바이오가스 전처리 공정의 필수적인 단계로 바이오가스 내부의 수분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제거하여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을 통해 공급함에 따라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part 10 is installed on the biogas supply line 1 to remove moisture of the biogas. As the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decrease or increase when the biogas i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digestion tank through the combustion, the water vapor in the biogas is condensed in the biogas supply line (1) and the condensate of the liquid state is accumulated to increase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cogeneration system . If such condensed water accumulates, it is deposit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biogas supply line 1 to reduce the effective space to cause a pressure loss, which makes the gas flow unstable and hinders stable operation of the cogeneration system. That is, the dehumidifying unit 10 is an essential step in the biogas pretreatment process, and it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cogeneration system by removing moisture in the biogas through various methods and supplying the moisture through the biogas supply line 1 .

역화방지부(11)는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 상에서 제습부(10)와 가스혼합부(5) 사이에 설치되어 바이오가스의 역화를 방지한다. 즉, 역화방지부(11)는 수분이 제거된 바이오가스는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을 통해 공급될 때에 부압되어 화염이 역화하여 폭발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압을 조절하여 역화에 의한 폭발을 방지한다. The backflow prevention part 11 is installed between the dehumidifying part 10 and the gas mixing part 5 on the biogas supply line 1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biogas. That is, when the biogas from which moisture is removed is supplied through the biogas supply line 1, the backflow prevention part 11 controls the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flame is backed up and does not cause an explosion, thereby preventing explosion by backfire .

가스필터부(12)는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 상에서 역화방지부(11)와 가스혼합부(5) 사이에 설치되어 역화방지부(11)를 통과한 바이오가스를 여과한다. 즉, 가스필터부(12)는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을 통해 공급되는 바이오가스 내부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이를 가스혼합부(5)로 공급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엔진부(7)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gas filter unit 12 is installed between the inverted portion 11 and the gas mixing unit 5 on the biogas supply line 1 and filters the bio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verted portion 11. [ That is, the gas filter unit 12 filters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biogas supplied through the biogas supply line 1 and supplies the filtered impurities to the gas mixing unit 5, Can be increased.

가스압력조절부(13)는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 상에서 가스필터부(12)와 가스혼합부(5)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필터부(12)를 통과한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조절한다. 즉, 가스압력조절부(13)는 제어부(9)의 제어에 의해 가스필터부(12)를 통과한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기준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바이오가스를 감압 또는 가압하여 일정하게 압력을 유지한 상태로 가스혼합부(5)에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고,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The gas pressure regulating unit 13 is disposed between the gas filter unit 12 and the gas mixing unit 5 on the biogas supply line 1 to regulate the pressure of the bio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as filter unit 12. In other words, the gas pressure regulating section 13 regulates or pressurizes the biogas such that the pressure of the biogas passing through the gas filter section 12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pressur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ction 9, To the gas mixing section 5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and increas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ogeneration system.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100)은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 상에서 가스압력조절부(13)와 가스혼합부(5) 사이에 설치되는 비상밸브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a biogas-based co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ogas supply line 1, a gas pressure regulator 13, and a gas mixer 5, And an emergency valve unit 14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비상밸브부(14)는 가스압력조절부(13)를 통과하여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을 통해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의 온도, 압력이 기준온도나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불순물이 소정량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부(9)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에서 가스혼합부(5)로의 유로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가스혼합부(5)에서 엔진부(7)로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인사사고를 예방하고,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biogas supplied through the biogas supply line (1) through the gas pressure regulating part (13) exceeds the reference temperature or the reference pressure, or when the impurities exceed the predetermined amount The flow of the gas from the biogas supply line 1 to the gas mixing section 5 is closed. Accordingly, supply of fuel to the engine section 7 from the gas mixing section 5 is blocke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ereby preventing personnel accidents and maximizing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cogeneration system.

과급부(3)는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의 배기가스를 압축하여 공급한다. 또한, 과급부(3)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하여 가스혼합부(5)로 공급한다. 과급부(3)에 의해 엔진부(7)의 출력이 극대화되어 에너지효율과 총괄효율이 증가된다.The supercharger 3 compresses and supplies the exhaust gas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The supercharger 3 also compresse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it to the gas mixer 5. [ The output of the engine section 7 is maximized by the supercharging section 3, so that the energy efficiency and the overall efficiency are increased.

가스혼합부(5)는 과급부(3)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와 에어필터부(4)를 통과하여 유입된 외부공기를 혼합한다. 에어필터부(4)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불순물이 제거되어 혼합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부(7)의 효율을 증가시킨다.The gas mixing section 5 mixes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supercharging section 3 and the introduced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section 4. [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unit 4 is removed from the impurities and the efficiency of the engine unit 7 using the mixed gas as fuel is increased.

인터쿨러부(6)는 가스혼합부(5)를 통해 혼합된 혼합가스를 냉각한다. 즉, 인터쿨러부(6)는 과급부(3)를 통해 혼합가스의 온도가 증가하여 고온상태로 엔진부(7)로 공급되어 연소할 경우 엔진부(7)의 연소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엔진부(7)가 과열되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온상태의 혼합가스를 냉각시켜 혼합공기의 밀도를 높이고 일정온도를 유지한 상태의 혼합가스가 엔진부(7)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tercooler section (6) cools the mixed gas mixed through the gas mixing section (5). That is, the intercooler unit 6 prevents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engine unit 7 from being reduc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gas is increased through the supercharger 3 and supplied to the engine unit 7 at a high temperature to be burned , The mixed gas in a high temperature state is cooled to prevent the engine part 7 from being overheated and damaged or broken, thereby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mixed air and maintaining the constant temperature. So as to cool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gas.

