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922A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922A
KR20190015922A KR1020170099740A KR20170099740A KR20190015922A KR 20190015922 A KR20190015922 A KR 20190015922A KR 1020170099740 A KR1020170099740 A KR 1020170099740A KR 20170099740 A KR20170099740 A KR 20170099740A KR 20190015922 A KR20190015922 A KR 20190015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
vision
impairment
futu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9932B1 (en
Inventor
김진국
이인식
류익희
김욱겸
김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비젼
Priority to KR102017009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932B1/en
Publication of KR2019001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9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easuring a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ge information of a testee through a user interface; receiving vision information from a vision measurement device; determining a degree of current vision impairment of the testee based on the vision information; determining a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testee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vis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and displaying the degree of current visual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through a display device.

Description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0002]

본원은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눈은 우리의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삶의 질과 가치를 높이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더욱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눈은 만 5-7세 사이에 정상시력에 도달하며, 만 5세 이상 유아와 어린이의 경우에는 시력장애의 일 유형으로서 근시로 대변되는 굴절이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그 이후 서서히 진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성인이 되어서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다.Ey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our human body, and as the industry develops, it will be a more important factor in raising the quality and value of life and living a happy life. The eyes reach normal vision between the ages of 5 and 7 years. In the case of infants and children aged 5 years and older,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starts to appear as a type of visual disturbance, represented by myopia, and then gradually progresses . However, as adults, they tend to decrease gradually.

이러한 굴절이상의 경우는 정상인 안구 크기와 달리 안축장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각막 및 수정체의 굴절력 변화로 대부분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근시의 원인은 크게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 된다.Unlike the normal eye size, the refractive error is more likely to be caused by a longer axial length or a change in the refractive power of the cornea and the lens. The cause of myopia is mainly caused by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환경적인 원인으로는 조도의 상태, 장시간의 미디어 사용 및 잘못된 생활습관,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에 의한 영양 불균형, 부모의 역할, 소득의 정도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근시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시력의 변화가 둔화되는 만 20세 이상의 청년층과 성인기에 있어서는 외상, 만성 질병, 그리고 노화로 인한 백내장 유발 등의 시력장애가 유발되지만, 아직도 많은 국민들이 자신의 시력이 감소되고 있음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에서 시력보정기구와 눈 건강에 대한 이해와 관리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The causes of myopia are studi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ondition of illumination, long - term use of media and wrong lifestyle, nutritional imbalance due to incorrect eating habits, parents' role and degree of income. In young adults aged 20 or older, whose vision changes slowly, and in adulthood, visual disturbances such as trauma, chronic illness, and cataracts caused by aging are caused, but many people are still not aware that their vision is diminishing. Nonetheless, there is still a lack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vision correction and eye health in modern society.

지역에 따른 근시 차이를 살펴보면, 아시아권에서는 전체의 80% 내지 90%로 근시유병율이 높으며 미국에서는 약 20% 내지 50%의 유병율을 보이고 있다. 인종에 따른 근시 차이는, 미국 내 어린이 근시 유병율은 아시아계 18.5%, 히스패닉계는 13.2%, 흑인은 6.6%, 백인은 4.4%정도를 보이고 있다. The difference in myopia according to the region is 80% to 90% of the total in Asia, and the prevalence rate of myopia is about 20% to 50% in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race, myopic childhood prevalence in the United States is about 18.5% for Asian children, 13.2% for Hispanics, 6.6% for blacks and 4.4% for whites.

아시아권의 어린이들의 근시유병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어린이들은 성장기에 1년간 약 0.5디옵터 내지 0.75디옵터씩 근시가 진행되며, 근시가 어릴 때 나타날수록 근시 진행 속도가 더 빠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The prevalence of myopia in Asian children is relatively high, and children have myopia about 0.5 to 0.75 diopters per year during the growing season.

이에 따라, 근시 진행 억제 방법 및 근시 진행 예측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ices that can grasp the myopia progression suppression method and the degree of myopia progression prediction.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00355(공개일: 2017.01.02)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7-0000355 (Publication Date: 2017.01.02).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검자의 현재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해줌과 동시에 미래의 시력장애 정도를 예측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ims at predicting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in the future while determining the current degree of visual impairment of the subject.

또한, 피검자의 연령대를 고려하여 현재 시력장애 정도를 수치적으로 결정하고, 피검자의 성장에 따른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수치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we will numerically determine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considering the age range of the subject, and numerically provide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due to the growth of the subject.

또한, 피검자의 현재 시력장애 진행 정도를 억제하기 위한 교정기기 착용기를 비롯한 외부 환경요인에 대한 정확한 분석 결과를 제공해 주고자 한다. In addition, we want to provide accurate analysis results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orthodontic appliance wearing equipment to suppress the progress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of the subject.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자의 연령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시력 측정 기기로부터 시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령 정보 및 상기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obj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easuring a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ge information of a measurer through a user interface; receiving visual information from a visual acuity measuring instrument; Determining a degree of future visual acuity disorder of the measurer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based on age-specific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based on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severity, And display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through a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령 정보 및 상기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 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 및 상기 백분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a percentile value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ge- And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based on the percentile value.

또한,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는 제1 시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이되,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는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의 기준시점인 제2 시점에서 상기 백분위값에 매핑되는 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may be a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degree of the future visual impairment may be a value mapped to the percentile at a second time point, which is a reference point of the degree of the future impaired vision.

또한,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백분위 값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백분위 값 및 상기 백분위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percentile degree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based on the percentile value,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percentile value and the percentile degree .

또한,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백분위 값을 연산하는 단계 이후에,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의 복수의 추세선 그래프(133)를 복수의 백분위 등급별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백분위 등급은 상기 복수의 추세선 그래프(133) 각각과의 좌표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may include a step of calculating a plurality of trend line graphs 133 of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based on the age- The percentile rating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ordinate distanc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trendline graphs 133. [

또한, 상기 복수의 추세선 그래프(133)는, 상기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의 통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백분위 등급 각각으로 구분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rend line graphs 133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percentiles based on statistics of the age-specific visu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또한, 상기 백분위 등급은, 5백분위 등급, 10백분위 등급, 25백분위 등급, 50백분위 등급, 75백분위 등급, 90백분위 등급, 95백분위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ercentile rating may also include a fifth, a ten, a fifth, a fifty percent, a seventy percentile, a 90 percentile, a 95 percentile rating.

또한,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값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의해 결정된 통계 시력 정보 및 상기 측정자의 시력 정보를 이용한 비례식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값을 연산할 수 있다. The calculating of the percentile value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may be performed by using the statistical visual acuity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age-specific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nd the proportional expression using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measurer, .

또한, 상기 비례식은 제 1 비례식이되,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의해 결정된 통계 시력 정보 및 상기 측정자의 백분위값를 이용한 제 2 비례식을 이용하여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portional formula may be a first proportional formula, an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may be performed by using statistical visual acuity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age-specific visu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nd a second proportional formula using the per-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can be calculated.

또한, 상기 제 2 시점은 상기 제 1 시점 보다 Y년 M월D일(단, Y는 0 또는 자연수이고, M은 0 또는 1 이상 12 이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D는 0 또는 1 이상 31 이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연수임) 이후의 시점인 것일 수 있다. The second time point may be any one of a natural number selected from the first time point, Y, M, and D (where Y is 0 or a natural number, M is 0 or 1 or more and 12 or less, D is 0 or 1 or more 31 < / RTI > or less).

또한,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의 진행 속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degree of the future visual impairment may further include predicting the progress speed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the future impaired visual impairment based on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또한, 상기 진행 속도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제 2 시점과 상기 제 1 시점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진행 속도를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predicting the progress speed may be to predict the progress speed based on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the degree of the future impaired vis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nd first points of time.

또한,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시력 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may include determining a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in consideration of information on factor of vision impairment inputted through a user interface.

또한, 상기 진행 속도는 상기 시력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gress spee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 impairment factor information.

