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283A - Assist apparatus for docketing a bed and bed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ssist apparatus for docketing a bed and bed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283A
KR20190023283A KR1020170108772A KR20170108772A KR20190023283A KR 20190023283 A KR20190023283 A KR 20190023283A KR 1020170108772 A KR1020170108772 A KR 1020170108772A KR 20170108772 A KR20170108772 A KR 20170108772A KR 20190023283 A KR20190023283 A KR 2019002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socket
bed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7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3368B1 (en
Inventor
홍한표
전인호
송기탁
하태현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8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368B1/en
Publication of KR2019002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2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docking auxiliary device and a patient bed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ed docking auxiliary device, which comprises a connector part for receiving an electric wire, wherein the connector part includes: a connector terminal part provided at one end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and a bed connection part provided at an opposite end portion of the connector terminal part and connected to the bed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Description

침대 도킹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ASSIST APPARATUS FOR DOCKETING A BED AND BED INCLUDING THE SAME}[0001] DESCRIPTION [0002] ASSIST APPARATUS FOR DOCKETING A BED AND BED INCLUDING THE SAME [0003]

본 발명은 침대가 병실에 도킹되는 것을 도와주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및 이러한 도킹 장치를 포함하는 침대에 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bed docking aid that assists in the docking of a bed to a room and a bed comprising such a docking device.

일반적으로, 의료용 침대는 장기간의 진료를 필요로 하거나 활동에 많은 제약이 수반되는 환자들을 위한 것으로 병원의 일반실 또는 중환자실에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침대에는 거동이 힘든 환자의 몸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진, 측정하여 다양한 의료용 전자 장비와 이러한 장비와 연결되는 컴퓨터 등이 구비되어 있다.  Generally, a medical bed is used for patients who need long-term care or whose activities are highly constrained, and are used in the general room or intensive care unit of a hospital. Such a medical bed is equipped with various medical electronic equipments and a computer connected to such equipment by regularly checking and measur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a patient who has difficulty in moving.

그러나, 환자의 응급 이송이 요구되는 등 의료용 침대가 신속하게 이동될 필요가 있는 경우, 의료용 침대가 이송되기에 앞서 의료용 침대에 설치된 의료용 전자 장비 및 의료용 컴퓨터의 전기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므로, 의료용 침대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리된 전기 플러그는 의료용 침대가 이동하는 동안 바닥에 끌리게 되어 의료 요원들이 침대를 이송시키는 것에 불편함을 주게 되고, 분리된 전기 플러그를 의료용 침대 위에 올려두게 되면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medical bed needs to be moved quickly, such as when urgent transportation of the patient is required, the medical electronic equipment installed in the medical bed and the electrical plug of the medical computer must be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before the medical bed is transfer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d can not be moved quickly. In addition, the separated electric plug is attracted to the floor while the medical bed is moving,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medical personnel to transport the bed, and if the separated electric plug is placed on the medical bed, it is not hygienic.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의료용 침대를 도킹하거나 도킹 해제할 때 의료용 침대의 전자 장비가 콘센트 등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의료 도킹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 a medical docking assistance apparatus in which electronic equipment of a medical be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n outlet or the like when the medical bed is docked or undocked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선을 수용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일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부; 및 상기 커넥터 단자부의 반대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하 회전 가능하게 침대와 연결되는 침대 연결부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comprising: a connector portion receiving an electric wire, the connector portion including: a connector terminal portion provided at one end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And a bed connection part provided at an opposite end of the connector terminal part and connected to the bed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또한, 상기 커넥터 단자부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회전 가능한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선의 어느 한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전기선의 다른 한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or body; A first connector terminal formed in a spherical shape rotatable in the connector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pole of the electric wire; And a second connector terminal provid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pole of the electric wire.

또한,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는 단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넥터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수용되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커넥터 단자가 노출되는 단자 홀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 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커넥터 단자를 가압하는 단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onnector body so that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is accommodated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nd a terminal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is exposed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or body Wherein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further includes a terminal spring provided between the connector body and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and configured to press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in a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hole .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부 측이 일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침대 연결부 측이 타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connecto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bed docking assisting device in which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side is formed to be bent in one direction and the bed connecting portion side is formed to be bent in the other direction.

또한, 상기 침대 연결부는 상기 커넥터부가 상기 침대와 병실의 바닥의 사이에서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침대의 하부에 힌지 연결된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bed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with a bed docking auxiliary device hinged to the lower part of the bed so that the connector part can rotate up and down between the bed and the bottom of the patient room.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부가 병실의 바닥으로부터 이격 지지되도록 상기 침대에 연결되는 지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connecto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pring connected to the bed so tha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atient room.

