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37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376A
KR20190019376A KR1020170104166A KR20170104166A KR20190019376A KR 20190019376 A KR20190019376 A KR 20190019376A KR 1020170104166 A KR1020170104166 A KR 1020170104166A KR 20170104166 A KR20170104166 A KR 20170104166A KR 20190019376 A KR20190019376 A KR 20190019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sequenc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5189B1 (ko
Inventor
김찬홍
김영환
이충용
한용규
홍성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89B1/ko
Priority to US16/639,950 priority patent/US11349594B2/en
Priority to PCT/KR2018/009441 priority patent/WO2019035680A1/ko
Publication of KR2019001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04L1/000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기준 신호에 대한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하나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의 시퀀스는, 상기 기지국에 의한 상기 단말의 식별을 위해 이용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RANT-FREE COMMUNI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28기가(28GHz) 또는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에서, 다양한 방식의 전송 방식들이 논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전송 시 승인(grant) 없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비-승인(grant-free) 전송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나아가, 보다 효율적으로 비-승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 중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비-승인 통신을 위한 단말의 임시 ID(identification)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비-승인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비-승인 단말 그룹을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비-승인 단말 그룹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수행 영역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기준 신호에 대한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하나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의 시퀀스는, 상기 기지국에 의한 상기 단말의 식별을 위해 이용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에게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자원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 신호의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시퀀스 집합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상기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기준 신호에 대한 시퀀스 집합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하나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시퀀스는, 상기 기지국에 의한 상기 단말의 식별을 위해 이용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에게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자원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기준 신호의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시퀀스 집합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상기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기준 신호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단말을 식별함으로써,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디코딩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시나리오에 따른 비-승인(grant-free) 자원 영역의 운용의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시나리오에 따른 비-승인 자원 영역의 운용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말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신호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10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시나리오에 따른 송신 신호에서의 기준 신호의 배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e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시나리오에 따른 송신 신호에서의 기준 신호의 배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시나리오에 따른 비-승인 단말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시나리오에 따른 비-승인 단말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를 추정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시나리오에 따라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수행 영역을 결정하여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시나리오에 따라 ICA 수행 영역을 결정하여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시나리오에 따라 ICA 수행 영역에 대한 수신 신호의 디코딩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시나리오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1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시나리오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시에 비-승인 접속하는 단말의 수에 따른 임시 ID(identification)의 충돌 확률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 추정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BER(bit error rate)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시퀀스에 따라 단말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비-승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자원(예: 비-승인 자원 영역, 서브프레임 그룹)을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발명에 따라 적절히 수정)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 110과, 다수의 단말들 120 내지 128를 예시한다. 도 1은 하나의 기지국만을 예시하나, 기지국 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10개의 단말들을 예시하나,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의 단말들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들 120 내지 128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 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 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들 120 내지 128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 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들 120 내지 128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들 120 내지 128은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들 120 내지 128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들 120 내지 128 중 일부 단말들 120 내지 122은 비-승인 통신을 이용하여 동시에 기지국 110에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 110은 ICA 기법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ICA 기법은 채널 추정 없이 수신 신호의 통계적 특성만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들 120 내지 128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이하 대표적으로 단말 120이 설명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단말 120은 통신부 210, 저장부 220, 제어부 230을 포함한다.
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2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2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2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220은 단말 1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저장부 230은 기본 코드북을 저장할 수 있다. 기본 코드북은 데이터 심볼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북이며, 기준 신호에 관련된 다른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20은 제어부 2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230은 단말 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은 통신부 2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30은 저장부 2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10의 일부 및 제어부 2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30은 단말 120이 비-승인 속성을 가지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은 송신 신호 생성부 23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신호 생성부 232는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30은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은 단말 120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 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기지국 110은 무선통신부 310, 백홀통신부 320, 저장부 330, 제어부 3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3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3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3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3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3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 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3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320은 기지국 110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 330은 기지국 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3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 330은 신호 저장부 346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저장부 346은 ICA 기법을 이용하여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승인 단말 그룹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수신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330은 제어부 3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340은 기지국 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40은 무선통신부 3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3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40은 저장부 3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3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코톨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3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340은 비-승인 단말 그룹 결정부 342 및 ICA 디코딩 부 344을 포함할 수 있다. 비-승인 단말 그룹 결정부 342는 수신 신호의 고유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ICA 디코딩부 344는 ICA 기법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들로부터 송신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신호들은 서로 독립적이며, 비-가우시안(non-gaussian)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즉, 송신 신호들은 비-가우시안 분포를 갖는 IID(identically independent distributed) 랜덤 변수일 수 있으므로, ICA 디코딩부 344는 송신 신호들을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를 참고하면, ICA 디코딩부 344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센터링(centering) 동작 344-1, 화이트닝(whitening) 동작 344-2, 로테이팅(rotating) 동작 344-3, 및 모호성(ambiguity) 해결 동작 344-4를 수행할 수 있다.
