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815A -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815A
KR20190016815A KR1020170101232A KR20170101232A KR20190016815A KR 20190016815 A KR20190016815 A KR 20190016815A KR 1020170101232 A KR1020170101232 A KR 1020170101232A KR 20170101232 A KR20170101232 A KR 20170101232A KR 20190016815 A KR20190016815 A KR 20190016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nformation
vehicle
processor
coordinat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276B1 (ko
Inventor
최성환
김일완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276B1/ko
Priority to EP23170577.3A priority patent/EP4243434A1/en
Priority to EP18187689.7A priority patent/EP3441725B1/en
Priority to US16/058,315 priority patent/US10803643B2/en
Publication of KR2019001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4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in fron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6Calibration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B60K2350/1004
    • B60K2350/2013
    • B60K2350/3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3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providing vision in the non-visible spectrum, e.g. night or infrared v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multi-purpose displays, e.g. camera image and navigation or video on same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2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카메라를 기준으로 전환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전방 영상에, 상기 AR 그래픽 객체가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차량(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최근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디스플레이로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게 구현된다.
AR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와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2개의 카메라가 요구된다.
2개의 카메라는, 각각의 좌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좌표계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AR 그래픽 객체와 차량 전방 영상이 불일치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와 차량 전방 영상이 일치시키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카메라를 기준으로 전환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전방 영상에, 상기 AR 그래픽 객체가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차량 전방 영상에, AR 그래픽 객체가 정확하게 매칭되어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AR 그래픽 객체의 이질감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티브 포즈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턴시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핑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21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1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25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차량(10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차량(100)과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로(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로(Lane)(OB10)는, 주행 차로, 주행 차로의 옆 차로,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로일 수 있다. 차로(Lane)(OB10)는, 차로(Lane)를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차로는, 교차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3)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3)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 연석, 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정지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이동 중인 타 차량, 이동 중인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지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 정지한 타 차량, 정지한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제2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다양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또는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310)는, 핀홀(pin hole) 모델, 노면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310)는, 스테레오 카메라(310a)에서 획득된 스테레오 영상에서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 카메라(310)는, 오브젝트 검출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제2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와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거나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70)는, 핀홀(pin hole) 모델, 노면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70)는, 스테레오 카메라(310a)에서 획득된 스테레오 영상에서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부(46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과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에 획득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도로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차량(100) 내부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7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및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7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및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하는 시스템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 주행 제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7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및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하는 시스템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 출차 제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7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및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하는 시스템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 주차 제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IMU(inertial navigation unit) 센서,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IMU(inertial navigation unit)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모션 정보, 차량 요(yaw) 정보, 차량 롤(roll) 정보, 차량 피치(pitch)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자세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기울기 정보, 차량의 중량 정보, 차량의 방향 정보, 차량의 배터리 정보, 차량의 연료 정보,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 차량의 스티어링 정보, 차량 실내 온도 정보, 차량 실내 습도 정보, 페달 포지션 정보 및 차량 엔진 온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1 카메라(225), 메모리(240), 인터페이스부(245), 출력 장치(250), 프로세서(270) 및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 장치(210), 내부 카메라(220) 및 생체 감지부(230)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10)는, 도 7에서 설명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입력 장치(21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210)는, 차량 전방 영상의 크로핑 영역의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210)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크로핑 영역의 변경을 중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입력 장치(210)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크로핑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도 7에서 설명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카메라(225)는,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25)는,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25)는, 차량 전방을 향하도록 실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225)는,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카메라(225)에서 촬영된 영상은, 프로세서(270)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1 카메라(225)는, AR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도 7에서 설명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2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프로세서(2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와의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수신된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서(270)에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프로세서(270)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로부터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주행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제2 카메라(310)로부터,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센싱부(120)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센싱부(120)로부터 스티어링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티어링 앵글 정보는, 스티어링 앵글 변화 정도 정보 및 스티어링 앵글 변화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센싱부(120)로부터 헤딩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헤딩 앵글 정보는, 헤딩 앵글 변화 정보 및 헤딩 앵글 변화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센싱부(120)로부터 차량의 모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센싱부(120)로부터, 차량의 요 앵글(yaw angle)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요 앵글 정보는, 요 앵글의 변화 정도 정보 및 요 앵글 변화의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센싱부(120)로부터, 차량의 피치 앵글(pitch angle)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피치 앵글 정보는, 피치 앵글의 변화 정도 정보 및 피치 앵글의 변화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커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100)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 커브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범프(bum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100)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 과속 방지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가 수신한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제공될 수 있다.
