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613A -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613A
KR20190018613A KR1020187030288A KR20187030288A KR20190018613A KR 20190018613 A KR20190018613 A KR 20190018613A KR 1020187030288 A KR1020187030288 A KR 1020187030288A KR 20187030288 A KR20187030288 A KR 20187030288A KR 20190018613 A KR20190018613 A KR 20190018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s
network device
broadcasting channel
terminal devi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332B1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a scrambling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신호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신호 또는 다른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다른 신호를 검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5G 기술에 있어서, 고주파 대역(중심 주파수가 6GHz 이상이며, 예를 들어 28GHz임)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고주파 대역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 보다 높은 전송 속도에 달하기 위해, 다중 입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안테나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고주파에서의 MIMO 기술 적용은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소자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아, 안테나의 하드웨어 원가, 예를 들어 아날로그/디지털(A/D) 또는 디지털/아날로그(D/A) 컨버터의 수량도 대폭 증가하게 된다. 원가를 줄이기 위해, 고주파 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빔포밍(beamforming) 방식을 적용하여 송수신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량을 줄인다. 이른바 아날로그 빔포밍 기술은 바로, D/A 변환 후에 위상 시프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아날로그 빔포밍 기술은 데이터 채널의 전송뿐만 아니라 셀 접속 과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단말 기기가 셀 접속을 수행함에 있어서 우선 셀로부터의 동기화 신호 및 해당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해야 한다. 이러한 셀 접속 방식에 있어서, 동기화 신호에 대한 단말 기기의 검출 성능이 비교적 떨어지고, 후속적인 해당 브로드캐스팅 채널 또는 다른 신호에 대한 검출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후에 송신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것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이므로,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의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할 수 있어, 단말 기기가 후속적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되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되는바, 즉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중복하여 송신되므로, 단말 기기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 검출에 기반하여 동기화 신호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가 서로 상이하여, 단말 기기가 해당 복수의 상이한 신호를 보다 잘 수신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에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확정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제1 동기화 신호에 대한 검출에 적용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다른 신호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어느 한 수신된 수요를 충족시키는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한 검출에 적용할 빔포팅 수신 가중치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바, 즉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기 위한 진행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동기화 신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빔포밍 가중치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로 함으로써,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상기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가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대응되는 각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에 따라, 상기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이고,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리던던시 버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어느 한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한 후속적인 브로드캐스팅 채널 송신 시에 적용될 수 있는 송신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빙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수신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제어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매핑 관계를 갖는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관리 정보 바이트(Management Information Byte, MIB)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의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 기기가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동일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송신되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해 동일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해당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후속적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보다 잘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이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확정한 것이고,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에는 동일한 정보가 포함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이고,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HARQ 리던던시 버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제어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송신된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중으로 송신된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매핑 관계를 갖는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된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그 후의 브로드캐스팅 채널 송신에 적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된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신호의 송신에 적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상기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신호 수신에 사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신호 수신에 사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상기 빔포밍 수신 가중치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신호 수신에 사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대응되는 각도 및 상기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에 따라, 상기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MIB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및 다양한 실시 형태에 의한 신호 전송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단말 기기는,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1 검출 모듈; 및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후에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검출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및 다양한 실시 형태에 의한 신호 전송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다른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를 호출하여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현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를 호출하여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현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스가 상기 제1 측면 및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 칩이 제공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스가 상기 제2 측면 및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 칩이 