또한, 시력장애 영향 인자는 교정기기 착용 유무 인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sual impairment influencing factor may includ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또한,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는 현재 근시 및 현재 난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esent near vision and current astigmatism.

또한, 미래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교정기기 착용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wearer wears the orthodontic appli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a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and a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한편,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자의 연령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시력 측정 기기로부터 시력 정보를 수신하는 시력 정보 수신부, 상기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령 정보 및 상기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 및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ge information of a measurer through a user interface, a vis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vision information from the vision measuring device, A future vision impairmen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the vision impairment through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령 정보 및 상기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 및 상기 백분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The future vision severity determination unit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percentiles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ion information based on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Vision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based on the percentile value.

또한,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는 상기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의 진행 속도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may further include a predictor for predicting a progress speed of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based on the vision information.

또한,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는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교정기기 착용 유무를 결정하는 교정기기 착용 유무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may further include a calibration device wearing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wearer wears the calibration apparatu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the present vision impairment.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is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피검자의 현재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해줌과 동시에 미래의 시력장애 정도를 예측하고자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of the subject and to predict the degree of future impaired vision.

또한, 피검자의 연령대를 고려하여 현재 시력장애 정도를 수치적으로 결정하고, 피검자의 성장에 따른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수치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numerically determine the degree of the present visual impairment considering the age range of the subject, and numerically provide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due to the growth of the subject.

또한, 피검자의 현재 시력장애 진행 정도를 억제하기 위한 교정기기 착용기를 비롯한 외부 환경요인에 대한 정확한 분석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provide accurate analysis results o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orthodontic appliance wearing equipment to suppress the progress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of the subject.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현재 및 미래 시력장애 정도는 시력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다양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관련 데이터는 추후의 그래프 및 통계치 데이터에 사용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task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present and future visual impairmen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for examining and treating visual acuity, and related data can be used for future graph and statistical data.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다.
도 2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다.
도 3a 내지 도 3i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이다.
1 is a schematic system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I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acuity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op", "top", "under", "bottom"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원은 현재의 시력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력장애 정도를 설명하고, 미래 시력장애가 얼마나 진행될 것인지를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xplaining the extent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based on current visual information and for predicting how far future impaired vision will progress.

도 1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다. 1 is a schematic system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시스템은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 시력 측정 기기(20) 및 네트워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는 시력 측정 기기(20)를 내부 또는 외부 구성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시스템은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를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future vision severity measurement system may include a future vision severity level measurement device 10, a vision measurement device 20, and a network 30.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pparatus 10 for measuring the severity of future visual impairment may include the vision measuring apparatus 20 as an internal or external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future vision severity measurement system may refer to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severity measurement apparatus 10.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는 네트워크(30)로 연결된 시력 측정 기기(20)로부터 시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력 측정 기기(20)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는 시력 측정 기기(20)를 통해 시력 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다. The future vision severity measurement device 10 can receive vision information from the vision measurement device 20 connected to the network 30. [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vision measuring device 20 may be included in the future vision severity measurement device 10. [ In this case,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degree measuring apparatus 10 may measure the vision information through the vision measuring apparatus 20.

시력 측정 기기(20)는 측정자의 시력을 측정하고, 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력 정보는 시력장애 정도로서, 예를 들어, 근시, 원시, 난시 등의 정도를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고,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인자로서, 예를 들어 각막 곡률, 눈의 굴절력, 각막 만곡도, 동공 크기, 각막 크기, 난시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시력 정보는 시력장애 정도 및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인자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력 측정 기기(20)의 일 예는 자동굴절검사기(ARK: AUTO Refractometer-Keratometer)일 수 있다. 이 경우, 시력 측정 기기(20)는 굴절검사(refraction)시 사용하는 기기일 수 있다. 굴절검사는 원거리나 근거리를 볼 때 눈에 굴절이상이나 조절이상 및 시력장애가 있는 경우에 시행하는 검사이다. The visual acuity measuring instrument 20 can measure the visual acuity of the measurer and generate visual acuity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is a degree of visual impairment, and may directly include the degree of, for example, myopia, hyperopia, astigmatism, and the like, and factors determining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include, for example, corneal curvature, , Pupil size, corneal size, and astigmatism axis. Of course, the vision information may include both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and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An example of the vision measuring device 20 may be an automatic refractometer-keratometer (ARK). In this case, the visual acuity measuring instrument 20 may be a device used for refraction. Refraction is a test that is performed when there is refractive error, control abnormalities, or visual impairment in the eye when viewing at a distance or near distance.

한편, 시력 측정 기기(20)가 자동굴절검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력 측정 기기(20)는 안과, 안경점 등 안경 및 렌즈를 처방하기 위해 측정자의 시력 측정을 위한 곳에서 사용되는 검사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sual acuity measuring instrument 20 is not limited to the automatic refractive examining instrument, and the visual acuity measuring instrument 20 may be any of the inspection instruments used for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measurer in order to prescribe glasses and lenses, It can be one.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는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고,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는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고, 현재 시력장애 정도와 측정자의 연령 정보를 고려하여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degree measuring apparatus 10 can determine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of the measurer based on the sight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degree of the viewer's future vision impairment. Specifically,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degree measuring apparatus 10 may determine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based on the vision information, and may determine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based on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and the age information of the observer .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10 for measuring the severity of future visual impair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네트워크(3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Internet),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30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may includ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us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or GSM as the cellular communication protocol. 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local communicatio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i-Fi,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or example. The wired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niversal serial bus (USB),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recommended standard 232 (RS-232), a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 The network 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g.,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the Internet, or a telephone network.

한편, 이하에서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이때,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이 미래 시력장애 정도 장치(10) 및 다른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함께 설명될 것이다. 이때,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의 각 단계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에서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예로,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의 각 단계는 다른 기기로서, 시력 측정 기기(2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예로,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의 각 단계 중 일부 단계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에서 수행되고, 나머지 단계는 미래 시력장애 기기(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10 for measuring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of the fu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t this time, a method of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severity will be described together as a method performed by the future impaired vision device 10 and other devices. At this time, each step of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degree of future visual acuity disorder can be performed in the apparatus 10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acuity disorder. However, as another example, each step of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severity may be performed by the visual acuity measuring instrument 20 as another apparatus. Further, as another example, some steps of each step of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severity may be performed in the future visual impairment severity measurement device 10, and the remaining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future impaired vision device 20.

예를 들면,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의 일부 단계로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시력 측정 기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시력 측정 기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밖에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의 나머지 단계는 시력 측정 기기(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에서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이 수행되는 예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For example,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severity measurement device 10 may receive user input as a part of a method for measuring future impairment of vision impairment, transmit the received user input to a vision measurement device, The remaining steps of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can be performed in the visual acuity measuring apparatus 20.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ample in which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is performed in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impaired vision 10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i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to 3I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easuring a degree of future impaired 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2를 참조하면,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는 입력부(11), 시력 정보 수신부(12),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3),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 표시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10 includes an input unit 11, a visu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 a current visual impairment degree determining unit 13, a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determining unit 14, 15).

예시적으로 도 3a를 참조하면, 입력부(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자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the input unit 11 may receive information of a measurer through a user interface.

입력부(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자의 연령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측정자의 연령 정보(생년월일)를 입력하면 현재(오늘)날짜와 계산되어 나이가 자동 계산될 수 있다. 측정자의 개월까지는 적용이 되지 않으며 만 나이를 년 단위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만 8세 7개월이라도 만 8세로 적용할 수 있다. 측정자는 입학 전 어린이 시력검사 대상자 또는 부모가 근시가 심한 어린이, 어린 나이(예를 들어, 5세 이하의 어린이)에 근시가 있는 어린이, 드림 렌즈를 착용하는 어린이 및 안경을 착용하는 어린이들이 측정 대상자가 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1 can receive the age information of the measur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If the age information (date of birth) of the measurer is input, the current (today) date is calculated and the age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It is not applicable until the month of the measurer, but can be used by applying the age in yea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only 8 years old and 7 months old can be applied for 8 years old. The measurer shall be a person who is subject to sight screening before enrollment, a child with severe myopia, a child with nearsightedness at a young age (for example, children under 5 years old), a child wearing a dream lens, .

