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205A - PTRS power boosting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PTRS power boosting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205A
KR20190017205A KR1020170101660A KR20170101660A KR20190017205A KR 20190017205 A KR20190017205 A KR 20190017205A KR 1020170101660 A KR1020170101660 A KR 1020170101660A KR 20170101660 A KR20170101660 A KR 20170101660A KR 20190017205 A KR20190017205 A KR 20190017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rs
power boosting
information
environm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형주
유현일
김태영
노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205A/ko
Publication of KR20190017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PTRS의 pattern/density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power boosting에 관한 운영 및 지시 방법이 정의되어 있지 않아, 이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PTRS의 운영 및 지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송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PTRS power boosting의 경우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전송 환경에 따라 적절한 PTRS power boosting 구성 및 지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TRS power boosting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TRS POWER BOOSTING}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상 잡음 보상을 위한 PTRS를 power boosting 하기 위한 운영 및 지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 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는 4G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만으로는 충족시키기 어려운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파수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향후 5G 이후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phase noise의 영향으로 인한 신호 감쇄가 크게 발생한다. Phase noise는 오실레이터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로서, 이는 특히 고차 변조 방식(ex. 16QAM, 64QAM, 256QAM)을 사용하는 통신 환경에서는 phase noise로 인하여 발생하는 CPE(common phase error) 및 ICI로 인한 신호 감쇄로 인하여 신호 복원 능력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phase noise를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phase noise를 추정하기 하기 위한 새로운 reference signal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라 명명한다.
이처럼 PTRS는 phase noise, Doppler effect, 또는 동기 오차로 인한 위상 왜곡을 추정 및 보상하기 위한 훈련 신호이다. 위상 왜곡을 추정하기 위한 PTRS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SU-MIMO의 경우, PTRS의 port의 수는 송신단의 oscillator 수와 같다.
2. MU-MIMO의 경우, PTRS의 port의 수는 MU-MIMO를 수행하는 UE 숫자와 같아야 한다.
3. PTRS는 DMRS를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을 기반으로, 심볼간 위상 왜곡을 추정하기 때문에, DMRS의 port 수보다 적은 수의 port 수가 필요하다.
종래에 LTE 시스템에서는 cell reference signal(CRS)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CRS의 power를 boosting 시키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향후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새롭게 고려되는 PTRS 의 power boosting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많은 서비스들이 공존하는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PTRS의 configuration 및 다른 RS와의 연관 관계를 고려한 power boosting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특징 중 하나인, PTRS의 power boosting을 운영 및 지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PTRS configuration은 전송 환경에 따라서 다양하기 때문에 각 환경에 적합한 PTRS power boosting 및 지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DMRS와의 power boosting 관계를 지시하여 tracking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은 전송 환경에 기반하여 PTRS power boosting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를 통하여 각 단말은 power boosting을 고려하여 적합한 phase noise 보상 및 tracking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환경에 따라서 서로 다른 PTRS 요구 사항을 갖는 기지국 및 단말이 공존하는 시나리오에서 효율적으로 PTRS power boosting을 구성하고 단말은 자신의 서비스에 적합한 PTRS power boosting운영을 통하여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PTRS 시간/주파수 밀도에 따른 다양한 PTRS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single-user single TRP 환경에서의 PTRS 전송 환경의 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explicit 방법으로 PTRS power boosting 정보를 지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higher layer signaling으로 전송되는 power boosting 조합에 관한 table의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implicit 방법으로 PTRS power boosting 정보를 지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single-user multi-TRP에서의 PTRS 전송 환경의 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각 