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853A - 스마트폰을 활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활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853A
KR20190021853A KR1020170107191A KR20170107191A KR20190021853A KR 20190021853 A KR20190021853 A KR 20190021853A KR 1020170107191 A KR1020170107191 A KR 1020170107191A KR 20170107191 A KR20170107191 A KR 20170107191A KR 20190021853 A KR20190021853 A KR 20190021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video
video advertisement
consumer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잇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잇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잇츠
Priority to KR102017010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853A/ko
Publication of KR2019002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에서, 광고주시스템 또는 광고대행사시스템으로부터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동영상광고를 제공받음에 따라, 동영상광고를 분류하여 동영상광고 DB에 저장한다. 이어, 동영상광고를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동영상광고의 업로드에 따라 생성된 URL과 해당 동영상광고의메타데이터를 동기시켜 동영상광고 DB에 저장한다. 이어, 소비자가 URL로부터 호출되는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여스마트폰상에서 시청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동영상광고가 시청됨에 따라, 동영상광고의 종료 시점에 퀴즈를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을 경유하여 해당 소비자의 스마트폰에 제공한다. 이어, 광고시청 분
석 요청에 따라, 동영상광고의 시청에 상응하는 로그정보들을 통계 처리하여 광고주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동영상광고 시청시 부담하는 네트워크 비용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고, 동영상광고 집행으로 발생된 수익을 소비자에게 차등 지불하여 소비자의 실질적인 이득이 강화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광고 집중도를 높이면서, 광고 집행에 따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활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METHOD FOR ONLINE ADVERTISING USING A SMART PHONE AND SYSTEM FOR PERFORMED THE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동영상광고 시청에 따른 네트워크 비용을 소비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동영상광고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을 소비자에게 분배하면서 소비자의 광고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기술 보급으로 인해 모바일 관련 시장이 커짐에 따라, 모바일 광고 시장의 규모 역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광고는 일부 동영상 콘텐츠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웹 광고 시장의 배너와 같은 이미지 기반의 광고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방식은 시스템(서버 및 네트워크)의 부하가 적은 장점은 있으나, 광고주의 입장에서 광고를 통해 상품을 적절하게 소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광고를 보는 행위가 소비자에게 직접 줄 수 있는 혜택이 없어 콘텐츠적 관점에서는 스팸과 다를 바 없이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개발 업체 또한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있어 광고를 보는 행위를 건너뛸 수 있는 <Skip. 버튼이나 <닫기> 버튼을제공하고 있다.
또한 광고를 운영하는 광고 에이전시의 입장에서는 광고 노출에 대한 효과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없어 단순히 노출 수만을 집계해 광고주에게 전달하게 되고, 지속적인 광고를 수주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광고의 정보 전달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동영상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에이전시가등장했으나, 광고 전달 방법이 이전 방식과 대동소이하여 광고 내용이 변경되었을 뿐 소비자와 광고주가 받게되는 직접적인 이익은 배너 방식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
동영상광고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이슈를 버즈 마케팅 개념으로 확대시키기 위해 페이스북과 같은 SNS 플랫폼에 서는 친구 관계에 있는 사람을 광고 콘텐츠와 매시업시켜 광고 관심도를 증폭시키는 기법 등이 등장하였으나, 광고 제작 방식이 어렵고, 광고를 집행할 수 있는 플랫폼이 다수의 소비자(유저)를 확보하고 있어야만 가능한광고 방식으로 아직 시장에서 크게 확대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동영상광고의 경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앞으로 로딩하게 될 광고의 길이가어느 정도인지 광고 시작 전에확인할 수 없어 자신의 네트워크 비용을 이용해 광고를 보아야 하고, 통신사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동영상광고시장이 커질수록 네트워크 부하가 커져 지속적인 사회 비용의 형태로 시스템 운영비가 소모되게 되고 그 비용은고스란히 소비자가 부담해야만 한다.
