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859A -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 Google Patents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859A
KR20190020859A KR1020170105169A KR20170105169A KR20190020859A KR 20190020859 A KR20190020859 A KR 20190020859A KR 1020170105169 A KR1020170105169 A KR 1020170105169A KR 20170105169 A KR20170105169 A KR 20170105169A KR 20190020859 A KR20190020859 A KR 20190020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ensor
sensor unit
transmitte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장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0859A/en
Publication of KR2019002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8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2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a steering gear element, e.g. on a rack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Characterised By Use Of Acoustic Mean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detects the position of a rack for rear wheel steering, and comprises: a sensor unit provided with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rack; and a reflective unit installed in the rack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nsor unit to integrally reciprocate along with the rack, and having an external diameter that is formed to be gradually larg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ck.

Description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0001]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0002]

본 발명은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륜 조향을 위한 랙의 위치를 감지하는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ontact type rack-strok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contact type rack-stroke sensor that senses the position of a rack for rear-wheel steering.

최근 자동차의 회전 반경을 감소시키거나, 커브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후륜을 회전시키는 후륜 조향(RWS, Rear Wheel Steering)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BACKGROUND ART Recently, application of rear wheel steering (RWS) to rotate a rear wheel to reduce a turning radius of a vehicle or to improve operability in a curve has been expanded.

후륜 조향은 후륜 좌, 우측 바퀴 사이를 연결하는 랙을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륜 좌, 우측 바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조로 구현된다.The rear wheel steering is realized by moving the rack connecting between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of the rear whe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rotating the rear wheel left and right wheels at a predetermined angle.

이때, 랙의 위치를 파악하여 후륜을 정확한 각도로 회전시켜야 자동차의 조작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랙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해야 한다.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locate the rack and rotate the rear wheel at an accurate angle to maximize the operability of the automobile. Therefore,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ack should be installed.

종래에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센서를 이용하여 랙의 위치, 즉 랙스트로크를 측정하였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osition of the rack, that is, the rack stroke, was measured using a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 sensor.

종래의 센서를 간단하게 살펴 보면, 랙(1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센서(40)는 랙(10)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고정센서(40)의 움직임을 측정센서(30)가 감지하는 방식이다.The sensor 40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rack 10 and the movement of the sensor 40 is detected by the sensor 30 It is a way to detect.

고정센서(40)는 베이스(41)와, 베이스(41)에 설치된 철심(42)과, 베이스(41)와 랙(10)을 연결하는 볼트(43)로 구성되어 있고, 측정센서(30)는 제1코일(31), 제2코일(32) 및 제3코일(33)을 포함하는 LVDT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The fixed sensor 40 is constituted by a base 41, an iron core 42 provided on the base 41, and a bolt 43 connecting the base 41 and the rack 10, Is composed of an LVDT sensor including a first coil (31), a second coil (32) and a third coil (33).

고정센서(4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철심(42)이 측정센서(30)에 삽입되면, 제1코일(31)과 제2코일(32) 사이 및/또는 제1코일(31)과 제3코일(33) 사이에 철심(42)이 위치하게 되면서 자기장에 변화가 일어나고, 이를 통해 변화하는 전압을 측정하여 철심(42)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iron core 4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sensor 40 is inserted into the measurement sensor 30,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il 31 and the second coil 32 and / The position of the iron core 42 can be specified by measuring the changing voltage through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as the iron core 42 is positioned between the three coils 33. [

즉, 철심(42)이 가까운 쪽의 자속량이 증가하여 유도 전압량이 증가하고, 이 차이를 이용하여 철심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다.That is, the amount of magnetic flux near the iron core 42 increases and the induced voltage amount increases, and the position of the iron core is measured by using the difference.

