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421A -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 Google Patents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421A
KR20190023421A KR1020170109184A KR20170109184A KR20190023421A KR 20190023421 A KR20190023421 A KR 20190023421A KR 1020170109184 A KR1020170109184 A KR 1020170109184A KR 20170109184 A KR20170109184 A KR 20170109184A KR 20190023421 A KR20190023421 A KR 20190023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exterior
finishing
protrusio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영진철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철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진철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3421A/ko
Publication of KR20190023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구조체를 마감하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로서, 상기 구조체를 커버하며 마감하는 마감부와, 상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마감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Exterior Material for Installing Exterior Structure}
본 발명은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체를 마감하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로서, 상기 구조체를 커버하며 마감하는 마감부와, 상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마감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과 같은 구조체의 외부를 마감하기 위해서 각종 패널 등과 같은 외장재가 사용되는데, 공장이나 창고 등과 같은 건축물의 외장재로는 샌드위치 패널이 널리 사용된다.
도 1에는 샌드위치 패널로 이루어진 종래 외장재(1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샌드위치 패널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을 형성하는 상판재(P1)와 하판재(P2), 상판재(P1)와 하판재(P2) 사이의 충전재(F)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의 강도는 충전재(F)의 종류에 의해 좌우된다. 충전재(F)로는 스티로폼, 유리섬유, 우레탄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스티로폼 재질은 가격이 저렴하지만 강도가 약하고, 우레탄 재질은 가격은 높지만 강도가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근래에는 건축물 내부에서 사용할 전력의 생산이나 난방 등을 위해서 태양광 패널 등과 같은 외장 구조물을 외장재에 거치시키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외장 구조물의 지지를 위해 외장재에 요구되는 강도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샌드위치 패널도 충전재(F)로서 우레탄과 같은 고가의 고강도 재질을 사용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데, 이에 따라 건축 비용이 상승하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난 외장재(100)는 일측 모서리를 따라 한 쌍의 돌출부(110) 및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0) 사이에 골(120)이 각각 형성되고, 타단 모서리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0) 및 상기 골(120)을 커버할 수 있도록 덮개부(130)가 형성되어 있었다.
도 2에는 도 1의 종래 외장재(100)의 연속 시공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나타나 있고, 도 3에는 도 2의 A 부분의 a-a'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골(120)은 외장재(100)를 구조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B)를 체결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샌드위치 패널로 이루어진 외장재에 이와 같이 골(120)을 형성시킬 경우 상판재에 절곡 작업을 통해 절곡 부위를 형성시켜야 하므로 외장재(100)의 제조시 생산성이 저하된다. 더 나아가 외장재(100)의 절곡 부위 도막이 파손되어 부식 등이 유발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5115호 "패널 시스템", 2012. 08. 2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체를 마감하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로서, 상기 구조체를 커버하며 마감하는 마감부와, 상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마감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고 지지하는 부분에만 고강도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외장 구조물의 거치를 위해 요구되는 강도 성능을 만족하면서도 경제성도 우수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곡을 통해 형성되는 골과 같은 형태의 체결 공간이 없이도 구조체와의 체결을 위한 볼트의 머리 부분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상호 간섭 없이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생산성도 우수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곡 부위를 줄일 수 있어 절곡 부위의 도막 손상, 부식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도를 보강하여 주는 보강부를 포함함으로써 벽체로도 활용할 수 있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구조체를 마감하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로서, 상기 구조체를 커버하며 마감하는 마감부와, 상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마감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상기 거치부는 우레탄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상기 마감부는 스티로폼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샌드위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부는 우레탄 재질로 충전되고, 상기 마감부는 스티로폼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상기 거치부와 상기 마감부는 나란히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거치부의 길이 방향 외측은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하고, 상기 마감부의 길이 방향 외측은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타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상기 거치부는, 하부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부면에 함입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상기 돌출부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로 상기 마감부의 길이 방향 외측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나란히 인접 배치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돌출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을 커버하되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 공간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상기 돌출부는 상부에 좌우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이격 공간 형성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상기 걸림턱은 상하로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상기 마감부는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의 강도를 보강하여주는 보강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조체를 마감하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로서, 상기 구조체를 커버하며 마감하는 마감부와, 상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마감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고 지지하는 부분에만 고강도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외장 구조물의 거치를 위해 요구되는 강도 성능을 만족하면서도 경제성도 우수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절곡을 통해 형성되는 골과 같은 형태의 체결 공간이 없이도 구조체와의 체결을 위한 볼트의 머리 부분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상호 간섭 없이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생산성도 우수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절곡 부위를 줄일 수 있어 절곡 부위의 도막 손상, 부식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강도를 보강하여 주는 보강부를 포함함으로써 벽체로도 활용할 수 있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샌드위치 패널로 이루어진 종래 외장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래 외장재의 연속 시공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연속 시공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C 부분의 c-c'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연속 시공 후 태양광 패널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연속 시공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나타나 있고, 도 6에는 도 5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4의 C 부분의 c-c'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연속 시공 후 태양광 패널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는 구조체를 마감하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로서, 마감부(11), 거치부(13) 및 커버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11)는 상기 구조체를 커버하며 마감하는 부분이다. 