센터링 동작 344-1에 따라, ICA 디코딩부 344는 수신 신호들의 평균이 0이 되도록 수신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센터링 동작 344-1에 의해,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y는 수신 신호, E는 평균 연산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센터링 동작 344-1은 생략될 수 있다.
화이트닝 동작 344-2에 따라, ICA 디코딩부 344는 변환된 수신 신호의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이 단위 행렬(identity matrix)이 되도록 수신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즉, ICA 디코딩부 344는 수신 신호의 2차 통계 특성인 공분산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비상관(uncorrelated)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화이트닝된 수신 신호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은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z는 화이트닝된 수신 신호, I는 단위 행렬, y는 수신 신호, V는 화이트닝 동작 344-2에서 수신 신호에 처리되는 행렬을 의미한다.
로테이팅 동작 344-3에 따라, ICA 디코딩부 344는 신호의 축을 회전하여 송신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즉, 로테이팅 동작 344-3은 4차 통계 특성인 첨예도(kurtosis)를 이용하여 비-가우시안(non-gaussianity) 특성을 최대화하도록 화이트닝된 신호를 처리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로테이팅된 신호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Figure pat00004
는 로테이팅된 수신 신호, w는 로테이팅을 위한 가중치 벡터, z는 화이트닝된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모호성 해결 동작 344-4에 따라, ICA 디코딩부 344는 순열 모호성 문제(permutation ambiguity problem) 해결과 위상 모호성 문제(phase ambiguity problem)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순열 모호성 문제 및 위상 모호성 문제는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y는 수신 신호, H는 채널, x는 송신 신호,
Figure pat00006
는 상수, P는 순열 행렬을 의미한다. 이 때, 순열 모호성 문제는 단말 120 내지 122가 송신한 신호가
Figure pat00007
일 때, 추정된 송신 신호가
Figure pat00008
일수도 있고
Figure pat00009
일 수도 있어서, 단말 120이 전송한 송신 신호를 단말 121이 전송한 송신 신호로 잘못 특정할 수 있는 문제이다. 이에, ICA 디코딩부 344는 추정된 송신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와 기지국 110과 단말들 간 약속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를 비교하여 해당 송신 신호가 어떤 단말이 송신한 것인지 특정할 수 있다. 위상 모호성 문제는 ICA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송신 신호가 x인지
Figure pat00010
x인지 특정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에, ICA 디코딩부 344는 추정된 송신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와 기지국 110과 단말들 간 약속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여 보상함으로써, 위상 모호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정된 송신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가 [-0.8 -1.1]이고, 송신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가 [1 1]인 경우, 기지국 110은 오차로 -0.9배가 곱해졌다는 것을 계산하고, 추정된 송신 신호에 다시 -0.9를 나눠줌으로써 정확한 송신 신호를 추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모호성 문제가 해결되어 최종적으로 추정된 송신 신호는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1
여기서,
Figure pat00012
는 최종적으로 추정된 송신 신호,
Figure pat00013
는 로테이팅된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D는 위상 모호성을 표현한 행렬로, 대각 행렬(diagonal matrix)이며, 각 원소는 실제 단말 120에 의해 전송된 송신 신호 대비 기지국 110에 의해 추정된 송신 신호에 곱해진 상수값(즉, 위상이 변화한 정도)를 의미한다. P는 순열 모호성을 표현한 행렬로, 순열 행렬(즉, 각 행과 열마다 하나의 1인 원소가 존재하고 나머지 원소는 0인 행렬), 실제 단말 120에 의해 전송된 송신 신호의 순서가 추정 후 어떻게 변경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비-승인 단말 그룹 결정부 342 및 ICA 디코딩부 344는 저장부 330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부 340에 상주된(resided) 명령어/코드 또는 명령어/코드를 저장한 저장 공간이거나, 또는, 제어부 340를 구성하는 회로(circuitry)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340은 기지국 110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별도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과정과 연결 설정(connection setup) 과정을 거치지 않고 비-승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승인 자원 영역을 운용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 가지 시나리오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시나리오에 따른 비-승인 자원 영역의 운용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고하면,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지국 110은 각 단말에게 비-승인 통신을 위한 송신 반복(repetition) 횟수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각 단말은 단말 자신에게 할당된 송신 반복 횟수에 따라 기지국 110에게 비-승인 자원 영역의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번의 송신 반복 횟수를 할당 받은 단말 120은 비-승인 자원 영역 401의 서브프레임 0, 1, 2, 및 3 각각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4번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6번의 송신 반복 횟수를 할당 받은 단말 121은 비-승인 자원 영역 401의 서브프레임 2, 3, 4, 5, 6, 및 7 각각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6번 송신할 수 있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시나리오에 따른 비-승인 자원 영역의 운용의 예를 도시한다.
