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984A - Cold water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ld water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984A
KR20190018984A KR1020170103827A KR20170103827A KR20190018984A KR 20190018984 A KR20190018984 A KR 20190018984A KR 1020170103827 A KR1020170103827 A KR 1020170103827A KR 20170103827 A KR20170103827 A KR 20170103827A KR 20190018984 A KR20190018984 A KR 20190018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ld water
tank
liq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5575B1 (en
Inventor
김재만
용민철
정웅
김현구
이종환
예병효
김청래
김진민
방상우
함재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575B1/en
Publication of KR2019001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1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and the heat-exchanging means being enclosed in on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8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4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frigerator or freez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78Heat exchange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cold water tank having an improved cooling efficiency, and a water cooler. The disclosed cold water tank includes: a tank body part which accommodates an ice thermal storage liquid cooled by an ice thermal storage manner by a cooling unit; an ice thermal storage liquid cooling part which includes a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or cooling the ice thermal storage liquid accommodated in the tank body part flows in the interior thereof; a cold water generating part which includes a cooling water pipe, which forms a passage in which the introduced water exchanges heat with the ice thermal storage liquid to become cold water; a pumping member which provides a pumping force such that the ice thermal storage liquid accommodated in the tank body part circulates; and an ejection member which ejects the ice thermal storage liquid supplied from the pumping member into the interior of the tank body part. The refrigerant pipe is woun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tank body part to be installed upwards and downwards, the cooling water pipe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nt pip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body part, and the ejection member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il shape of the refrigerant pipe to eject the ice thermal storage liquid downwards toward the cooling water pipe.

Description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COLD WATER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water producing tank,

본 발명은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빙축액 방식으로 냉각을 수행하는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water generating tank and a cold water generator having the cold water generating tank.

일반적으로 냉수기는 수도전이나 생수통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수기는 정수기, 탄산수기, 냉온수기 등에 설치될 수 있다.Generally, a water cooler is a device for cool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cannon or a water tank to provide the water to a user. Such a cold water machine may be installed in a water purifier, a carbonated water machine, a cold / hot water machine, or the like.

냉수를 생성하는 방식으로는 냉수탱크를 사용하는 직접 냉각방식과 얼음과의 열교환을 이용하는 빙축열 방식이 있다.As a method of generating cold water, there are a direct cooling method using a cold water tank and an ice cooling method using heat exchange with ice.

여기서, 빙축열 방식은 얼음 또는 차가운 유체 상태의 빙축액이 저장된 빙축조(냉수생성탱크)에 냉수관을 통과시켜 빙축조 내부에 수용된 차가운 열전달 물질(빙축액)과 냉수관을 통과하는 상온수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수를 생성한다.Here, in the ice-water heating system, a cold water pipe is passed through an ice making tank (cold water producing tank) in which ice or cold ice liquid is stored, and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cold heat transfer material (ice- Thereby generating cold water.

도 1은 종래의 빙축열 방식 냉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종래의 빙축열 방식 냉수기는 빙축액을 수용하고 있는 빙축조(10) 내부에, 냉각유닛(20)에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30), 상온수를 수용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관(40) 및 교반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ice-water heating type water cooler. The conventional ice water heating type water cooler is connected to a cooling unit 20 inside a ice making tank 10 accommodating an ice accumulating liquid, An evaporator 30, a cold water pipe 40 for receiving hot water and generating cold water, and a stirrer 50.

여기서, 교반기(50)는 모터장치와 프로펠러로 구성되어 빙축조(10) 내부에 수용된 빙축액을 순환시켜 증발기(30) 주변의 차가운 빙축액의 냉기를 냉수관(40)에 열전달시켜 냉수관(40)을 흐르는 물의 냉각이 이루어진다.The stirrer 50 is composed of a motor device and a propeller and circulates the ice-making liquid contained in the ice making tank 10 to transfer the cool air of the cold ice solution around the evaporator 30 to the cold water pipe 40, 40 is cooled.

또한, 빙축액의 흐름을 이용해 증발기(30) 표면에 생성된 얼음을 녹이게 되고, 이에 따라, 증발기(30) 표면의 얼음이 녹으면서 잠열을 흡수하여 빙축액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 produc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30 is melted using the flow of the ice-making liquid, so that the ice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30 melts and absorbs the latent heat,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making liquid.

그러나, 이러한 교반기(50)가 설치된 종래의 냉수기는 교반기(50)의 가동으로 인한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빙축열을 효과적으로 대류시키지 못하며, 증발기(30) 표면의 얼음을 효과적으로 녹이지 못하고, 또한 교반기(50)의 설치로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ld water generator equipped with the stirrer 50, the nois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tirrer 50 is largely generated, the ice storage heat is not effectively convected, the ice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30 can not be effectively melted, 50), the size of the apparatus is increa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교반기를 사용하지 않아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빙축액을 순환시켜 빙축액과 냉수관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서, 특허출원 제2012-0104690호 '빙축열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를 출원하고 이를 상용화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proposed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ice-maker liquor and the cold water pipe by circulating the ice-maker liquor so as to enable miniaturization without using an agitator, A cold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the same, and commercialized it.

본 출원인의 상기 특허출원은 코일형상으로 형성되는 증발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분사부에 다수의 분사부재를 형성하고, 다수의 분사부재를 통하여 증발기에 형성된 얼음의 상단에 빙축액을 직접 분사함으로써 증발기 둘레에 형성된 얼음을 녹이게 되고, 이를 통하여 얼음의 잠열에 의해 빙축액이 더 빠르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빙축열조(냉수생성탱크)를 제안하고 있다.The patent appl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that a plurality of injection members are formed in a spray portion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n evaporator formed in a coil shape and sprayed directly onto an upper end of ice formed in the evaporator through a plurality of spray members, (Cold water producing tank) that allows ice to be cooled faster by the latent heat of ice through the ice.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에 개시된 빙축열조는 다수의 분사부재를 통해 빙축액의 분사를 수행하므로 빙축열조 내부에서 빙축액의 대류가 충분하지 않아 냉각효율을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However, since the ice storage tank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performs injection of the ice shafts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members, convection of the ice storage liquid is not sufficient in the ice storage tank, which limits the cooling efficiency to a maximum.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888호(2012.09.29. 제2012-0104690호로 출원)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5888 (filed with 2012.09.29. No. 2012-010469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빙축액의 대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ld water generating tank capable of smoothly convecting ice and a cold water machine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빙축액 순환시스템을 사용하여 초소형의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niature cold water producing tank and a cold water machine having the miniature cold water producing tank using the ice-making liquid circulating system having a simple structure.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얼음의 잠열을 최대한 이용하여 다량의 냉수를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d water producing tank capable of efficiently supplying a large amount of cold water to a user by maximizing the latent heat of ice and a cold water machine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d water producing tank capable of reducing noise and a cold water machine having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분사부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s one aspect, to provide a cold water generating tank capable of preventing clogging of the injection member and a cold water machine having the cold water generating tank.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원하는 냉수 온도를 만족시키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냉각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d water producing tank capable of efficiently controlling a cooling system so as to satisfy a desired cold water temperature and save energy and a cold water machine having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교반기를 사용하지 않는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aspect, provides a cold water producing tank that does not use an agitator and a cold water machine hav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냉각유닛에 의하여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되는 빙축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탱크 본체부; 상기 탱크 본체부 내에 수용된 빙축액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가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관을 구비하는 빙축액 냉각부; 유입된 물이 빙축액과 열교환하여 냉수가 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수관을 구비하는 냉수생성부; 상기 탱크 본체부에 수용된 빙축액을 순환시키도록 펌핑력을 제공하는 펌핑부재; 및 상기 펌핑부재에서 공급된 빙축액을 상기 탱크 본체부의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관은 상기 탱크 본체부의 내측 상부에 코일형상으로 감겨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냉수관은 상기 탱크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냉매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냉매관의 코일형상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냉수관을 향하여 하방으로 빙축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냉수생성탱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maker comprising: a tank main body which houses therein an ice shining liquid which is cooled in an ice-cooling heat mode by a cooling unit; An ice-cooler liquid cooling unit having a coolant pipe through which a coolant for cooling the ice-shaken liquid accommodated in the tank main body flows; A cold water generating unit having a cold water pipe for forming a flow path in which the incoming water is heat-exchanged with ice cooling liquid to become cold water; A pumping member for providing a pumping force to circulate the ice-making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main body portion; And a spraying member for spraying the ice-shaking fluid supplied from the pumping member into the tank main body part, wherein the refrigerant pipe is wound in a coil shape in an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tank main body and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spraying member is located at the coil-shaped central portion of the refrigerant pipe and discharges the ice-making concentrated liquid downward toward the cold water pipe, the cold water generating tank being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nt pipe in the tank main body portion .

