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306A -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306A
KR20190021306A KR1020190022573A KR20190022573A KR20190021306A KR 20190021306 A KR20190021306 A KR 20190021306A KR 1020190022573 A KR1020190022573 A KR 1020190022573A KR 20190022573 A KR20190022573 A KR 20190022573A KR 20190021306 A KR20190021306 A KR 20190021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hrysin
present
compositio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정하
진무현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9002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세포 분화 촉진, 피부 보습 증진, 피부 장벽 강화, 및/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특히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은 부작용이 적어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피부 각질세포 분화능력, 피부 장벽 강화 능력, 피부 보습 증진효과, 및 피부 염증 완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and alleviating skin inflammation comprising chrysin}
본 발명은 각질세포의 분화 촉진, 피부 보습 증진, 피부 장벽 회복, 피부 염증 완화와 관련된 조성물, 특히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각질세포 분화 효과, 피부 보습 증진 효과, 피부 장벽 회복 효과, 피부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D(vitamin D)는 골격 성장 및 유지, 칼슘과 인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이며,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뿐만 아니라 골격계 이외의 조직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타민 D가 세포에 작용하는 조절 기전은 2가지가 있다. 먼저, 비타민 D가 비타민 D 수용체(vitamin D receptor, VDR)에 결합하여 작용하는 것이다. 비타민 D 수용체는 각질세포를 비롯한 여러 세포에서 발현된다. 비타민 D와 비타민 D 수용체의 결합체가 세포 내 핵으로 들어가 비타민 D 인식 부위(vitamin D response elements, VDRE)라 불리는 특정 DNA 염기서열에 결합하여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로 작용하여 표적 유전자(target genes)의 발현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는 주로 세포 증식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의 전사를 일으킨다. 또 다른 하나는 세포 내의 칼슘 이온이 유입되게 하여 작용하는 것이다. 비타민 D는 세포 내의 칼슘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일련의 과정에 작용하여, 각질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킨다.
이런 두 가지 기전의 조합이 표적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분화를 촉진하게 만든다. 세포 증식이나 세포 분화의 역할 이외에도 비타민 D는 면역 조절 기능을 한다. 인터루킨(IL)-1에 대한 T 세포의 반응을 억제하고, 면역 반응에 중요한 인터루킨-2, 인터루킨-6, 인터페론-γ생산도 억제한다. 또한, T 세포 활성 억제를 증진시키며, NK (natural killer) 세포의 형성도 억제한다. 이러한 비타민 D의 세포 증식 감소, 세포 분화 촉진, 면역 조절 기능 등의 조합이 비타민 D와 그 유도체들이 건선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타민 D와 비타민 D의 유도체는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금지 원료이고,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비타민 D 수용체의 전사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 및 부작용은 해소하면서, 화장품 등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각질세포의 분화 촉진, 피부 보습 증진, 피부 장벽 회복, 피부 염증 완화와 관련된 효능을 갖는 유용한 활성 성분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작용이 적고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각질세포의 분화 촉진, 피부 보습 증진, 피부 장벽 회복, 및 피부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활성 성분, 즉, 활성 성분의 이러한 유용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효능이 우수한 활성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특히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세포의 분화 촉진용, 피부 보습 증진용, 피부 장벽 회복용,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각질세포의 분화 촉진용, 피부 보습 증진용, 피부 장벽 회복용,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이라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 각질 형성세포(keratinocyte)의 분화(differentiation)를 정상적으로 환원 및 유지시킴으로써, 표피분화가 불완전함으로 해서 발생하는 피부건조 증상, 아토피 증상, 건선 및 접촉성 피부염 증상 등을 예방 및/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장벽을 강화시켜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키고, 피부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높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게 하며, 피부건조증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피부건조로 인한 잔주름의 발생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타민 D 수용체의 전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비타민 D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면서도 안전성이 향상된 비타민 D 수용체 전사 활성화용 조성물, 특히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크리신은 화학식은 C15H10O4 이고 분자량은 254.24로서, 아래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합물은 시계초류(Passiflora caerulea, Passiflora incarnate 등), 캐모마일, 오록실룸 인디쿰(Oroxylum indicum) 등을 포함한 식물에서 분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크리신의 획득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신은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독성이 없거나 적은 산 또는 염기로 제조된 염들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산성일 