출력 장치(250)는, 프로세서(2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시각적 방식, 청각적 방식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장치(250)는, 디스플레이(25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는, 차량 전방 영상에, AR(augmented reality) 그래픽 객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 중, 크로핑 영역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영상에, 크로핑 영역에 대응되는 AR(augmented reality) 그래픽 객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기초하여, 변경된 크로핑 영역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기초하여, 변경된 크로핑 영역의 영상에, 변경된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51)는, 윈드 쉴드 하단에 전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251)는, 대쉬 보드 상단에 전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영상외에,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51)는, 차량 제어 관련 컨텐츠,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각종 정보 제공 컨텐츠, 이동 단말기 연동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출력 장치(250)는, 음향 출력 장치(252) 및 햅틱 출력 장치(253)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225)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제2 카메라(310)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 기초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제1 카메라(225) 기준으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AR 그래픽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주행 차로, 무빙 오브젝트(예를 들면, 타 차량, 이륜차, 보행자 등), 차선 및 구조물(예를 들면, 건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R 그래픽 객체는, 이동 방향 알림 카펫 이미지, TBT(turn by turn)이미지,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트 이미지, 벽 이미지 및 POI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카메라(225)로 촬영된 차량 전방 영상에, AR 그래픽 객체가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수신된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서 기초한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25)는, 고유의 좌표계를 가질 수 있다.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는, 제1 카메라(225)의 설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는, 제1 카메라(225)의 이미지 센서의 위치를 원점으로 형성된 좌표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는, 차량(100)의 일 지점(예를 들면, 프런트 범퍼의 중심, 리어 엑슬의 중심 등)을 원점으로 형성된 좌표계일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와 다른 고유의 좌표계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는, 제2 카메라(310)의 설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는, 제2 카메라(310)의 이미지 센서의 위치를 원점으로 형성된 좌표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는, 차량(100)의 일 지점(예를 들면, 프런트 범퍼의 중심, 리어 엑슬의 중심 등)을 원점으로 형성된 좌표계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 기초한 오브젝트의 좌표 정보를,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 기초한 오브젝트의 회전 정보를,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제2 카메라(310)가 생성한, 오브젝트의 회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오브젝트의 회전 정보를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 기준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회전 정보는, 롤 앵글(roll angle) 정보, 피치 앵글(pitch angle) 정보 및 요 앵글(yaw angl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오브젝트의 롤 앵글(roll angle) 정보, 피치 앵글(pitch andgle) 정보 및 요 앵글(yaw angle) 정보를,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시점에서,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225)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시점에서, 제2 카메라(310)를 통해,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이 촬영되도록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2 카메라(310)에서, 제1 시점에 획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수신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시점과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시점간의 시간 차이값을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차이값은, 시간 지연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다양한 오브젝트 검출 동작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제2 카메라(310)는, 제1 카메라(225)에 비해, 더 많은 이미지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제1 카메라(225)와 제2 카메라(310)가 제1 시점에 차량 전방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제2 카메라(31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 수신되는 데에는 시간 지연이 발생된다.
시간 지연은,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전달되는 시간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연산된 시간 차이값에 기초하여, 제1 카메라(225)를 통해 촬영된 차량 전방 영상에,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2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제1 시점에서의 차량 전방 영상을 홀드한 상태에서, 시간 차이값 경과 이후, 차량 전방 영상에서,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251)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 중 일 영역을 크로핑(cropping) 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 중 일 영역을, 디스플레이(251)를 통한 출력에 적합하게 크로핑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소정의 FOV(field of view)를 가지고, FOV에 따라 차량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 중, 필요한 영역만을 크로핑하여 디스플레이(25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와 차량 전방 영상을 매칭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 중 크로핑 영역에서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수신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와 매칭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영상에, 크로핑 영역에 대응되는 AR(augmented reality) 그래픽 객체가 중첩(overlay)하여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영상의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AR 그래픽 객체는, 크로핑 영역의 영상에 기초하여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응될 수 있다.