제1 냉각부(20)가 인터쿨러부(6)를 냉각한다.The first cooling section 20 cools the intercooler section 6.

인터쿨러부(6)와 제1 냉각부(20)는 제1 냉각라인(21)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제1 냉각라인(21)의 일측이 인터쿨러부(6)에 연결되고, 제1 냉각라인(21)의 타측이 제1 냉각부(20)에 연결된다.The intercooler section (6) and the first cooling section (20) are connected by a first cooling line (21). That is, one side of the first cooling line 21 is connected to the intercooler unit 6,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oling line 2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oling unit 20.

제1 순환펌프부(22)는 제1 냉각라인(21)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제1 냉각라인(21) 상에 설치된다. The first circulation pump section 22 is installed on the first cooling line 21 for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first cooling line 21.

엔진부(7)는 인터쿨러부(6)를 통과한 혼합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한다.The engine unit 7 drives the mixed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tercooler unit 6 as fuel.

제2 냉각부(40)는 엔진부(7)를 냉각한다.The second cooling section 40 cools the engine section 7.

엔진부(7)와 제2 냉각부(40)는 제2 냉각라인(41)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제2 냉각라인(41)의 일측이 엔진부(7)에 연결되고, 제2 냉각라인(41)의 타측이 제2 냉각부(40)에 연결된다. The engine section (7) and the second cooling section (40) are connected by the second cooling line (41). That is, one side of the second cooling line 41 is connected to the engine section 7,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oling line 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oling section 40.

제2 순환펌프부(42) 제2 냉각라인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제2 냉각라인(41) 상에 설치된다. The second circulation pump unit 42 is installed on the second cooling line 41 for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flowing inside the second cooling lin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터쿨러부(6)와 엔진부(7)의 냉각을 위한 제1, 2 냉각부(20, 40)와 제1, 2 순환펌프부(22, 42)는 제1, 2 냉각라인(21, 41)과의 각각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엔진부(7)의 상단에 배치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100)의 엔클로져 하우징에서 제1, 2 순환펌프부(22, 42)가 엔진부(7)의 상단에 배치된 인터쿨러부(6)와 엔진부(7)에 직접적으로 제1, 2 냉각라인(21, 41)이 연결되어 인터쿨러부(6)와 엔진부(7)의 과열시 이를 냉각하게 되면 냉각이 완료되어 가열된 냉각수가 엔클로져의 상부에 배치된 제1, 2 냉각부(20, 40)로 배관을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100)은 최적화에 의한 소형화를 도모하여 설치용이성과 설치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제조비용과 설치비용 감소에 의해 보급률을 증가시켜 자원낭비를 방지하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2 and 3,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units 20 and 40 for cooling the intercooler unit 6 and the engine unit 7, the first and second circulation pumps 20 and 40, The sections 22 and 42 ar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engine section 7 so as to facilitate conne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lines 21 and 41, respectively. 3, in the enclosure housing of the cogeneration system 100 using biogas, the first and second circulation pump units 22 and 42 are connected to an intercooler unit 6 And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lines 21 and 41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engine unit 7 and the engine unit 7 to cool the intercooler unit 6 and the engine unit 7 when the intercooler unit 6 and the engine unit 7 are overheated, The piping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units 20 and 4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closure. Accordingly, the cogeneration system 100 using the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by optimiz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convenience, increasing the penetration rate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stallation cost, The environment can be protected.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냉각부(20)와 제2 냉각부(40)는 라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라디에이터는 핀과 튜브 구조의 수냉식 타입으로 내부코어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통로인 냉각수 튜브와 냉각수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튜브와 튜브 사이에 냉각핀으로 구성되고, 열전도율이 종ㅎ은 동 재질튜브와 알루미늄 재질의 냉각핀으로 형성된다. 냉각수가 유입, 방출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라디에이터 후단에 부착되어 있는 노즐에 냉각라인을 연결하여 순환펌프부이 구동에 의해 순환되도록 한다. 이러한 라디에이터는 팬에 의해 외부로 열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므로 엔클로져의 상부 외측에 배치되게 설치된다.The first cooling unit 20 and the second cooling unit 40 may be made of a radiator. This radiator is a water-cooled type of fin and tube structure. The inner core is composed of a cooling water tube,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circulates, and a cooling pin, between the tube and the tube so as to efficiently discharge the heat of the cooling water. It is made of material tube and aluminum cooling pin. The cooling line is connected to the nozzle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radiator so as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cooling wate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nd circulated by the circulation pump part. Such a radiator is installed so as to be disposed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enclosure since it continuously discharges heat to the outside by the fan.

또한, 제어부(9)는 제1 냉각라인(21)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제2 냉각라인(41)을 순환하는 냉각수보다 저온이 되도록 제1 냉각부(20)와 제1 순환펌프부(22) 및 제2 냉각부(40)와 제2 순환펌프부(42)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열병합발전 시스템(100)의 효율이 증가되고,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며, 후술하는 배기가스 열교환부(32)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에 의해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9 controls the first cooling unit 20 and the first circulation pump unit 22 so that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line 21 is lower in temperature than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second cooling line 41,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oling section (40) and the second circulation pump section (42). Accordingly, efficiency of the cogeneration system 100 is increased, unnecessary energy waste is prevented, and heating can be performed by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2 냉각라인(21)에는 공공용수(수도)가 연결되어 냉각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Public water (water)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lines 21 so that the cooling water can be easily supplied.

발전부(8)는 엔진부(7)의 구동축에 연결 설치되어 전기를 생산한다.The power generation section 8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engine section 7 to produce electricity.