이때,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냉수관을 향하여 하방으로 빙축액을 분사하는 수직방향 분사구와, 상기 냉매관을 향하여 측방으로 빙축액을 분사하는 측방향 분사구를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jection member may include a vertical jet opening for jetting the ice-making liquid downward toward the cold water pipe, and a lateral jet opening for jetting the ice cream liquid toward the coolant pipe.

또한,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펌핑부재로부터 빙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부와,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가 형성되는 노즐단부와, 상기 유입부와 노즐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측방향 분사구가 형성되는 단면적감소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jection member may include an inlet formed with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ice sheet flows from the pumping member, a nozzle end formed with the vertical injection port, and a nozzl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nozzle end, Sectional area reduc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는 상기 노즐단부에 하나 형성되고, 상기 측방향 분사구는 상기 단면적감소부의 양측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direction jetting ports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nozzle, and the lateral jetting ports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ross-sectional area reducing portion.

또한, 상기 측방향 분사구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lateral jet opening may be formed to open horizontally.

그리고,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의 단면적은 상기 측방향 분사구의 단면적의 2~10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direction injection port may be 2 to 10 times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lateral direction injection port.

또한,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injection port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그리고,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방향 분사구는 상기 냉매관이 형성하는 코일형상 중 반경이 작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jetting por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At this time, the lateral jet port may be arranged so that the radius of the coil shape formed by the refrigerant pipe is directed toward a small radius.

한편, 상기 냉매관의 코일형상 중에서 최상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과 최하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과의 거리를 H라 하고, 상기 최상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까지의 높이를 h라고 할 때, 상기 h는 상기 H의 0.15 내지 0.65배 사이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h는 상기 H의 0.35 내지 0.6배 사이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uppermost coil and the horizontal centerline of the lowermost coil is H, and the height from the horizontal centerline of the uppermost coil to the vertical nozzle is h , The h may be a value between 0.15 and 0.65 times of the H. Preferably, h may be a value between 0.35 and 0.6 times of H.

또한, 상기 탱크 본체부는 빙축액이 수용되는 탱크 몸체와, 상기 탱크 몸체를 덮도록 구성된 탱크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탱크 덮개에는 상기 냉매관과 상기 냉수관이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탱크 몸체는 상기 냉매관과 상기 냉수관이 관통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ank body may include a tank body for receiving ice shafts and a tank cover configured to cover the tank body. The tank cover may be connected to the coolant pipe and the cold water pipe,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cold water pipe do not penetrate.

그리고, 상기 탱크 덮개는, 상기 냉수관을 상기 탱크 몸체에 설치한 후 상기 탱크 덮개에 상기 냉매관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탱크 몸체에 조립될 수 있다.The tank cover may be assembled to the tank body with the coolant pipe coupled to the tank cover after the cold water pipe is installed on the tank body.

또한,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탱크 본체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튜빙부재를 통하여 상기 분사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The pumping member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nk main body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jection member through the tubing member.

본 발명은, 다른 측면으로서, 외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냉각시키는 전술한 냉수생성탱크; 상기 냉수생성탱크에서 냉각된 물을 추출할 수 있는 취수부; 및 상기 냉수생성탱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수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ld water producing tank for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water intake part capable of extracting water cooled in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tank.

그리고, 상기 냉수생성탱크는 빙축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빙축액의 온도에 따라 상기 빙축액 냉각부로의 차가운 냉매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ld water generating tank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 accumulating liquid,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ld refrigerant flow to the ice accumulating liquid cooling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ice accumulating liquid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Lt; / RTI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빙축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미리 설정된 추가시간 동안 상기 빙축액 냉각부로 차가운 냉매의 공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ce-maker liquid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a preset lower limit set temperature, 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supply of cold coolant to the ice-maker liquid cooler for a predetermined additional time.

그리고, 상기 냉수 생성부는 코일형상으로 감겨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냉수 생성부의 코일형상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코일형상의 하단부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하는 빙축액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ice-making liqui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il shape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and located at a height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coil shape, .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부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펌핑부재를 구동시켜 빙축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분사부재를 통한 빙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old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pumping member to circulate the ice-making liquid, thereby spraying the ice-making liquid through the injection member.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부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펌핑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pumping memb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umping driving condition when cold water is not extracted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부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펌핑부재에 인가되는 제1 전압보다,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펌핑부재에 인가되는 제2 전압의 크기가 작도록 상기 펌핑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ld water extraction is not performed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ump unit so that the second voltage applied to the pumping member is smaller than the first voltage applied to the pumping member,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umping member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펌핑구동조건은 외기의 온도 조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핑구동조건은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 비해 상기 펌핑부재의 구동 휴지 시간이 짧게 설정될 수 있다.Also, the pumping driving condi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outside air. At this time, the pumping driving condition may be set to a shorter driving pause time of the pumping member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outdoor air temperature is low when the outdoor air temperature is high.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빙축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빙축액 냉각부로 차가운 냉매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ice-maker liquid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a preset upper limit set temperature, the controller may supply cold coolant to the ice-maker liquid cool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부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빙축액 냉각부로 차가운 냉매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ld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the controller may supply cold refrigerant to the ice-maker liquid cooler.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방향 분사구를 통하여 강한 흐름의 빙축액의 분사가 이루어져 분사된 빙축액이 냉수 생성부 측으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으므로 빙축액의 대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strong flow of the ice-making liquid is injected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jetting port, and the injected ice-making liquid can sufficiently move to the cold water producing portion sid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측방향 분사구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빙축액을 분사함으로써, 냉매관 주위에 형성된 얼음과 분사된 빙축액 사이의 열교환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빙축액의 온도가 가장 높은 빙축액 수면 부분의 고온층을 파괴하여 난류를 형성함으로써 빙축액의 대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ce-making liquid is spray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lateral jetting port, not only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ice formed around the refrigerant line and the injected ic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convective flow of the ice shafts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forming the turbulent flow by breaking the high temperature layer of the ice water surface portion having the highest temperatur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분사부재의 분사구 구조 및 형상을 최적화함으로써, 얼음의 잠열을 최대한 이용하여 다량의 냉수를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ptimizing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jetting port of the jetting member, a large amount of cold water can be efficiently supplied to the user by maximizing the latent heat of the 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펌핑부재와 분사부재를 통하여 빙축액이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소형의 냉수생성탱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accumulating liquid is circulated through the pumping member and the jetting member, thereby providing a simple structure and a small cold water generating tank.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취수부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펌핑부재에 인가되는 제1 전압보다,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펌핑부재에 인가되는 제2 전압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빙축액 냉각부에 냉매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ld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intake part, when the cold water extraction is not performed at the first voltage applied to the pumping member, the size of the second voltage applied to the pumping memb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refrigerant is not supplied to the ice-maker liquid cool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냉수기의 냉각기능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이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irrer is not used,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cooling function of the water cooler is driven can be drastically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취수부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설정된 펌핑구동조건에 따라 펌핑부재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분사부재에 인접하여 얼음이 성장하는 것을 차단하여 분사부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cold water is not extracted through the intake portion, driving of the pumping memb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umping driving condition to block ice from growing adjacent to the injection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ogging phenomenon of the air bag.