제공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프로그램이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및 그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의 임의의 하나의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2 측면, 및 그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의 임의의 하나의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것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이므로,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의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할 수 있어, 단말 기기가 후속적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되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되는바, 즉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중복하여 송신되므로, 단말 기기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 검출에 기반하여 동기화 신호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가 서로 상이하여, 단말 기기가 해당 복수의 상이한 신호를 보다 잘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어느 한 수신된 수요를 충족시키는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한 검출에 적용할 빔포팅 수신 가중치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바, 즉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기 위한 진행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빔포밍 가중치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로 함으로써,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어느 한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한 후속적인 브로드캐스팅 채널 송신 시에 적용될 수 있는 송신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의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 기기가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송신되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해 동일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해당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후속적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보다 잘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필요한 도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할 것이나, 자명한 점이라면 이하 설명에서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응용 장면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할 것이다. 다만,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는 점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 노동 없이 얻을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로 약칭함),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로 약칭함)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로 약칭함)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로 약칭함),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로 약칭함) 시스템 및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로 약칭함) 등 기존의 통신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응용 가능하며, 특히 미래의 5G 시스템에 응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또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로 약칭함),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로 약칭함) 폰, 무선가입자회선(Wireless Local Loop, "WLL"로 약칭함) 스테이션,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로 약칭함),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핸드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변조복조기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탑재 기기, 착용 가능 기기,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로 약칭함)에서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로 약칭함)일 수도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 B, "NB"로 약칭함)일 수도 있고,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로 약칭함)일 수도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로 약칭함)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제어기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착용 가능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미래의 진화형 PLMN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아래에 기지국을 네트워크 기기의 구체적인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응용 장면의 예시도이다. 도 1에서의 통신 시스템에는 기지국(10) 및 단말 기기(20)가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10)은 단말 기기(20)를 위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코어망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단말 기기(20)는 기지국(10)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 브로드캐스팅 채널 등을 탐색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기기(20)와 기기국(1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수행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가 도시된다. 상기 방법에서의 단말 기기는 도 1에서의 단말 기기(20)일 수 있고, 상기 방법에서의 네트워크 기기는 도 1에서의 기지국(10)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도 2에는 신호 전송 방법의 단계 또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단계 또는 동작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동작을 더 실행하거나 또는 도 2에서의 각 동작의 변형을 실행할 수 있다.
S210: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한다.
S220: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에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상응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도 3에는 신호 전송 방법의 단계 또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단계 또는 동작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동작을 더 실행하거나, 또는 도 3의 각 동작의 변형을 실행할 수 있다.
S310: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한다.
S320: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가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기반하여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동기화 신호에 대한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을 수행해야 하므로,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한 검출 성능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화 신호(Synchronous Signal, SS)는 1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일 수도 있고 2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ous Signal, SSS)일 수도 있으며, 1차 동기화 신호와 2차 동기화 신호로 구성된 동기화 신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될 수 있는바, 즉 복수의 동기화 신호는 중복하여 송신되는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는 ZC(Zadoff-Chu) 시퀀스 또는 의사 랜덤 시퀀스 등과 같은 시퀀스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후에 송신한 신호는 다른 타입의 동기화 신호, 파일럿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와 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대응 관계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와 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사전에 약정된 고정된 시간 주파수 자원을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동기화 신호와 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시간 주파수 자원은 고정된 전송 시간 단위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확정하는 방법으로는,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적용하여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포맷을 확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스크램블링을 확정한다.