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123A - 휴대용 뮤직 키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뮤직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123A
KR20190023123A KR1020170108375A KR20170108375A KR20190023123A KR 20190023123 A KR20190023123 A KR 20190023123A KR 1020170108375 A KR1020170108375 A KR 1020170108375A KR 20170108375 A KR20170108375 A KR 20170108375A KR 20190023123 A KR20190023123 A KR 2019002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music
kit
user terminal
user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철 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노
철 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노, 철 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노
Priority to KR1020170108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3123A/ko
Publication of KR2019002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용 뮤직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결합되는 출력 단자, 출력 단자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신호 출력 단자가 일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어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뮤직 키트{Portable Music Kit}
본 발명은 휴대용 뮤직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받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뮤직 키트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전성기를 구가하던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2000년대 들어 MP3 파일 등의 미디어 파일과 함께 등장한 온라인 음원 시장에 의해 크게 잠식되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음반을 파일로 소장하는 방식의 MP3 플레이어 등에 적응하지 못한 세대들은 음반 시장을 이탈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전체 음악 시장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MP3 파일의 불법 복제, 불법 전송 등으로 인해 온라인 음원 시장 또한 그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고, 음원 공급 업체들은 MP3 파일에 대한 대안으로 불법 복제 및 불법 전송이 근본적으로 어려운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통신 환경에 따라 서비스의 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가 실행할 때마다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MP3 파일 등에서와 같은 다운로드 방식의 음원 시장이 스트리밍 서비스 중심의 음원 시장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또한 많은 음원 소비자들의 시장 이탈이 있었다.
즉, 이와 같이 음반 시장에서 MP3 음원 시장으로의 전환기와, MP3 음원 시장의 스트리밍 방식의 음원 시장으로의 전환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시장 이탈자들이 있었다.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은 음악에 대한 소비욕구는 여전히 가지고 있으나, 현재의 음원 시장에서는 이들의 감성적인 요구를 충족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은 아직도 음반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입해야 한다는 감성을 가지고 있거나, 한번 구매한 음원은 영원히 소장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을 현재의 음원 시장으로 재유입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받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뮤직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는, 사용자 단말기에 결합되는 출력 단자;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신호 출력 단자가 일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어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싱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에는 상기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고리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사용자 단말기에 휴대용 뮤직 키트를 결합하는 직관적인 방법을 통해 손쉽게 오디오 컨텐츠 파일을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음반 시장 등의 미디어 시장의 규모를 성장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다운로드 받은 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불법 복제를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데이터 사용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해소할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의 사용자 단말기와의 결합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는 출력 단자(110), 및 케이싱부(130)를 포함한다.
출력 단자(110)는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이어폰 단자 삽입홀(11)에 도 2에서와 같이 결합되어, 사용자 단말기(10)에 소정의 인증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출력 단자(110)의 사용자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이어폰 단자 삽입홀(11)과의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출력 단자(110)는 이어폰 단자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출력 단자(110)는 그 일단이 도 1에서와 같이, 케이싱부(13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110)의 타단은 케이싱부(13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150)에 케이싱부(130)의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케이싱부(130)의 모서리에는 삼각형 또는 부채꼴 형태의 홀로 이루어진 고리부(1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의 보다 편리한 휴대를 위해 고리부(135)에 자동차 키 등의 열쇠를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를 사용자 단말기(10)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 열쇠 고리의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10)에 결합되어 있는 휴대폰 고리를 케이싱부(130)의 고리부(135)에 결합함으로써, 휴대용 뮤직 키트의 분실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는 출력 단자(110), 제어부(150), 전원부(170), 및 저장부(190)를 포함한다.
뮤직 키트의 저장부(190)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소정의 오디오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기 위한 인증 절차 및 다운로드 받은 오디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0) 상에서 실행하기 위한 인정 절차에 필요한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도 2에서와 같이 휴대용 뮤직 키트의 출력 단자(110)를 사용자 단말기(10)의 이어폰 단자 삽입홀(11)에 결합하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저장부(19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를 출력 단자(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하게 된다.