또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냉수기의 냉각 시스템 및 펌핑부재에 의한 순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수생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system of the cold water system and the circulation system by the pumping member are efficiently controlled by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thereby improving the cold water generation efficiency.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빙축열 방식 냉수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수생성탱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수생성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냉수생성탱크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수생성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냉수생성탱크에 구비되는 분사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사부재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냉수생성탱크의 도 5의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
도 9은 도 2에 도시된 냉수생성탱크의 측면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냉수생성탱크의 빙축액 냉각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분사부재와 냉매관의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수기의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ice-water heating type water cool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d water produc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shown in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shown i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shown in Fig. 2;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jetting member provided in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shown in FIG. 2;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injection member shown in Fig. 6;
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shown in Fig. 2 along the direction of Fig. 5; Fig.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shown in Fig. 2 along the side direction. Fig.
Fig. 10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cooling shroud cooling unit of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shown in Fig. 5;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jection member and the refrigerant tube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6;
12 is a schematic view of a water coo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a,""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냉수생성탱크(100)에 대해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2 to 11, a cold water generating tank 1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수생성탱크(100)는 탱크 본체부(110), 빙축액 냉각부(120), 냉수 생성부(130), 펌핑부재(P) 및 분사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5, a cold water producing tan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nk body 110, an ice-coolant liquid cooling unit 120, a cold water generating unit 130, (P) and an injection member (140).

상기 탱크 본체부(110)는, 내부에 빙축액을 수용하고 냉각유닛(미도시)과 연결되어 수용된 빙축액을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시킨다. The tank main body 110 accommodates an ice shafts therein and is connected to a cooling unit (not shown) to cool the ice shafts contained therein by the ice cooling method.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탱크 본체부(110)는 단열재로 감싸져 내부에 수용된 빙축액과 외기와의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tank main body 110 may be configured to be enclosed by a heat insulating material to block heat transfer between the ice-making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and the outside air.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부(110)는 빙축액이 수용되는 탱크 몸체(111)와, 상기 탱크 몸체(111)를 덮도록 구성된 탱크 덮개(112)를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later, the tank main body 110 may include a tank body 111 in which the ice accumulating liquid is received, and a tank lid 112 configured to cover the tank main body 111.

그리고, 탱크 몸체(111)는 내부에 수용된 빙축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TS)의 설치를 위한 온도센서 설치부(1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빙축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LS)의 설치를 위한 수위센서 설치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The tank body 111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mounting portion 115 for mounting a temperature sensor T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shake contained in the tank body 111. The water level of the ice- And a water level sensor installation part 116 for installing the water level sensor LS.

또한, 상기 빙축액 냉각부(120)는 탱크 본체부(110) 내에 수용된 빙축액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가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관(121)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shroud condenser cooling unit 120 may include a refrigerant pipe 12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or cooling the ice-shaken liquid accommodated in the tank main body 110 flows.

이러한 냉매관(121)은 냉각유닛(미도시)에 의해 차가운 냉매를 공급받아 탱크 본체부(110)에 수용된 빙축액과의 열전달을 통하여 빙축액을 냉각시키고 냉매관(121) 주위에 빙축액이 얼어 얼음(도 8 및 도 9의 I)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coolant pipe 121 is cooled by the cooling unit (not shown) to cool the ice-making liquid through the heat transfer with the ice-making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body 110, and the ice- Thereby allowing freezing ice (I in Fig. 8 and Fig. 9) to be formed.

한편, 냉각유닛(미도시)은 통상의 냉각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그리고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냉매관(121)은 냉각시스템의 증발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unit (not shown)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and a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And the refrigerant tube 121 may be configured as an evaporator of the cooling system.

그리고, 냉매관(12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생성부(130)가 직접적으로 결빙되어 동파되는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탱크 본체부(1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냉매관(121)은 내부를 흐르는 냉매과 빙축액 사이에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냉매관(121) 주위에 충분한 양의 얼음(I)이 형성될 수 있도록 코일형상으로 다수회 감겨 상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3 to 5, the refrigerant pipe 121 may be provid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tank main body 110 so that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30 may be free from direct frost and frost have. In addition, the refrigerant tube 121 is wound in the form of a coil several times so that a sufficient amount of ice (I) can be formed around the refrigerant tube 121 after sufficient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refrigerant tube 121 and the ice- .

그러나, 냉각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하며 냉매관(121)를 포함하는 통상의 냉각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이 인가되면 일측은 발열되고 일측은 냉각되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구성 등, 탱크 본체부(110)에 연결되어 탱크 본체부(110)에 수용된 빙축액을 과냉각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However, the cooling unit is not limited to the conventional cooling system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includes the refrigerant tube 121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thermoelectric module including a thermoelectric module where one side is heated while the other side is cooled, Any known structure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connected to the tank main body 110 so as to be capable of supercooling the ice shafts contained in the tank main body 110.

한편, 상기 냉수 생성부(130)는 유입된 물이 빙축액과 열교환하여 냉수가 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수관(131)을 구비한다.Meanwhile,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30 includes a cold water pipe 131 for forming a flow path for the incoming water to be chilled water by heat exchange with the ice core liquid.

이러한 냉수관(13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빙축액과 냉수관(131)을 흐르는 물과의 충분한 열교환을 위하여 코일형상으로 다수 회 감겨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냉수관(131)의 코일 형상이 간극 없이 겹쳐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냉수관(1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빙축액의 대류를 위하여 코일 형상 사이에 빙축액이 흐를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5, the cold water pipe 131 may be wound in a coil shape many times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 sufficient heat exchange between the ice-making liquid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cold water pipe 131. 3 to 5, the shape of the coil of the cold water pipe 131 is shown to be overlapped without a gap. However, the cold water pipe 131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biaxial fluid flows between the coil shapes for the convection of the ice- A gap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냉수관(131)은 탱크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냉매관(121)의 하부에 위치하여 냉매관(121)에 형성된 얼음(I)에 의해 냉수관(131)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빙축액의 비중은 대략 4℃ 정도에서 가장 크므로 빙축액은 냉매관(121) 주위인 탱크 본체부(110)의 상부에서 먼저 얼게 되므로 냉매관(121)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수관(131)에는 얼음(I)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ld water pipe 131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nt pipe 121 in the tank main body 110 so that the cold water pipe 131 is cooled by the ice I formed in the refrigerant pipe 121 . That is, sinc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ice-shining liquor is the largest at about 4 ° C, the ice-shining liquor is first frozen in the upper part of the tank main body 110 around the refrigerant tube 121, 131 may not be formed with ice (I).

그리고, 냉수관(131)의 양단인 물 유입부(132)와 물 유출부(133)는 탱크 덮개(1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유입부(132)는 필터부(220)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공급받게 되고, 물 유출부(133)는 취수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The water inflow portion 132 and the water outflow portion 133 at both ends of the cold water pip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tank cover 112. 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ater inflow part 132 receives the purified water at the room temperature filtered by the filter part 220, and the water outflow part 133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part 210 have.

이러한 냉수 생성부(130)는 탱크 본체부(110) 내에 수용된 빙축액과 유입된 물과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수관(131) 내부를 흐르는 물을 냉각시켜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30 generates cold water by cooling the water flowing in the cold water pipe 131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ice-making liquid stored in the tank main body 110 and the inflow water.

한편, 탱크 본체부(110)에 수용된 빙축액은 냉매관(121)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질 때 온도가 낮아지게 되며, 빙축액의 온도에 따른 비중(물의 경우 4℃에서 비중이 최대)을 고려할 때 빙축액의 냉각이 충분히 진행되면 코일형상의 하단부, 즉 탱크 몸체(111)의 바닥에 인접한 부분에서의 빙축액의 온도는 4℃에 접근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온도센서(TS)는 냉수 생성부(130)의 코일형상의 중앙부에 위치한 온도센서 설치부(115)에 설치되되, 코일형상의 하단부에 인접한 높이에서 빙축액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ce-making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main body 110 is cooled by the refrigerant tube 121, the temperature is lowered, and when considering the specific gravity (maximum specific gravity at 4 ° C in the case of water) When the cooling of the ice-making liquid is sufficiently progressed, the temperature of the ice-making liqui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il shape, that is, the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tank body 111, approaches 4 캜.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temperature sensor TS is installed in the temperature sensor mounting portion 115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il shape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portion 130,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ice shining liquid at a height adjacent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il shape Lt; / RTI >

또한, 상기 펌핑부재(P)는 탱크 본체부(110)에 수용된 빙축액을 순환시키도록 펌핑력을 제공하며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펌핑부재(P)는 분사부재(140)와 함께 빙축액을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umping member P may be constituted by a pump which provides a pumping force to circulate the ice-making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main body 110. The pumping member P together with the injection member 140 forms a circulation part for circulating the ice accumulating liquid.

