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037A -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037A
KR20190022037A KR1020170107772A KR20170107772A KR20190022037A KR 20190022037 A KR20190022037 A KR 20190022037A KR 1020170107772 A KR1020170107772 A KR 1020170107772A KR 20170107772 A KR20170107772 A KR 20170107772A KR 20190022037 A KR20190022037 A KR 20190022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linear actuator
button
click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325B1 (ko
Inventor
손연호
정성훈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10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325B1/ko
Priority to US16/106,903 priority patent/US10725589B2/en
Priority to CN201810978421.XA priority patent/CN109428974B/zh
Publication of KR2019002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06F3/043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in which the acoustic waves are either generated by a movable member and propagated within a surface layer or propagated within a surface layer and captured by a mov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62Touch switches with tactile or haptic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컨트롤하여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버튼 클릭을 리얼하게 구현하는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동작특성에 따라 입력신호를 컨트롤하여 인가함으로써, 20ms 이내의 버튼 클릭 구현시간 이내에 가상 버튼 클릭에 따른 현실감 있는 버튼 클릭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클릭 구현 후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falling time을 감소시켜 보다 섬세한 버튼 클릭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휴대전화기의 전면부 등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을 생략하여 사용자의 작동편의성을 높이고, 동일한 크기의 휴대전화기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원활한 디스플레이 시청 및 조작이 가능하면서도 리니어 액츄에이터 내부에 별도의 장치 또는 제어회로의 부가 없이 입력신호의 주파수만을 컨트롤하여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버튼 클릭을 리얼하게 구현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존재한다.

Description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Implementation of button click using input signal control}
본 발명은 리니어 액츄에이터 혹은 공진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 이하 LRA)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컨트롤하여 상기 리니어(공진)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버튼 클릭을 리얼하게 구현하는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동작특성에 따라 입력신호를 컨트롤하여 인가함으로써, 20ms 이내의 버튼 클릭 구현시간 이내에 가상 버튼 클릭에 따른 현실감 있는 버튼 클릭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클릭 구현 후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falling time을 감소시켜 보다 섬세한 버튼 클릭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진동벨 등 내부에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이하, 진동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되며, 상기 진동기기의 개발과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상기 진동기기 중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의 전면부 등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을 생략하여 사용자의 작동편의성을 높이고, 동일한 크기의 휴대전화기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원활한 디스플레이 시청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리버튼을 삭제하고 디스플레이 상의 가상 버튼 등을 통한 물리버튼의 클릭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 등과 같은 입력신호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응답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 등과 같은 입력신호에 따라 정확하게 응답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생산하기 위해, 홀센서 또는 역기전력을 이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응답제어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홀센서 또는 역기전력을 이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응답제어기술은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 내부에 별도의 홀센서를 부가하거나,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회로를 추가하는 제작과정을 가진다고 할 것이어서 제작과정이 늘어나고, 별도의 장치를 리니어 액츄에이터 내부에 부가함으로써 전체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리니어 액츄에이터 내부에 별도의 장치 또는 제어회로를 부가하지 않으면서, 입력신호의 주파수만을 컨트롤하여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버튼 클릭을 리얼하게 구현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7526A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기기의 입력신호 주파수를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구동특성(공진주파수)에 따라 컨트롤하여 20ms 이내의 버튼 클릭 구현시간 이내에 가상 버튼 클릭에 따른 현실감 있는 버튼 클릭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클릭 구현 후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falling time을 감소시켜 보다 섬세한 버튼 클릭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 내부에 별도의 장치 또는 제어회로를 부가하지 않으면서, 입력신호의 주파수만을 컨트롤하여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버튼 클릭을 리얼하게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니어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에 가변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입력신호 인가단계,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인가된 가변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에 의해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구동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 구동단계,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인가를 종료하는 인가 종료단계 및 상기 인가 종료단계에 의한 입력신호 인가가 종료되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구동이 종료되는 구동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신호 주파수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입력신호 인가단계는, 정현파 형상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입력신호를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가 20ms 이하로 입력되고,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위상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파형의 위상보다 앞서되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공진주파수 보다 60Hz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신호 인가단계는,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사이클이 1.5Cycle 이상 3Cycle 이하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동작특성에 따라 입력신호를 컨트롤하여 인가함으로써, 20ms 이내의 버튼 클릭 구현시간 이내에 가상 버튼 클릭에 따른 현실감 있는 버튼 클릭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클릭 구현 후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falling time을 감소시켜 보다 섬세한 버튼 클릭을 구현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의 전면부 등에 위치하는 물리버튼을 생략하여 사용자의 작동편의성을 높이고, 동일한 크기의 휴대전화기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원활한 디스플레이 시청 및 조작이 가능하면서도 리니어 액츄에이터 내부에 별도의 장치 또는 제어회로의 부가 없이 입력신호의 주파수만을 컨트롤하여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버튼 클릭을 리얼하게 구현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전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전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공진주파수가 170Hz인 LRA에 150Hz의 입력신호를 가할 경우의 입력신호 및 LRA의 구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공진주파수가 170Hz인 LRA에 230Hz의 입력신호를 가할 경우의 입력신호 및 LRA의 구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공진주파수가 170Hz인 LRA에 320Hz의 입력신호를 가할 경우의 입력신호 및 LRA의 구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전화기의 정면도이다.