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ID는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ID일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셀 ID, 하이퍼셀(hypercell) ID, 시스템(system) ID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다중으로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에는 상이한 전송 파라미터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른바 전송 파라미터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예를 들어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서브캐리어, 서브밴드, 또는 복수의 이러한 자원들의 집합일 수도 있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호핑 패턴일 수 도 있음); 시간 도메인 자원(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심볼, 또는 정의된 다른 전송 시간 단위일 수도 있고, 이러한 자원들의 집합이거나 또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호핑 패턴일 수도 있음); 서브캐리어 간격; 및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예를 들어 지속 시간 길이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에 약정된 것이거나, 해당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에 약정된 것이면, 단말 기기가,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이러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고, 만약 이러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가 이러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되면, 단말 기기가 전송 파라미터를 포함한 동기화 신호를 검출한 후, 이 부분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전송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이러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다른 동기화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일부 동기화 신호 내에 포함된 네트워크측 ID에 따라 다른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동일한 빔포밍 가중치를 적용하여 이러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 가중치는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 또는 디지털 빔포밍 가중치, 또는 복합 빔포밍 가중치일 수 있다. 여기서 복합 빔포밍 가중치는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와 디지털 빔포밍 가중치를 연합한 가중치인바, 예를 들어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 및 디지털 빔포밍 가중치의 매트릭스 크로네커 곱(matrix Kronecker product), 또는 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동기화 신호 송신에 적용된 빔포밍 가중치는 와이드 빔포밍 가중치일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 빔포밍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동기화 신호는 보다 큰 커버리지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함에 있어서의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는, 단말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와 상응하게,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후에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실시 형태는, 단말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제1 동기화 신호에 대한 검출에 적용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단말 기기의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고, 단말 기기가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후에 송신되는 다른 신호를 검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가중치(본원에서는 이를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중복하여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동기화 신호에 적용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한 검출에 적용할 빔포밍 수신 가중치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품질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또는 수신 신호 세기, 또는 관련 피크 등 물리량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동일한 동기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이러한 가중치들 중 최적의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최적의 빔포밍 수신 가중치로,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또는 다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신 빔포밍 게인을 획득할 수 있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또는 다른 신호에 대한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단말 기기는 또한, 그에 의해 확정된,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한 검출에 사용되는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신호 송신에 사용될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단말 기기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와 단말 기기가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가 동일한 경우, 단말 기기에 의해 확정된,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한 검출에 사용되는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직접, 단말 기기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빔포밍 발신 가중치로 확정할 수 있다.
만약 단말 기기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와 단말 기기가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가 상이한 경우, 단말 기기에 의해 확정된,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한 검출에 사용되는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대응되는 각도 및 단말 기기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에 따라, 단말 기기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적으로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 기기가 주기적으로 이러한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여, 그의 후속적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검출에 사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 및/또는 신호 송신에 사용될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주기적으로 확정함으로써, 이러한 빔포밍 가중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관리 정보 바이트(MIB, Management Information Byte)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일 수 있다. 여기서, MIB에는 전송 시스템 대역폭 등 시스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파라미터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예를 들어 PRB, 서브캐리어, 서브밴드, 또는 복수의 이러한 자원들의 집합일 수도 있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호핑 패턴일 수 도 있음), 시간 도메인 자원(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심볼, 또는 정의된 다른 전송 시간 단위일 수도 있고, 이러한 자원들의 집합이거나 또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호핑 패턴일 수도 있음),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예를 들어 지속 시간 길이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에 약정된 것일 수 있거나, 단말 기기가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 내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확정한 것일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 내에 포함된 네트워크 ID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만약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에 약정된 것이면, 단말 기기가,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고, 만약 이러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가 동기화 신호 내에 포함되면, 단말 기기가 전송 파라미터를 포함한 동기화 신호를 검출한 후,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전송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동기화 신호 내에 포함된 네트워크측 ID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 전송 주기 내에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주기는 일반적으로 사전에 예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 주기 내에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에는 동일한 비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다중으로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는 상이한 전송 파라미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상응하게, 단말 기기가 상이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이러한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가중치를 적용하여 이러한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할 수 있다. 