그리고, 펌핑부재(P)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본체부(1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펌핑부재(P)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umping member P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nk body 110 as shown in FIGS. 2 to 5, bu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umping member P is not limited thereto.

다만, 펌핑부재(P)가 탱크 본체부(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 펌핑부재(P)는 탱크 본체부(110)의 탱크 몸체(111)에 형성된 연결관(CT)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탱크 덮개(112)에 연결된 분사부재(140)와는 튜빙부재(T1, T2)와 피팅부재(F1, F2)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pumping member P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nk body 110, the pumping member P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ube CT formed in the tank body 111 of the tank body 110 And the injection member 140 connected to the tank cover 112 can be connected to the tubing members T1 and T2 through the fitting members F1 and F2.

이와 같이, 펌핑부재(P)를 탱크 몸체(111)의 하측에 설치하고, 분사부재(140)를 탱크 덮개(112)에 설치하고, 펌핑부재(P)와 분사부재(140)를 플렉서블한 튜빙부재(T1, T2)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냉수생성탱크(100)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umping member P is provided below the tank body 111, the injection member 140 is installed on the tank lid 112, and the pumping member P and the injection member 140 are connected to the flexible tubing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100 can be improved by connecting through the members T1 and T2.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분사부재(14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injection member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Fig.

상기 분사부재(140)는, 펌핑부재(P)에서 공급된 빙축액을 탱크 본체부(110)의 내부에 분사시키도록 구성되며, 펌핑부재(P)와 함께 빙축액 순환부를 형성하게 된다.The injection member 140 is configured to inject the ice-shaking liquid supplied from the pumping member P into the interior of the tank main body 110, and forms an ice-making liquid circulating unit together with the pumping member P.

이러한 분사부재(140)는 냉매관(121)의 코일형상 중앙부에 위치하여 냉수관(131)을 향하여 하방으로 빙축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사부재(140)는 냉수관(131)을 향하여 하방으로 빙축액을 분사하는 수직방향 분사구(146)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jection member 140 may be located at the coil-shaped central portion of the coolant pipe 121 and may be configured to inject the ice-making liquid downward toward the cold water pipe 131. To this end, the injection member 140 may include a vertical jet opening 146 for jetting the ice cream liquid downward toward the cold water pipe 131.

또한, 분사부재(140)는 냉매관(121)에 형성된 얼음(I)을 향하여 측방으로 빙축액을 분사하는 측방향 분사구(147)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jection member 140 may further include a lateral jet opening 147 for jetting the ice shafts laterally toward the ice (I) formed in the refrigerant pipe 12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부재(140)는 펌핑부재(P)로부터 빙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부(143)와, 수직방향 분사구(146)가 형성되는 노즐 단부(14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143)와 노즐 단부(141) 사이를 연결하며 측방향 분사구(147)가 형성되는 단면적감소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6 and 7, the injection member 140 includes an inlet 143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ice water flows from the pumping member P, a nozzle end 141 formed with the vertical injection hole 146 And a sectional area decreasing portion 142 connecting the inlet 143 and the nozzle end 141 and having a lateral jet opening 147 formed therein.

이때, 단면적감소부(14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유입구의 단면적과 수직방향 분사구(146)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단차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7, the cross sectional area decreasing portion 14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s shown in FIG. 7, but a step structure that gradually decreases to correspond to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inlet and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direction jet opening 146 .

또한, 수직방향 분사구(146)는 노즐 단부(141)에 하나 형성되고, 측방향 분사구(14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감소부(142)의 양측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One vertical injection port 146 may be formed at the nozzle end 141 and one lateral injection port 147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al area reduction part 142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측방향 분사구(147)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측방향 분사구(147)는 한 번의 드릴링 가공에 의해 좌우측이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ateral jet opening 147 may be formed to open horizontally.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the lateral jet opening 147 may be formed by a single drilling process so that the left and right through holes are penetrated.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분사부재(140)에 의한 빙축액의 대류에 대해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s. 8 to 11, the convection of the ice-making liquid by the jetting member 140 will be described.

분사부재(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단부(141)에 형성된 수직방향 분사구(146)와 단면적감소부(142)의 양측에 형성된 측방향 분사구(147)를 포함한다.The injection member 140 includes a vertical jet opening 146 formed in the nozzle end 141 and a lateral jet opening 147 formed in both sides of the sectional area reducing portion 142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펌핑부재(P)를 통하여 분사부재(140)로 공급된 빙축액은 수직방향 분사구(146)를 통해 분출됨으로써 메인 플로우(MF)를 형성하게 된다.Thus, the ice-making liquid supplied to the jetting member 140 through the pumping member P is jetted through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to form the main flow MF.

이러한 메인 플로우(MF)는 수직방향 분사구(146)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강하게 분사된 빙축액이 냉수 생성부(130)의 냉수관(131)을 관통한 후 연결관(CT)을 통해 펌핑부재(P)로 배출된 후 분사부재(140)로 다시 순환되는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메인 플로우(MF)의 형성을 위하여 수직방향 분사구(146)에서 빠른 속도로 강한 분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수직방향 분사구(146)는 분산부재의 노즐 단부(141)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수직방향 분사구(146)를 여러 개 설치한 경우보다 하나의 분사구를 통하여 집중적인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에 고속 분사에 의해 냉각효율이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in flow MF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ce shafts injected strongly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vertical direction injection port 146 pass through the cold water pipe 131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30 and then through the connection pipe CT to the pumping member P And then circulated back to the injection member 140. As shown in FIG. In order to form the main flow MF, it is necessary to perform strong jetting at a high speed at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jetting openings 146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nozzle end 141 of the dispersing member Do.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oling efficiency was remarkably improved by the high-speed injection when intensive injection was performed through one injection port rather tha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vertical injection openings 146 were provided.

또한, 펌핑부재(P)를 통하여 분사부재(140)로 공급된 빙축액은 측방향 분사구(147)를 통해 분출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플로우(SF)를 형성하게 된다.The ice-making liquid supplied to the jetting member 140 through the pumping member P is jetted through the lateral jet opening 147 to form the lateral flow SF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측방향 플로우(SF)는 냉매관(121)에 형성된 얼음(I)과 분사된 빙축액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방향 플로우(SF)는 높은 온도의 빙축액이 모이게 되는 빙축액 수면 부분의 고온층을 파괴하여 난류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빙축액의 대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Thus, the lateral flow SF allows heat exchange between the ice (I) formed in the refrigerant tube 121 and the injected ice accumulating liquid. In addition, the lateral flow SF destroys the high-temperature layer of the ice shaft liquid surface portion where the high-temperature ice axis liquid collects to form turbulent flow, thereby facilitating the convection of the ice axis liquid.

또한, 측방향 플로우(SF)를 가급적 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측방향 분사구(147)는 단면적감소부(142)의 양측에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급적 빙축액 수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하여 빙축액 수면의 고온층을 파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form the sidewise flow SF as strongly as possible, the lateral jetting ports 147 are preferab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ross-sectional area reducing portion 142, and are preferably positioned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of the ice- It is possible to disrupt the high-temperature layer of FIG.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 플로우(MF)는 고속으로 분사가 이루어지므로 메인 플로우(MF)의 주변에는 순환 플로우(CF)가 형성된다. 즉, 메인 플로우(MF) 주변의 빙축액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분사부재(140) 상측의 빙축액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순환 플로우(CF)는 냉매관(121)의 코일 형상 중앙 영역(A1)에서는 하방으로의 흐름이 형성된다. 또한, 냉매관(121)의 코일 형상 외측 영역(A2)에서는 상방으로의 흐름이 형성되어 순환 플로우(CF)는 전체적으로 순환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in flow MF as described above is jetted at a high speed, the circulating flow CF is formed around the main flow MF. That is, the ice-making liquid around the main flow MF is moved downward and the ice-making liquid on the upper side of the injection member 140 is moved downward. Therefore, the circulating flow CF is formed in the coil- ), A downward flow is formed. Further, upward flow is formed in the coil-shaped outer region A2 of the refrigerant tube 121, and the circulating flow CF forms a circulation path as a whole.