TRP의 power boosting 정보를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전달해 주는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TRP 간의 power boosting offset을 전달해주는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MU-MIMO 환경에서의 PTRS 전송의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MU-MIMO 환경에서 PTRS power boosting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DMRS와 PTRS power boosting offset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하여 지시되는 DMRS pattern에 따른 PTRS와의 power boosting offset table의 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Phase noise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한 PTRS의 구성은 다양한 시스템 요소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sub-carrier spacing, Scheduled RB, MCS level, SINR, Channel, Doppler, CFO 등의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phase noise의 영향은 달라진다. 이는 phase noise를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PTRS의 구성이 전송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앞서 서술한 요소들에 기반하여 PTRS 시간/주파수 밀도에 따른 다양한 PTRS 구성을 나타낸다. 시간축으로 every symbol, every other symbol, every 4th symbol 등의 다양한 시간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주파수축으로도 모든 RB, every 2nd RB, every 4th RB 등 다양한 density에 따라 PTRS를 할당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PTRS는 sub-carrier spacing, MCS level, scheduled RB 등의 요소에 의해서 다양한 configuration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power boosting을 수행할 시 서로 다른 power boosting 운영을 수행해야 한다. 도 2는 single-user single TRP 환경에서의 전송 환경의 한 예시를 나타낸다. Layer A, B, C가 각각 서로 다른 MCS level을 갖고 있다면 각 layer 별로 서로 다른 PTRS density를 갖게 된다. 도 2의 예시에서 Layer A는 time density는 every symbol을 갖고 frequency density는 every RB를 형성하고 있다. Layer B는 time density는 every other symbol을 갖고 frequency density는 every 2nd RB를 형성하고 있다. Layer C는 time density는 every 4th symbol을 갖고 frequency density는 every RB를 형성하고 있다. Single-user 환경에서 PTRS의 간섭 제어를 위해 PTRS/PTRS 또는 PTRS/data 간의 orthogonal multiplexing을 가정하였다. Orthogonal multiplexing을 위해서 각 Layer는 다른 Layer의 PTRS가 사용하는 RE는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비어두게 된다. 따라서 각 Layer의 PTRS는 사용하지 않는 RE의 power를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power boosting을 수행할 수 있다. LTE의 CRS는 모든 RB에 대하여 동일한 power boosting을 적용할 수 있는 것과 달리 PTRS는 RB 마다 서로 다른 PTRS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power boosting 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Layer A, RB1의 첫 번째 PTRS symbol은 2개의 빈 RE의 파워를 boosting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2,3번째 PTRS symbol은 1개의 빈 RE 파워만 boosting으롤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B2에서는 첫 번째 PTRS symbol은 RB1과 달리 1개의 빈 RE 파워만 boosting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full power를 사용한다는 가정하에서 Layer B의 5번째 OFDM symbol은 다른 Layer에서 PTRS를 사용하기 때문에 RE를 비워두어야 하지만 power boosting을 하는 PTRS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full power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PTRS power boosting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PTRS density/pattern에 따라서 power boosting을 결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PTRS 의 power boosting을 전체 할당된 RB 중 비어있는 RE의 파워를 평균적으로 PTRS RE의 power boosting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각 RB 별로 PTRS RE의 power를 boost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PTRS power boosting 관련 정보를 지시해주는 방법은 explicit 하게 지시하는 방법과 implicit하게 지시해주는 방법 모두 고려될 수 있다.
도 3은 explicit 방법으로 PTRS power boosting 정보를 지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High layer signaling을 통하여 PTRS pattern/density에 따른 power boosting의 조합에 관한 table을 전송한다. 각각의 table은 특정 pattern/density과 RB 별 power boosting 수행 방법에 따라서 구성된다. 단말은 기존에 DCI를 통해서 지시되는 sub-carrier spacing, MCS level, scheduled RB를 통하여 PTRS의 pattern/density를 알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어떤 table을 선택할 것인지 결정한다. 이후 추가적으로 DCI를 통하여 table 중 특정 power boosting value를 지시하여 준다. 이를 통하여 단말은 해당 RB에서 PTRS port의 power boosting 값을 알고 이를 기반으로 phase noise 보상 및 tracking 등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3에서 higher layer signaling으로 전송되는 power boosting 조합에 관한 table의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higher layer signal은 RRC/MAC CE 등 상위 계층 신호 전송을 의미한다. 각 PTRS pattern/density의 조합 및 RB 내에서 각 PTRS port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power boosting 값을 선택한다.