해당 빔포밍 가중치는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이거나, 또는 디지털 빔포밍 가중치, 또는 복합 빔포밍 가중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이한 빔포밍 가중치는 한 세트의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벡터일 수 있거나, 또는 한 세트의 어레이 관련 벡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리포팅할 수 있으며,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인 경우,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에서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이러한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경우,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네트워크 기기로 리포팅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적용된 빔포밍 가중치에 따라, 후속적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송신에 적용해야 할 빔포밍 가중치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후속적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빔포밍 가중치를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라 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 전송 주기 내의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인덱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 전송 주기 내에 4개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있으면, 2 비트 정보를 적용하여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리포팅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업링크 제어 채널 또는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리포팅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에 따라, 후속적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송신에 적용할 빔포밍 가중치를 확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채널 지시 정보에 따라, 후속적인 신호 송신에 적용할 빔포밍 가중치를 확정하는 가능할 일 실시 형태로는, 네트워크 기기가 그 전에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한 빔포밍 가중치를, 후속적인 신호 송신에 적용할 빔포밍 발신 가중치로 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동일한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고, 단말 기기로 하여금 그들 중에서 가장 좋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피드백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발신 가중치들 중에서 최적의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최적의 빔포밍 발신 가중치로, 후속적인 브로드캐스팅 채널 또는 다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보다 높은 빔포밍 게인을 획득할 수 있어, 후속적으로 송신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또는 다른 신호에 대한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네트워크 기기는 또한, 확정된, 후속적인 신호 송신에 적용되는 빔포밍 가중치에 따라, 그 후의 신호 수신에 적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는, 만약 네트워크 기기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와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가 동일한 경우, 확정된 후속적인 신호 송신에 적용될 빔포밍 가중치를 직접, 그 후의 신호 수신에 적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로 확정하는 것이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는, 만약 네트워크 기기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와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가 상이한 경우, 확정된, 후속적인 신호 송신에 적용될 빔포밍 가중치에 대응되는 각도(또는 위상) 및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유닛의 수에 기반하여, 그 후의 신호 수신에 적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확정된 후속적인 신호 송신에 적용될 빔포밍 가중치가 DFT 벡터이면, 해당 DFT 벡터에 대해 차원(길이) 확장을 수행한 후, 그 후의 신호 수신에 적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적인 각 브로드캐스팅 채널 전송 주기 내에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 채널 송신 주기는 사전에 약정된 것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적으로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로 하여금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에 따라 그의 신호 송신 및/또는 신호 수신에 적용될 빔포밍 가중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신호 전송 도면에 결부시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신호 전송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신호의 주기는 T1이고, 브로드캐스팅 채널 전송 주기는 T2이며, 여기서 T1=T2라고 가정한다. 네트워크 기기(예를 들어 기지국)이 하나의 동기화 주기 내의 동기화 신호(Synchronous Signal, SS) 시간 단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내에,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방식을 통해 네 개의 동기화 신호 SS1, SS2, SS3 및 SS4을 송신할 수 있으며, 이 네 개의 동기화 신호에 의해 동일한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점용된다.
여기서, 이 네 개의 동기화 신호에 동일한 아날로그 빔포밍 벡터와 시퀀스가 적용될 수 있다. 각 동기화 신호에는 1차 동기화 신호와 2차 동기화 신호가 포함된다.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약정된 시간 간격)이 지난 후, 네트워크 기기가 동기화 신호 SS1, SS2, SS3 및 SS4에 대응되는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를 송신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각각 네 개의 시간 단위 내에 시분할 다중화(Time-Division Multiplexing, TDM) 방식으로 각각 PBCH1, PBCH2, PBCH3 및 PBCH4인 네 번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바, 네 번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포함된 정보는 동일하고, 해당 시간 단위 내에서 점용하는 시간 주파수 자원도 동일하나, 상이한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수신단에서, 단말 기기가 우선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여,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로 네 개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네 개의 동기화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측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 16 개의 수신 안테나가 구비된 것으로 가정하면, 길이가 16인 4 개의 DFT 벡터를 적용하여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 기기가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후속적인 해당 브로드캐스팅 채널 및 다른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을 위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로 한다.
이어서, 단말 기기가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네 개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각각 검출하고, 수신 전력에 대한 측정을 통해 이들 중에서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확정하며, 해당 브로드캐스팅 채널 인덱스(2 비트로서 각각 4 개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대응됨)를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를 통해 네트워크 기기로 리포팅한다.
단말 기기는 각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여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신호 전송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신호 전송 방법에 비해,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상이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점용하는 대신에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점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 기기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해당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해야 한다.
도 6은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신호 전송 방법의 다른 일 예시도이다. 여기서, 동기화 신호의 주기는 T1이고, 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주기는 T2이며, T2≥2T1이다.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주기 내의 동기화 신호(SS) 시간 단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내에 1차 동기화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가 FDM 방식을 통해, 각각 PSS1, PSS2, PSS3 및 PSS4인 네 개의 1차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바, 즉 PSS1, PSS2, PSS3 및 PSS4가 동일한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점용한다. PSS1, PSS2, PSS3 및 PSS4에는 동일한 복합 빔포밍 벡터와 시퀀스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한 동안의 시간이 지난 후의 물리 자원에서 2차 동기화 신호(SSS)를 송신하고, 2차 동기화 신호는 한 번만 송신된다.