또한,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병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단자부와 연결될 수 있는 소켓 단자부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socket por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portion and may include a socket porti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patient room. The socket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and be inclined upward, A bed docking auxiliary device including a socket terminal portio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커넥터 단자부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회전 가능한 구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선의 어느 한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둘레면을 따라 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선의 다른 한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바디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소켓 바디; 상기 제1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소켓 바디의 바닥부에 제공되는 제1 소켓 단자; 및 상기 제2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소켓 바디의 내측 둘레부에 제공되는 제2 소켓 단자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or body; A first connector terminal having a spherical shape rotatable in the connector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oles of the electric wire; And a second connector terminal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pole of the electric wire, A socket body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A first socke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and provided at a bottom portion of the socket body; And a second socke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terminal and provid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ocket body.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1 소켓 단자가 접촉하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하는 자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 유닛은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또는 커넥터 바디에 제공되는 커넥터 자성체 및 상기 제1 소켓 단자 측에 제공되는 소켓 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magnetic circuit further includes a magnetic unit that applies a magne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and the first socket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agnetic unit includes a connector magnetic body provided to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or the connector body, A bed docking auxiliary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ocket magnetic bodies provided on the terminal sid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부를 상기 소켓 단자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병실의 바닥에 인접하는 측으로부터 상기 소켓 단자부 측을 향하여 굴곡지게 연장되고, 상측에서 볼 때 상기 병실의 바닥측 보다 상기 소켓 단자부 측이 더 좁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socket por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The guide portion is bent to extend from the side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sickroom toward the socket terminal portion side, A first guide formed on the socket terminal side to be narrower than a bottom side of the socket; And a second guide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guid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병실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바닥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 연결부는 상기 병실의 바닥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병실의 바닥 내에 매설되는 플렌지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socke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sickroom, and the bottom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sickroom; And a bed docking auxiliary device including a flange embedded in the floor of the sickroom.

또한, 상기 바닥 연결부는 상기 소켓부가 상기 회전 축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connec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ed docking assisting device that further includes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socket portion from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또한,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평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대 도킹 보조 장치의 상기 커넥터부가 상기 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 bed may be provided, which includes a fla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ttress, and the connector portion of the bed docking auxiliary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at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의료용 침대를 도킹하거나 도킹 해제할 때, 의료용 침대를 보다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dical bed is docked or undocked, the medical bed can be moved more quickly and hygien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도킹 보조 장치가 설치된 침대 및 병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침대 도킹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침대 도킹 보조 장치의 커넥터부와 소켓부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소켓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소켓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침대 도킹 보조 장치의 커넥터부와 소켓부가 연결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FIG. 1 conceptually illustrates a bed and a sickroom in which a bed dock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ed docking auxiliary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or portion and a socket portion of the bed docking assisting device of FIG. 2 connecte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socket portion of Fig. 2;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ocket portion of FIG.
FIG. 6 conceptually shows a process of connecting the connector portion and the socket portion of the bed docking assisting apparatus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접속',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접속,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or "touch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connected to, or in contact with the other element, .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xpressions such as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and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when the directions of the objects are changed.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도킹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bed docking assisting apparatus and a bed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도킹 보조 장치(10)는 병실에 놓이는 침대(2) 또는 병실의 바닥(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침대 도킹 보조 장치(10)는 전기선(101)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커넥터부(100); 및 이러한 커넥터부(100)와 연결 가능하도록 병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소켓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전기선(101)이 일반적인 전기 케이블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1 to 3, a bed docking auxiliary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bed 2 or a floor 1 of a bed room which is placed in a bed room. To this end, the bed docking assisting apparatus 10 includes a connector 100 serving as a frame for supporting the electric wire 101; And a socket unit 20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atient room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100. Meanwhile, although the electric wire 101 is shown as a general electric cable in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ic wire 10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s.

커넥터부(100)는 일측에 구비되는 커넥터 단자부(110), 타측에 구비되는 침대 연결부(120), 및 지지 스프링(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00)는 커넥터 단자부(110)측이 병실의 바닥(1)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고, 침대 연결부(120) 측이 침대 평상부(2a)의 저면을 향해 상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or portion 100 may include a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provided at one side, a bed connection portion 120 provided at the other side, and a support spring 130. The connector portion 100 is formed such tha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side is bent toward the bottom 1 of the patient room and the bed connection portion 120 side is bent up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bed flat portion 2a .

커넥터 단자부(110)는 전기 플러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켓부(200)의 후술하는 소켓 단자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단자부(110)는 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 바디(111), 전기선의 어느 한 극과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단자(112), 전기선의 다른 한 극과 연결되는 제2 커넥터 단자(113), 제1 커넥터(112)와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스프링(114), 및 커넥터 자성체(1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serves as an electric plug and can be connected to a socket terminal portion described later of the socket portion 200. The connector terminal unit 110 includes a connector body 111 having a spherical shape, a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connected to one pole of the electric wire, a second connector terminal 113 connected to the other pole of the electric wire, A terminal spring 114 that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12, and a connector magnetic body 115.