도 4b를 참고하면,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지국 110은 동일한 송신 반복 횟수를 할당 받은 단말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 110은 채널의 상관성(correlation)이 높은 단말들을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여 비-승인 통신 시 채널 상관성이 높은 단말들의 동시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 즉, 각 단말의 위치 및 채널의 변화가 적은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인접한 단말들 간 채널의 상관성이 높을 확률이 크기 때문에, 기지국 110은 구역을 나눠 각 구역의 단말들을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110은 각 단말 그룹에 대하여 비-승인 자원 영역의 서브프레임 그룹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그룹은 송신 반복 횟수에 따라 그룹핑된 비-승인 자원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각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들은 서브프레임 그룹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하게 4번의 송신 반복 횟수를 할당 받은 단말 120과 단말 123은 제1 단말 그룹으로 분류되고, 서브프레임 0, 1, 2, 및 3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 그룹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이에, 단말 120과 단말 123 각각은 제1 서브프레임 그룹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4번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동일하게 6번의 송신 반복 횟수를 할당 받은 단말 121과 단말 122는 제2 단말 그룹으로 분류되고, 서브프레임 4, 5, 6, 7, 8, 및 9를 포함하는 제2 서브프레임 그룹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이에, 단말 121과 단말 122 각각은 제2 서브프레임 그룹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6번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비-승인 자원 영역을 운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 시나리오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이하의 설명들에서는 각 시나리오에 따른 i)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수신 과정, ii) 기준 신호 생성 및 송신 과정, iii) 비-승인 단말 그룹 결정 과정, 및 iv) ICA 수행 영역에 따른 ICA 디코딩 과정이 설명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단말 1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501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예: 기지국 110)으로부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는 기준 신호의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 셀 내 단말의 ID(identification), 송신 반복 횟수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정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pacing) 정보, 서브캐리어 개수 정보, 및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퀀스 집합 정보는 비-승인 통신을 위한 단말의 임시 ID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 신호의 시퀀스들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시퀀스 집합 정보는, 각 기준 신호의 시퀀스와 해당 기준 신호의 인덱스 간 맵핑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신호의 인덱스는 비-승인 통신을 위한 단말의 임시 ID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는 단말이 속하는 단말 그룹의 인덱스 정보, 셀 내 단말의 ID, 송신 반복 횟수 정보, MCS 레벨 정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정보, 서브캐리어 개수 정보, 및 서브프레임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 5의 501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501 단계는 단말이 기지국에 최초로 초기 접속(initial access)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행되며, 초기 접속이 완료된 경우, 도 5의 501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503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단말은 기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준 신호는 제1 타입의 기준 신호와 제2 타입의 기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의 기준 신호는 시퀀스의 길이는 시퀀스의 개수와 동일한 기준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타입의 기준 신호는 시퀀스의 길이보다 시퀀스의 개수가 큰 기준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준 신호는 단말과 기지국 간 미리 약속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 즉, 송신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와 ICA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의 오차를 결정하기 위한 시퀀스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생성한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단말은 단말 자신에게 할당된 송신 반복 횟수에 따라 비-승인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단말은 비-승인 자원 영역 중 송신 반복 횟수에 따라 서브프레임 그룹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601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예: 단말 120)에게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는 기준 신호의 시퀀스 집합 정보, 셀 내 단말의 ID, 송신 반복 횟수 정보, MCS 레벨 정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정보, 서브캐리어 개수 정보, 및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는 단말이 속하는 단말 그룹의 인덱스 정보, 셀 내 단말의 ID, 송신 반복 횟수 정보, MCS 레벨 정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정보, 서브캐리어 개수 정보, 및 서브프레임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 6의 601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601 단계는 단말이 기지국에 최초로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행되며, 초기 접속이 완료된 경우, 도 6의 601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603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자원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할당한 송신 반복 횟수에 따라 비-승인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지국은 비-승인 자원 영역 중 송신 반복 횟수에 따라 서브프레임 그룹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605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기지국은 비-승인 단말 그룹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비-승인 단말 그룹은 비-승인 자원 영역 중 특정 서브프레임 또는 특정 서브프레임 그룹을 이용하여 동시에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지국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비-승인 단말 그룹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지국은 매 서브프레임 그룹마다 비-승인 단말 그룹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에, 기지국은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지국은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그룹에 대한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단말 1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701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예: 기지국 110)과의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요청을 방송할 수 있다. 