제어부(9)는 이러한 바이오가스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어부(9)는 현재 운영상태, 혼합가스 온도, 압력, 후술하는 중온수 회수라인과 중온수 공급라인을 순환하는 온수의 온도, 압력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각종 버튼부가 구비된 조작반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 controls the biogas cogeneration system as a whole. The control unit 9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e, the mixed gas temperature, the pressure,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hot water circulating in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And an operation panel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폐열회수 열교환부(30)는 엔진부(7)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중온수 공급라인(51)에 의해 공급되는 온수를 1차적으로 가열한다.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 unit 30 primarily heats the hot water supplied by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51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unit 7.

SCR(31)은 엔진부(7)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엔진부(7)의 배기가스 배출라인(2) 상에 설치된다. SCR은 각 국가별로 요구하는 환경규제에 따라 발행하는 질소산화물과 기타 대기 유해물질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킨다.The SCR 31 is installed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2 of the engine section 7 for purifying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ngine section 7. SCR selectively reduces nitrogen oxides and other atmospheric hazardous substances issu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required by each country.

엔진부(7)에서 혼합가스를 연소하여 엔진부(7)의 열효율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지만 대략 절반이상이 대기로 열에 의해 방출된다. 이러한 열을 폐열회수 열교환부(30)와 배기가스 열교환부(32)가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거나 가열된 온수로 필요한 곳에 난방을 수행하여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한다.The mixture gas is burned in the engine section 7 to produce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engine section 7, but approximately half or more is released by heat to the atmosphere. 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 unit 30 and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 unit 32 heat such heat to supply hot water by heating water or to heat the hot water where necessary,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cogeneration system.

배기가스 열교환부(32)는 SCR(31)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의해 폐열회수 열교환부(31)를 통해 1차적으로 가열된 온수를 2차로 가열하고 중온수 회수라인(52)을 통해 2차로 가열된 온수를 배출하도록 배기가스 배출라인(2) 상에 설치된다.The exhaust gas heat exchanging unit 32 heats the hot water primarily heated through the waste heat recovering heat exchanging unit 31 by the exhaust gas passed through the SCR 31 to a second order through the medium temperature recovery line 52, And is installed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2) to discharge heated hot water.

소음저감부(33)가 배기가스 열교환부(32)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배기가스 배출라인(2)의 선단에 설치된다.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100)의 최적화에 따른 소형화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소음저감부(33)는 엔클로져의 외측 상부 선단에 설치될 수 있다. 소음저감부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환경규제 등에 대한 조건을 용이하게 충족할 수 있다.The noise reducing section 33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2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heat exchanging section 32.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cogeneration system 100 using the biogas, the noise reduction unit 33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enclosure,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by the noise reduction unit,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and to easily meet the conditions for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the like.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거나 엔클로져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기 위해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엔클로져 하우징의 일부에 배기팬(34)이 설치될 수 있다.2 and 3, an exhaust fan 34 may be installed in a part of the enclosure housing of the cogeneration system to introduce air into the cogeneration system or to allow air to flow out of the enclosur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및 열병합발전 방법은 바이오가스를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동시에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엔진부의 연소열과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온수를 이중으로 가열하여 충분한 온수를 공급하고 이러한 온수를 난방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 구성부품의 최적의 패키징을 통해 장비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설치용이성을 확보하여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을 감소하고, 설치공간 제약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여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보급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ogeneration system and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 electricity by using the biogas as the fuel of the cogeneration system, and simultaneously generate heat by using the combustion heat and the exhaust gas of the engine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To provide sufficient hot water and to use this hot water as a heating energy source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By optimizing the packaging of each compon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equipment, And solve the problem due to the installation space limitation, thereby increasing the spread of the cogeneration system.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100)은 밸브부(50), 중온수 감지부(53), 및 바이패스라인(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biogas-based co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alve unit 50, a cold water sensing unit 53, and a bypass line 54 can do.

밸브부(50)는 배기가스 배출라인(2) 상에서 SCR(31)과 배기가스 열교환부(32) 사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부(50)는 3방 밸브(3 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3방 밸브는 전동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어 제어부(8)의 신호에 따라 3방의 개폐(OPEN/CLOSE)를 제어한다.The valve portion 50 is installed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2 between the SCR 31 and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 portion 32. Preferably, the valve portion 50 may be formed of a three-way valve. The three-way valve is formed of a motor-operated valve or a solenoid valve, and controls three (3) open / close (open / close) of the three-way valv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8.

중온수 온도감지부(53)는 중온수 공급라인(51)과 중온수 회수라인(52) 상에 설치되어 중온수 공급라인(51)과 중온수 회수라인(52)의 내부를 유동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중온수 온도감지부(53)는 온도감지센서로 형성되고, 제어부(8)와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detection unit 53 i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51 and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52 and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flowing in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51 and the intermediate- Measure the temperature.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sensor 53 is formed of a temperature sensor and can transmit signals to the controller 8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바이패스라인(54)의 일측은 밸브부(50)와 연결되고, 바이패스라인(54)의 타측은 배기가스 열교환부(32)와 소음저감부(33) 사이에서 배기가스 배출라인(2)과 연결되게 설치된다.One side of the bypass line 54 is connected to the valve unit 50 and the other side of the bypass line 54 is connected to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2 between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 unit 32 and the noise reduction unit 33. [ As shown in FIG.

제어부(9)는 중온수 온도감지부(53)의 측정결과 중온수 회수라인(52)을 유동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SCR(31)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열교환부(3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바이패스라인(54)이 개방되도록 밸브부(5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9 controls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32 so that exhaust gas having passed through the SCR 31 is exhausted to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32 when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mediate- And controls the valve unit 50 so that the bypass line 54 is opened.