이와 같이, 메인 플로우(MF), 측방향 플로우(SF) 및 순환 플로우(CF)에 의하여 빙축액의 대류가 원활히 이루어져 냉매관(121) 주변의 빙축액의 냉기가 냉수관(131)에 충분히 전달되어 냉수관(131)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Convection of the ice-making liquid can be smoothly carried out by the main flow MF, the lateral flow SF and the circulating flow CF so that the cool air of the ice-making liquid around the refrigerant pipe 121 is su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cold water pipe 131 So that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ld water pipe 131 can be improved.

이러한 메인 플로우(MF)를 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수직방향 분사구(146)의 단면적은 측방향 분사구(147)의 단면적의 2~10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방향 분사구(146)의 단면적이 측방향 분사구(147)의 단면적의 2배보다 작은 경우에는 메인 플로우(MF)가 약하게 형성되어 냉수관(131) 측으로의 빙축액 대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반대로, 수직방향 분사구(146)의 단면적이 측방향 분사구(147)의 단면적의 10배보다 큰 경우에는 메인 플로우(MF)가 강하게 형성되지만 측방향 플로우(SF)가 거의 형성되지 않게 된다. 즉, 측방향 분사구(147)는 분사방향에 수직방향이므로 그 단면적이 너무 작은 경우 측방향 분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측방향 분사구(147)와 수직방향 분사구(146)의 단면적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직방향 분사구(146)의 단면적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분사구(147)의 단면적의 2~5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order to strongly form the main flow M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is preferably 2 to 10 tim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ateral jet opening 147. Whe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direction injection port 146 is smaller than twice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lateral direction injection port 147, the main flow MF is weakly formed and convection of the ice water to the cold water pipe 131 side is not smoothly per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is larger than 10 times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lateral jet opening 147, the main flow MF is strongly formed but the lateral flow SF is hardly formed. That is, since the lateral jet opening 147 is perpendicular to the jetting direction, if the cross sectional area is too small, the lateral jetting is hardly performed. Therefore,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lateral jet opening 147 and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is appropriately adjusted Is very important.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may be more preferably 2 to 5 tim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ateral jet opening 147. [

또한, 수직방향 분사구(146)를 통한 강한 분사를 통하여 메인 플로우(MF)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수직방향 분사구(146)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direction jet opening 146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port so that the main flow MF can be formed through strong jetting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jet opening 146.

한편, 메인 플로우(MF)의 형성을 위하여 수직방향 분사구(146)를 적절한 높이에 형성해야 한다.Meanwhile, in order to form the main flow MF,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should be formed at a proper height.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냉매관(121)의 코일형상 중에서 최상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과 최하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과의 거리를 H라 하고, 상기 최상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146)까지의 높이를 h라고 하면, 상기 H와 h의 관계식은 H=ah (0≤a≤1)라 할 수 있다. 이때, a가 0인 경우 수직방향 분사구(146)까지의 높이(h)는 최상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며, a가 1인 경우 수직방향 분사구(146)까지의 높이(h)는 최하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과 동일한 위치가 된다. 10, a distance between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uppermost coil and a horizontal centerline of the lowermost coil is H, and a distanc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uppermost coi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f the height to the injection port 146 is h, the relational expression of H and h may be H = ah (0? A? 1). In this case, when a is 0, the height h to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is the same as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uppermost coil, and when the height a is 1, the height h to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Becomes the same position as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lowermost coil.

본원 발명자는 수직방향 분사구(146)의 높이를 달리하여 10℃ 이하의 냉수가 몇 잔(한 잔 120cc 기준) 추출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at several cups of cold water having a temperature of 10 ° C or less (120cc per cup) were extracted at different heights of the vertical direction jetting ports 146,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a의 값the value of a 최상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h)The distance h from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uppermost coil, 10℃ 이하의 냉수 추출 잔수Cold water extraction at 10 ° C or less
(한 잔 120cc 기준)(One cup of 120cc standard)
0.070.07 3.7mm3.7mm 3잔3 glasses 0.180.18 8.7mm8.7mm 4잔4 glasses 0.280.28 13.7mm13.7 mm 4잔4 glasses 0.380.38 18.7mm18.7 mm 5잔5 glasses 0.490.49 23.7mm23.7 mm 6잔6 glasses 0.590.59 28.7mm28.7 mm 5잔5 glasses 0.700.70 33.7mm33.7 mm 3잔3 glasses

이러한 결과는, 수직방향 분사구(146)까지의 높이(h)가 최상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에 너무 가까운 경우에는 빙축액의 분사로 인한 메인 플로우(MF)가 냉수관(131)까지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또한 수직방향 분사구(146)까지의 높이(h)가 최하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에 가까운 경우에는 냉매관(121) 주변에 형성된 얼음(I)과 분사된 빙축액과의 열전달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탱크 몸체(111) 상부에 형성된 수면 부분에 고온의 빙축액이 잔류하여 빙축액의 대류가 충분하지 못한 결과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This result shows that if the height h to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is too close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top end coil, the main flow MF due to the injection of the ice-shine liquid is not sufficiently formed to the cold water pipe 131 When the height h to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is close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lowermost coil, the ice (I) formed around the refrigerant tube 121 and the ice- The heat transfer of the ice-making liquid is not smooth, and the high-temperature ice accumulating liquid remains in the water surfac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ank body 111, resulting in insufficient convection of ice.

이러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10℃ 이하의 냉수 추출잔수(한 잔 120cc 기준)가 4잔 이상인 경우의 a 값을 고려할 때 상기 h는 상기 H의 대략 0.15~0.65배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ue of h is in the range of about 0.15 to 0.65 times the value of H in consideration of a value in the case where there are four or more cups of cold water extraction residue of 10 DEG C or less (based on 120cc of one cup).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냉수 추출잔수가 5잔 이상을 갖도록 상기 h는 상기 H의 0.35 내지 0.6배 사이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value of h may be set to a value between 0.35 and 0.6 times the value of H so that the number of the maximum cold water-extracted residues has five or more.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냉매관(121)은 대략적으로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1, the refrigerant pipe 121 may have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이러한 냉매관(121) 주변에 형성된 얼음(I)과 분사부재(140)에서 분사된 빙축액 사이에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146)는 상기 냉매관(121)의 코일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이룰 수 있다.The vertical direction jet opening 146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il of the refrigerant tube 121 so that sufficient heat exchange can be performed between ice (I) formed around the refrigerant tube 121 and the ice- It can be a rectangle or an ellipse correspondingly.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분사구(147)와 냉매관(121) 코일과의 단경 방향 거리(L1)와 장경방향 거리(L2)를 고려할 때, 측방향 분사구(147)는 냉매관(121)이 형성하는 코일형상 중 반경이 작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1, in consideration of the short-axis distance L1 and the long-distance distance L2 between the lateral jet opening 147 and the coil of the refrigerant tube 121, the lateral jet opening 147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l shape formed by the refrigerant tube 121 is disposed so as to face in a direction having a small radius.

본원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측방향 분사구(147)에서 분사된 측방향 플로우(SF)가 냉매관(121)의 얼음(I)에 직접 도달하여 얼음(I)과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측방향 플로우(SF)를 코일형상 중 단경 방향으로 분사할 때 냉각효율이 더욱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측방향 분사구(147)가 장경 방향을 향하는 경우에는 분사된 측방향 플로우(SF)가 냉매관(121)의 얼음(I)에 직접 도달하기 어렵거나 그 양이 충분하지 않아 냉매관(121) 주변에 형성된 얼음과 분사된 빙축액과의 열교환이 충분하지 않게 되고, 반대로 측방향으로 분사된 빙축액이 냉매관(121)의 얼음(I)에 직접 도달하도록 측방향 플로우(SF)를 크게 하면 메인 플로우(MF)가 약해져 냉수관 측으로의 빙축액의 대류가 저하된다.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llow the lateral flow SF sprayed from the lateral jet opening 147 to directly reach the ice I of the refrigerant tube 121 and to exchange heat with the ice I, It is confirmed that the cooling efficiency is further increased when the coil spring SF is spray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il shape. That is, when the lateral jet opening 147 is directed to the long-diameter direction, the jetted lateral flow SF does not reach the ice (I) of the refrigerant tube 121 directly or the amount thereof is insufficient, The lateral flow SF is made large so that the ice shafts inj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directly reach the ice I of the refrigerant tube 121. On the contrary, The main flow MF is weakened and the convection of the ice-making liquid toward the cold water pipe is lowered.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탱크 덮개(112)에는 상기 냉매관(121)과 상기 냉수관(131)이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탱크 덮개(112)에 냉매관(121)과 냉수관(131)이 지지되는 설치 구조에서는 탱크 몸체(111)는 냉매관(121)과 냉수관(131)이 관통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탱크 몸체(111)를 통한 빙축액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refrigerant pipe 121 and the cold water pip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tank lid 112. 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refrigerant pipe 121 and the cold water pipe 131 are supported on the tank lid 112 as described above, the tank body 111 is structured such that the refrigerant pipe 121 and the cold water pipe 131 do not penetrate do. Accordingly, leakage of the ice-making liquid through the tank body 111 can be minimized.