이어서, 한 동안의 시간이 지난 후에, 네트워크 기기가 PSS1, PSS2, PSS3 및 PSS4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각각 네 개의 시간 단위 내에 TDM 방식으로 각각 PBCH1, PBCH2, PBCH3 및 PBCH4인 네 번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한다. PBCH1, PBCH2, PBCH3 및 PBCH4에 포함된 정보는 동일하고, 해당 시간 단위 내에 점용되는 시간 주파수 자원도 동일하나, 상이한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가 적용된다.
수신단에서, 단말 기기가 우선 동기화 신호를 검출한다. 단말 기기가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로 네 개의 1차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네 개의 1차 동기화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측정한다.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1차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후속적인 2차 동기화 신호,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및 다른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을 위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로 한다.
단말 기기가 2차 동기화 신호를 검출한 후,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네 개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각각 검출한다. T2≥2T1이므로, 단말 기기는 적어도 두 개의 동기화 주기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 후 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신호 전송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신호 전송 방법에 비해, 1차 동기화 신호가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점용하는 대신에 상이한 시간 도메인 자원(시간 단위)을 점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상이한 시간 단위에서 해당 1차 동기화 신호을 검출해야 한다.
아래에 도 8 내지 도 13에 결부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800)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8의 네트워크 기기(800)는 도 2 내지 도 7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단계를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800)는 제1 송신 모듈(810) 및 제2 송신 모듈(820)를 포함한다.
제1 송신 모듈(810)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송신 모듈(820)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의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 기기가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동일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확정한 것이고,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확정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송신 모듈(8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에는 동일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이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이고,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HARQ 리던던시 버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및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된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그 후의 브로드캐스팅 채널 송신에 적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1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상기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그 후에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데 적용될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2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어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에는 동일한 MIB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다중으로 송신된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매핑 관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MIB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900)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9의 단말 기기(900)는 도 2 내지 도 7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단계를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900)는 제1 검출 모듈(910) 및 제2 검출 모듈(920)을 포함한다.
제1 검출 모듈(910)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2 검출 모듈(920)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것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이므로,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의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할 수 있어, 단말 기기가 후속적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검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에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검출 모듈은 구체적으로,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정하고, 확정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검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검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제1 동기화 신호에 대한 검출에 적용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다른 신호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동기화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HARQ 리던던시 버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경우, 상기 단말 기기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어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매핑 관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기본 시스템 정보인 관리 정보 바이트(MIB, Management Information Byte)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10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도 10의 네트워크 기기(1000)는 도 2 내지 도 7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단계를 실행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1000)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1020), 수신기(1030) 및 송신기(1040)를 포함한다.
메모리(1010)은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020)는 상기 메모리(1010) 내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0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기(1040)를 호출하여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1020)는 또한, 상기 송신기(1040)를 호출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의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 기기가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신기(1040)는 구체적으로,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동일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확정한 것이고, 상기 송신기(1040)는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확정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신기(1040)는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에는 동일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신기(1040)는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이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이고,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HARQ 리던던시 버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1020)는 또한 상기 수신기(1030)를 호출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1020)는 또한,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된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그 후의 브로드캐스팅 채널 송신에 적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도록 구성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10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상기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신기(1030)는 구체적으로, 제어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1020)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 데 적용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그 후에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데 적용될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다중으로 송신된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매핑 관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기본 시스템 정보인 MIB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1100)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의 단말 기기(1100)는 도 2 내지 도 7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단계를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1100)는 메모리(1110), 프로세서(1120), 수신기(1130) 및 송신기(1140)를 포함한다.