입력부(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자의 인적사항(예를 들어, 생년월일, 이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인적사항 정보는 추후 제공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보고서 제공시 활용되는 정보 일 수 있다. 또한, 인적사항 정보는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시력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셋일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1 can receive personal information (e.g., date of birth, name) of a measurer through a user interface. At this time,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used to provide a report on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to be provided later. Also,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a data set for storing continuous vision measurement data.

입력부(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력 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시력 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는 근시진행 위험 요인들일 수 있다. 시력 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에는 유전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치료적 요인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2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influence of visual impairment factor through a user interface. Visual impairment factor information may be myopia progression risk factors. Factors affecting vision impairment may include genetic, biological, environmental, and therapeutic factors.

입력부(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자의 시력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시력 정보는 측정자의 각막 곡률, 근시, 난시, 정보가 포함할 수 있고, 측정자 또는 관리자는 측정자의 시력 정보 입력시, 측정자의 우안과 좌안의 정보를 각각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1 can receive visual information of a measurer through a user interface. In this case,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may include the corneal curvature, near vision, astigmatism, and information of the measurer, and the measurer or the manager may separately input the information of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of the measurer when inputting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measurer.

예시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력 측정 기기에 포함되는 터치 인터페이스 또는 하드웨어(예를 들어, 버튼)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와 연동되는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와 같은 고정용 단말기 또는 그들 각각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Illustratively, the user interface may be a touch interface or a hardware (e.g., button) interface included in the vision measuring device. The user interface is a device or its interfac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device 10 for measuring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of the future through a network and may be a smart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a PDA Access-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fixed terminals such as smart TVs or their respective software or hardware interfaces Lt; / RTI >

수신부(12)는 시력 측정 기기(20)로부터 시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12 can receive the visual information from the visual acuity measuring instrument 20. [

수신부(12)는 네트워크(30)로 연결된 시력 측정 기기(20)로부터 시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2 can receive sight information from the visual acuity measuring instrument 20 connected to the network 30

도 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령 정보 및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력 장애 정도 및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한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determining a current visual impairment degree and a future impaired visual impairment degree based on age information and visual acu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를 참조하면,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3)는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131)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3)는 시력 측정 기기(20)로부터 수신한 시력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현재 근시, 난시의 정도를 이용하여 구면대응치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3)는 시력 측정 기기(20)에서 측정된 시력 측정 정보(근시, 난시)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구면대응치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3)는 구면대응치의 정도를 근시 + (난시/2) 의 계산식을 이용해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3)는 측정자의 우안 근시의 정도가 -2.5 diapers 이고, 난시의 정도가 -1.00diopters일 때, 구면 대응치는 -3.00dioperts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determination unit 13 may determine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131 of the observer based on the vision information.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determination unit 13 can determine the degree of the spherical equivalent using the degree of astigmatism of the current person using the vis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sion measuring device 20. [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determination section 13 can determine the degree of the spherical equivalent value of the measurer by using the vision measurement information (near vision, astigmatism) measured by the vision measurement device 20. [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degree determining section 13 can determine the degree of the spherical equivalent value using a calculation formula of near vision + (astigmatism / 2). Illustratively,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determination unit 13 may be -3.00dioperts when the degree of near vision of the subject is -2.5 diapers and the degree of astigmatism is -1.00 diopters.

연산부(미도시)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연령 정보 및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를 연산할 수 있다.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는 과거 복수 대상자들의 시력 정보 데이터를 연령별로 분석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일예로, 근시 통계 시력 정보 테이블(132)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계 시력 정보 결과 값들로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 자료를 이용하여 5세에서 20세 사이에 해당하는 7700명 이상의 자료를 활용하여 생성된 통계 자료일 수 있다.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계 시력 정보는 측정자의 현재의 근시 및 난시 정도, 백분위 값를 확인하고, 미래(최종) 근시 예측 가능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an calculate the percentile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ual information,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the plural subjects may be a database in which the vision information data of the past plural subjects is analyzed by age. For example, the near vision statistical vision information table 132 may include statistical vis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2) The data can be generated using more than 7700 data. The statistical visual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age-specific visual information of multiple subjects can be used as predictive data for future (final) nearsightedness by confirming the current myopia, astigmatism, and percentile of the subject.

연산부(미도시)는 근시 통계 시력 정보 테이블(132)에 기초하여 복수의 백분위 등급 각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백분위 등급은, 5백분위 등급, 10백분위 등급, 25백분위 등급, 50백분위 등급, 75백분위 등급, 90백분위 등급, 95백분위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ercentile grades based on the near vision statistical vision information table 132. [ Percentile ratings may include the 5th percentile, the 10th percentile, the 25th percentile, the 50th percentile, the 75th percentile, the 90th percentile, and the 95th percentile.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 값을 연산하는 방법은 복수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의해 결정된 통계 시력 정보 및 측정자의 시력 정보를 이용한 비례식을 이용하여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 값을 연산할 수 있다.Currently, the percentile value of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can be computed by using the statistical visual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age-specific visual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and the proportional formula using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measurer.

예시적으로 연산부(미도시)는 측정자의 연령 정보 및 시력 정도에 대응하는 현재 근시 및 난시 정도의 백분위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측정자의 근시 정도가 해당 나이에서 몇 percentile(백분위)에 속하는지 연산 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측정자의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연령별로 구분된 근시 통계 시력 정보 테이블(132)의 5백분위 등급, 10백분위 등급, 25백분위 등급, 50백분위 등급, 75백분위 등급, 90백분위 등급, 95백분위 등급의 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속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만 8세의 측정자의 근시가 -2.00디옵터라면 근시 통계 시력 정보 테이블(132)에서 해당하는 측정자의 나이에서의 백분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 8세에 75%(-2.5D)와 90%(-2.62D)사이에 측정자의 근시 정도의 -2.00디옵터가 속하므로 비례식을 생성하여 백분위 값을 연산할 수 있다. 근시량의 백분위 값을 구하는 비례식은 (x-75) : (90-x) = -2.00-(-1.25): -2.62-(-2.00) = -0.75: -0.62 와 같은 비례식일 수 있다. X 값 즉 측정자의 근시량의 백분위 값은 83%일 수 있다. Illustratively,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an calculate the percentiles of the degree of astigmatism and the present myopia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visual acuity of the measurer.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can calculate how many percentiles (percentiles) the near vision degree of the measurer belongs to at the age. The calculator (not shown) calculates the 5th percentile, 10th percentile, 25th percentile, 50th percentile, 75th percentile, 90th percentile, and 90th percentile of the near vision statistical information table 132 classified by age, 95 percentile of the value of the percentile. If the near vision of the observer at 8 years of age is -2.00 diopter,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an determine the percentile grade at the age of the measurer in the near vision statistical vision information table 132. Operation unit (not shown) Since the near vision degree of -2.00 diopter belongs to 75% (-2.5D) and 90% (-2.26D) at 8 years old, the proportional expression can be generated and the percentile value can be calculated. The proportionality formula for obtaining the percentile of myopia can be a proportional formula such as (x-75): (90-x) = -2.00 - (- 1.25): -2.62 - (- 2.00) = -0.75: -0.62. The X value, that is, the percent value of the myopia of the measurer may be 83%.

