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355A -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355A
KR20190023355A KR1020170108946A KR20170108946A KR20190023355A KR 20190023355 A KR20190023355 A KR 20190023355A KR 1020170108946 A KR1020170108946 A KR 1020170108946A KR 20170108946 A KR20170108946 A KR 20170108946A KR 20190023355 A KR20190023355 A KR 20190023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tag
rfid
label
tag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소프트
안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소프트, 안은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10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3355A/ko
Publication of KR2019002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은, 패션 의류 또는 패션 잡화에 구비되는 케어라벨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케어라벨 제작용 원단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RFID 태그를 상기 원단지에 부착하는 단계; RFID 인코더가 상기 원단지에 부착된 RFID 태그에 미리 설정된 제품 정보에 상응하는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라벨 인쇄기의 기록 헤드가 상기 인코딩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상기 원단지의 인쇄 영역에 상기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CARE-LABEL HAVING RFID- T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케어라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FID 태그를 케어라벨에 부착하여 제품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어라벨(care-label)은 의류에 부착되는 라벨을 의미한다. 이러한 케어라벨은 의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표 또는 메이커 등을 표시하는 상표표시 라벨과, 사이즈, 재질 및 세탁방법 등을 표시한 품질표시 라벨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케어라벨에는 제품의 정보, 수량, 재고 등을 파악하는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RFID 태그가 많이 부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케어라벨에 부착되는 RFID 태그는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로, IC 칩과 근거리 RF 무선통신을 통하여 각 물품 및 상품의 정보를 읽을 수 있으며, 대상 품목이 이동하더라도 RFID 태그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도 있다.
종래 케어라벨에 구비되는 RFID 태그는 별도로 RFID 태그를 제작하고 RFID 태그에 제품 정보에 상응하는 태그 정보를 인코딩이 완료된 RFID 태그를 케어라벨과 함께 의류 제품에 각각 결속한다. 이때, 의류 제품에 장착되는 RFID 태그는 RFID 태그의 안테나가 손상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단지 등으로 감싸서 의류 제품에 장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케어라벨과 RFID 태그를 의류 제품에 결속하는 것은 RFID 태그의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케어라벨과 RFID 태그를 의류 제품에 부착하기 위해 제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그에 따라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어라벨과 RFID 태그가 의류 제품에 각각 결속될 경우, 의류 제품으로부터 RFID 태그가 분실되거나 훼손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60630호(발명의 명칭: RFID 태그 및 그 태그와 케어라벨의 부착방법, 등록일: 2015. 10. 08.)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조에 있어서 그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단가를 절감하여 케어라벨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패션 의류 또는 패션 잡화에 구비되는 케어라벨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케어라벨 제작용 원단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RFID 태그를 상기 원단지에 부착하는 단계; RFID 인코더가 상기 원단지에 부착된 RFID 태그에 미리 설정된 제품 정보에 상응하는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라벨 인쇄기의 기록 헤드가 상기 인코딩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상기 원단지의 인쇄 영역에 상기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케어라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RFID 인코더는 상기 라벨 인쇄기에 장착되고, 상기 태그 정보 인코딩 단계 및 상기 제품 정보 인쇄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가 부착된 원단지가 권취된 롤 형태로 상기 라벨 인쇄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라벨 인쇄기에 의해 상기 원단지에 부착된 복수개의 RFID 태그에 대해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케어라벨의 제작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가 부착된 원단지가 권취된 롤 형태로 상기 라벨 인쇄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태그 정보 인코딩 단계 이후 상기 제품 정보 인쇄 단계 이전에, 상기 RFID 인코더가 상기 원단지에 부착된 RFID 태그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
상기 RFID 태그의 불량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원단지에 부착된 RFID 태그가 불량으로 판단되면, 향후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가 부착된 원단지에서 상기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가 부착된 케어라벨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품 정보 인쇄 단계는 상기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상기 원단지의 인쇄 영역에는 상기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것 대신에 미리 설정된 불량 표식을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제품 정보 인쇄단계에서, 상기 원단지의 인쇄 영역에 인쇄되어어야 할 제품 정보는 상기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가 상기 원단지의 다음 인쇄 영역에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RFID 태그가 부착된 원단지에 대해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는 공정과 인코딩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원단지의 인쇄 영역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공정이 원단지가 권취된 롤 형태로 라벨 인쇄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나의 라벨 인쇄기에 의해 모두 수행됨으로써,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단가를 절감하여 케어라벨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에서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에 RFID 태그가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고 RFID 태그에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는 라벨 인쇄기 및 RFID 인코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에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100, 이하 '케어라벨' 이라 함) 및 이의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에서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한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에 RFID 태그가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고 RFID 태그에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는 라벨 인쇄기 및 RFID 인코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에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은 원단지(110)에 부착하는 단계(S140), RFID 태그(120)에 제품 정보에 상응하는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S150) 및 RFID 태그(120)가 부착된 원단지(110)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S152)를 포함한다.