커넥터 바디(111)는 제1 커넥터 단자(112)가 수용되기 위한 단자 수용부(111a) 및 단자 수용부(111a)의 개구에 해당하는 단자 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자 홀(111b)은 제1 커넥터 단자(112)가 단자 수용부(111a)로부터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커넥터 바디(111)의 단부에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단자 수용부(111a)는 제1 커넥터 단자(11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단자(112)가 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단자 수용부(111a)는 구형의 내면을 가지는 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nector body 111 may include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11a for accommodating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and a terminal hole 111b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11a. In other words, the terminal hole 111b may be a hole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body 111 so that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is exposed from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11a. The terminal receiving portion 111a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has a spherical shape, the terminal receiving portion 111a may be formed as a hole having a spherical inner surface.

제1 커넥터 단자(112)는 전기선의 어느 한 극과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면서 단자 수용부(111a) 내에서 전, 후, 좌, 우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침대(2)가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단턱부를 지나가더라도 제1 커넥터 단자(112)의 회전에 의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00)가 소켓부(200)와 연결될 때에 제1 커넥터 단자(112)가 후술하는 가이드부(220)를 더욱 부드럽게 활주하여 소켓 단자부(210)에 더욱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 단자(112)는 회전의 용이함을 위해 단자 수용부(111a)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커네거 바디(1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단자(112)의 일부는 단자 홀(111b)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can freely rotat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11a while maintain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one of the poles of the electric wire. Therefore, even if the bed 2 passes the step protruded from the floor,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can smoothly mov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 When the connector 100 is connected to the socket 200,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can be inserted into the socket terminal 210 more easily by sliding the guide 220 more smoothly.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may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11a for easy rotation,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kereger body 111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A part of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can be exposed through the terminal hole 111b.

제2 커넥터 단자(113)는 커넥터 바디(111)의 둘레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 단자(113)는 커넥터 바디(11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 단자(111)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 홀(111b)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or terminal 113 may b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111 and may have a circular ring shape. The second connector terminal 11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onnector body 111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erminal hole 111b to prevent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1. [

단자 스프링(114)은 제1 커넥터 단자(112)와 단자 수용부(111a)의 내면 사이에 압축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 단자(112)가 단자 홀(111b) 측으로 밀려나오도록 제1 커넥터 단자(112)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 스프링(114)으로 인해 제1 커넥터 단자(112)는 단자 홀(111b)에 밀착되어 위치할 수 있고 후술하는 소켓 단자부의 제1 소켓 단자(212)와 안정적인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The terminal spring 11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11a such that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is pushed toward the terminal hole 111b, An elastic force can be applied to the terminal 112.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can b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erminal hole 111b by the terminal spring 114 and stable contact with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of the socket terminal portion described later can be maintained.

커넥터 자성체(115)는 금속류로 이루어진 제1 소켓 단자(212)와의 인력에 의해 제1 커넥터 단자(112)와 제1 소켓 단자(212) 간의 안정적인 접촉이 되도록 제1 커넥터 단자(112)와 제1 소켓 단자(212)가 인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자성체(115)는 제1 커넥터 단자(112)의 내부 또는 단자 홀(111b)의 주변에 인접하여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소켓부(200)에 커넥터 자성체(115)와 상이한 극을 갖는 소켓 자성체(215)가 제공되는 경우, 커넥터 자성체(115)는 소켓 자성체(215)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nector magnetic body 115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and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so as to make stabl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and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by the attraction with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made of metal. The socket terminal 212 can apply a force in an adjacent direction. The connector magnetic body 115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or the periphery of the terminal hole 111b. If the socket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the socket magnetic body 215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connector magnetic body 115, the connector magnetic body 115 is configured to have a magne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engaging with the socket magnetic body 215 .

침대 연결부(120)는 커넥터 단자부(110)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침대(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2)는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평상부(2a)를 포함하고, 침대 연결부(120)는 평상부(2a)의 저면에 연결되며, 또한 힌지 핀(121)과 이러한 힌지 핀(121)을 지지하는 힌지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힌지 핀(121)은 힌지 프레임(122)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침대 연결부(120)는 평상부(2a)와 병실의 바닥(1)의 사이에서 힌지 핀(121)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bed connection part 120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or terminal part 110 a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ed 2. For example, the bed 2 includes a flat portion 2a for supporting the mattress, the bed connection portion 12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portion 2a, and the hinge pin 121 and the hinge pin 121 for supporting the hinge frame 122. In other words, the hinge pin 121 can be inserted through the hinge frame 122. The bed connection portion 120 can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hinge pin 121 between the flat portion 2a and the floor 1 of the patient room.