메모리(1110)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120)는 상기 메모리(1110) 내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120)는 수신기(1130)를 호출하여,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의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후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 기기가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의 신호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11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1130)를 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에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11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1130)를 호출하여,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정하고, 확정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11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1130)를 호출하여,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제1 동기화 신호에 대한 검출에 적용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후에 송신되는 상기 다른 신호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동기화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1120)는 또한,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이고,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HARQ 리던던시 버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1120)는 또한 상기 송신기(1140)를 호출하여,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11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기(1140)를 호출하여, 제어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매핑 관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기본 시스템 정보인 MIB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2의 시스템 칩(1200)은 입력 인터페이스(1210), 출력 인터페이스(122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30) 및 메모리(1240)을 포함하며, 상기의 입력 인터페이스(1210), 출력 인터페이스(1220), 프로세서(1230) 및 메모리(1240) 사이는 버스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1230)은 상기 메모리(1240) 내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230)는 도 2 내지 도 7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의 시스템 칩(1300)은 입력 인터페이스(1310), 출력 인터페이스(132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30) 및 메모리(1340)을 포함하며, 상기의 입력 인터페이스(1310), 출력 인터페이스(1320), 프로세서(1330) 및 메모리(1340) 사이는 버스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1330)은 상기 메모리(1340) 내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330)는 도 2 내지 도 7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일종의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다. 실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완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다이오드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가능 또는 실행 가능하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결부시켜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완료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완료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 해당 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고, 프로세서가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여, 그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외부 고속 캐시로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화된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강화된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과 방법의 메모리에는 상기 메모리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대다수 경우에 호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바,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및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인 세가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의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와 상응한 B"는 B와 A가 상호 관련되고, A에 따라 B를 확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추가적으로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A에 따라 B를 확정한다는 것은 오직 A에 따라 B를 확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A 및/또는 다른 정보에 따라 B를 확정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각 예시적인 유닛 또는 알고리즘 단계를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구속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가라면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인정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설명상 편의와 간결을 위해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해당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몇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응당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분리는 단지 논리적 기능상의 분리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 시에 다른 분리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또는 언급된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된 컴포넌트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컴포넌트는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즉 하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적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 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인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공헌을 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이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팅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약간의 지령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포함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치환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고, 이들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60)

  1.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에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확정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제1 동기화 신호에 대한 검출에 적용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다른 신호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동기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HARQ) 리던던시 버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제어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매핑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관리 정보 바이트(MIB)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6.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동일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9.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0. 청구항 16 내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1.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네트워크 기기가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2.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에는 동일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이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4. 청구항 22 또는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HARQ) 리던던시 버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5.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된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그 후의 신호 송신에 적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7. 