먼저, 케어라벨(100)을 제작하기 위한 원단지(110)를 제공한다(S110). 여기서, 케어라벨(100)은 패션 의류 또는 패션 잡화에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패션 의류 또는 패션 잡화는 의류 관련 제품, 즉 의류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모자, 가방, 악세서리 등은 물론이고 패션 잡화 일체를 포괄하여 지칭한다. 이러한 케어라벨(100)에는 상기한 패션 의류 또는 패션 잡화에 대한 제품 정보가 인쇄된다. 이에 따라, 케어라벨(100)에는 제조국, 판매자 정보, 세탁 및 취급 주의사항 등과 같이 해당 제품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인쇄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원단지(1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이때, 원단지(11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프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종이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다. 한편, 원단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만약, 원재료의 형태로 원하는 형태로 재단되지 않은 상태로 제공된다면, 케어라벨(100)의 원단지(110)를 제공하는 단계(S110)에서 원단지(110)를 재단하는 과정도 포함될 수 있다.
그 다음, 원단지(110)에 RFID 태그(120)를 부착한다(S140). 다시 말해서, 도 2 의 (c)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어라벨(100) 제작용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RFID 태그(120)가 부착된다. 여기서, RFID 태그(120)는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로,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터(transponder)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다. 이러한 RFID 태그(120)는 의류 제품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어 제품의 세부 정보를 무선주파수를 통해 전송하고 처리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원단지(110)는 권취된 롤 형태로 제공되어 공급 롤러(210)에 장착된다. 공급 롤러(210)에 장착된 원단지(110)는 공급 롤러(110)의 회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미리 정해진 간격에 따라 RFID 태그(120)가 부착된다.
RFID 태그(120)가 부착된 원단지(110)는 회수 롤러(212)에 의해 다시 롤 형태로 권취된다. 여기서 RFID 태그(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RFID 태그 부착기(220)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고, 작업자가 후술할 태그부착안내선(122)을 참고하여 수작업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120)는 스티커(Sticker) 형태로 형성되어,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부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은 상기 원단지(110)에 RFID 태그(120)를 부착(S140)하는 단계 이전에 원단지(110)에 광학인식마크(130) 및 태그부착안내선(122)을 인쇄한다(S120, S130).