지지 스프링(130)은 침대(2)의 저면에 연결되어 커넥터 단자부(110)가 병실의 바닥(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넥터부(100)는 지지 스프링(13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이로 인해 침대(2)가 이동하는 동안에 커넥터 단자부(110)는 병실의 바닥(1)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00)와 소켓부(200)가 연결되었을 때, 지지 스프링(130)은 커넥터 단자부(110)가 소켓 단자부(210)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넥터 단자부(110)가 소켓 단자부(2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The support spring 13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d 2 so tha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1 of the patient room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ther words, the connector portion 100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support spring 130, so tha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may not contact the floor 1 of the room while the bed 2 is moving. When the connector portion 100 and the socket portion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upport spring 130 can exert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closely contacts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The socket terminal 110 can contact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more stably.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소켓부(200)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ocket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소켓부(200)는 병실의 바닥(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커넥터부(1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켓부(200)는 커넥터 바디(110)을 수용할 수 있는 소켓 단자부(210), 커넥터 바디(110)를 소켓 단자부(210)로 안내하는 가이드부(220) 및 소켓부(200)를 병실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바닥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5, the socket unit 20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loor 1 of the patient room, and may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nector unit 100. To this end, the socket unit 200 includes a socket terminal unit 210 capable of receiving the connector body 110, a guide unit 220 for guiding the connector body 110 to the socket terminal unit 210, and a socket unit 200 And a floor connection portion 230 rotatably connected to the floor of the room.

소켓 단자부(210)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소켓 바디(211), 제1 소켓 단자(212) 및 제2 소켓 단자(213)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 단자부(210)는 후술하는 제1 가이드(221)의 병실 바닥측 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may include a socket body 211 having a concave shape, a first socket terminal 212, and a second socket terminal 213.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ide of the first chamber 221 of the first guide 221 described later.

소켓 바디(211)는 커넥터 바디(111)의 형상과 대략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바디(111)가 구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 소켓 바디(211)의 내면은 구형으로 형성된 오목 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소켓 바디(211)는 후술하는 제1 가이드(221)의 바닥측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소켓 바디(211)의 바닥부의 높이(h)는 커넥터부(100)가 소켓부(200)에 체결되지 않았을 때 커넥터 단자부(110)와 병실의 바닥(1) 사이의 거리(d)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The socket body 21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approximately to the shape of the connector body 111. For example, when the connector body 111 has a spherical shape,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body 211 may be a concave hol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In addition, the socket body 211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ttom side of the first guide 221 described later. The height h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socket body 211 is set larger th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and the bottom 1 of the patient room when the connector portion 100 is not fastened to the socket portion 200 .

제1 소켓 단자(212)는 커넥터 단자부(110)와 소켓 단자부(210)가 연결되었을 때 제1 커넥터 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단자(112)가 커넥터 바디(111)의 dlf 단부에 제공될 경우, 제1 소켓 단자(212)는 소켓 바디(211)의 바닥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may be arranged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when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and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are connect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is provided at the dlf end of the connector body 111,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ocket body 211.

제2 소켓 단자(213)는 커넥터 단자부(110)와 소켓 단자부(210)가 연결되었을 때 제2 커넥터 단자(113)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넥터 단자(113)가 커넥터 바디(111)의 둘레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구성될 경우, 제2 소켓 단자(213)는 소켓 바디(211)의 둘레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소켓 단자(213)는 제1 소켓 단자(211)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소켓 단자(211)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ocket terminal 213 may be arranged to electrically contact the second connector terminal 113 when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and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are connected.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onnector terminal 113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111, the second socket terminal 213 is ring-shap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cket body 211 Can be provided. The second socket terminal 21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ocket terminal 211 to prevent contact with the first socket terminal 211.

소켓 자성체(215)는 금속류로 이루어진 제1 커넥터 단자(112)와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제1 커넥터 단자(112)와 제1 소켓 단자(212) 간의 안정적인 접촉이 되도록 제1 커넥터 단자(112)와 제1 소켓 단자(212)가 인접하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소켓 자성체(215)는 제1 소켓 단자(212)의 주변에 인접하여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커넥터부(100)에 소켓 자성체(215)와 상이한 극을 갖는 커넥터 자성체(115)가 제공되는 경우, 소켓 자성체(215)는 커넥터 자성체(115)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자성체(115)와 소켓 자성체(215)는 세트가 되어 자성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ocket magnetic body 215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and the second connector terminal 112 so as to stably contact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and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by magnetic attraction with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made of metal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can apply a magnetic force in an adjacent direction. The socket magnetic body 215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adjacent to the periphery of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If the connector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the connector magnetic body 115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socket magnetic body 215, the socket magnetic body 215 is configured to have a magne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engaging with the connector magnetic body 115 . The connector magnetic body 115 and the socket magnetic body 215 can be set as a magnetic unit.

가이드부(220)는 커넥터 단자부(110)가 병실의 바닥(1)으로부터 소켓 단자부(210)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220)는 제1 가이드(221) 및 제2 가이드(222)를 가질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220 can guide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to move from the bottom 1 of the room 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 For this purpose, the guide unit 220 may have a first guide 221 and a second guide 222.