그러나 이러한 LVDT 센서를 이용할 경우, 고정센서와 측정센서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맞닿게 되고, 이로 인해 바퀴에서 측정센서로 직접적으로 진동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센싱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센서의 내구성 및 내부식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However, when using such an LVDT sensor, part of the fixed sensor and the measuring sensor are partially abutted, which causes the vibration to be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wheel to the measuring sensor. As a result, not only sensing noise but also du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ensor may be deteriorated.

따라서, 진동 등에 의한 센싱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완전한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completely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in order to minimize sensing noise due to vibration and the like.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 10-2012-0063190 (2012.06.15)KR 10-2012-0063190 (June 15, 201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싱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랙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contact type rack-stroke sensor capable of minimizing sensing noise and accurately measuring the position of a rack.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는, 후륜 조향용 랙의 위치를 감지하는 비접촉식 센서로서, 발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랙에 인접하게 설치된 센서부, 상기 랙과 함께 일체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랙에 설치되고, 상기 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반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contact type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 rear wheel steering rack, and includes a sensor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rack, And a reflector formed in the rack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nsor unit so as to be able to reciprocate integrally with the sensor unit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from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ck.

상기 반사부는, 상기 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의 반경이 달라지는 원뿔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랙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lector may include a body formed in a conical column shape having a radius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vari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ck and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ck, And a pair of stoppers formed in a ring shape.

상기 랙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위치가 개방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개방부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상기 랙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topper formed to surround the rack and ope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The stopper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ousing, and restrict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rack. do.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발신기에서 빛 또는 초음파를 발사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빛 또는 초음파를 상기 수신기에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unit emits light or ultrasonic waves from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or the receiver senses light or ultrasonic waves reflected from the reflection unit.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발신기에서 빛 또는 초음파가 발사된 시점과 상기 수신기에서 빛 또는 초음파를 감지한 시점의 시간 차이(t)를 이용하여 상기 랙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unit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ack using a time difference (t) between a time point at which light or ultrasonic waves are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and a time at which light or ultrasonic waves are detected at the receiver.

상기 센서부는,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된 랙과 센서 사이의 거리(h)를 이용하여,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된 랙의 현재 위치(x)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unit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x) of the rack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using the distance (h) between the rack and the sensor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식 1: h = 0.5 × t × vEquation 1: h = 0.5 x t x v

식 2: x = (H-h) × tan(90-a)Equation 2: x = (H-h) x tan (90-a)

(단, v는 빛 또는 초음파의 속도, H는 랙의 외주면과 발신기 또는 수신기 사이의 간격, a는 랙의 외주면과 반사부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이다.)(Where v is the speed of light or ultrasonic waves, 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ack and the transmitter or receiver, and a is the angl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ack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센서와 랙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진동 등에 의한 센싱 노이즈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sensor and the rack are physically separated completely, sensing noise due to vibration and the like can be originally prevented.

둘째, 센서부와 반사부의 간격 변화를 통해 랙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Second, the position of the rack can be grasped precisely by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part and the reflecting part.

셋째, 랙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커브 주행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ack to improve the operability at the time of traveling the curve.

도 1은 종래의 랙스트로크 센서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랙스트로크 센서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의 사시도,
도 3(b)는 상기 반사부가 랙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랙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계산식의 변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a conventional rack stroke sensor,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rack-stroke sensor,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flection portion is provided in the rack,
4 is a sid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non-contact type rack-strok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variables of a calculation formula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 rack.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후륜 좌우측 바퀴를 연결하는 랙을 좌우로 이동시켜 후륜 조향이 가능한 RWS(Rear Wheel Steering) 시스템에서 랙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RWS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 즉 랙이나 랙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for locating a rack in an RWS (Rear Wheel Steering) system in which rear wheels can be steered by moving a rack connecting rear left and right wheels to the left and right. Her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WS system, i.e., th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ack or the rack, is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상기 반사부가 랙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랙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계산식의 변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b)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reflector is installed in a rack,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variables of a calculation formula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 rack.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는 크게 센서부(200)와 반사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d 4, the non-contact type rack-strok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200 and a reflection unit 100. As shown in FIG.