우선, 원단지(110)에 광학인식마크(130)를 인쇄하는 단계(S120)에서는 원단지(110)에 광학인식마크(130)가 인쇄된다. 원단지(110)에 인쇄되는 광학인식마크(130)는 RFID 태그(120)의 위치 인식을 용이하고 원단지(110)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b)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학인식마크(130)는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원단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된다. 또한, 광학인식마크(130)는 후술할 광학 센서(233)에 의해 감지가 가능하도록 도 4에 도시한 광학인식마크 인쇄기(214)로 광학 센서 감지가 가능한 물질이 포함된 검은색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된다. 이러한 광학인식마크(130)의 크기 및 형태는 변형될 수 있으며, 광학 센서(233)에 의해 감지가 가능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면 된다. 광학인식마크(130)가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인쇄됨에 따라 원단지(110)에 대한 제품 정보의 인쇄 위치 및 RFID 태그(12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제품 정보 인쇄 및 RFID 태그(120)에 대해 제품 정보에 상응하는 태그 정보 인코딩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원단지(110)에 태그부착안내선(122)을 인쇄하는 단계(S130)에서는 원단지(110)에 태그부착안내선(122)이 인쇄된다. 원단지(110)에 인쇄되는 태그부착안내선(122)은 원단지(110) 상에서 RFID 태그(120)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b) 및 도 3을 참조하면, 태그부착안내선(122)은 원단지(110)의 후면(114)에서 원단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 인쇄된다. 이때,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인쇄되는 태그부착안내선(122)의 개수는 광학인식마크(130)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된다. 즉, 케어라벨(100)의 하나 당 하나의 RFID 태그(120)가 마련되기 때문에, 광학인식마크(130) 및 태그부착안내선(122)도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그부착안내선(122)은 광학인식마크(130)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마련되며, 태그부착안내선(122)과 광학인식마크(130) 사이의 간격은 케어라벨(100)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태그부착안내선(122)은 광학인식마크(130)와 마찬가지로 띠 형태로 마련된다. 태그부착안내선(122)은 RFID 태그(120)의 부착 위치를 안내만 하면 되기 때문에 크기를 크게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태그부착안내선(122)은 광학인식마크(130)와 같이 광학 센서(233)에 의해 감지 가능한 광학 센서 감지 물질이 포함되는 검은색 잉크로 인쇄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태그부착안내선(122)은 도 4에 도시한 광학인식마크 인쇄기(214)를 통해 원단지(110)에 인쇄될 수도 있고, 별도의 다른 인쇄기기를 통해 인쇄될 수도 있다.
한편, RFID 태그(120)를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부착할 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지만, 사람들이 수작업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기계를 이용하여 RFID 태그(120)를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부착시, 태그부착안내선(122)을 RFID 태그(120)가 원단지(110)에 제대로 부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태그부착안내선(122)은 일종의 신호(signal)로 사용되며, 태그부착안내선(122)을 통해 원단지(110)에 RFID 태그(120)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기계의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에서는 원단지(110)에 광학인식마크(130)가 인쇄되고 난 후에 태그부착안내선(122)이 인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태그부착안내선(122)이 광학인식마크(130) 보다 원단지(110)에 먼저 인쇄될 수도 있고 또는 태그부착안내선(122)과 광학인식마크(130)가 광학인식마크 인쇄기(214)에 의해 동시에 인쇄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원단지(110)에 부착된 RFID 태그(120)에 태그 정보를 인코딩한다(S150). 다시 말해서,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부착된 RFID 태그(120)에 제품 정보에 상응하는 태그 정보를 인코딩한다. RFID 태그(120)에 태그 정보를 인코딩할 때에는 RFID 인코더(232)를 이용한다. 이때, RFID 인코더(232)는 원단지(110)에 인쇄된 광학인식마크(130)를 통해 RFID 태그(120)의 위치를 획득한다. RFID 인코더(232)는 획득한 원단지(110) 상의 RFID 태그(120) 위치에 기초하여 RFID 태그(120)에 대해 제품 정보에 상응하는 태그 정보를 인코딩한다. 참고로, RFID 태그(120)에 인코딩되는 태그 정보는 원단지(110)의 전면(112)에 인쇄되는 제품 정보와 정확히 동일한 정보일 수도 있고, 제품 정보 중 일부가 인코딩되거나 제품에 대한 다른 추가적인 정보가 인코딩될 수도 있다.