예시적으로 도 3d를 참조하면, 연산부(미도시)는 측정자의 난시량이 해당 나이에 몇 percentile(백분위)에 속하는지 연산할 수 있다. 난시량의 백분위를 구하는 방법은 근시 백분위 구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단, 50% 이하에 속하는 난시는 심하지 않고 진행이 거의 되지 않으므로, 해당 연령별 50 백분위 등급, 75 백분위 등급, 90 백분위 등급, 95 백분위 등급의 값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파악하고 근시 백분위 구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연산할 수 있다. 난시의 백분위는 50% 이상일 때만 표시하고 그 이하에서는 50%이내로 표시할 수 있다. 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 3D, an operation unit (not shown) can calculate how many percentiles (percentiles) the astigmatic amount of the measurer belongs to at the age. The method for obtaining the percentile of astigmatism is the same as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myopia percentile. However, since astigmatism belonging to 50% or less is not severe and almost no progress is made, it is possible to know where it belongs to the 50th percentile, 75th percentile, 90th percentile or 95th percentile according to the age and to calculate the myopia percentile can do. The astigmatism percentile is displayed only when it is 50% or more, and less than 50% when it is less than 50%.

예시적으로, 8세에서 난시가 -1.00디옵터라면 8세에서의 75%(-0.50) 과 90%(-1.25) 사이에 속하므로 비례식을 생성하여 백분위 값을 연산할 수 있다. 난시량의 백분위 값을 구하는 비례식은 (x-75) : (90-x) = -1.00 (-0.50): -1.25 (-1.00) = -0.50: -0.25와 같은 비례식을 생성할 수 있다. X 값 즉 측정자의 난시량의 백분위 값은 85%일 수 있다. Illustratively, if the astigmatism is at -1.00 diopter at age 8, it is between 75% (-0.50) and 90% (-1.25) at 8 years of age, so a proportional expression can be generated to calculate the percentile value. The proportional expression for obtaining the percentile value of the astigmatism can be a proportional expression such as (x-75): (90-x) = -1.00 (-0.50): -1.25 (-1.00) = -0.50: -0.25. The X value, that is, the percentile value of the astigmatism amount of the measurer may be 85%.

연산부(미도시)는 백분위 값을 연산한 이후에,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의 복수의 추세선 그래프(133)를 복수의 백분위 등급별로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추세선 그래프(133)를 복수의 백분위 등급별로 각각 5백분위 등급, 10백분위 등급, 25백분위 등급, 50백분위 등급, 75백분위 등급, 90백분위 등급, 95백분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5백분위 등급, 10백분위 등급 및 25 백분위는 정시에 해당하는 백분위 등급 일 수 있다. 50 백분위 등급 및 75 백분위 등급은 중등도근시에 해당하는 백분위 등급 일 수 있다. 90 백분위 등급 및 95 백분위 등급은 고도근시에 해당하는 백분위 등급 일 수 있다.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an calculate the plurality of trend line graphs 133 of the age-specific visu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based on the plurality of percentiles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fter calculating the percentile value. A plurality of trend line graphs 133 can be determin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ercentile levels by a fifth, a ten percentile, a twenty fifth percentile, a fifty percentile, a seventy percentile, a ninety percentile, or a ninety fifth percentile. The 5th percentile, 10th percentile, and 25th percentile may be percentiles that are on time. The 50th percentile and 75th percentile rating may be a percentile rating that corresponds to moderate myopia. The 90th percentile and 95th percentile ratings may be percentiles that correspond to high myopia.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연령 정보 및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141)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는 시력 측정 시 획득한 시력 정보 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통계 자료 일 수 있다. 현재 측정자의 나이와 대응하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를 확인하면, 추후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된 백분위 값을 기초하여 수의 추세선 그래프(133)를 생성할 수 있다.The future vision severity determination unit 14 can determine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141 of the measurer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The age-specific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plural subjects may be the statistical data generated by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data acquired at the time of visual acuity measurement. If the age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current measurer is confirmed,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future measurer can be determined. The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determination unit 14 can generate a number of trend line graphs 133 based on the percentile values calculated in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연산부(미도시)는 복수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의해 결정된 통계 시력 정보 및 측정자의 백분위값을 이용한 제 2 비례식을 이용하여 미래 시력장애 정도(141)를 연산할 수 있다. The computing unit (not shown) can calculate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141 using the statistical vis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and the second proportional formula using the percentile value of the measurer.

예시적으로, 제 2 비례식은 현재의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미래로 지정한 제 2 시점 구간에서의 측정자의 백분위 값에 해당하는 시력장애 정도를 구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시점 구간에 기초하여 미래 시력장애 정도(141)를 연산할 수 있다. Illustratively, the second proportional formula may use the percentile value of the degree of the present blindness.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corresponding to the percentile of the measurer in the second time section designated as the future can be obtained. The arithmetic unit (not shown) may calculate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141 based on at least one second time interval.

예를들면, 연산부(미도시)는 제 1 측정자의 근시 정도가 83%인 8세 아이의 미래 근시(제2시점)를 예측하기 위해서 미래로 지정한 제 2 시점을 20세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제2 시점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사용자의 현재 연령 이상의 연령대를 제 2 시점으로 지정하고 현재 연령 이상의 시점에서의 근시 정도 각각을 연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측정자의 현재 나이가 만 8세라면, 연산부(미도시)는 제 2 시점을 9세 내지 20세로 판단하여 근시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현재 연령에서의 근시 정도가 83%라면, 미래 시점(제2시점)에서의 근시 정도가 83%일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20세의 근시 통계 시력 정보 테이블(132)을 참고하여, 83%에 해당하는 지점은 75%(-4.5D)와 90%(-6.25D) 사이의 값이므로 미래 시점(제2시점)을 연산하는 제 2 비례식은 x-(-4.50) : (-6.25)-x = 83 - 75 : 90 - 83 과 같은 비례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X값 즉 미래 시점(제 2시점)에서의 제1 측정자의 근시 정도는 -5.43디옵터 일 수 있다. For example, an operation unit (not shown) may designate a second time point 20 in the future to predict future near vision (second time point) of an 8-year-old child with a near vision degree of 83% of the first measurer. Alternatively, the second viewpoint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input of the user. The arithmetic unit (not shown) may designate the age range of the current age or more of the user as the second time point, and calculate each of the near vision degree at the current age or mo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the current age of the measurer is 8 years old,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an calculate the degree of myopia by determining the second time point as 9 to 20 years old. If the near vision degree at the current age is 83%, the calculation section (not shown) can predict that the near vision degree at the future time point (the second time point) can be 83%.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refers to the 20-year-old near vision statistical information table 132 and the 83% point is a value between 75% (- 4.5D) and 90% (- 6.25D) The second proportional expression for computing the second point in time can produce a proportional expression such as x - (- 4.50): (-6.25) - x = 83 - 75: 90 - 83. At this time, the X value, that is, the degree of myopia of the first measurer at the future time (second time point) may be -5.43 diopter.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산부(미도시)는 측정자의 미래 난시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제 1 측정자의 난시 정도가 83%인 8세 아이의 미래 난시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도 3d에 예시된 난시 통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위에 예시된 미래 근시 예측 비례식(제 2 비례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자의 미래 난시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unit (not shown) can calculate the degree of future astigmatism of the measurer.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an refer to the astigmatism statistical information table exemplified in Fig. 3d in order to predict future astigmatism of the eighth-year-old child whose degree of astigmatism of the first measurer is 83%. The degree of future astigmatism of the measurer can be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portional formula (second proportional formula) of the future myopia predicted above.

연산부(미도시)는 미래 시점 즉 제 2 시점을 지정한 후 현재의 백분위 값을 이용하여 미래 시점(제 2 시점)에서의 백분위 값을 비례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도 3b 내지 도 3d에 나타낸 그래프 및 통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래 시점에서의 측정의 근시 및 난시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The computing unit (not shown) may generate a percentile value at a future time point (second time point) by using a current time value after designating a future time point, i.e., a second time point.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an predict the degree of near vision and astigmatism of the measurement at a future time point by referring to the graph and the statistical information table shown in Figs. 3B to 3D.