전원부(170)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 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되며, 제어부(15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출력 단자(110), 제어부(150), 전원부(170), 및 저장부(190)를 도 4에서와 같이 케이싱부(130) 내부에 설치되는 PCB(인쇄회로기판:180)에 일체로서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출력 단자(110), 제어부(150), 전원부(170), 및 저장부(190)가 일체로서 구비되는 PCB(180)는 사각형 정사각형 케이싱부(130) 내부에 설치되기 위해 정사각형 패널의 형태로서 제작하되, 케이싱부(130)의 일측 모서리에 고리부(135)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측 모서리가 삼각형 형태로 절단된 정사각형 패널의 형태로서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전원부(170)에는 수은 전지 등의 교체형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전성 금속 패널형 접속 단자인 배터리 수납구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뮤직 키트를 구매한 사용자는 휴대용 뮤직 키트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가수의 음악 앨범 등의 오디오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앱스토어 등의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다(S510).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13)에는 휴대용 뮤직 키트의 제조사가 판매하는 다양한 휴대용 뮤직 키트에 각각 대응되는 음악 앨범의 이미지들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그 중에서 자신이 구매한 휴대용 뮤직 키트에 해당하는 음악 앨범의 이미지(예를 들어, 휴대용 뮤직 키트의 투명 케이싱부(130)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음악 앨범의 이미지를 선택한다.
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구매한 휴대용 뮤직 키트의 사용자 단말기(10)에의 결합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13)을 통해 표시하며,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뮤직 키트의 출력 단자(110)를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의 이어폰 단자 삽입홀(11)에 결합한 다음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2~3초) 경과 후 출력 단자(110)를 제거한다(S530).
한편, 전술한 S530 단계에서 휴대용 뮤직 키트의 출력 단자(110)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이어폰 단자 삽입홀(11)에 결합됨에 따라, 제어부(150)는 저장부(19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인증정보(예를 들면, 휴대용 뮤직 키트의 제품 일련번호)를 출력 단자(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며,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10)가 휴대용 뮤직 키트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전술한 S530 단계를 통해 휴대용 뮤직 키트로부터 인증정보를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휴대용 뮤직 키트의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각각의 휴대용 뮤직 키트별 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인 콘텐츠 제공 서버로 휴대용 뮤직 키트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와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당 권원을 인증한 다음, 해당 인증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콘텐츠(또는 멀티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휴대용 뮤직 키트에 대응되는 음악 앨범의 오디오 콘텐츠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다운로드받게 된다(S550).
이후 사용자는 다운로드받은 오디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0) 상에서 실행하기 위해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뮤직 키트의 출력 단자(110)를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의 이어폰 단자 삽입홀(11)에 다시 결합하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2~3초) 경과 후 출력 단자(110)를 제거한다(S570).
이와 같이 휴대용 뮤직 키트의 출력 단자(110)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이어폰 단자 삽입홀(11)에 결합됨에 따라, 제어부(150)는 저장부(19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를 출력 단자(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술한 S570 단계에서 휴대용 뮤직 키트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와 전술한 S5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양자의 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오디오 콘텐츠 실행에 있어서의 정당 권원을 인증하고 전술한 S550 단계에서 다운로드받은 오디오 콘텐츠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비록 사용자 단말기(10)에 오디오 콘텐츠가 다운로드되어 있는 경우라고 해도, 단순히 사용자 단말기(1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는 오디오 콘텐츠가 실행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뮤직 키트의 출력 단자(110)를 사용자 단말기(10)에 결합한 다음, 상기와 같은 인증 절차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용 뮤직 키트를 현재 소지하고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오디오 콘텐츠의 실행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디오 콘텐츠를 실행하여 음악을 청취하기 위해서 휴대용 뮤직 키트를 사용자 단말기(10)에 결합하는 동작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결과, 사용자는 음반 CD를 CD 플레이어에 장착함으로써 음악을 들었던 과거의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느낄 수 있게 되며, 휴대용 뮤직 키트를 음반 CD 등과 같이 소장하는 소장품으로서 가치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뮤직 키트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음악 앨범을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결과, 사용자가 자신이 구매한 휴대용 뮤직 키트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다운받은 후에 해당 휴대용 뮤직 키트를 타인에게 양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5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휴대용 뮤직 키트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함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해당 인증정보(휴대용 뮤직 키트의 제품 일련번호)와 사용자 단말기(10)의 고유 코드(즉, 사용자 단말기(10)의 일련 번호 등의 고유 정보인 USER ID)를 결합함으로써, 보안 코드(제품 일련번호+USER ID)를 다음의 표 1에서와 같이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보안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1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품 일련번호 USER ID 생성된 보안 코드
A1234 B567 A1234B567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와 같이 생성된 보안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10)에 결합되어 있는 출력 단자(110)를 통해 휴대용 뮤직 키트에 송신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뮤직 키트의 제어부(150)는 저장부(190)에 저장되어 있던 인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로 갱신하여 저장한다.