여기서, RFID 인코더(232)는 RFID 리더(기), RFID 라이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우지만, 이는 모두 RFID 태그(120)에 미리 설정된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 다음, 원단지(110)에 제품 정보를 인쇄한다(S152). 도 2의 (d) 및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원단지(110)의 전면(112)에는 제품 정보가 인쇄된다. 이때, 라벨 인쇄기(230)를 이용하여 원단지(110)의 전면(112)에 제품 정보를 인쇄한다. 라벨 인쇄기(230, label printer)에는 권취된 상태의 원단지(110)가 장착되며, 원단지(110)가 장착되면 라벨 인쇄기(230)에 미리 설정해 놓은 제품 정보 등이 인쇄된다. 다시 말해서, 라벨 인쇄기(230)에는 미리 설정된 정보가 입력되며, 원단지(110)를 라벨 인쇄기(230)에 장착하게 되면 제품 정보가 인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라벨(100)은 원단지(110)의 전면(112)에는 제조국, 브랜드, 제조사, 판매자, 세탁 및 취급 시 유의사항 등과 같은 제품 정보가 인쇄되고, 후면(114)에는 RFID 태그(120)가 부착된다. 여기서, 원단지(110)에 제품 정보가 인쇄되는 면은 '전면(112)'이라 하고, RFID 태그(120)가 부착되는 면을 '후면(114)'이라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112)과 후면(114)은 본 발명의 케어라벨(100)을 설명하는데 있어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다르게, 제품 정보가 인쇄되는 면과 RFID 태그(120)가 부착되는 면이 원단지(110)의 동일한 면일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RFID 태그(120)의 두께만큼 RFID 태그(120)가 원단지(110)로부터 돌출 될 수도 있다. 그럴 경우 원단지(110)에 제품 정보가 인쇄될 때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서, 원단지(110)에 제품 정보가 깔끔하게 인쇄되지 않거나 제품 정보 인쇄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제품 정보가 인쇄되는 면과 RFID 태그(120)가 부착되는 면을 원단지(110)의 동일한 면으로 적용하되, 위와 같은 제품 정보 인쇄상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품 정보가 인쇄되는 영역과 별도로 RFID 태그(120)가 부착되는 영역을 마련하는 경우, 케어라벨(100)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라벨(100)과 같이 원단지(110)의 전면(112)에는 제품 정보를 인쇄하고 원단지(110)의 후면(114)에는 RFID 태그(12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원단지(110)의 후면에 부착된 RFID 태그(120)를 노출하지 않을 수 있고, RFID 태그(120)가 부착된 제품의 유통 과정에서 RFID 태그(120)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RFID 태그(120)가 원단지(110)의 제품 정보가 인쇄된 전면(112)이 아닌 후면(114)에 부착되므로 손상이 발생된 RFID 태그(120)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인코더(232)는 라벨 인쇄기(230)에 장착된다. 다시 말해서, RFID 인코더(232)가 라벨 인쇄기(23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RFID 인코더(232)는 라벨 인쇄기(230)의 내부에 배치된 광학 센서(233)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RFID 인코더(232) 및 광학 센서(233)는 라벨 인쇄기(230)의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원단지 접촉부(234)의 하측에 마련된다. 또한, RFID 인코더(232) 및 광학 센서(233)가 마주보는 면 즉, 라벨 인쇄기(330)의 내부의 상측에는 기록 헤드(231)가 마련된다. 기록 헤드(231)는 원단지(110)에 미리 설정된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부품이다. 참고로, 원단지 접촉부(234)는 유리(glass) 형태로, 일반적인 스캐너에 마련되는 것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기록 헤드(231)는 원단지(110)의 위쪽에서 원단지(110)의 전면(112)을 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원단지(110)의 아래쪽에서 원단지(114)의 후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원단지(110)의 전면(112)에는 미리 설정된 제품 정보가 인쇄되어야 하므로, 기록 헤드(231)는 원단지(110)의 위쪽에서 원단지(110)의 전면(112)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FID 인코더(232)는 원단지(110)의 위쪽에서 원단지(110)의 전면(112)을 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원단지(110)의 아래쪽에서 원단지(114)의 후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RFID 태그(120)가 부착되므로 RFID 인코더(232)는 원단지(110)의 아래쪽에서 원단지(110)의 후면(114)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센서(233)도 원단지(110)의 위쪽에서 원단지(110)의 전면(112)을 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원단지(110)의 아래쪽에서 원단지(110)의 후면(114)을 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원단지(114)의 후면에는 광학인식마크(130)가 인쇄되므로 광학 센서(233)도 원단지(110)의 아래쪽에서 원단지(110)의 후면(114)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라벨 인쇄기(230)의 광학 센서(233)를 통해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인쇄된 광학인식마크(130)를 인식하고, 인식된 광학인식마크(130)의 위치를 근거로 RFID 인코더(232)는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부착된 RFID 태그(120)에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며, 