또한, 제어부(9)는 중온수 온도감지부(53)의 측정결과 중온수 회수라인(52)을 유동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SCR(31)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열교환기(32)로 유입되고, 바이패스라인(54)이 폐쇄되도록 밸브부(50)를 제어한다.When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collection line 52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by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sensor 53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9 controls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CR 31 to flow into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32, and controls the valve unit 50 so that the bypass line 54 is closed.

즉, 중온수 온도감지부(53)의 측정결과 중온수 회수라인(52)을 유동하는 온수가 150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9)의 제어신호에 의해 밸브부(50)가 작동하여 배기가스 열교환부(32)의 유동라인을 차단하고 바이패스라인(54)을 개방하여 SCR(31)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소음저감부(33)를 거쳐 바로 외부로 배출된다. 중온수 온도감지부(53)의 측정결과 중온수 회수라인(52)을 유동하는 온수가 150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9)의 제어신호에 의해 밸브부(50)가 작동하여 배기가스 열교환부(32)와의 연결을 개방하고, 바이패스라인(54)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SCR(31)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열교환부(32)로 유입되어 중온수와 2차 열교환을 하고, 2차 열교환되어 가열된 중온수가 중온수 회수라인(52)을 통해 온수로 공급되어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고, 각 구성부품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과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하여 보급률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52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detection unit 53 is 150 degrees or more, the valve unit 50 is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9, The flow line of the unit 32 is shut off and the bypass line 54 is opened to exhaust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CR 31 directly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ise reduction unit 33. When the hot water flowing in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52 is less than 150 degree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detection unit 53, the valve unit 50 is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9 to operate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 unit 32, and cuts off the bypass line 54. In this way, Accordingly, the exhaust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CR 31 flows into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 unit 32 to perform secondary heat exchange with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and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heated by the secondary heat exchange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supply lin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and to ensur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ogeneration system and to prevent breakage or damage of each component,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and maintenance time, thereby increasing the penetration rate.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100)의 폐열회수 열교환부(30)는 제1 고정 프레임부(310), 제2 고정 프레임부(320), 플레이트부(330), 상부 가이드바(340), 하부 가이드바(350), 지지 프레임부(360), 및 체결볼트(370)를 포함한다.4 to 6, 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30 of the cigarette cogeneration system 100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xed frame part 310, A plate portion 330, an upper guide bar 340, a lower guide bar 350, a support frame portion 360, and a fastening bolt 370.

제1 고정 프레임부(310)는 제2 고정 프레임부(320)와 함께 후술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부(33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제2 고정 프레임부(320)와의 체결볼트(370)에 의해 다수의 플레이트(330)를 지지한다.The first fixing frame part 3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plurality of plate parts 330 to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second fixing frame part 320 and is fastened with a fastening bolt 370 to the second fixing frame part 320 And supports a plurality of plates 330.

제2 고정 프레임부(320)는 제1 고정 프레임부(320)와 마주하면서 평행하도록 다수의 플레이트부(330)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제1 고정 프레임부(320)와의 체결볼트(370)에 의해 다수의 플레이트(330)를 지지한다.The second fixing frame part 3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plate parts 33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fixing frame part 320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370 with the first fixing frame part 320 Thereby supporting a plurality of plates 330. [

플레이트부(330)는 전도율이 높은 금속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고정 프레임부(310)와 제2 고정 프레임부(320) 사이에 다수개가 적층되어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플레이트부(330)에는 열전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와 각도를 갖는 파형부(331)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인접한 플레이트부(330)는 파형부(331)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유체가 플레이트부에 고르게 분배되어 난류를 형성하면서 항류운동을 하여 열교환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The plate portion 3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metal plate having high conductivity,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plate portion 310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320 are stacked. 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plate portions 330 is formed with a corrugated portion 331 having various shapes and angles to improve the heat conduction efficiency. As shown in FIG. 4, the adjacent plate portions 330 are installed such that the directions of the corrugated portions 331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As a result, the fluid passing through it is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plate portion, forming a turbulent flow, and performing the anti-current motion, there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플레이트부(330)는 중안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상부에 고온 유체 유입구(332)와 그 하부에 고온 유체 유출구(333)가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부(330)는 고온 유체 유입구(332)와 고온 유체 유출가(333)와 마주하면서 평행하도록 중앙선을 기준으로 타측의 상부에 저온 유체 유출구(335)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저온 유체 유입구(334)가 형성된다. 즉, 플레이트부(330)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총 2개의 유입구와 2개의 유출구가 형성되어 유체가 순환하면서 플레이트부의 파형부(331)에 의해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 the plate portion 330 has a high-temperature fluid inlet 332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high-temperature fluid outlet 333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The plate portion 330 is formed with a low temperature fluid outlet 335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high temperature fluid inlet 332 and the high temperature fluid outlet 333, (334) is formed. That is, a total of two inlets and two outlets are formed on the center line of the plate portion 330 to perform heat exchange by the corrugated portion 331 of the plate portion while circulating the fluid.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폐열회수 열교환부(30)의 플레이트부(330)는 고온 유체 유입구(332)와 저온 유체 유입구(334)는 서로 상부와 하부에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고온 유체 유입구(332)와 저온 유체 유입구(334)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인접한 플레이트부(300) 간에 파형부(331)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에 따라 플레이트부(330)를 통한 열교환 효율이 극대화된다.6, the plate portion 330 of 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30 of the cigarett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gh temperature fluid inlet 332 And the low-temperature fluid inlet 334 are provided so as to be stagger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Since the high-temperature fluid inlet 332 and the low-temperature fluid inlet 334 are staggered and the corrugated portion 331 is staggered between adjacent plate portions 300,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through the plate portion 330 Is maximized.