종래기술은 휴대전화기 등의 디스플레이부의 주위로 물리버튼을 배치하여, 이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와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등의 기기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다.
휴대전화기 등의 디스플레이부의 주위로 물리버튼을 배치하여,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인식성을 향상시키고, 직관적으로 이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버튼은 부품간의 충격 또는 마찰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물리버튼의 한계성으로 인해 고장이 잦고, 사용상의 한계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하부 등에 마련되는 상기 물리버튼의 존재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에 제약이 발생하며,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전면부의 평면성을 해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기의 전면부 등에서 이러한 물리버튼을 생략하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확장시켜, 생략된 물리버튼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대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전화기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물리버튼을 생략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확장하였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가상의 물리버튼이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종래기술의 디스플레이부를 보다 확장된 크기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시영역을 넓힘으로써 보다 원활한 진동장치를 포함하는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와 같이 가상의 물리버튼의 특징상 상기 가상의 물리버튼을 동작 시, 물리적인 작동이 인식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이러한 가상의 물리버튼을 통한 동작제어 또는 인터페이스 작동이 실현되었음을 인식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가상의 물리버튼을 통한 동작제어 또는 인터페이스 작동이 실현되었음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하여 리니어 액츄에어터의 구동을 통해 가상의 물리버튼 클릭 시의 클릭감을 재현 또는 구현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리니어 액츄에어터의 구동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물리버튼의 클릭감을 리얼하게 재현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된 목적 및 효과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공진주파수가 170Hz인 리니어 공진 액츄에이터(LRA)에 150Hz의 입력신호를 가할 경우의 입력신호 및 LRA의 구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LRA)의 공진주파수에 못 미치는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01
)를 2주기 가량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인가할 경우의 각각 입력신호의 파형(
Figure pat00002
) 및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파형(
Figure pat00003
)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LRA)의 공진주파수(170Hz)에 못 미치는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04
)를 인가한 경우에는, 정지상태에 있던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인가된 입력신호를 받아 관성에 의해 구동하기 까지 시간이 요구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1주기의 입력신호가 인가된 후에야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파형 진폭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 가능하며, 2주기의 입력신호의 인가가 종료된 후에도 관성에 의하여 2주기 이상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파형이 계속되며 진동의 잔류감을 조성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 후 첫번째 진동파형의 반주기는 공진에 의한 반응이 아니라 순수한 힘에 의해 변위가 발생하기 되며, 변위를 충분히 생성하도록 하는 입력신호의 파워가 부족하므로, 진폭이 상승하다가 도로 하강을 하게 된다.