상기 구조체는 공장, 창고 등과 같은 건축물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감부(11)는 상기 구조체가 건축물인 경우에 건축물의 지붕, 벽 등과 같은 외부를 커버하며 마감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마감부(11)는 도 4 내지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13)와 나란히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3)의 길이 방향 외측이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할 때, 상기 마감부(11)의 길이 방향 외측은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타측 모서리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마감부(11) 중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타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측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단턱부(1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거치부(13) 하단의 돌출 가이드부(13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111)는 인접 배치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돌출 가이드부(1311)와 상보적으로 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연속 시공시 시공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증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마감부(11)는 상기 거치부(1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가진다. 상기 마감부(11)는 상기 거치부(13)와 달리 도 8에 나타난 태양광 패널(3)과 같은 외장 구조물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구조체의 외부를 커버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상기 거치부(13)에 비하여 요구되는 강도의 수준이 높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실에 기초하여 상기 마감부(11)의 재질을 상기 거치부(13)에 비하여 낮은 강도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해준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마감부(11)는 스티로폼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는 샌드위치 패널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감부(11)는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판재(P1)와,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판재(P2)와, 상기 상판재(P1)와 상기 하판재(P2) 사이에 위치하는 마감부 충전재(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판재(P1)와 상기 하판재(P2)는 플라스틱판, 알루미늄판, 스테인리스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마감부 충전재(S)로는 스티로폼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재(P1)와 상기 하판재(P2)는 각각 상기 마감부(11)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부(13)의 상부면과 하부면도 형성하며, 상기 상판재(P1)는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15)를 형성하기도 한다.
상기 거치부(13)는 상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거치부(13)는 상기 마감부(11)와 나란히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부(13)의 길이 방향 외측은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거치부(13)는 상기 마감부(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진다. 상기 거치부(13)는 상기 마감부(11)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상기 구조체를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에 머무르지 않고, 더 나아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3)과 같은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13)는 상기 마감부(11)에 비하여 요구되는 강도의 수준이 높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근거하여 상기 거치부(13)의 재질을 상기 마감부(11)에 비하여 높은 강도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거치부(13)에 요구되는 강도 수준을 만족시키면서도 상기 마감부(11)는 상기 거치부(13)에 비하여 낮은 강도의 재질을 포함하도록 해줌으로써 비용의 절감도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거치부(13)는 우레탄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 내지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가 샌드위치 패널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거치부(13)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각각 상기 마감부(11)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형성하는 상판재(P1) 및 하판재(P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판재(P1)와 상기 하판재(P2) 사이에 거치부 충전재(U)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 충전재(U)로서 상기 마감부 충전재(S)에 비하여 강도가 우수한 우레탄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13)는 지지부(131)와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1)는 상기 거치부(13)의 하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마감부(11)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구조체를 커버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13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131)의 외측 하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턱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돌출 가이드부(13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 가이드부(1311)는 인접 배치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단턱부(111)와 상보적인 형상을 통해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연속 시공시 시공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증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돌출부(132)는 상기 하부 지지부(131)의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돌출부(132)는 도 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 패널(3)과 같은 외장 구조물이 결합하는 부분이다.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돌출부(132)에는 상기 태양광 패널(3)의 거치를 위한 접합철물(5)이 결합되고, 상기 접합철물(5)에 상기 태양광 패널(3)의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132)는 상부면에 함입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32)의 상부면(132a)은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3과 관련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외장재(100)는 절곡을 통해 형성되는 골(120)과 같은 형태의 체결 공간에 구조체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B)를 체결시키는 방식을 통해 볼트(B)의 머리 부분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상호 간섭 없이 외장재(100)를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골(120)의 형성을 위해 추가적인 절곡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고, 절곡 부위의 도막 손상, 부식 등의 문제도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돌출부(132)의 상부면(132a)을 함입된 부분 없이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절곡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도막 손상 및 부식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연속 시공 시 발생하는 볼트(B) 머리 부분의 노출로 인한 간섭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5)의 이격 공간 형성부의 내면(151a)과 상기 돌출부(132)의 상부면(132a) 사이에 이격 공간(D)이 형성되도록 해줌으로써 해결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32)는 상부에 좌우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321)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걸림턱(1321)은 상하로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돌출부(132)가 이와 같이 걸림턱(1321)을 가지고, 상기 커버부(15)가 이와 상보적인 형상 즉, 상기 걸림턱(1321)을 포함하는 상기 돌출부(132)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경우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가 연속하여 시공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132)는 인접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커버부(15)가 끼워 맞추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15)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부(15)는 상기 돌출부(132)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로 상기 마감부(11)의 길이 방향 외측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나란히 인접 배치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돌출부(132)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도 4 및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5)는 