경우 염기(base) 부가 염들은 충분한 양의 원하는 염기와 적당한 비활성(inert) 용매로 그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접촉하여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 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마그네슘 또는 유기 아미노로 이루어진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염기성일 경우 산(acid) 부가 염들은 충분한 양의 원하는 산과 적당한 비활성 용매로 그러한 화합물들의 중성 형태를 접촉하여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은 프로피온산, 이소부틸산, 옥살산, 사과산, 말론산, 안식향산, 호박산, 수버릭(suberic), 푸마르산, 만데릭산, 프탈릭산, 벤젠설폰산, p-토릴설폰산, 구연산, 주석산, 메탄설폰산, 염산, 브롬산, 질산, 탄산, 일수소탄산(monohydrogencarbonic), 인산, 일수소인산, 이수소인산, 황산, 일수소황산, 요오드화수소, 아인산(phosphorous acid) 등으로 형성된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알지네이트(arginate) 같은 아미노산의 염 및 글루쿠로닉(glucuronic) 또는 갈락투노릭(galactunoric) 산들과 같은 유기산의 유사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크리신은 수화물, 에탄올화물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크리신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크리신은 또한 전구약물(pro-drug)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피부에 존재하는 에스테라제 또는 아미다제에 의해 활성 형태인 크리신으로 분리될 수 있는 전구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친수성/친유성, 피부흡수성, 용해도, 크리신의 체내 동태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탄소수 1~6의 알킬, 탄소수 1~6의 알케닐, 탄소수 1~6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1~6의 히드록시알킬기, 알콕시 및 알킬부위가 각각 탄소수 1~6인 알콕시알킬 또는 알콕시알콕시알킬기, 펜아실기, 탄소수 1~6의 알킬로 치환된 펜아실기, 알콕시 및 알킬부위가 각각 탄소수 1~6인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 탄소수 1~6의 시아노알킬기, 각각의 알킬부위가 각각 탄소수 1~6인 알킬티오알킬기 등의 치환기가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크리신의 -OH 기에 하나 이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구약물은 BURGER'S MEDICINAL CHEMISTRY AND DRUG DISCOVERY, 172-178, 949-982 (Manfred E. Wolffed., 5th ed. 1995) 등에 기재된 방법과 같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성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각질세포 분화 촉진효과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부 보습 증진 능력 및 피부 염증 완화 능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질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내며, 우수한 피부 보습 증진 능력 및/또는 피부 염증 완화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세포 분화 촉진용, 피부 장벽 강화용, 피부 보습용, 및/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세포 분화 촉진,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및/또는 피부 염증 완화를 위한 상기 크리신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습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유상기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pH 조절제, 천연추출물 등은 물론 본 발명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화학적 및/또는 천연 성분을 적당한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의약품,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혹은 어떤 편리한 운반체, 부형제 등과 함께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그러한 투여 제형은 단회투여 또는 반복투여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 제제, 반고형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고형 제제로는 크림제, 로션제, 유화제, 리니멘트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액상 제제로는 물,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크리신 또는 이의 염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크리신 또는 이의 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피부외용제는 바세린, 스테아릴알콜 등의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기재; 폴리소르베이트, 솔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등의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보습제;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용제; 및 착향제, 착색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균질하게 혼합하는 통상의 피부외용제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크리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로션류, 크림류와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에멀젼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5 내지 10 중량%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 포함한다.
상기 크리신 또는 이의 염이 0.0005 중량% 미만이면 본래 목적하는 각질세포 분화 촉진 효과, 피부 보습 증진 효과, 피부 장벽 회복 효과 및/또는 피부 염증 완화 효과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증가하는 함량만큼 뚜렷한 효과의 증대가 기대되지 않아 비경제적이며,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질세포 분화 촉진 효과, 피부 보습 증진 효과, 피부 장벽 회복 효과 및/또는 피부 염증 완화 효과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매일 약 0.01 mg/kg 내지 약 10 g/kg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0.1 mg/kg 내지 약 1 g/kg의 1일 투여 용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투여 경로 및 제형,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나누어지고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각질세포 분화를 촉진한다.