도 6에서 고온 유체 유입구와 유출구(332, 333)이 플레이트부(330)의 좌측에서 고온 유체 유입구(332)가 플레이트부(33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고, 저온 유체 유입구와 유출구(334, 335)가 플레이트부(330)의 우측에서 저온 유체 유입구(334)가 플레이트부(330)의 우측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 등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변형될 수 있다.In Figure 6, the hot fluid inlets and outlets 332 and 333 ar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late portion 330 at the left side of the plate portion 330 and the hot fluid inlets 332 are at the upper left side of the plate portion 330 and the cold fluid inlets and outlets 334 and 335 The low temperature fluid inflow port 334 is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plate portion 330 and the low temperature fluid inflow port 334 is dispos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plate portion 3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ke.

또한, 플레이브부(330)에는 가스켓이 결합되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한다.In addition, the gasket is coupled to the plate portion 330 to completely prevent the flui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제1 고정 프레임부(310)와 제2 고정 프레임부(320)와 마주하면서 평행하면서 제2 고정 프레임부(320)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 프레임부(360)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부(36)와 제2 고정 프레임부(320)는 상부 가이드바(340)와 하부 가이드바(350)에 의해 결합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부(360)와 상부 가이드바(340)와 하부 가이드바(350)에 의해 플레이트부(330)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part 360 is install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fixed frame part 310 and the second fixed frame part 320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ed frame part 3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upport frame portion 36 and the second fixed frame portion 320 are coupled by the upper guide bar 340 and the lower guide bar 350. The plate portion 330 can be firmly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portion 360, the upper guide bar 340 and the lower guide bar 350 to maintain durability.

체결볼트(370)는 상술한 제1 고정 프레임부(310)와 제2 고정 프레임부(320)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제1 고정 프레임부(310)와 제2 고정 프레임부(320)를 결합 고정한다.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370 ar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frame portions 310 and 320 to fasten the first fastening frame portion 310 and the second fastening frame portion 320 together, do.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폐열회수 열교환부(30)가 판형 열교환기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파형부와 고온 유체 유입구와 유출구, 저온 유체 유입구와 유출구의 배치 형태에 의해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함에 따라 전체적인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ing part 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 heat exchanging part 30 is heat exchang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rrugated part, the hot fluid inlet and outlet, As the efficiency is maximized,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cogeneration system can be improved.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a method of cogeneration using bio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바이오가스 공급라인을 통해 별도의 바이오가스 처리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한다.And supplies biogas produced by a separate biogas processing unit through a biogas supply line.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1) 이후에, 제습부에서 공급된 바이오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After the step (S1) of supplying the biogas, moisture contained in the biogas supplied from the dehumidifying part is removed.

바이오가스 수분 제거 단계(S2) 이후에, 역화방지부에서 수분이 제거된 바이오가스의 역화를 방지하기 위해 바이오가스의 부압을 조절한다.After the biogas moisture removal step (S2),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biogas is controlled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biogas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from the backfill section.

바이오가스 역화방지 단계(S3) 이후에, 가스필터부에서 부압이 조절된 바이오가스를 여과한다.After the biogas backfill prevention step (S3), the biogas whose negative pressure is regulated in the gas filter section is filtered.

바이오가스 여과 단계(S4) 이후에, 가스압력조절부에서 여과된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기준압력으로 유지한다. After the biogas filtration step (S4), the pressure of the biogas filtered in the gas pressure regulator is maintained at the reference pressure.

바이오가스 압력조절 단계(S5) 이후에, 과급부에서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의 배기가스를 압축하여 공급한다. After the biogas pressure regulation step (S5), the supercharger compresses and supplies the exhaust gas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상술한 바이오가스 수분 제거 단계(S2), 바이오가스 역화방지 단계(S3), 바이오가스 여과 단계(S4), 바이오가스 압력조절 단계(S5)는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전처리하는 공정을 구성한다.The biogas moisture removal step S2, the biogas backfill prevention step S3, the biogas filtration step S4, and the biogas pressure control step S5 constitute a step of pretreating the produced biogas.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이오가스 압력조절 단계(S5) 이후에 비상밸브부(14)에 의해 가스압력조절부(13)를 통과하여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을 통해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의 온도, 압력이 기준온도나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불순물이 소정량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부(9)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바이오가스 공급라인(1)에서 가스혼합부(5)로의 유로를 폐쇄하는 비상조절 단계(S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혼합부(5)에서 엔진부(7)로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인사사고를 예방하고,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7, after the biogas pressure regulating step S5, the biogas gas supplied through the biogas supply line 1 through the gas pressure regulating part 13 by the emergency valve part 14 When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exceed the reference temperature or the reference pressure or when the impurities exceed the predetermined amount, it is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control section 9 to change the flow rate from the biogas supply line 1 to the gas mixing section 5 (S5-1). Accordingly, supply of fuel to the engine section 7 from the gas mixing section 5 is blocke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ereby preventing personnel accidents and maximizing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cogeneration system.

배기가스 압축 공급하는 단계(S7) 이후에, 가스혼합부에서 압축된 압축공기와 에어필터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외부공기를 혼합한다.After the exhaust gas compression and supply step (S7), the compressed air compressed by the gas mixing section and the external air passed through the air filter section are mixed.

가스혼합 단계(S8) 이후에, 인터쿨러부에서 혼합가스를 냉각한다.After the gas mixing step (S8), the intercooler portion cools the gas mixture.

혼합가스 냉각 단계(S9) 이후에, 엔진부에서 혼합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하고, 상기 엔진부의 구동축에 연결 설치되는 발전부를 통해 전기를 생산한다.After the mixed gas cooling step (S9), a mixed gas is used as fuel in the engine section, and electricity is generated through the generator section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engine section.