AR 그래픽 객체는, 이동 방향 알림 카펫 이미지, TBT(turn by turn)이미지,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트 이미지, 벽 이미지 및 POI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생성된 AR 그래픽 객체를 크로핑 영역의 영상에 중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영상과 AR 그래픽 객체가 중첩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주행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수신된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크로핑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주행 상황에 적합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프로세서(270)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AR 그래픽 객체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AR 그래픽 객체를 변경함으로써, 주행 상황에 적합한 AR 그래픽 객체 제공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주행 상황 정보는,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상황 정보는, 스티어링 앵글 정보, 헤딩 앵글 정보, 요 앵글 정보, 피치 앵글 정보, 커브 정보 및 범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센터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에서의 센터 포인트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센타 포인트의 변경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스티어링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티어링 앵글 정보는, 스티어링 앵글 변화 정도 정보 및 스티어링 앵글 변화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에서 크로핑 영역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 변화 정도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이동 변경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의 변화 정도에 비례하여, 크로핑 영역을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 변화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이동 변경의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의 변화 속도에 비례하는 이동 속도로 크로핑 영역을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헤딩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헤딩 앵글 정보는, 헤딩 앵글 변화 정도 정보 및 헤딩 앵글 변화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헤딩 앵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에서 크로핑 영역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헤딩 앵글 변화 정도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이동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헤딩 앵글의 변화 정도에 비례하여, 크로핑 영역을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헤딩 앵글의 변화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이동 변경의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헤딩 앵글의 변화 속도에 비례하는 이동 속도로 크로핑 영역을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요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요 앵글 정보는, 요 앵글의 변화 정도 정보 및 요 앵글의 변화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요 앵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에서의 크로핑 영역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요 앵글 변화 정도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이동 변경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요 앵글의 변화 정도에 비례하여, 크로핑 영역을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요 앵글 변화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이동 변경의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요 앵글의 변화 속도에 비례하는 이동 속도로 크로핑 영역을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피치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피치 앵글 정보는, 피치 앵글의 변화 정도 정보 및 피치 앵글의 변화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피치 앵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에서 크로핑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피치 앵글 변화 정도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이동 변경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피치 앵글의 변화 정도에 비례하여, 크로핑 영역을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피치 앵글 변화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이동 변경의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피치 앵글의 변화 속도 에 비례하는 이동 속도로 크로핑 영역을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입력 장치(2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크로핑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변경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주행 차로에 중첩하여, 이동 방향 알림 카펫 이미지 또는 TBT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변경에 따라, 카펫 이미지 또는 TBT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변경에 따라, 주행 차로가 영상에서 사라지는 경우, 카펫 이미지 또는 TBT 이미지가 사지지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이동 오브젝트에 중첩하여, 하이라이트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변경에 따라, 하이라이트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변경에 따라, 이동 오브젝트가 영상에서 사라지는 경우, 하이라이트 이미지가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라이트 이미지의 크기 또는 색깔이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차선에 중첩하여 벽(wall)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변경에 따라, 벽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스티어링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예정 경로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AR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에서 크로핑 영역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변경된 크로핑 영역에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가 중첩하여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251)의 제1 영역에 제1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스티어링 앵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확장된 크로핑 영역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의 크기에 비례하여, 크로핑 영상의 확장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속도가 증가되는 경우, 크로핑 영역을 점점 확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속도가 감소되는 경우, 크로핑 영역을 점점 감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커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커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커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AR 그래픽 객체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범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범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범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AR 그래픽 객체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차량 후방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후방 영상 중 일 영역을 크로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후방 영상의 크로핑 영역의 영상에, 후방 영상의 크로핑 영역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가 중첩하여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스티어링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영상의 크로핑 영역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2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레코딩부(805), 캘리브레이션부(810), 좌표계 변환부(820), 프레임 그래버(frame grabber)(830), 프레임 홀드 큐(fram hold queue)(850), AR 그래픽 프로젝션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25)는, AR 카메라이다. 제1 카메라(225)는, 증강 현실 구현을 위한 차량 전방 영상 획득을 위한 카메라이다.
제1 카메라(225)는, CCD 컬러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카메라(225)는, 나이트 비전(night vision) 구현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일 수도 있다.
제1 카메라(225)는, 촬영된 차량 전방 영상을 레코딩부(805)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25)는, 촬영된 차량 전방 영상을 프레임 그래버(8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오브젝트 검출 카메라이다. 제2 카메라(310)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생성을 위한 카메라이다.