이는, 기지국으로부터 가까이에 위치하는 단말부터 순차적으로 초기 접속을 수행함으로써, 기지국에게 동시에 접속하는 단말들 간 충돌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송신 전력은 MCS 레벨 및 송신 반복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후, 초기 접속 요청을 수신한 단말은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위한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703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는 기준 신호의 시퀀스 집합 정보, 셀 내 단말의 ID, 송신 반복 횟수 정보, MCS 레벨 정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정보,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 및 비-승인 자원 영역 중 단말에게 할당된 서브캐리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나리오의 경우, 단말은 비-승인 자원 영역에서의 임의의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는 단말이 속하는 단말 그룹의 인덱스 정보, 셀 내 단말의 ID, 송신 반복 횟수 정보, MCS 레벨 정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정보,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 및 비-승인 자원 영역 중 단말 그룹에게 할당된 서브캐리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의 경우, 송신 반복 횟수에 따라 단말 그룹과 서브프레임 그룹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비-승인 시스템의 복잡도가 감소하고 성능이 증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프리앰블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radio resource control)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RRC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 7의 701 단계 및 703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701 단계 및 703 단계는 단말이 기지국에 최초로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행되며, 초기 접속이 완료된 경우, 도 7의 701 단계 및 703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말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단말 1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801 단계에서, 단말은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고하면, 단말은 데이터 비트 901과 셀 내 단말의 ID 903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 905에 대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 삽입, 채널 코딩(예: 터보 코딩),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스크램블링(scrambling)을 수행하여 스크램블링된 코드워드 907을 생성하고, 추가적으로 모듈레이션을 수행하여 데이터 신호 909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 909는 심볼 레벨(symbol level)에 해당하며, 하기 803 단계에서 생성되는 기준 신호 911과 함께 송신 신호 913에 포함될 수 있다.
803 단계에서, 단말은 기준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기준 신호의 시퀀스 집합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기준 신호의 인덱스는 비-승인 통신을 위한 단말의 임시 ID로 선택될 수 있다.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준 신호는 제1 타입의 기준 신호와 제2 타입의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타입의 기준 신호는 직교 시퀀스(orthogonal sequence)로 구성될 수 있다. 직교 시퀀스는 상관성이 낮은 시퀀스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타입의 기준 신호의 직교 특성으로 인하여 기지국은 높은 기준 신호 추정 성능을 확보하고, 이로 인해 높은 모호성 문제 해결 성능 및 비-승인 단말 그룹 추정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타입의 기준 신호는 비직교 시퀀스(non-orthogonal sequence)로 구성될 수 있다. 비직교 시퀀스는 상관성이 높은 시퀀스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타입의 기준 신호는 시퀀스의 길이보다 시퀀스의 개수가 크며, 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단말들 각각의 기준 신호의 인덱스가 충돌할 확률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를 참고하면, 제1 시나리오에 따른 기준 신호는 시퀀스 개수가 16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16인 제1 타입의 기준 신호 2개와 시퀀스 개수가 8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4인 제2 타입의 기준 신호 1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선택할 수 있는 기준 신호의 인덱스의 종류는 2024(=16x16x8)개이며, 5개 이하의 단말들이 동시에 기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각 단말의 기준 신호의 인덱스가 충돌할 확률은 10-2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b를 참고하면, 서브캐리어의 개수가 3개이고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15Hz인 경우, 제1 시나리오에 따른 기준 신호는 시퀀스 개수가 10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10인 제1 타입의 기준 신호 2개와 시퀀스 개수가 8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4인 제2 타입의 기준 신호 1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c를 참고하면, 서브캐리어의 개수가 6개이고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15Hz인 경우, 제1 시나리오에 따른 기준 신호는 시퀀스 개수가 16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16인 제1 타입의 기준 신호 2개와 시퀀스 개수가 8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4인 제2 타입의 기준 신호 1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d를 참고하면, 서브캐리어의 개수가 1개이고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3.75Hz 또는 15Hz인 경우, 제1 시나리오에 따른 기준 신호는 시퀀스 개수가 5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5인 제1 타입의 기준 신호 2개와 시퀀스 개수가 8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4인 제2 타입의 기준 신호 1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준 신호의 인덱스는 사용되지 않고, ICA 기법을 이용한 디코딩에 있어서 순열 모호성 문제를 해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기준 신호는 위상 모호성 문제만을 해결할 만큼 짧은 시퀀스 길이로 구성되어 매우 작은 오버헤드(overhead)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e를 참고하면, 제2 시나리오에 따른 기준 신호는 시퀀스 길이가 2인 기준 신호 1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준 신호의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고 셀 내 단말의 ID를 사용하여 단말을 특정하기 때문에, 순열 모호성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없다.