라벨 인쇄기(230)가 원단지(110)의 전면(112)에 제품 정보를 인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은, 복수개의 RFID 태그(120)가 부착된 원단지(110)에 대해 라벨 인쇄기(230)에 장착된 RFID 인코더(232)가 임의의 RFID 태그(120)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RFID 인코더(232)는 복수개의 RFID 태그(120)가 부착된 원단지(110)가 권취된 롤 형태로 라벨 인쇄기(2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원단지(110)에 부착된 임의의 RFID 태그(120)에 대해서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RFID 태그의 불량 여부 판단 단계는 태그 정보 인코딩 단계(S150) 이후 제품 정보 인쇄 단계(S152) 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라벨 인쇄기(230)의 RFID 인코더(232)가 원단지(110)에 부착된 RFID 태그(120)에 태그 정보를 인코딩할 때, RFID 태그(120)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거나 RFID 태그(120)에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태그 정보를 정상적으로 인코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면, RFID 인코더(232)는 제대로 인코딩되지 않은 RFID 태그(120)를 판별하고 불량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불량으로 판별된 RFID 태그(120)가 부착된 원단지(110)의 해당 인쇄 영역, 즉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1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원단지(110)의 인쇄 영역에는 향후 사용자가 해당 RFID 태그(120)의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불량 표식이 인쇄된다. 다시 말해서,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부착된 RFID 태그(120)가 불량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라벨 인쇄기(230)가 상기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1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원단지(110)의 후면(114) 영역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 정보와는 관계가 없는 불량 표식을 인쇄함으로써, 향후 사용자가 케어라벨을 의류 제품에 결속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원단지(110)에서 불량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120)가 부착된 특정 케어라벨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하여 의류 제품에 결속하지 아니하고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불량 표식은 예컨대 에러(error) 혹은 불량임을 의미하는 문자, 스크래치(scratch) 표식, 직선, 임의의 도형이나 문양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120)에 미리 설정된 불량 표식이 인쇄된 후에, 원단지(110)의 다음 인쇄 영역에는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120)에 상응하는 제품 정보가 인쇄된다. 다시 말해서,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부착된 RFID 태그(120)가 불량으로 판단되어 RFID 태그(120)에 미리 설정된 불량 표식이 인쇄되면 원단지(110)의 전면(112)에 RFID 태그(120)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제품 정보가 인쇄되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제품들은 각 제품마다 고유의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를 가지는데, 만약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부착된 RFID 태그(120)가 불량으로 판단되어 원단지(110)의 전면(112)에 RFID 태그(120)에 상응하는 제품 정보가 인쇄되지 않고 넘어가게 되면 RFID 태그(120)를 이용하여 제품의 재고 및 수량들을 파악하는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단지(110)의 인쇄 영역에 대응되는 RFID 태그(120)가 불량으로 판단되더라도,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120)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는 원단지(110)에 인쇄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원단지(110)의 다음 인쇄 영역에 인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에서, RFID 태그(120)에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S150)는 하나의 라벨 인쇄기(230)에 의해 원단지(110)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S152)와 함께 수행된다. 이는 라벨 인쇄기(230)의 내부에 RFID 인코더(232) 및 기록 헤드(231)가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기 때문에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부착된 RFID 태그(120)에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과 원단지(110)의 전면에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것을 하나의 라벨 인쇄기(230)에 의해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태그 정보 인코딩 단계, 상기 RFID 태그의 불량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제품 정보 인쇄 단계의 3가지 단계 모두가 복수개의 RFID 태그(120)가 부착된 원단지(110)가 권취된 롤 형태로 라벨 인쇄기(230)에 장착된 상태에서, 라벨 인쇄기(230)에 의해 원단지(110)에 부착된 복수개의 RFID 태그(120)에 대해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됨으로써, RFID 태그가 부착된 케어라벨의 제작에 소요되는 제조단가 및 제조시간을 절감하여 케어라벨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개의 RFID 태그(120)가 부착된 원단지(110)에 대해에 대해 RFID 태그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특정 RFID 태그(120)가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 그에 대한 처리 또한 라벨 인쇄기(120)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그 다음, 원단지(110)를 커팅한다(S160). 