제2 카메라(310)는, 그레이 스케일(grayscale) 흑백 포멧을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촬영된 영상을 레코딩부(805)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좌표계 변환부(82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코딩부(805)는, 제1 카메라(225)가 제1 시점에서 촬영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레코딩부(805)는, 제2 카메라(310)가 제1 시점에서 촬영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810)는, 제2 카메라(3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1 카메라(225)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준으로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810)는, 제2 카메라(310)에서 촬영된 영상의 좌표계를 제1 카메라(310)에서 촬영된 영상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810)는, 레이턴시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latency calibration procee)(814) 및 릴레이티브 포즈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relative pose calibration process)(817)를 수행할 수 있다.
레이턴시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814)는, 제1 카메라(225)를 기준으로 하는 제2 카메라(310)의 시간 차이(지연)을 연산하는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레이턴시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814)에서 연산된 시간 차이는, 프레임 홀드 큐(850)에 제공될 수 있다.
릴레이티브 포즈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817)는, 좌표계 변환 행렬을 획득하는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좌표계 변환 행렬은, 롤, 피치, 요, X, Y, Z 파라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티브 포즈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817)에서 획득된 좌표계 변환 행렬은 좌표계 변환부(820)로 제공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810)의 과정은, 차량(100)에 제1 카메라(225) 및 제2 카메라(310) 설치 후, 1회만 실행되면 된다.
좌표계 변환부(820)는, 제2 카메라(310)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계 변환부(82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 기초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제1 카메라(225)를 기준으로 전환할 수 있다.
좌표계 변환부(82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 기초한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캘리브레이션부(810)에서 제공된 좌표계 변환 행렬에 기초하여,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
좌표계 변환부(82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 기초한 오브젝트의 회전 정보를, 캘리브레이션부(810)에서 제공된 좌표계 변환 행렬에 기초하여,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
좌표계 변환부(820)는, 변환된 좌표계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AR 그래픽 프로젝션부(860)로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 그래버(frame grabber)(830)는, 제1 카메라(225)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프레임 그래버(830)는, 읽어온 영상을 프레임 홀드 큐(85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 홀드 큐(fram hold queue)(850)는, 차량 전방 영상을 홀드한 상태에서, 시간 차이 경과 후, 차량 전방 영상을 AR 그래픽 프로젝션부(860)로 제공할 수 있다.
시간 차이 정보는, 캘리브레이션부(810)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프레임 홀드 큐(850)는, 프레임을 누적하여 홀드한 후, 가장 과거 이미지부터 순차적으로 AR 그래픽 프로젝션부(860)로 제공할 수 있다.
AR 그래픽 프로젝션부(860)는,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AR 그래픽 프로젝션부(860)는, 생성된 AR 그래픽 객체를 차량 전방 영상에 중첩시킬 수 있다.
AR 그래픽 프로젝션부(860)는, 차량 전방 영상에 AR 그래픽 객체가 중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251)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는, 제동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225)는,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S910).
제1 카메라(225)는, 제1 시점에서,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제2 카메라(310)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920).
프로세서(27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 기초한 제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제1 카메라(225)를 기준으로 전환할 수 있다(S930).
프로세서(270)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수신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60).
프로세서(270)는, 제1 시점과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기 수신되는 시점간의 시간 차이값을 연산할 수 있다(S970). 여기서, 시간 차이값은, 시간 지연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는, 다양한 오브젝트 검출 동작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제2 카메라(310)는, 제1 카메라(225)에 비해, 더 많은 이미지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제1 카메라(225)와 제2 카메라(310)가 제1 시점에 차량 전방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제2 카메라(31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 수신되는 데에는 시간 지연이 발생된다.
시간 지연은,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전달되는 시간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오브젝트에 대한 AR 그래픽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S980).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에,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25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990).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에,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에 AR 그래픽 객체가 중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25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시간 차이값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에,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제1 시점에서의 차량 전방 영상을 홀드한 상태에서, 시간 차이값 경과 이후, 차량 전방 영상에서,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S930 단계의 상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S930 단계는, S940 단계 및 S95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940 단계가, S950 단계보다 선행되거나, S950단계가 S940단계보다 선행될 수 있다.
S940 단계 및 S950 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 기초한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S940).
프로세서(27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 기초한 오브젝트의 회전 각도 정보를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S950).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S930 단계의 상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S940 단계는, S941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950 단계는, S951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2 카메라(310)의 좌표계에 기초한 오브젝트의 좌표 정보를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S941).