즉, 동영상광고 시장이 커진다고 하더라도 소비자나 광고주, 광고대행사, 통신사의 입장에서 직접적인 이득이 되는 부분이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가 동영상광고 시청시 부담하는 네트워크 비용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고, 동영상광고 집행으로 발생된 수익을 소비자에게 차등 지불하여 소비자의 실질적인 이득이 강화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광고 집중도를 높이면서, 광고 집행에 따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은, (a) 광고주시스템 또는 광고대행사시스템으로부터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동영상광고를 제공받음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를 분류하여 동영상광고 DB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동영상광고를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단계; (c) 상기 동영상광고의 업로드에 따라 생성된 URL과 해당 동영상광고의 메타데이터를 동기시켜 상기 동영상광고 DB에 저장하는 단계; (d) 소비자가 URL로부터 호출되는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여 스마트폰상에서 시청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e) 상기 동영상광고가 시청됨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의 종료 시점에 퀴즈를 상기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을 경유하여 해당 소비자의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단계; 및 (f) 광고시청 분석 요청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의 시청에 상응하는 로그정보들을 통계 처리하
여 광고주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e)는, (e-1)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에서 동영상광고를 호출하면, 동영상광고 DB에 저장되어있는 URL과 동영상광고의 속성 등을 불러와 API에 저장된 기능에 따라 해당 영상광고만을 플레이하는 단계;및 (e-2) 상기 동영상광고가 플레이되면 소비자의 피드백을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터를 동영상광고 DB에 저장하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기 전에 소비자가 동영상광고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동영상광고를 선택하는 단계는,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동영상광고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소비자가 특정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크기의 동영상광고 URL을 동영상광고 DB로부터 불러와 API에 내장된 동영상광고 추출 루틴을 통해 동영상광고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는 소비자가 리워드 포인트를 판단할 수 있도록 리워드 포인트를 더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은, 상기 제공되는 퀴즈를 소비자가 스킵함에 따라, 광고시청에 상응하는 리워드 포인트를 소비자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f)는 어떤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에서 어느 정도의 광고노출이 있었는지 광고주에게 피드백할 수 있도록 상기 소비자정보 DB에 저장된 값들과 상기 동영상광고 DB의 값들을 매시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비자정보는 광고 플랫폼 내에 가입된 회원 정보, 스마트폰 고유 번호, 스마트폰 번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식별이 가능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은, 상기 제공되는 퀴즈에 대응하여 오답이 입력됨에 따라, 오답에 상응하는 리워드 포인트를 소비자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되는 퀴즈에 대응하여 정답이 입력됨에 따라, 정답에 상응하는 리워드 포인트를 상기 소비자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f)는 어떤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에서 어느 정도의 광고노출이 있었는지 광고주에게 피드백할 수 있도록 상기 소비자정보 DB에 저장된 값들과 상기 동영상광고 DB의 값들을 매시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비자정보는 광고 플랫폼 내에 가입된 회원 정보, 스마트폰 고유 번호, 스마트폰 번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식별이 가능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은, 광고주시스템 또는 광고대행사시스템으로부터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동영상광고를 제공받음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를분류하여 동영상광고 DB에 저장하는 동영상광고 분류 모듈; 상기 동영상광고를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상기 동영상광고의 업로드에 따라 생성된 URL과 해당 동영상광고의 메타데이터를 동기시켜 상기 동영상광고 DB에 저장하는 동영상광고 업로딩 모듈; 소비자가 URL로부터 호출되는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여 시청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광고플레이 모니터링 모듈; 상기 동영상광고가 시청됨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의 종료 시점에 퀴즈를 상기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을 경유하여 해당 소비자의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퀴즈출제 모듈; 및 광고시청 분석 요청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의 시청에 상응하는 로그정보들을 통계 처리하여 광고주에게 전달하는 매시업 모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매시업 모듈은 어떤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에서 어느 정도의 광고노출이 있었는지 광고주에 게 피드백할 수 있도록 상기 소비자정보 DB에 저장된 값들과 상기 동영상광고 DB의 값들을 매시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광고는 앱개발자에 의해 개발된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을 통해 플레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앱개발자가 상기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도록 API 형태로 코드를 상기 앱개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API에는 광고를 수행하는 앱개발자의 고유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API에서 동영상광고를 호출하면 상기 동영상 외의 다른 콘텐츠는 무시하여 화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기전에 소비자가 광고의 크기(해상도 또는 길이)를 선택해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해서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는 네트워크 비용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동영상광고 집행으로 발생된 수익을 광고의 크기에 따라광고가 포함되어 있는 비즈니스 생태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리워드 포인트의 형태로 소비자에게 차등 지불함으로써 소비자의 실질적인 이득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고를 본 사람은 누구나 풀 수 있는 퀴즈를 광고에 자동으로 삽입함으로써, 소비자의 광고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광고주의 입장에서광고 집행에 따른 효과를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부가적으로, 통신사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 업체에서도 불필요한 네트워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지속적 사회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300)은 광고주 시스템(100), 광고대행사 시스템(200),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400), 스마트폰(500) 및 앱개발자 시스템(600)간에연결되어 온라인 광고를 제공한다.