즉, 상기 표 1에서의 보안 코드는 휴대용 뮤직 키트의 갱신된 인증정보로서 휴대용 뮤직 키트의 저장부(190)에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출력 단자(110)를 통한 보안 코드의 수신을 지원하기 위해 출력 단자(110)는 이어폰 단자와 같은 입력 단자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입출력 단자(110)로서 구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휴대용 뮤직 키트의 갱신된 인증정보인 보안 코드는 콘텐츠 제공 서버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정보이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기(10)와의 최초 결합을 통해 전술한 S550 단계에서의 콘텐츠 다운로드에 사용된 휴대용 뮤직 키트는 더 이상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콘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인증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오디오 콘텐츠를 최초로 다운로드받은 사용자가 제3자의 오디오 콘텐츠 다운로드를 위해서 휴대용 뮤직 키트를 제3자에게 양도하는 경우라도 제3자는 인증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오디오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없게 되므로, 하나의 휴대용 뮤직 키트를 여러명이 오디오 콘텐츠를 중복하여 다운로드받는 것을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와 휴대용 뮤직 키트는 상기 표 1에서의 공통의 보안 코드를 각각 저장하게 되므로 사용자 단말기(10)와 휴대용 뮤직 키트는 1:1로 페어링되는 전용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으로서, 해당 휴대용 뮤직 키트는 페어링된 단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에서의 오디오 콘텐츠의 실행을 위해서만 사용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S570 단계에서 휴대용 뮤직 키트의 출력 단자(110)를 사용자 단말기(10)에 결합하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저장부(190)에 저장되어 있는 보안 코드를 출력 단자(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휴대용 뮤직 키트로부터 수신된 보안코드와 사용자 단말기(1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안코드가 일치함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당 권원을 인증하고 전술한 S550 단계에서 다운로드받은 오디오 콘텐츠를 실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11: 이어폰 단자 삽입홀,
13: 화면, 100: 휴대용 뮤직 키트,
110: 출력 단자, 130: 케이싱부,
135: 고리부, 150: 제어부,
170: 전원부, 180: PCB,
190: 저장부.

Claims (2)

  1. 사용자 단말기에 결합되는 출력 단자;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신호 출력 단자가 일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어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싱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뮤직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뮤직 키트.
KR1020170108375A 2017-08-28 2017-08-28 휴대용 뮤직 키트 KR20190023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375A KR20190023123A (ko) 2017-08-28 2017-08-28 휴대용 뮤직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375A KR20190023123A (ko) 2017-08-28 2017-08-28 휴대용 뮤직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23A true KR20190023123A (ko) 2019-03-08

Family

ID=6580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375A KR20190023123A (ko) 2017-08-28 2017-08-28 휴대용 뮤직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31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6332B2 (en) Media delivery system with improved interaction
US744105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ccessory having a tuner
US10037781B2 (en) Interface systems for portable digital media storage and playback devices
US8271713B2 (en) Interface systems for portable digital media storage and playback devices
US9918039B2 (en) Interface systems for portable digital media storage and playback devices
US9495307B2 (en) Context aware functionality in an electronic device
JP5643512B2 (ja) 可搬型ディジタルメディア記憶及び再生装置のための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US20070086724A1 (en) Interface systems for portable digital media storage and playback devices
CN102483787A (zh) 附件设备认证
US20100285763A1 (en) Communicating radio presets between a portable media player and an accessory
KR20050118101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프로그램
KR101805695B1 (ko)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07329859A (ja) 携帯型電子機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の機能設定変更方法
CN105516451A (zh) 音效调节方法及装置
US9220979B2 (en) Electronic device, recording medium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1683551B1 (ko)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90023123A (ko) 휴대용 뮤직 키트
JP5738908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06352519A (ja) 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及びデータ復元方法
KR20200097540A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050118102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1063326A1 (zh) 播放媒体数据的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15172942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4659489B2 (ja) コンテンツ複製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信端末及びコンテンツ受信端末
JP2014157544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