엔진부 구동 및 전기 생산 단계(S9) 이후에, 엔진부를 냉각한다.After the engine part drive and electricity production step (S9), the engine part is cooled.

엔진부 냉각 단계(S10) 이후에, 폐열회수 열교환부에서 상기 엔진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중온수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1차적으로 가열한다.After the engine section cooling step (S10), the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is primarily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section in 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 section.

온수 1차 가열하는 단계(S11) 이후에, SCR에서 엔진부의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한다.After the hot water first heating step (S11),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ngine part is cleaned in the SCR.

배기가스 정화 단계(S12) 이후에, 제어부가 중온수 온도감지부의 측정결과 중온수 회수라인을 유동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열교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바이패스라인이 개방되도록 밸브부를 제어하고, 중온수 회수라인을 유동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열교환기로 유입되고, 바이패스라인이 폐쇄되도록 밸브부를 제어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은 중온수 공급라인과 중온수 회수라인을 순환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이상이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밸브부를 제어하여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온수의 2차 가열을 방지함에 따라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각 구성부품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과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하고,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안전적인 가동을 도모할 수 있다.After the exhaust gas purifying step (S12),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s a result of measurement by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sensing unit,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C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exhaust gas heat- The valve unit is controlled to open the pass line, and when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return lin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CR flows into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and the valve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bypass line is clos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ogeneration method using bio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t water circulating in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and the intermediat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i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unit, By preventing the secondary heating, it maximizes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ogeneration system and prevents the damage or damage of each component parts,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and maintenance time, and enabling safe operation of the cogeneration system .

배기가스 바이패스 결정단계(S13)에 의해 바이패스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배기가스 정화 단계(S12) 이후에, 배기가스 열교환부에서 상기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폐열회수 열교환부를 통해 1차적으로 가열된 온수를 2차로 가열하고 중온수 회수라인을 통해 최종 가열된 온수를 배출한다.When the exhaust gas is not bypassed by the exhaust gas bypass determination step S13, after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step (S12), exhaust gas having passed through the SCR in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performs primary And then discharges the finally heated hot water through the medium-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온수를 2차 가열하는 단계(S14) 이후에, 소음저감부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소음이 저감시킨다.After the second step of heating the hot water (S14), the noise reduction unit reduces the noise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 unit.

배기가스 소음저감 단계(S15) 이후에, 소음저감부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After the exhaust gas noise reduction step (S15), the exhaust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noise reduction sec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배기가스 배출 단계(S16) 이후에 팬을 통해 배기가스가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엔클로져 외부로 배기팬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된다.After the exhaust gas discharging step (S16), the exhaust gas is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fan to the outside of the enclosure of the cogeneration system through the exhaust fan.

인터쿨러부에서 혼합가스를 냉각하는 단계(S8)는 제1 순환펌프부에 의해 제1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로 제1 냉각부를 통해 냉각한다.The step (S8) of cooling the mixed gas in the intercooler section cools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e first cooling line by the first circulation pump section through the first cooling section.

엔진부를 냉각하는 단계(S10)는 제2 순환펌프부에 의해 제2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로 제2 냉각부를 통해 냉각한다.The step S10 of cooling the engine part cools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e second cooling line by the second circulation pump part through the second cooling part.

이때에,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상기 제2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보다 저온이 되도록 상기 제1 냉각부와 상기 제1 순환펌프부 및 상기 제2 냉각부와 상기 제2 순환펌프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발상된 전기사용량을 최소로 유지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각 구성부품의 최적의 패키징을 통해 장비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설치용이성을 확보하여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을 감소하고, 설치공간 제약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여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보급을 증대시키며, 유기성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석탄 연료의 사용을 감소시켜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ooling unit, the first circulation pump unit, the second cooling unit, and the second cooling unit so that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line is lower in temperature than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second cooling lin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s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keeping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to a minimum,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cogeneration system, to minimize the size of the equipment through optimum packaging of each compon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solve the problems due to the installation space limitation, increase the spread of the cogeneration system,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the organic waste, reduce the use of coal fuel, and prevent resource wast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바이오가스 공급라인, 2 : 배기가스 배출라인,
3 : 과급부, 4 : 에어필터부,
5 : 가스혼합부, 6 : 인터쿨러부,
7 : 엔진부, 8 : 발전부,
9 : 제어부, 10 : 제습부,
11 : 역화방지부, 12 : 가스필터부,
13 : 가스압력조절부, 14 : 비상밸브부,
20 : 제1 냉각부, 21 : 제1 냉각라인,
22 : 제1 순환펌프부, 30 : 폐열회수 열교환부,
31 : SCR, 32 : 배기가스 열교환부,
33 : 소음저감부, 34 : 배기팬,
40 : 제2 냉각부, 41 : 제2 냉각라인,
42 : 제2 순환펌프부, 50 : 밸브부,
51 : 중온수 공급라인, 52 : 중온수 회수라인,
53 : 중온수 온도감지부, 54 : 바이패스라인.
1: biogas supply line, 2: exhaust gas discharge line,
3: supercharger, 4: air filter,
5: gas mixing part, 6: intercooler part,
7: engine section, 8: power generating section,
9: control unit, 10: dehumidifying unit,
11: reverse side branch portion, 12: gas filter portion,
13: gas pressure regulating part, 14: emergency valve part,
20: first cooling section, 21: first cooling line,
22: first circulation pump unit, 30: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 unit,
31: SCR, 32: exhaust gas heat exchanger,
33: Noise reduction section, 34: Exhaust fan,
40: second cooling section, 41: second cooling line,
42: second circulation pump unit, 50: valve unit,
51: medium-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52: medium-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53: Heavy water temperature detection unit, 54: Bypass line.