상기 광고주 시스템(100)이나 상기 광고대행사 시스템(200)은 TV 등에서 진행될 수 있는 광고를 예를들어,10초, 15초, 20초, 30초등과 같이 다양한 시간대별로 내용을 구성하여 제작된 동영상광고를 상기 온라인 광고시스템(300)에 제공한다.
상기 온라인 광고 시스템(300)은 상기 광고주 시스템(100)이나 상기 광고대행사 시스템(200)으로부터 다양한 시간대별로 구성된 동영상광고가 수주됨에 따라, 해당 동영상광고를 저장하고, 해당 광고를 상기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400)에 업로드한다. 상기 온라인 광고 시스템(300)은 업로드되는 동영상광고에 퀴즈를 추가할 수도있고, 플레이되는 동영상광고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종료시점에 상기한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퀴즈를제공하므로써, 동영상광고를 시청하는 소비자의 광고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시간대별로 구성된동영상광고를 업로드하므로써,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기 전에 소비자가 광고의 크기, 예를들어, 해상도나 플레이 시간 등을 선택하여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해서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는 네트워크 비용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통신사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 업체에서도 불필요한 네트워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지속적 사회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광고 시스템(300)은 동영상광고가 플레이되는 것을 소정의 로그정보로서 저장하고 있다가 동영상광고의 시청에 상응하는 로그정보들을 통계처리하여 상기 광고주시스템(1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광고주는 광고 집행에 따른 효과를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광고 시스템(300)은 상기 스마트폰(500)을 통해 동영상광고를 시청한 소비자에게 동영상광고집행으로 발생된 수익을 광고의 크기에 따라 광고가 포함되어 있는 비즈니스 생태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리워드포인트의 형태로 차등 지불함으로써, 소비자의 실질적인 이득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비즈니스 생태계는 일반적으로 온라인 쿠폰이나 마일리지 포인트 등이 사용되는 인터넷 쇼핑몰일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광고 시스템에 의해 구축되는 쇼핑몰이나 온라인 게임 공간일 수도 있다.
상기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400)은 상기 온라인 광고 시스템(30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영상광고가 유포될수 있도록 각종 웹페이지 등을 통해 표시한다. 상기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400)은 유튜브, 다음, 네이버,아프리카 등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5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400)에 억세스하여 표시되는 동영상광고들 중 시청을 원하는 동영상광고를 선택하여 시청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500)의 사용자는 동영상광고를 시청함에 따라 별도의 리워드 포인트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되는 동영상광고에는 퀴즈가 더 표시되
며, 해당 퀴즈를 풀어서 정답을 맞추는 경우 보다 높은 리워드 포인트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앱개발자 시스템(600)은 상기 온라인 광고시스템(300)에서 제공하는 동영상광고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스마트폰(500)을 통해 플레이될 수 있도록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을 개발한다. 상기 앱개발자 시스템(600)의 개발자측에서는 개발된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을 통해 동영상광고가 플레이되면 이에 상응하는 별도의 리워드 포인트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0046]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300)은 동영상광고 분류 모듈(310), 동영상광고DB(312), API 제공 모듈(320), 앱개발자 정보 DB(322), 동영상광고 업로딩 모듈(330), 광고플레이 모니터링 모듈(340), 소비자정보 DB(342), 퀴즈출제 모듈(350), 퀴즈정보 DB(352), 매시업 모듈(360), 및 수입분배 모듈(3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300)을 동영상광고 분류 모듈(310), 동영상광고 DB(312), API 제공 모듈(320), 앱개발자 정보 DB(322), 동영상광고 업로딩 모듈(330), 광고플레이 모니터링 모듈(340), 소비자정보 DB(342), 퀴즈출제 모듈(350), 퀴즈정보 DB(352), 매시업
모듈(360), 및 수입분배 모듈(370)로 논리적으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하드웨어적으로 구분한 것은 아니다.