프로세서(270)는, 오브젝트의 롤 앵글 정보, 피치 앵글 정보, 요 앵글 정보를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다(S951).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티브 포즈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프로세서(270)는, 릴레이티브 포즈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relative pose calibration process)(도 8b의 817)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오브젝트(950)를 포함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22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서, 오브젝트는 체스 보드를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제1 시점부터, 전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오브젝트(950)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225)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25)를 통해 획득된 제1 시점부터의 동영상은 제1 동영상으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제2 카메라(310)로부터, 오브젝트(950)를 포함한 차량 전방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제1 시점부터 촬영된, 전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오브젝트(950)에 대한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를 통해 획득된 제1 시점부터의 동영상은 제2 동영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제1 동영상과 제2 동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동영상과 제2 동영상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1 동영상 대비 제2 동영상의 시간 차이(지연)을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동영상 및 제2 동영상 각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950)의 센터(951)를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동영상 및 제2 동영상의 해상도 및 픽셀이 상이한 경우, 표준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간 차이를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동영상 및 제2 동영상 각각에 기초하여 트래킹된 데이터를 표준화(nomalization)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트래킹 데이터를 데이터의 평균으로 빼고, 표준편차로 나누어 표준화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표준화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동영상 대비 제2 동영상의 시간 차이를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동영상 및 제2 동영상 각각에 기초한 오브젝트(950)의 센터(951) 트래킹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간 차이를 연산할 수 있다.
도 13에서,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전폭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영상에 기초한 오브젝트(950)의 센터(951) 트래킹 데이터는, 제1 사인파(971) 형상을 가진다.
제2 동영상에 기초한 오브젝트(950)의 센터(951) 트래킹 데이터는, 제2 사인파(972) 형상을 가진다.
프로세서(270)는, 제1 사인파(971) 및 제2 사인파(972)의 X축의 차이(973)를 시간 차이로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연산된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제1 카메라(225)에서 획득한 차량 전방 영상을 홀드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턴시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프로세서(270)는, 레이턴시 캘리브레이션 프로세스(latency calibration procee)(도 8b의 814)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오브젝트(950)를 포함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22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에서, 오브젝트는 체스 보드를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제1 시점부터, 전폭 방향, 전고 방향 및 전장 방향으로 움직이는 오브젝트(950)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225)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25)를 통해 획득된 제1 시점부터의 동영상은 제1 동영상으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제2 카메라(310)로부터, 오브젝트(950)를 포함한 차량 전방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제1 시점부터 촬영된, 전폭 방향, 전고 방향 및 전장 방향으로 움직이는 오브젝트(950)에 대한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10)를 통해 획득된 제1 시점부터의 동영상은 제2 동영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제1 동영상과 제2 동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동영상과 제2 동영상의 비교에 기초하여, 좌표계 변환 행렬을 획득할 수 있다.
좌표계 변환 행렬은, 롤, 피치, 요, X, Y, Z 파라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
좌표계 변환 행렬은, 제2 카메라(310)의 데이터를 제1 카메라(225)의 좌표계로 전환할 때 이용되는 좌표계 변환 행렬일 수 있다.
메모리(240)는, 차량(100)에서의 제1 카메라(225)의 위치 정보 및 차량(100)에서의 제2 카메라(31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카메라(225)와 제2 카메라(310)의 위치 관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동영상과 제2 동영상의 비교 데이터, 제1 카메라(225) 및 제2 카메라(310)의 위치 관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좌표계 변환 행렬을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좌표계 변환 행렬에 기초하여, 제2 카메라(310)로부터 수신한 오브젝트(911, 912)에 대한 정보를 제1 카메라(225)를 기준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핑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차량 전방 영상은,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 전방 영상(1010)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차량 전방 영상(1010)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1010) 중 일 영역을 크로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1020)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크로핑(cropping)은, 카메라(310)가 가지는 FOV에 의해 획득된 전체 영상에서, 필요한 영상만 잘라내는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1010)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역(1020)을 크로핑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1010)에서 차량(100)의 주행 제어에 필요한 영역(1020)을 크로핑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1020)의 영상에 기초하여 검출된 오브젝트(1030)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1035)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1020)의 영상에, 크로핑 영역(1020)의 영상에 기초하여 검출된 오브젝트(1030)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1035)가 중첩하여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주행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1020)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1020)의 센타 포인트(1050)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센터 포인트(1050)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센타 포인트(1050) 변경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1020)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센터 포인트(1050)를 이동 시키면서, 센터 포인트(1050)의 이동 변위만큼 크로핑 영역(10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센터 포인트(1050)를 이동 시키면서, 센터 포인트(1050)의 이동 속도로 크로핑 영역(10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AR 그래픽 객체(1030)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스티어링 앵글 정보, 요 앵글 정보, 헤딩 앵글 정보 및 커브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 정보, 요 앵글 정보, 헤딩 앵글 정보 및 커브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스티어링 앵글 정보, 요 앵글 정보, 헤딩 앵글 정보 및 커브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AR 그래픽 객체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카메라(310)는, 정해진 FOV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지시 부호 1101은, 카메라(310)의 FOV에 기초하여 수평 방향으로 획득 가능한 영상의 영역을 지시한다.