이때, 랙(10)은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20)에 감싸여 설치되어 이 하우징(20)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소정 영역에는 랙(10)이 외부에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방부에 센서부(200) 및 반사부(100)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rack 10 is installed by being enclosed in a housing 20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is installed so as to reciproc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in the housing 20. An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rack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housing 20, and the sensor portion 200 and the reflection portion 100 are provided in the opening portion.

센서부(200)는 빛 또는 초음파를 발사하는 발신기(210)와, 발신기(210)에서 발사되어 반사부(100)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 또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수신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발신기(210) 및 수신기(220)는 센서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0 includes a transmitter 210 that emits light or ultrasound waves and a receiver 220 that emits light from the transmitter 210 and detects light or ultrasound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100 The transmitter 210, and the receiver 220 may be installed in the sensor body 110.

발신기(210)는 빛을 발사하기 위한 레이저 발진기나 초음파를 발사하기 위한 스피커일 수 있고, 수신기(220)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포톤 센서나 초음파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일 수 있다.The transmitter 210 may be a laser oscillator for emitting light or a speaker for emitting ultrasonic waves, and the receiver 220 may be a photon sensor for sensing light or a microphone for sensing ultrasonic waves.

다만, 발신기(210) 및 수신기(220)는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사-반사-수신 사이의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두 구성 사이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채용해도 좋다.However, the transmitter 210 and the receiver 220 are not limited to these, and any method may be employed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configurations us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emission-reflection-reception.

반사부(100)는 크게 본체(110)와 스토퍼(120)로 구분되어 랙(10)에 삽입되고, 발신기(210)에서 발사된 빛 또는 초음파를 반사하여 수신기(220)로 보내는 구성이다. 이때 랙(10)의 위치에 따라 반사부(100)와 센서부(200)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여, 발신기(210)에서 발사된 빛 또는 초음파가 수신기(220)에 도달하는 시간이 달라지게 되고, 이를 통해 랙(10)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reflector 100 is divided into a main body 110 and a stopper 12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ack 10 and reflects light or ultrasonic waves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210 to the receiver 220. 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reflection unit 100 and the sensor unit 200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ack 10, and the time for the light or ultrasonic wave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210 to reach the receiver 220 is chang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ack 10 can be precisely grasped.

본체(110)는 외주면이 원뿔기둥 형상인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110)의 내주면은 랙(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10)가 랙(10)의 외주면에 맞물려 랙(10)과 함께 일체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로 설치된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pipe shape whos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a conical columnar shape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radius increases from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At this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ck 10, so that the main body 110 is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ck 10 to reciprocate integrally with the rack 10 Respectively.

본체(110)는 빛 또는 초음파에 대한 반사율이 높고 투과율 및 흡수율이 낮은 재질로 제조되거나, 이러한 재질로 코팅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체(110)에서 반사된 빛 또는 초음파가 수신기(220)에 도달하는 양을 증가시켜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for light or ultrasound and a low transmittance and a low absorption rate or coated with such a material. Accordingly, the amount of light or ultrasound reflected from the main body 110 reaches the receiver 220, thereby increas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스토퍼(120)는 본체(110)의 양단, 즉 원뿔기둥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연장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스토퍼(120)의 내주면은 랙(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토퍼(120)의 외경은 본체(110)의 가장 큰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12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a conical column,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1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ck 1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topper 120 is larger than the largest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0. [

스토퍼(120)는 반사부(100)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랙(10)의 이동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랙(10)이 이동함에 따라 이에 결합된 반사부(10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스토퍼(120)의 바깥쪽 면, 즉 본체(110)의 반대 방향 면이 하우징(20)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반사부(100)가 일정 영역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stopper 120 is configured to limit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reflector 100 and the rack 10 coupled there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120, that is, the surface of the stopper 120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In other words, as the rack 10 moves, So that the reflection portion 100 is prevented from moving beyond a predetermined region.