또한, 냉수관(131)을 탱크 몸체(111)에 먼저 설치하면 냉수관(131)의 설치 상태를 탱크 몸체(111)의 상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 탱크 덮개(112)에 냉매관(121)이 결합된 상태로 탱크 덮개(112)를 탱크 몸체(111)에 조립하게 되면, 냉수관(131)과 냉매관(121)의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잘못된 조립으로 인하여 냉수관(131)과 냉매관(121)의 이격 거리가 부족하게 되어 발생하는 냉수관(131)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cold water pipe 131 is first installed on the tank body 111,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ld water pipe 131 can be confirmed from above the tank body 111. When the tank lid 112 is assembled to the tank body 111 with the refrigerant pipe 121 coupled to the tank lid 112, the distance between the cold water pipe 131 and the refrigerant pipe 121 is . As a result, the clearance between the cold water pipe 131 and the refrigerant pipe 121 is insufficient due to erroneous assembly, thereby preventing the cold water pipe 131 from freezing.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수기(200)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water cool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수기(200)는 도 2 내지 도 11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 냉수생성탱크(100)와, 상기 냉수생성탱크(100)에서 냉각된 물을 추출할 수 있는 취수부(210)와, 상기 냉수생성탱크(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수기(200)는 냉수생성탱크(100)의 냉수 생성부(130)에 유입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필터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the water cool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d water generating tank 100, which is illustrated in FIGS. 2 to 11 as an example, A water intake part 210 for extracting water and a control part C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100. [ The water cool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lter unit 220 to filter water flowing into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30 of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100.

상기 냉수생성탱크(100)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탱크 본체부(110), 빙축액 냉각부(120), 냉수 생성부(130), 펌핑부재(P), 분사부재(140), 수위센서(LS), 온도센서(T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냉수생성탱크(1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다만, 냉수기(200)의 작용과 관련하여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2 to 11, the cold water generating tank 100 includes a tank main body 110, a cooling shroud cooling unit 120, a cold water generating unit 130, a pumping member P, A water level sensor 140, a water level sensor LS, and a temperature sensor 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tank 100. However, the necessary par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cooler 200 will be further described.

또한, 상기 취수부(210)는 냉수 생성부(130)에서 빙축액과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냉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부재로서, 공지의 기계식 또는 전자식 취수코크(취수레버)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intake part 210 is a member for providing cold water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ice-making liquid in the cold water generating part 130 to the user, and a known mechanical or electronic intake cork (intake lever) or the like can be used have.

그리고, 상기 필터부(220)는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다수의 필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필터부(220)의 구성은 수처리 기기(냉수기(200))의 여과성능이나 여과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ilter unit 220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s to filter the introduced raw wa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unit 220 may be various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filtration performance or the filtration method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water cooler 200),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어부(C)는 온도센서(TS)에서 감지된 빙축액의 온도에 따라 빙축액 냉각부(120)로의 차가운 냉매 유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빙축액 냉각부(120)로의 차가운 냉매의 유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냉각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열전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C controls the flow of cold refrigerant to the ice-maker liquor cool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ice-shake liquor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S. The flow of the cold refrigerant to the ice-coolant liquid cooling unit 120 may be realized by a conventional cooling system including a compressor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implemented by a thermoelectric module.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온도센서(TS)에서 감지된 빙축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설정온도(예를 들어, 3.5~4.5℃에서 선택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빙축액 냉각부(120)로 차가운 냉매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ontroller C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ice-shake liquid cooling unit 120 (for example,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ice-shake liquid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S reaches a predetermined lower limit set temperature So that the cool refrigerant is supplied.

다만, 충분한 양의 냉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냉매관(121) 주위에 일정한 양의 얼음(I)이 생성될 필요가 있다. However, a certain amount of ice (I) needs to be generated around the refrigerant tube 121 in order to generate a sufficient amount of cold water.

이때, 상기 온도센서(TS)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 생성부(130)의 코일형상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코일형상의 하단부에 인접한 높이에서 빙축액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므로 빙축액의 온도에 따른 비중(물의 경우 4℃에서 비중이 최대)을 고려할 때 빙축액의 가장 낮은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sensor TS i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il shape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30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mperature of the ice crystal axis is measured at a height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coil shape. Given the specific gravity (maximum specific gravity at 4 ° C for water), the lowest temperature of ice crystals is measured.

따라서, 탱크 본체부(110) 내부에 수용된 빙축액이 충분히 냉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매관(121) 주위에 미리 설정된 충분한 양의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부(C)는 빙축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설정온도에 도달한 이후 미리 설정된 추가시간 동안 빙축액 냉각부(120)로 차가운 냉매의 공급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시간은 최적의 얼음 생성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탱크 본체부(110)에 수용된 빙축액의 양, 냉각유닛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ufficiently cool the ice-shake contained in the tank main body 110 to generate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I around the refrigerant tube 121, the controller C controls the ice- The supply of cold refrigerant to the ice-shake solution cooler 120 may be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additional time after the temperature reaches a predetermined lower limit set temperature. This additional time may be experimental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ice-shake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main body 110, the performance of the cooling unit, and the like in order to secure an optimum amount of ice.

한편, 제어부(C)는 취수부(210)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펌핑부재(P)를 구동시켜 빙축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분사부재(140)를 통한 빙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빙축액의 대류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낮은 온도의 빙축액과 냉수관(131)을 흐르는 물과의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져 낮은 온도의 냉수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When the controller C senses that cold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intake unit 210, the control unit C drives the pumping member P to circulate the ice-making liquid, thereby spraying the ice-making liquid through the spraying member 140 It is possible to smoothly carry out the convection of the ice-making liquid. Thus, heat exchange between the low-temperature ice-making liquid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cold water pipe 131 is smoothly performed, thereby enabling cold water to be extracted at a low temperature.

또한, 제어부(C)는, 취수부(210)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설정된 펌핑구동조건에 따라 펌핑부재(P)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빙축액의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빙축액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C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pumping member P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umping driving condition even when the cold water extraction is not performed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210, . Accordingly, even when the cold water extraction is not performe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ice-making liquid can be made uniform.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취수부(210)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펌핑부재(P)에 인가되는 제1 전압보다,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펌핑부재(P)에 인가되는 제2 전압의 크기가 작도록 펌핑부재(P)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ld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210, the controller C controls the pumping member P in a case where cold water extraction is not performed at a first voltage applied to the pumping member P,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umping member P such that the magnitude of the second voltage applied to the pumping member P is small.

즉, 제어부(C)는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2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1 전압으로 펌핑부재(P)를 구동함으로써 수직방향 분사구(146)를 통하여 강한 흐름으로 분사된 빙축액이 냉수 생성부(130) 측으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빙축액의 대류 및 빙축액과 냉수관(131) 사이의 열전달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직방향 분사구(146)를 통한 빙축액 분사와 더불어 측방향 분사구(147)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빙축액을 분사함으로써, 냉수관(131)에 형성된 얼음(I)과 분사된 빙축액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빙축액의 온도가 가장 높은 빙축액 수면 부분의 고온층을 파괴하여 난류를 형성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빙축액의 대류 및 냉매관(121)에 형성된 얼음(I)과 분사된 빙축액 사이의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ld water is extracted, the controller C drives the pumping member P to a first voltage relatively higher than the second voltage so that the ice-making liquid injected in a strong flow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jet opening 146 is cooled So that the convection of the ice axes liquid and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ice ax liquor and the cold water pipe 131 can be performed smoothly. In addition to the injection of the liquefied liquid through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the ice liquor is jett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lateral jet opening 147, whereby the ice I formed in the cold water pipe 131 and the ice- (I) formed in the refrigerant pipe (121) and the air (I) formed in the refrigerant pipe (12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ice crystals can be smoothly performed.

