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095A - 이미지 분류 장치와 방법 및 이미지 분류를 위한 이미지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분류 장치와 방법 및 이미지 분류를 위한 이미지 학습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1095A KR20190021095A KR1020170106244A KR20170106244A KR20190021095A KR 20190021095 A KR20190021095 A KR 20190021095A KR 1020170106244 A KR1020170106244 A KR 1020170106244A KR 20170106244 A KR20170106244 A KR 20170106244A KR 20190021095 A KR20190021095 A KR 201900210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mages
- error
- learning
- featur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F18/241—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 G06F18/2413—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based on distances to training or reference patterns
-
- G06K9/627—
-
- G06K9/46—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4—Backpropagation, e.g. using gradient desc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심화 학습된 특징들의 분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글로벌 중심 오차가 반영된 오차 함수의 성능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오차 함수들의 성능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8)
-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제1 특징들에 대한 정보 및 기준 이미지에서 객체(object) 단위로 형성된 클래스(class) 내에 위치하는 제2 특징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오차 함수를 생성하며, 상기 오차 함수를 기초로 입력된 이미지들을 학습시키는 이미지 학습부;
상기 이미지들을 학습시켜 얻은 결과를 기초로 임계값을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부; 및
상기 임계값을 기초로 상기 이미지들을 분류하는 이미지 분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학습부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학습부는 상기 제1 특징들의 평균값을 기초로 생성된 제1 오차, 상기 제2 특징들의 평균값을 기초로 생성된 제2 오차 및 크로스 엔트로피(cross-entropy)와 관련된 제3 오차를 기초로 상기 오차 함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학습부는 상기 제1 특징들의 평균값과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각 특징 사이의 제1 차이값들, 및 제1 가중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오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학습부는 상기 제1 차이값들 중에서 선택된 최대값을 L2-norm에 적용하여 제1 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제1 차이값을 L2-norm에 적용하여 제2 값들을 산출하며, 상기 제1 값에 상기 제1 가중치를 더한 후 각각의 제2 값을 빼서 얻은 제3 값들과 0을 비교하여 얻은 결과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오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학습부는 상기 제2 특징들의 평균값과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각 특징 사이의 제2 차이값들, 및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클래스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제2 오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학습부는 각 클래스를 대상으로 제2 차이값들을 산출하고, 클래스마다 산출된 제2 차이값들을 L2-norm에 적용하여 클래스마다 제4 값들을 산출하며, 클래스마다 산출된 제4 값들을 합산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오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학습부는 상기 제1 오차에 제2 가중치를 곱하여 제5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오차에 제3 가중치를 곱하여 제6 값을 산출하며, 상기 제5 값과 상기 제6 값 및 상기 제3 오차를 합산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오차 함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류부는 상기 이미지들에 포함된 특징들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류부는 비교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들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교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와 동일인으로 분류하며, 상기 비교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들이 상기 임계값 초과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교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와 타인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특징들이 밀집되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가지도록 각 이미지를 편집하는 이미지 조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학습부는 편집된 상기 이미지들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장치. -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제1 특징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기준 이미지에서 객체(object) 단위로 형성된 클래스(class) 내에 위치하는 제2 특징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오차 함수를 생성하며, 상기 오차 함수를 기초로 입력된 이미지들을 학습시키는 단계;
상기 이미지들을 학습시켜 얻은 결과를 기초로 임계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값을 기초로 상기 이미지들을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특징들의 평균값을 기초로 생성된 제1 오차, 상기 제2 특징들의 평균값을 기초로 생성된 제2 오차 및 크로스 엔트로피(cross-entropy)와 관련된 제3 오차를 기초로 상기 오차 함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특징들의 평균값과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각 특징 사이의 제1 차이값들, 및 제1 가중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오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특징들의 평균값과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각 특징 사이의 제2 차이값들, 및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클래스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제2 오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들에 포함된 특징들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특징들이 밀집되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가지도록 각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시키는 단계는 편집된 상기 이미지들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분류 방법. -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제1 특징들의 평균값 및 상기 기준 이미지에서 객체(object) 단위로 형성된 클래스(class) 내에 위치하는 제2 특징들의 평균값을 기초로 오차 함수를 생성하며, 상기 오차 함수를 기초로 입력된 이미지들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학습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244A KR102049331B1 (ko) | 2017-08-22 | 2017-08-22 | 이미지 분류 장치와 방법 및 이미지 분류를 위한 이미지 학습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244A KR102049331B1 (ko) | 2017-08-22 | 2017-08-22 | 이미지 분류 장치와 방법 및 이미지 분류를 위한 이미지 학습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1095A true KR20190021095A (ko) | 2019-03-05 |
KR102049331B1 KR102049331B1 (ko) | 2019-11-27 |
Family
ID=6576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6244A Active KR102049331B1 (ko) | 2017-08-22 | 2017-08-22 | 이미지 분류 장치와 방법 및 이미지 분류를 위한 이미지 학습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9331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3873B1 (ko) * | 2019-03-22 | 2020-02-05 | 주식회사 루닛 | 시맨틱 세그먼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