아울러 피부 각질세포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건조 증상, 아토피 증상, 건선 및 접촉성 피부염 증상을 완화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며, 피부의 유연성 및 견고성을 높이고, 피부의 수분 보유 능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보습 증가 효과 및 피부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비타민 D 수용체의 전사를 활성화시켜 각질세포에서 비타민 D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효과의 화장품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리포터 유전자 측정법을 이용하여, 크리신의 농도별 VDR 전사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quantitative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인체 유래의 피부 각질세포에서 크리신이 VDR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quantitative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인체 유래의 피부 각질세포에서 크리신이 Involucrin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quantitative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인체 유래의 피부 각질세포에서 크리신이 Fillaggrin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사용한 크리신은 지안 내츄럴 필드 바이오테크닉(Xian natural field biotechnique Co. Ltd., 중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비타민 D 수용체(VDR) 전사 활성화 평가
인체 각질 세포주(human keratinocyte)인 HaCaT을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제거된 우태아 혈청(5% charcoal stripped FBS)을 포함하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Invitrogen, 미국)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플라즈미드는 VDRE reporter (Qiagen, 독일)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VDR에 의해 리포터(reporter) 유전자인 반딧불 루시퍼라아제(firefly luciferase)가 발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플라즈미드와 레닐라 루시퍼라아제(Renilla luciferase)를 항상 발현하는 플라즈미드가 40 : 1 의 비율로 들어있는 DNA 혼합물이다. HaCaT 세포 5x104 개를 24 웰(well)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18시간 배양한 후, 상기 플라즈미드 유전자인 VDRE reporter 1 ㎍을 lipofectaminTM reagent(Invitrogen, 미국)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일시적 트랜스팩션(transient transfection) 하였다. 이 세포들을 24 시간 배양 후, 인산화완충용액(PBS)로 세척한 다음 우태아 혈청이 없는 DMEM 배지에 크리신을 농도별(0.02, 0.2, 2㎍/ml)로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크리신을 녹일 때 사용한 DMSO를 처리한 군을 이용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세포 용해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만 추출하여 루시퍼라아제 어세이를 실시한 후 퍼킨엘머 빅터3(Perkin Elmer Victor3, 미국)로 발광정도(luminescence)를 측정하고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리신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VDR의 활성을 증가시켜 높은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VDR, Involucrin 및 Fillagrin 유전자 발현 조절 효과
인체 유래의 각질 세포(normal human keratinocytes)는 ATCC(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Dermal basal cell media(DBCM, ATCC, 미국)를 사용하였고, 각질세포 성장인자(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ATCC, 미국)를 넣어서 사용하였다. 2x105 개의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18시간 배양한 후, 2 ㎍/ml 농도의 크리신을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를 회수하여 PBS로 세척한 후, RNeasy mini kit (Qiagen, Germany)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한 뒤, 정량하여 1 ㎍의 RNA를 GeneAmp® RNA PCR kit (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하였다. 역전사 반응은 Mycycler® PCR 기기(Biorad,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합성된 cDNA는 한 반응 당 300ng을 사용하였고, iTaq™ Fast SYBR®Green Supermix With ROX (Biorad, USA)와 유전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quantitative real time PCR을 수행하였다. Real time PCR은 CFX96 Touch™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기기 (Biorad, 미국)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Quantitative real time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표 1과 같다. 모든 프라이머는 필코리아(Korea)에서 주문 제작하였다. Real time PCR을 통해 얻은 실험 결과는 housekeeping 유전자인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를 기준으로 ΔΔCt 방법(Livak KJ, Schmittgen TD: Analysis of relative gene expression data using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the 2(-Delta Delta C(T)) Method, Methods, 25, 402-408(2001)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음성 대조군의 mRNA 발현량을 1.0으로 기준하여 크리신 처리 실험군의 mRNA 발현량을 수치화하여 도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프라이머 이름 프라이머 서열 서열번호
VDR VDR-L 5- CCA GTT CGT GTG AAT GAT GG -3? 1
VDR-R 5- AGA TTG GAG AAG CTG GAC GA -3? 2
Involucrin IVL-L 5- GAA CAG CAG CAA AAG CAC CT -3? 3
IVL-R 5- CAA ACA CAG GCT GCT CCA -3? 4
Fillaggrin FLG-L 5- AGT GAG CAT TAC CCA GAG GA -3? 5
FLG-R 5- CTG TAT CGC GGT GAG AGG A -3? 6
GAPDH GAPDH-L 5- GGC TCT CCA GAA CAT CAT CC -3? 7
GAPDH-R 5- TTC TAG ACG GCA GGT CAG GT -3? 8
