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507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507A
KR20190017507A KR1020170102450A KR20170102450A KR20190017507A KR 20190017507 A KR20190017507 A KR 20190017507A KR 1020170102450 A KR1020170102450 A KR 1020170102450A KR 20170102450 A KR20170102450 A KR 20170102450A KR 20190017507 A KR20190017507 A KR 20190017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rol unit
signal
remote contro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507A/ko
Publication of KR2019001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K9/0028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06V40/171Local features and components; Facial parts ; Occluding parts, e.g. glasses; Geometrical relationship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4Speech recognition using non-acoustical features
    • G10L15/25Speech recognition using non-acoustical features using position of the lips, movement of the lips or face analy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원격제어장치 내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는,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송 영상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에서, 다양한 기능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음성 인식 기능이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음성 인식시, 주변 노이즈가 많은 경우, 음성 인식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 영상의 이미지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자막을 생성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원격제어장치 내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카메라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카메라와, 원격제어장치 내의 마이크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카메라와, 마이크와,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마이크와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자막 생성 모드에서, 입력되는 영상 내의 입 주변 영역을 추출하고, 입력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와, 추출된 입 주변 영역 내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자막을 생성하며, 생성된 자막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원격제어장치 내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디오 신호 외에, 추가로,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음성 인식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의 입 모양 이미지에 기초하여,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카메라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카메라와, 원격제어장치 내의 마이크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표시장치는, 카메라와, 마이크와,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마이크와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자막 생성 모드에서, 입력되는 영상 내의 입 주변 영역을 추출하고, 입력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와, 추출된 입 주변 영역 내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자막을 생성하며, 생성된 자막을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입력 영상의 이미지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자막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e는 도 5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d는 도 9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와,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하고,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마이크(296)와 카메라(295)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마이크(296)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295)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디오 신호 외에, 추가로,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음성 인식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의 입 모양 이미지에 기초하여,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와,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와, 카메라(195)를 포함하고,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카메라(195)와,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마이크(296)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마이크(296)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195)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는, 카메라(195)와, 마이크(196)와,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마이크(196)와 카메라(195)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마이크(196)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195)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제어부(170)는, 자막 생성 모드에서, 입력되는 영상 내의 입 주변 영역을 추출하고, 입력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와, 추출된 입 주변 영역 내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자막을 생성하며, 생성된 자막을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입력 영상의 이미지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자막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다양한 동작방법에 대해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5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8e는 도 5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7a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701)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10).
한편, 도 7a는, 홈 화면으로서, 방송 영상(701)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 입력이 있는 경우(S520), 음성 인식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모드 입력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메뉴 하의 음성 인식 모드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소정 버튼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 진입에 따라, 마이크와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30),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에 마이크(296)와 카메라(295)가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 진입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활성화 신호에 기초하여 마이크(296)와 카메라(295)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표시장치치(100)에 마이크(196)와 카메라(195)가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 진입에 따라, 마이크(196)와 카메라(195)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표시장치치(100)에 카메라(195)가 있으며, 원격제어장치에 마이크(296)이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 진입에 따라, 카메라(195)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며, 원격제어장치(200)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활성화 신호에 기초하여 마이크(296)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등의 발화가 있는 경우, 활성화된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S540).
이때, 이미지 신호는, 사용자의 입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식된 음성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50).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음성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한 경우, 음성 입력을 대기한다(S610).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에 진입한 경우, 마이크를 온(S620)하고, 카메라를 온(S630)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의 온 이후,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S622),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마이크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단어 또는 문장을 인식하고(S624), 인식된 단어 또는 문장을 제1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S626).
다음, 카메라 온 이후,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화자를 인식할 수 있다(S631).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화자 인식 이후, 화자의 입 주위를 포커싱하고(S632), 포커싱된 화자의 입 주위 이미지에 기초하여, 특징을 추출하고(S634), 추출된 특징에 기초하여, 포커싱된 입 모양으로부터 단어 또는 문장을 인식하고(S636), 인식된 단어 또는 문장을 제2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S637).