다시 말해서 도 5에 도시한 커팅기(240)를 이용하여 원단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원단지(110)를 커팅한다. 원단지(110)의 길이는 원단지(110)에 인쇄될 제품 정보 및 케어라벨(100)에 장착될 제품의 크기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한편, 원단지(110)를 커팅하는 단계(S160)에서, 원단지(110)에 인쇄된 광학인식마크(130)를 커팅라인(cutting-line)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커팅기(240)를 이용하여 원단지(110)에 인쇄된 광학인식마크(130)로 원단지(110)의 크기를 파악하고, 그에 맞게 커팅할 수 있다.
상기의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케어라벨(100)은 의류 등의 제품의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원단지(110)를 커팅하는 단계(S160)를 거치지 않고 공급 롤러(210) 또는 회수 롤러(212)에 의해 권취되어 다시 롤 형태로 케어라벨을 의류 제품에 결속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라벨(100)은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예컨대, 케어라벨(100)에 인쇄되어야 할 제품 정보가 지나치게 많아서 케어라벨(100)이 길어지게 되면 케어라벨(100)의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케어라벨(100)이 납품되는 회사에 따라 원단지의 종류 및 크기가 매우 다양한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단지(110)의 전면(112)에는 간단한 제품 정보만 인쇄하고 원단지(110)의 후면(114)에는 RFID 태그(120), 태그부착안내선(122) 및 광학인식마크(130)를 인쇄하고, 원단지(110)의 전면(112)에 제품 정보가 인쇄된 케어라벨(100)을 별도로 제작하여 작은 사이즈의 원단지(110)와 큰 사이즈의 원단지(110)를 패션 의류 또는 패션 잡화와 같은 제품(1)에 박음질,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2)을 통해 함께 부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라벨(100)을 '별지' 개념의 작은 사이즈를 갖는 케어라벨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원단지(110)의 재질 등에 따라 원단지(110)의 전면(112)에 미리 설정된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것과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태그부착안내선(122), 광학인식마크(130)를 인쇄하고 RFID 태그(120)를 부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별도의 PET 시트를 이용하여 PET 시트의 일면에는 RFID 태그(120)를 인쇄하고 타면은 스티커(sticker) 형태로 제작하여 원단지(110)에 부착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별도의 유포지를 이용하여, 유포지의 일면에는 부착되는 RFID 태그(120)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를 인쇄하고 타면에는 스티커 형태로 제작하여 원단지(110)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스티커 형태로 제작된 유포지는 케어라벨(100)의 크기에 따라 RFID 태그(120)의 표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은 원단지(110)에는 절취선(116)이 인쇄될 수도 있다. 절취선(116)은 RFID 태그(120)가 원단지(110)의 후면(114)에 부착(S140)되기 전에 형성될 수도 있고, RFID 태그(120)를 부착(S140)하고 난 후 RFID 태그(120)에 태그 정보를 인코딩(S150)하기 이전에 원단지(110)의 전면(112) 및 후면(114)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절취선(116)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케어라벨(100)에 부착된 RFID 태그(120)를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원단지(110)에 부착된 RFID 태그(12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절취선(116)은 별도의 기기를 통하여 홈, 틈, 타공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100) 및 이의 제작방법은, 케어라벨 제작용 원단지의 일면에 RFID 태그를 스티커 형태로 부착함으로써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조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100) 및 이의 제작방법은, 케어라벨을 제작할 원단지에 RFID 태그를 부착함으로써, 케어라벨을 제작할 때 제품 정보가 인쇄되는 공정과 RFID 태그에 대해 제품 정보에 상응하는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는 공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케어라벨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100) 및 이의 제작방법은, 케어라벨에 RFID 태그가 부착됨으로써, RFID 태그의 내부의 안테나가 손상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110: 원단지
112: 전면 114: 후면
120: RFID 태그 122: 태그부착안내선
130: 광학인식마크
210: 공급 롤러 212: 회수 롤러
214: 광학인식마크 인쇄기 220: RFID 태그 부착기
230: 라벨 인쇄기 231: 기록 헤드