이격 공간 형성부(151) 및 걸림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 형성부(151)는 상기 돌출부(132)의 상부면(132a)을 커버하되 상기 돌출부(132)의 상부면(132a)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D)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 공간 형성부(51)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하방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중앙부를 향해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이격 공간 형성부(51)는 인접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돌출부(132)를 커버할 때 상기 돌출부(132)의 상부면(132a)과 상기 이격 공간 형성부(151)의 내면(151a) 사이에 이격 공간(D)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132)의 상부면(132a)에 함입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와 상기 구조체의 결합을 위해 체결되는 볼트(B)의 머리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그 결과 생산성 저하, 도막 손상, 부식 등의 원인이 되는 절곡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부(152)는 상기 이격 공간 형성부(151)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321)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커버부(15)가 인접 배치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를 커버할 때 상기 걸림부(152)가 상기 걸림턱(1321)에 걸림으로써 시공 후 상기 커버부(15)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도 4 내지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가 샌드위치 패널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커버부(15)는 상기 마감부(1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판재(P1)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가 연속하여 시공될 때, 상기 거치부(13)의 돌출부(132) 상에 함입 구조 없이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와 상기 구조체의 결합을 위한 볼트(B)를 체결하여도 인접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커버부(15)가 상기 돌출부(132)의 상부면(132a)와 상기 커버부(15)의 내면(15a) 사이에 이격 공간(D)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32)를 덮어주므로 볼트(B)의 머리 부분의 노출로 인한 상호 간섭없이 연속적인 시공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13)의 돌출부(132)가 인접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의 커버부(15)에 의해 덮히게 된다. 그 결과 볼트(B) 체결 부분을 통해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 내부로 빗물 등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13)는 상기 마감부(11)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므로, 태양광 패널(3) 등과 같은 외장 구조물의 거치를 위한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마감부(11)는 상기 거치부(1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의 재질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의 절감도 가능하게 해준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는 상기 마감부(11)에 보강부(112)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성들은 도 4 내지 8에 나타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보강부(11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보강부(112)는 상기 마감부(11)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11)의 강도를 보강하여 주는 부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112)는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를 가로지르며 1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감부(11)가 상기 보강부(112)를 포함할 경우 상기 마감부(11)의 보강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1)를 건축물의 벽체로도 활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얻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11: 마감부
111: 단턱부 112: 보강부
13: 거치부
131: 지지부 132: 돌출부
132a: 상부면 1321: 걸림턱
15: 커버부
151: 이격 공간 형성부 151a: 내면
152: 걸림부

Claims (11)

  1. 구조체를 마감하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로서,
    상기 구조체를 커버하며 마감하는 마감부와,
    상기 외장 구조물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마감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우레탄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스티로폼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는 샌드위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부는 우레탄 재질로 충전되고, 상기 마감부는 스티로폼 재질 및 유리섬유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상기 마감부는 나란히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거치부의 길이 방향 외측은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하고, 상기 마감부의 길이 방향 외측은 상기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타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하부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부면에 함입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로 상기 마감부의 길이 방향 외측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나란히 인접 배치된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의 돌출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을 커버하되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 공간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부에 좌우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이격 공간 형성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하로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의 강도를 보강하여주는 보강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KR1020170109184A 2017-08-29 2017-08-29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KR20190023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184A KR20190023421A (ko) 2017-08-29 2017-08-29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184A KR20190023421A (ko) 2017-08-29 2017-08-29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421A true KR20190023421A (ko) 2019-03-08

Family

ID=6580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184A KR20190023421A (ko) 2017-08-29 2017-08-29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34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103B1 (ko) 2022-09-07 2023-04-24 주식회사 누리플랜 구조물용 외장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115B1 (ko) 2011-02-16 2012-08-21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패널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115B1 (ko) 2011-02-16 2012-08-21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패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103B1 (ko) 2022-09-07 2023-04-24 주식회사 누리플랜 구조물용 외장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0176A1 (en) Insulated panel system
KR101281884B1 (ko) 장식판 단열패널을 이용한 커튼월시스템
KR20190023421A (ko) 외장 구조물 거치용 외장재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102445829B1 (ko) 방화 및 단열 성능을 갖는 커튼월
US20060096217A1 (en) Cladding
KR10170571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220066011A (ko) 외장재 패널의 비노출 외도식 패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 패널의 시공 방법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101819117B1 (ko) 건축물의 스냅락 패널
KR102416529B1 (ko) 건축용 마감재
CN212534696U (zh) 一种扭曲遮阳幕墙系统
CN211572206U (zh) 天花板固定型材及吊顶结构
CN217151008U (zh) 一种阳角构件
KR102598111B1 (ko) 단차형성 천장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01902A (ko) 벽체 마감 판넬
KR102117892B1 (ko) 비정형 외장 간격재
CN211873575U (zh) 一种模块化房屋自带隐形槽沟箱顶节点结构
KR101589487B1 (ko) 조립식 외단열 패널 구조
KR20045250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EP3441540B1 (en) Corner profile for fastening cladding structures
RU50564U1 (ru) Деревометаллическая панель
CA2549707A1 (en) Insulated panel system
KR19990014429A (ko) 벽체마감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