이후, 하강 과정을 마치고 비로소 공진반응을 보이게 되며, 결과적으로 액츄에이터의 실질적인 초기 진동거동의 주기가 입력주파수의 주기보다 앞서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가상의 물리버튼의 클릭감을 조성한 경우, 사용자가 구현된 클릭감을 인지하는 시간이 상당히 늦게되며, 가상의 물리버튼을 클릭한 이후의 진동의 잔류로 인해, 클릭종료를 인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공진주파수가 170Hz인 LRA에 230Hz의 입력신호를 가할 경우의 입력신호 및 LRA의 구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LRA)의 공진주파수를 다소 상회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05
)를 2주기 가량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인가할 경우의 각각 입력신호의 파형(
Figure pat00006
) 및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파형(
Figure pat00007
)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LRA)의 공진주파수(170Hz)를 다소 상회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08
)를 인가한 경우에는, 정지상태에 있던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인가된 입력신호를 받아 관성에 의해 구동하기 까지 시간이 요구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1주기의 입력신호가 인가된 후에는 입력신호의 주기에 맞춰서 진동파형의 주기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 가능하며, 2주기의 입력신호의 인가가 종료된 후에도 관성에 의하여 2주기 이상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파형이 계속되며 진동의 잔류감을 조성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 후 첫번째 진동파형의 반주기는 공진에 의한 반응이 아니라 순수한 힘에 의해 변위가 발생하기 되며, 변위를 충분히 생성하도록 하는 입력신호의 파워가 부족하므로, 진폭이 상승하다가 도로 하강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액츄에이터의 실질적인 초기 진동거동의 주기가 입력주파수의 주기와 동일한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가상의 물리버튼의 클릭감을 조성한 경우, 사용자가 구현된 클릭감을 인지하는 시간이 상당히 늦게되며, 가상의 물리버튼을 클릭한 이후의 진동의 잔류로 인해, 클릭종료를 인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는,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공진주파수에 비해 보다 높임으로써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관성영향, 자체 스프링의 탄성계수 등을 고려하여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주기보다 진동파형의 주기가 늦도록 하는 제어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주기보다 진동파형의 주기가 늦는 경우에는, 입력신호의 인가가 종료된 경우, 종료된 입력신호가 후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을 방해하는 효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Falling Time을 개선하는 효과가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공진주파수가 170Hz인 LRA에 320Hz의 입력신호를 가할 경우의 입력신호 및 LRA의 구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LRA)의 공진주파수를 150Hz이상 상회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09
)를 2주기 가량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인가할 경우의 각각 입력신호의 파형(
Figure pat00010
) 및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파형(
Figure pat00011
)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LRA)의 공진주파수(170Hz)를 150Hz이상 상회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12
)를 인가한 경우에는, 정지상태에 있던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인가된 입력신호를 받아 관성에 의해 구동하기 까지 시간이 보다 적게 요구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1주기의 입력신호가 인가된 후에는 입력신호의 주기보다 늦게 진동파형의 주기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 가능하며, 2주기의 입력신호의 인가가 종료된 후에는 인가가 종료된 입력신호가 브레이트 신호로 역할하며 관성에 의하여 2주기 이상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파형이 계속되며 진동의 잔류감을 조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액츄에이터의 실질적인 초기 진동거동의 주기가 입력주파수의 주기보다 다소 느린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가상의 물리버튼의 클릭감을 조성한 경우, 사용자가 구현된 클릭감을 인지하는 시간을 앞당길 수 있으며, 가상의 물리버튼을 클릭한 이후의 진동의 잔류를 상쇄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단시간의 클릭감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공진주파수에 비해 보다 60Hz이상 높임으로써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관성영향, 자체 스프링의 탄성계수 등을 고려하여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주기보다 진동파형의 주기가 늦도록 하는 제어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주기보다 진동파형의 주기가 늦는 경우에는, 입력신호의 인가가 종료된 경우, 종료된 입력신호가 후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을 방해하는 효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Falling Time을 개선하는 효과가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현파 형상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입력신호를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버튼 클릭감은 일반적으로 10ms 내외의 진동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가 20ms 이하로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신호의 인가가 종료된 경우, 종료된 입력신호가 후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을 방해하는 효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Falling Time을 개선하는 효과가 발생하도록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위상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진동파형의 위상보다 앞서며,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공진주파수 보다 60Hz 이상 높고, 초기 1주기 동안은 진동이 충분히 발생한다 볼 수 없으므로, 충분한 진동효과를 발현하기 위하여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사이클이 1.5Cycle 이상 3Cycle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물리버튼
B : 생략된 물리버튼
Figure pat00013
: 입력신호 파형
Figure pat00014
: 진동파형
10 : 물리버튼을 포함하는 종래 휴대전화기
20 : 물리버튼이 생략된 휴대전화기

Claims (4)

  1. 공진을 이용한 공진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에 교류 입력신호(