232: RFID 인코더 233: 광학센서
240: 커팅기

Claims (6)

  1. 패션 의류 또는 패션 잡화에 구비되는 케어라벨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케어라벨 제작용 원단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RFID 태그를 상기 원단지에 부착하는 단계;
    RFID 인코더가 상기 원단지에 부착된 RFID 태그에 미리 설정된 제품 정보에 상응하는 태그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라벨 인쇄기의 기록 헤드가 상기 인코딩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상기 원단지의 인쇄 영역에 상기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인코더는 상기 라벨 인쇄기에 장착되고,
    상기 태그 정보 인코딩 단계 및 상기 제품 정보 인쇄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가 부착된 원단지가 권취된 롤 형태로 상기 라벨 인쇄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라벨 인쇄기에 의해 상기 원단지에 부착된 복수개의 RFID 태그에 대해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가 부착된 원단지가 권취된 롤 형태로 상기 라벨 인쇄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태그 정보 인코딩 단계 이후 상기 제품 정보 인쇄 단계 이전에, 상기 RFID 인코더가 상기 원단지에 부착된 RFID 태그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의 불량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원단지에 부착된 RFID 태그가 불량으로 판단되면,
    향후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가 부착된 원단지에서 상기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가 부착된 케어라벨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품 정보 인쇄 단계는 상기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상기 원단지의 인쇄 영역에는 상기 제품 정보를 인쇄하는 것 대신에 미리 설정된 불량 표식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 인쇄단계에서,
    상기 원단지의 인쇄 영역에 인쇄되어어야 할 제품 정보는 상기 불량으로 판단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가 상기 원단지의 다음 인쇄 영역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의 제작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KR1020170108946A 2017-08-28 2017-08-28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90023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946A KR20190023355A (ko) 2017-08-28 2017-08-28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946A KR20190023355A (ko) 2017-08-28 2017-08-28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55A true KR20190023355A (ko) 2019-03-08

Family

ID=6580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946A KR20190023355A (ko) 2017-08-28 2017-08-28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33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7755A (ko)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
CN104025115B (zh) 用于批量rfid标签编码的系统和方法
CN101271532B (zh) 标贴卷带、标贴卷带带盒和标贴生产设备
US8905657B2 (en) Marking object and marking apparatus
CN101060986B (zh) 带式打印机和带盒
US994156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CN101460311B (zh) 标记标签产生设备
CN101060991B (zh) 带盒
CN104520107B (zh) 片材的改进加工
JP2018522277A (ja) ラベル集合体
US811689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piece article using RFID tags
CN101359375B (zh) Rfid标记产生装置
US8992105B2 (en) Printing system ribbon including print transferable circuitry and elements
US20190389613A1 (en) Method for processing heat transfer labels
US7728726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labels
MXPA06009654A (es) Etiqueta de seguridad y sistema para fabricar una etiqueta.
US7619520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label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7621451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label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01293431A (zh) 标签产生装置
CN101293432A (zh) 标签编辑装置和标签产生装置
KR20170128161A (ko)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90023355A (ko)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90001338U (ko)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JP4487181B2 (ja) 無線タグ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タグ情報通信装置
KR101470351B1 (ko) 제품식별 라벨 용지 및 그 제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