제1 가이드(221)는 그 상면이 병실의 바닥(1)과 인접하는 측(제1 가이드(211)의 일측, A)으로부터 소켓 단자부(210) 측(제1 가이드(211)의 타측; B)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221)의 상면은 뽀죡한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연속적인 면을 가질 수 있으며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221)는 그 상면이 상기 병실의 바닥과 인접하는 측(A) 보다 상기 소켓 단자부와 연결되는 측(B)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221)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소켓 단자측을 향해 좁아지는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guide 221 is connected 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sid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uide 211; B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uide 211) As shown in Fi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221 may have a continuous surface and may be curved so as not to form a pitted edge. In addition, the first guide 221 may have a narrower side B o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221 is connected 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than the side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sickroom. For example, the first guide 221 may have a sector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socket terminal when viewed from above.

제2 가이드(222)는 제1 가이드(2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222)는 제1 가이드(22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으로 제공되는 제2 가이드(222)는 소켓 단자부(210)를 향하여 모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221)가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경우, 부채꼴의 직선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양측으로 제공되는 제2 가이드(222)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소켓 단자부(210)의 중심과 바닥 연결부(230)의 중심을 지나는 축(중심축; c)으로부터 제1 각도(a1)를 이루도록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222)는 커넥터 단자부(110)가 소켓 단자부(2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소켓부(2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econd guide 22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first guide 221.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222 may extend along both side edges of the first guide 221.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222 provided on both sides may be formed so as to converge toward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For example, when the first guide 221 has a fan shape, it may extend along the linear edge of the fan shape. The second guide 222 provided on both sides is extended from the center of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and the axis of the bottom connecting portion 230 to form a first angle a1 . The second guide 222 prevents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ocket portion 200 when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바닥 연결부(230)는 소켓부(200)가 병실의 바닥(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 연결부(230)는 회전축(231), 플렌지(232) 및 스토퍼(2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ttom connection part 2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ocket part 20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loor 1 of the patient room. The bottom connection portion 23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231, a flange 232, and a stopper 233. [

회전축(231)은 소켓부(200)의 저면부로부터 병실의 바닥(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플렌지(232)는 회전축(231)을 그 중심축으로 포함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병실의 바닥(1)면과 평행하게 바닥(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렌지(232)의 형상은 반드시 원형 플레이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회전축(231)과 플렌지(232)를 통해 건물 내의 전기 배선과 소켓 단자부(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otary shaft 231 may extend i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ocket portion 200 toward the bottom 1 of the patient room. The flange 23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including the rotation axis 231 as a central axis thereof and may be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floor 1 in parallel with the floor 1 side of the hospital room. The shape of the flange 23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ape of the circular plate. The electric wire in the building and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rotation shaft 231 and the flange 232.

스토퍼(233)는 소켓부(200)가 회전축(231)에 대하여 지나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켓부(2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33)에 의해 소켓부(200)는 그 회전이 제한되어, 제1 가이드(221)의 병실의 바닥측이 병실의 벽을 향하지 않고 침대(2)가 들어오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부(110)가 가이드부(220)에 의해 소켓 단자부(210)로 안내되는 과정에서 소켓부(200)가 병실의 벽 측으로 완전히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넥터 단자부(110)는 가이드부(22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소켓 단자부(210)로 안내될 수 있다. The stopper 233 can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socket unit 200 to prevent the socket unit 200 from being excessively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231. [ The stopper 233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socket unit 200 so that the bottom side of the first chamber 221 of the first guide 221 is orient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d 2 does not face the wall of the patient room have. Therefore, in the process tha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is guided 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by the guide portion 220, the socket portion 200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completely to the wall side of the patient room, 110 can be stably guided 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without detaching from the guide portion 220.

또한, 스토퍼(233)는 소켓부(200)가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제2 각도(a2)까지만 회전하도록 소켓부(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각도(a2)의 1/2은 90°- 제1 각도(a1)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 각도(a1)과 제2 각도(a2)의 1/2 값의 합이 90°이상이면, 제2 가이드(222)와 커넥터부(100)가 진입하는 방향 간의 각도가 90°이상이 되어버리고, 소켓부(200)는 커넥터 단자부(110)가 제2 가이드(222)를 미는 힘에 의해 병실의 벽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버린다. 이처럼 소켓부(200)가 병실의 벽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버리면 커넥터 단자부(110)가 소켓 단자부(210)로 삽입되지 못하고 가이드부(22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그러나, 제2 각도(a2)는 90°- 제1 각도(a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면, 소켓부(20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커넥터 단자부(110)가 제2 가이드(222)를 미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병실의 벽을 향하여 완전히 돌아가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부(110)가 가이드부(22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The stopper 233 can limit the rotation of the socket unit 200 so that the socket unit 200 rotates only about the rotation axis 231 to the second angle a2. Half of the second angle a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90 ° - the first angle a1. If the sum of the first angle a1 and the half value of the second angle a2 is 90 degrees or more, the angle 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uide 222 and the connector 100 enter is 90 degrees or more The socket portion 200 is rotated so tha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is directed toward the wall of the patient room by the force pushing the second guide 222. [ When the socket unit 200 is rotated to face the wall of the patient's room, the connector terminal unit 110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socket terminal unit 210 and is detached from the guide unit 220. However, if the second angle a2 is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a1, the rotation of the socket unit 200 is restricted, It does not turn completely toward the wall of the room. Therefore,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guide portion 220.