지시 부호 1102은, 수평 방향 기준의 변경 전 크로핑 영역을 지시한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 중 일 영역을 크로핑하고, 크로핑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1131)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의 영상에 기초하여 검출된 차선(1111)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1112)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1131)에 AR 그래픽 객체(1112)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0) 전방에는 타 차량(1100)이 주행중일 수 있다.
차량(100)이 커브 구간 진입 전, 타 차량이 커브 구간에서 주행 중일 때, 주행 상황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타 차량(11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도 17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지시 부호 1103은, 변경 후 크로핑 영역을 지시한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또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형성된 커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커브에 대응하여, 좌측 방향으로 스티어링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좌측 방향의 스티어링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티어링 입력에 기초하여, 좌측 방향으로 요 앵글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좌측 방향으로 변화하는 요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티어링 입력에 기초하여, 좌측 방향으로 헤딩 앵글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좌측 방향으로 변화하는 헤딩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커브에 대한 정보, 스티어링 앵글 정보, 헤딩 앵글 및 요 앵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에서 크로핑 영역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이동 변경된 크로핑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1132)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커브에 대한 정보, 스티어링 앵글 정보, 헤딩 앵글 및 요 앵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AR 그래픽 객체(1112)가, 표시되는 영상 내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커브에 대한 정보, 스티어링 앵글 정보, 헤딩 앵글 및 요 앵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그래픽 객체(1122)가 새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객체(1122)는, 크로핑 영역의 변경에 의해, 디스플레이(251)에 표시되는 영상(1132)에 새로 나타나는 오브젝트(1121)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피치 앵글 정보 및 범프(126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피치 앵글 정보 및 범프(126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크로핑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피치 앵글 정보 및 범프(126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AR 그래픽 객체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카메라(310)는, 정해진 FOV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지시 부호 1201은, 카메라(310)의 FOV에 기초하여, 수직 방향으로 획득한 영상의 영역을 지시한다.
지시 부호 1202는, 수직 방향 기준의 변경전 크로핑 영역을 지시한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전방 영상 중 일 영역을 크로핑하고, 크로핑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1231)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100)의 전방에는, 보행자(1200)가 위치할 수 있다.
차량(100)의 프런트 휠이 범프(1260)를 지날때, 주행 상황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보행자(12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도 1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크로핑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지시 부호 1203은, 변경 후 크로핑 영역을 지시한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또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범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의 프런트 휠이 범프(1260)를 지날 때, 위쪽 방향으로 피치 앵글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위쪽 방향으로 변화하는 피치 앵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피치 앵글 정보 및 범프(126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 영상에서 크로핑 영역을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이동 변경된 크로핑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1232)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피치 앵글 정보 및 범프(126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AR 그래픽 객체(1222)가 새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객체(1122)는, 크로핑 영역의 변경에 의해, 디스플레이(251)에 표시되는 영상(1232)에 새로 나타나는 오브젝트(1221)에 대응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차량
200 :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Claims (20)

  1.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제2 카메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카메라를 기준으로 전환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AR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전방 영상에, 상기 AR 그래픽 객체가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오브젝트의 회전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의 롤 앵글(roll angle) 정보, 피치 앵글(pitch angle) 정보 및 요 앵글(yaw angle)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오브젝트의 좌표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점에서,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제1 카메라를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카메라에서, 상기 제1 시점에 획득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시점간의 시간 차이값을 연산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전방 영상에, 상기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 표시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차량 전방 영상을 홀드한 상태에서, 상기 시간 차이값 경과 이후, 상기 차량 전방 영상에서, 상기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 표시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1 카메라가,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2 카메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를 기준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AR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전방 영상에, 상기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를 기준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를 기준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오브젝트의 회전 각도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오브젝트의 회전 각도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롤 앵글(roll angle) 정보, 피치 앵글(pitch angle) 정보 및 요 앵글(yaw angle)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를 기준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카메라의 좌표계에 기초한 상기 오브젝트의 좌표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카메라가, 제1 시점에서, 오브젝트가 포함된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에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시점간의 시간 차이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전방 영상에, 상기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 표시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차량 전방 영상을 홀드한 상태에서, 상기 시간 차이값 경과 이후, 상기 차량 전방 영상에서, 상기 AR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 표시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101232A 2017-08-09 2017-08-09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KR10197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32A KR101979276B1 (ko) 2017-08-09 2017-08-09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EP23170577.3A EP4243434A1 (en) 2017-08-09 2018-08-07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associated method