이때, 제 2 시점은 상기 제 1 시점 보다 Y년 M월D일(단, Y는 0 또는 자연수이고, M은 0 또는 1 이상 12 이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D는 0 또는 1 이상 31이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연수임)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time point is a Y-year M month D (Y is 0 or a natural number, M is any natural number selected from 0 or 1 or more and 12 or less, and D is 0 or 1 or more The natural number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도 3c는 백분위 값을 연산한 후 추세선 그래프(133)에 적용된 백분위 값을 이용하여 백분위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percentile score using the percentile value applied to the trendline graph 133 after calculating the percentile value.

복수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의 복수선 추세선 그래프(133)를 복수의 백분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백분위 등급은 복수의 추세선 그래프(133) 각각과의 좌표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부(15)는 측정자의 현재의 시력장애 정도 우안 및 좌안의 근시의 백분율 값(1,2)을 그래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는 측정자의 미래(제 2시점) 시력장애 정도의 우안 및 좌안의 근시의 백분율 값(3,4)을 그래프에 표시할 수 있다.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그래프에 표시된 근시 정도를 백분위 등급별로 구분된 추세선 그래프(133)의 좌표 거리에 기초하여, 정시, 중등도근시, 고도근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ne trend line graphs 133 of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ages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can be determined as a plurality of percentile grades based on the age-specific visu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The percentile rating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ordinate distanc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rendline graphs 133. [ Illustratively, the display unit 15 may display a percentage value (1, 2) of the subject's current visual impairment degree right eye and the near vision of the left eye on the graph. Further, the display unit 15 can display the percentage value (3, 4) of the near vision of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as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in the future (second time) of the measurer on the graph. The degree of near vision of the future visual acuity disorder determination unit 14 can be divided into the periodic, moderate myopia, and high myopia based on the coordinate distance of the trend line graph 133 classified by the percentile grade.

소아 근시 정도별 분류에 따르면, 사용자의 근시의 정도가 -3.00디옵터 미만의 근시일 경우 경도 근시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근시의 정도가 -3.00 디옵터 이상 -6.00디옵터 미만의 근시일 경우 중등도 근시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근시의 정도가 -6.00 디옵터 이상 -8.00 디옵터 미만일 경우 고도근시로 분류할 수 있으며, -8.00 디옵터 이상일 경우 초고도 근시로 분류할 수 있다. 부등시가 있는 경우 양안의 차이가 근시는 2디옵터 이상, 원시나 난시는 1.5 디옵터 이상 차이가 나면 약시 예방을 위하여 교정이 필요할 수 있다. According to myopia degree classification, myopia can be classified as myopia when myopia is less than -3.00 diopters. In addition, if the degree of myopia is -3.00 diopters or more and less than -6.00 diopters, myopia can be classified as moderate myopia. In addition, if the degree of near vision of the user is more than -6.00 diopters-less than 8.00 diopters, it can be classified as high myopia, and if it is higher than -8.00 diopters, it can be classified as ultra high myopia. If there is an anisometropia, a difference of more than 2 diopters in myopia and 1.5 diopters in astigmatism or astigmatism may require correction for the prevention of amblyopia.

현재 시력장애 정도는 제 1 시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이되, 미래 시력장애 정도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의 기준시점의 제 2 시점에서 백분위 값에 매핑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만 9세의 측정자의 백분위 값이 83%라면, 미래 시점(제2시점)을 만 20세로 결정한 제 2 시점에서 백분위 값도 83%에 해당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의 값이 예측될 수 있다. The pres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is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ion impairment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degree of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may be a value that is mapped to the percentile value at the second time point of the reference point of the futur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For example, if the percentile of a 9-year-old measurer is 83%, the value of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which is 83% of the percentile value, is predicted at the second time point at which the future time point (second time point) .

예측부(미도시)는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미래 시력장애 정도의 진행 속도(134)를 예측 할 수 있다. The predictor (not shown) can predict the progression rate 134 of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based on the vision information.

예측부(미도시)는 현재 시력장애 정도, 미래 시력장애 정도 및 제 2 시점과 제 1 시점의 차에 기초하여 진행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제 1 시점은 제 2 시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앞선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점이 사용자의 현재 나이(예를들어, 만 8세)인 경우 제 2 시점은 현재 나이의 이상(예를 들어, 만 9세 내지 20세)의 시점일 수 있다. The prediction unit (not shown) can predict the progress speed based on the degree of the present visual impairment, the degree of the future impaired vis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nd first time points. The first time point may be a time point relatively ahead of the second time point. For example, if the first time point is the current age of the user (for example, 8 years old), the second time point may be the time point of the current age (for example, 9 to 20 years old).

예측부(미도시)는 근시 진행 속도 예측(134)과 같은 피검자의 우안 및 좌안의 근시 진행 속도를 예측 할 수 있다. 근시 진행 속도는 예측하기 위해서는 현재 나이의 근시 백분위 값과, 미래(제2시점)의 백분위 등급값을 이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부(미도시)는 현재 만 8세의 아이의 1년 후(제2시점) 근시를 예측할 수 있다. 예측부(미도시)는 1년 후(제2시점)의 현재의 근시의 차를 구함으로써, 1년간 진행할 근시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측부(미도시)는 현재 만 8세의 근시가 -2.00D인 예측부(미도시)는 백분위 값은 83% 로 연산할 수 있다. 예측부(미도시)는 1년 후 (제2시점)인 9세의 83%에 해당하는 백분위 값을 예측하기 위해 비례식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부(미도시)는 근시 통계 시력 정보 테이블(132)을 활용하여 9세의 현재의 백분위 값에 해당하는 83%의 범위 안에 속해있는 백분위 등급 중75%(-2.25D)와 90%(-3.25D)값을 이용하면 x-(-2.5) : -3.25-x = 83-75 : 90-83과 같은 비례식을 생성할 수 있다. x값은 -2.7D로 비례식 연산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측정자의 현재의 근시량이 -2.00이므로 향후 1년간(제2시점) 근시 진행 예측 속도(134)는 -0.78D/year의 연산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The predictor (not shown) can predict the myopia progression speed of the subject's right eye and the left eye such as the near vision progress velocity prediction 134. For estimating the myopia progression rate, the near-term percentile value of the current age and the percentile grade value of the future (the second time point) can be u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ictor (not shown) can predict nearsightedness at the current time only one year (second time) of the 8-year-old child. The predicting unit (not shown) can predict the amount of nearsightedness to be performed for one year by obtaining the difference of the present nearest eyesight after one year (second time point). The predicting unit (not shown) can calculate the percentile value of 83% for the predicting unit (not shown) having a near-eight-year-old near-best subject at -2.00D. The prediction unit (not shown) can generate a proportional expression to predict the percentile value corresponding to 83% of the 9-year-old, one year later (the second time point). The prediction unit (not shown) uses the near vision statistical vision information table 132 to calculate 75% (-2.25D) and 90% (-) of the percentiles within the 83% 3.25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proportional expression such as x - (- 2.5): -3.25-x = 83-75: 90-83. The x value is -2.7D, which can produce the proportional operation result. Since the present myopia of the measurer is -2.00, the calculation result of -0.78D / year can be confirmed in the near-term progress prediction speed 134 in the next one year (the second time point).

도 3e 및 도 3f를 참조하면,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시력 장애 영향인자(factor) 정보를 고려하여,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E and 3F, the future vision severity determination unit 14 may determine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measurer by considering the factor of vision impairment factor.