Claims (7)

별도의 바이오가스 처리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바이오가스 공급라인과,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의 배기가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과급부와, 상기 과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와 에어필터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외부공기를 혼합하는 가스혼합부와, 상기 가스혼합부를 통해 혼합된 혼합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인터쿨러부와, 상기 인터쿨러부를 통과한 혼합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하는 엔진부와, 상기 엔진부의 구동축에 연결 설치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가스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바이오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
상기 바이오가스 공급라인 상에서 상기 제습부와 상기 가스혼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바이오가스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방지부;
상기 바이오가스 공급라인 상에서 상기 역화방지부와 상기 가스혼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역화방지부를 통과한 바이오가스를 여과하는 가스필터부;
상기 바이오가스 공급라인 상에서 상기 가스필터부와 상기 가스혼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필터부를 통과한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가스압력조절부;
상기 인터쿨러부를 냉각하기 위한 제1 냉각부;
일측이 상기 인터쿨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냉각부에 연결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1 순환펌프부;
상기 엔진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중온수 공급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온수를 1차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폐열회수 열교환부;
상기 엔진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상기 엔진부의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SCR;
상기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폐열회수 열교환부를 통해 1차적으로 가열된 온수를 2차로 가열하고 중온수 회수라인을 통해 2차로 가열된 온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배기가스 열교환부;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배기가스 배출라인의 선단에 설치되는 소음저감부;
상기 엔진부를 냉각하기 위한 제2 냉각부;
일측이 상기 엔진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냉각부에 연결되는 제2 냉각라인; 및
상기 제2 냉각라인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2 순환펌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A biogas supply line for supplying biogas produced by a separate biogas processing unit; a supercharger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exhaust gas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An intercooler for cooling the mixed gas mixed through the gas mixer, an engine for driving the mixed gas passing through the intercooler as fuel,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 dehumidifier disposed on the biogas supply line to remove moisture of the biogas;
A reverse osmosis part installed between the dehumidifying part and the gas mixing part on the biogas supply line to prevent backflow of the biogas;
A gas filter unit disposed between the backflow prevention part and the gas mixing part on the biogas supply line and filtering the bio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ackflow prevention part;
A gas pressure regulat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gas filter unit and the gas mixing unit on the biogas supply line to regulate the pressure of the bio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as filter unit;
A first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intercooler unit;
A first cooling lin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intercooler pa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oling part;
A first circulation pump unit installed on the first cooling line for circulating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first cooling line;
A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for primarily heating the hot water supplied by the hot water supply line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engine;
An SCR disposed on an exhaust gas discharge line of the engine for purifying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ngine;
An exhaust gas exhaust line disposed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to heat the hot water primarily heated through 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by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CR, and to discharge the hot water, which is secondarily heated through the intermediate- A gas heat exchanger;
A noise reduction unit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to reduce nois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A second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engine unit;
A second cooling lin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engine uni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cooling unit; And
And a second circulation pump unit installed on the second cooling line for circulating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second cooling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상기 제2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보다 저온이 되도록 상기 제1 냉각부와 상기 제1 순환펌프부 및 상기 제2 냉각부와 상기 제2 순환펌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ooling unit, the first circulation pump unit, the second cooling unit, and the second circulation pump such that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line is lower in temperature than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second cooling lin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에서 상기 SCR과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부;
상기 중온수 공급라인과 상기 중온수 회수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중온수 공급라인과 상기 중온수 회수라인의 내부를 유동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중온수 온도감지부; 및
일측은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와 상기 소음저감부 사이에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라인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바이패스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valve disposed between the SCR and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A middle-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middl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and the middl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hot water flowing in the middle-temperature water supply line and the middle-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And
And a bypass line connected to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between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and the noise reduction unit, wherein the bypass line is connected to the valve unit, and the bypass line is connected to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Power genera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온수 온도감지부의 측정결과 상기 중온수 회수라인을 유동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온수 온도감지부의 측정결과 상기 중온수 회수라인을 유동중인 온수가 소정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기로 유입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이 폐쇄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stops the flow of the exhaust gas having passed through the SCR to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when the warm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by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unit so tha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so that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CR flows into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when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by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valve unit is controlle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바이오가스 공급라인을 통해 별도의 바이오가스 처리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과급부에서 배기가스 배출라인 상의 배기가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단계;
가스혼합부에서 압축된 압축공기와 에어필터부를 통과하여 유입된 외부공기를 혼합하는 단계;
인터쿨러부에서 혼합가스를 냉각하는 단계;
엔진부에서 혼합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하고, 상기 엔진부의 구동축에 연결 설치되는 발전부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상기 엔진부를 냉각하는 단계;
폐열회수 열교환부에서 상기 엔진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중온수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1차적으로 가열하는 단계;
SCR에서 상기 엔진부의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단계;
배기가스 열교환부에서 상기 SCR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폐열회수 열교환부를 통해 1차적으로 가열된 온수를 2차로 가열하고 중온수 회수라인을 통해 최종 가열된 온수를 배출하는 단계; 및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쿨러부에서 혼합가스를 냉각하는 단계는 제1 순환펌프부에 의해 제1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로 제1 냉각부를 통해 냉각하고,
상기 엔진부를 냉각하는 단계는 제2 순환펌프부에 의해 제2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로 제2 냉각부를 통해 냉각하되,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상기 제2 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보다 저온이 되도록 상기 제1 냉각부와 상기 제1 순환펌프부 및 상기 제2 냉각부와 상기 제2 순환펌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
Supplying biogas produced in a separate biogas processing unit through a biogas supply line;
Compressing and supplying the exhaust gas o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in the supercharger;
Mixing the compressed air compressed in the gas mixing unit and the outside air passed through the air filter unit and flowing in;
Cooling the mixed gas in the intercooler section;
Generating electricity through a power generation unit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engine unit using a mixed gas as a fuel in an engine unit;
Cooling the engine section;
Heating the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line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unit in the waste heat recovery heat exchanger;
Purifying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ngine unit in the SCR;
Heating the hot water primarily heated through the waste heat recovering heat exchanger by the exhaust gas passed through the SCR in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and discharging the finally heated hot water through the low temperature water recovery line; And
And exhausting the exhaust gas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Wherein the step of cooling the mixed gas in the intercooler part comprises cooling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line by the first circulation pump part through the first cooling part,
Wherein the step of cooling the engine unit is performed by cooling the second cooling unit with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second cooling line by the second circulation pump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ooling unit and the first circulation pump unit, the second cooling unit, and the second circulation pump unit so that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line is lower in temperature than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second cooling line.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is controll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제습부에서 공급된 바이오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역화방지부에서 수분이 제거된 바이오가스의 역화를 방지하기 위해 바이오가스의 부압을 조절하는 단계;
가스필터부에서 부압이 조절된 바이오가스를 여과하는 단계; 및
가스압력조절부에서 여과된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기준압력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step of supplying the biogas,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biogas supplied from the dehumidifying part;
Adjusting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biogas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biogas from which water has been removed from the backfill section;
Filtering the biogas whose negative pressure is controlled by the gas filter unit; And
And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biogas filtered by the gas pressure regulator at a reference press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를 2차로 가열하고 중온수 회수라인을 통해 최종 가열된 온수를 배출하는 단계 이후에,
소음저감부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부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소음이 저감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fter the step of heating the hot water secondarily and discharging the finally heated hot water through the hot water collection line,
And reducing the noise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exhaust gas heat exchanging unit by the noise reducing unit.
KR1020170109625A 2017-08-29 2017-08-29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KR1019815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25A KR101981591B1 (en) 2017-08-29 2017-08-29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25A KR101981591B1 (en) 2017-08-29 2017-08-29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618A true KR20190023618A (en) 2019-03-08
KR101981591B1 KR101981591B1 (en) 2019-05-23