8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예: 기지국 110)에게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시나리오에 따르면, 단말은 비-승인 자원 영역에서 송신 반복 횟수에 따라 임의의 서브프레임들을 선택하여 송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단말은 비-승인 자원 영역에서 단말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그룹을 통해 송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mMTC 시스템의 큰 특징 중 하나는 커버리지 증가를 위하여 송신 반복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ICA 기법을 적용한 mMTC 시스템이 송신 반복에 의한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주파수-시간 자원 상의 ICA 수행 영역을 적절하게 설정해야 한다. 이때, 송신 반복에 의한 이득을 얻기 위한 ICA 수행 영역은 다음의 두 가지 조건을 만족 시켜야 한다.
첫째로, ICA 기법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 비-승인 단말 그룹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 ICA 기법은 수신 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관찰함으로써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에 의한 효과를 제거할 수 있는 기법이다. 따라서 ICA 기법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비-승인 단말 그룹이 변화하면 채널 역시 변화하기 때문에 수신 신호의 통계적 특성이 변하여 채널에 의한 효과를 제거할 수 없게 된다.
Figure pat00014
여기서, x는 송신 신호, H는 채널, y는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둘째로, ICA 기법의 성능은 ICA 수행 영역이 넓을수록 향상된다. ICA 기법은 수신 신호의 통계적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기법이기 때문에, 더 많은 수신 신호 샘플을 이용할수록 이론적 통계값에 가까운 샘플 통계값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더 많은 수신 신호 샘플을 이용할수록 노이즈에 의한 영향이 평균값에 의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두 가지 조건을 종합하면 ICA기법의 수행 영역은 비-승인 단말 그룹이 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크게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들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비-승인 단말 그룹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과, 적응적으로 ICA 수행 영역을 결정하여 디코딩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이 설명된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시나리오에 따른 비-승인 단말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a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1a를 참고하면, 1101 단계에서, 기지국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들의 수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수신 신호의 공분산 행렬의 고유값(eigenvalue)에 기반하여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노이즈 구간(noise space)과 신호 구간(signal space)의 고유값이 서로 다르다는 특성을 이용한 기법이다. 즉, 기지국은 각 수신 신호의 고유값을 크기 순으로 나열한 후 고유값이 급격히 변하는 점을 찾음으로써, 노이즈 구간과 신호 구간을 구분하고, 이를 통해 몇 개의 신호가 송신되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된 신호의 개수는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고하면, 기지국의 수신 안테나가 8개, 송신 신호가 4개인 상황에서 SNR(signal to noise ratio)이 0dB와 10dB인 경우 모두 고유값 차수(order) 4 직후에 고유값이 급격히 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고유값 차수 4를 기준으로 신호 구간에 해당하는 고유값은 노이즈 구간에 해당하는 고유값에 비해 크며, 이를 통해,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는 4임을 확인할 수 있다.
1103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준 신호의 인덱스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에 기반하여 ICA 기법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송신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분리된 송신 신호에서 기준 신호를 추출하여, 기준 신호의 시퀀스를 통해 기준 신호의 인덱스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신호의 인덱스는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각 단말의 임시 ID를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이 기준 신호의 인덱스를 추정하기 위하여 수신 신호에서 직접 상관성을 고려하지 않고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를 먼저 추정한 후 ICA 기법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이유는 기준 신호의 인덱스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송신 신호를 분리한 후 상관성을 고려함으로써 상관 성능을 높이기 위함일 수 있다.
1105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준 신호의 인덱스에 기반하여 비-승인 단말 그룹을 결정한다. 즉, 기지국은 셀 내 단말의 ID를 추정하지 않고 기준 신호의 인덱스를 단말의 임시 ID로 이용하여 비-승인 단말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시나리오에 따른 비-승인 단말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b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1b를 참고하면, 1111 단계에서, 기지국은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수신 신호의 공분산 행렬의 고유값에 기반하여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노이즈 구간과 신호 구간의 고유값이 서로 다른 특성을 이용한 기법이다. 즉, 기지국은 각 수신 신호의 고유값을 크기 순으로 나열한 후 고유값이 급격히 변하는 점을 찾음으로써, 노이즈 구간과 신호 구간을 구분하고, 이를 통해 몇 개의 신호가 송신되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된 신호의 개수는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1111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1113 단계에서, 기지국은 매 서브프레임 그룹마다 비-승인 단말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준 신호의 인덱스를 단말의 임시 ID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 레이트 리커버링(rate recovering), 채널 디코딩, CRC 체크 과정을 모두 거친 후, 전송 블록에 포함된 셀 내 단말의 ID를 이용하여 비-승인 단말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비-승인 단말 그룹은 기지국에 의해 그룹핑된 단말 그룹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시나리오에 따라 ICA 수행 영역을 결정하여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3a를 참고하면, 13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i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i)을 확인한다. 즉, 기지국은 각 단말의 임시 ID로 사용된 기준 신호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비-승인 단말 그룹(si)에 포함된 단말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7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7)에 포함된 단말 120 및 단말 121을 확인할 수 있다.