반면에,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전압으로 펌핑부재(P)를 구동함으로서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저소음으로 펌핑부재(P)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약한 흐름이기는 하지만, 분사부재(140)의 수직방향 분사구(146) 및 측방향 분사구(147)를 통하여 빙축액의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빙축액의 대류를 통한 빙축액 온도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얼음(I)이 분사부재(140)에 인접하여 성장함으로써 분사부재(140)의 분사구(146, 147)를 막아 발생하는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ld water extraction is not performed, the pump member P is driven with the second voltage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so that the pump member P can be driven at a lower noise than in the case where the cold water extrac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although the flow is weaker than when cold water is extracted, the ice-making liquid is sprayed through the vertical jet opening 146 and the lateral jet opening 147 of the jetting member 140. This makes it possible to equalize the temperature of ice crystals through the convection of the ice making liquid and to cause the ice cubes I to grow adjacent to the injection member 140 to block the injection holes 146 and 147 of the injection member 1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ogging phenomenon.

이러한 제1 전압은 예를 들어, 24볼트(V)로 이루어지고, 제2 전압은 예를 들어, 14~16볼트(V)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전압값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voltage may be, for example, 24 volts, and the second voltage may be, for example, 14-16 volts, but the voltage value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취수부(210)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펌핑부재(P)의 펌핑구동조건은 외기의 온도 조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외기 온도의 측정은 냉수생성탱크(100)의 온도센서(TS)와는 별도로 냉수기(200)에 구비되는 온도 측정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cold water is not extracted through the intake part 210, the pumping driving condition of the pumping member P may be se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outside air. The outside air temperature may be measured by temperature measuring means provided in the water cooler 200 separately from the temperature sensor TS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tank 100.

이때, 상기 펌핑구동조건은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 비해 펌핑부재(P)의 구동 휴지 시간이 짧게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mping driving condition may be set to a shorter driving pause time of the pumping member P than when the outdoor air temperature is low when the outdoor air temperature is high.

예를 들어, 외기온도가 30℃ 초과인 경우 펌핑부재(P)를 제2 전압으로 15초 구동한 후 15분 정지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외기온도가 10~30℃인 경우 펌핑부재(P)를 제2 전압으로 15초 구동한 후 25분 정지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외기온도가 10℃ 미만인 경우 펌핑부재(P)를 제2 전압으로 15초 구동한 후 40분 정지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펌핑구동조건은 냉수생성탱크(100)의 단열구조, 빙축액이 얼음(I)으로 생성된 양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higher than 30 ° C, the pumping member P may be set to repeat the operation of driving the pumping member P for 15 seconds to the second voltage and then stopping for 15 minutes. I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10 to 30 ° C, The pumping member P may be driven to the second voltage for 15 seconds, and then the pumping member P may be driven for 15 seconds. Minute can be set to be repeated. However, such a pumping driving condi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heat insulating structure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tank 100, the amount of the ice accumulating liquid produced by the ice (I), and the like.

이와 같이, 외기 온도에 따라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의 펌핑부재(P)의 펌핑구동조건을 설정함으로써 펌핑부재(P)의 불필요한 가동으로 인한 소음의 발생이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Thus, by setting the pumping driving condition of the pumping member P in the case where the cold water extraction is not performed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noise generation and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pumping member P can be minimized.

그리고, 냉수의 추출이 다량 이루어지거나 냉각 유닛의 가동 후 상당시간이 경과하여 온도센서(TS)에서 감지된 빙축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C)는 빙축액 냉각부(120)로 차가운 냉매가 공급되게 된다.
When a large amount of cold water is extracted or a considerable time has elaps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unit has elaps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ice-caught liquid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S has reached a preset upper limit 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C) The coolant is supplied to the cooling unit 120.

한편, 취수부(210)를 통한 냉수 취수가 이루어지는 경우 일정 온도 이상의 냉수를 충분히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취수부(210)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C)는 빙축액 냉각부(120)로 차가운 냉매가 공급되도록 냉각유닛을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cold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water intake part 210 in order to sufficiently extract cold water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when cold water is taken through the intake part 210, the control part C controls the ice- 120 to supply the cold refrigera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냉수생성 탱크 110... 탱크 본체부
111... 탱크 몸체 112... 탱크 덮개
115... 온도센서 설치부 116... 수위센서 설치부
120... 빙축액 냉각부 121... 냉매관
130... 냉수 생성부 131... 냉수관
140... 분사부재 141... 노즐 단부
142... 단면적감소부 143... 유입부
145... 유입구 146... 수직방향 분사구
147... 측방향 분사구 200... 냉수기
210... 취수부 220... 필터부
C... 제어부 P... 펌핑부재
A1... 중앙영역 A2... 주변영역
I... 얼음 CT... 연결관
F1, F2... 피팅부재 T1, T2... 튜빙부재
MF... 메인 플로우 CF... 순환 플로우
SF... 측방향 플로우 TS... 온도센서
LS... 수위센서
100 ... cold water producing tank 110 ... tank main part
111 ... tank body 112 ... tank cover
115 ... Temperature sensor installation part 116 ... Water level sensor installation part
120 ... ice cooling liquid cooling unit 121 ... refrigerant pipe
130 ... cold water generating part 131 ... cold water tube
140 ... injection member 141 ... nozzle end
142 ... sectional area reducing portion 143 ... inlet portion
145 ... inlet 146 ... vertical nozzle
147 ... lateral jet 200 ... water cooler
210 ... intake portion 220 ... filter portion
C ... control portion P ... pumping member
A1 ... central region A2 ... peripheral region
I ... ice CT ... connector
F1, F2 ... fitting members T1, T2 ... Tubing member
MF ... Main flow CF ... Circulation flow
SF ... lateral flow TS ... temperature sensor
LS ... Water level sensor

Claims (25)