이러한 스토퍼(233)는 소켓부(2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경로를 가지는 스토퍼 가이드(233b) 또는 이러한 스토퍼 가이드(233b)를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 팔로워(233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팔로워(233a)가 소켓부(200)의 하부로부터 병실의 바닥(1)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경우, 스토퍼 가이드(233b)가 스토퍼 팔로워(233a)와 맞물리도록 병실 바닥에 형성될 수 있고, 스토퍼 팔로워(233a)는 스토퍼 가이드(233b)에 의해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233b)는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원주 형상의 원주각은 제2 각도(a2)일 수 있다. The stopper 233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ocket unit 200 and may include a stopper guide 233b having a predetermined path or a stopper follower 233a moving along the stopper guide 233b . When the stopper follower 233a is protruded from the bottom of the socket portion 200 toward the bottom 1 of the patient room, the stopper guide 233b may be formed on the floor of the patient room so as to engage with the stopper follower 233a, The follower 233a can be guided to move along a predetermined path by the stopper guide 233b. The stopper guide 233b may have a columnar shape formed around the rotation axis 231, and the columnar circumferential angle may be a second angle a2.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스토퍼 팔로워(233a)가 돌기의 형상을 가지고, 스토퍼 가이드(233b)가 홈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스토퍼 팔로워(233a)가 소켓부(200)의 바닥 측에 형성되고 스토퍼 가이드(233b)이 병실의 바닥(1)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토퍼 팔로워(233a)가 병실의 바닥(1) 측에 형성되고 스토퍼 가이드(233b)이 소켓부(200)의 바닥 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the stopper follower 233a has a protrusion shape and the stopper guide 233b has a groove shape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pper guide 233b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may be configured in the reverse order. Although the stopper follower 233a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the socket unit 200 and the stopper guide 233b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1 of the patient room in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topper follower 233a is formed on the bottom 1 side of the room and the stopper guide 233b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the socket part 200. [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침대 도킹 보조 장치(10)를 포함하는 침대(2)가 병실에 들어와서 지정된 자리에 도킹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process in which the bed 2 including the bed docking assisting apparatus 10 is docked in a designated place after entering the room.

도 6을 참조하면, 의료 요원이 침대(2)를 미는 힘에 의해 침대(2)가 이동하고, 침대(2)의 저면에 위치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10)의 커넥터부(100)도 침대(2)를 따라 이동한다. 커넥터부(100)의 커넥터 단자부(110)는 제1 가이드의 일측(A)으로부터 제1 가이드(221)의 상면으로 진입하여 제1 가이드(221) 및 제2 가이드(222)를 따라 소켓 바디(211)를 향해 이동한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connector 2 of the bed docking assistant 10,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ed 2, is moved by the force of the medical personnel pushing the bed 2, (2). The connector terminal unit 110 of the connector unit 100 ent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221 from one side A of the first guide a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221 and the second guide 222 to the socket body 211).

제1 커넥터 단자(112)가 제1 가이드(221) 상에서 회전하므로 커넥터 단자부(110)는 소켓 단자부(210)를 향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221)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222)는 커넥터 단자부(110)가 소켓부(200)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제1 가이드(211)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므로 커넥터 단자부(110)는 제1 가이드(211)를 따라 소켓 단자부(210)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승한다. 이처럼, 커넥터 단자부(110)는 가이드부(220)에 의해 안내되어 소켓 단자부(210)에 삽입된다. 이때, 커넥터부(100)는 일측에 제공되는 커넥터 단자부(110)가 상승함에 따라 타측의 침대 연결부(1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Since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rotates on the first guide 221,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can smoothly move toward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The second guide 22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221 prevents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from moving to the socket portion 200. Since the first guide 211 is inclined upward, the height of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increases from the bottom surface as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moves toward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along the first guide 211. Thus,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220 and inserted in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At this time, as the connector terminal unit 110 provided at one side rises, the connector unit 100 rotates around the other bed connection unit 120.

커넥터 단자부(110)가 소켓 단자부(210)에 삽입되면, 제1 커넥터 단자(112)는 제1 소켓 단자(21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제2 커넥터 단자(113)는 제2 소켓 단자(213)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커넥터 자성체(115)와 소켓 자성체(215)의 자기력은 커넥터 단자(112, 113) 및 소켓 단자(212, 223)가 보다 긴밀하게 접촉하게 하는 인력으로 작용한다. 한편, 단자 스프링(114)은 제1 커넥터 단자(112)를 제1 소켓 단자(212)쪽으로 밀어주므로 제1 커넥터 단자(112)와 제1 소켓 단자(212)가 보다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지지 스프링(130)이 커넥터 단자부(110)가 소켓 단자부(210)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커넥터 단자(112, 113) 및 소켓 단자(212, 223)가 보다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and the second connector terminal 113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ocket terminal 213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magnetic forces of the connector magnetic body 115 and the socket magnetic body 215 act as attraction forces to make the connector terminals 112 and 113 and the socket terminals 212 and 223 more closely contacted.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spring 114 pushes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toward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so that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112 and the first socket terminal 212 can more closely contact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spring 13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inser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110 in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210, the connector terminals 112 and 113 and the socket terminals 212 and 223 can more closely contact each other .