또한, 스토퍼(120)의 재질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적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스토퍼(120)를 탄성적인 재질로 형성시키고 그 외경을 본체(1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랙(10)의 과도한 이동에 의해 반사부(100)가 하우징(20)의 내측면에 충돌할 때, 본체(11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opper 12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absorb shock. The stopper 12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topper 1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reflective portion 100 is caused to collid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due to excessive movement of the rack 10. [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main body 110 can be reduc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의 작동관계 및 이를 이용하여 랙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non-contact type rack-strok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specifying the position of the rack using the non-contact type rack-stroke sensor will be describ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발신기(210)에서 빛 또는 초음파가 발사된 후, 본체(110)에 반사된 에코를 수신기(220)에서 감지할 때까지의 시간 차이(t)를 측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time difference (t) from when the light or the ultrasonic wave is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210 to the time when the receiver 220 detects the echo reflected from the main body 110 is measured .

발신기(210)에서 발사되는 빛 또는 초음파의 속도(v)는 일정하므로, 시간 차이(t)를 바탕으로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발신기(210)와 본체(110) 사이의 간격(h)를 계산할 수 있다.Since the speed v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210 or the velocity v of the ultrasonic wave is constant, the interval h between the transmitter 210 and the main body 110 is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ased on the time difference t .

식 1: h = 0.5 × t × vEquation 1: h = 0.5 x t x v

본체(110)의 외주면이 랙(10)의 외주면과 이루는 각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가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in body 110 can be specifi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because the angle formed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ack 10 is constant.

식 2: x = (H-h) × tan(90-a)Equation 2: x = (H-h) x tan (90-a)

이때, x는 본체(110)에서 가장 작은 외경을 갖는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이고, H는 발신기(210) 또는 수신기(220)와 본체(110)의 일단부까지의 간격이며, a는 본체(110)의 외주면이 랙(10)의 외주면과 이루는 각도이다.Here, x is a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having the smallest outer diameter, H is a distance from the transmitter 210 or the receiver 220 to one end of the body 110, 110 is an angle formed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ack 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ack 10.

즉, 발신기(210)의 발사 시점과 수신기(220)의 감지 시점의 시간 차이(t)를 측정하는 것만으로, 본체(110) 및 본체(110)가 설치된 랙(10)의 위치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only by measuring the time difference (t) between the launching time of the transmitter 210 and the detection time of the receiver 220, the position of the rack 10 in which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110 are installed can be precisely detected It will be possible to do.

이렇게 감지된 랙(10)의 위치를 바탕으로 RWS 시스템에서 랙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후륜의 회전 각도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브에서의 회전반경을 감소시키거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ack in the RWS system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ack 10, the rotation angle of the rear wheel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thereby reducing the turning radius in the curve or improving the operability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랙 20: 하우징
30: 측정센서 31: 제1코일
32: 제2코일 33: 제3코일
40: 고정센서 41: 베이스
42: 철심 43: 볼트
100: 반사부 110: 본체
120: 스토퍼 200: 센서부
210: 발신기 211: 빛 또는 초음파(발사)
220: 수신기 221: 빛 또는 초음파(감지)
230: 본체
10: rack 20: housing
30: measuring sensor 31: first coil
32: second coil 33: third coil
40: Fixed sensor 41: Base
42: iron core 43: bolt
100: reflector 110:
120: stopper 200: sensor unit
210: Emitter 211: Light or ultrasonic (firing)
220: receiver 221: light or ultrasonic (detection)
230:

Claims (6)