청구항 25 또는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그 후에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데 적용될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8.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어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9.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으로 송신된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매핑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0.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관리 정보 바이트(MIB)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1. 단말 기기로서,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검출 모듈; 및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3. 청구항 31 또는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4.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에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5.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모듈은,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정하고, 확정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6.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모듈은, 상이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검출 모듈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제1 동기화 신호에 대한 검출에 적용한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다른 신호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동기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8. 청구항 36 또는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9.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HARQ) 리던던시 버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1. 청구항 39 또는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제어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3. 청구항 41 또는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4.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4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매핑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5.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4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관리 정보 바이트(MIB)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6. 네트워크 기기로서,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제외한 다른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는 동일한 시퀀스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8. 청구항 46 내지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하나의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 동일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수의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9. 청구항 46 내지 4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0. 청구항 46 내지 청구항 4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전 약정된 전송 파라미터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들 중 일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확정된 전송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1. 청구항 46 내지 청구항 5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확정한 것이고,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확정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2. 청구항 46 내지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에는 동일한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3.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가 송신된 후, 상이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4. 청구항 52 또는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전송 파라미터인, 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HARQ) 리던던시 버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 스크램블링 방식,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5. 청구항 52 내지 청구항 5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들 중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6.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된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그 후의 신호 송신에 적용될 제1 빔포밍 발신 가중치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7. 청구항 55 또는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제1 브로드캐스팅 채널의 송신에 적용한 빔포밍 발신 가중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그 후에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데 적용될 제1 빔포밍 수신 가중치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8. 청구항 55 내지 청구항 5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제어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브로드캐스팅 채널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9. 청구항 46 내지 청구항 5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으로 송신된 상기 동기화 신호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과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은 예정된 매핑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0. 청구항 46 내지 청구항 5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은 관리 정보 바이트(MIB)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KR1020187030288A 2016-06-21 2016-06-21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KR102487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86568 WO2017219241A1 (zh) 2016-06-21 2016-06-21 传输信号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613A true KR20190018613A (ko) 2019-02-25
KR102487332B1 KR102487332B1 (ko) 2023-01-10

Family

ID=6078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288A KR102487332B1 (ko) 2016-06-21 2016-06-21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0880846B2 (ko)
EP (2) EP3425970B1 (ko)
JP (1) JP6884798B2 (ko)
KR (1) KR102487332B1 (ko)
CN (2) CN111884780B (ko)
CA (1) CA3043786C (ko)
ES (1) ES2889909T3 (ko)
HK (1) HK1258342A1 (ko)
MX (1) MX2018014288A (ko)
PL (1) PL3425970T3 (ko)
TW (1) TWI746573B (ko)
WO (1) WO2017219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0134B (zh) * 2016-12-28 2023-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波束调整的方法及装置
US10798602B2 (en) * 2017-07-31 2020-10-06 Qualcomm Incorporated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radio link monitoring for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in shared spectrum
CN108781425B (zh) * 2018-06-21 2021-01-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同步信号的方法及装置
CN110769495B (zh) * 2018-07-27 2021-07-23 莆田市湄洲湾北岸经济开发区忠门隽永昇研发中心 通信的方法和装置
US11184232B2 (en) * 2018-11-26 2021-11-23 Eagle Technology, Llc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enhanced RF equipment configuration updates for mobile vehicles based upon reward matrices and related methods
US20230007603A1 (en) * 2019-12-09 2023-01-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enabling a reduced bandwidth wireless device to access a cell
US11696312B2 (en) 2020-11-24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and state dependent user equipment beam patter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649A1 (en) *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nding and detecting synchronization signals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message