한편, 추출된 특징은, 제620 단계에서의 음성 입력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입력시, 추출된 특징을 활용하여, 오디오 신호의 특정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입모양에 따른 첫음, 끝음, 단어별 발화 길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화자의 입술 모양의 변화가 일정시간 없고, 음성입력도 없는 경우 발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끝점을 검출하고, 음성입력 단계를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발화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대화를 느리게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에 맞게 Voice Agent 도 TTS 시스템 응답의 속도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오디오 신호에 기반하여 변환된 제1 텍스트와, 이미지 신호에 기반하여 변환된 제2 텍스트를 비교하고(S640), 비교 이후, 음성 인식 완료를 수행한다(S645).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50).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얼굴 위치, 얼굴 위치에서 입술 모양 및 움직임의 특징을 추출하고, 입술 리딩(Lip reading)과 음성 인식을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음성인식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음성 인식시, 주변 노이즈가 많은 경우, 음성 인식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a는, 홈 화면으로서, 방송 영상(701)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소정키 동작 등에 의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296)와 카메라(295)가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296)와 카메라(295)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들고, "유튜브 보여줘"와 같은 음성(71)을 발화하는 경우, 카메라(295)는 사용자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마이크(296)는, 사용자 음성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내부 신호 처리를 통해, 카메라(295)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Sri)와, 마이크(296)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Svd)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송될 수 있으며, 특히, RF 모듈(421)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Sr1)의 예로, 도 7c에서는, 입 주변의 이미지를 예시하나, 이와 달리, 사용자 촬영 이미지 전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입 주변의 이미지를 전송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가, 움성 인식 모드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입 주변의 이미지만 추출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 신호(Sri), 오디오 신호(Svd)에 기초하여, 도 5 및 도 6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유튜브 보여줘"와 같은 음성(71)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도 7d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 내의 유튜브 항목(715a)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유튜브의 서버의 접속하여, 도 7e와 같이, 유튜브 화면(7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카메라(295), 마이크(296)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므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영상 표시시 출력되는 사운드에, 영향을 덜 받게 되며, 따라서, 정확한 음성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e와 달리,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296)와, 영상표시장치(100)의 카메라(195)를 활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한편, 도 8a는, 홈 화면으로서, 방송 영상(701)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소정키 동작 등에 의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296)가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카메라(195)가 활성화되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296)와 카메라(195)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도 8b와 같이,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들고, "유튜브 보여줘"와 같은 음성(71)을 발화하는 경우, 카메라(195)는 사용자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마이크(296)는, 사용자 음성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내부 신호 처리를 통해, 마이크(296)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Svd)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송될 수 있으며, 특히, RF 모듈(421)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카메라(195)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Sria)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입 주변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미지 신호(Sria)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Svd)에 기초하여, 도 5 및 도 6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유튜브 보여줘"와 같은 음성(71)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도 8d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 내의 유튜브 항목(715a)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유튜브의 서버의 접속하여, 도 8e와 같이, 유튜브 화면(7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카메라(195), 마이크(296)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므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영상 표시시 출력되는 사운드에, 영향을 덜 받게 되며, 따라서, 정확한 음성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1d는 도 9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11a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701)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10).
한편, 도 11a는, 홈 화면으로서, 방송 영상(701)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자막 생성 모드 입력이 있는 경우(S920), 자막 생성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자막 생성 모드 입력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메뉴 하의 자막 생성 모드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소정 버튼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자막 생성 모드 진입에 따라, 입력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입력 영상 내의 입 주변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S930),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추출된 오디오 신호와, 추출된 입 주변 영역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른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S940).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생성된 자막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50).
자막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자막 생성 모드에 진입한 경우, 입력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와 이미지 신호를 분리한다(S1010).
오디오 신호 분리 이후,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오디오 데이터를 인식하고(S1022), 음성 데이터를 구간 별로 구분하고(S1024), 음성 인식기를 활용하여(S1004),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인식된 단어 또는 문장을 제1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S1026).
다음, 이미지 신호 분리 이후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S1030).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미지 내의 화자를 인식할 수 있다(S1031).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화자 인식 이후, 화자의 입 주위를 포커싱하고(S1032), 포커싱된 화자의 입 주위 이미지에 기초하여, 특징을 추출하고(S1034), 추출된 특징에 기초하여, 포커싱된 입 모양으로부터 단어 또는 문장을 인식하고(S1036), 인식된 단어 또는 문장을 제2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S1037).