후륜 조향용 랙의 위치를 감지하는 비접촉식 센서로서,
발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랙에 인접하게 설치된 센서부;
상기 랙과 함께 일체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랙에 설치되고, 상기 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반사부;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
A non-contact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 rear wheel steering rack,
A sensor unit hav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nstalled adjacent to the rack;
And a reflector installed in the rack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nsor unit so as to reciprocate integrally with the rack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from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ck , Non-contact rack-stroke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의 반경이 달라지는 원뿔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랙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랙스트토크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or may include a body formed in a conical column shape having a radius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vari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ck and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ck, And a pair of stoppers formed in an annular shap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랙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위치가 개방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개방부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상기 랙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formed to surround the rack,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being opened,
Wherein the stopper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ousing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of the ra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발신기에서 빛 또는 초음파를 발사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빛 또는 초음파를 상기 수신기에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emits light or ultrasonic waves from the transmitter and detects light or ultrasonic waves reflected from the reflection unit by the receiv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발신기에서 빛 또는 초음파가 발사된 시점과 상기 수신기에서 빛 또는 초음파를 감지한 시점의 시간 차이(t)를 이용하여 상기 랙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uni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rack using a time difference (t) between a time point at which light or ultrasonic waves are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and a time point at which light or ultrasonic waves are detected at the receiver,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된 랙과 센서 사이의 거리(h)를 이용하여,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된 랙의 현재 위치(x)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랙스트로크 센서.
식 1: h = 0.5 × t × v
식 2: x = (H-h) × tan(90-a)
(단, v는 빛 또는 초음파의 속도, H는 랙의 외주면과 발신기 또는 수신기 사이의 간격, a는 랙의 외주면과 반사부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nsor unit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x) of the rack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by using the distance (h) between the rack and the sensor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Equation 1: h = 0.5 x t x v
Equation 2: x = (Hh) x tan (90-a)
(Where v is the speed of light or ultrasonic waves, 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ack and the transmitter or receiver, and a is the angl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ack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rtion).
KR1020170105169A 2017-08-21 2017-08-21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KR201900208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169A KR20190020859A (en) 2017-08-21 2017-08-21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169A KR20190020859A (en) 2017-08-21 2017-08-21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859A true KR20190020859A (en) 2019-03-05

Family

ID=6576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169A KR20190020859A (en) 2017-08-21 2017-08-21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085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8989A1 (en) * 2020-09-29 2022-04-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ctuator of a steer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190A (en) 2010-12-07 2012-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otor driven power steering apparatus with variable rack stroke system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190A (en) 2010-12-07 2012-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otor driven power steering apparatus with variable rack stroke system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8989A1 (en) * 2020-09-29 2022-04-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ctuator of a steer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5077B2 (en) Single transceiver ultrasonic flow meter having an array of transducer elements
US9383443B2 (en) Ultrasonic sensor and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vehicle and an obstacle
US5717330A (en) Magnetostrictive linear displacement transducer utilizing axial strain pulses
US9909686B2 (en) Valve comprising a tappet and a sensor
US10048096B2 (en) Device for measuring a rotational angle by modifying and measuring the polarization of radio waves and use of said device
CN108663664B (en) Tool for automatic multi-radar calibration
US10634531B2 (en) Ultrasonic, flow measuring device
US10514476B2 (en) Adjustable sensitivity magnet sensor
KR100443119B1 (en) Device for measuring distance
JP2016080641A (en) Object detector
WO2009153905A1 (en) High frequency waveguide,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antenna device
JP2016080645A (en) Object detector
WO2018211822A1 (en) Liquid level detector
Mahajan et al. Intelligent seam tracking using ultrasonic sensors for robotic welding
KR20190020859A (en) Non-contact type rack stroke sensor
US6528990B1 (en) Magnetostrictive linear displacement transducer for a vehicle steering system
KR20180023608A (en) Driving system of automated guided vehicle
KR100622125B1 (en) Wheel steering sensor assembly
JP4277761B2 (en) Liquid level detector
JP4120560B2 (en) Vehicle level detection device
JP6866759B2 (en) Liquid level detector
JP6747027B2 (en) Rod member movement amount detection device
KR101859444B1 (en) Device for measuring torque and torque ouputing method
JPH06290398A (en) Obstacle detector
JP2004286528A (en) Liquid level detecto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