냉각유닛에 의하여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되는 빙축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탱크 본체부;
상기 탱크 본체부 내에 수용된 빙축액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가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관을 구비하는 빙축액 냉각부;
유입된 물이 빙축액과 열교환하여 냉수가 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수관을 구비하는 냉수생성부;
상기 탱크 본체부에 수용된 빙축액을 순환시키도록 펌핑력을 제공하는 펌핑부재; 및
상기 펌핑부재에서 공급된 빙축액을 상기 탱크 본체부의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관은 상기 탱크 본체부의 내측 상부에 코일형상으로 감겨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냉수관은 상기 탱크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냉매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냉매관의 코일형상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냉수관을 향하여 하방으로 빙축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냉수생성탱크.
A tank main body for containing therein an ice shining liquid which is cooled in an ice-cooling heat mode by a cooling unit;
An ice-cooler liquid cooling unit having a coolant pipe through which a coolant for cooling the ice-shaken liquid accommodated in the tank main body flows;
A cold water generating unit having a cold water pipe for forming a flow path in which the incoming water is heat-exchanged with ice cooling liquid to become cold water;
A pumping member for providing a pumping force to circulate the ice-making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main body portion; And
A spray member for spraying the ice-shake liquid supplied from the pumping member into the tank main body;
/ RTI >
Wherein the coolant pipe is wound in a coil shape on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tank main body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cold water pipe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ant pipe in the tank main body,
Wherein the injection member is located at a coil-shaped central portion of the refrigerant tube and is configured to spray the ice-making liquid downward toward the cold water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냉수관을 향하여 하방으로 빙축액을 분사하는 수직방향 분사구와, 상기 냉매관을 향하여 측방으로 빙축액을 분사하는 측방향 분사구를 구비하는 냉수생성탱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etting member has a vertical jet opening for jetting the ice shafts downward toward the cold water pipe and a lateral jet opening for jetting the ice shafts to the side of the coolant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펌핑부재로부터 빙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부와,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가 형성되는 노즐단부와, 상기 유입부와 노즐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측방향 분사구가 형성되는 단면적감소부를 구비하는 냉수생성탱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jection member includes an inlet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ice sheet flows from the pumping member, a nozzle end formed with the vertical nozzle, and a nozzl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reduced by a dista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nozzle, And a cold water producing tan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는 상기 노즐단부에 하나 형성되고, 상기 측방향 분사구는 상기 단면적감소부의 양측에 하나씩 형성되는 냉수생성탱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ertical jetting por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nozzle, and the lateral jetting ports are formed at the opposite sides of the cross-sectional area reduc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분사구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냉수생성탱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ateral jet opening is formed to open horizontal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의 단면적은 상기 측방향 분사구의 단면적의 2~10배로 이루어진 냉수생성탱크.
3. The method of claim 2,
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jetting port is 2 to 10 times the sectional area of the lateral jetting po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작은 냉수생성탱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jetting port is small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는 냉수생성탱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ertical jetting port has a rectangular or elliptical shap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분사구는 상기 냉매관이 형성하는 코일형상 중 반경이 작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냉수생성탱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ateral jetting port is disposed so that the radius of the coil shape formed by the refrigerant pipe is directed in a direction with a small radi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의 코일형상 중에서 최상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과 최하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과의 거리를 H라 하고, 상기 최상단부 코일의 수평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수직방향 분사구까지의 높이를 h라고 할 때,
상기 h는 상기 H의 0.15 내지 0.65배 사이의 값으로 이루어지는 냉수생성탱크.
3. The method of claim 2,
A distance between a horizontal centerline of the uppermost coil and a horizontal centerline of the lowermost coil is H and a height from the centerline of the uppermost coil to the vertical nozzle is h, ,
And said h is a value between 0.15 and 0.65 times said H.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h는 상기 H의 0.35 내지 0.6배 사이의 값으로 이루어지는 냉수생성탱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said h is a value between 0.35 and 0.6 times said 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부는 빙축액이 수용되는 탱크 몸체와, 상기 탱크 몸체를 덮도록 구성된 탱크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탱크 덮개에는 상기 냉매관과 상기 냉수관이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탱크 몸체는 상기 냉매관과 상기 냉수관이 관통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냉수생성탱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nk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tank body in which the ice accumulating liquid is received and a tank cover configured to cover the tank body,
Wherein the tank cover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cold water pipe,
Wherein the tank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cold water pipe do not pass throug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덮개는, 상기 냉수관을 상기 탱크 몸체에 설치한 후 상기 탱크 덮개에 상기 냉매관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탱크 몸체에 조립되는 냉수생성탱크.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tank cover is assembled to the tank body with the coolant pipe coupled to the tank cover after the cold water pipe is installed on the tank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탱크 본체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튜빙부재를 통하여 상기 분사부재와 연결되는 냉수생성탱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mping member is provided below the tank main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member through a tubing member.
외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냉각시키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냉수생성탱크;
상기 냉수생성탱크에서 냉각된 물을 추출할 수 있는 취수부; 및
상기 냉수생성탱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냉수기.
A cold water producing ta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for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water intake part capable of extracting water cooled in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tank;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생성탱크는 빙축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빙축액의 온도에 따라 상기 빙축액 냉각부로의 차가운 냉매 유동을 제어하는 냉수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ld water producing tank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 accumulating liquid;
, ≪ / RTI >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low of cold refrigerant to the ice-maker liquid cooler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ice-maker liquid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빙축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미리 설정된 추가시간 동안 상기 빙축액 냉각부로 차가운 냉매의 공급이 유지되도록 하는 냉수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supply of the coolant to the ice-maker liquid cooler for a predetermined additional tim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ce-maker liquid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a preset lower limit set temperatur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생성부는 코일형상으로 감겨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냉수 생성부의 코일형상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코일형상의 하단부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하는 빙축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냉수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ld water generator is wound in a coil shape and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ice-making liqui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il shape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and located at a height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coil shap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부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펌핑부재를 구동시켜 빙축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분사부재를 통한 빙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수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mping member to circulate the ice-making liquid when the cold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intake unit, thereby spraying the ice-making liquid through the spraying memb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부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펌핑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냉수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driving of the pumping memb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umping driving condition when cold water is not extracted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부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펌핑부재에 인가되는 제1 전압보다,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펌핑부재에 인가되는 제2 전압의 크기가 작도록 상기 펌핑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냉수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when the cold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the second voltage applied to the pumping member is smaller than the first voltage applied to the pumping member when the cold water extraction is not performed, To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water heat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구동조건은 외기의 온도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냉수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pumping driving condition is set according to a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outside ai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구동조건은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 비해 상기 펌핑부재의 구동 휴지 시간이 짧게 설정되는 냉수기.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pumping driving condition is set such that the pause time of the pumping member is shorter than when the outdoor air temperature is low when the outdoor air temperature is high.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빙축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빙축액 냉각부로 차가운 냉매가 공급되도록 하는 냉수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supplies cold refrigerant to the ice-maker liquid cool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ce-shaken liquid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a preset upper limit set temperatur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부를 통하여 냉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빙축액 냉각부로 차가운 냉매가 공급되도록 하는 냉수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supplies cold refrigerant to the ice-maker liquid cooler when cold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KR1020170103827A 2017-08-16 2017-08-16 Cold water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KR102495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27A KR102495575B1 (en) 2017-08-16 2017-08-16 Cold water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27A KR102495575B1 (en) 2017-08-16 2017-08-16 Cold water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84A true KR20190018984A (en) 2019-02-26
KR102495575B1 KR102495575B1 (en) 2023-02-03

Family

ID=6556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827A KR102495575B1 (en) 2017-08-16 2017-08-16 Cold water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5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8868A (en) * 2021-02-20 2021-04-30 宁夏枫叶林机械制造有限公司 Be applied to water-saving cooling device of rare earth alloy produ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888A (en) 2011-09-30 2013-04-09 코웨이 주식회사 Ice-storage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KR20140090319A (en) * 2013-01-07 2014-07-17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40098914A (en) * 2013-01-31 2014-08-11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40144575A (en) * 2013-06-11 2014-12-19 쿠쿠전자주식회사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ic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60069090A (en) * 2014-12-05 2016-06-16 코웨이 주식회사 Cold Water Generating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888A (en) 2011-09-30 2013-04-09 코웨이 주식회사 Ice-storage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KR20140090319A (en) * 2013-01-07 2014-07-17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40098914A (en) * 2013-01-31 2014-08-11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40144575A (en) * 2013-06-11 2014-12-19 쿠쿠전자주식회사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ic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60069090A (en) * 2014-12-05 2016-06-16 코웨이 주식회사 Cold Water Generating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8868A (en) * 2021-02-20 2021-04-30 宁夏枫叶林机械制造有限公司 Be applied to water-saving cooling device of rare earth alloy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575B1 (en)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173B1 (en) Ice-storage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KR200458160Y1 (en)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KR102051672B1 (en) Ice mak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6196692A (en) Spray refrigeration plant and control method
KR100772214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ice
US5931003A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location of the formation of ice within a closed loop water circulating unit
KR20070104093A (en) Ice maker and ice maker combined hot and cold water supply device
US20150300716A1 (en) Ice maker
KR20190018984A (en) Cold water tank and water cooler having the same
KR20160084930A (en) Ice maker
KR20120105662A (en) Ice and cold water maker and making method
KR20110069248A (en)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KR20140126988A (en) Ice-making device
KR102392190B1 (en) Spherical or Polyhedral Ice Maker,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KR102392197B1 (en) Spherical or Polyhedral Ice Maker,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KR102392194B1 (en) Spherical or Polyhedral Ice Maker,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KR102392198B1 (en) Spherical or Polyhedral Ice Maker,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KR101470958B1 (en) An ice machine with an integrated water-air cooling system
KR20110113299A (en) Water intake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KR102392193B1 (en) Ice Maker Using Water Injection Nozzle,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KR102392196B1 (en) Spherical or Polyhedral Ice Maker,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JP4846547B2 (en) How to operate an automatic ice machine
WO2022135128A1 (en) Icemaker
JP2007278620A (en) Icemaker and stirling cooling box
KR100865611B1 (en) Cold and hot beverage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