침대(2)가 다른 병실이나 치료실로 이동하기 위해 침대(2)의 도킹이 해제되는 과정은 이러한 도킹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docking of the bed 2 in order to move the bed 2 to another hospital or treatment room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is docking procedure.

이처럼, 침대(2)가 병실로부터 빠져나오거나 병실에 다시 들어가는 과정에서 침대에 설치된 의료용 전자 장비 및 의료용 컴퓨터의 전기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전기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침대를 이송하는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플러그가 침대의 저면에 유지되어 이송 중에 바닥에 끌리지 않으므로, 전기 케이블 등을 침대에 올려둘 필요도 없게 되어 침대를 이송하는 작업이 보다 위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As such, in the course of withdrawing the bed (2) from the room or re-entering the room, the medical electronic equipment installed in the bed and the electric plug of the medical computer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or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electric plug into the outlet may be omitted , The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bed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plug is held on the bottom of the bed and is not attracted to the floor during transportation, there is no need to place the electric cable on the bed, so that the operation of transporting the bed can be more hygienic.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 도킹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bed docking assisting apparatus and the bed including the bed docking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as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Range. ≪ / RTI >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a pattern of features that are not described in a combinatorial and / or permutational manner with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is not to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readily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병실의 바닥 2: 침대
2a: 평상부 10: 침대 도킹 보조 장치
100: 커넥터부 101: 전기선
110: 커넥터 단자부 111: 커넥터 바디
111a: 단자 수용부 111b: 단자 홀
112: 제1 커넥터 단자 113: 제2 커넥터 단자
114: 단자 스프링 115: 커넥터 자성체
120: 침대 연결부 121: 힌지 핀
122: 힌지 프레임 130: 지지 스프링
200: 소켓부 210: 소켓 단자부
211: 소켓 바디 212: 제1 소켓 단자
213: 제2 소켓 단자 215: 소켓 자성체
220: 가이드부 221: 제1 가이드
222: 제2 가이드 220: 가이드부
221: 제1 가이드 222: 제2 가이드
230: 바닥 연결부 231: 회전축
232: 플렌지 233: 스토퍼
233a: 스토퍼 팔로워 233b: 스토퍼 가이드
1: bed room 2: bed
2a: flat top 10: bed docking aid
100: connector portion 101: electric wire
110: connector terminal part 111: connector body
111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11b: Terminal hole
112: first connector terminal 113: second connector terminal
114: terminal spring 115: connector magnetic body
120: bed connection 121: hinge pin
122: hinge frame 130: support spring
200: socket part 210: socket terminal part
211: socket body 212: first socket terminal
213: second socket terminal 215: socket magnetic body
220: guide portion 221: first guide
222: second guide 220: guide part
221: first guide 222: second guide
230: bottom connecting portion 231:
232: flange 233: stopper
233a: Stopper follower 233b: Stopper guide

Claims (13)