도 5는 implicit 방법으로 PTRS power boosting 정보를 지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RB 별 PTRS power boosting을 수행하였는지에 관한 정보만을 단말에게 High layer signal 또는 DCI를 통해 지시해준다. 단말은 기존에 DCI를 통해서 지시되는 sub-carrier spacing, MCS level, scheduled RB를 통하여 PTRS의 pattern/density를 결정하고 각 PTRS RE의 power boosting은 RB 별로 독립적으로 혹은 전체 비어있는 RE의 파워를 평균하여 균등적으로 power boosting 되었는지에 따라서 phase noise 보상 및 tracking을 수행한다.
도 6는 single-user multi-TRP에서의 PTRS 전송 환경의 한 예시를 나타낸다. 각 TRP는 서로 다른 MCS level을 갖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single-user single-TRP 환경과 유사하게 single-user 환경의 PTRS/PTRS, PTRS/data 간의 orthogonal multiplexing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각 TRP는 인접 TRP에서 사용하는 PTRS port의 RE들을 비워두어야 한다. 달리 multi-TRP 환경에서는 power 제한이 각 TRP 별로 존재하기 때문에 power boosting 값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multi-TRP 환경에서는 각 TRP의 power boosting의 정보를 모두 알려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각 TRP의 Higher layer signal 및 DCI 정보를 통해서 개별적인 power boosting에 관한 정보를 지시해 줄 수 있다. 앞서 도 3, 4, 5를 통해서 전달해 주었던 power boosting에 관한 정보를 TRP에서 개별적으로 전달해주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사전에 TRP 간에 서로의 PTRS configuration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추가적인 signaling에 관한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TRP 간의 power boosting offset을 지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TRP1의 power boosting 대비 TRP2의 power boosting에 관한 차이에 관한 정보만을 Higher layer signal 또는 DCI를 통하여 단말에게 전달하여 주고 단말은 TRP1 대비 offset 만큼 power boosting을 TRP2에 적용하여 phase noise 보상 및 tracking을 수행한다. 도 7은 각 TRP의 power boosting 정보를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전달해 주는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TRP 간의 power boosting offset을 전달해주는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MU-MIMO 환경에서의 PTRS 전송의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앞서 도 2에서 multi-layer 전송과 유사하게 3명의 단말에게는 서로 다른 MCS level이 적용 될 수 있기 때문에 각 단말은 서로 다른 PTRS pattern/density를 할당받을 수 있다. 하지만 도 2의 single-user는 PTRS/PTRS, PTRS/data 간 orthogonal multiplexing을 수행하는 것과 달리 도 9의 multi-user 환경에서는 PTRS/PTRS, PTRS/data 간 non-orthogonal multiplexing을 수행한다. 따라서 MU-MIMO환경에서는 빈 RE의 파워를 활용하여 PTRS의 power boosting을 수행할 수 없다. 하지만 PTRS의 phase noise 보상 성능 및 tracking 성능 향상을 위해서 PDSCH의 데이터의 파워를 강제적으로 낮추고 상대적으로 PTRS의 power를 boosting할 수 있다. 특히 PTRS/data 간 간섭의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data의 수신 신호의 파워 감소보다 phase noise 보상에 의한 성능 향상이 더 클 경우 PTRS power boosting을 수행할 수 있다. 각 단말은 다른 사용자의 PTRS pattern/density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각 단말의 PTRS power boosting에 관한 정보는 도 2, 3, 4의 single-user 환경과 다르게 전송되어야 한다. 도 10은 MU-MIMO 환경에서 PTRS power boosting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MU 환경에서 각 사용자의 PTRS pattern/density에 기반하여 단말 별 평균 power boosting을 수행한다. 이후 기지국은 각 단말에게 PDSCH와 PTRS의 power offset에 관한 정보를 higher layer signal 또는 DCI를 통하여 전달하여 준다. PDSCH와 PTRS의 power offset에 관한 정보는 각 단말의 PTRS pattern/density에 따라 모두 개별적으로 전달된다. 단말은 수신한 power offset 정보를 기반으로 PTRS를 활용한 phase noise 보상을 수행한다.
