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512A -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512A
KR20190021512A KR1020170106017A KR20170106017A KR20190021512A KR 20190021512 A KR20190021512 A KR 20190021512A KR 1020170106017 A KR1020170106017 A KR 1020170106017A KR 20170106017 A KR20170106017 A KR 20170106017A KR 20190021512 A KR20190021512 A KR 2019002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resistance value
deviation
led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복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512A/ko
Publication of KR2019002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가 직렬 결선된 스트링부가 복수 개 병렬 결선되어 구성된 엘이디 어레이부;를 포함하며, 엘이디 어레이부에 포함된 각 엘이디의 순방향 전압(Forward Voltage) 간 편차로 인해 발생하는, 각 스트링부에 흐르는 전류 간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저항 소자가 각 스트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LED LAMP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엘이디 램프의 전류를 조절하는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는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소수캐리어(Minority Carrier)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이 이루어지는 반도체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엘이디를 사용한 차량의 엘이디 램프의 경우, 엘이디 어레이 모듈에 실장되는 다수의 엘이디 간의 결선 방식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스트링(string) 배열 방식과 도 1(b)에 도시된 매트릭스(matrix) 배열 방식으로 구분된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트릭스 배열 방식으로 구현되는 엘이디 램프에 있어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각 엘이디로 흐르는 전류의 편차에 따라 동일한 광량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각각의 엘이디는 제조 과정에서 순방향 전압(Forward Voltage) 간의 편차를 수반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순방향 전압 편차로 인해 순방향 전압이 낮은 엘이디로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각 엘이디마다 그 광량이 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엘이디 방열면적을 초과하는 정도의 전류량이 엘이디로 흐르는 경우, 해당 엘이디는 소손되어 필드에서 품질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6164호(2011. 05. 04.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차량의 엘이디 램프를 구성하는 각 엘이디에 대하여 동일한 광량을 확보하여 품질을 개선함과 동시에 각 엘이디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는 복수 개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가 직렬 결선된 스트링부가 복수 개 병렬 결선되어 구성된 엘이디 어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어레이부에 포함된 각 엘이디의 순방향 전압(Forward Voltage) 간 편차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 각 스트링부에 흐르는 전류 간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저항 소자가 상기 각 스트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각 저항 소자는, 상기 각 스트링부의 전원 라인에 그 애노드(anode) 단이 각각 접속되는 각 상단 엘이디의 캐소드(cathode) 단에 각각 직렬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각 저항 소자는 각각 가변 저항 소자이고, 상기 각 스트링부의 순방향 전압 간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각 스트링부에 흐르는 전류 간 편차를 능동 보상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이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상기 각 스트링부에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각 스트링부의 순방향 전압을 추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추정된 상기 각 스트링부의 순방향 전압과,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이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상기 각 스트링부에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각 스트링부의 전체 내부 저항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체 내부 저항값 간의 편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엘이디 방열면적에 따른 설정 최소 저항값 이상이고 소비전력에 따른 설정 최대 저항값 이하인 설정 범위 내에서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스트링부의 전체 내부 저항값 간 편차가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엘이디 램프를 구성하는 각 엘이디 간 순방향 전압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소정의 저항 소자를 통한 전류 조절 방식을 통해 각 엘이디에 대하여 동일한 광량을 확보함으로써 엘이디 램프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고, 저항 소자를 통한 전류 제한 방식을 통해 엘이디 소자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이디 램프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에서 엘이디 어레이부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에서 저항 소자의 저항값에 따라 각 소자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에서 엘이디 어레이부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에서 저항 소자의 저항값에 따라 각 소자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는 엘이디 어레이부(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엘이디 어레이부(100)의 회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엘이디 어레이부(100)는 매트릭스 배열 방식을 따르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D1, D3, D5 / D2, D4, D6)가 직렬 결선된 스트링부(110)가 복수 개 병렬 결선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세 개의 엘이디가 직렬 결선되어 스트링부(110)를 구성하고, 두 개의 스트링부(110)가 병렬 결선되어 엘이디 어레이부(100)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트링부(110)에 포함되는 엘이디의 개수, 및 병렬 결선되는 스트링부(110)의 개수는 엘이디 램프의 사양 및 설계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 간의 편차로 인해 각 엘이디마다 동일한 광량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이러한 문제점은 각 엘이디의 순방향 전압(Forward Voltage) 간 편차에 기인한다. 