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625A -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 Google Patents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625A
KR20190016625A KR1020170100056A KR20170100056A KR20190016625A KR 20190016625 A KR20190016625 A KR 20190016625A KR 1020170100056 A KR1020170100056 A KR 1020170100056A KR 20170100056 A KR20170100056 A KR 20170100056A KR 20190016625 A KR20190016625 A KR 20190016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tank
nonwoven fabric
presen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무영
김미경
원유식
김충일
박현주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성지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성지기공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0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6625A/ko
Publication of KR2019001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1/042Details thereof, e.g. valves or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2011/005Tanks with two or more separate compartments divided by, e.g. a flexible membr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직포를 이용하여 빗물을 정화하는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에 구비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직포를 빗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구비시켜, 빗물 내의 부유성 입자와 미생물들을 포집하고 세균을 멸균하여 빗물을 음용하도록 할 정도로 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WATER TREATMENT TYPE RAIN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직포를 이용하여 빗물을 정화하는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에 대한 것이다.
빗물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중력에 의해 지표로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빗물을 포집하여 용수로 사용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빗물 내에는 부유성 입자와 미생물 및 세균 등이 포함되어 있어, 청소 등의 용수로 사용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음용수로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이를 음용수로 하기 위해서는 필터 등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부유성 입자와 미생물 및 세균 등을 음용수의 용도로까지 정화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필터를 사용해야하며,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0528호(2016.05.04.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빗물을 정화할 수 있는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에 구비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을 제공한다.
상기 격벽은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기 다수개의 격벽에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부직포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개의 부직포는 일반 부직포와 항균 기능성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는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류조의 외부에서 상기 저류조에 빗물을 유입시키는 빗물유입관은 'U'자 형상이되 주름관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를 빗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구비시켜, 빗물 내의 부유성 입자와 미생물들을 포집하고 세균을 멸균하여 빗물을 음용하도록 할 정도로 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의 월류벽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의 격벽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에서 빗물유입관의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며 빗물유입구와 빗물배출구가 형성된 저류조(100)와, 빗물유입구가 형성된 빗물유입영역(A)에 구비된 월류벽(110), 월류벽(110)을 월류한 빗물을 빗물배출구가 형성된 빗물배출영역(B)까지 유도하며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격벽, 다수개의 격벽에 구비된 부직포, 및 빗물유입영역(A)에 구비되어 빗물을 빗물유입영역(A)으로 유입시키는 빗물유입관(300)을 포함한다.
저류조(100)는 내부가 빈 중공의 형태로서, 본 실시예는 육면체인 저류조(100)를 예시한다. 또한, 저류조(100)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구와, 유입된 빗물이 배출되는 빗물배출구가 형성되며, 본 실시예는 빗물유입구가 형성되는 저류조(100)의 내부 영역을 빗물유입영역(A), 빗물배출구가 형성되는 저류조(100)의 내부 영역을 빗물배출영역(B)으로 정의한다.
빗물유입영역(A)은 빗물이 유입되는 공간으로서, 저류조(100)와 제1 격벽(121) 및 월류벽(110)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빗물유입영역(A)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빗물유입영역(A)의 바닥을 보울형태로 형성하여 바닥의 부유물이 상부로 부상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빗물유입영역(A)에는 월류벽(110)이 형성된다.
빗물배출영역(B)은 빗물유입영역(A)의 빗물유입관(300)으로 유입되어 격벽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지나 정화된 빗물이 저류조(10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공간이다. 이러한 빗물배출영역(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저류조(100) 내부의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 예를 들어, 배관, 수도꼭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의 월류벽의 정면도이다.
월류벽(110)은 빗물유입영역(A)의 경계에 구비되어 빗물유입영역(A)으로 유입된 빗물이 월류벽(110)을 통해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월류벽(110)에는 하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영역에 관통홀(111)을 형성하여 빗물유입영역(A)으로 유입된 빗물이 일정수위가 되면 관통홀(111)을 통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빗물유입영역(A)으로 빗물이 급속히 유입될 경우, 월류벽(110)의 개방된 상부로 빗물이 월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의 격벽의 정면도이다.
격벽(120)은 저류조(100) 내부를 구획하도록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격벽(120) 일측은 개방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빗물이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저류조(100) 내부에 유입된 빗물은 격벽(120)을 통해 저류조(100) 내부로 흐르며, 부유물이 침전되어 정화된다. 본 실시예는 격벽(120)으로 두 개의 서로 이격된 격벽, 즉, 제1 격벽(121)과 제2 격벽(122)을 예시한다.
제1 격벽(121)은 저류조(100) 내부에서 저류조(100)의 일면과 타면 사이에 구비되며, 제1 격벽(121)의 일부 영역은 빗물유입영역(A)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는 제1 격벽(121)으로 직사각판 형상을 예시한다. 또한, 제1 격벽(121)은 저류조(100)의 일면과 타면 사이를 모두 막지 않고 일부 영역이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개방된 일부 영역은 전술된 빗물유입영역(A)의 반대측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격벽(122)은 제1 격벽(121)과 이격되되 제1 격벽(121)과 저류조(100)의 타면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 격벽(122)은 제1 격벽(121)과 유사하게 직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제2 격벽(122) 역시 제1 격벽(121)과 같이 저류조(100)의 일면과 타면 사이를 모두 막지 않고 일부 영역이 개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격벽(122)의 개방된 일부 영역은 저류조(100) 내부에서 빗물이 이동하는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서, 전술된 제1 격벽(121)의 개방된 영역과 반대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200)는 격벽(120)에 외면에 부착되어 빗물을 정화한다. 이를 위해서, 부직포(200)는 제1 격벽(121)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1 부직포(210)와, 제2 격벽(122)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2 부직포(220)를 포함한다.