1303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준 신호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i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i)가 이전 서브프레임 i-1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i - 1)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7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7)에 포함된 단말들과 서브프레임 6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6)에 포함된 단말들이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i)가 이전 서브프레임 i-1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i - 1)과 동일한 경우, 13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저장부(예: 저장부 330)에 서브프레임 i를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yj)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고하면, 서브프레임 7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7)에 포함된 단말들(즉, 단말 120, 단말 121)과 서브프레임 6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6)에 포함된 단말들(즉, 단말 120, 단말 121)이 동일한 경우,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7을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y7)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다음 서브프레임(예: 서브프레임 8)에 대하여 1301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 서브프레임 i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i)가 이전 서브프레임 i-1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i - 1)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1307 단계에서, 기지국은 ICA 기법을 이용하여 저장된 수신 신호들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신호들에 평균값을 취해 송신 신호를 추정한다. 즉, 기지국은 비-승인 단말 그룹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ICA 수행 영역으로 결정하고, ICA 수행 영역에 대한 수신 신호들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신호들에 평균값을 취해 송신 신호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고하면, 서브프레임 8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8)에 포함된 단말들(즉, 단말 121, 단말 122)과 이전 서브프레임 7에 대한 비-승인 단말 그룹(s7)에 포함된 단말들(즉, 단말 120, 단말 121)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서브프레임들 2 내지 7을 ICA 수행 영역으로 결정하고, ICA 수행 영역에 대한 수신 신호들(y2, y3, ..., y7)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신호들(z2, z3, ..., z7)에 평균값을 취해 송신 신호
Figure pat00015
을 추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반복 수신되는 수신 신호가 하나의 ICA 수행 영역이 아닌 다수의 ICA 수행 영역들로 나뉘게 되는 경우, 각 ICA 수행 영역에서 추정된 송신 신호의 가중 합(weighted sum)하여 최종 송신 신호가 추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중치는 ICA 수행 영역의 길이 및 ICA 수행 영역에 해당하는 단말들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고하면, 단말 120으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가 ICA 수행 영역 1401 및 ICA 수행 영역 1403으로 나뉘어 반복 수신되는 경우, 최종 송신 신호
Figure pat00016
는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추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는 최종 송신 신호,
Figure pat00019
는 ICA 수행 영역 1401로부터 디코딩된 송신 신호,
Figure pat00020
는 ICA 수행 영역 1403으로부터 디코딩된 송신 신호, wr은 ICA 수행 영역 1401에 대한 가중치, wp -는 ICA 수행 영역 1403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wr은 ICA 수행 영역 1401의 길이 2로 결정되고, wp는 ICA 수행 영역 1403의 길이 6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wr은 ICA 수행 영역 1401에 해당하는 단말(즉, 단말 120)의 수인 1로 결정되고, wp는 ICA 수행 영역 1403에 해당하는 단말(즉, 단말 120, 단말 121)의 수인 2로 결정될 수 있다.
1309 단계에서, 기지국은 저장부에 저장된 수신 신호를 제거한다. 즉, 비-승인 단말 그룹이 변경됐기 때문에, 기지국은 다음 비-승인 단말 그룹에 대한 ICA 수행 영역을 결정하기 위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수신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시나리오에 따라 ICA 수행 영역을 결정하여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3b를 참고하면, 1311 단계에서,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그룹을 확인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그룹은 비-승인 자원 영역에서 각 단말 그룹에게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그룹을 ICA 수행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1313 단계에서, 기지국은 각 서브프레임 그룹에 대하여 ICA 기법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ICA 수행 영역으로 결정된 각 서브프레임 그룹에 대하여 ICA 기법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각 시나리오에서 비-승인 통신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이 설명되었다. 이를, 단말과 기지국의 시그널링 관점에서 살펴보면 하기 도 15a 및 15b와 같다.
도 1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시나리오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15a는 단말 120과 기지국 110 간 신호 교환을 예시한다.