전기선을 수용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일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부; 및
상기 커넥터 단자부의 반대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하 회전 가능하게 침대와 연결되는 침대 연결부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And a connector portion for receiving the electric wire,
The connector unit,
A connector terminal portion provided at one en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And
And a bed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an opposite end of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bed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부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회전 가능한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선의 어느 한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전기선의 다른 한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includes:
Connector body;
A first connector terminal formed in a spherical shape rotatable in the connector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pole of the electric wire; And
And a second connector terminal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pole of the electric wi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는 단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넥터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수용되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커넥터 단자가 노출되는 단자 홀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 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커넥터 단자를 가압하는 단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or body is formed with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is accommodated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 terminal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is exposed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or body,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includes:
And a terminal spring provided between the connector body and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for pressing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in a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부 측이 일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침대 연결부 측이 타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Wherein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side is formed to bend in one direction and the bed connection portion side is formed to bend in the other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연결부는 상기 커넥터부가 상기 침대와 병실의 바닥의 사이에서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침대의 하부에 힌지 연결된 침대 도킹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d connection portion is hinged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ed so that the connector portion can rotate up and down between the bed and the bottom of the bed ro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부가 병실의 바닥으로부터 이격 지지되도록 상기 침대에 연결되는 지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upport spring connected to the bed such tha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atient ro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병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단자부와 연결될 수 있는 소켓 단자부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ocket portion which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portion and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atient room,
Wherein the socket portion includes a socket terminal portion that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and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and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부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선의 어느 한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둘레면을 따라 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선의 다른 한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바디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소켓 바디;
상기 제1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소켓 바디의 바닥부에 제공되는 제1 소켓 단자; 및
상기 제2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소켓 바디의 내측 둘레부에 제공되는 제2 소켓 단자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Connector body;
A first connector terminal formed in a spherical shape rotatable in the connector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oles of the electric wire; And
And a second connector terminal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pole of the electric wire,
The socket-
A socket bod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body to accommodate the connector body;
A first socke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and provided at a bottom portion of the socket body; And
And a second socke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terminal and provid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ocket bod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1 소켓 단자가 접촉하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하는 자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 유닛은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또는 커넥터 바디에 제공되는 커넥터 자성체 및 상기 제1 소켓 단자 측에 제공되는 소켓 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unit that applies a magne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and the first socket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agnetic unit
A connector magnetic body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or the connector body, and a socket magnetic body provided on the first socket terminal sid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부를 상기 소켓 단자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병실의 바닥에 인접하는 측으로부터 상기 소켓 단자부 측을 향하여 굴곡지게 연장되고, 상측에서 볼 때 상기 병실의 바닥측 보다 상기 소켓 단자부 측이 더 좁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ocket por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to the socket terminal portion,
The guide portion
A first guide which extends from the side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sickroom toward the socket terminal portion and which is formed to be narrower on the socket terminal side than on the bottom side of the sickroom when viewed from above; And
And a second guide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guid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병실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바닥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 연결부는
상기 병실의 바닥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병실의 바닥 내에 매설되는 플렌지를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ocke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loor connection portion for rotatably fixing to the floor of the sickroom,
The bottom connecting portion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sickroom; And
And a flange embedded within the floor of the sickroom.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연결부는 상기 소켓부가 상기 회전 축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침대 도킹 보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ottom connect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stopper that restricts rotation of the socket portion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평상부를 포함하고,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침대 도킹 보조 장치의 상기 커넥터부가 상기 평상부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침대.
And a fla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ttress,
A bed, wherein the connector portion of the bed docking ai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lat portion.
KR1020170108772A 2017-08-28 2017-08-28 Assist apparatus for docketing a bed and bed including the same KR101963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772A KR101963368B1 (en) 2017-08-28 2017-08-28 Assist apparatus for docketing a bed and bed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772A KR101963368B1 (en) 2017-08-28 2017-08-28 Assist apparatus for docketing a bed and bed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283A true KR20190023283A (en) 2019-03-08
KR101963368B1 KR101963368B1 (en) 2019-03-28

Family

ID=6580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772A KR101963368B1 (en) 2017-08-28 2017-08-28 Assist apparatus for docketing a bed and bed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36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1034A (en) * 1997-01-31 2001-08-07 ヒル−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Apparatus and method for upgrading a hospital room
JP2005516635A (en) * 2001-05-25 2005-06-09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Head wall
JP2006302266A (en) * 2005-03-24 2006-11-02 Showa Denko Kk Load detector for bed
JP2013106676A (en) * 2011-11-18 2013-06-06 Hitachi Medical Corp Mobile bed device and medical image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1034A (en) * 1997-01-31 2001-08-07 ヒル−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Apparatus and method for upgrading a hospital room
JP2005516635A (en) * 2001-05-25 2005-06-09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Head wall
JP2006302266A (en) * 2005-03-24 2006-11-02 Showa Denko Kk Load detector for bed
JP2013106676A (en) * 2011-11-18 2013-06-06 Hitachi Medical Corp Mobile bed device and medical image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368B1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197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with assistance request button and method power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615047B2 (en) Moving system and moving device
US11627212B2 (en) Clamp to attach electronic device holder to bed rail
US202103735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y Transferring Signals Between Electronic Components
US8968014B2 (en) Connector cover for protecting a connection from contaminants
US932510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neural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028875B2 (en) Electronic device mount for releasably attaching to equipment in a hospital room
US10067532B2 (en) Electronic device
US20140235079A1 (en) Multi-Position Duckhead Adapter Plugs And Associated Moveable Plug Assemblies
KR101963368B1 (en) Assist apparatus for docketing a bed and bed including the same
US9657893B2 (en) Clip for a patient monitoring pod
JP2011502733A (en) Warming treatment device having a rotatable mattress tray
US10940068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portable charging device
US20210307704A1 (en) Rotating Docking Station
KR101434055B1 (en) Portable appliance holder for bed
CN110505895B (en) Electric conduit
TWI536679B (en) Docking station of electronic device
US6441377B1 (en) System for exchanging and storing collimators for medical imaging devices
CN114597724B (en) Electric connection device and photographic equipment
JP2021191368A (en) Docking device, cart and cradle
CN215227613U (en) Sick bed alignment mechanism and medical imaging system
CN205846344U (en) Connector mechanism and include the 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of this connector mechanism
US11517276B2 (en) Scanning imaging device, carrier and carrier positioning device
JP7412366B2 (en) electronic watch system
TW201423317A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