KR20200112646A (ko) * | 2020-01-30 | 2020-10-05 | 주식회사 루닛 | 시맨틱 세그먼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
KR20210050168A (ko) | 2019-10-28 | 2021-05-07 | 주식회사 뷰온 | 딥러닝 모델에 적용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 확장방법,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분류장치 및 그 방법 |
KR20220033769A (ko) * | 2020-09-10 | 2022-03-17 | 남윤덕 | 실시간 보안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택트 출입 보안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CN114612696A (zh) * | 2020-12-04 | 2022-06-10 |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 目标图像筛选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9229310A (zh) * | 2024-11-28 | 2024-12-31 | 中科卫创(西安)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面向情报分析的模型训练方法及系统 |
CN119599401A (zh) * | 2025-02-10 | 2025-03-11 | 中交基础设施养护集团工程有限公司 | 一种工程施工智能化安全管理方法及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5179A (ko) | 2020-06-15 | 2021-1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96595A (ko) | 2013-01-28 | 2014-08-0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미지 분류 방법 |
KR20160037022A (ko) * | 2014-09-26 | 2016-04-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부스트 풀링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분류 장치 및 그 데이터 분류 장치를 위한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
KR20160066926A (ko) * | 2014-12-03 | 2016-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분류 방법 및 장치와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및 장치 |
KR20160096460A (ko) * | 2015-02-05 | 2016-08-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분류기를 포함하는 딥 러닝 기반 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2017
- 2017-08-22 KR KR1020170106244A patent/KR10204933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96595A (ko) | 2013-01-28 | 2014-08-0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미지 분류 방법 |
KR20160037022A (ko) * | 2014-09-26 | 2016-04-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부스트 풀링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분류 장치 및 그 데이터 분류 장치를 위한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
KR20160066926A (ko) * | 2014-12-03 | 2016-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분류 방법 및 장치와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및 장치 |
KR20160096460A (ko) * | 2015-02-05 | 2016-08-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분류기를 포함하는 딥 러닝 기반 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강우영, 장병탁, 한국정보과학회, 구별적 특징에 기반하여 학습된 컨볼루션 신경망을 통한 이미지 분류,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6.12, 645-647 (3 pages), 1부.* *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3873B1 (ko) * | 2019-03-22 | 2020-02-05 | 주식회사 루닛 | 시맨틱 세그먼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
US10672129B1 (en) | 2019-03-22 | 2020-06-02 | Lunit Inc. | Method for semantic segmentation and apparatus thereof |
KR20210050168A (ko) | 2019-10-28 | 2021-05-07 | 주식회사 뷰온 | 딥러닝 모델에 적용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 확장방법,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분류장치 및 그 방법 |
KR20200112646A (ko) * | 2020-01-30 | 2020-10-05 | 주식회사 루닛 | 시맨틱 세그먼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
KR20220033769A (ko) * | 2020-09-10 | 2022-03-17 | 남윤덕 | 실시간 보안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택트 출입 보안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CN114612696A (zh) * | 2020-12-04 | 2022-06-10 |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 目标图像筛选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9229310A (zh) * | 2024-11-28 | 2024-12-31 | 中科卫创(西安)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面向情报分析的模型训练方法及系统 |
CN119599401A (zh) * | 2025-02-10 | 2025-03-11 | 中交基础设施养护集团工程有限公司 | 一种工程施工智能化安全管理方法及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9331B1 (ko) | 2019-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21095A (ko) | 이미지 분류 장치와 방법 및 이미지 분류를 위한 이미지 학습 장치 | |
JP6781415B2 (ja) | 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学習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パターン認識装置 | |
WO2022121289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mining minority-class data samples for training neural network | |
KR102690208B1 (ko) | Ai 기반으로 딥 러닝 네트워크를 학습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학습 장치 | |
CN101097564B (zh) | 参数学习方法及设备、模式识别方法及设备 | |
CN110059672B (zh) | 一种对显微镜细胞图像检测模型进行增类学习的方法 | |
Cuevas et al. | A comparison of nature inspired algorithms for multi-threshold image segmentation | |
CN107527063A (zh) |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存储介质 | |
US2019037021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Improved Classification | |
JP2020009301A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
JP7047498B2 (ja) | 学習プログラム、学習方法および学習装置 | |
CN104395913A (zh) | 用于使用adaboost学习算法来检测面部特征点的位点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 |
CN116543153B (zh) | 一种基于选点主动学习的半监督点云语义分割方法 | |
KR20200101521A (ko) | 시멘틱 매칭 장치 및 방법 | |
US20230252282A1 (en) |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deep metric learning per hierarchical steps of multi-labels and few-shot inference using the same | |
CN116362322A (zh) | 基于知识蒸馏的生成式模型迁移学习方法、设备及介质 | |
CN114168782B (zh) | 一种基于三元组网络的深度哈希图像检索方法 | |
CN115223189A (zh) | 一种变电站二次图纸识别方法及系统、检索方法及系统 | |
CN119251605A (zh) | 一种基于潜在域和类别多样性的图像分类方法及系统 | |
CN110942463B (zh) | 一种基于生成对抗网络的视频目标分割方法 | |
CN112101417A (zh) | 基于条件批归一化的连续学习方法和装置 | |
KR102646430B1 (ko) | 분류기를 학습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예측 분류 장치 | |
Sengottuvelan et al. | Object classification using substance based neural network | |
CN114037866B (zh) | 一种基于可辨伪特征合成的广义零样本图像分类方法 | |
JP2023130960A (ja) | 情報処理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7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1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