KR20150140273A (ko) * 2013-03-21 201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채널 방법, 방송채널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6057193A1 (en) * 2014-10-10 2016-04-14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 for a cellular internet of things system
KR20160042995A (ko) * 2013-08-16 2016-04-2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허가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lte/lte-a 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다운링크 절차들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9412A1 (en) 2006-02-15 2007-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ounding packet exch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2111846A (zh) 2009-12-29 2011-06-29 上海无线通信研究中心 一种解决多载波系统中上行prach资源拥塞的方法
US9375455B2 (en) * 2011-10-18 2016-06-28 Campbell University Treatment of withdrawal symptoms to aid in nicotine use cessation with Passiflora incarnata
WO2012103853A2 (zh) 2012-04-17 2012-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接收和发送信号的方法、发射机、接收机及其系统
WO2014052412A2 (en) 2012-09-26 2014-04-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operation in long-term evolution (lte) systems
WO2014086409A1 (en) * 2012-12-05 2014-06-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odes for transmitting broadcas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80388A (ko) * 2012-12-20 2014-06-30 주식회사 팬택 셀 확인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20140204851A1 (en) * 2013-01-18 2014-07-2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hysical broadcast channel for new carrier type in long term evolution
US9369252B2 (en) 2013-01-25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reference signal phase discontinuity and sequence initialization
US9847863B2 (en) * 2013-01-30 2017-1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ging procedures using an enhanced control channel
JP6392792B2 (ja) * 2013-03-17 2018-09-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放送チャネル信号送受信方法、及びこれらの方法を支援する装置
US20160288118A1 (en) 2013-03-20 2016-10-06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Pipette components useful for medical diagnostics
WO2014161106A1 (en) * 2013-04-01 2014-10-09 Broadcom Corporation Enhanced synchronization channel for wireless devices
US9750044B2 (en) 2013-05-10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synchronization
WO2014204365A1 (en) * 2013-06-19 2014-12-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ntenna points
CN103402251B (zh) * 2013-08-09 2017-02-22 上海瀚讯无线技术有限公司 同步信息收发方法、信道映射解析方法、控制信息发送方法
EP2860995B1 (en) * 2013-10-11 2018-01-10 HTC Corporation Method of extending transmission coverage and base station using the same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DE102013221870B4 (de) 2013-10-28 2021-09-3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bindungsanordnung zur Verbindung mindestens einer als Zelle ausgestalteten Spannungsquelle und/oder -senke mit einem externen elektrischen Bauelement und elektrische Anordnung umfassend eine Verbindungsanordnung
CN105723639B (zh) * 2013-11-27 2018-06-0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分别发送和检测同步信号和相关联的信息的网络节点、无线设备及其中的方法
CN103916171B (zh) 2014-04-04 2018-08-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波束赋形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9680547B2 (en) 2014-05-15 2017-06-13 Mediatek Inc. Methods for efficient beam training and network control device utilizing the same
KR101518395B1 (ko) 2014-11-17 2015-05-15 구본훈 스마트 레이저 폰
US9474014B2 (en) * 2014-12-23 2016-10-18 Intel Corporation Method of processing received digitized signals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10123348B2 (en) * 2015-04-01 2018-11-06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activation and scheduling request procedures
US10924232B2 (en) * 2016-03-30 2021-02-16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ference signal for broadcast decoding
EP3291631A1 (en) * 2016-09-01 2018-03-07 Gemalto M2M GmbH Method for setting up a communication link of a wireless terminal with a cellular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273A (ko) * 2013-03-21 201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채널 방법, 방송채널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60042995A (ko) * 2013-08-16 2016-04-2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허가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lte/lte-a 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다운링크 절차들
WO2015080649A1 (en) *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nding and detecting synchronization signals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message
WO2016057193A1 (en) * 2014-10-10 2016-04-14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 for a cellular internet of thing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4798B2 (ja) 2021-06-09
CN109076433A (zh) 2018-12-21
CN109076433B (zh) 2020-08-04
US11452054B2 (en) 2022-09-20
CN111884780A (zh) 2020-11-03
EP3425970A4 (en) 2019-01-09
WO2017219241A1 (zh) 2017-12-28
HK1258342A1 (zh) 2019-11-08
US20190166568A1 (en) 2019-05-30
CA3043786C (en) 2021-07-13
TW201801553A (zh) 2018-01-01
KR102487332B1 (ko) 2023-01-10
US10880846B2 (en) 2020-12-29
ES2889909T3 (es) 2022-01-14
PL3425970T3 (pl) 2021-12-13
MX2018014288A (es) 2019-02-14
EP3425970B1 (en) 2021-07-07
JP2019522910A (ja) 2019-08-15
CN111884780B (zh) 2023-04-07
EP3425970A1 (en) 2019-01-09
EP3905787A1 (en) 2021-11-03
TWI746573B (zh) 2021-11-21
CA3043786A1 (en) 2017-12-28
US20200344705A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45007B (zh) 信令指示和接收方法、装置及通信系统
KR102487332B1 (ko)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US11405896B2 (en) Sidelink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TW201927067A (zh) 通道狀態資訊參考訊號無線資源管理測量方法及使用者設備
KR20190088473A (ko) 측정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CN111418247A (zh) 参考信号资源的发送位置的指示方法、装置及通信系统
US1154604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1130741A (zh) 通信方法和设备
KR20190055142A (ko)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EP3668148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A3051010C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s
CN112119595B (zh) 一种信号加扰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1757545B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20230188195A1 (en) Efficient enhanced sr failure handling for sr sweeping
CN114208262B (zh) 载波测量方法和装置
CN107079489B (zh) 信号传输方法和网络设备
CN107623934B (zh) 一种接入方法及装置
CN114285501A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