상기 동영상광고 분류 모듈(310)은 광고주시스템(100) 또는 광고대행사시스템(200)으로부터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동영상광고를 제공받음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를 분류하여 동영상광고 DB(312)에 저장한다.
상기 동영상광고 DB(312)에는 광고의 URL, 광고의 속성정보, 소비자의 행동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API 제공 모듈(320)은 동영상광고가 플레이되는 앱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개발자가 손쉽게 광고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한다. 즉, 이러한 기능을 하는 광고를 웹 또는 앱개발자와 같은 서비스 운영자가 손쉽게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코드를 만들고 기술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API(ApplicationProgramming Interface)는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이다. 즉, 운영체제나 C, C++, Pascal 등과 같은 언어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때, 윈도우를 만들고 파일을 여는 것과 같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1,000여 개 이상의 함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API는 프로그래머를 위한 운영체제나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와 직접 대하게 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나 명령형 인터페이스와 뚜렷한 차이가 있다. API는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체제(OS)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과 같은 시스템 프로그램과 통신할 때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가지며, API는 프로그램 내에서 실행을 위해 특정 서브루틴에연결을 제공하는 함수를 호출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API는 함수의 호출에 의해 요청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거나 또는 연결되어야 하는 몇 개의 프로그램 모듈이나 루틴을 가진다.
상기 앱개발자 정보 DB(322)에는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는 앱 또는 웹서비스 사업자의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는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에 대응하는 코드, 상기 동영상광고 플레이앱을 개발한 앱개발자 시스템의 코드 등이 저장된다.
상기 동영상광고 업로딩 모듈(330)은 상기 동영상광고를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상기 동영상광고의 업로드에 따라 생성된 URL과 해당 동영상광고의 메타데이터를 동기시켜 상기 동영상광고DB(312)에 저장한다. 상기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400)의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된 동영상광고는 앱개발자에 의해 개발된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을 통해 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광고플레이 모니터링 모듈(340)은 소비자가 URL로부터 호출되는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여 시청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소비자정보 DB(342)에는 소비자 식별정보 및 리워드 포인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소비자 식별정보는 회원정보 또는 스마트폰 고유 번호 또는 스마트폰 번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퀴즈출제 모듈(350)은 상기 동영상광고가 시청됨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의 종료 시점에 상기 퀴즈정보DB(352)에 저장된 퀴즈를 상기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400)의 서비스 플랫폼을 경유하여 해당 소비자의 스마트폰(500)에 제공한다.
상기 퀴즈정보 DB(352)에는 플레이되는 동영상광고에 상응하는 퀴즈 형태의 문제가 저장될 수 있고, 플레이되는동영상광고와는 무관한 퀴즈 형태의 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퀴즈 형태의 문제는 동영상광고를 보면 누구나 풀 수 있는 타입일 수도 있고, 동영상광고를 유심히 보아야만 풀 수 있는 타입일 수도 있다. 한편, 동영상광고와는 무관하게 동영상광고가 플레이되는 중간에 특정 이미지나 색깔을 강제적으로 삽입한 후, 삽입된 이미지나 색깔을 맞추는 타입의 퀴즈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매시업 모듈(360)은 광고시청 분석 요청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의 시청에 상응하는 로그정보들을 통계처리하여 광고주 시스템(100)에게 전달한다. 특히, 상기 매시업 모듈(360)은 어떤 동영상광고 플레이 앱에서 어느 정도의 광고노출이 있었는지 광고주 시스템(100)에게 피드백할 수 있도록 상기 소비자정보 DB(342)에 저장된값들과 상기 동영상광고 DB(312)의 값들을 매시업한다. 본 실시예에서, 매시업(mashup)은 웹으로 제공하고 있는정보와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매시업은 기존의 자원을 활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서비스 구축을 위한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입분배 모듈(370)은 상기 제공되는 퀴즈를 소비자가 스킵함에 따라, 해당 소비자의 식별정보 및 광고시청에 상응하는 리워드 포인트를 상기 소비자정보 DB(342)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수입분배 모듈(370)은 상기제공되는 퀴즈에 대응하여 오답이 입력됨에 따라, 해당 소비자의 식별정보 및 오답에 상응하는 리워드 포인트를상기 소비자정보 DB(342)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수입분배 모듈(370)은 상기 제공되는 퀴즈에 대응하여 정답이입력됨에 따라, 해당 소비자의 식별정보 및 정답에 상응하는 리워드 포인트를 상기 소비자정보 DB(342)에 저장한다.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하는 네트워크 사업자는 모든 광고가동일한 크기로 플레이되는 것이 아
니라, 소비자가 선택하는 크기의 동영상광고가 진행되므로 소비자 선택에 따라 네트워크 소모량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여 시청하는 소비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가용한 시간만큼의 광고를 보고 리워드 포인트를 받으며, 생태계 내에서 리워드 포인트를 소비할 수 있어 직접적인 금전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100 : 광고주 시스템