시력 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는 유전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및 치료적 요인들이 포함될 수 있다. 시력 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예측도를 높이고, 근시 진행 속도를 보정할 수 있다. 위험요인에 해당되는 항목의 수가 많을수록 근시 진행 속도가 평균값보다 높아질 수 있다. Factors affecting visual impairment Factor information can include genetic, biological, environmental, and therapeutic factors. Using the factor of vision impairment factor, we can improve the predictability and correct the myopia progression rate. The greater the number of risk factors, the higher the myopic progression rate may b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세선 그래프(133)는 시력 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 중 유전적 요소 및 성장적 요소는 그래프에 반영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부(14)는 환경적 요인의 선택 항목에 따라 근시 진행 속도 및 최종 예측 시력이 고려될 수 있다. 측정자가 근거리 학습 시간이 많으면 0.25 내지 0.5 D/yr 추가 근시 진행 부담 적용이 필요할 수 있다.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시력이 변화하는 18세까지 남은 연수를 추가 근시 진행 속도에 곱하여 최종 추가되는 근시 정도(미래 시력장애 정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The trend line graph 133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stimate that the genetic and growth factors of the visual impairment factor information are reflected in the graph.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determining unit 14 may take into consideration the myopia progression speed and the final predicted visual acuity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If the measurer has a short learning time, additional 0.25 to 0.5 D / yr additional nearsightedness burden may be required.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determination unit 14 may estimate the final added myopia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by multiplying the remaining myopia progression rate by the age at which the visual acuity changes until the age of 18 years.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환경적 요인이 추가된 근시 진행 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할 때 환경적 요인의 선택 항목에 따라 근시 진행 속도 및 최종 예측 시력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환경적 요인의 항목 중 1. 야외 활동이 적음, 2. 독서 및 학습시간이 많음, 3. 스마트폰, 태블릿을 사용함의 3가지 항목 중 2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근시진행 속도에 0.25 D/year 혹은 0.50 D/year가 합해질 수 있다. 3가지 항목 중 2가지가 선택되면 0.25 D/year 가 합해지며 3가지 항목 모두가 선택되면 0.50 D/year가 합해질 수 있다. The future visual impairment severity determination unit 14 can predict the myopia progression rate to which the environmental factor is added.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determination unit 14 may consider the near vision progress speed and the final predicted vis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when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For example,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determining unit 14 may be one of the items of environmental factors 1. Low outdoor activity, 2. High reading and learning time, 3. Smartphone, If an item corresponding to more than one branch is selected, the myopia progression rate may be added to 0.25 D / year or 0.50 D / year. If two of the three items are selected, 0.25 D / year is added. If all three items are selected, 0.50 D / year can be added.

예를 들어,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환경적 요인의 항목 중 1. 야외 활동이 적음, 2. 독서 및 학습시간이 많음, 3. 스마트폰, 태블릿을 사용함의 3가지 항목 중 2가지가 선택되는 경우, 환경적 요인이 추가된 근시 진행 속도는 환경적 요인이 추가되기 전 근시 진행 속도 예측 값에 0.25D/year의 값이 합산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만 9세 측정자의 근시 정도는 -2.50D라면, 연산부(미도시)는 측정자의 근시 진행 속도를 0.45D/y로 예측할 수 있다.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환경적 요인 3가지 항목 중 2가지 항목이 선택된 경우, 측정자의 근시 진행 속도에 환경적 요인이 추가된 근시 진행 속도를 0.70±0.20D/y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determining unit 14 may be one of the items of environmental factors 1. Low outdoor activity, 2. High reading and learning time, 3. Smartphone, If the branch is selected, the myopia progression rate with added environmental factors can be added to the predicted myopia progression rate value of 0.25D / year before the environmental factor is add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egree of myopia of the 9-year-old patient is -2.50D,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an predict the myopia progression speed of the measurer at 0.45D / y. The Future Vision Disorder Level Determination Unit (14) can determine the myopic progression rate with an additional environmental factor to the myopia progression rate of 0.70 ± 0.20 D / y if two of the three environmental factors are selected .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추가될 근시 예측치(가중치) 는 (추가된 근시진행 속도 x 남은 년수)± 1.00을 활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측정자의 현재 나이가 만 9세라면, 근시 진행 가능 잔여 년수는 9년일(18세-현재 나이) 수 있다. 환경적 요인 중 2가지 항목이 선택된 경우라면,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추가될 근시 예측치(가중치)는 -(추가된 근시진행 속도 x남은년수)가 -2.25± 1.00일 수 있다. 즉 만9세 측정자의 우안의 근시 정도가 -2.5디옵터이고, 좌안의 근시 정도가 -3.00 디옵터이고,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최종 시력 예측치(141)가 우안의 경우 -4.85디옵터이고, 좌안의 경우 -5.77로 예측된 결과치를 활용할 수 있다. 측정자의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최종 예측 시력의 최종 근시 예측치는 우안의 경우 -7.10D± 1.00 좌안의 경우, -8.02D± 1.00일 수 있다. Myopia predictions (weights) to be added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can be estimated using (additional myopia progression rate x remaining years) ± 1.00. If the current age of the measurer is 9 years old, the myopic progressive remaining years may be 9 years (18 years - current age). If two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re selected, the near-term predicted (weighted) to be added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may be - (added myopic progression rate x remaining years) -2.25 ± 1.00. The mean visual acuity of the left eye was -3.00 diopters, the final visual acuity predicted without the environmental factors (141) was -4.85 diopters in the right eye and -2.8 diopters in the right eye We can use the predicted result as -5.77. The final myopic predictions of the final predicted visual acuity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easurer may be -7.10D ± 1.00 for the right eye and -8.02D ± 1.00 for the left eye.

도 3g는 교정기기 착용 유무(드림렌즈 가능여부)결정 및 교정기기 착용시 근시 진행 속도, 진행 예방 효과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3G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o wear a correcting device (whether or not a dream lens can be worn) and the myopia progress speed and the progressive prevention effect when wearing a correcting devic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기 착용 유무 결정부(미도시) 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및 현재 시력장애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교정기기 착용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교정기기 착용 유무 결정부(미도시)는 시력 정보 중 각막곡률 정도 및 근시 정도에 기초하여, 착용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A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correction device is wor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earer wears a correction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at presen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earing device for a correction device (not show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ubject wears the subject based on the degree of corneal curvature and the degree of myopia in the visual information.

교정기기 착용 유무 결정부(미도시)는 현재 각막곡률 정도에 기반하여 제 1 기준값 (38디옵터) 이하인 경우 ‘불가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교정기기 착용 유무 결정부(미도시)는 현재 각막곡률 값에 기반하여 제 2 기준값(39 디옵터) 이하인 경우 ‘경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교정기기 착용 유무 결정부(미도시)는 제 1 기준값(38 디옵터) 및 제 2 기준값(39디옵터)에 속하지 않는 경우 ‘가능’으로 결정할 수 있다. (Not shown) may be determined to be 'impossible' if it is below the first reference value (38 diopter) based on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cornea. In addition, the calibration device wear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may be determined as a 'boundary' when the current referenc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39 diopter). In addition, if the calibration device wear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does not belong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38 diopter)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39 diopter), it can be determined to be possibl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정기기 착용 유무 결정부(미도시)는 가능, 경계, 불가능 3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여 결정 할 수 있다. 불가능 기준은 각막곡률과 근시량의 차이 값이 38디옵터 이하이면 불가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근시의 정도가 -6.00디옵터 이상이면 불가능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경계 기준은 각막곡률과 근시량의 차이 값이 39디옵터 이하이면 경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근시의 정도가 -5.00디옵터 이상이면 경계로 판단할 수 있다. 가능 기준은 앞서 설명한 불가능 및 경계의 기준에 속하지 않는다면 가능으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wor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possible, bounded, and impossible. The impossible criterion can be determined to be impossibl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rneal curvature and the near vision is less than 38 diopters. In addition, if the degree of myopia is -6.00 diopters or m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impossible. The boundary criterion can be determined as the boundary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rneal curvature and near vision is less than 39 diopters. In addition, if the degree of myopia is -5.00 diopters or more, it can be judged as a boundary. A possible criterion can be determined to be feasible if it does not fall within the criteria of impossibility and boundary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측정자의 각막곡률이 42.50디옵터이고, 근시가 -2.5 디옵터라면 각막곡률과 근시량의 차이 값이 40 디옵터이다. 가능여부 결과값이 불가능 기준과 경계 기준에 속하지 않으므로, 측정자의 교정기기(드림렌즈) 가능여부는 가능으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observer has a corneal curvature of 42.50 diopters and myopia is -2.5 diopte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rneal curvature and myopia is 40 diopters. Possibility Since the result value does not belong to the impossible standard or boundary standar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r's calibration device (dream lens) is possibl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기 착용 유무 결정부(미도시)는 교정기기(드림렌즈) 착용 시 근시진행 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교정기기(드림렌즈) 착용 후 미래 시력장애 정도(근시진행 속도)는 현재 시력장애 정도(근시진행 속도)에 45%의 차이 값, 즉 현재 시력장애 정도(현재 근시 진행 속도)의 55%가 교정기기(드림렌즈) 착용 후 미래 시력장애 정도(근시진행 속도)로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 absence of a calibration device wearing unit (not shown) can predict the myopia progress speed when the calibration device (dream lens) is worn.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myopia progression rate) after wearing a corrective device (dream lens) is 45% of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myopia progression speed), that is 55% of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myopia progression speed) can be predicted after wearing the device (Dream Lens).