도 15a를 참고하면, 1501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초기 접속 요청을 방송할 수 있다. 이후, 초기 접속 요청을 수신한 단말은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701 단계는 단말이 기지국에 최초로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행되며, 초기 접속이 완료된 경우, 1501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1502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즉,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 통신을 위한 파라미터들, 기준 신호의 시퀀스 집합 정보, 및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1503 단계에서, 단말은 비-승인 통신을 위한 단말의 임시 ID를 선택한다. 여기서, 단말의 임시 ID는 기준 신호의 시퀀스 집합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된 기준 신호의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1504 단계에서, 단말은 송신 반복 횟수에 따라 기지국에게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반복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는 시퀀스의 길이와 시퀀스의 개수가 동일한 제1 타입의 기준 신호와 시퀀스의 길이보다 시퀀스의 개수가 큰 제2 타입의 기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1505 단계에서, 기지국은 비-승인 단말 그룹을 추정한다. 여기서, 비-승인 단말 그룹은 비-승인 자원 영역 중 특정 서브프레임 또는 특정 서브프레임 그룹을 이용하여 동시에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1506 단계에서, 기지국은 ICA 수행 영역을 결정한다. 즉, 기지국은 비-승인 단말 그룹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ICA 수행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1507 단계에서, 기지국은 ICA 기법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디코딩한다. 기지국은 ICA 수행 영역에 해당하는 수신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1508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ACK(acknowledgement)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을 송신한다. 즉, 기지국은 단말에게 디코딩의 성공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도 1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시나리오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 교환을 도시한다. 도 15b는 단말 120과 기지국 110 간 신호 교환을 예시한다.
도 15b를 참고하면, 1511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초기 접속 요청을 방송할 수 있다. 이후, 초기 접속 요청을 수신한 단말은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701 단계는 단말이 기지국에 최초로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행되며, 초기 접속이 완료된 경우, 1511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1512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즉,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 통신을 위한 파라미터들, 단말이 속한 단말 그룹의 인덱스 정보, 및 서브프레임 그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1513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송신 반복 횟수에 따라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반복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는 단말과 기지국 간 미리 약속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와 ICA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기준 신호의 시퀀스의 오차를 결정하기 위한 시퀀스 길이를 가질 수 있다.
1514 단계에서, 기지국은 ICA 기법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ICA 기법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그룹에 대한 수신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151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ACK 또는 NACK을 송신한다. 즉, 기지국은 단말에게 디코딩의 성공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시에 비-승인 접속하는 단말의 수에 따른 임시 ID의 충돌 확률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종래 방식은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예: NB-IoT(narrowband-internet of things)에서 랜덤 액세스에 사용되는 프리앰블(preamble)이 시퀀스 개수가 64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128인 Zadoff-Chu 시퀀스를 사용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방식은 제1 시나리오에서 시퀀스 개수가 8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8인 제1 타입의 기준 신호 2개와 시퀀스 개수가 8개이고 길이가 4인 제2 타입의 기준 신호 1개를 사용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방식은 제1 시나리오에서 시퀀스 개수가 16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16인 제1 타입의 기준 신호 2개와 시퀀스 개수가 8개이고 시퀀스 길이가 4인 제2 타입의 기준 신호 1개를 사용한다. 그래프를 통해, 제1 방식 및 제2 방식은 종래 방식에 비하여 임시 ID 충돌 확률이 낮고, 추가적으로, 더 짧은 길이의 시퀀스를 사용함으로써, 기준 신호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 추정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비-승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수를 추정함에 있어서, 단말의 수를 과소 추정하는 경우, 단말의 수를 과대 추정하는 경우, 및 단말의 수를 과소 또는 과대 추정, 즉, 수를 잘못 추정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래프를 통해, 추정 오류 확률이 높은 낮은 SNR 구간에서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복 송신 이득에 따라 수신 신호의 디코딩 성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BER(bit error rate)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반복 송신을 수행하면서 적응적으로 ICA 수행 영역을 결정하는 방식이 반복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방식이나 반복 송신은 수행하지만 매 서브프레임마다 ICA 기법을 적용하는 방식보다 BER 성능이 우수함, 즉, mMTC 시스템의 반복 송신에 따른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BER 성능은 채널 코딩이 적용된 BER 성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기준 신호에 대한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하나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시퀀스는, 상기 기지국에 의한 상기 단말의 식별을 위해 이용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의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 셀 내 상기 단말의 ID(identification), 송신 반복 횟수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정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pacing) 정보, 서브캐리어 개수 정보, 및 상기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게 RRC(radio resource control)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RRC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하나의 시퀀스는,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길이와 상기 제1 시퀀스의 개수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시퀀스의 길이는 상기 제2 시퀀스의 개수보다 큰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접속 요청의 송신 전력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MCS 레벨 및 상기 송신 반복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기지국에게 초기 접속 응답을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게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자원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 신호의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상기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의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 셀 내 상기 단말의 ID(identification), 송신 반복 횟수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정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pacing) 정보, 서브캐리어 개수 정보, 및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게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RRC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시퀀스는,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길이와 상기 제1 시퀀스의 개수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시퀀스의 길이는 상기 제2 시퀀스의 개수보다 큰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요청을 송신함에 따라 초기 접속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접속 요청의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MCS 레벨 및 상기 송신 반복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기준 신호에 대한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하나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나의 시퀀스는, 상기 기지국에 의한 상기 단말의 식별을 위해 이용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의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 셀 내 상기 단말의 ID(identification), 송신 반복 횟수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정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pacing) 정보, 서브캐리어 개수 정보, 및 상기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게 RRC(radio resource control)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RRC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하나의 시퀀스는,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길이와 상기 제1 시퀀스의 개수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시퀀스의 길이는 상기 제2 시퀀스의 개수보다 큰 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게 초기 접속 응답을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초기 접속 요청의 송신 전력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MCS 레벨 및 상기 송신 