차세대통신 시스템에서 DMRS의 power boosting을 수행했을 경우, PTRS와 DMRS의 power boosting 이 서로 같은 비율로 되지 않고 서로 차등적으로 수행되었을 경우 power boosting ratio에 관한 정보를 통하여 phase noise 보상 및 tracking을 수행하였을 경우에는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DMRS와 PTRS가 모두 power boosting이 수행되었을 경우에는 DMRS의 power boosting과 PTRS power boosting의 차이를 power boosting offset 정보를 통하여 지시해 주어야 한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DMRS의 pattern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DMRS의 power boosting은 DMRS pattern에 따라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PTRS의 pattern/density도 DMRS의 pattern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고 power boosting도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DMRS와 PTRS power boosting offset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하여 DMRS pattern에 따른 PTRS와의 power boosting offset에 관한 table을 전달한다. 이후 DMRS와 PTRS를 power boosting 수행한 후 DCI를 통하여 power boosting offset table의 특정 부분을 지시하여 준다. 단말을 이를 통하여 DMRS와 PTRS의 power boosting offset 을 보상하여 phase noise 보상 및 tracking을 수행한다. 도 12는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하여 지시되는 DMRS pattern에 따른 PTRS와의 power boosting offset table의 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DMRS pattern 및 PTRS pattern/density에 따라서 서로 다른 power boosting offset 값을 나타낸다. DCI를 통해서 table 중 특정 power boosting offset 값을 지정해 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1310), 제어부(1320) 및 저장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13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310)는 예를 들어, 송수신부(1310)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310)는 기지국으로부터 PTRS power boosting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2)는 power boosting을 고려하여 적합한 phase noise 보상 및 track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330)는 상기 송수신부(13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132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30)는 PTRS power boosting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1410), 제어부(1420) 및 저장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14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410)는 예를 들어,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410)는 PTRS power boosting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4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환경에 기반하여 PTRS power boosting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430)는 상기 송수신부(14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42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30)는 PTRS power boosting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170101660A 2017-08-10 2017-08-10 PTRS power boosting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17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60A KR20190017205A (ko) 2017-08-10 2017-08-10 PTRS power boosting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60A KR20190017205A (ko) 2017-08-10 2017-08-10 PTRS power boosting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205A true KR20190017205A (ko) 2019-02-20

Family

ID=6556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660A KR20190017205A (ko) 2017-08-10 2017-08-10 PTRS power boosting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2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6179A1 (en) * 2019-03-14 2020-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of 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ofd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6179A1 (en) * 2019-03-14 2020-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of 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ofd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8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ptrs 운영 및 지시에 관한 장치 및 방법
US112835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136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39858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figur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JP620821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高次多重ユーザ多入力多出力動作をサポートする装置及び方法
KR201800162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상 보상 기준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6843110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9130810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904938B2 (j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180119927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dmrs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210175937A1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4106223A (zh) 报告信道状态信息的方法、其支持方法及所述方法的设备
US10951296B1 (en) Direction-controlled PAPR reduction
KR20190017302A (ko) 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JP6933785B2 (j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1900198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운딩 기준 신호의 구성을 위한 방법
KR20180041347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지원 간섭 제거 및 억제 기술을 위한 간섭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30370212A1 (en) Bit loading with dft-s-ofdm
KR20190017205A (ko) PTRS power boosting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090623A1 (j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AU20182835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PTRS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KR20180127154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csi-rs 전송 부담 경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319862A1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
US20230396347A1 (en) Delay pre-compens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28230A (ko) DFT-s-OFDM 시스템 환경에서 PTRS를 전송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