즉, 엘이디는 다이오드 특성을 갖는 반도체 소자로서 그 내부에 저항 성분이 존재하며, 순방향 전압이 높을수록 내부의 저항 성분의 저항값이 큰 특성을 갖기 때문에, 엘이디 어레이부(100)에 포함된 각 엘이디의 순방향 전압 간의 편차는 저항 성분의 편차로 인한 전류 편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엘이디 어레이부(100)에 포함된 각 엘이디의 순방향 전압 간 편차로 인해 발생하는,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 간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저항 소자(R1, R2)가 각 스트링부(110)에 구비되는 회로 구성을 채용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스트링부(110)에 구비되는 저항 소자(R1, R2)는 그 설계 및 제조 상의 용이성 측면에서 각 스트링부(110)의 전원 라인에 그 애노드(anode) 단이 각각 접속되는 각 상단 엘이디(D1, D2)의 캐소드(cathode) 단에 각각 직렬 결선됨이 바람직하다. 각 스트링부(110)에 구비된 저항 소자(R1, R2)는 엘이디의 내부 저항값 간의 미소 편차가 각 스트링부(110) 간의 큰 전류 편차를 유발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전류 보상 역할을 수행하며, 그 저항값은 엘이디 내부 저항값을 측정하는 실험적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스트링부(110)에 구비되는 각 저항 소자(R1, R2)는 전술한 것과 같이 고정 저항값을 갖는 저항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고, 순방향 전압 간 편차의 변화에 따라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 간 편차를 능동 보상하기 위한 가변 저항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엘이디 어레이부(100)에 포함된 각 엘이디는 그 제조 과정에서 순방향 전압 간 편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이러한 순방향 전압 간 편차는 각 엘이디의 열화 정도에 따라 그 크기가 변경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스트링부(110)에 구비되는 저항 소자를 고정 저항값을 갖는 저항 소자로 구현할 경우, 엘이디의 최초 순방향 전압 간 편차에 따라 발생하는 각 스트링부(110)의 전류 간 편차는 보상할 수 있으나, 순방향 전압 간 편차가 변경될 경우 그에 따라 발생하는 각 스트링부(110)의 전류 간 편차의 변경을 능동적으로 보상할 수 없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각 저항 소자를 가변 저항 소자로 구현하고 엘이디의 순방향 전압 간 편차를 감지하여 각 스트링부(110)의 전류 간 편차를 능동 보상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 엘이디 어레이부(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LDM(LED Drive Module)로 구현될 수 있다.)는 각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 간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 간 편차를 능동 보상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은 해당 스트링부(110)에 포함된 엘이디의 전체 순방향 전압을 의미한다.
즉, 제어부(200)는 각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 간 편차를 검출하여 그 편차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편차의 변화에 따라 각 스트링부(110)에 구비된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 간 편차를 능동 보상함으로써, 스트링부(110)에 포함된 각 엘이디의 열화로 인해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 간 편차가 변화된 경우에도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트링부(110)에 구비된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할 때, 제어부(200)는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이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각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을 추정하는 방식을 통해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각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을 추정함으로써 그 추정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은 충분히 작은 값을 갖도록(예: 10 mohm)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스트링부(110)에 포함된 엘이디는 그 순방향 전압이 높을수록 내부의 저항 성분의 저항값이 큰 특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또한 변화하기 때문에,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 및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 간의 관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200)는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을 상기 관계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가 스트링부(110)에 구비된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추정된 각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과,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이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각 스트링부(110)의 전체 내부 저항값(즉, 스트링부(110)에 포함된 각 엘이디의 내부 저항값의 합)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전체 내부 저항값 간의 편차를 보상하도록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엘이디의 내부 저항값은 순방향 전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1 ohm 이하의 값을 가지며,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저항 소자(R1, R2)가 스트링부(110)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각 스트링부(110)의 내부 저항값 간에 편차가 미소하더라도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 비율이 크게 달라지게 되어 각 스트링부(110) 간 큰 전류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각 스트링부(110)의 내부 저항값 대비 충분히 큰 저항값을 갖는 저항 소자를 각 스트링부(110)에 추가하는 경우, 각 스트링부(110)의 내부 저항값 간의 미소 편차가 스트링부(110) 간의 전류 편차에 미치는 영향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각 스트링부(110)의 내부 저항값 간의 미소 편차가 스트링부(110) 간 큰 전류 편차를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스트링부(110)의 내부 저항값 대비 충분히 큰 저항값을 값도록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이 각각 3 ohm 및 12ohm으로 조절된 경우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양단 전압 및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며, 도 5는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이 12 ohm으로 조절된 경우 각 소자에 형성되는 전위차를 도시하고 있다.