반복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에게 비-승인(grant-free)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자원을 통해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기준 신호의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들 중 상기 시퀀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의 시퀀스 집합(sequence set) 정보, 셀 내 상기 단말의 ID(identification), 송신 반복 횟수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정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pacing) 정보, 서브캐리어 개수 정보, 및 비-승인 자원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프리앰블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게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RRC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비-승인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시퀀스는,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퀀스의 길이와 상기 제1 시퀀스의 개수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시퀀스의 길이는 상기 제2 시퀀스의 개수보다 큰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에게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요청을 송신함에 따라 초기 접속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초기 접속 요청의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MCS 레벨 및 상기 송신 반복 횟수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KR1020170104166A 2017-08-17 2017-08-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95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166A KR102395189B1 (ko) 2017-08-17 2017-08-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6/639,950 US11349594B2 (en) 2017-08-17 2018-08-17 Device and method for grant-fre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8/009441 WO2019035680A1 (ko) 2017-08-17 2018-08-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166A KR102395189B1 (ko) 2017-08-17 2017-08-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376A true KR20190019376A (ko) 2019-02-27
KR102395189B1 KR102395189B1 (ko) 2022-05-06

Family

ID=6536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166A KR102395189B1 (ko) 2017-08-17 2017-08-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9594B2 (ko)
KR (1) KR102395189B1 (ko)
WO (1) WO2019035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0681A1 (en) * 2018-01-22 2019-07-25 Zte Corporation Configuring multiple transmissions
CN116569502A (zh) * 2021-01-29 2023-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与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243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간 통신에서 기준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60142981A1 (en) * 2013-07-25 2016-05-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age enhancement
US20170111147A1 (en) * 2015-10-20 2017-04-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ilot Signal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1227B2 (en) 2004-08-30 2007-06-12 Kyocer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blind source sepa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US8036325B2 (en) 2006-03-09 2011-10-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knowledge-based and blind 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1791987B1 (ko) * 2010-12-07 2017-1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028302B2 (en) 2013-03-08 2018-07-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grant-free transmission scheme
KR102012252B1 (ko) 2013-07-18 2019-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액추에이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17070B2 (en) 2014-10-31 2019-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s for selecting transmission resource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non-licensed band
US9743423B2 (en) 2015-07-27 2017-08-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Link adaptation in grant-free multiple access systems
CN106507497B (zh) * 2015-09-08 2020-09-1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上行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1781724B1 (ko) * 2016-01-07 2017-09-25 한국과학기술원 압축 센싱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8243457A (zh) * 2016-12-26 2018-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免授权传输的方法、终端和网络设备
US11540311B2 (en) * 2017-01-04 2022-1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grant-free based up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46929B2 (en) * 2017-01-09 2023-0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for semi-static configuration in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US11089597B2 (en) * 2017-02-24 2021-08-10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8631953B (zh) * 2017-03-24 2022-06-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反馈方法及装置
US11483810B2 (en) * 2017-04-03 2022-10-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resource configu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645730B2 (en) * 2017-04-06 2020-05-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grant-free resource configuration signaling
CN115720381A (zh) * 2017-05-03 2023-02-28 Lg 电子株式会社 发送和接收随机接入信道的方法及其装置
EP3637933A4 (en) * 2017-06-08 2020-12-16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S PROC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42981A1 (en) * 2013-07-25 2016-05-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age enhancement
KR20150110243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간 통신에서 기준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70111147A1 (en) * 2015-10-20 2017-04-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ilot Signal Transmiss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2490* *
3GPP R1-170476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189B1 (ko) 2022-05-06
US11349594B2 (en) 2022-05-31
WO2019035680A1 (ko) 2019-02-21
US20200252155A1 (en)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5035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583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828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05612B2 (en) Device and method f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713024B (zh) 被打孔极化码的基于互信息的构造
CN107710842B (zh) 传输上行数据的方法和设备
US104765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396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90175161A1 (en) Transmission Method Of Mobile Station For Random Access Channel Diversity
US104775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21002686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적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1218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or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494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직교 다중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1835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6515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방법 및 장치
US1164164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245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0621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 장치 및 방법
WO2018171624A1 (zh) 用于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US11184881B2 (en) Device and method for allocating and indi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70469B2 (en)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by decod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305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carr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9518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3287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775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phase noi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