예를 들어, 현재 시력장애 정도(현재 근시 진행 속도)가 0.70 ± 0.20 D/year 일 경우, 드림렌즈 착용 시 미래 시력장애 정도(미래 근시 진행 속도)는 0.70 디옵터의 55%에 해당하는 0.39± 0.10 D/year일 수 있다. 이때, 현재 시력장애 정도(현재 근시 진행 속도)는 시력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 중 환경적 요인이 추가된 현재 시력장애 정도(현재 근시 진행 속도)일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present myopia progression rate) is 0.70 ± 0.20 D / year, the degree of future vision loss (future myopia progression rate) when wearing a dream lens is 0.39 ± 0.10 corresponding to 55% of 0.70 diopter D / year. At this time, the current degree of visual impairment (current myopia progression rate) may be the degree of current visual impairment (current myopia progression rate) add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among the information of visual impairment factor.

또한, 교정기기 착용 유무 결정부(미도시)는 교정기기(드림렌즈) 착용 시 근시 진행 예방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교정기기(드림렌즈) 착용 후 미래 시력장애 정도(근시진행 속도)는 현재 시력장애 정도(근시진행 속도)의 45%에 해당하는 결과 값이 교정기기(드림렌즈) 착용 시 근시 진행 예방 효과의 예측 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not shown) can predict the prevention effect of myopia when the orthodontic appliance (dream lens) is worn.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myopia progression rate) after wearing orthodontic appliance (dream lens) is 45% of the present vision impairment (myopia progression speed). Lt; / RTI >

예를 들어, 현재 시력장애 정도(현재 근시 진행 속도)가 0.70 ± 0.20 D/year 일 경우, 드림렌즈 착용 시 미래 시력장애 정도(미래 근시 진행 속도)는 0.70 디옵터의 45%에 해당하는 0.32± 0.10 D/year일 수 있다. 이때, 현재 시력장애 정도(현재 근시 진행 속도)는 시력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 중 환경적 요인이 추가된 현재 시력장애 정도(현재 근시 진행 속도)일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present myopia progression rate) is 0.70 ± 0.20 D / year, the degree of future vision loss (future myopia progression) when wearing a dream lens is 0.32 ± 0.10 corresponding to 45% of 0.70 diopter D / year. At this time, the current degree of visual impairment (current myopia progression rate) may be the degree of current visual impairment (current myopia progression rate) add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among the information of visual impairment factor.

도 3h는 측정자의 검사 이력 저장부(미도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3H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st history storing unit (not shown) of the measurer.

도 3h를 참조하면, 저장부(미도시)는 측정자별로 주어지는 ID를 검색하여, 등록 측정자 및 미등록 측정자를 판별할 수 있다. 미등록 측정자라면, 입력부(11)는 환자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환자정보에는 ID , 성명, 성별, 생년월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h에 도시된 시력측정 결과 입력은 도 3a에 도시된 도면과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측정자의 입력 사항을 데이터화 하여 측정날짜, 각막 곡률, 근시, 난시 등과 같은 시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적으로, 저장부(미도시)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의 현재 시력장애 정보 및 미래 시력장애 정보 데이터를 연령별 시력장애 정도(근시 및 난시의 정도)의 데이터로 저장하여 새로운 nomogram을 생성할 때 활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H, the storage unit (not shown) may search for an ID given to each measurer to discriminate the registered measurer and the non-registered measurer. If the user is an unregistered measurer, the input unit 11 can receive patien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Patient information may include ID, name, sex, date of birth, etc. The input of the visual acuity measurement result shown in FIG. 3H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the diagram shown in FIG. 3A. The storage unit (not shown) may store information of the user such as measurement date, corneal curvature, myopia, astigmatism, etc. by inputting data inputted by the measur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torage unit (not shown) stor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and past visual impairment information of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measure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 Of data can be used to generate a new nomogram.

표시부(15)는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 can display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the future visual impairment through the display device.

표시부(15)는 도 3a 내지 도 3h에 도시된 도면과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시력 기기 (20)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a diagram shown in Figs. 3A to 3H. Illustratively, the display device may be a display device such as a user interface.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ay be a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vision device 20.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앞선 도 1 내지 도 3h를 통해 설명된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h을 통해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4에도 적용된다.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shown in Fig. 4 is performed by the apparatus 10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H. Therefore, even if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apparatus 10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through Figs. 1 to 3H also applies to Fig.

단계 S11에서, 입력부(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자의 연령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력 장애 영향 인자(factor)정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In step S11, the input unit 11 can receive the age information of the measur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 addition,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degree measuring apparatus 10 can receive a degree of visual impairment factor through a user interface.

단계 S12에서 수신부(12)는 시력 측정 기기로부터 시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12, the receiving unit 12 may receive sight information from the visual acuity measuring device.

단계 S13에서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3)는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3)는 백분위 값에 기초하여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값을 연산하는 경우, 복수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의해 결정된 통계 시력 정보 및 측정자의 시력 정보를 이용한 비례식을 이용하여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값을 연산할 수 있다. In step S13,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determination section 13 can determine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of the measurer based on the vision information.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degree determining section 13 can determine the current lightning impairment degree percentile level based on the percentile value. In calculating the percentile value of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the computing unit (not shown) calculates the percentile valu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by using the statistical vis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and the proportional formula using the vision information of the measurer .

단계 S14에서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연령 정보 및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연령 정보 및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값을 연산할 수 있다.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 및 백분위값에 기초하여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S14, the future vision severity determination unit 14 can determine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measurer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can calculate the percentile value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ual information,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degree determination unit 14 can determine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measurer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and the percentile value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백분위값을 연산하는 단계 이후에,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의 복수의 추세선 그래프(133)를 복수의 백분위 등급별로 결정할 수 있다.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14)는 복수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의해 결정된 통계 시력 정보 및 측정자의 백분위 값을 이용한 제 2 비례식을 이용하여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The future visual acuity disorder degree determination unit 14 may determine a plurality of trend line graphs 133 of age-specific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based on a plurality of percentile grades based on age-based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after calculating the percentile value have.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severity determination unit 14 can calculate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using the statistical vis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nd the second proportional formula using the percentile value of the measurer.

단계 S15에서 표시부(15)는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In step S15, the display unit 15 can display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the future impaired vis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5는 본원의 구현 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1 to S15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는 근시 및 난시를 검사하고 치료하는 안과, 안경점, 렌즈전문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는 측정자(피검자)와 보호자에게 현재의 시력장애 정도(근시 및 난시의 정도)를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는, 측정자(피검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근시 및 난시의 정도)가 백분위 등급 중 어디에 속하며, 성인이 되었을 때의 백분위 등급을 예측할 수 있다. 측정자(피검자)는 연속적으로 실시되는 시력장애 판단 결과를 디스플레이 기기 또는 보고서로 확인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ophthalmology, optometrists, and lens shops that examine and treat myopia and astigmatism. Future vision impairment measurement devices can easily explain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degree of myopia and astigmatism) to the measurer (the subject) and the caregiver.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can predict the degree of the current level of vision (the degree of myopia and astigmatism) of the measurer (the subject) belonging to one of the percentile levels and the percentile level when the person becomes an adult. The examinee (examinee) can confirm the result of the continuous vision failure judgment on the display device or the report.