3 ohm 12 ohm
양단 전압(V) 전류(mA) 양단 전압(V) 전류(mA)
R1 0.37 123 1.422 118.5
R2 0.33 110 1.374 114.5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크게 설정할수록 각 스트링부(110)의 내부 저항값 간의 미소 편차가 스트링부(110) 간의 전류 편차에 미치는 영향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나, 저항값이 클수록 그 소비 전력 또한 증가하므로 제어부(200)에 의해 조절되는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은 소정치 이하로 그 상한이 제한될 필요가 있다. 또한,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작게 설정할수록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량이 증가하며, 이때 엘이디 방열면적을 초과하는 정도의 전류량이 흐르는 경우 해당 엘이디는 소손되어 필드에서 품질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제어부(200)에 의해 조절되는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은 소정치 이상으로 그 하한이 제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엘이디 방열면적에 따른 설정 최소 저항값 이상이고 소비전력에 따른 설정 최대 저항값 이하인 설정 범위 내에서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최소 저항값은 엘이디 방열면적을 고려하여 설계된 값으로 제어부(2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설정 최대 저항값은 가변 저항 소자(R1, R2)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제한하기 위해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어 제어부(2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각 스트링부(110)의 전체 내부 저항값 간 편차가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만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허용 범위는 각 스트링부(110)에 동일한 수준의 전류량이 흘러 동일한 수준의 광량을 확보할 수 있을 때의 내부 저항값 간 편차 범위로서, 즉 제어부(200)는 각 스트링부(110)의 전체 내부 저항값 간 편차가 허용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각 스트링부(110)를 통해 동일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하지 않고, 각 스트링부(110)의 전체 내부 저항값 간 편차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만 각 스트링부(110)에 의한 광량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여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각 스트링부(110)로 흐르는 전류 간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각 스트링부(110)에 구비된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한다(S100). 이때, 제어부(200)는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충분히 작은 값을 갖도록(예: 10 mohm)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어부(200)는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이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각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을 추정한다(S200).
이어서, 제어부(200)는 추정된 각 스트링부(110)의 순방향 전압과,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이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측정된 각 스트링부(110)에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각 스트링부(110)의 전체 내부 저항값을 산출한다(S300).
이어서, 제어부(200)는 S300 단계에서 산출된 각 스트링부(110)의 전체 내부 저항값 간 편차가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0).