Family

ID=6580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625A KR101981591B1 (en) 2017-08-29 2017-08-29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59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398B1 (en) 2021-02-25 2021-04-21 (주)태준바이오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bio gas and air
KR102526427B1 (en) * 2022-10-28 2023-04-27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Eco-friendly biogas generator with reduced vibration and noi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693B1 (en) 2023-02-07 2023-09-26 주식회사 시너지 Profi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fuel cell cogener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168A (en) * 2001-11-12 2001-12-20 김강권 Energy Recovery System with Cogeneration device using biogas
KR101439425B1 (en) 2014-06-10 2014-09-12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Energy-saving biogas plant
KR20150001832A (en) 2012-04-27 2015-01-06 선샤인 카이디 뉴 에너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Gas-steam efficient cogeneration process and system based on biomass gasification and methanation
JP2015161236A (en) * 2014-02-27 2015-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Exhaust emission control system
KR20150106256A (en) * 2014-03-11 2015-09-21 디에이치엠(주)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168A (en) * 2001-11-12 2001-12-20 김강권 Energy Recovery System with Cogeneration device using biogas
KR20150001832A (en) 2012-04-27 2015-01-06 선샤인 카이디 뉴 에너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Gas-steam efficient cogeneration process and system based on biomass gasification and methanation
JP2015161236A (en) * 2014-02-27 2015-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Exhaust emission control system
KR20150106256A (en) * 2014-03-11 2015-09-21 디에이치엠(주)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KR101439425B1 (en) 2014-06-10 2014-09-12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Energy-saving biogas pl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398B1 (en) 2021-02-25 2021-04-21 (주)태준바이오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bio gas and air
KR102526427B1 (en) * 2022-10-28 2023-04-27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Eco-friendly biogas generator with reduced vibration and no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591B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591B1 (en)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WO2012026432A1 (en) Marine denitration system, marine vessel equipped with same, and control method for marine denitration system
WO2012026387A1 (en) Marine denitration system and ship provided with same
US20190226363A1 (en) Heat Utilization in ORC Systems
KR101656005B1 (en) Cogeneration System using biogas
CN102976569A (en) Water source heat pump-sludge digestion integrated system
CN102320711B (en) Environmental-protection resource sludge treatment system
KR101958345B1 (en) Packaged apparatus for removing hymidity in biogas
JPH05288327A (en) Energy recycling device
CN102603109B (en) Water treatment and comprehensive utilization system of energy-saving house
CN111056680A (en) System and method for on-site purification and cyclic utilization of industrial flare water-sealed tank sewage
CN217110522U (en) Float glass annealing waste heat recovery system of recycling
CN214950762U (en) Heat recovery device
Tassou Energy conservation and resource utilis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CN214345405U (en) Active carbon desorption regeneration system
Krumbeck et al. First European fuel cell installation with anaerobic digester gas in a molten carbonate fuel cell
JPH05288324A (en) Energy recycling device
CN212961534U (en) Boiler steam waste heat recycling device
CN211972040U (en) Industrial flare water seal tank sewage purifies on spot and cyclic utilization system
JP6766772B2 (en)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waste heat in sewage sludge incineration equipment and operation method of power generation system
CN202201784U (en) Environmental-protection recycling sludge treatment system
WO2011005129A2 (en) Installation and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waste resulting from activities on a ship
CN201695000U (en) Sludge treatment system
JP2011094536A (en) Denitration device for ship, and ship provided therewith
CN214009260U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waste heat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