200 : 광고대행사 시스템
300 : 온라인 광고 시스템
310 : 동영상광고 분류 모듈
312 : 동영상광고 DB
320 : API 제공 모듈
322 : 앱개발자 정보 DB
330 : 동영상광고 업로딩 모듈
340 : 광고플레이 모니터링 모듈
342 : 소비자정보 DB
350 : 퀴즈출제 모듈
352 : 퀴즈정보 DB
360 : 매시업 모듈
370 : 수입분배 모듈
400 :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
500 : 스마트폰
600 : 앱개발자 시스템

Claims (1)

  1. (a) 광고주시스템 또는 광고대행사시스템으로부터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동영상광고를 제공받음에 따라, 상기동영상광고를 분류하여 동영상광고 DB에 저장하는 단계;(b) 상기 동영상광고를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단계;(c) 상기 동영상광고의 업로드에 따라 생성된 URL과 해당 동영상광고의 메타데이터를 동기시켜 상기 동영상광고 DB에 저장하는 단계;
    (d) 소비자가 URL로부터 호출되는 동영상광고를 플레이하여 스마트폰상에서 시청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단계;(e) 상기 동영상광고가 시청됨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의 종료 시점에 퀴즈를 상기 동영상전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을 경유하여 해당 소비자의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단계; 및
    (f) 광고시청 분석 요청에 따라, 상기 동영상광고의 시청에 상응하는 로그정보들을 통계 처리하여 광고주에게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KR1020170107191A 2017-08-24 2017-08-24 스마트폰을 활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90021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191A KR20190021853A (ko) 2017-08-24 2017-08-24 스마트폰을 활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191A KR20190021853A (ko) 2017-08-24 2017-08-24 스마트폰을 활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853A true KR20190021853A (ko) 2019-03-06

Family

ID=6576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191A KR20190021853A (ko) 2017-08-24 2017-08-24 스마트폰을 활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18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452B1 (ko) * 2022-01-24 2022-11-21 (주)레오테크코리아 고객 맞춤형 광고 승인 플랫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452B1 (ko) * 2022-01-24 2022-11-21 (주)레오테크코리아 고객 맞춤형 광고 승인 플랫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2996B2 (en) Matching data objects to video content
US117560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 with electronic billboards
US9535577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nchronizing interactive content with multimedia
US20110251902A1 (en) Target Area Based Content and Stream Monetization Using Feedback
US20160260134A1 (en) Time based targeted advertising
US20120310750A1 (en) Interface and module for real-time advertising presentation
US201401571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Information with a Mobile Device and Delivering Advertisements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CN111222912A (zh) 一种广告数据处理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20150089401A1 (en) Social network system and method
US201401084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online surveys using a client survey application
US20150058238A1 (en) Social Polling Functions And Services
WO20040520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redits through digital television interactive applications
KR2013009506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201501003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Customers Realized from Smart Phone Advertising
US9930424B2 (en) Proxy channels for viewing audiences
US20160012473A1 (en) Evaluation of advertisements
US201502279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vie file embedded with advertisement movie
KR20190021853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JP6206773B2 (ja) 番組連動広告システム及び番組連動広告サーバ
US20190228433A1 (en) User Generated Mobile Advertisements Creation, Reaction and Distribution Method
Silva et al. Smartly: a TV companion app to deliver discount coupons
US201302461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US20150127422A1 (en) Social Network Marketing System and Method
KR20070055472A (ko)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제공 및 관리방법
KR102267406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맞춤형 광고 노출 시스템 및 광고 시청 리워드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