S400 단계에서 각 스트링부(110)의 전체 내부 저항값 간 편차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200)는 각 스트링부(110)의 전체 내부 저항값 간 편차를 보상하도록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한다(S500). 이때, 제어부(200)는 각 스트링부(110)의 내부 저항값 간의 미소 편차가 스트링부(110) 간 큰 전류 편차를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스트링부(110)의 내부 저항값 대비 충분히 큰 저항값을 값도록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엘이디의 방열면적 및 소비전력에 따라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제한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어부(200)는 엘이디 방열면적에 따른 설정 최소 저항값 이상이고 소비전력에 따른 설정 최대 저항값 이하인 설정 범위 내에서 각 가변 저항 소자(R1, R2)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의 엘이디 램프를 구성하는 각 엘이디 간 순방향 전압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소정의 저항 소자를 통한 전류 조절 방식을 통해 각 엘이디에 대하여 동일한 광량을 확보함으로써 엘이디 램프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고, 저항 소자를 통한 전류 제한 방식을 통해 엘이디 소자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엘이디 어레이부
110: 스트링부
D1, D2, D3, D4, D5, D6: 엘이디
R1, R2: 저항 소자
200: 제어부

Claims (7)

  1. 복수 개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가 직렬 결선된 스트링부가 복수 개 병렬 결선되어 구성된 엘이디 어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어레이부에 포함된 각 엘이디의 순방향 전압(Forward Voltage) 간 편차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 각 스트링부에 흐르는 전류 간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저항 소자가 상기 각 스트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항 소자는, 상기 각 스트링부의 전원 라인에 그 애노드(anode) 단이 각각 접속되는 각 상단 엘이디의 캐소드(cathode) 단에 각각 직렬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항 소자는 각각 가변 저항 소자이고,
    상기 각 스트링부의 순방향 전압 간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각 스트링부에 흐르는 전류 간 편차를 능동 보상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이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상기 각 스트링부에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각 스트링부의 순방향 전압을 추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추정된 상기 각 스트링부의 순방향 전압과,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이 동일한 저항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상기 각 스트링부에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각 스트링부의 전체 내부 저항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체 내부 저항값 간의 편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엘이디 방열면적에 따른 설정 최소 저항값 이상이고 소비전력에 따른 설정 최대 저항값 이하인 설정 범위 내에서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엘에디 램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스트링부의 전체 내부 저항값 간 편차가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각 가변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KR1020170106017A 2017-08-22 2017-08-22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KR20190021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017A KR20190021512A (ko) 2017-08-22 2017-08-22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017A KR20190021512A (ko) 2017-08-22 2017-08-22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512A true KR20190021512A (ko) 2019-03-06

Family

ID=6576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017A KR20190021512A (ko) 2017-08-22 2017-08-22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15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200737A1 (en) * 2022-12-19 2024-06-20 Linhai Lize Photoelectric Technology Co., Ltd. Lamp st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200737A1 (en) * 2022-12-19 2024-06-20 Linhai Lize Photoelectric Technology Co., Ltd. Lamp st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350B2 (en) Power supply unit and related lighting system
TWI235349B (en) Circuit-arrangement for an LED-array
EP2077697B1 (en) Lighting controller of lighting device for vehicle
TWI404455B (zh) 適應性切換模式發光二極體驅動器
US10624170B2 (en) Single control LED dimming and white tuning
US10426009B2 (en) Apparatus for precise temperature brightness compensation of LED
KR20080106234A (ko) 전압 제어 엘이디 라이트 드라이버
US7332875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an illumination head and power source device used therefore
KR20190021512A (ko) 차량의 엘이디 램프 장치
US9961729B1 (en) Trimming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ed current mirrors
KR101154837B1 (ko) 전기적부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EP2699056A2 (en) A lighting module having multiple LEDs and adjustable trimming elements and a method of individually adjusting such trimming elements
KR100930818B1 (ko) 전원 공급 장치
KR101814752B1 (ko) Led 조명 장치 조도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JP2007142139A (ja) Ledの駆動制御装置
KR101091277B1 (ko) 부하 감응 전압원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전원 병렬 제어 시스템
CN110784100B (zh) 功率转换装置及功率管理方法
CN218976883U (zh) 发光元件低边驱动电路、芯片及用电设备
TWI714149B (zh) 溫度控制電路以及溫度控制系統
CN109728577B (zh) 电源供应系统与电源供应系统的控制方法
JP5303519B2 (ja) 発光ユニットおよび光照射装置
WO2012020606A1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回路
Durrani et al. An Efficient Color LED Driver based on Self-Configuration Current Mirror Circuit
KR102150267B1 (ko) 차량용 led 고장 보호 장치
KR20140082370A (ko)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