도 2 내지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리신은, VDR 전사 활동을 유도하거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각질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피부 보습을 증가시켰다. 피부 각질 세포의 분화의 중요한 마커(marker)인 인볼루크린(involurin)의 발현을 증가시켜 각질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였으며,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의 전구체인 필라그린(Fillaggrin)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각질 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피부 수분 보유능력을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결과로부터 피부의 표피분화가 불완전하여 발생하는 피부 건조 증상, 아토피 증상 등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피부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높이고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켜 피부 보습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3> 피부 장벽 기능 회복 강화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 장벽 기능 회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은 피험자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24세에서 48세(평균나이 30.6세)의 건강한 성인 남녀 27명을 선정하였으며 시험과 관련된 사항들을 사전에 구두로 공지하였고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피험자를 대상으로 인체적용시험 참여 동의서를 받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인체적용시험은 항온(22±2℃)항습(40~60%)조건에서 실시하였으며 측정 전 30분간 피험자들을 충분히 적응시킨 후 시험하였다. 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은 Tewameter TM210 (C & K. 독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험부위별로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시험은 양쪽 전박(Ventral forearm)부위를 사용하였고 시험 시작 전 TEWL을 측정하여 장벽 파괴 전 base값으로 사용하였다. 증류수를 이용하여 1% SLS 용액을 조제하여 IQ chamber에 분주한 후 시험부위에 붙이고 24시간 동안 피부 장벽을 파괴하였다. 24시간 후 chamber를 제거하고 검정색으로 시험부위를 마킹하였으며 다음 날 TEWL을 측정하여 시료 도포 전 장벽 파괴 값으로 사용하였다. 시험 시료는 DPG에 3, 5, 10, 20 ㎍/ml 농도로 크리신을 녹여 사용하였다. 시료 무 처치 부위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시료는 아침, 저녁 2회 시험 부위에 도포하였으며 시료 사용 1일, 3일, 7일, 14일 후 각각 TEWL을 측정하여 장벽 회복율을 계산하였다. 시험은 이중맹검법으로 수행하였다. 통계처리는 paired t-test를 통해 시료 사용 부위와 대조부위 간의 유의성 여부를 가설 평균 차 5%(p<0.05)로 확인하였으며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version 201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유효성 측면에서 시료 사용 부위와 대조 부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고 안전성 측면에서 사용기간 동안 제품에 의한 이상 반응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장벽회복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시료로 판단하였다. 장벽 회복율은 아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장벽 회복율(%) = [1-(시료 사용 x일 후 TEWL 측정 값-장벽 파괴 전 TEWL 측정 값)/(시료 도포 전 장벽 파괴 TEWL 측정 값-장벽 파괴 전 TEWL 측정 값]x100
(* p < 0.05, ** P < 0.01)
After 1 d After 3 d After 7 d After 14 d
Untreated site 17.7 ± 11.6 42.5 ± 18.4 63.7 ± 21.4 74.7 ± 15.7
DPG-treated site 19.0 ± 12.0 41.8 ± 15.7 62.0 ± 22.7 75.0 ± 21.0
3 μg/ml chrysin 19.1 ± 12.4 37.2 ± 17.5 62.6 ± 17.5 78.6 ± 12.6
5 μg/ml chrysin 19.7 ± 14.3 39.6 ± 20.0 60.5 ± 20.6 80.6 ± 19.8
10 μg/ml chrysin 20.2 ± 15.5 39.1 ± 17.0 62.9 ± 13.9 85.4 ± 16.2*
20 μg/ml chrysin 20.3 ± 9.3 39.3 ± 16.6 75.1 ± 10.6* 85.0 ± 12.3**
시험시료에 대한 인체 적용 시험 결과는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10 ㎍/ml 크리신의 경우 도포 14일 후 85.4%(p<0.05), 20 ㎍/ml 크리신의 경우 도포 7일 후 75.1%(p<0.05), 도포 14일 후 85.0%(p<0.01)의 장벽 회복율을 나타내었으며 시료 무 처치 대조부위와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료 사용기간 동안 어떠한 피부 유해사례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10 ㎍/ml 크리신은 도포 14일 후부터 20 ㎍/ml 크리신은 도포 7일 후부터 피부 장벽 회복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사용할 경우,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을 것을 생각된다. 더 나아가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시켜 피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함으로써 피부 건조성 질환에 효과적이며, 피부 건조로 인한 피부 잔주름 감소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4> 피부 각질세포에서 자외선 조사로 인한 염증 반응 감소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 염증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수준에서 자외선에 대한 피부 각질 세포의 염증반응 감소 효과를 실험하였다. 인체 유래의 각질 세포에 25mJ/cm2 의 UVB를 조사하고, 크리신의 최종 농도가 1 ㎍/ml, 2㎍/ml이 되도록 각각 각질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수거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TNF-α의 양을 ELISA로 측정하였다. 이때,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각질세포의 배양배지(음성 대조군)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TNF-α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TNF-α 분비량 증가율은 음성 대조군에 대한 분비량을 100%로 기준하여, 상대적인 분비량으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시료 분비량(%)
음성대조군(무첨가) 100
크리신 1 ㎍/ml 73
크리신 2 ㎍/ml 65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리신은 음성 대조군보다 각질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자외선에 의한 TNF-α 분비량은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피부 염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크리신이 in vitro 상으로 비타민 D와 유사한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in vivo 상으로 피부 보습 효과, 피부 장벽 강화 효과, 피부 각질 세포 분화 효과 및/또는 피부 염증 완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영양화장수 제조