EP18187689.7A EP3441725B1 (en) 2017-08-09 2018-08-07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associated method
US16/058,315 US10803643B2 (en) 2017-08-09 2018-08-08 Electronic device and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32A KR101979276B1 (ko) 2017-08-09 2017-08-09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815A true KR20190016815A (ko) 2019-02-19
KR101979276B1 KR101979276B1 (ko) 2019-05-16

Family

ID=6340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232A KR101979276B1 (ko) 2017-08-09 2017-08-09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03643B2 (ko)
EP (2) EP4243434A1 (ko)
KR (1) KR101979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588A1 (ko) * 2022-08-26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미러에 기반한 증강현실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418B1 (ko) * 2018-05-17 2020-01-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US10607416B2 (en) * 2018-08-30 2020-03-31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Conditional availability of vehicular mixed-reality
US10836313B2 (en) 2018-11-28 2020-11-17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Mixed reality view for enhancing pedestrian safety
US10885334B2 (en) * 2018-11-30 2021-01-05 Hua-Chuang Automobile Information Technical Cente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object(s) adjacent to vehicle
CN115042803A (zh) * 2021-02-26 2022-09-13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利用驾驶员作为传感器以最小化自动驾驶脱离的驾驶员辅助自动驾驶系统
CN115561703B (zh) * 2022-09-30 2023-05-16 中国测绘科学研究院 封闭空间激光雷达辅助单uwb基站三维定位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958A (ko) * 2013-05-09 2014-1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향상 방법 및 시스템
KR101559012B1 (ko) * 2013-11-12 2015-10-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2909B2 (ja) * 2003-06-25 2010-01-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オートライト装置
JP4935145B2 (ja) * 2006-03-29 2012-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847203B2 (ja) * 2006-04-27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US9348141B2 (en) * 2010-10-27 2016-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w-latency fusing of virtual and real content
US9270974B2 (en) * 2011-07-08 2016-02-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libration between depth and color sensors for depth cameras
US20150379770A1 (en) * 2014-06-27 2015-12-31 David C. Haley, JR. Digital action in response to object interaction
CN106470877B (zh) * 2014-07-01 2019-12-27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显示装置以及车辆用显示方法
JP6703747B2 (ja) * 2015-09-18 2020-06-0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表示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移動体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41328B1 (ko) * 2016-01-28 2022-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로봇이 전송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
CN106092121B (zh) * 2016-05-27 2017-11-2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车辆导航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958A (ko) * 2013-05-09 2014-1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향상 방법 및 시스템
KR101559012B1 (ko) * 2013-11-12 2015-10-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588A1 (ko) * 2022-08-26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미러에 기반한 증강현실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1725B1 (en) 2023-05-31
US20190051030A1 (en) 2019-02-14
KR101979276B1 (ko) 2019-05-16
EP3441725A1 (en) 2019-02-13
EP4243434A1 (en) 2023-09-13
US10803643B2 (en)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8218B2 (en) Vehicle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vehicle
KR101994698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CN107878460B (zh) 自动驾驶车辆的控制方法和服务器
KR101954199B1 (ko) 차량용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장치, 운행 제어 장치 및 차량
KR102001916B1 (ko) 주차 보조 시스템
KR101979276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KR102001917B1 (ko) 차량용 주차 시스템 및 차량
KR101994699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1949352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KR20190033975A (ko) 차량의 운행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KR20190014429A (ko) 자율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20190041173A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9277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KR102005443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180051225A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4395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로봇 및 차량용 로봇의 제어방법
KR20190038088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US20210323469A1 (en) Vehicular around view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vehicle
KR20190035380A (ko) 차량의 운행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KR20180076567A (ko) 차량용 통신 장치 및 차량
KR10195598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KR10199996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KR20180112602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