    Figure pat00015
    )를 인가하는 입력신호 인가단계;
    상기 공진 액츄에이터에 인가된 입력신호(
    Figure pat00016
    )에 의해 공진 액츄에이터가 구동하는 공진 액츄에이터 구동단계;
    상기 공진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17
    )의 인가를 종료하는 인가 종료단계; 및
    상기 인가 종료단계에 의한 입력신호(
    Figure pat00018
    ) 인가가 종료되어 상기 공진 액츄에이터의 구동이 종료되는 구동 종료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신호 인가단계는,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19
    )의 위상이 상기 공진 액츄에이터의 진동파형의 위상보다 앞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인가단계는,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20
    )의 주파수가 상기 공진 액츄에이터의 공진주파수 보다 60Hz 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인가단계는,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21
    )가 20ms 이하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인가단계는,
    가상 버튼 클릭 시 입력되는 입력신호(
    Figure pat00022
    )의 사이클이 1.5Cycle 이상 2.5Cycle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KR1020170107772A 2017-08-25 2017-08-25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KR102098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72A KR102098325B1 (ko) 2017-08-25 2017-08-25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US16/106,903 US10725589B2 (en) 2017-08-25 2018-08-21 Method of implementing button click using control of input signal
CN201810978421.XA CN109428974B (zh) 2017-08-25 2018-08-27 通过使用对输入信号的控制来实现按钮点击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72A KR102098325B1 (ko) 2017-08-25 2017-08-25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37A true KR20190022037A (ko) 2019-03-06
KR102098325B1 KR102098325B1 (ko) 2020-04-07

Family

ID=6543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772A KR102098325B1 (ko) 2017-08-25 2017-08-25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25589B2 (ko)
KR (1) KR102098325B1 (ko)
CN (1) CN109428974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526A (ko) 2010-05-19 2011-11-25 박철 터치 입력 방식의 단말기에서 독립입력 감지방법 및 터치패널
KR20140109292A (ko) * 2013-03-01 2014-09-15 임머숀 코퍼레이션 선형 공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햅틱 디바이스
KR20160030927A (ko) * 2008-12-16 2016-03-21 임머숀 코퍼레이션 공진 주파수에 기초한 햅틱 피드백 생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3493A1 (en) * 2005-02-04 2007-08-09 Tom Kimpe Method and device for image and video transmission over low-bandwidth and high-latency transmission channels
US9355536B2 (en) * 2012-09-27 2016-05-31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Resonance driver for determining a resonant frequency of a haptic device
US10599218B2 (en) * 2013-09-06 2020-03-24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conversion system using frequency shif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927A (ko) * 2008-12-16 2016-03-21 임머숀 코퍼레이션 공진 주파수에 기초한 햅틱 피드백 생성
KR20110127526A (ko) 2010-05-19 2011-11-25 박철 터치 입력 방식의 단말기에서 독립입력 감지방법 및 터치패널
KR20140109292A (ko) * 2013-03-01 2014-09-15 임머숀 코퍼레이션 선형 공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햅틱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28974A (zh) 2019-03-05
CN109428974B (zh) 2020-11-20
KR102098325B1 (ko) 2020-04-07
US20190065005A1 (en) 2019-02-28
US10725589B2 (en)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21876B (zh) 具有增加lra带宽的触觉系统
US10741189B2 (en) Low-frequency effects haptic conversion system
US96456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feedback for modular devices
CN102246122B (zh) 用于便携式终端的触觉功能控制的方法
JP6096092B2 (ja) 記憶された効果を有する触覚フィードバックシステム
EP288971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ptically-enabled projected user interface
US20140028592A1 (en) Haptic Input Stylus
EP233942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s in portable terminal
CN107369459B (zh) 一种音频处理方法及移动终端
WO2013186845A1 (ja) 電子機器、振動発生プログラム、及び振動パターン利用システム
US20090197648A1 (en) Touch screen assembly, mobile terminal having the touch screen assembly, and key input method on the mobile terminal
US1067116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ed location based driving of haptic actuators and related methods
WO2009045996A2 (en) Keypad haptic communication
JP2015170213A (ja) 携帯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1758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tuator Drive Signals for Improving 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tics
JP5766398B2 (ja) 触感呈示装置
WO2014006799A1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190022037A (ko)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버튼 클릭 구현방법
WO2013186841A1 (ja) 電子機器及び振動提供方法
US1164589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tuator braking
CN108072805A (zh) 响应时间的测试系统及方法
CN106775128B (zh) 一种输入设备及电子设备
JP2011095925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8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531

Effective date: 2020030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