조성물(중량%) 제조예 1
크리신 1.0
와셀린 2.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5.0
에탄올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0
수산화칼륨 0.1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상기 표 4와 같이 크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에센스 제조
조성(중량%) 제조예 2
크리신 1.0
글리세린 10.0
히아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향료 0.05
정제수 to 100
상기 표 5와 같이 크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크림 제조
조성물(중량%) 제조예 3
크리신 1.0
스테아린산 15.0
세탄올 1.0
수산화칼륨 0.7
글리세린 5.0
프로필렌 글리콜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상기 표 6와 같이 크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팩의 제조
조성물(중량%) 제조예 4
크리신 1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4.0
폴리비닐알코올 15.0
에탄올 8.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to 100
상기 표 7와 같이 크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피부 외용제 중 연고의 제조
조성(중량%) 제조예 5
에피프리델라놀 0.2
디에틸 세바케이트 8
경납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벤조산 나트륨 1
바셀린 to 100
상기 표 8와 같이 크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중 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Claims (2)

  1.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크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22573A 2013-01-07 2019-02-26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90021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1416 2013-01-07
KR1020130001416 2013-01-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140A Division KR20160013226A (ko) 2013-01-07 2016-01-13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306A true KR20190021306A (ko) 2019-03-05

Family

ID=517379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873A KR20140090051A (ko) 2013-01-07 2013-01-29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0160004140A KR20160013226A (ko) 2013-01-07 2016-01-13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0190022573A KR20190021306A (ko) 2013-01-07 2019-02-26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873A KR20140090051A (ko) 2013-01-07 2013-01-29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0160004140A KR20160013226A (ko) 2013-01-07 2016-01-13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400900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110B1 (ko) 2014-09-26 2020-10-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늘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226A (ko) 2016-02-03
KR20140090051A (ko)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7140B2 (en) Therapeutic composition
US20200276233A1 (en) Use of composition comprising stem cell-derived exosome as effective ingredient in strengthening skin barrier and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KR101568306B1 (ko) 파에오놀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EP2839833B1 (en)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e of the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psoriasis, atopic dermatitis or chronic eczema
KR20100122455A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851010B1 (ko)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US9463338B2 (en) Derivatives of the sinapinic acid
KR20190021306A (ko) 크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50018261A (ko) 피페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JP5256578B2 (ja) 掻痒性皮膚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20190018108A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17939A (ko) 바이칼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10006890A (ko) 필라그린 생성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733189B1 (ko) 손톱 또는 발톱 성장 촉진용 조성물
JP6656890B2 (ja) 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
CN112007039A (zh) 一种包含氟西汀和维生素d3或其衍生物的组合物,及其应用
JP5438239B1 (ja) シコニン誘導体を有するペリオスチンの発現抑制剤
WO2019136196A1 (en) Therapeutic composition
JP2004300048A (ja) エンドセリン−1mRNA発現抑制剤、エンドセリン−1産生抑制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美白剤及び美白化粧料
KR20110116370A (ko) 블루메아 발사미페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
KR20130077953A (ko) 카르노스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제
KR20150037204A (ko) 대복피 추출물 포함 창상 치유용 조성물
KR20220164311A (ko) 파모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용 조성물
KR20090093477A (ko)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질환 예방 또는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30069034A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