한편, 추출된 특징은, 제1020 단계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인식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추출된 특징을 활용하여, 오디오 신호의 특정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입모양에 따른 첫음, 끝음, 단어별 발화 길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화자의 입술 모양의 변화가 일정시간 없고, 음성입력도 없는 경우 발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끝점을 검출하고, 음성입력 단계를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화자의 발화 특성을 고려하여 화자가 대화를 느리게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에 맞게 Voice Agent 도 TTS 시스템 응답의 속도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오디오 신호에 기반하여 변환된 제1 텍스트와, 이미지 신호에 기반하여 변환된 제2 텍스트를 비교하고(S1040), 비교 이후, 음성 인식을 완료하고, 이에 따라, 자막을 생성한다(S1045).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생성된 자막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50).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입력 영상 내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얼굴 위치, 얼굴 위치에서 입술 모양 및 움직임의 특징을 추출하고, 입술 리딩(Lip reading)과 음성 인식을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음성 인식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음성 인식시, 주변 노이즈가 많은 경우, 음성 인식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주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음성 인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a는, 소정 영상(10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1차 대피소입니다"와 같은 사운드(1014)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의 소정키 동작 등에 의해, 자막 생성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11b와 같은, 잠가 표시 모드 진입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015)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막 생성 모드로 진입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입력 영상의 오디오 신호와 이미지 신호를 분리하고, 이미지 신호와 오디오 신호 각각에 기반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9 및 도 10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 영상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11c와 같이, 분리된 오디오 신호(Svdb)와 화자의 입 모양 이미지(Srib)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자막 생성 완료 후, 도 11d와 같이, 생성된 자막(1025)을 영상(1020) 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1a와 도 11d에서 도시된 사운드 및 그에 따른 자막이 동일한 것으로 예시하나, 이와 달리, 자막 생성 모드 이후,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사운드와, 그에 따른 자막 생성을 수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 내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신호는,
    사용자의 입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 주위를 포커싱하고, 상기 포커싱된 입 모양으로부터 단어 또는 문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단어 또는 문장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단어 또는 문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단어 또는 문장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변환된 제1 텍스트와, 상기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변환된 제2 텍스트를 비교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원격제어장치 내의 마이크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카메라;
    마이크;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상기 마이크와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막 생성 모드에서, 입력되는 영상 내의 입 주변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입력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추출된 입 주변 영역 내의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자막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자막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단어 또는 문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단어 또는 문장을 제1 텍스트로 변환하며,
    상기 이미지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 주위를 포커싱하고, 상기 포커싱된 입 모양으로부터 단어 또는 문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단어 또는 문장을 제2 텍스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제1 텍스트와, 상기 변환된 제2 텍스트를 비교하여, 자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70102450A 2017-08-11 2017-08-11 영상표시장치 KR20190017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450A KR20190017507A (ko) 2017-08-11 2017-08-11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450A KR20190017507A (ko) 2017-08-11 2017-08-11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507A true KR20190017507A (ko) 2019-02-20

Family

ID=6556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450A KR20190017507A (ko) 2017-08-11 2017-08-11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5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42A1 (ko) * 2019-03-12 202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142131A (ko) * 2019-06-11 2020-12-2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음성인식 장치 및 음성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WO2023074956A1 (ko) * 2021-10-29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리모컨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42A1 (ko) * 2019-03-12 202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881213B2 (en) 2019-03-12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200142131A (ko) * 2019-06-11 2020-12-2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음성인식 장치 및 음성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WO2023074956A1 (ko) * 2021-10-29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리모컨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078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135092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1113429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EP322612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304879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400469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 작방법
KR20190017507A (ko) 영상표시장치
EP3731510B1 (en) Mobile terminal for remote controlling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source and the presentation device
KR102287510B1 (ko) 서버, 영상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60027770A (ko)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90007B1 (ko) 영상제공장치,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3133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3003957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3947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5288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97023A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81839B1 (ko) 영상제공장치
KR20170112099A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39479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16662A (ko) 영상표시장치
KR102205160B1 (ko)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81650A (ko) 영상제공장치
KR101896257B1 (ko) 원격제어장치,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13736A (ko) 영상제공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