한편,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미래 시력장애 측정 장치
11: 입력부
12: 시력 정보 수신부
13: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
14: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
15: 표시부
20: 시력 측정 기기
10: Measuring device for the future vision impairment
11: Input unit
12:
13: Current visual impairment degree determination unit
14: Determination of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15:
20: vision measuring instrument

Claims (22)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자의 연령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시력 측정 기기로부터 시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령 정보 및 상기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In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Receiving age information of a measurer through a user interface;
Receiving vision information from a vision measurement device;
Determining a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of the measurer based on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Determining a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nd
Displaying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through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령 정보 및 상기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 및 상기 백분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measurer comprises:
Calculating a percentil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degree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based on the age-specific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nd
And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and the percentile value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는 제 1 시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이되,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는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의 기준시점인 제 2 시점에서 상기 백분위 값에 매핑되는 값인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is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at the first time point,
Wherein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is a value mapped to the percentile at a second time point as a reference point of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분위 값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백분위 값 및 상기 백분위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Determining a percentile rating of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based on the percentile value; And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percentile value and the percentile rat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백분위 값을 연산하는 단계 이후에,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의 복수의 추세선 그래프를 복수의 백분위 등급별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백분위 등급은 상기 복수의 추세선 그래프 각각과의 좌표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measur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 plurality of trend line graphs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ge-specific visual acuity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percentile grades based on the age-based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fter calculating the percentile value,
Wherein the percentile rating is determined based on a coordinate distanc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trendline graph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추세선 그래프는, 상기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의 통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백분위 등급 각각으로 구분된 것들인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trend line graphs are thos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ercentile grades based on statistics of the age-specific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분위 등급은, 5백분위 등급, 10백분위 등급, 25백분위 등급, 50백분위 등급, 75백분위 등급, 90백분위 등급, 95백분위 등급을 포함하는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ercentile grade comprises a fifth percentile, a tenth percentile grade, a 25th percentile grade, a 50th percentile grade, a 75th percentile grade, a 90th percentile grade, and a 95th percentile gra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값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의해 결정된 통계 시력 정보 및 상기 측정자의 시력 정보를 이용한 비례식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값을 연산하는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lculating of the percentile value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calculates the percentile value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using the statistical visual acuity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age-specific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nd the proportional formula using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measurer How to measure future degree of vision impairmen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례식은 제 1 비례식이되,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의해 결정된 통계 시력 정보 및 상기 측정자의 백분위값을 이용한 제 2 비례식을 이용하여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연산하는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portional expression is a first proportional expression,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calculates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using statistical vis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nd a second proportional equation using a percentile value of the observe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점은 상기 제 1 시점 보다 Y년 M월D일(단, Y는 0 또는 자연수이고, M은 0 또는 1 이상 12 이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연수이고, D는 0 또는 1 이상 31 이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연수임) 이후의 시점인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time point is a natural number selected from Y, M, and D (where Y is 0 or a natural number, M is 0 or 1 or more and 12 or less, D is 0 or 1 or more and 31 or less (A natural number of the selected one of the plurality of visual acuity disorder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의 진행 속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edicting a progress speed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the future impaired vision based on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 속도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제 2 시점과 상기 제 1 시점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진행 속도를 예측하는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predicting the progress speed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point of time and the first point of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시력 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degree of future visual impairment comprises:
Wherein a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information on factor of vision impairment inputted through a user interfa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 속도는 상기 시력장애 영향 인자(factor)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ate of progress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 impairment factor informa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력장애 영향 인자는 교정기기 착용 유무 인자를 포함하는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visual acuity disorder influencing factor includes a presence or absence of a wearing device of the corr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는 현재 근시 및 현재 난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current near vision and current astigmat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교정기기 착용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earer wears a calibrating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the future visual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자의 연령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시력 측정 기기로부터 시력 정보를 수신하는 시력 정보 수신부;
상기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자의 현재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현재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령 정보 및 상기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 및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
A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ge information of a measurer through a user interface;
A vis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vision information from the vision measuring device;
A current vision impairment degre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urrent impairment degree of the observer based on the vision information;
A future vision impairment degre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bject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urrent degree of vision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future impairment of vision through a display device;
And a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 결정부는,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령 정보 및 상기 시력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의 백분위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대상자들의 연령별 시력 정보 및 상기 백분위값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자의 미래 시력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것인,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nd an arithmetic unit for calculating percentiles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disturbance corresponding to the age information and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based on the age-specific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Wherein the degree of future vision impairment of the observ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age-specific vision information and the percentile value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의 진행 속도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미래 시력 장애 정도 측정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 predictor for predicting a progress speed of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disturbance and the degree of the future visual acuity disorder based on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래 시력장애 정도 및 상기 현재 시력장애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교정기기 착용 유무를 결정하는 교정기기 착용 유무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미래 시력장애 정도 측정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 correcting device wearing degre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wearer wears a correcting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the future visual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the current visual impairment.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7 is recorded.
KR1020170099740A 2017-08-07 2017-08-07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KR102019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40A KR102019932B1 (en) 2017-08-07 2017-08-07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40A KR102019932B1 (en) 2017-08-07 2017-08-07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922A true KR20190015922A (en) 2019-02-15
KR102019932B1 KR102019932B1 (en) 2019-09-11

Family

ID=6536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740A KR102019932B1 (en) 2017-08-07 2017-08-07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93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75A (en) * 1996-07-16 1998-02-03 Nikon Corp Self-conscious type optometer
JP2013081800A (en) * 2013-01-04 2013-05-09 Tanita Corp Body composition me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75A (en) * 1996-07-16 1998-02-03 Nikon Corp Self-conscious type optometer
JP2013081800A (en) * 2013-01-04 2013-05-09 Tanita Corp Body composition 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932B1 (en)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36626B (en) Ametropia treatment tracking method and system
EP3395233B1 (en) Ametropia treatment tracking methods and system
RU2664173C2 (en) Methods and ametropia treatment tracking system
Hickenbotham et al. Meta-analysis of sex differences in presbyopia
Llorente‐Guillemot et al. Visual performance with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Fedtke et al. Peripheral refraction and aberration profiles with multifocal lenses
Moore et al. Central and peripheral autorefraction repeatability in normal eyes
CA2948760C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igh resolution corrective ophthalmic lenses
Krarup et al. The tolerance of anisometropia
Queirós et al. Astigmatic peripheral defocus with different contact lenses: review and meta-analysis
Fedtke et al. Association between multifocal soft contact lens decentration and visual performance
Tousignant et al. Comparing the Netra smartphone refractor to subjective refraction
JP2021531506A (en) How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global sensitivity parameter of interest, how to use this value and the system for determining said value
Ravikumar et al. Image quality metric derived refractions predicted to improve visual acuity beyond habitual refraction for patients with Down syndrome
Garzón et al. Impact of lens material on objective refraction in eyes with trifocal diffractive intraocular lenses
Garcia-Espinilla et al. Comparison of physiognomy and frame angle parameters using different devices to prescribe progressive addition lenses
Kollbaum et al. Comparison of patient-reported visual outcome methods to quantify the perceptual effects of defocus
Kurna et al. Success rates in the correction of astigmatism with toric and spherical soft contact lens fittings
Rodriguez-Vallejo et al. The effect of fractal contact lenses on peripheral refraction in myopic model eyes
KR20240058903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myopia risk
KR201900159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uture visual impairment degree
Huang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imple nomogram for predicting rapid myopia progression in children with orthokeratology management
Kho et al. Effects of relative negative spherical aberration in single vision contact lens visual performance
Wee et al. Comparison of presbyopic additions determined by the fused cross‐cylinder method using alternative target background colours
EP4177907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risk of an onset or progression of myop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