제1 부직포(210)는 일반적인 부직포로서, 제1 격벽(121)에 부착되어 빗물에 포함된 수중 부유성 입자와 미생물들이 포집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직포(210)가 제1 격벽(121)의 일면에서도 빗물유입영역(A)을 제외한 영역에만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직포(210)는 빗물유입영역(A)을 포함하는 제1 격벽(121)의 일면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부직포(210)는 제1 격벽(121)의 일면 뿐만 아니라, 제1 격벽(121)의 타면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격벽(121)의 전체 면에 구비되지 않고 일부 영역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부직포(220)는 항균 기능성 재질로서, 제2 격벽(122)에 부착되어 빗물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제2 부직포(220)는 광그라프트 중합에 의해서 항균 기능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직포(220) 역시, 제2 격벽(122)의 일면에만 부착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제2 부직포(220)가 제2 격벽(122)이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2 부직포(220)는 제2 격벽(122)의 일부 영역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부직포(210)와 제2 부직포(220)를 구비하여 빗물에 포함된 수중 부유성 입자와 미생물 및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정화된 빗물을 음용수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격벽(120)이 제1 격벽(121)과 제2 격벽(122), 즉, 두 개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격벽(120)은 3개 이상의 격벽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3개 이상의 격벽은 개방된 영역이 서로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개 이상의 격벽에는 제1 부직포(210)와 같은 일반 부직포와, 제2 부직포(220)와 같은 항균 기능성 부직포가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빗물유입영역(A)과 근접한 하나 이상의 격벽에는 일반 부직포가 구비되고, 빗물유출영역과 근접한 하나 이상의 격벽에는 항균 기능성 부직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격벽에는 일반 부직포와 항균 기능성 부직포 외에도 유리가 부착되어 빗물의 산성도를 알카리성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에서 빗물유입관의 정면도이다.
빗물유입관(300)은 빗물유입영역(A)에 구비되어 외부, 에를 들어, 건물에 구비된 홈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이 저류조(100) 내부에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빗물유입관(300)은 'U'자 형태가 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빗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질이 부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빗물 유입관은 일반적인 캄 인렛 절곡관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림관 형태의 빗물유입관(300)을 이용하여 저류조(100) 내에 빗물유입관(300) 설치 시, 빗물유입관(300)을 쉽게 절곡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직포를 빗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구비시켜, 빗물 내의 부유성 입자와 미생물들을 포집하고 세균을 멸균하여 빗물을 음용하도록 할 정도로 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저류조 110: 월류벽
111: 관통홀 120: 격벽
121: 제1 격벽 122: 제2 격벽
200: 부직포 210: 제1 부직포
220: 제2 부직포 300: 빗물유입관
A: 빗물유입영역 B: 빗물배출영역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에 구비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기 다수개의 격벽에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부직포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부직포는 일반 부직포와 항균 기능성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의 외부에서 상기 저류조에 빗물을 유입시키는 빗물유입관은 'U'자 형상이되 주름관 형태인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KR1020170100056A 2017-08-08 2017-08-08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KR20190016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056A KR20190016625A (ko) 2017-08-08 2017-08-08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056A KR20190016625A (ko) 2017-08-08 2017-08-08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625A true KR20190016625A (ko) 2019-02-19

Family

ID=6552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056A KR20190016625A (ko) 2017-08-08 2017-08-08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66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528B1 (ko) 2015-01-07 2016-05-12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지능형 빗물저류조를 이용한 빗물 및 하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528B1 (ko) 2015-01-07 2016-05-12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지능형 빗물저류조를 이용한 빗물 및 하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2425B2 (en) Stormwater plug flow separation system
JP6784529B2 (ja) ペット用循環式給水器
KR100820863B1 (ko) 오수처리용 인공습지 시설
KR20090033663A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20160121741A (ko) 빗물 집수 설비와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및 빗물 수상 이동 방법
US20150176265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CA2195822C (en) Multicell separator
KR102060940B1 (ko) 다단계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한 빗물 저장 및 수질 처리 시스템
KR101535083B1 (ko) 개방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407931Y1 (ko)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KR101555447B1 (ko)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KR20190016625A (ko) 수처리 기능형 빗물 저금통
KR102173185B1 (ko) 경사판 침전장치
US20130264258A1 (en) Stormwater treatment device
KR200427026Y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KR20000006478A (ko) 화장실장치
KR102310850B1 (ko) 빗물이용시설
KR100719496B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JP4320758B2 (ja) 排水処理設備
JP2021122756A (ja) 沈殿池
CN207507058U (zh) 用于污水处理的增程缓流装置
CN105084456B (zh) 一种船舶用厨房灰水撇油罐
CN218478564U (zh) 一种用于处理含油污水的油水分离箱
KR101489201B1 (ko) 비관리형 빗물통 시스템
JP7469805B2 (ja) 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